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087B1 -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087B1
KR102466087B1 KR1020220023437A KR20220023437A KR102466087B1 KR 102466087 B1 KR102466087 B1 KR 102466087B1 KR 1020220023437 A KR1020220023437 A KR 1020220023437A KR 20220023437 A KR20220023437 A KR 20220023437A KR 102466087 B1 KR102466087 B1 KR 10246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hell
skin
shoe
endoth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광
Original Assignee
세라블라썸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라블라썸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세라블라썸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220023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gluing or thermo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95Piec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두의 탑라인부가 종래 구두보다 착용감 및 구두의 미감을 더 향상시키도록 제조되는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두는 탑라인부를 갖는 구두로서 상기 탑라인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접힌 접음부를 갖는 내피, 및 상기 외피와 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접음부와 결합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외피의 외면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외피의 내면과 상기 접음부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내피의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외피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모자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SHOES HAVING SOFT TOPL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두 갑피 중 탑라인부가 종래 구두보다 착용감 및 구두의 미감을 더 향상시키도록 제조되는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그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형태나 소재 등에서도 상이하다. 통상 구두는 크게 밑창과 갑피로 구분되며 상기 밑창의 경우는 지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도록 EVA소재나 발포우레탄 등으로 제작되고, 갑피는 가죽이나 천 등이 주요한 재료가 된다.
갑피는 구두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와 구두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로 이루어지는데 외피는 주로 오염이나 스크레치 등과 같은 외력에 강한 가죽이 사용되고 내피는 발과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부드러운 가죽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외피와 내피는 별도로 재단된 뒤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데 필요에 따라 그 내부에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선심이 내장되기도 하고 뒤꿈치를 보호하기 위한 월형이 내장되기도 한다. 또한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는 갑피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구두의 부분별로 따로 형성된 뒤 접합 또는 재봉하여 구두 전체의 형상으로 제작된다.
한편, 구두에 있어서 발을 넣는 입구를 탑라인(top-line)이라 하고, 이러한탑라인을 형성하는 구두 갑피의 상단부를 탑라인부라 지칭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라인부(T)에 모자테(3)가 구비되는 종래의 구두는 종래의 갑피 제조 방식의 특성상 모자테(3) 부분이 발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제조되고, 또한 모자테(3)가 갑피보다 더 얇거나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소재의 특성으로 인해 구두의 착용 과정에서 모자테(3)가 내측 방향으로 굽는 경향이 있어, 그로 인해 구두의 미감을 해칠 뿐 아니라 모자테가 사용자의 발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불편감을 주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6873호(등록일: 2020. 06. 1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두의 갑피 중 탑라인부가 구두의 착용감 및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제조되는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는, 탑라인부를 갖는 구두로서 상기 탑라인부의 적어도 일부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접힌 접음부를 갖는 내피, 및 상기 외피와 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접음부와 결합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외피의 외면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외피의 내면과 상기 접음부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내피의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외피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모자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피의 내면 및 상기 내피의 외면에 있어서 서로 직접 마주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외피는 박음질되면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접음부는 박음질되면서 형성되는 제2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내피의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의 제조방법은, 제1 영역, 제2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모자테를, 상기 제1 영역이 구두의 갑피를 구성하는 외피에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이 구두의 갑피를 구성하는 내피에 결합되도록,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내피가 상기 제2 영역과 결합된 상기 내피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덮도록, 상기 내피를 접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외피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외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되는 상태로 상기 모자테를 접었을 때, 상기 외피와 상기 제2 영역 간,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내피 간, 그리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간 서로 마주하게 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서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외피의 결합, 그리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내피의 결합 중 적어도 하나는 박음질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라인부를 구성하는 모자테 부분이 구두의 외측 방향으로만 노출되고 발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또한 모자테의 내측은 발과의 사이에 접음부를 갖는 내피가 개재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두의 착용감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구두의 미감이 향상되고 또한 종래 모자테의 발에 대한 접촉에 따른 탑라인부의 변형 내지 손상이 본 발명에서는 방지됨으로써 구두의 내구성 또한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모자테가 구비된 구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탑라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탑라인부의 접착 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 및 구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모자테가 구비된 구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탑라인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탑라인부의 접착 부분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1)의 탑라인부(T)는 외피(10)와, 외피(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20), 그리고 외피(10) 및 내피(20)와 결합되는 모자테(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탑라인부(T)는 구두(1)에서 탑라인을 형성하는 갑피의 상단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외피(10)와 내피(20)는 구두의 갑피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컨대 가죽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테(30)는 탄력성 있는 천 등, 갑피보다 더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10)는 구두의 외부를 향하는 외측 방향(이하 ‘외측 방향’이라 한다)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내피(20)는 발을 향하는 내측 방향(이하 ‘내측 방향’이라 한다)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발의 측면이 직접 접촉된다. 내피(20)는 내피(20)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접힌 접음부(21)를 갖는다.
그리고 모자테(30)는 탑라인부(T)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두의 미감 형성에 크게 기여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모자테(30)는 제1 영역(31)과 제2 영역(32), 그리고 제1 영역(31)과 제2영역(32)을 연결하는 제3 영역(33)을 포함하며, 제1 영역(32)는 외피(10)와 결합되고, 제2 영역(32)은 내피(20)의 접음부(21)와 결합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 각각에 있어서 도면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의 면’을 ‘외면’으로, 그리고 ‘내측 방향의 면’을 ‘내면’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모자테(30)가 외피(10) 및 내피(20)와 이와 같이 결합되면서 모자테(30)의제1 영역(31)은 외피(10) 상단부의 외면 상에 접촉된 채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모자테(30)의 제2 영역(32)은 외피(10)의 내면과 접음부(21)의 외면 사이에 배치된 채 내측 방향에 대하여 내피(20)에 의해 덮여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제3 영역(33)은 외피(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데 제1, 제2 및 제3 영역(31,32,33)이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모자테(30)는 외피(10)의 상단부를 씌운 듯한 형태를 취한다.
모자테(30)의 제1 영역(31)이 외피(10)와 결합되는 것은 예컨대 박음질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모자테(30)의 제1 영역(31)과 외피(10)는 박음질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결합부(4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모자테(30)의 제2 영역(32)과 내피(20)의 접음부(21) 간 결합 또한 박음질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자테(30)의 제2 영역(32)과 접음부(21)는 박음질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결합부(5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접음부(21)는 내피(20)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접힌 형태를 취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모자테(30)의 제2 영역(32)이 접음부(21)와 결합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제2 영역(32) 및 접음부(21)는 내피(20)에 의해 내피(20)의 내측 방향에 대하여 덮이게 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구두(1)는 모자테(30)는 물론이고, 모자테(30)와 접음부(21)간 박음질 자국, 즉 제2 결합부(50) 또한 내피(20)의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시 발에 모자테(30)가 아닌, 부드러운 가죽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내피(20)가 접촉됨으로써 착용감이 더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구두의 미감이 향상되고 또한 탑라인부(T)의 변형이나 손상이 최소화되어 구두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서로 직접 마주하는, 외피(10)의 내면과 모자테(30)의 제2 영역(32)의 외면, 모자테(30)의 제2 영역(32)의 내면과 내피(20)의 외면, 그리고 외피(10)의 내면과 내피(20)의 외면은 접착제가 도포된 채 서로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로 구성되는 탑라인부(T)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두(1)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두(1)의 제조방법은, (a)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을 준비하는 단계, (b) 모자테(30)를 외피(10) 및 내피(20)와 결합시키는 단계, (c) 내피(20)를 접는 단계, (d) 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 간 서로 마주하게 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서로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구두의 갑피를 구성하는 외피(10) 및 내피(20) 그리고 구두의 탑라인을 구성하는 모자테(3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모자테(30)는 제1 영역(31)과 제2 영역(32) 및 제3 영역(33)을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모자테(30)의 제1 영역(31)이 외피(10)에 그리고 모자테(30)의 제2 영역(32)이 내피(20)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이 두 가지 결합은 순서가 정해진 것은 아니며 두 가지 결합 중 어느 결합을 먼저 진행해도 되고 또는 두 가지 결합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피(10) 및 모자테(30) 간 결합을 구제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이 결합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외피(10) 및 모자테(30)가 각각 평면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 결합의 설명을 위해 외피(10) 및 모자테(30)의 면을 지칭함에 있어 편의상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면, 모자테(30)의 제1 영역(31)의 내면과 외피(10) 상단부의 외면이 접촉된 채 제1 영역(31)과 외피(10)가 결합됨으로써 모자테(30)와 외피(10)가 서로 결합된다. 결합은 예컨대 박음질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즉 외피(10)와 제1 영역(31)은 박음질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결합부(4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모자테(30)의 제1 영역(31)은 외피(10)와 이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탑라인부(T)가 형성되었을 때 외피(10)의 외면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내피(20) 및 모자테(30) 간 결합 또한 내피(20) 및 모자테(30)가 각각 평면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내피(20)의 단부(하기 (c) 단계에 따라 ‘접음부’가 되는 부분; 21)의 외면이 제2 영역(32)의 내면에 접촉된 채 예컨대 박음질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결합부(50)에 의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내피(20)와 모자테(3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내피(20)에 있어서 모자테(30)의 제2 영역(32)과 결합된 부분을 포함하여 모자테(30)의 제2 영역(32)을 덮도록 내피(20)를 접는 단계로서, 내피(20)가 이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제2 영역부(32)와 결합된 내피(20)의 단부는 도 3의 기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접힌 부분, 즉 접음부(21)가 된다. 접음부(21)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피(20)는 접음부(21) 뿐만 아니라 모자테(30)의 제2 영역(32)을 전체적으로 내측 방향에 대해 덮게 됨으로써, 탑라인부(T)에 있어서 제2 영역(32)은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모자테(30)가 발에 접촉될 일이 없어 더 나은 착용감을 제공하고, 종래 구두와 같이 모자테 부분이 내측 방향으로 굽으면서 구두의 미감을 해치는 일 또한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d) 단계는 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가 서로 견고하게 접착되면서 탑라인부(T)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로서, 본 단계에 따라, 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가 탑라인부(T)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상태일 때 서로 마주하게 되는 면, 즉 서로 접착되어야 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여기서 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가 탑라인부(T)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상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33)이 외피(10)의 상면을 덮으면서 제1 영역(31)과 제2 영역(32)이 외피(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모자테(30)가 접힌 상태로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c) 단계에 따라 내피(20)가 접음부(21)를 포함하여 제2 영역(32)의 내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외피(10), 내피(20) 및 모자테(30)가 이와 같이 배치될 때 서로 직접 마주하게 되는 외피(10)의 내면과 제2 영역(32)의 외면, 제2 영역(32)의 내면과 내피(20)의 외면, 그리고 외피(10)의 내면과 내피(20) 외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이후 서로 견고하게 접착됨으로써 탑라인부(T)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구두
T : 탑라인부
10 : 외피
20 : 내피 21 : 접음부
30 : 모자테 31 : 제1 영역
32 : 제2 영역 33 : 제3 영역
40 : 제1 결합부 50 : 제2 결합부

Claims (5)

  1. 탑라인부를 갖는 구두로서, 상기 탑라인부의 적어도 일부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접힌 접음부를 갖는 내피; 및
    상기 외피와 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접음부와 결합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외피의 외면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외피의 내면과 상기 접음부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내피의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외피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모자테;
    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의 내면 및 상기 내피의 외면에 있어서 서로 직접 마주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착되는 구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외피는 박음질되면서 형성되는 제1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접음부는 박음질되면서 형성되는 제2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내피의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라인부가 구비된 구두.
  4. 제1 영역, 제2 영역, 그리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모자테를, 상기 제1 영역이 구두의 갑피를 구성하는 외피에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이 구두의 갑피를 구성하는 내피에 결합되도록, 상기 외피 및 상기 내피와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내피가 상기 제2 영역과 결합된 상기 내피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덮도록, 상기 내피를 접는 단계; 및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외피의 상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외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되는 상태로 상기 모자테를 접었을 때, 상기 외피와 상기 제2 영역 간,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내피 간, 그리고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간 서로 마주하게 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서로 접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외피의 결합, 그리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내피의 결합 중 적어도 하나는 박음질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두의 제조방법.
KR1020220023437A 2022-02-23 2022-02-23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37A KR102466087B1 (ko) 2022-02-23 2022-02-23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437A KR102466087B1 (ko) 2022-02-23 2022-02-23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087B1 true KR102466087B1 (ko) 2022-11-14

Family

ID=8404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437A KR102466087B1 (ko) 2022-02-23 2022-02-23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0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501U (ja) * 1991-12-26 1993-07-20 アキレス株式会社
JPH069502U (ja) * 1992-07-13 1994-02-08 アキレス株式会社 ブーツ
JPH08154706A (ja) * 1994-12-02 1996-06-18 Achilles Corp 靴の表面加工方法および靴の表面加工用マスク部材の配設構造
KR102126873B1 (ko) 2015-09-11 2020-06-2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등급별 돌출부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501U (ja) * 1991-12-26 1993-07-20 アキレス株式会社
JPH069502U (ja) * 1992-07-13 1994-02-08 アキレス株式会社 ブーツ
JPH08154706A (ja) * 1994-12-02 1996-06-18 Achilles Corp 靴の表面加工方法および靴の表面加工用マスク部材の配設構造
KR102126873B1 (ko) 2015-09-11 2020-06-25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등급별 돌출부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420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US4455767A (en) Shoe construction
JPS6384501A (ja)
US4501076A (en) Shoe construction
US8291616B2 (en) Insole having a transparent portion and a sock liner portion
US4908961A (en) Flexible shoe with sectioned insole
TWI697293B (zh) 可多樣式變化之舒適鞋
US20200405006A1 (en) Double structure comfortabl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shoe
US6757990B2 (en) Footwear with integrated stitchdown/athletic bottom construction
KR102466087B1 (ko) 구두 및 이의 제조방법
US2349866A (en) Shoe construction
US20070251123A1 (en) Improved Shoes
KR101207982B1 (ko) 구두 및 그 제조방법
US8813388B2 (en) Operat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insole for footwear and insole thus obtained
US6584705B2 (en) Shoe having simplified construction
MXPA00002725A (es) Construccion de zapato con punta de acero.
US2552638A (en) Method of making heel-reinforced slip-lasted shoes
US3986279A (en) Manufacture of safety shoes having rigid box toes
US6662473B2 (en) Shoe with ergonomic insole unit
US2065058A (en) Turn shoe
KR102107837B1 (ko) 뒤축 복원형 신발 및 그 제조방법
TWM510076U (zh) 安全鞋
US20220338597A1 (en) Shoe having integrally formed upper
KR102136859B1 (ko) 무본딩 신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신발
KR100336505B1 (ko) 아웃도어형 실내화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