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997B1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5997B1 KR102465997B1 KR1020200158398A KR20200158398A KR102465997B1 KR 102465997 B1 KR102465997 B1 KR 102465997B1 KR 1020200158398 A KR1020200158398 A KR 1020200158398A KR 20200158398 A KR20200158398 A KR 20200158398A KR 102465997 B1 KR102465997 B1 KR 102465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 driving
- rotating member
- pipe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2—Clea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주행부; 및 상기 제1주행부의 회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마련되는 제2주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행부는, 관로내에 퇴적된 슬러지나 관로내에 채워진 물과 마찰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로의 내부에서 주행되는 관로 탐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매끈한 관로의 바닥면과 슬러지나 물이 채워진 관로의 바닥면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된 각종 상하수도의 관로는 오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되어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컨대, 부식현상이나 크랙 현상이 관로에 발생되어 식수나 토양 ,지하수 등이 오염되거나 상수나 하수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못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중에 매설된 각종 관로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보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에는 관로의 내부로 투입되어 주행되는 구성을 가지는 관로 탐색장치가 관로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관로 탐색장치는, 바퀴를 이용하여 주행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을 크게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관로의 바닥면에 놓여진 채 주행하면서 관로의 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 및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관로 탐색장치는, 관로의 바닥면에 슬러지가 퇴적되어 있거나 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 주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슬러지나 물이 채워진 관로의 부위를 주행할 시에 주행체에 장착된 바퀴가 헛도는 관계로 인하여 주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주행체에 부력체를 장착하거나 또는 스크류 형태의 회전수단을 장착하여 슬러지가 퇴적된 관로내 부위나 물이 채원진 관로내 부위에서도 관로 탐색장치가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슬러지나 물, 기타 장애물이 없는 관로의 바닥면은 매끄럽기 때문에, 부력체나 스크류 형태의 회전수단이 장착된 주행차는 매끄러운 관로의 바닥면에서 주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관로에는 슬러지와 물, 기타 장애물이 배치된 구간과 배치되지 않은 구간이 공존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4591호의 '수륙양용 원격작동차량'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로내에서, 슬러지나 물이 배치된 구간과 그렇지 않은 구간에서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주행부; 및 상기 제1주행부의 회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2주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행부는, 관로내에 퇴적된 슬러지나 관로내에 채워진 물과 마찰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주행부와 상기 제2주행부는 각각의 구동원을 가진 채로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주행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된 채 상기 몸체부에 지지를 받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되는 쐐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주행부는 밸런스 웨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반원의 단면을 가진 채로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주행부는 관로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골 또는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의 선단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주행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배치된 채 상기 몸체부의 지지를 받는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견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에는 관로의 바닥면에 퇴적된 슬러지 또는 장애물이 통과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는, 평탄한 관로내 구간 뿐만 아니라 슬러지나 물이 배치된 관로내 구간도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관로를 따라 원활하게 주행되어 탐색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는, 몸체부가 관로내에서 이동될 시에 외력으로부터 균형을 잃고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장시간 동안 관로를 탐색할 시에 필요한 주행력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행부에 마찰부재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행부에 마찰부재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로 탐색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행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행부에 마찰부재가 마련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100)는, 슬러지가 적재된 관로내 구간이나 물이 채워진 관로내 구간, 그리고, 평탄한 관로내 구간을 모두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관로 탐색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주행부(130); 및 상기 제1주행부(110)의 회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마련되는 제2주행부(150);를 크게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부(110)는, 각종 전장부품과 동력장치 등이 내장될 수 있는 박스형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부품 또는 장치들을 지지할 수 있는 골조(프레임)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에는 후술할, 제1주행부(130)와 제2주행부(15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들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는, 다양한 전장부품이나 탐사장비가 마련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0)의 윗면에는 관로의 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 및 외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모듈(미도시)과 관로(10)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면이 복잡하게 도시되지 않도록 하고,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과 조명장치 및 그외 탐자장치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상기 제1주행부(130)는 관로내에 퇴적된 슬러지나 관로내에 채워진 물과 마찰되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제1주행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마련된 채 몸체부(110)의 측부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주행부(13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된 채 상기 몸체부(110)에 지지를 받는 제1구동모터(131); 상기 제1구동모터(131)의 회전축(131a)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회전부재(132); 및 상기 회전부재(132)의 외면에서 상기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블레이드(133); 및 상기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되는 쐐기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모터(131)는,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후단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커버에 수용된 채 회전부재(132)의 후단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1구동모터(131)는,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연결된 채 회전부재(132)의 후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구동모터(1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32)는, 관로의 바닥면에 놓여진 채 회전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회전부재(132)는,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관로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즉, 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회전부재(132)는, 제1구동모터(131)의 회전축(131a)과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구동모터(131)의 회전축(131a)이 회전되면 관로의 바닥면에서 회전축(131a)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33)는, 관로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전체에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33)는, 관로 바닥면에 퇴적된 슬러지나 관로 바닥면에 채워진 물과 접촉되는바, 상기 회전부재(132)가 회전되면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슬러지 또는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상기 쐐기부재(1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132)의 앞단에 마련될 수 있다.
쐐기부재(134)는, 관로내의 슬러지나 물과의 접촉에 따른 저항력을 줄일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V' 형의 단면을 가진 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관로의 바닥면에 배치된 장애물과 접촉되어 장애물이 주행에 간섭되지 않도록 밀어내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주행부(130)에 의하여 몸체부(110)가 슬러지 또는 물이 배치된 관로내 구간에서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회전부재(132)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몸체부(110)가 전진되고, 반대로, 한 쌍의 회전부재(132)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몸체부(110)는 후진될 수 있다. 여기서, 관로내에 퇴적된 슬러지나 관로내에 채워진 물은, 회전부재(132)의 외면에 마련된 나선형 블레이드(133)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그러면, 몸체부(110)로 추진력이 전달되어 슬러지나 물이 배치된 관로내 구간에서도 몸체부(110)가 원활하게 주행될 수 있다.
한편, 제1주행부(130)는, 밸런스 웨이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3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밸런스 웨이트(140)는, 회전부재(132)가 관로내의 매끄러운 바닥면상에서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더불어, 회전부재(132)가 장애물에 부딪혔을 때 몸체부(110)가 균형을 잃고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밸런스 웨이트(14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32)의 내부 공간을 절반만 채울 수 있는 반원의 단면을 가지는 무게(141)추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균형추(141)는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전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균형추(141)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베어링(142)이 마련되는바, 균형추(141)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된 베어링(142)은 제1구동모터(131)의 회전축(131a)과 연결되고, 균형추(141)의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된 베어링(142)은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된 고정축(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142)은 회전부재(132)의 회전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1구동모터(131)의 회전축(131a)과 회전부재(132)의 고정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균형추(141)와 베어링(142)으로 구성되는 밸런스 웨이트(140)는, 회전부재(132)가 회전되어도 회전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 채 회전부재(13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밸런스 웨이트(140)에 의하여, 회전부재(132)가 슬러지나 물이 배치된 구간을 이동할 때, 몸체부(110)가 외력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거나 균형을 잃고 쓰러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주행부(130)는 그 중간부위가 상기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가 상기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몸체부(110)가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중간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되면,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전체 뿐만 아니라 회전부재(132)의 앞단에 마련되는 쐐기부재(134)도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132)화 쐐기부재(134)의 회전력에 따른 추진력을 배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몸체부(110)가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되면, 몸체부(110)의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베어링의 개수가 증가되어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는 쐐기부재(134)에 간섭되기 때문에 쐐기부재(134)가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외부 저항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몸체부(110)는 회전부재(132)의 길이방향 중간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회전부재(132)의 균형을 유지시키고, 더욱이, 쐐기부재(134)의 회전력에도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주행부(130)는, 슬러지가 퇴적된 관로내 구간이나 물이 채워진 관로내 구간을 이동하는데 적합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슬러지나 물이 배치되지 않은 관로내 구간, 즉, 매끈한 바닥면을 이동하게는 주행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제2주행부(150)는 몸체부(110)와 제1주행부(130)가 평탄한 관로내 바닥면에서도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전방에서 몸체부(110)와 제1주행부(130)를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2주행부(150)는, 상기 제1주행부(130)와 협력하여 평탄한 바닥면을 가지는 관로내 구간에서도 몸체부(110)가 원활하게 주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주행부(15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에 배치된 채 상기 몸체부(110)의 지지를 받는 제2구동모터(151); 상기 제2구동모터(15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체(152); 및 상기 회전체(152)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견인롤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터(151)는, 몸체부(110)의 지지를 받은 채로 몸체부(1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구동모터(151)는,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이나 동력방향을 변경시키는 구성들을 매개로하여 회전체(15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152)는 제2구동모터(151)가 회전되면 몸체부(110)의 전방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견인롤러(153)는 관로내 바닥면에 놓여지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152)와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견인롤러(153)는 공지의 바퀴와 같은 역할을 하는바, 상기 회전체(152)가 회전되면 관로내의 바닥면과 접지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참고로, 견인롤러(153)는, 관로내 바닥면과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고무재, 우레탄재,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다. 견인롤러(153)가 금속재로 제작될 경우에는 그 외면에 마찰돌기나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주행부(150)는, 몸체부(110)의 전방측에서 회전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가장 우선적으로 장애물 또는 슬러지와 마주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때, 장애물이나 슬러지가 회전체(152)와 부딪히게 되면 주행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심각하게는 몸체부(110)가 균형을 잃고 쓰러질 수도 있다. 특히, 슬러지가 회전체(152)의 회전력에 의해 한 쌍의 회전부재(132)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결국, 회전부재(132)의 회전력이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52)는 그 길이방향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가지기 보다는, 관로의 바닥면에 퇴적된 슬러지 또는 장애물이 통과될 수 있는 홈부(152a)가 중앙부에 형성되도록 그 외경이 길이방향 단부 에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체(152)와 그 양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견인롤러(153)는 눕혀진 모래시계의 형태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회전체(152)에 의하여, 관로의 바닥면에 퇴적된 슬러지 또는 장애물은 회전체(152)와 접촉되지 않고 회전체(152)에 형성된 홈부(152a)로 통과될 수 있다. 그러면, 장애물에 의해 몸체부(110)의 주행이 간섭되지 않으며, 더불어, 회전부재(132)가 배치된 방향으로 슬러지가 유입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홈부(152a)로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의 장애물이 전방에 배치되어도 홈부(152a)가 형성된 회전체(152)의 중심부로 장애물이 일부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체(152)는 장애물을 타고 오를 수 있다. 즉, 회전체(152)는 장애물을 타고 넘어갈 수 있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결국, 관로내에 장애물이 배치되어 있어도 그 장애물을 타고 지속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제1주행부(130)는, 관로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띠 형의 마찰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띠 형의 마찰부재(160)는, 고무재, 실리콘, 우레탄재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나선형 블레이드(133) 사이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재(132)의 골 부위에 삽입되어 감기어지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블레이드(133)의 선단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마찰부재(160)는, 제1주행부(130)가 관로내 바닥면을 주행할 시에, 나선형 블레이드(133)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평탄한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회전부재(132)의 회전에 따른 추진력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주행부(130)에 띠 형의 마찰부재(160)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관로 탐색장치 110 : 몸체부
130 : 제1주행부 131 : 제1구동모터
132 : 회전부재 133 : 블레이드
134 : 쐐기부재 140 : 밸런스 웨이트
141 : 균형추 142 : 베어링
150 : 제2주행부 151 : 제2구동모터
152 : 회전체 153 : 견인롤러
160 : 마찰부재
130 : 제1주행부 131 : 제1구동모터
132 : 회전부재 133 : 블레이드
134 : 쐐기부재 140 : 밸런스 웨이트
141 : 균형추 142 : 베어링
150 : 제2주행부 151 : 제2구동모터
152 : 회전체 153 : 견인롤러
160 : 마찰부재
Claims (8)
-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주행부; 및
상기 제1주행부의 회전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마련되는 제2주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행부는, 관로내에 퇴적된 슬러지나 관로내에 채워진 물과 마찰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행부와 상기 제2주행부는 각각의 구동원을 가진 채로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주행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된 채 상기 몸체부에 지지를 받는 제1구동모터;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길이방향 일측이 연결되는 원통형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외면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에 마련되는 쐐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행부는 밸런스 웨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반원의 단면을 가진 채로 상기 회전부재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길이방향 중간 부위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행부는 관로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골 또는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의 선단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행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배치된 채 상기 몸체부의 지지를 받는 제2구동모터; 및
상기 제2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체; 및
상기 회전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견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중앙부에는 관로의 바닥면에 퇴적된 슬러지 또는 장애물이 통과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8398A KR102465997B1 (ko) | 2020-11-24 | 2020-11-24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5A KR20220150870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4A KR20220151151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6A KR20220150871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8398A KR102465997B1 (ko) | 2020-11-24 | 2020-11-24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5474A Division KR20220151151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6A Division KR20220150871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5A Division KR20220150870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1374A KR20220071374A (ko) | 2022-05-31 |
KR102465997B1 true KR102465997B1 (ko) | 2022-11-11 |
Family
ID=8178675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8398A KR102465997B1 (ko) | 2020-11-24 | 2020-11-24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4A KR20220151151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5A KR20220150870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6A KR20220150871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5474A KR20220151151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5A KR20220150870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KR1020220145476A KR20220150871A (ko) | 2020-11-24 | 2022-11-03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246599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3873B1 (ko) | 2015-12-17 | 2017-02-07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나선형 상반구동 원통추진체 |
KR102066976B1 (ko) * | 2018-07-06 | 2020-02-11 | (주)신정개발 | 스크류 바퀴를 구비한 수륙양용 준설로봇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09731A (ko) * | 2006-05-12 | 2007-11-15 |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선형 스크류와 이를 이용한 선박 |
KR20170055633A (ko) * | 2015-11-12 | 2017-05-22 | 주식회사 죽암기계 | 패류 채취장치 |
KR102109688B1 (ko) * | 2018-06-01 | 2020-05-12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갯벌용 이동장치 |
-
2020
- 2020-11-24 KR KR1020200158398A patent/KR1024659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11-03 KR KR1020220145474A patent/KR2022015115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11-03 KR KR1020220145475A patent/KR2022015087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2-11-03 KR KR1020220145476A patent/KR2022015087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3873B1 (ko) | 2015-12-17 | 2017-02-07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나선형 상반구동 원통추진체 |
KR102066976B1 (ko) * | 2018-07-06 | 2020-02-11 | (주)신정개발 | 스크류 바퀴를 구비한 수륙양용 준설로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1374A (ko) | 2022-05-31 |
KR20220151151A (ko) | 2022-11-14 |
KR20220150870A (ko) | 2022-11-11 |
KR20220150871A (ko) | 2022-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55807A (en) | Vehicle adapted to freely travel three-dimensionally by magnetic force and wheel for the vehicle | |
ES2382014T3 (es) | Vehículo de limpieza de piscina con oruga de bucle sin fin | |
JP2007237991A (ja) | クローラロボット | |
JP6337324B2 (ja) | 管内走行装置 | |
KR102465997B1 (ko) | 스크류를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
CN205769684U (zh) | 一种全地形螺旋推进滚轮 | |
KR101592947B1 (ko) | 캐터필러를 이용한 바퀴구조 | |
JP2017007520A (ja) | 管内走行装置 | |
US3887955A (en) | Headlight wiper | |
US20040239182A1 (en) | Track-shoe of amphibious caterpillar vehicle | |
JPH09322344A (ja) | 架空線を利用した自走機 | |
KR102290731B1 (ko) | 관로조사 및 세척을 위한 자주차 | |
KR102025739B1 (ko) | 관로 경사도 측정용 주행로봇 | |
JP6501528B2 (ja) | 走行装置の駆動機構 | |
US9873326B2 (en) | Power takeoff for tracked vehicle | |
KR200143311Y1 (ko) | 하수관 검사카메라의 캐터빌라 주행장치 | |
KR100357538B1 (ko) | 자전거 페달암의 길이 가변장치 | |
KR102609543B1 (ko) | 하수관로 자주차의 가변형 바퀴 | |
KR102107231B1 (ko) | 커브형 체인 플라이트 슬러지 수집기 | |
JP2011011638A (ja) | 管内自走装置 | |
JPS6210679Y2 (ko) | ||
KR20230111048A (ko) | 푸시 방식을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 |
FR3068960A1 (fr) | Dispositif de controle de la tension d’un lien d’alimentation d’un boitier mobile autonome, pour un enrouleur automatique | |
FR2781243A1 (fr) | Dispositif de nettoyage automatique d'un bassin a deplacements controles | |
KR102656406B1 (ko) | 차량 이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