KR102467231B1 - 제어 부재를 구비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 - Google Patents

제어 부재를 구비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231B1
KR102467231B1 KR1020160067970A KR20160067970A KR102467231B1 KR 102467231 B1 KR102467231 B1 KR 102467231B1 KR 1020160067970 A KR1020160067970 A KR 1020160067970A KR 20160067970 A KR20160067970 A KR 20160067970A KR 102467231 B1 KR102467231 B1 KR 102467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upport
control member
contain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243A (ko
Inventor
에릭 샤메로이
다니엘 장 마리 아노타
필립 루싸르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60142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06Locking devices of the bayonet-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2Devices for holding lids in open position o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2), 덮개(3) 및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주방기기(1)는 상기 덮개(3) 및 지지부(10)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덮개가 피봇동작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덮개(3)에 부착되고, 상기 주방기기(1)는 로킹/로킹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11) 및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피봇동작으로 제어 부재(11)의 이동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손으로 파지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제어 부재(11)를 통해 수동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제어 부재(11)를 그 로킹해제 위치로 다시 강제하도록 지지부(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어 부재를 구비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A BAYONET-FITTING PRESSURE COOKER PROVIDED WITH A CONTROL MEMBER}
본 발명은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주방기기의 일반적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스팀 압력하에 조리하도록 내부에 압력이 축적될 수 있게 하는 조리 구역을 형성하도록 설계되는 압력 조리기 유형의 가정용 주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구체적으로 용기, 덮개 및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을 갖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가정용 용도의,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가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금속 용기를 포함하며, 이 금속 용기 상에는 역시 금속으로 이루어진 덮개가 내부에 압력이 축적될 수 있게 하는 조리 구역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가요성 환형 밀봉체를 거쳐 밀봉식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덮개가 용기에 대해 로킹되고 조리 구역이 내부에 압력이 축적될 수 있는 로킹 구성과 덮개가 용기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는 로킹해제 구성 사이에서 압력 조리기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로킹 수단을 거쳐 용기에 결합되도록 덮개가 설계된다. 다양한 유형의 로킹 수단이 종래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스템 중 하나는 베이어닛 피팅을 갖는 로킹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은 덮개가 회전되면 상호 활주 접촉 상태가 되어 압력 축적의 영향하에 용기와 덮개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용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용기 및 덮개 램프(ramp)를 구현하는 것에 기초한다. 덮개 램프는 통상적으로 덮개의 환형 강하 연부(edge)를 국지적으로 내향 절첩함으로써 형성되고, 용기 램프는 용기의 자유 상부 연부의 절첩 및 절취에 의해 얻어진다.
베이어닛 피팅을 갖는 이러한 로킹 시스템은 특히 중량이 비교적 가볍고 제조가 간단하며 신뢰적이기 때문에 대체로 만족스럽다.
하지만, 이는 또한 특히 실용성 및 인체공학에 관하여 특정 중요한 단점을 갖고 있다.
우선, 베이어닛 피팅에 의한 로킹의 진정한 원리는 사용자가 덮개를 정확하고 특정한 배열로 용기 상에 배치하여 덮개 램프가 용기의 상부 연부에 제공된 절취부를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들이 자체적으로 용기 램프 아래의 로킹 준비 위치를 찾아가게 하고, 그후, 이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용기 상의 덮개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 및 용기 램프가 로킹 대응관계가 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는, 상술한 정확하고 특정한 배열로 용기 상에 덮개를 위치시키는 것은 성가시고 인체공학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또한, 덮개가 로킹 준비 위치에 있게 되고 나서, 사용자는 그후 덮개를 사전결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덮개 상에 상당한 힘을 작용하여야 하며, 이는 반드시 직관적인 것은 아니며, 가능하게는, 덮개 상에 하향 압력을 작용하는 것과 조합될 수도 있다. 이런 로킹 조작은 비직관적이고 성가실 뿐만 아니라, 또한, 특히, 덮개와 용기 사이에 개재된 밀봉체에서의 마찰로 인해 소정양의 물리적 힘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 따라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를 로킹하는 것은 덮개가 용기 상에 정확하게 장착되는 것을 필요로 하며-이를 위해 다수번의 시도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음-, 그후, 한 손으로 용기를 고정적으로 보유하고 로킹 구성이 달성될 때까지 덮개 상에 또한 하향 압력을 작용하면서 용기에 대하여 덮개를 회전시키기 위해 다른 손으로 힘을 작용하는 방식으로 양손으로 압력 조리기를 파지하는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조오(jaw)를 구비하는 압력 조리기보다 사용이 매우 더 어렵고 매우 덜 실용적이지만, 조오를 구비하는 이런 압력 조리기는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보다 매우 더 무겁고 일반적으로 제조에 매우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다양한 단점을 해결하고, 특히 경량이고 안전하고 신속하고 제조가 저렴하면서도, 특히 한손만으로도 사용이 용이하고 특히 인체공학적인,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킹이 특히 간단하고 신뢰적인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연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그 사용 방식을 매우 쉽게 알 수 있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동안 고도의 안전 수준을 획득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용기에 대해 덮개를 로킹하는 동안 사용자가 손으로 용기를 고정적으로 파지하는 것을 완전히 불필요하게 하는 설계로 이루어지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강건하고 소형인 로킹 제어 기구를 구현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킹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작용하는 손의 힘을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으로 이루어지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간단하고, 경량이며 신뢰성있는 로킹 제어 기구를 구비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킹 및 로킹해제 양자 모두의 수행이 특히 직관적이 되게 하는 제어 부재를 구비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기 세척기 내에 담고 세척하기가 쉽고 실용적인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덮개를 잡고 전체 주방기기를 들어올릴 위험을 상당히 제한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인체공학적이며 사용자가 덮개를 놓칠 위험을 제한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신규한 조리 주방기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덮개 및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주방기기는 상기 덮개와 지지부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덮개가 각각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로킹 구성 및 로킹해제 구성에 대응하는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해 피봇동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덮개에 부착되며,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용기는,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로킹해제 구성에서 로킹 구성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덮개를 피봇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으로 하여금 덮개를 용기에 로킹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주방기기는 로킹/로킹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로킹 위치와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주방기기는 상기 로킹 및 로킹해제 위치가 상기 로킹 및 로킹해제 구성에 대해 각각 대응하도록 지지부에 대한 덮개의 피봇동작으로 제어 부재의 이동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제어 부재를 통해 조작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제어 부재를 통해,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중량을 극복하고 손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제어 부재를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상기 중량의 영향 하에서 다시 로킹해제 위치로 강제되게 하도록, 상기 제어 부재는 지지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단지 비제한적인 예컨대 주어져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상세히 드러나고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베이어닛 피팅 로킹을 갖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 주방기기의 도식적 사시도로서, 상기 주방기기 내에서 덮개 서브어셈블리는 로킹해제 구성이며 덮개를 회전시킴으로써 로킹이 발생하게 하는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킹전 배열)로 용기와 합체되고, 상기 상대적 배열은 주방기기의 로킹 준비 구성에 대응하고, 여기서 로킹/로킹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는 용기에 대해 로킹해제된 덮개에 대응하는 전개 위치 상태이다.
도 2는 도 1의 압력 조리기의 용기의 위로부터 본 도식적 사시도로서, 이 예에서 상기 용기는 수동 운반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측부 손잡이를 구비한다.
도 3은 도 1의 압력 조리기의 위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로킹전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 상태에서의 도 2의 용기의 상부 위로 이동되어 피팅될 준비가 된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압력 조리기를 도시하며, 제어 부재의 수동 이동을 지지부에 대한 덮개의 피봇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동-변환 장치를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6은 도 5에 생략되어 있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부분의 도식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의 압력 조리기의 설계 상세의 도식적 사시도로서, 특히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상기 용기가 상기 로킹전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될 때 수평 평면 내에서 용기의 그리고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상대 각도 위치를 로킹하기 위한 지지부와 용기 손잡이 사이의 협력을 도시한다.
도 8은 용기 손잡이가 생략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도 7의 설계 상세를 도시하는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의 압력 조리기의 실시예 상세, 더 정확하게는, 제어 부재의 이동을 지지부에 대한 덮개의 피봇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와 로킹/로킹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에 관련하는 상세의 도식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어 부재가 생략된 것을 제외한, 도 9의 실시예 상세를 위로부터 조망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 상세를 아래로부터 조망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 상세를 아래로부터 조망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 내지 도 12의 압력 조리기의 덮개를 도시하며, 상기 덮개 상에는 제어 부재의 수동 이동을 지지부에 대한 덮개의 피봇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 뿐만 아니라 지지부를 형성하는 부분들 중 일부가 장착된다.
도 14는 도 1의 압력 조리기를 통과하는 평면 B-C 상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압력 조리기를 통과하는 평면 A-C 상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압력 조리기의 도식적 사시도로서, 덮개가 용기에 대해 로킹되도록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로킹 구성이고, 제어 부재는 상기 로킹에 대응하는 후퇴 위치에서 덮개를 향해 강하된 상태이다.
도 17은 도 16의 압력 조리기를 위로부터 조망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 각각은 제어 부재가 로킹 상태인 덮개에 대응하는 후퇴 위치에 있는 것을 제외한, 도 5, 도 8, 도 9 및 도 10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에 관한 것이며, 이 주방기기는 증기, 예컨대, 스팀의 존재하에 대기압보다 큰 압력 수준하에서 다양한 식품을 조리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증기 또는 스팀은 식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주방기기(1) 내측에서 가열되는 조리 액체, 예컨대, 수성 액체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주방기기(1)는 바람직하게는 가정용 용도로 설계되지만, 본 발명은 전문가용 또는 반전문가용 주방기기에도 관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주방기기(1)는 어떠한 외부 압력 공급도 없이 열원(통합되어 있거나 외부적일 수 있음)의 영향에 의해서만 압력이 축적될 수 있게 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는 바람직하게는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독립적인 핫플레이트 또는 링 상에 배치되도록 설계되는 압력 조리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조리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2)를 포함하고, 이 적어도 하나의 용기는 조리 대상 식품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조리 수용부를 형성하고, 본 예에서는 주방기기(1)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즉, 수평 평면 상에 배치될 때 수직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실질적 원형 대칭적이다. 종래의 방식에서, 용기(2)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용기(2)는 예컨대, 다중층의 열전도성 저부인 저부(2A)를 포함한다. 용기(2)는 또한 상기 저부(2A)와 자유 상부 연부(2C) 사이에서 상향 연장하는 환형 측부 벽(2B)을 포함하고, 자유 상부 연부는 본 예에서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용기(2)의 내부로의 접근로를 제공하는 접근 개방부를 형성한다. 자유 상부 연부(2C)의 형상은 주방기기(1)의 로킹 수단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후술된다. 유리하게는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주방기기(1)는 상기 용기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2)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손잡이(2D)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손잡이(2D)는 용기(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용기(2)를 조작하기 위해(예컨대, 용기를 들고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설계된 파지가능 수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용기(2)의 측부 벽(2B)의 외측면 상에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리 주방기기(1)는 중심 축(X-X')을 중심으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용기(2)의 측부 벽(2B)에 체결되는 2개의 동일한 손잡이(2D, 2E)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손잡이(2D, 2E)는 본 예에서 용기(2)의 자유 상부 연부(2C)의 부근에 배치된다. 하지만, 용기(2)가 단일 용기 손잡이를 구비하거나 2개보다 많은 용기 손잡이(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를 구비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방기기(1)는 용기(2)와 연계되고 상기 용기(2)에 대하여 로킹되어 내부에 압력이 축적되기에 적합한 조리 구역, 즉, 주방기기(1)의 압력이 축적될 수 있게 하도록 충분히 기밀 밀봉된 조리 구역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덮개(3)를 포함한다. 이런 누설밀폐 기밀 밀봉을 획득하기 위해서, 주방기기(1)는 유리하게는 밀봉체(도시 생략)를 포함하고, 이 밀봉체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가요성 환형 개스킷에 의해 형성되며 덮개(3)와 용기(2)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되어, 외측과 상기 구역의 내측 사이의 공기 및/또는 스팀의 임의의 제어되지 않은 누설을 방지한다. 종래 방식에서, 덮개(3)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덮개는 유리하게는 용기(2)의 형상에 상보적인,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디스크형인 형상을 가지며, 유리하게는 상기 용기 상에 장착 및 로킹되고 나면 용기(2)의 저부(2A)가 연장하는 평균 평면(즉, 본 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균 평면에서 연장하는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덮개(3)는 용기(2)의 환형 측부 벽(2B)의 자유 상부 연부(2C)에 의해 제한되는 접근 개방부의 형상 및 치수에 상보적인 형상 및 치수의 디스크형 덮개 요소(3A)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덮개(3)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실질적 원통형 또는 절두원추형 형상의 환형 밴드(3B)를 포함하고, 이 환형 밴드는 디스크형 덮개 요소(3A)와 일체인(본 예에서는 그 주연부에서) 제1 원형 연부(30B)와 예컨대 그 자체가 단부 플랜지에 의해 연장되는 자유 제2 원형 연부(31B) 사이에서 연장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가 용기(2)와 연계되어 조리 구역을 형성할 때 디스크형 덮개 요소(3A)는 실질적으로 수평 평균 평면, 즉, 본 예에서, 용기(2)의 저부(2A)의 평균 연장 평면에 평행한 평균 평면에서 연장하고, 환형 밴드(3B)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즉, 중심 축(X-X')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단부 플랜지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한다. 본질적으로, 이는 예를 들어, 제어 기구를 수용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소하게 국지적으로 돔형 또는 접시형인 디스크형 덮개(3A)의 가능성을 어떠한 방식으로도 배제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환형 밴드(3B)는 디스크형 덮개 요소(3A)의 주연부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원형 강하 연부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3)는 실질적으로 꼭 맞는 방식으로 용기(2)의 상부 위에 피팅되도록 설계되며, 그래서, 환형 밴드(3B)는 환형 측부 벽(2B)과 자유 상부 연부(2C)의 상부을 외부적으로 둘러싸고, 디스크형 덮개 요소(3A)는 용기(2)와 덮개(3) 사이에 개재된 밀봉 개스킷을 거쳐 자유 연부(2C) 상에 배치되어 그에 대해 지탱된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용기(2)에 의해 둘러싸여져 용기 내에 수용되도록 용기(2) 내에 환형 밴드(3B)가 피팅되도록 설계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 주방기기(1)는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3)에 의해 직접 보유되는 방식 등으로 덮개(3) 상에 장착되고 "작동 압력"이라 지칭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사전결정된 값으로 조리 구역 내에 존재하는 압력을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밸브와 같은 압력 조정 수단(4)을 포함하는데 그 압력 값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10킬로파스킬(kPa) 내지 120 kPa 범위 내에 있는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약 100kPa인 값 만큼 대기압을 초과한다. 그러한 압력 조정 수단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는 그 자체로 잘 알려져 있어서, 이하에서 임의의 추가적인 상세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는 다른 작동 부재(예컨대, 상세하게 후술되는 개방 안전 수단(5), 과압 안전 밸브(6)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2) 및 덮개(3)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케이싱이며 서로 연계되었을 때 그 내부에서 식품이 스팀 압력 하에서 조리되는 폐쇄된 체적의 경계를 결정하는 최종 금속 케이싱을 형성하는 상보적인 개별 케이싱을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방기기(1)는 용기(2)와 덮개(3)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 구역이 구역 내에 존재하는 압력의 영향하에 덮개(3)가 떨어져 나가는 위험 없이 적어도 상술한 작동 압력에 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로킹 시스템은 조리 구역 내에 축적되는 압력의 영향하에 용기(2)로부터 덮개(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강인한 덮개(3)와 용기(2) 사이의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더 정확하게, 상기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은 덮개(3)가 용기(2) 상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2) 상에 자유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로킹 준비 구성(도 1 및 도 3)으로부터 용기(2)와 덮개(3)가 상호작용하여 이들이 자유롭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 구성(도 16 및 도 17)으로 주방기기(1)가 이행되게 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로 이행되게 하도록 상기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본 예에서 용기(2)에 대해 덮개(3)를 피봇동작시킴으로써 용기(2)에 대해 덮개(3)를 로킹 및 로킹해제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방기기(1)는 덮개(3)가 용기(2)에 대해 시계 방향(S1)으로 중심 축(X-X')을 중심으로 사전결정된 각도 행정에 걸쳐 회전되는 것에 의해 그 로킹 준비 구성으로부터 그 로킹 구성으로 진행하고, 덮개(3)가 중심 축(X-X')을 중심으로 상기 사전결정된 각도 행정에 걸쳐 반시계방향의 대향 방향(S2)으로 용기(2)에 대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그 로킹 구성으로부터 그 로킹 준비 구성으로 진행하며(도 3 및 도 17),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그 반대(이때, S1이 반시계방향이고, S2가 시계 방향임)도 당연히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조리 주방기기(1)의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각각 덮개(3) 및 용기(2)와 일체인 제1 및 제2 일련의 돌출부(7A-7J, 8A-8J)를 포함하며, 이 제1 및 제2 일련의 돌출부는 용기(2)에 대한 덮개(3)의 로킹 및 로킹해제를 위해 상기 사전결정된 각도 행정에 걸쳐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용기(2)에 대해 덮개(3)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서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자체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일련의 돌출부 각각의 돌출부(7A-7J, 8A-8J)는 쌍으로 협력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즉, 상기 일련의 돌출부 중 하나의 돌출부 각각은 용기(2)에 대해 덮개(3)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용기(2)에 대해 덮개(3)를 로킹하도록 다른 일련의 돌출부의 대응 돌출부 아래로 진입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덮개(3)와 일체인 제1 일련의 상기 돌출부(7A-7J)는 덮개(3)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돌출하고, 용기(2)와 일체인 제2 일련의 돌출부(8A-8J)는 용기(2)의 측부 벽(2B)의 외측 면으로부터 상기 용기(2)로부터 외향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하지만, 덮개 상의 로킹 돌출부(7A-7J)를 덮개(3)로부터 외향 돌출시키고 용기 돌출부(8A-8J)를 용기로부터 반경방향 내향 돌출시키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의 로킹 램프의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질적 요건은 덮개 돌출부(7A-7J)와 용기 돌출부(8A-8J)가 각각 덮개 램프와 용기 램프를 형성하고, 이 덮개 램프와 용기 램프는 용기(2)와 덮개(3)가 서로에 대해, 본 예에서는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서로 협력하여 덮개 램프가 용기 램프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용기(2)와 덮개(3) 사이에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고 이 기계적 결합은 조리 구역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덮개 돌출부(7A-7J) 각각은 덮개(3)의 케이싱을 형성하는, 더 정확하게는, 돌출부(7A-7J)가 선택적으로 규칙적 간격으로 바람직하게 그를 따라 배치되는 환형 밴드(3B)를 형성하는 재료의 국지적 3D 변형에 의해 얻어진 3차원(3D) 요소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돌출부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는 환형 밴드(3B)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환형 밴드로부터 돌출하며, 동시에 일 측부에는 볼록한 내측 면을 그리고 다른 측부에는 "부(negative)"로서 대향하는 오목 외측 면을 형성하는데, 이는 예컨대 성형 공구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다이 스탬핑 공구의 적용으로 인한 임프린트에 대응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특정 돌출부(7A-7J)의 구현, 특히,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다이 스탬핑에 의해 얻어진 돌출부에 절대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덮개(3)의 환형 밴드(3B)의 자유 연부(31B)의 국지적 내향 절첩에 의해 얻어진 평탄한 설상부에 의해 덮개 돌출부(7A-7J)가 형성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하지만, 3D 요소의 사용은 (다이 스탬핑 또는 일부 다른 기술에 의해) 단지 재료를 변형시킴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속성 및 작은 치수를 갖는 돌출부를 얻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한 작은 치수에 의해, 덮개(3) 및 용기(2)를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예컨대 30°미만인 각도에 걸쳐 서로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주방기기(1)가 로킹 준비 구성(로킹전 구성)으로부터 로킹 구성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데, 여기서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각도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그러한 각도는 30°이상이거나 반대로 30°보다 현저히 작은, 예컨대 10° 내지 25° 범위에 있는 각도일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용기 돌출부(8A-8J)는 자유 상부 연부(2C)로부터 그를 초과하여 외향 돌출하는 환형 림에 의해 형성되고, 절결부(9A-9J)가 상기 환형 림을 통해 상기 덮개 돌출부(7A-7J)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며, 그래서, 각 절결부(9A-9J)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기 환형 림의 부분이 덮개 램프를 형성하는 덮개 돌출부(7A-7J)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각각의 용기 램프를 형성한다. 따라서, 덮개(3)가 용기(2)의 상부 위에 피팅될 때, 덮개 돌출부(7A-7J)는 절결부(9A-9J)를 통과하여 환형 림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주방기기(1)는 그후 그 로킹전 구성("로킹 준비" 구성이라고도 지칭됨)에 있게 되고, 이 구성으로부터 단지 덮개(3)를 용기(2)에 대해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덮개(3)의 돌출부(7A-7J)와 환형 림의 절결부(9A-9J)가 각도방향으로 변위되어 "베이어닛 피팅" 유형의 로킹을 달성하게 하는 것에 의해 로킹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3D 요소 아래에서 환형 밴드(3B)가 용기(2)에 대해 덮개(3)를 자체 중심설정하기 위한 자체 중심설정 스커트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환형 밴드(3B)의 자유 제2 원형 연부(31B)로부터 약간 거리를 두고 덮개 돌출부(7A-7B)가 덮개(3)의 환형 밴드(3B) 상에 위치된다. 거의 연속적인(절결부(9A-9J) 제외), 그리고, 용기 램프를 형성하는 측부 림과 협력하여, 이 환형 스커트는 용기 상에 배치될 때 용기(2)에 대해 중심설정되는 방식으로 자연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덮개(3)가 위치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기기(1)는 덮개 서브어셈블리(도 4에 별도로 도시됨)를 포함하고, 이 덮개 서브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본 예에서는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로킹해제 구성 및 로킹 구성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상기 덮개가 피봇동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덮개(3)에 대해 본 예에서는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지지부(10)와 덮개(3)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그 사이에서 덮개(3)가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할 수 있는 상기 2개의 위치는 유리하게는 사전결정된 각도 행정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행정은 도 1에 도시된 로킹전 구성(로킹 준비 구성)으로부터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로킹 구성으로 주방기기(1)를 이동하게 하는데 요구되는 행정에 대응한다. 따라서, 덮개 서브어셈블리는 조리 구역을 형성하도록 (용기 손잡이(2D, 2E)에 의해 그리고 용기(2)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서브어셈블리와 연계되도록 설계되는 독립적인 단일 유닛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따라서, 덮개(3)가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된다. 덮개(3)와 지지부(10) 사이의 피봇 결합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지지부(10)는 가로대 형태, 즉, 덮개(3)에 걸쳐 직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그리고, 본 예에서, 각각의 강하 연부(10A, 10B)에 의해 그 단부 각각에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세장형인 부분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 해당 가로대는 예를 들어, 대체로 원형 형상인 더 큰 중심 영역(100)을 가지고, 이 중심 영역 양 측부 상에는 그 자체가 상기 강하 연부(10A, 10B) 중 각각의 하나에서 종결되는 제1 및 제2 아암(101, 102)이 연장된다. 중심 부분(100)은 유리하게는 중심 오리피스(100A)를 구비하고, 이 중심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덮개의 중심에서 덮개(3)에 체결되는 핀(30)이 연장하도록 설계되며, 이 핀 둘레에서 지지부(10)가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핀(30)은 상기 덮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하고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100A)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덮개(3)에 용접된다. 바람직하게, 핀(30)은 핀(30)을 중심으로 덮개(3)가 피봇동작할 수 있게 하면서 또한 덮개(3)에 대해 지지부(10)를 체결하기 위해 스크류(16)와 협력하도록 설계되는 탭핑된 오목부를 구비한다. 유리하게, 도 6에 도시된 가로대 형태의 부분에 추가로, 지지부(10)는 또한 판(17)을 포함하며, 이 판은 가로대의 중심 부분(100)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대체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부(10)에 대해 덮개(3)가 피봇동작하게 하기 위한 제어 기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설계된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덮개(3)의 상부 면과 상기 가로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판(17)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접시의 형태이고, 중심 오리피스(17A)를 구비하며, 이 중심 오리피스는 핀(30)이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수직 원통형 튜브를 거쳐 연장된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가로대는 본 예에서는 지지부(10)를 형성하는 상술한 가로대 서브어셈블리에 대해 덮개(3)가 피봇동작할 수 있게 하는, 스크류(16)와 핀(30) 사이의 결합에 의해 덮개(3) 상에 보유되는 단일 유닛 단일 부재 가로대 서브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판과 협력하기 위해 그 자체가 판(17)에 대해 영구적으로 체결되도록(예를 들어, 복수의 스크류에 의해) 설계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덮개(3)는 2개의 위치, 즉 (로킹에 대응하는) 제1 위치와 (로킹해제에 대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2개의 위치는 사전결정된 각도 행정만큼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는 안정적 위치/안정적인 위치들이다. 하지만,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가 불안정해지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며, 따라서 덮개(3)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면 언제나,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상기 나머지 위치로 다시 자동적으로 강제된다. 유리하게는,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는 접촉 위치/접촉 위치들이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방기기(1)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스터드(18)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안내 스터드(18, 19)를 구비하는데, 이 안내 스터드는 중심 축(X-X')을 중심으로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예를 들어, 상기 덮개(3)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본 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의 주연부에서 수직 상향 연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덮개에 용접됨으로써) 덮개(3)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안내 스터드(18, 19) 각각은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0)의 각 단부를 향해 지지부(10) 내에 제공된 상보적 세장형 안내 홈(18A, 19A) 내에서 활주하도록 설계된다. 각 홈(18A, 19A)의 길이는 본 예에서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각도 행정에 맞춰진다. 또한, 각 스터드(18, 19)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0)를 보유하고 그것이 덮개(3)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응 홈(18A, 19A)의 연부와 협력하는 더 큰 단면의 헤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용기(2)는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로킹해제 구성에서 로킹 구성이 되게 하기 위해 덮개(3)를 피봇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이 용기(2)에 대해 덮개(3)를 로킹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예컨대, 도 1 및 도 3에 도시됨)로 합체되도록 설계된다. 즉, 덮개 조립체가 로킹해제 구성일 때, 상기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에 대응하는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용기(2) 상에 도킹되어 있는 지지부(10)가 덮개 램프(7A-7J)로 하여금 상기 용기 램프를 분리하는 노치(9A-9J)를 통해 용기 램프(8A-8J) 아래로 진행하게 하고 이후 서브어셈블리가 준비 위치에서 용기(2)의 상부 위에 피팅되는 방식으로 덮개(3) 및 지지부(10)는 서로에 대해 위치 설정되는데, 상기 준비 위치로부터 용기(2)에 대해 덮개(3)를 로킹하기 위해 용기(2)에 대해 덮개(3)를 피봇동작시키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용기(2)는 도 1에 도시된 로킹전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되면, 이는 용기(2)에 대해 지지부(10)를 정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용기 램프 하에서 용기 램프(8A-8J)와 덮개 램프(7A-7J)를 일치시키기 위해 상술된 사전결정된 각도 행정에 걸쳐 덮개(3)를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게 하는 것이 충분한데, 이로 인해 덮개(3)를 용기(2)에 대해 로킹한다.
또한, 주방기기(1)는 로킹/로킹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11)를 포함하는데, 본 예에서는 상기 제어 부재는, 사용자가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제어 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어서, 유리하게는 제어 부재(11)에 대한 수동 동작에 의해 덮개 하부에셈블리가 로킹 구성에서 로킹해제 구성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하게 하여, 주방기기(1)가 로킹전 구성(도 1에 도시된 "로킹 준비" 구성으로도 지칭됨)에서 로킹 구성(도 16에 도시됨)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제어 부재(11)는 로킹 위치(도 16)와 로킹해제 위치(도 1)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되는 방식으로 본 예에서는 영구적으로 지지부(10)에 부착된다. 즉, 제어 부재(11)는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 부재(11)를 지지부(10)에 대해 로킹해제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한 이동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지지부(10)에 영구적으로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기기(1)는 또한 제어 부재(11)의 상기 이동을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피봇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를 포함하여, 제어 부재(11)의 상기 로킹 및 로킹해제 위치는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상기 로킹 및 로킹해제 구성에 각각 대응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부재(11)를 지지부(10)에 대해 그 로킹해제 위치로에서 그 로킹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수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덮개 조립체가 그 로킹해제 구성에서 그 로킹 구성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도 5, 도 9 내지 도 13, 도 18, 도 20 및 도 21에서 볼 수 있는 변환 장치는 지지부(10)에 대한 제어 부재(11)의 이동을 본 예에서 상기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한 상기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회전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되어, 사용자는 덮개 램프가 용기 램프 아래 배치된 상태에서 덮개(3)가 용기(2) 상에 장착되었을 때 단지 제어 부재(11)를 조작함으로써 덮개(3)가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게 하여 로킹/로킹해제가 발생되게 할 수 있다. 당연히, 상술된 변환 장치는 지지부(10)에 대한 제어 부재(11)의 이동 유형의 기능에 따라 설계되며, 임의의 요구되는 구동 구성요소(치형 휠, 캠, 레버, 연결 로드 등)를 구현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어 부재(11)가 그 로킹 위치로부터 그 로킹해제 위치로(또는 그 반대로) 이동될 때 지지부(10)가 용기(2)에 대해(본 예에서는 상기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피봇동작을 할 수 있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용기(2)가 상기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될 때면 언제나 지지부(10) 및 용기(2)는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킹전 배열)로 합체된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용기(2)는 지지부(10) 및 용기(2)가 상호로킹되게 하여, 본 예에서는 용기(2) 상에 또한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부(10)가 중심 축(X-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용기(2)의 그리고 지지부(10)의 상대 각도 위치의 로킹은 지지부(10)가 고정 구조로서 작용하게 하는데, 상기 고정 구조는 용기(2)에 대해 고정적이며, 이에 대해 덮개(3)는 로킹해제 상태(도 1에 도시됨)에서 로킹 상태(도 16에 도시됨)로 이동하도록 사전결정된 각도 행정에 걸쳐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용기(2)는, 로킹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용기(2)가 조리 구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될 때(도 1), 인터피팅 결합에 의해 협력하도록 설계되고 서로 상보적인 각각의 지지부 성형 부분(12, 13) 및 용기 성형 부분(14, 15)을 구비한다. 상기 상보적 지지부 성형 부분(12, 13) 및 용기 성형 부분(14, 15)의 인터피팅 결합은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직교하는 수평 평면에서 용기(2)의 그리고 지지부(10)의 상대적 각도 위치를 로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2)는 용기(2)의 측부 벽(2B)의 외측 면에 체결되고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2개의 용기 성형 부분(14, 15)을 구비하고, 지지부(10)는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덮개(3) 상에서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2개의 상보적 성형 부분(12, 13)을 구비하는데, 상기 지지부 성형 부분(12, 13)는 본 예에서 덮개(3)의 환형 밴드(3B)의 외측 면과 대면하여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용기(2)가 각각 단일 지지부 성형 부분 및 단일 용기 성형 부분을 구비하는 것, 또는 인터피팅 결합에 의해 협력하도록 설계된 개별 지지부 및 용기 성형 부분을 갖기보다는 용기(2)의 그리고 지지부(10)의 상대 각도 위치를 로킹하기에 충분한 (마찰, 클립핑, 맞물림, 자기 인력에 의한) 힘 협력 구현에 기초하여 일부 다른 유형의 인터로킹 요소를 지지부(10) 및 용기(2)가 구비하는 것이 당연히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용기 성형 부분(14, 15)은 수형 요소를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부 성형 부분(12, 13)은 상기 수형 요소에 상보적인 암형 요소를 형성하며, 유리하게는 상기 수형 요소는 지지부(10) 및 용기(2)가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을 구축하도록 상기 암형 요소 내에 삽입되게 설계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각각의 용기 성형 부분(14, 15)이 암형 요소를 형성하고 각각의 지지부 성형 부분(12, 13)이 수형 요소를 형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용기 성형 부분(14, 15)은 상기 용기 손잡이(2D, 2E)에 의해 보유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2)의 측부 벽(2B)에 영구적으로 체결된 각 용기 손잡이(2D, 2E)는 예컨대 수형 요소를 형성하는 리브 형태인 개별 용기 성형 부분(14, 15)을 통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지지부(10)는 유리하게는 가로대 형태이며, 상기 가로대는 (피봇 결합을 통해 상기 덮개에 연결된 상태에서) 덮개(3) 위로 연장하고, 개별 수직 강하 연부(10A, 10B)에 의해 그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개별 수직 강하 연부는 덮개(3)를 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고 환형 밴드(3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밴드 외측으로 연장한다. 유리하게는, 노치가 바람직하게는 수형 요소를 형성하는 리브에 상보적인 수형 요소를 형성하도록 지지부(10)의 상기 강하 연부(10A, 10B)의 각각의 자유 저부 연부에 제공된다. 상기 강하 연부(10A, 10B)의 각각은, 로킹해제 구성의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와 상기 용기(2)를 상기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기 위해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사용자에 의해 용기(2) 상에 장착될 때 용기(2)에 대해 그 하향 수직 경로 상에서 덮개(3)를 안내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손잡이(2D, 2E)와 용기(2) 사이에 제공된 상보적 형상의 오목부 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 부재(11)는 그것을 통해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조작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성형된다. 즉, 제어 부재(11)는 예컨대 용기(2) 상에 그것을 장착할 의도로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운반 및 상승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한 손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설계된 파지가능 수단을 형성하게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부재(11)는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파지하는데 이용 가능한 상기 유일한 파지가능 부재를 형성하는데, 즉 주방기기(1)는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파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파지가능 부재를 구비하는데, 상기 파지가능 부재는 제어 부재(11)에 의해 단독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 부재(11)는 2개의 기능, 즉 예컨대 용기(2) 상에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장착할 의도로 또는 반대로 용기(2)로부터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분리할 의도로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들어올리고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 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파지할 수 있게 하는 파지가능 부재 기능, 및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피봇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로킹/로킹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부재(11)를 통한,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중량을 극복하는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임의의 수동 들어올림이 제어 부재(11)로 하여금 덮개 조립체의 중량의 영향 하에서 그 로킹해제 위치로 다시 강제되게 하도록, 제어 부재(11)는 상기 지지부(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 부재(11)를 지지부(10)에 연결하는 기계적 결합은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중량에 반응하여 제어 부재(11) 상에 반력이 가해질 때 제어 부재(11)가 자발적으로 그 로킹해제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로킹해제 위치에서 유지되게 하도록 설계된다. 이 기술적 특징에 의해, 덮개 서브어셈블리는, 제어 부재가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가능 손잡이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제어 부재(11)를 통해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들어올릴 때 그 로킹해제 구성으로 다시 강제되고 그 로킹해제 구성에서 자연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지부 성형 부분(12, 13) 및 용기 성형 부분(14, 15)이 상호 협력하게 하는 상태에서 용기(2) 상에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장착할 때, 덮게 서브어셈블리는 자연스럽게 그리고 자발적으로 로킹해제 구성이 되고, 이는 도 1에 도시된 로킹전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에 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제어 부재(11)와 지지부(10) 사이의 기계적 결합은 단지, 제어 부재(11)를 통해 그 중량을 극복하고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들어올림으로써 제어 부재(11)가 그 로킹 위치에서 그 로킹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제어 부재(11)를 통해 그 중량을 극복하면서 들어올려진 상태로 유지되는 한 그 로킹해제 위치에서 제어 부재(11)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당연하게, 제어 부재(11)을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중량 영향 하에서 그 로킹해제 위치로 다시 강제하기 위한 소정의 복귀 기능을 얻기 위해, 제어 부재(11)를 지지부(10)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이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제어 부재(11)를 지지부(10)에 연결하는 기계적 결합은 지지부(10)에 대한 제어 부재(11)의 수동 이동이 적어도 (i) 반경방향과 같이 중심 수직 축(X-X')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Y-Y')을 중심으로 한 제어 부재(11)의 회전 이동에 의해 및/또는 적어도 (ii)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평행한 수직 평면 내에서의 제어 부재(11)의 병진 이동에 의해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상술된 2개의 양호한 가능성 (i) 및 (ii)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에서와 같이 제어 부재(11)의 수동 이동을 구현하는 것은, 주방기기(1)가 로킹전 구성(지지부(10) 및 용기(2)가 용기(2)의 그리고 지지부(10)의 상대적 각도 위치를 로킹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상태에서 제어 부재(11)가 지지부(10)에 대해 수동으로 이동될 때 축(X-X')을 중심으로 적절하지 않은 시기에 용기(2)가 회전 구동되는 임의의 위험을 예방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지 제어 부재(11)를 조작함으로써 한 손만을 이용하여 용기(2)에 대해 덮개(3)를 로킹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때에 특히 용기(2)와 덮개(3)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환형 밀봉 개스킷으로 인해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마찰 효과에 무관하게, 다른 손으로 용기(2)를 고정적으로 보유할 필요가 없다. 또한, 2개의 상술된 양호한 가능성 (i) 및 (ii)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에서와 같이 제어 부재(11)의 이동을 구현하는 것은 제어 부재(11)가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중량 영향 하에서 그 로킹해제 위치로 다시 강제되게 하는 복귀를 얻는 데 특히 도움이 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어 부재(11)는, 상기 제어 부재(11)을 그 로킹해제 위치로부터 그 로킹 위치로(및 그 반대로) 이동시키는 것이 적어도 중심 수직 축(X-X')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평행한 회전 축(Y-Y')을 중심으로 하는 제어 부재(11)의 회전 이동에 의해 및/또는 적어도 제어 부재(11)의 병진 이동에 의해 형성되도록 지지부(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제어 부재(11)는 단지 중심 수직 축(X-X')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심 수직 축(X-X')과 교차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장착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 부재(11)는 지지부(10)에 대해 병진 이동하도록,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활주하도록(바람직하게는 중심 수직 축(X-X')과 일치하는 활주 축을 따라) 또는 사실 회전 이동과 병진 이동을 조합하는 기계적 결합을 통해 지지부(10)에 연결되도록(예를 들어, 축(X-X')의 헬리컬 결합)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부재(11)는 따라서 손잡이 또는 노브, 레버, 제어 스틱, 루프형 손잡이 또는 다른 유형 및/또는 활주가능하게 장착된 요소, 예컨대, 푸시 버튼, 슬라이더 등의 회전 요소 형태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11)는, 중심 수직 축(X-X')에 직교하고 상기 중심 수직 축과 교차하는 반경방향 피봇 축(Y-Y')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된다. 반경방향 축(Y-Y')을 중심으로 한 피봇동작을 위한 이러한 피봇 결합은 제어 부재(11)로 하여금,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피봇 축(X-X')에 직교하는 축(Y-Y')을 중심으로 한, 단지 회전 이동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으로 지지부(10)에 대해 이동하게 하여, 용기(2)의 시기 적절하지 않은 회전 이동을 예방한다. 이러한 회전 이동은 또한 특히 인체공학적이며 직관적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회전 이동은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중량 영향 하에서 그 로킹해제 위치로 제어 부재(11)를 다시 강제하기 위한 소정의 복귀 기능을 얻는데 특히 유리하다.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중량에 반하여 제어 부재(11)에 가해지는 유지 및 보유력의 영향 하에서, 제어 부재(11)는 당연히 제어 부재가 다시 중심 수직 축(X-X')을 교차하는 평형 수직 위치일 때가지 피봇동작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에서, 각 용기 손잡이(2D, 2E)는 지지부(10)와 제어 부재(11)를 상호연결하는 상기 피봇 결합의 상기 반경방향 축(Y-Y')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반경방향으로 상기 용기(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용기 손잡이(2D, 2E)가 지지부(10)에 대해 제어 부재(11)의 회전 축(Y-Y')과 정렬되는 이러한 구성은 특히 실용적이며 인체공학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지지부(10)와 제어 부재(11) 사이의 기계적 결합이, 상기 용기 손잡이(2D, 2E)가 연장하는 반경방향 및 중심 수직 축(X-X') 양자 모두에 대해 직교하는 반경방향 축의 피봇 결합이 되는 것이 당연히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변환 장치는 제1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α)보다 큰 제2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β)을 갖는 행정에 걸쳐 상기 반경방향 축(Y-Y')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는 상기 제어 부재(11)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α)에 걸쳐 상기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덮개(3)를 구동하게 설계된 기어 기구를 포함한다. 예로서, 제어 부재(11)는 상승 위치(로킹해제에 대응)와 절첩 위치(로킹에 대응) 사이에서 상기 반경방향 축(Y-Y')을 중심으로 피봇동작하도록 설계되며, 상승 위치와 하강된 위치는 약 90°의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β)을 갖는 행정만큼 분리되어 있고, 제어 부재(11)가 약 90°의 각도를 통해 지지부(10)에 대해 이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덮개(3)는 약 15°의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α)을 갖는 행정에 걸쳐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한다. 따라서, 그러한 기어 기구는 로킹 및 로킹해제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 부재(11)의 위치들을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과, 조리 주방기기(1)를 그 로킹 준비 구성에서 그 로킹 구성이 되게 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당연히, 그러한 기어 효과를 얻기 위한 다수의 기술적 가능성이 존재하며,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한 기어 기구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기어 기구를 갖는 것에 전혀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요구되는 기능 및 인체공학에 따라, 변환 장치가 제1 및 제2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α, β)을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반대로 제2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β)을 제1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α) 미만이 되게 하는 것이 당연히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는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직교하는 수평 평면에서 병진 이동하도록 장착된 전달 부분(20)을 포함한다. 전달 부분(20)은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판(17) 위에 피팅되는 중심 부분(100)과 판(17) 사이에 제공된 하우징 내측에서 지지부(10)에 대해 활주하도록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는 지지부(10)에 대한 제어 부재(11)의 피봇 이동을 상기 지지부(10)에 대한 상기 변환 부품(20)의 병진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예로서, 관련 변환 기구는 제어 부재(11)와 일체이거나 그에 고정되어 있는 캠(110, 111)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캠(110, 111)은 스터드를 구비하고, 이 스터드는 제어 부재(11)의 피봇동작이 캠(110, 111)의 동시적 피봇동작을 유발하고, 이 캠이 그후 중심 수직 축(X-X')에 직교하는 수평 평면에서 전달 부분(20)을 뒤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전달 부분(20)에 제공된 대응 오목부 내에 수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캠을 갖는 이동 변환 기구에 절대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다른 공지된 이동 변환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당연히 가능하다. 예컨대, 대안으로서, 제어 부재(11)의 피봇동작을 전달 부분(20)의 병진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구는 제어 부재(11)과 일체이거나 그에 고정된 치형 링 섹터와, 전달 부분(20)과 일체이거나 그에 고정된 직선형 래크 사이의 협력에 기초한 맞물림 기구에 존재할 수 있다. 당연히, (예컨대, 연결 로드, 웜 스크루, 치형 휠 메싱(toothed-wheel meshing) 등을 갖는) 다른 기구가 가능하다. 유리하게,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환 장치는 중심을 벗어난 수직 축(Z-Z')을 중심으로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 레버(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심을 벗어난 수직 축은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고정적이고,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대해 평행하며 상기 중심 수직 축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레버(21)는 덮개(3)에 힌지결합된 제1 단부(21A)와 상기 제어 부재(11) 또는 전달 부분(예컨대, 예를 들어, 상술한 전달 부분(20))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된 제2 단부(21B)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전달 부분은 변환 장치의 일부이고,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 부재(11)에 의해 지지부(10)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수평 레버(21)는 지지부(10)와 수평 레버(21) 사이에 피봇 결합 축(Z-Z')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지지부(10)와 일체이거나 지지부에 고정된, 그리고, 예로서, 판(17)과 일체로 형성된 핀(22)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오목부(예를 들어, 관통 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됨)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 레버(21)는 상기 제1 단부(21A)와 상기 제2 단부(21B) 사이에 배치된 피봇점에서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되며, 그래서, 중심을 벗어난 수직 축(Z-Z')이 제1 단부(21A) 및 제2 단부(21B) 양자 모두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는 수평 레버(21)의 영역을 거쳐 지나간다. 덮개(3)에 대한 제1 단부(21A)의 힌지결합은 예로서 제1 페그(210A)에 의해 달성되며, 이 제1 페그는 덮개(3)와 일체이거나 그에 고정되고, 예로서, 상기 덮개로부터 수직 상향 연장하는 방식으로 상기 덮개(3)의 외측 면에 용접된다. 상기 페그(210A)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페그(210A)가 관련 제1 홈(211A) 내에서 활주 및 회전 양자 모두가 가능한 방식으로 수평 레버(21)의 제1 단부(21A)에 제공된 제1 대응 홈(211A) 내에 수용된다. 또한, 변환 장치는 유리하게는 본 예에서 전달 부분(20)과 일체이거나 그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내부에 통합되어 있는 제2 페그(21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페그(210B)는 유리하게는 상기 제2 페그(210B)가 관련 제2 홈(211B) 내에서 활주 및 피봇동작 양자 모두가 가능한 방식으로 수평 레버(21)의 제2 단부(21B)에 제공된 상보적 제2 홈(211B) 내에 수용된다. 유리하게, 수평 레버(21)는 일반적으로 낫 형상이며, 제1 단부(21A)로부터 중심을 벗어난 수직 축(Z-Z')이 통과하는 회전 지점으로 연장하는 실질적 직선형 아암을 구비하고, 그후, 제2 단부(21B)까지 아치형 부분이 연장된다. 수평 평면 내에서 전달 부분(20)의 직선형 병진 이동은 중심을 벗어난 수직 축(Z-Z')을 중심으로 한 레버(21)의 회전 이동으로 변환되고, 이 회전 이동은 자체적으로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한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이동으로 변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이동 변환 기구에 절대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도시된 레버 시스템 대신에 연결 로드, 캠 또는 맞물림 상호결합부를 구비하는 시스템 또는 임의의 다른 공지된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피봇식으로 장착된 제어 부재(11)를 구현하는 대신에, 활주식으로 장착된 제어 부재(11)를 구현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부재(11)는 각각 로킹 및 로킹해제에 대응하는 2개의 양호사게 안정적인 접촉 위치 사이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도록 수동 작동되게 설계된 루프형 손잡이(11A)를 포함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11)는 따라서 아치형 부분의 형태, 루프 또는 활의 형태이고, 유리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를 파지하기 위해 전체 손을 사용하여 견고히 파지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어 부재(11)를 형성하기 위한 루프형 손잡이를 구현하는데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어 부재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거나 또는 T 형상 또는 L 형상 프로파일, 둥근 노브 형상 등을 갖는 레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 부재를 통해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제어 부재(11)는 유리하게는 로킹 방향 및 대향하는 로킹해제 방향 모두로 지지부(10)에 대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회전 및/또는 병진이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리 주방기기(1)는 사용자가 덮개(3)가 시계방향(S1) 및 시계반대방향(S2) 양자 모두로 지지부(10)에 대해 피봇하게 할 수 있는 단일 제어 부재(11)를 갖는다. 이 경우, 상술된 이동 변환 장치는 로킹 방향 및 로킹해제 방향 각각에 있어서 제어 부재(11)의 수동 이동을 각각의 대향 회전 방향으로 상기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하는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피봇동작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부재(11)는 우선, 상기 로킹해제 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 부재(11)가 수직방향으로 돌출하고 본 예에서는 덮개(3)와 정합하여 외향 돌출하는 전개 위치(도 1)와 두 번째로 상기 로킹 위치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 부재(11)가 덮개(3)를 향해 하강되어 있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된다. 그 전개 위치에서, 제어 부재(11)는 유리하게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균 방향으로 연장하지만, 그 후퇴 위치에서, 제어 부재는 유리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균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11)는 따라서 후퇴 가능하며, 이는 제어 부재가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그것이 담겨지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부재(11)는 전개 위치에 있을 때보다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손으로 파지하기가 더 곤란하며, 그에 따라 조리 주방기기(1)를 들어올리고 조작하는 데 제어 부재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 부재(11)를 잡는 가능성을 제한하는데, 이는 위험할 수 있다. 제어 부재(11)가 루프형 손잡이(11A)에 의해 형성될 때, 덮개(3)는 유리하게는 그 표면에 릴리프(23)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릴리프의 형상은 상기 루프형 손잡이(11A)에 의해 경계 결정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빈 공간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이다. 즉, 릴리프(23)는 상기 손잡이가 덮개(3)에 대해 절첩될 때 루프형 손잡이(11A)에 의해 경계가 결정되는 내부 빈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루프형 손잡이(11A)가 덮개(3)에 대해 그에 대해 평행하도록 완전히 절첩될 때(후퇴 위치의 제어 부재(11)), 유리하게는 릴리프(23)와 연속된 상태로 연장하여, 조리 주방기기(1)를 조작(즉, 들어올림, 운반 등)하기 위해 사용자가 루프형 손잡이(11A)를 잡을 가능성을 제한한다. 즉, 유리하게는 제어 부재(11)는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만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제어 부재를 통해 파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될 수 있게 설계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방기기(1)는 덮개(3)가 파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파지가능 부재를 포함하는데, 상기 파지가능 부재는 덮개(3)가 그를 통해 조작 및 운반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덮개(3)에 부착되며, 해당하는 상기 파지가능 부재는 전개 위치의 제어 부재(11)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조리 구역 내에 존재하는 압력 수준의 영향하에서, 상술된 개방 안전 수단(5)은 덮개(3)가 용기(2)에 대해 로킹해제되도록 허용하는 해제 구성과, 덮개(3)가 용기(2)에 대해 로킹해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안전 수단(5)은 이동 요소(5A)를 포함하는데, 상기 이동 요소는, 덮개(3) 상에서 활주하도록 그리고 본 예에서는 덮개(3)가 지지부(10)에 대한 피봇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10)에 의해 보유되는 상보적 차단 요소(5B)와 협력할 수 있는 (접촉 위치인) 상위 위치와, 상기 상보적 요소(5B)와 간섭하지 않아서 덮개(3)가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역시 접촉 위치인) 하위 위치 사이에서 중심 수직 축(X-X')에 평행한 활주 방향으로 수직하게 활주하도록 장착된다.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요소(5A)는 유리하게는 덮개(3)를 통해 제공되는 누설 오리피스에 맞대기 접합된(butt-bonded) 튜브 내측에서 수직으로 활주하도록 설계된 핑거부에 의해 형성되어, 그 상위 위치에서 핑거부는 누설 오리피스를 밀폐 폐쇄하게 되는 반면에, 핑거부가 하위 위치에 있을 때, 스팀은 해당 오리피스를 통해 누설될 수 있다. 상보적 요소(5B)는 바람직하게는 정지 표면(50B) 및 관통 오리피스(51B)를 갖는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덮개가 지지부(10)에 대해 로킹해제된 위치에 있는 한, 차단 표면(50B)은 이동 요소(5A)와 정합하여 상기 이동 요소가 활주하는 경로 내에 존재함으로써 그것이 상위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조리 구역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소통을 유지하여, 상기 구역 내에 임의의 상당한 압력 축적을 방지한다. 반대로, 덮개(3)가 그 로킹 위치에 도달할 때, 상술된 사전결정된 각도 행정에 걸친 지지부(10)에 대한 피봇동작에 의해, 이후 이동 요소(5A)는 개방부(51B)와 정합 상태가 되고, 이는 조리 구역 내측에 축적된 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구동력의 영향하에서 이동 요소(5A)가 그 밀봉 상위 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상위 위치에 있을 때, 이동 요소(5A)는 오리피스(51B)의 에지에 의해 둘러싸여서, 로킹해제 방향으로의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어떠한 피봇동작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조리 주방기기(1)의 동작을 간단하게 후술한다. 사용자는 우선 도 2에 도시된 용기(2)에 조리용 식품을 채우고, 선택적으로 그 내부에 간극을 갖는 조리 배스킷 내에서 용기(2)의 저부로부터 소정 거리에 식품을 배치한다. 사용자는 그후, 루프형 손잡이(11A)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파지하여, 상기 용기를 폐쇄하도록 용기(2) 상에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장착할 의도로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들어올린다. 덮개(3)의 그리고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요소 요소의 중량 영향하에서, 루프형 손잡이(11A)는 전개된 수직 위치로 복귀되고, 그 위치에서 유지되어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자발적으로 로킹해제 구성으로 다시 강제되어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의 상기 용기(2) 및 로킹해제 구성의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합체하는 방식으로, 용기(2) 상에서 로킹해제 구성으로 자연적으로 유지될 때 덮개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한 운반 손잡이로서 루프형 손잡이(11A)를 사용하는데, 이는 인터피팅 결합 상태인 지지부 성형 부분(12, 13) 및 용기 성형 부분(14, 15)에 대응한다. 따라서, 압력 조리기(1)는 덮개 램프(7A-7J)가 용기 램프(8A-8J)보다 낮고 상기 용기 램프에 대해 각도 오프셋되는 로킹 준비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히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접촉 절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루프형 손잡이(11A)를 약 90°의 각도 행정(β)에 걸쳐 절첩한다. 그 전개 위치로부터 그 절첩 위치로의 루프형 손잡이(11A)의 이러한 수동 이동은 동시에 덮개(3)가 지지부(10)에 대해 약 15°의 각도(α)를 통해 피봇동작하게 하며, 그에 의해, 덮개 램프(7A-7J)가 압력이 축적될 수 있게 하는 로킹 구성으로 용기 램프(8A-8J) 아래의 대응관계로 이동하게 한다. 조리 사이클의 종료시, 그리고, 구역 내측에 존재하는 압력이 사전결정된 안전 수준으로 떨어지고 나면, 사용자는 덮개(3)를 반대 방향으로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시키기 위해 루프형 손잡이(11A)를 상승시키기만 하면되며, 그에 의해, 용기 램프가 덮개 램프로부터 분리되어 덮개(3)가 용기(2)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Claims (16)

  1. 용기(2), 덮개(3) 및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을 포함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에 있어서,
    상기 조리 주방기기(1)는 덮개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덮개(3) 및 상기 덮개(3)에 부착되는 지지부(10) 양자 모두를,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로킹해제 구성 및 로킹 구성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덮개가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포함하고, 로킹해제 구성의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용기(2)는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그 로킹해제 구성에서 그 로킹 구성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해 덮개(3)를 피봇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어닛 피팅 로킹 시스템이 용기(2)에 덮개(3)를 로킹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되게 설계되고, 상기 조리 주방기기(1)는 로킹/로킹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1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로킹 위치와 로킹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10)에 부착되고, 상기 조리 주방기기(1)는 상기 로킹 및 로킹해제 위치가 상기 로킹 및 로킹해제 구성에 대해 각각 대응하도록 지지부(10)에 대한 덮개(3)의 피봇동작으로 제어 부재(11)의 이동을 변환하기 위한 변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제어 부재를 통해 조작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제어 부재(11)를 통해,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중량을 극복하고 손으로 들어올려진 상기 덮개 서브어셈블리가 제어 부재(11)를 덮개 서브어셈블리의 상기 중량의 영향 하에서 다시 로킹해제 위치로 강제되게 하도록, 상기 제어 부재(11)는 지지부(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용기(2)는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 및 용기(2)가 상기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될 때면 언제나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제어 부재(11)가 그 로킹해제 및 로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지지부(10)가 용기(2)에 대해 피봇동작할 수 있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용기(2)는, 상호 보완적이며 로킹해제 구성의 덮개 서브어셈블리와 용기(2)가 상기 사전결정된 상대적 배열로 합체될 때 인터피팅 결합에 의해 협력하도록 설계되는 지지부 성형 부분(12, 13) 및 용기 성형 부분(14, 15)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인터피팅 결합은 수평 평면에서 지지부(10) 및 용기(2)의 상대적 각도 위치를 로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용기(2)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기 손잡이(2D, 2E)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성형 부분(14, 15)은 상기 용기 손잡이(2D, 2E)에 의해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용기 성형 부분(14, 15)은 수형 요소를 형성하는 반면에, 각각의 지지부 성형 부분(12, 13)은 상기 수형 요소에 상보적인 암형 요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주방기기(1) 내에 존재하는 압력 수준의 영향하에서, 덮개(3)가 용기(2)에 대해 로킹해제된 상태가 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구성과, 덮개(3)가 용기(2)에 대해 로킹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에 적합한 개방 안전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수단(5)은, 덮개(3)가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10)에 의해 보유되는 상보적 차단 요소(5B)와 협력할 수 있는 상위 위치와, 상기 상보적 차단 요소와 간섭하지 않아서 덮개(3)가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위 위치 사이에서 덮개(3) 상에 활주하도록 장착되는 이동 요소(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는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어 부재(11)는 그 로킹해제 및 로킹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제어 부재의 이동이 적어도 중심 수직 축(X-X')과 교차하는 방향에 평행한 반경방향 피봇 축(Y-Y')을 중심으로 한 제어 부재(11)의 회전 이동에 의해, 및/또는 적어도 제어 부재(11)의 병진 이동에 의해 형성되도록, 지지부(1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11)는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직교하는 반경방향 피봇 축(Y-Y')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손잡이(2D, 2E)는 상기 반경방향 피봇 축(Y-Y')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반경방향으로 상기 용기(2)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는 제2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β)을 갖는 행정에 걸쳐 상기 반경방향 피봇 축(Y-Y')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상기 제어 부재(11)에 응답하여 제1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α)을 갖는 행정에 걸쳐 상기 중심 수직 축(X-X')을 중심으로 덮개(3)를 회전 구동하게 설계되는 기어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은 상기 제1 사전결정된 각도 진폭(α)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직교하는 수평 평면 내에서 병진 이동하도록 장착된 전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지지부(10)에 대한 제어 부재(11)의 피봇동작을 상기 지지부(10)에 대한 상기 전달 부분(20)의 병진 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지지부(10)에 대해 고정적이고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평행이고 상기 중심 수직 축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에 위치되는 편심 수직 축(Z-Z')을 중심으로 지지부(10)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레버(21)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레버(21)는, 덮개(3)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단부(21A)와, 상기 제어 부재(11)에 힌지 결합되거나, 또는 변환 장치의 일부이며 상기 제어 부재(11)에 의해서 지지부(10)에 대해 이동하게 되는 전달 부분(20)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단부(21B)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11)는 우선, 상기 로킹해제 위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부재(11)가 수직으로 돌출하는 전개 위치와, 두 번째로 상기 로킹 위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부재(11)가 덮개(3)를 향해 하강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해 피봇동작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14. 제13항에 있어서,
    덮개(3)를 파지되게 하기 위한 파지가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가능 부재는 덮개(3)에 부착되고 손으로 파지하도록 설계되어, 덮개(3)가 파지가능 부재를 통해 조작 및 운반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파지가능 부재는 전개 위치의 상기 제어 부재(11)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15. 제13항에 있어서,
    전개 위치에서,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균 방향으로 연장하는 반면에, 후퇴 위치에서는 상기 중심 수직 축(X-X')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균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11)는 루프형 손잡이(1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하에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주방기기(1).
KR1020160067970A 2015-06-02 2016-06-01 제어 부재를 구비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 KR102467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4999 2015-06-02
FR1554999A FR3036935B1 (fr) 2015-06-02 2015-06-02 Autocuiseur a baionnette pourvu d'un organe de comma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243A KR20160142243A (ko) 2016-12-12
KR102467231B1 true KR102467231B1 (ko) 2022-11-16

Family

ID=5400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970A KR102467231B1 (ko) 2015-06-02 2016-06-01 제어 부재를 구비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076206B2 (ko)
EP (1) EP3100653B1 (ko)
JP (1) JP6678519B2 (ko)
KR (1) KR102467231B1 (ko)
CN (2) CN106213982B (ko)
BR (1) BR102016012429B1 (ko)
ES (1) ES2668990T3 (ko)
FR (1) FR3036935B1 (ko)
MX (1) MX2016007106A (ko)
PL (1) PL3100653T3 (ko)
PT (1) PT3100653T (ko)
SA (1) SA116370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6935B1 (fr) * 2015-06-02 2017-07-14 Seb Sa Autocuiseur a baionnette pourvu d'un organe de commande
US20180153329A1 (en) * 2016-12-01 2018-06-07 Dov Z. Glucksman Pressure cooking appliance
EP3589177A1 (en) * 2017-03-02 2020-01-08 Living Innovations Cooking vessel having lid with integrated opening for pouring off cooking liquid
EP3624654A1 (en) 2017-08-09 2020-03-2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08420331A (zh) * 2018-05-21 2018-08-21 广东万事泰电器有限公司 一种通过出粉重量进行驱动的磨豆机
USD914436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with food preparation pot
FR3082717B1 (fr) 2018-06-26 2020-07-03 Seb S.A. Autocuiseur muni d'une butee pour couvercle
CN108820610A (zh) * 2018-08-03 2018-11-16 青岛中集环境保护设备有限公司 一种环卫车的水罐密封盖结构、使用方法以及环卫车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CN110870683A (zh) * 2018-08-31 2020-03-10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CN110338641B (zh) * 2019-07-26 2021-09-10 九阳股份有限公司 用于蒸汽加热的烹饪锅具及蒸汽加热式烹饪器具
EP3884822B1 (de) * 2020-03-26 2023-11-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ystem mit küchenmaschine und haushaltsrührgerät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3491437B (zh) * 2020-04-08 2022-06-1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电压力锅
CN217390487U (zh) * 2022-05-07 2022-09-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锅盖组件及烹饪器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69839Y (zh) 2001-03-30 2002-01-09 简伟文 多功能电热锅
CN102349791A (zh) 2011-10-12 2012-02-15 中山市雅乐思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侧翻盖压力锅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0703A (en) 1946-05-18 1952-06-17 Speed Meal Corp Pressure cooker
CH298375A (de) 1948-11-26 1954-04-30 Keller Max Druckkocher.
GB657982A (en) 1949-04-29 1951-10-03 Midland Metal Spinning Company Pressure cookers
US2583085A (en) * 1949-09-21 1952-01-22 John F Campbell Flexible sleeve type vulcanizing apparatus for v belts and the like
US3876385A (en) * 1972-07-31 1975-04-08 Johns Manville Fail-safe system for operating an autoclave door
CH571335A5 (en) 1972-11-28 1976-01-15 Tanner Willy Pressure cooker with bayonet type lid fixing - prevents excessive pressure by allowing local deflection of sealing ring
BR8601076A (pt) 1986-03-13 1987-10-27 Alcan Brasil Recipiente para preparacao de conservas de alimentos
KR0128775Y1 (ko) * 1995-12-07 1998-10-15 문무영 전기압력솥의 압력뚜껑 자동 개폐로크장치
FR2783687B1 (fr) * 1998-09-28 2000-11-17 Seb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d'un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a fermeture a baionnettes
CN2389593Y (zh) 1999-09-09 2000-08-02 周赛方 压力锅
US6019029A (en) * 1999-09-09 2000-02-01 Chiaphua Industries Limited Pressure cooker
FR2802400B1 (fr) 1999-12-15 2002-07-12 Seb Sa Appareil de cuisson sous pression a poignees amovibles
CH694356A5 (de) 2000-09-27 2004-12-15 Marlene Hurni Dampfkochtopf für Linkshänder.
FR2836806B1 (fr) * 2002-03-08 2004-09-10 Seb Sa Appareil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comportant un module de couvercle
WO2009098317A1 (de) * 2008-02-08 2009-08-13 Gero Vertriebs-Gmbh Kochgefäss
CH701207A1 (de) 2009-06-02 2010-12-15 Kuhn Rikon Ag Schnellkochtopf.
CN201624512U (zh) 2010-03-30 2010-11-10 黄振雄 一种连体式电压力锅
EP2762044B1 (en) 2011-09-15 2018-11-28 Woo Yong Kim Electric rice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out a rubber packing
JP2014014465A (ja) * 2012-07-06 2014-01-30 Katsufumi Aoyanagi 圧力調理器
FR2998152B1 (fr) * 2012-11-16 2017-11-24 Seb Sa Appareil de cuisson d'aliments sous pression comportant un organe de commande ameliore
CN203000535U (zh) 2013-01-15 2013-06-19 广东创迪电器有限公司 一种锅盖拆装方便的电压力锅
CN203407885U (zh) * 2013-07-25 2014-01-29 浙江永达工贸有限公司 一种旋转手柄锅盖
FR3036935B1 (fr) * 2015-06-02 2017-07-14 Seb Sa Autocuiseur a baionnette pourvu d'un organe de command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69839Y (zh) 2001-03-30 2002-01-09 简伟文 多功能电热锅
CN102349791A (zh) 2011-10-12 2012-02-15 中山市雅乐思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侧翻盖压力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78519B2 (ja) 2020-04-08
CN206365739U (zh) 2017-08-01
MX2016007106A (es) 2017-08-09
CN106213982B (zh) 2019-12-20
CN106213982A (zh) 2016-12-14
BR102016012429B1 (pt) 2022-02-15
ES2668990T3 (es) 2018-05-23
KR20160142243A (ko) 2016-12-12
US20160353916A1 (en) 2016-12-08
FR3036935A1 (fr) 2016-12-09
EP3100653A1 (fr) 2016-12-07
PL3100653T3 (pl) 2018-07-31
SA116370668B1 (ar) 2017-08-17
EP3100653B1 (fr) 2018-04-18
FR3036935B1 (fr) 2017-07-14
JP2016221288A (ja) 2016-12-28
US10076206B2 (en) 2018-09-18
BR102016012429A2 (pt) 2016-12-06
PT3100653T (pt)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231B1 (ko) 제어 부재를 구비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
JP6678518B2 (ja) ロッキングを制御するための手動制御部材が設けられた圧力調理器
KR102472981B1 (ko) 용기 손잡이를 구비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
KR102472986B1 (ko) 안내 요소를 구비한 베이어닛 피팅 압력 조리기
US10362891B2 (en) Pressure-cooking utensil provided with a locking/unlocking control member that operates asymmetrically
BR102019013220A2 (pt) panela de pressão provida de um batente para sua tampa
KR20220088318A (ko) 제어 모듈을 구비한 베이어닛 압력 조리기
JP2022097446A (ja) 動的挙動が改善された制御部材を備えたバヨネット型圧力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