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653B1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653B1
KR102465653B1 KR1020220074017A KR20220074017A KR102465653B1 KR 102465653 B1 KR102465653 B1 KR 102465653B1 KR 1020220074017 A KR1020220074017 A KR 1020220074017A KR 20220074017 A KR20220074017 A KR 20220074017A KR 102465653 B1 KR102465653 B1 KR 10246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ed part
fluid
parking management
park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두
김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7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으로서,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는 주차 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관리기는, 주택지 또는 이면도로등과 같은 지정주차 구획지역에 설치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홈(41)을 같는 판상의 베이스(40)와, 상기 베이스(40) 상단에 하단이 연결편(13)을 통하여 힌지(14) 결합된 상태에서 미 주차시에는 세워지고 주차시에는 눕혀지며 상단에 손잡이(11)와 발광표시부(12)가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5)측에 삽입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잠금구멍(2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탈방지턱(21)이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로드(20)가 구비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주차 관리기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Method of providing parking management facilities for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건축 기술 분야 중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에 관하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가나 이면도로등에 형성된 지정 주차 구획지역에 별도의 주차 관리기를 설치한 후, 이 주차 관리기에 의해 타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정 주차 구획지역에 지정된 차량만이 주차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항상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하는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차 관리기에 의해 타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정 주차 구획지역에 지정된 차량만이 주차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항상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 충격시에는 충격부 주차 관리기의 몸체가 탄력적인 휘어짐과 복원이 반복 될수 있도록 하여 주차 관리기가 세원진 상태의 부주의 주차시에도 차량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시에 이러한 설비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안전한 위생환경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83565000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택가나 이면도로등에 형성된 지정 주차 구획지역에 별도의 주차 관리기를 설치한 후, 이 주차 관리기에 의해 타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정 주차 구획지역에 지정된 차량만이 주차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항상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하는 주차관리 설비 제공하되, 특히 이러한 설비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안전한 위생환경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으로서,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는 주차 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관리기는, 주택지 또는 이면도로등과 같은 지정주차 구획지역에 설치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홈(41)을 같는 판상의 베이스(40)와, 상기 베이스(40) 상단에 하단이 연결편(13)을 통하여 힌지(14) 결합된 상태에서 미 주차시에는 세워지고 주차시에는 눕혀지며 상단에 손잡이(11)와 발광표시부(12)가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5)측에 삽입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잠금구멍(2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탈방지턱(21)이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로드(20)가 구비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주차 관리기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주택가나 이면도로등에 형성된 지정 주차 구획지역에 별도의 주차 관리기를 설치한 후, 이 주차 관리기에 의해 타 차량이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정 주차 구획지역에 지정된 차량만이 주차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항상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하는 주차관리 설비 제공하되, 특히 이러한 설비의 구축과 운용에 있어 안전한 위생환경 조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주차 관리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주차 관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주차 관리기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기의 주요부를 절개한 정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택지 또는 이면도로등과 같은 지정주차 구획지역에 설치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홈을 같는 판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단에 하단이 연결편을 통하
여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미 주차시에는 세워지고 주차시에는 눕혀지며 상단에 손잡이와 발광표시부가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측에 삽입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잠금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탈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로드와, 상기 잠금로드의 잠금구멍이 삽입홈으로 삽입 인출되면 자물쇠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몸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고정브라 켓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차 관리기의 미 주차시 세워진 몸체는 베이스상에 고정되는 베이스몸체가 구비되고 이 베이스몸체의 상측으로는 차량 접촉시 휘어지는 형태로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이 방지될수 있도록 상호 분리되는 관리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관리몸체가 탄력적으로 휘어짐과 동시에 자동 복원될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력을 가지고 베이스몸체와 관리몸체 사이에 일체로서 탄설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관리몸체상에 차량 접촉시 일정형태의 경고음이 발생될수 있도록 일정부위에는 경고음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기의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기의 주요부를 절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기도 주택지 또는 이면도로등과 같은 지정주차 구획지역에 설치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홈(41)을 같는 판상의 베이스(40)가 구비되며, 이 베이스(40) 상단에는 하단이 연결편(13)을 통하여 힌지(14) 결합된 상태에서 미 주차시에는 세워지고 주차시에는 눕혀지며 상단에 손잡이(11)와 발광표시부(12)가 구비되는 원형봉, 막대등의 형상으로 된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슬라이드홈(15)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홈(15)측에 삽입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잠금구멍(2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탈방지턱(21)이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로드(20)가 구비되며, 상기 잠금로드(20)의 잠금구멍(22)이 삽입홈(31)으로 삽입인출되면 자물쇠(5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 몸체(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고정브라켓트(30)로 구성되어 기본적으로 작동되는 기술적인 구성은 종래와 그 맥을 같이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주차 관리기가 세워진 상태에서 부주의로 인한 주차를 할시에 주차 관리기와 차량등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소기의 지정주차구역을 확보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주차 관리기의 몸체(10)는 베이스(40)상에 고정되는 베이스몸체(100a)가 구비되고 상측으로는 차량접촉시 휘어지는 형태로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이 방지될수 있도록 베이스몸체(100a)와 상호 분리되는 관리몸체(100)로서 몸체(10)가 이루어 지며, 상 기 관리몸체(100)가 탄력적으로 휘어짐과 동시에 자동 복원될 수 있도록 충분한 탄성력을 가지고 베이스몸체(100a)와 관리몸체(100) 사이에 일체로서 탄설되는 스프링(200)이 구비되는데, 이때 베이스몸체(100a)의 상측단과 관리몸체(100)의 하측단에는 일정길이의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지고, 이 수나사부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내측에 형성되는 연결편(210)이 구비됨과 동시에 이 연결체(210)의 내측 일정부위에 용접되는 형식으로 스프링(200)의 양측단이 고정된 다음 관리몸체(100)와 베이스몸체(100a) 사이에 연결체(210)으로서 나사결합되어 스프링(200)이 탄설되는 구성이며, 상기 관리몸체(100)상의 일정부위에는 차량 접촉시 일정형태의 경고음이 발생될수 있도록 경고음발생부(300)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경고음발생부(300)는 관리몸체(100)에 차량충격시 이를 감지하게 되는 감지센서(310)와, 상기 감지센서의 충격감지를 전달받아 경고음이 발생될수 있도록 일정형태의 경고음(경적, 여기는 주차금지구역입니다,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입니다등)이 저장되는 경고음저장칩(320)과, 상기 경고음저장칩(320)의 선택적인 음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스피커(330)로서 구성되는 것이고, 일정부위에는 전원부인 건전지가 내장되어 경고음발생부(300)와 연결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택지 또는 이면도로에 형성된 지정 주차 구획라인의 지역 중간에 위치 시킨 후 베이스(40)의 체결홈(410)을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체결 고정시킨다. 상술한 상태에서 차량을 미 주차시 몸체(1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타 차량이 주차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잠금로드(20)는 자물쇠(50)에 의해 고정브라켓트(30)에 구속되어 몸체(1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함으로서 타인의 주차 관리기를 마음대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며, 발광표시부(12)는 야간에 몸체(10)를 발광시켜 주차시 차량과 몸체가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세워진 상태를 모르고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구역 내에 주차시키거나 타인이 무단주차시에는 차량의 범퍼부분이 주차 관리기의 관리몸체(100) 부분을 충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관리몸체(100)는 베이스몸체(100a)상에는 스프링(200)을 매개체로 일정각도로 휘어지게 됨으로서 충격력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차량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차량 충격시에 관리몸체(100)의 감지센서(310)는 충격을 인지하게 되고 경고음발생부(300)에서는 일정형태의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어 타차량의 주차를 방지하게 되어 주차공간을 확보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정된 차량을 지정 주차 구획지역에 주차시에는 먼저 자물쇠(50)를 해정한 다음 잠금로드(20)의 이탈방지턱(21)을 잡고 잡아당기면 잠금로드의 일단(장금구멍측)이 고정브라켓트(30)에서 이탈되므로 베이스몸체(100a)의 구속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관리몸체(100)의 손잡이(11)를 잡고 몸체를 바닥으로 눕히면 몸체는 연결편(13)과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눕혀지게 되는데, 이때 눕혀진 몸체(10)의 높이는 차량의 하부보다 낮기 때문에 원활하게 차량을 주차할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은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는 주차 관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 관리기는 주택지 또는 이면도로등과 같은 지정주차 구획지역에 설치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홈(41)을 같는 판상의 베이스(40)와, 상기 베이스(40) 상단에 하단이 연결편(13)을 통하여 힌지(14) 결합된 상태에서 미 주차시에는 세워지고 주차시에는 눕혀지며 상단에 손잡이(11)와 발광표시부(12)가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5)측에 삽입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잠금구멍(2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탈방지턱(21)이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로드(20)가 구비된다.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주차 관리기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특정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한다.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측으로 슬라이딩형태로 이동되며, 상기 제1가변구동체(1241,124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2가변구동체(1261',126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타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한다.
상기 제1이동패널(116') 및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1접촉모듈(411')과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눌러 가압하는 제2접촉모듈(412')과 상기 제5유체분사모듈(215')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3접촉모듈(413')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제1-1영역(S1')과 상기 제1-2영역(S2') 사이로 출몰되는 제1세로몸체(511')와, 상기 제1세로몸체(511')에서 상기 제1-1영역(S1')의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영역(S2')의 제2유체분사모듈(212')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1가로몸체(5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는, 상기 제2-1영역(S3')과 상기 제2-2영역(S4') 사이로 출몰되는 제2세로몸체(512')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서 상기 제2-1영역(S3')의 상기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2영역(S4')의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2가로몸체(5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는, 상기 제3-1영역(S5')과 상기 제3-2영역(S6') 사이로 출몰되는 제3세로몸체(513')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서 상기 제3-1영역(S5')의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3-2영역(S6')의 제4유체분사모듈(214')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3가로몸체(523')가 구비된다.
한편 여기서의 현장(P)은 본 발명의 설비가 위치되는 제1현장(P1)과, 상기 제1현장(P1)으로 진입하기 위한 게이트에 해당되는 제3현장(P3)과 상기 제1현장(P1)과 상기 제3현장(P3)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현장(P2)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적어도 상기 제2현장(P2)은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이 배치 혹은 설치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손잡이
12 ; 발광표시부 13 ; 연결편
14 ; 힌지 15 ; 슬라이드홈

Claims (2)

  1. 삭제
  2.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으로서,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현장에 하적수단에 의하여 하적되는 단계;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가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는 주차 관리기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관리기는,
    주택지 또는 이면도로등과 같은 지정주차 구획지역에 설치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홈(41)을 같는 판상의 베이스(40)와, 상기 베이스(40) 상단에 하단이 연결편(13)을 통하여 힌지(14) 결합된 상태에서 미 주차시에는 세워지고 주차시에는 눕혀지며 상단에 손잡이(11)와 발광표시부(12)가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5)측에 삽입 결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일단에는 잠금구멍(2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탈방지턱(21)이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로드(20)가 구비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주차 관리기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특정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하며,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
KR1020220074017A 2022-06-17 2022-06-17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 KR10246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17A KR102465653B1 (ko) 2022-06-17 2022-06-17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17A KR102465653B1 (ko) 2022-06-17 2022-06-17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653B1 true KR102465653B1 (ko) 2022-11-11

Family

ID=8404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017A KR102465653B1 (ko) 2022-06-17 2022-06-17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65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565B1 (ko) 2008-01-03 2010-09-24 문재성 웰빙 공동 주택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170077455A (ko) * 2015-12-28 2017-07-06 김형근 주차공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20200042766A (ko) * 2018-10-16 2020-04-24 이영근 카 스토퍼가 설치된 주차 금지장치
KR102338776B1 (ko) * 2021-06-01 2021-12-15 (주)미도지리정보 유사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항공촬영 영상처리 시스템
KR20210157047A (ko) * 2020-06-19 2021-12-28 김영대 분사액체 선택형 액체분사장치
KR102362558B1 (ko) * 2021-11-11 2022-02-16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 감지 시스템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565B1 (ko) 2008-01-03 2010-09-24 문재성 웰빙 공동 주택 및 그 관리 시스템
KR20170077455A (ko) * 2015-12-28 2017-07-06 김형근 주차공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42766A (ko) * 2018-10-16 2020-04-24 이영근 카 스토퍼가 설치된 주차 금지장치
KR101975477B1 (ko) * 2018-12-26 2019-05-09 주식회사 광진기업 IoT 딥러닝 카메라와 드론을 활용한 IoT 지능형 유해동물과 조류 방제장치를 이용한 퇴치 방법
KR20210157047A (ko) * 2020-06-19 2021-12-28 김영대 분사액체 선택형 액체분사장치
KR102338776B1 (ko) * 2021-06-01 2021-12-15 (주)미도지리정보 유사촬영이미지 합성을 위한 항공촬영 영상처리 시스템
KR102362558B1 (ko) * 2021-11-11 2022-02-16 (주)광명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누전 감지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6477B2 (ja) 格納式充電ステーション
JP2021536225A (ja) 電気車両充電ステーション
US20070199243A1 (en) Removable access gate for parking lots
KR100610571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 진입로 개선구조
KR102465653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관리 설비 제공방법
GB2513577A (en) Opening protection system
US6065900A (en) Collapsible bollards
KR101778035B1 (ko) 자동 주차시설에 구비되는 차량진입 방지장치
CN210797365U (zh) 一种智能地锁
KR200412254Y1 (ko) 주차방지구
KR200307144Y1 (ko) 내 충격성을 갖는 볼라드
KR20220142691A (ko) 충격을 흡수하는 오뚜기형 볼라드
KR100591066B1 (ko) 건축물 지하주차장의 진입램프 충돌방지시설
CN104563675B (zh) 自行车驻车锁
JP3119660U (ja) 車庫用収納装置、及び収納構造
KR20090079030A (ko) 건축물 지하 주차장 바닥 시설물
KR101894560B1 (ko) 도로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장치
CN218536380U (zh) 一种电动车充电站
KR100679747B1 (ko) 자동 주차 지킴이
EP0663032A1 (en) Property security
KR200239148Y1 (ko) 주차 관리기.
RU2485244C1 (ru) Дорожное защит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102196251B1 (ko) 대테러 차량 돌진 방호장비
KR102083335B1 (ko) 대테러 차량 돌진 방호장비
KR20200117803A (ko) 선택적 차량 진입 허용을 위한 차량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