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710B1 -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710B1
KR102463710B1 KR1020170144839A KR20170144839A KR102463710B1 KR 102463710 B1 KR102463710 B1 KR 102463710B1 KR 1020170144839 A KR1020170144839 A KR 1020170144839A KR 20170144839 A KR20170144839 A KR 20170144839A KR 102463710 B1 KR102463710 B1 KR 10246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oor
signal
vehicl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226A (ko
Inventor
손정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7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는,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고,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스마트키 유닛의 제어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OR UNLOCK OF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 핸들에는 차량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버튼 또는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도어 핸들의 버튼 또는 센서를 조작 또는 터치 함으로써 차량 도어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시킬 수 있었다.
최근, 차량의 도어 핸들에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를 배치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락(LOCK) 제어 및 언락(UNLOCK) 제어를 위한 센서를 각각 배치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외관 향상을 위해 차량의 도어 핸들에 터치 타입의 센서 적용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도어 핸들에는 크롬 도금을 많이 적용하는데, 이 경우 도어 핸들에 배치된 하나의 센서를 터치할 경우 크롬 도금 특성상 전류 패스가 형성되어 다른 센서도 오감지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차량의 도어 핸들에 비정전 도장을 할 수는 있으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핸들의 크롬 도금 방식을 유지하면서 두 개의 터치 센서의 오감지를 최소화하도록 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는,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고,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스마트키 유닛의 제어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도어 락(LOCK)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도어 언락(UNLOCK)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도어가 락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및 도어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로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 및 도어 언락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로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핸들의 크롬 도금 방식을 유지함에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두 개의 터치 센서의 오감지를 최소화하고 차량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포브(Fob)(50) 및 차량(10)의 잠금 제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포브(50)는 차량(10)으로부터 정해진 범위 내에 진입하면 차량(10)에 구비된 LF 안테나(13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고, LF 안테나(135)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LF 안테나(135)로 신호를 출력한다.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 핸들(15)에 배치되는 센서들을 포함하며, 포브(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 핸들(15)에 배치된 센서들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포브(50)의 위치 변화 및 활성화된 센서들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 센서를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세이블(disable) 시키고, 이때 이네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 잠금 상태, 즉, 락(LOCK) 또는 언락(UN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10)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센서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스마트키 유닛(150) 및 구동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차량(10)의 도어 핸들(150)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도어 핸들(150)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센서(121) 및 도어 핸들(150)의 내측에 배치된 제2 센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2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감지되면 스마트키 유닛(150)으로 도어 락(LOCK)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센서(125)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감지되면 스마트키 유닛(150)으로 도어 언락(UNLOCK)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는 사람의 몸을 통한 기전력을 기준으로 터치 여부를 검출하여, 사람의 손에 의해 센서를 터치했을 때 센서의 표면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콘덴서의 충/방전을 통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는 센서 터치 시 발생한 정전용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정전용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스마트키 유닛(150)으로 출력하게 된다. 물론,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는 실시 형태에 따라 정전용량 방식으로 입력을 감지하는 다른 형태의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차량(10)의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포브(5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차량(10)에 구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F 안테나(135)를 통해 포브(2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차량(10)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제어유닛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모듈은 차량(10)의 시동 온 또는 오프 상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차량(10) 내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스마트키 유닛(1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차량(10)의 도어 잠금 장치로 엑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등의 차량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40)는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의 이네이블(enable) 또는 디세이블(disable)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조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1 센서(121) 및/또는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10)의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및/또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또는 오프 상태, 도어의 열림 또는 잠금 상태,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에 따라 제1 센서(121) 또는 제2 센서(125)의 디세이블(disable)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 또는 제2 센서(125)의 디세이블(disable) 상태, 차량(10)의 시동 온 또는 오프 상태, 포브(50)의 위치 변화 상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에 따라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가 감지되고 도어의 닫힘 상태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하차 조건을 고려하여 제2 센서(125)가 디세이블(disable)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센서(125)는 디세이블(disable) 상태이므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로부터 입력되는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 락(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신호에 대응하는 락(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락(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락(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2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가 감지된 상태에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 이때,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포브(50)의 위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차량(10)의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도어의 락(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로부터 입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락(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락(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락(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 미만이면 도어의 언락(UN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언락(UN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언락(UN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언락(UN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3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에서 전체 도어의 락(LOCK) 상태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승차 조건을 고려하여 제1 센서(121)가 디세이블(disable)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121)는 디세이블(disable) 상태이므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되는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도어의 언락(UN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언락(UN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언락(UN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언락(UN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제4 실시예로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에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 이때,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포브(50)의 위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차량(10)의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1 센서(121)의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도어의 언락(UNLOCK)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된 제2 신호에 대응하는 언락(UN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언락(UN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언락(UN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2 센서(125)의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1 센서(121)의 정전용량 변화량 미만이면 도어의 락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50)은 제1 센서(121)로부터 입력된 제1 신호에 대응하는 락(LOCK) 제어신호를 구동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60)는 스마트키 유닛(150)으로부터 출력된 락(LOCK)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도어가 락(LOCK)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동작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와 각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이 시동 온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로의 변화가 감지되면(S110), 사용자의 하차 조건을 고려하여 락(LOCK) 플래그를 설정한다(S120). 일 예로, 'ㄴ120' 과정에서 'LOCK Flag=1'이 될 수 있다.
이후,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변화가 감지되면(S130), 제2 센서(125)를 디세이블(disable) 시킨다(S140). 따라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가 모두 인에이블 상태에 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1 센서(121)의 입력만을 감지하게 된다.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1 센서(121)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S150), 차량(10)의 도어를 락(LOCK) 시킨다(S160). 이때,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가 락(LOCK) 상태가 되었으므로, 락(LOCK) 플래그를 해제한다(S17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S130' 과정에서 차량(10)의 도어의 닫힘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도 4의 A이후 과정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S210),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S220). ‘S220' 과정에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포브(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포브(5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포브(50)의 위치를 비교하며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포브(50)의 위치 변화 모니터링 결과, 포브(50)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 근접 위치로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S230),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 및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을 비교한다(S240). ‘S240' 과정의 비교 결과,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이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 이상이면(S250),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를 락(LOCK) 시킨다(S260).
한편, ‘S250' 과정에서,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이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 미만인 경우,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를 언락(UNLOCK) 시킨다(S270).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이 시동 온 상태에서(S310), 모든 도어의 락(LOCK) 상태가 감지되면(S320), 사용자의 승차 조건을 고려하여 제1 센서(121)를 디세이블(disable) 시킨다(S330). 이 경우,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가 모두 인에이블 상태에 됨에 따라 발생하는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인에이블(enable) 상태의 제2 센서(125)의 입력만을 감지하게 된다.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S340), 차량(10)의 도어를 언락(UNLOCK) 시킨다(S160).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S320' 과정에서 차량(10)의 모든 도어의 락(LOCK)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도 6의 B 이후 과정을 수행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시동 온 상태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가 언락(UNLOCK)인 상태에서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입력이 감지되면(S410),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한다(S420). ‘S420' 과정에서,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포브(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포브(50)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포브(50)의 위치를 비교하며 포브(5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포브(50)의 위치 변화 모니터링 결과, 포브(50)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 근접 위치로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S430),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 및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을 비교한다(S440). ‘S440' 과정의 비교 결과,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이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 이상이면(S450),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를 언락(UNLOCK) 시킨다(S460).
한편, ‘S450' 과정에서,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2)이 제1 센서(121)에 의해 감지된 정전용량 변화량(C1) 미만인 경우,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를 락(LOCK) 시킨다(S470)
이상에서 살펴본 제1 실시예 및/또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100)는 차량(10)의 상태에 따라 제1 센서(121) 또는 제2 센서(125)를 디세이블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도어 핸들(150)을 잡는 경우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동시에 입력이 감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센서 오감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 및/또는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로부터 동시에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5)에 의해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따라 어느 하나의 센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도어의 락(LOCK) 또는 언락(UNLOCK)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차량 15: 도어 핸들
50: 포브 100: 잠금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 센서부
121: 제1 센서 125: 제2 센서
130: 통신부 135: LF 안테나
140: 저장부 150: 스마트키 유닛
160: 구동 제어부

Claims (19)

  1.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고,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스마트키 유닛; 및
    상기 스마트키 유닛의 제어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1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도어 락(LOCK)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도어 언락(UNLOCK)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도어가 락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및 도어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로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 및 도어 언락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구동 제어부로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13.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도어의 상태에 따라 도어 핸들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인에이블 상태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의 엑츄에이터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로부터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제1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도어 락(LOCK)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2 센서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도어 언락(UNLOCK)에 대응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2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인에이블 또는 디세이블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모든 도어가 락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를 디세이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및 도어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내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온 및 도어 언락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락 또는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포브의 위치가 실외에서 실외의 근접 위치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을 확인하여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이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정전용량 변화량 이상이면 언락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락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방법.
KR1020170144839A 2017-11-01 2017-11-01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63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839A KR102463710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839A KR102463710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226A KR20190049226A (ko) 2019-05-09
KR102463710B1 true KR102463710B1 (ko) 2022-11-07

Family

ID=6654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839A KR102463710B1 (ko) 2017-11-01 2017-11-01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837B (zh) * 2019-08-26 2021-04-02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拉手、汽车及用于车门的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329A (ja) * 2006-09-21 2008-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217B1 (ko) * 2011-05-03 2018-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도어락을 위한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5329A (ja) * 2006-09-21 2008-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226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087B2 (ja) 車両用接触検知装置及び車両用セキュリティ装置
US10662682B2 (en) Access system for a vehicle
US20130033362A1 (en) Approach and/or a contact detection device, associated method and vehicle door handle
JP4604739B2 (ja) 静電容量検出装置
JP5106533B2 (ja) 制御装置
US201202492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passive entry
US20150085311A1 (en) Method of sensing connection of usb device in power save mo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CN107590880B (zh) 电容式车辆进入控制
JP6907797B2 (ja) 車両用ドア開閉制御装置
US10988108B2 (en) Terminal,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based on detected vibration
JP2019156283A (ja) 歩行検知装置及び歩行検知システム
KR20210142928A (ko) 차량 및 차량 도어 터치 센서의 오작동 방지 방법
KR102463710B1 (ko) 차량 도어의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
JP3597669B2 (ja) 人体接近弁別回路
KR100767477B1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US10864890B2 (en) Electronic key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key
KR20190104585A (ko) 접근 검출 센서 상에서 가짜 접촉을 결정하는 방법
US20210284188A1 (en) Electronic apparatus, input locking control method, and input locking control program
CN110301090B (zh) 确定接近检测传感器上的干扰接触
JP6860742B2 (ja) ドアハンドル
WO2017049007A1 (en) Multi-modal vehicle door handle
KR102463713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3873422A (zh) 一种peps系统钥匙的定位方法及装置
KR102056105B1 (ko) 전류 소모 방지 기능을 갖는 트렁크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339993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