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651B1 - 수납식 경사로 - Google Patents

수납식 경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651B1
KR102464651B1 KR1020200055896A KR20200055896A KR102464651B1 KR 102464651 B1 KR102464651 B1 KR 102464651B1 KR 1020200055896 A KR1020200055896 A KR 1020200055896A KR 20200055896 A KR20200055896 A KR 20200055896A KR 102464651 B1 KR102464651 B1 KR 10246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horizontal
ramp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7700A (ko
Inventor
정주현
Original Assignee
정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현 filed Critical 정주현
Priority to KR102020005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6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30Non-permanently installed loading ramps, e.g. transpor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5Ramps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부틀을 지지하는 하부틀로 구성되는 경사 단위체인 단위틀 다수개가 하나의 단위틀 안에 모두 수납되어 있다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전개시 모든 상부틀의 상면 폭이 동일선상으로 평행하게 전개되고, 상기 개별 상부틀의 상면에는 경사조절부재를 통해 경사조절 가능한 발판체가 모두 동일폭으로 설치되어, 완전 전개시 발판체의 디딤판 전후단이 서로 맞물려 단위틀 간의 전개방향 양단폭으로의 요동이 방지된 안정적인 경사로로 사용하고, 불완전 전개시에는 계단으로도 사용 가능한 수납식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납식 경사로{Telescoping collapsible ramp}
본 발명은 수납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부틀을 지지하는 하부틀로 구성되는 경사 단위체인 단위틀 다수개가 하나의 단위틀 안에 모두 수납되어 있다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전개시 모든 상부틀의 상면 폭이 동일선상으로 평행하게 전개되고, 상기 개별 상부틀의 상면에는 경사조절부재를 통해 경사조절 가능한 발판체가 모두 동일폭으로 설치되어, 완전 전개시 발판체의 디딤판 전후단이 서로 맞물려 단위틀 간의 전개방향 양단폭으로의 요동이 방지된 안정적인 경사로로 사용하고, 불완전 전개시에는 계단으로도 사용 가능한 수납식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면과 높이가 다른 무대, 주택의 입구 또는 수화물 적하시에는 편리한 오르내림을 위해 경사로를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경사로는 이미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로는 크게 자리를 차지하는 고정형과 필요시에만 설치할 수 있어 공간활용에 유리한 이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형 경사로는 다시 조립설치형과 수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큰 경사 단위체에 작은 단위체를 순차적으로 수납할 수 있어 보관 및 관리가 상대적으로 편리한 수납식 경사로도 이미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식 경사로 중 국내 등록특허 제10-2084781호(2020.02.27.등록;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는 경사 단위체인 메인받침부, 보조받침부 및 하단연결부를 일체로 결합하여 경사로로 사용한다. 그리고 보관시에는 각 단위체를 서로 분리하여 경사로 진행방향의 역순으로 각 단위체를 재배치한 후에, 가장 큰 메인받침부 중 지상고가 가장 높은 후면을 통해 공간인 메인받침부의 내부로 보조받침부와 하단연결부를 순차적으로 수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가장 큰(높은) 단위체의 내부로 수납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상의 특징은 한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그 문제란 경사로의 최고점과 최저점에 이르는 모든 경사면의 통행방향(전개방향) 양단폭이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등록특허 제10-2084781호에서 하단연결부는 보조받침부의 내부로 수용되기 위해 하단연결부의 경사면 폭은 보조받침부의 경사면 폭보다 작아야만 하고, 다시 보조받침부의 경사면 폭은 메인받침부의 경사면 폭보다 작아야만 한다. 따라서 경사면의 통행방향(전개방향) 양단폭은 메인받침부>보조받침부>하단연결부의 순으로 작아져야만 실시 가능한 구성이다.
각 단위체 별로 경사면의 통행방향 양단폭이 달라질 수밖에 없는 상기 종래기술은 경사면인 통행로의 이동 중에 상이한 통행폭으로 말미암아, 자칫 발을 헛 딛거나 휠체어의 바퀴가 빠지는 등의 문제를 넘어, 더 나아가 상기한 이유로 인해 추락과 같은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132406호(2017.12.04.공개; 컨테이너 화물 적하용 접이식 이동용 도크)는 컨테이너 출입구에 맞닿도록 평평한 호스트발판체와 바닥에서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도입경사판의 사이에 경사로를 만드는 다수개의 서브발판체가 연결되되, 연속하는 상기 호스트발판체, 서브발판체 및 도입경사판의 양측면에는 링크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링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각 단위체를 서로 연결하고 있어 보관시 각 링크부재를 축으로 각 단위체를 회전 접철할 수 있다. 접철을 통해 호스트발판체의 위쪽으로 다수개의 서브발판체 및 도입경사판이 순차적으로 접철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철식 경사로는 상기한 수납식 경사로와는 달리 접철되는 단위체의 모든 경사면의 폭을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5-71360호(1993.09.28.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132406호(2017.12.04.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2084781호(2020.02.27.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식 경사로를 구성하는 각 단위틀이 수납과 전개시 서로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가장 큰 하나의 단위틀의 상면폭과 이 단위틀에 수납되었다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되는 다른 단위틀들의 상면폭이 모두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는 수납식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전개되는 각 단위틀의 상면에 동일폭으로 구비되는 발판체인 디딤판을 설치하되, 디딤판은 전개방향인 후방이 상기 단위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은 경사조절부재를 통해 선택적으로 경사각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경사로 또는 계단으로 사용 가능한 수납식 경사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납식 경사로는 가로, 세로 및 기둥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육면체틀에서 적어도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이 생략된 체 상하부틀의 2단으로 구성되는 단위틀 다수개가 하나의 상기 단위틀 안에 모두 수납되어 있다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전개되되, 상기 상부틀의 상하단 가로프레임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레일과 롤러를 설치하여 전방의 상기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의 하면을 타고 후방의 상기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의 상면이 슬라이딩되어 개별 상기 상부틀 간의 상단 가로프레임의 폭이 동일선으로 평행하게 전개되고, 상기 하부틀은 후방 고정기둥이 생략된 체 상기 상부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 고정기둥을 바닥에 지지하는 가로지지프레임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레일과 롤러를 설치하여 전방의 상기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의 내면을 타고 후방의 상기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의 외면이 슬라이딩 되도록 개별 상기 하부틀에서의 고정기둥의 간격을 전방 하부틀에서 후방 하부틀로 갈수록 대응하여 점차 좁아지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틀에는 후단부가 회전대를 통해 상기 상부틀의 후방 하단 세로프레임 자리 또는 그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전단부는 경사조절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틀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회전지지되어 경사각을 만드는 디딤판을 갖는 발판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재는, 상기 디딤판의 전방 하면에 구비된 회전축대; 일단이 상기 회전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틀의 하단 가로프레임의 상면과 전방 기둥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디딤판의 경사각을 고정시키는 고정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재는, 상기 디딤판의 전방 하면에 구비된 회전축대; 일단이 상기 회전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뭉치; 상기 디딤판의 하면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회전뭉치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회전뭉치의 타단에 고정되는 회전멈춤대; 상기 회전멈춤대가 상기 디딤판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디딤판이 경사각을 갖도록 일단이 상기 회전멈춤대에 고정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를 상기 상부틀의 하단 가로프레임과 전방 기둥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하는 고정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경사로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단위틀이 하나의 가장 큰 단위틀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수납식 경사로 임에도 불구하고, 접철식과 같이 경사면의 폭이 일직선으로 평행하게 모두 동일폭으로 전개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단위틀의 상면에 결합되는 발판체를 선택적으로 경사각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 수납식 경사로를 필요에 따라 경사로 대신 계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 전개 경사로의 사용형태 사시도(A) 및 완전 전개시 단위틀 간의 결합 평면도(B).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부재를 조절하여 발판체를 접은 후 단위틀들을 불완전 수납하여 계단으로 사용됨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틀들을 완전히 수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바퀴 이용이 용이하도록 도 3을 세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단위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완전 전개시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된 경사로가 전개될 때 전개되는 진행방향을 후방, 도면상에서는 오른쪽을 후방이라 하고, 후방과 대응되는 경사로가 전개되는 진행방향의 역방향을 전방, 도면상에서는 왼쪽을 전방이라 한다. 그리고 경사로의 전개방향과 동일방향을 가로(방향) 또는 길이(방향)이라 하고, 전개방향과 수직방향을 세로(방향) 또는 폭(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틀(11)을 지지하는 하부틀(12)로 구성되는 경사 단위체인 단위틀(10) 다수개가 하나의 단위틀(10) 안에 모두 수납되어 있다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전개시 모든 상부틀(11)의 상면폭이 동일선상으로 평행하게 전개된다. 그리고, 상기 개별 상부틀(11)의 상면에는 경사조절부재(23,23')를 통해 경사조절 가능한 발판체(20)가 모두 동일폭으로 설치되어, 완전 전개시 발판체(20)의 디딤판(21) 전후단이 서로 맞물려 단위틀(10) 간의 전개방향 양단폭으로의 요동이 방지된 안정적인 경사로(1)로 사용하고, 불완전 전개시에는 계단으로도 사용 가능한 수납식 경사로이다.
도 1(A)와 같이, 전개시 상면폭이 일직선으로 동일한 다수개 단위틀(1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호스트발판(3)과 진입발판(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입발판(2)은 지면과 경사로(1)의 단차를 매워 휠체어와 같은 바퀴가 달린 이동체를 경사로(1)로 손쉽게 진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발판(3)은 바람직하게 상판이 수평면인 발판으로, 무대 등과 같은 목적한 장소의 가장자리 단과 경사로(1)가 평행하게 배치될 경우 상기 단위틀(10)들의 집합체인 경사로(1)를 통해 호스트발판(3)까지 이동한 후 호스트발판(3)에서 무대로 방향을 수직변경 할 수 있도록 하여 무대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경사로(1)는 도 1(B)와 같이, 다수개가 일렬연속 수납되는 다수개의 상기 단위틀(10)이 모두 전개될 때 상면이 모두 일직선을 유지하며 양단폭이 평행하게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단위틀(10)의 상면에 회전 작동이 가능한 발판체(20)를 접은 후 최전방의 단위틀(10)을 향해 후방의 모든 단위틀(10)들을 절반 가량 밀어 수납하면, 계단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전개길이를 줄여 계단 사용이 가능한데, 이때 설치공간의 면적에 대응하여 각 단위틀(10) 간의 수납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단위틀(10)을 최전방 단위틀(10) 안으로 모두 밀어넣어 수납하면, 도 3과 같이 경사로 전체길이가 대략 하나의 단위틀(10)의 길이 정도로 줄어든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최전방 단위틀(10)의 전방면에 바퀴(C)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완전 수납된 경사로를 도 4와 같이 바퀴(C)를 지면에 닿도록 세우면, 경사로 전체를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어 이동이 편리함은 물론, 경사로가 세워짐에 따라 지면에 대한 면적이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개방향을 따라 상면폭을 동일하게 유지하는 상기 단위틀(10)은 도 5와 같이, 상부틀(11)을 지지하는 하부틀(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틀(11) 및 하부틀(12)은 모두 기본적으로 가로(Width), 세로(Length) 및 기둥(Height)의 프레임이 전후(Front, Rear) 상하(Top, Bottom)로 이루어지는 육면체틀이다. 그러나 상기 상부틀(11) 및 하부틀(12)은 육면체틀의 프레임 중 적어도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11RL, 도면 미도시)이 반드시 제거(생략)되어야만 한다.
기본적으로 육면체틀은 사각인 육면의 각 변이 모두 프레임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육면체틀인 상부틀(11)에 경사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1(A)의 최전방 단위틀(10)을 기준으로 육면체틀의 내면을 대각선방향으로 가로질러 발판체(20)를 결합시켜야 한다. 이때, 육면체틀에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11RL, 도면 미도시)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각 단위틀(10)마다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11RL, 도면 미도시)이 진행을 방해하는 것은 당연하거니와, 더 나아가 휠체어 등과 같은 바퀴로 이동하는 이동체는 이동이 전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틀(11)은 육면체틀로 구성되되, 최소한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11RL, 도면 미도시)은 반드시 제거된 상태이어야만 한다.
그리고, 하부틀(12) 또한 육면체틀에서 적어도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12RL, 도면 미도시)이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한다. 이는 도 1(B)처럼 본 발명의 특징인 모든 상기 상부틀(11)의 상면이 일직선으로 동일 평행선상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구성상의 이유와 동일한 이유에서 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틀(11)은 전개방향 양쪽으로 가로프레임(11TW,11BW)이 상단과 하단에 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과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하면에는 각각 레일(111)과 롤러(112)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할 때, 이러한 구성의 상부틀(11)은 전방의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하면을 타고, 후방의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이 면상으로 슬라이딩 된다. 다시 말해, 전방의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하면 후방에 설치된 롤러(112)가 후방의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을 따라 설치된 레일(111)을 타고 면상으로 슬라이딩 됨과 함께, 후방의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 전방에 설치된 롤러(112)가 전방의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하면을 따라 설치된 레일(111)을 타고 면상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전방의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하면을 따라 후방의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이 면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연속하는 단위틀(10)들이 구성되기 때문에, 연속하는 모든 상부틀(11)의 상면 세로폭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틀(11)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하부틀(12)의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12RL, 도면 미도시)이 제거되어야만 전방의 상부틀(11)과 후방의 상부틀(11)의 슬라이딩이 가능해 진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틀의 상하단 가로프레임(11TW,11BW)은 전후방 기둥프레임(11FH,11RH)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가로프레임(11TW,11BW)의 폭은 전방 세로프레임(11FL)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방 세로프레임(11FL)의 길이에 의해 상부틀(11)의 세로폭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상부틀의 상단 가로프레임(11TW)과 후방 기둥프레임(11RH)이 결합하는 결합단부는 바람직하게 결합구(113)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113)는 후방 상부틀의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에 전방 상부틀의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하면을 결합할 때, 전방 상부틀의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하면 전방에 설치된 롤러(112)를 상기 결합구(113)를 해체 한 후에, 후방 상부틀의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111)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해체한 상기 결합구(113)를 다시 결합하면 손쉽게 전후방 상부틀(11)을 결속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하부틀(12)에서 후방 기둥프레임인 후방 고정기둥은 상기 상부틀(11)의 슬라이딩 구조로 인해 제거되어야만 한다. 만약, 후방 고정기둥이 설치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틀(12)의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상부틀(11) 간의 슬라이딩 구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하부틀(12)의 구성상 특징으로 인해, 상기 하부틀(12)에서 전방 기둥프레임인 전방 고정기둥(12FH)은 전방에서 상부틀(11)을 높이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전방에서 양쪽으로 상부틀(11)을 지지하는 상기 고정기둥(12FH)의 하단에는 각각 가로지지프레임(12BW)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지지프레임(12BW)은 하부틀의 하단 가로프레임에 해당하며, 하부틀(12)의 상단 가로프레임은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내면과 외면에는 각각 레일(121)과 롤러(122)가 설치된다. 도 2처럼, 전방의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내면을 타고, 후방의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외면이 면상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도 2 및 도 6과 같이, 전방의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내면 후방에 설치된 롤러(122)가 후방의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외면을 따라 설치된 레일(121)을 타고 면상으로 슬라이딩 됨과 함께, 후방의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외면 전방에 설치된 롤러(122)가 전방의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레일(121)을 타고 면상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방의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내면을 따라 후방의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외면이 면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단위틀(10)들이 연속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연속하는 개별 하부틀(12)에서의 고정기둥(12FH)의 간격은 전방 하부틀(12)에서 후방 하부틀(12)로 갈수록 대응 관계를 바탕으로 점차 세로폭이 좁아지게 구성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상기 상부틀(11)에는 경사발판인 디딤판(21)이 회전대(22)와 경사조절부재(23,23')에 의해 경사조절이 가능한 발판체(20)가 해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발판체(20)는 상기 디딤판(21)의 후단부에 구비된 회전대(22)가 상기 상부틀(1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대(22)는 바람직하게 상기 디딤판(21)의 후단 하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대(22)는 상기 상부틀의 후방 세로프레임(11RL, 도면 미도시) 중 하단프레임을 대체하여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틀의 후방 하단 세로프레임(11RL, 도면 미도시)의 부근에 체결구(22a)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경사조절부재(23,23')는 바람직하게 상기 디딤판(21)의 전단부 하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조절부재(23,23')는 디딤판(21)의 전방 하면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틀(11)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디딤판(21)이 경사각을 갖도록 한다.
상기 디딤판(21)에 경사각을 만드는 상기 경사조절부재(23,23')는 회전축대(23a), 회전뭉치(23d), 회전멈춤대(23e), 받침대(23b,23b') 및 고정대(23c,2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회전축대(23a)는 상기 디딤판(21)의 후단에 설치된 상기 회전대(22)에서 부터 디딤판(21)의 전단부까지 이어지는 프레임의 전방단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대(23a)는 디딤판(21)의 버팀강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디딤판(21)의 하면 양쪽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3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대(23a)를 제외한 상기 경사부재(23,23')는 2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경사부재(23')는 도 5의 부분사시도 (A)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대(23a)에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대(2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23b')가 설치되고, 이 받침대(23b')의 타단에는 폭방향으로 길다란 고정대(23c')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23c')는 상기 상부틀의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상면과 전방 기둥프레임(11F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디딤판(21)이 경사각을 갖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23b')는 상기 회전축대(23a)의 결합구성 상의 특징으로 인해 상기 디딤판(21)과 수직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전이 불가능하고 전방을 향해서면 회전 가능한 전방회전형 경사조절부재(23')이다. 따라서 상기 전방회전형 경사조절부재(23')는 후술한 후방회전형 경사조절부재(23)에 비해 디딤판(21)의 전방단이 상기 회전축대(23a)의 회전축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방회전형 경사조절부재(23')의 회전동작이 용이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재(23)는 도 5의 (B)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작동은 도 6의 부분확대도를 참고한다. 후방회전형 경사조절부재(23)에서는 상기 회전축대(23a)의 회전축에 상기 회전뭉치(23d)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상기 회전뭉치(23d)의 타단에는 막대형태의 상기 회전멈춤대(23e)가 결합설치된다.
상기 회전멈춤대(23e)는 바람직하게 사각파이프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대(23a)에 대한 상기 회전뭉치(23d)의 전방회전을 회전멈춤대(23e)가 디딤판(21)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저지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멈춤대(23e)에는 상기 받침대(23b)가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멈춤대(23e)에 상기 받침대(23b)의 결합각은 직각이다. 물론, 상기 회전멈춤대(23e)와 상기 받침대(23b)의 결합각은 둔각 또는 예각이 될 수 있으나, 그렇더라도 직각에 가까운 범위 내에서 둔각 또는 예각을 갖는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받침대(23b)가 상기 디딤판(21)에 대해 바람직하게 직각을 유지한 체 전방으로 회전이 저지된다. 이는 상기 받침대(23b)에 상기 회전멈춤대(23e)가 직각으로 결합하여 받침대(23b)가 디딤판(21)과 직각을 이룰 때, 회전멈춤대(23e)가 디딤판(21)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뭉치(23d)의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상기 회전멈춤대(23e)가 상기 디딤판(21)의 하면에 프레임 형태의 사각면 중 하나의 면 전체가 접촉하여 상기 회전뭉치(23d)의 회전을 저지할 때, 회전멈춤대(23e)에 수직하게 상기 받침대(23b)가 결합되고, 이 받침대(23b)는 다시 고정대(23c)에 의해 상기 상부틀(11)에 지지된다. 이러한 연속구성을 통해 디딤판(21)에 많은 하중이 부여되더라도, 상기 회전멈춤대(23e)가 사각프레임의 한 면 전체로 회전뭉치(23d)의 회전을 저지하여 디딤판(21)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23b)는 싱기 회전멈춤대(23e)가 상기 디딤판(21)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을 멈춤상태에서, 상기 디딤판(21)이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받침대(23b)의 타단에 결합된 상기 고정대(23c)를 통해 상기 상부틀의 하단 가로프레임(11BW)과 전방 기둥프레임(11F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의 부분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뭉치(23d)가 상기 디딤판(21)의 후방으로 회전동작함에 따라 상기 회전멈춤대(23e), 받침대(23b) 및 고정대(23c)가 함께 디딤판(21)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접혀진다. 이렇게 되면, 디딤판(21)의 전방부는 후방에 구비된 상기 회전대(22)를 축으로 아래로 회전하여 상기 접혀진 고정대(23c)가 상기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11BW)에 접촉할 때가지 회전 하강하여 전체적으로 경사각을 잃게 된다. 이렇게 상기 디딤판(21)이 경사각을 상실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도 2처럼 경사로가 아닌 계단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 경사로 2: 진입발판
3: 호스트발판 C: 바퀴
10: 단위틀
11: 상부틀 111, 121: 레일
112, 122: 롤러 113: 결합구
11TW: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 11BW: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
11FL: 상부틀 전방 세로프레임 11RL: 상부틀 후방 세로프레임
11FH: 상부틀 전방 기둥프레임 11RH: 상부틀 후방 기둥프레임
12: 하부틀 12BW: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
12FL: 하부틀 전방 세로프레임 12FH: 하부틀 고정기둥
20: 발판체 21: 디딤판
22: 회전대 22a: 체결구
23, 23': 경사조절부재 23a: 회전축대
23b, 23b': 받침대 23c, 23c': 고정대
23d: 회전뭉치 23e: 회전멈춤대

Claims (3)

  1. 가로, 세로 및 기둥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육면체틀에서 적어도 후방 상단 세로프레임이 생략된 체 상하부틀(11,12)의 2단으로 구성되는 단위틀(10) 다수개가 하나의 상기 단위틀(10) 안에 모두 수납되어 있다가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전개되되,
    상기 상부틀(11)의 상하단 가로프레임(11TW,11BW)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레일(111)과 롤러(112)를 설치하여 전방의 상기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하면을 타고 후방의 상기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이 슬라이딩되어 개별 상기 상부틀(11) 간의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폭이 동일선으로 평행하게 전개되고,
    상기 상부틀(11)의 상단 가로프레임(11TW)과 상부틀 후방 기둥프레임(11RH)의 결합단부에는 탈착 가능한 결합구(113)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구(113)을 이용해 전방의 상기 상부틀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하면에 설치된 롤러(112)를 후방의 상기 상부틀 상단 가로프레임(11TW)의 상면에 설치된 레일(111)에 결합설치하고,
    상기 하부틀(12)은 후방 고정기둥이 생략된 체 상기 상부틀(1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 고정기둥(12FH)을 바닥에 지지하는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외면과 내면에 각각 레일(121)과 롤러(122)를 설치하여 전방의 상기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내면을 타고 후방의 상기 하부틀 가로지지프레임(12BW)의 외면이 슬라이딩 되도록 개별 상기 하부틀(12)에서의 상기 전방 고정기둥(12FH)의 간격을 전방 하부틀(12)에서 후방 하부틀(12)로 갈수록 대응하여 점차 좁아지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틀(11)에는 후단부가 회전대(22)를 통해 상기 상부틀 후방 하단 세로프레임 자리 또는 그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전단부는 경사조절부재(23,23')를 통해 상기 상부틀(11)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회전지지되어 경사각을 만드는 디딤판(21)을 갖는 발판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경사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재(23')는, 상기 디딤판(21)의 전방 하면에 구비된 회전축대(23a); 일단이 상기 회전축대(2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대(23b'); 및 상기 받침대(23b')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틀의 하단 가로프레임(11BW)의 상면과 전방 기둥프레임(11F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디딤판(21)의 경사각을 고정시키는 고정대(23c');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경사로.
  3. 제1항에 있이서,
    상기 경사조절부재(23)는, 상기 디딤판(21)의 전방 하면에 구비된 회전축대(23a); 일단이 상기 회전축대(23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뭉치(23d); 상기 디딤판(21)의 하면에 접촉지지되어 상기 회전뭉치(23d)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상기 회전뭉치(23d)의 타단에 고정되는 회전멈춤대(23e); 상기 회전멈춤대(23e)가 상기 디딤판(21)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디딤판(21)이 경사각을 갖도록 일단이 상기 회전멈춤대(23e)에 고정설치되는 받침대(23b); 상기 받침대(23b)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23b)를 상기 상부틀의 하단 가로프레임(11BW)과 전방 기둥프레임(11F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하는 고정대(23c);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경사로.
KR1020200055896A 2020-05-11 2020-05-11 수납식 경사로 KR10246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896A KR102464651B1 (ko) 2020-05-11 2020-05-11 수납식 경사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896A KR102464651B1 (ko) 2020-05-11 2020-05-11 수납식 경사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00A KR20210137700A (ko) 2021-11-18
KR102464651B1 true KR102464651B1 (ko) 2022-11-08

Family

ID=7871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896A KR102464651B1 (ko) 2020-05-11 2020-05-11 수납식 경사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6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3423A (ja) * 2016-09-26 2018-04-05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スロー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909B2 (ja) 1991-09-06 2000-12-25 マツダ株式会社 機械式過給機の制御装置
JP3375463B2 (ja) * 1995-07-28 2003-02-10 和則 春田 収納式スロープ
JP3325161B2 (ja) * 1995-07-28 2002-09-17 和則 春田 収納式スロープ
KR20170132406A (ko) 2016-05-24 2017-12-04 박진수 컨테이너 화물 적하용 접이식 이동용 도크
KR102084781B1 (ko) 2019-06-15 2020-03-04 이혜옥 장애인용 경사보도판 및 그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3423A (ja) * 2016-09-26 2018-04-05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スロー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700A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4330B1 (en) Foldable, multi-level staging and seating support
KR100215347B1 (ko) 다단계 절첩식 스테이지
EP0381674B1 (en) Mobile folding choral riser
US7617635B2 (en) Multi-configurable platform seating system
CA1303640C (en) Fold and roll staging
JPS6278368A (ja) 劇場舞台
US8438786B2 (en) Flexible venue system
EP3635198B1 (en) Portable stage system
US7584575B2 (en) Variable height fold and roll staging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8640388B2 (en) Rostrum and support structure
JPS6115227B2 (ko)
KR102464651B1 (ko) 수납식 경사로
JP3352089B2 (ja) 多重折畳みステージ
KR102061323B1 (ko) 모듈형 조립식 경사로
US4909000A (en) Folding grandstand
CA2324073C (en) Transportable podium
US2663913A (en) Grandstand
US6694677B2 (en) Transportable podium
KR200490908Y1 (ko) 조립식 경사로
EP4043669B1 (en) Convertible modular grandstand
JP3407216B2 (ja) 移動観覧席
JPH11311034A (ja) 仮設観覧席
JPS6361457B2 (ko)
JPS6316779Y2 (ko)
JP4153437B2 (ja) 階段状観覧席における床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