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509B1 - 공기압 피스톤 축포 - Google Patents

공기압 피스톤 축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509B1
KR102463509B1 KR1020200078148A KR20200078148A KR102463509B1 KR 102463509 B1 KR102463509 B1 KR 102463509B1 KR 1020200078148 A KR1020200078148 A KR 1020200078148A KR 20200078148 A KR20200078148 A KR 20200078148A KR 102463509 B1 KR102463509 B1 KR 102463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member
piston
main body
cove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466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범 filed Critical 김용범
Priority to KR1020200078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10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 A63H29/16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by steam or compress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01One-piece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F16J10/02Cylinders designed to receive moving pistons or plu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F41B11/89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공기압 피스톤 축포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중공의 소정 길이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배플 부재, 상기 커버와 상기 배플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장식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압 피스톤 축포{CANNON SALUTE USING PNEUMATIC OF PISTON CANNON}
본 발명은 공기압 피스톤 축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축포를 터뜨릴 수 있는 공기압 피스톤 축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일이나 각종 기념일 등의 축하 행사시에는 샴페인과 폭죽 등을 터뜨리며 축하 분위기를 조성시키고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폭죽은 원뿔형으로 된 밀폐용기 하부에 화약을 장치하고, 그 상부에는 색 테이프나 색지 등을 내장시켜 화약이 폭발할 때의 압력에 의하여 색 테이프 등이 공중으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축하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폭죽의 경우, 펑 소리가 나는 폭음과 함께 색 테이프가 분출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각각 갖고 있어 축하 분위기를 효율적으로 연출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폭죽의 경우 색 테이프를 분출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화약을 사용했기 때문에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6549호, 2001.03.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축포를 터뜨릴 수 있는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중공의 소정 길이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배플 부재, 상기 커버와 상기 배플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장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플 부재에 밀착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물망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경이 적어도 상기 본체의 횡단면적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배플 부재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환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플 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 고리에 의해 외측 일부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에 제1 연결끈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상기 배플 부재는 제2 연결끈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확경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확경부의 외주면의 둘레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에 따르면 중공의 소정 길이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배플 부재, 상기 배플 부재의 개구부 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장식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및 상기 배플 부재의 테두리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안착 고정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플 부재의 저면에 외측 연결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내측 연결 고리와 상기 외측 연결 고리를 연결하는 연결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축포를 터뜨릴 수 있으므로, 화약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화재 위험을 개선한 것으로, 가정, 사무실, 어린이집 등 실내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며 공기압 및 색종이의 재충전이 가능하므로 재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한 손으로 본체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피스톤을 가압하여 본체 내부에 공기압이 상승하면서 커버가 소리와 함께 개방되면서 장식물이 비산되므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타나낸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플 부재가 외부로 발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본체(100), 피스톤(110), 커버(120), 그물망 지지체(130), 배플 부재(140), 수용 공간(102) 및 장식물(M)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피스톤(110)이 본체(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에 다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피스톤(110)이 본체(10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본체(100)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외의 어떤 형상도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체(100)의 중공 내측 벽면을 따라 피스톤(110)이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다.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버(120)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고,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상의 플랜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03)는 피스톤(110)이 본체(100)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피스톤(110)이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110)의 후술하는 가압판(110a)의 반대측 단부에는 파지부(110b)가 형성되고, 피스톤(110)이 내부 공간(1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파지부(110b)가 플랜지(103)와 접촉함으로써 피스톤(11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한다.
피스톤(110)은 소정 길이의 기둥 형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110)은 본체(100)의 내부 공간(102)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왕복 운동 하는 것으로서, 피스톤(110)의 본체(100) 내부에 삽입된 일부분의 단부에는 가압판(110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110a)은 본체(100)의 내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대된 형상으로서, 그 직경 또는 면적은 본체(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110a)은 본체(100)의 횡단면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본체(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판(110a)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0)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본체(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판(110a)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압판(110a)의 외주면에는 본체(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기밀성이 확보되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피스톤(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가압판(110a)의 반대측 단부에는 파지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10b)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파지부(110a)는 피스톤(110)이 본체(100)의 내부 공간(102)을 향하여 압축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플랜지(103)와 접촉함으로써 피스톤(110)의 최대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한다.
커버(120)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커버(120)는 본체(100) 내부의 공기 압력이 발생하여 미는 힘을 받게 되는 경우 외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본체(100)의 상기 개구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공기압에 도달하는 경우에 분리 가능하도록 별도의 지지 부재 또는 접착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물망 지지체(130)는 본체(10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의 유동만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물망 지지체(130)는 메쉬(mesh)를 포함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정 입자의 크기를 분류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쉬 번호는 4~2500 mesh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장식물은 다양한 크기의 색종이 또는 그 외의 다양한 크기 또는 입자를 갖고 있으므로 그 중 최소 크기의 장식물이 통과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압력 손실값, 개구율, 입자의 허용 크기 등을 고려한 메쉬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그물망 지지체(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식물이 본체(100)의 내부 공간(102)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장식물(M)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유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배플 부재(140)는 그물망 지지체(130)에 밀착되고, 본체(100)의 내부 공간(102)을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플 부재(140)는 본체(100)의 횡단면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압력을 최대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플 부재(140)의 형상은 소정 두께를 갖되, 본체(10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 공간(102)을 밀폐하여 구획하도록 한다.
커버(120)와 배플 부재(140) 사이에는 수용 공간(10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1)에는 다양한 색상의 종이, 메모 반지 등의 장식물(M)이 충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의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걸림 돌기(250) 및 스토퍼(211)가 더 포함되는 구성 외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살펴보면, 본체(200)의 내주면에 배치된 배플 부재(2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250)는 그물망 지지체(230)를 기준으로 배플 부재(240)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 돌기(250)와 그물망 지지체(230)사이에 배플 부재(240)가 사이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배플 부재(240)의 거동을 억제하게 된다.
하지만, 본체(200)의 내부 공간에 공기압이 발생되어 배플 부재(240)가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걸림 돌기(250)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작동은 후술한다.
걸림 돌기(25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플 부재(240)의 거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외에도, 걸림 돌기(250)는 본체(200)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환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걸림 돌기(250)의 내부 공간(201)으로의 돌출되는 거리는 배플 부재(240)의 공기압 형성으로 인한 탄성 변형 시 배플 부재(240)의 변형률을 고려함과 동시에 걸림 돌기(250)를 통과하여 이탈이 가능한 거리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스토퍼(211)는 피스톤(2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플랜지(203)에 걸림 고정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피스톤(210)이 본체(200)의 내부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것은, 피스톤(210)의 압축 방향을 따른 이동 중에 본체(200)의 내주면에 설치된 그물망 지지체(230) 및 배플 부재(240)에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파지부(210b)를 파지한 상태로 피스톤(210)을 본체(200)의 내부 공간(202)을 향하여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본체(200)의 내부 공간(202)에는 공기압이 상승하게 된다.
본체(200)의 내부 공간(202)의 공기압 상승으로 인해, 배플 부재(240)가 피스톤(210)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피스톤(210)의 파지부(210b)가 플랜지(203)와 접촉하는 최대 이동 거리만큼 이동되면 본체(200) 내부 공간에는 최대 공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최대로 탄성 변형된 배플 부재(240)는 걸림 돌기(250)를 통과하면서 이탈됨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수용 공간(201)에 충전되어 있던 장식물(M)은 배플 부재(240)의 미는 힘에 의해 더욱 강한 힘을 받으며 외부로 비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의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커버(320)가 본체(300)에 힌지 결합된 구성 이외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커버(320)가 힌지 부재(321)를 통해 본체(300)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다.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파지부(310b)를 파지한 상태로 피스톤(310)을 가압하면 피스톤(310)이 내부 공간(302)을 향하여 압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본체(300)의 내부 공간(302)에 공기압이 발생되고, 파지부(310b)가 플랜지(303)와 접촉하는 최대 거리만큼 이동하면 내부 공간(302)에 최대 공기압이 형성됨과 동시에 배플 부재(340)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수용 공간(301)의 장식물(M)과 함께 비산하게 되지만, 커버(320)가 힌지 부재(321)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개방되므로 커버(320)가 비산하면서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에게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의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커버(420)가 본체(400)에 연결끈(421)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 이외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420)가 본체(400)에 연결끈(42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파지부(410b)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스톤(410)을 가압하면, 피스톤(410)이 내부 공간(402)을 향하여 압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파지부(410b)가 플랜지(403)에 접촉하는 최대 거리만큼 이동하면 내부 공간(402)에 최대 공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배플 부재(440)가 가압되어 수용 공간(401)의 장식물(M)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커버(420)가 본체(400)에 연결끈(421)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커버(420)가 비산되면서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에게 타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의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커버(520)의 일측이 본체(500)에 제1 연결끈(521)으로 연결되어 있고, 커버(520)의 타측이 배플 부재(540)와 제2 연결끈(522)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 외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파지부(510b)를 파지한 상태로 피스톤(510)을 가압하면 피스톤(510)이 본체(500)의 내부 공간(502)을 향하여 압축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파지부(510b)가 플랜지(503)에 접촉하는 최대 거리만큼 이동하면 본체(500)의 내부 공간(502)에 최대 공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배플 부재(540)에 압력이 가해지면 커버(520)가 분리됨과 동시에 배플 부재(540)와 수용 공간(501)의 장식물(M)이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커버(520)는 제1 연결끈(521)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커버(520)가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을 향하여 비산되어 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배플 부재(540)는 제2 연결끈(522)에 의해 커버(520)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배플 부재(540) 또한 외부로 비산되어 사용자 또는 주변 사람에게 타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의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커버(620)가 본체(600)로부터 분리 또는 파단되기 쉬운 얇은 종이 또는 비닐로 이루어지고, 장식물(M)의 수용 공간(601)의 내경이 본체(60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확경부(630)를 포함하며, 확경부(630)의 외주면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공(631)이 형성되는 점 이외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본체(600)의 내부 공간(602)을 구획하기 위한 배플 부재(6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플 부재(640)는 본체(600)의 내주면에 억지 끼움 방식 또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지만, 본체(600)의 내부 공간(602)에 특정 공기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플 부재(640)는 본체(600)의 횡단면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압력을 최대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플 부재(640)의 형상은 소정 두께를 갖되, 본체(60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체(600)의 내부 공간(602)을 밀폐하여 구획하도록 한다. 이때, 배플 부재(640)는 복수의 장식물(M)이 충전되는 수용 공간(601)을 형성하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공간(601)을 둘러싼 본체(600)의 일부분의 내경이 확대되는 확경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확경부(630)는 내부 공간(602)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압에 대한 저항이 최소화되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장식물(M)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확경부(630)에는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소정 각도로 이격되는 복수의 관통공(63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631)은 본체(6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 또는 장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631)은 수용 공간(601) 내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최소화 함으로써 장식물(M)의 비산 거리를 보다 길게 연장할 수 있는 조건을 부여함과 동시에, 공기압이 관통공(631)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특유의 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축포에 보다 다양한 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를 개략적으로 타나낸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배플 부재가 외부로 발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본체(700)의 내주면에 내측 연결 고리(721)가 형성되고, 내측 연결 고리(721)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끈(722)을 포함하되, 연결끈(722)의 타단이 외측 연결 고리(723)를 통해 연결되는 배플 부재(7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플 부재(740)는 일측이 개방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 측에 복수의 장식물(M)이 충전될 수 있도록 수용 공간(701)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배플 부재(740)의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741)이 형성되고, 걸림턱(741)이 본체(700)의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배플 부재(740)의 테두리를 제외한 외주면은 본체(700)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플 부재(740)의 상기 외주면이 이루는 외경이 본체(700)의 내주면이 이루는 내경과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되고,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파지부(710b)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본체(700)의 내부 공간(702)을 향하여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부 공간(702)의 공기압이 상승한다.
이러한 공기압에 의해 배플 부재(740)의 저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내부 공간(702)의 압력이 본체(740)에 의한 배플 부재(740)의 지지력이 상실되는 특정 압력에 도달하면 배플 부재(740)가 본체(700)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이탈하게 된다.
배플 부재(740)가 본체(7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발사되면 배플 부재(740)와 본체(700)의 내주면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끈(722)이 최대 길이로 연장되면서 배플 부재(740)의 수용 공간(701)에 충전된 장식물(M)이 외부로 비산된다. 다시 말해, 배플 부재(740)는 연결끈(722)에 의해 비산 거리가 제한되며, 이때 배플 부재(740)의 수용 공간(701)에 충전된 장식물(M)이 비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피스톤 축포는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축포를 터뜨릴 수 있으므로, 화약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화재 위험을 개선한 것으로, 가정, 사무실, 어린이집 등 실내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며 공기압 및 색종이의 재충전이 가능하므로 재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한 손으로 본체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피스톤을 가압하여 본체 내부에 공기압이 상승하면서 커버가 소리와 함께 개방되면서 장식물이 비산되므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본체
101: 수용 공간
102: 내부 공간
110: 피스톤
110a: 가압판
110b: 파지부
120: 커버
130: 그물망 지지체
140: 배플 부재
M: 장식물

Claims (13)

  1. 중공의 소정 길이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배플 부재;
    상기 커버와 상기 배플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장식물;
    상기 배플 부재에 밀착하며 상기 배플 부재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커버의 반대측 상기 본체의 단부에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걸려 상기 피스톤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그물망 지지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공기압 피스톤 축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외경이 적어도 상기 본체의 횡단면적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는, 공기압 피스톤 축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지지체를 기준으로 상기 배플 부재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압 피스톤 축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본체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환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플 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외측 일부가 걸림 고정되는, 공기압 피스톤 축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78148A 2020-06-26 2020-06-26 공기압 피스톤 축포 KR10246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48A KR102463509B1 (ko) 2020-06-26 2020-06-26 공기압 피스톤 축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48A KR102463509B1 (ko) 2020-06-26 2020-06-26 공기압 피스톤 축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66A KR20220000466A (ko) 2022-01-04
KR102463509B1 true KR102463509B1 (ko) 2022-11-03

Family

ID=7934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148A KR102463509B1 (ko) 2020-06-26 2020-06-26 공기압 피스톤 축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5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1189U1 (de) * 1994-01-25 1994-03-24 Weber Hermann Pyro Chemie Wurfeinrichtung für Effektkörper, insbesondere Konfetti, Scherzartikel o.dgl.
JP2002013899A (ja) * 2000-06-30 2002-01-18 Tomy Co Ltd 空気銃玩具、銃身及び玉発射装置
WO2003018159A1 (es) * 2001-08-24 2003-03-06 Casado Soler, Olga Barrera flexible para un lanzador de serpentinas
JP2010127486A (ja) * 2008-11-25 2010-06-10 Sunamiya:Kk 安全性が高くかつ繰り返しの使用が可能な発射機
KR101176975B1 (ko) * 2012-03-29 2012-08-27 김순옥 에어 폭죽
KR101757268B1 (ko) * 2014-09-26 2017-07-12 김용범 공기압 피스톤 축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549Y1 (ko) 2000-09-01 2001-03-15 김강철 공기압축을 이용한 비 화학형 폭죽
KR100435633B1 (ko) * 2002-09-02 2004-06-12 안헌상 파티용 폭죽 케이스
KR200483123Y1 (ko) * 2015-05-26 2017-04-06 (주)삼성화약연화 안전용 폭죽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1189U1 (de) * 1994-01-25 1994-03-24 Weber Hermann Pyro Chemie Wurfeinrichtung für Effektkörper, insbesondere Konfetti, Scherzartikel o.dgl.
JP2002013899A (ja) * 2000-06-30 2002-01-18 Tomy Co Ltd 空気銃玩具、銃身及び玉発射装置
WO2003018159A1 (es) * 2001-08-24 2003-03-06 Casado Soler, Olga Barrera flexible para un lanzador de serpentinas
JP2010127486A (ja) * 2008-11-25 2010-06-10 Sunamiya:Kk 安全性が高くかつ繰り返しの使用が可能な発射機
KR101176975B1 (ko) * 2012-03-29 2012-08-27 김순옥 에어 폭죽
KR101757268B1 (ko) * 2014-09-26 2017-07-12 김용범 공기압 피스톤 축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66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5736A (en)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or a paste in a finely divided manner
JP5937132B2 (ja) 携帯用ガス容器の爆発を防止するための超過圧排出用安全バルブ
MXPA06010925A (es) Cierre con ventilaciones para ventilar durante el moldeo de un revestimiento, metodo para formar un revestimiento, y dispositivo para formar un revestimiento en un cierre.
PL183775B1 (pl) Pokrywka pojemnika rozpyłowego i sposób wytwarzania pokrywki pojemnika rozpyłowego
KR102463509B1 (ko) 공기압 피스톤 축포
AU2015362122B2 (en) A single hole single action aerosol can
CA1311225C (en) Pressure supply unit
KR20060007374A (ko) 밀폐체 및 이를 위치 및 제거하는 방법
JP4236693B2 (ja) 二重エヤゾール容器
KR102482812B1 (ko)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GB2412726A (en) Thermally insulated flask with flexible inner container
CN106895747B (zh) 一种组合烟花内筒的烟火药定位机构
CN114849110A (zh) 一种分体手持式灭火器
US20020077027A1 (en) Colored paper bits and streamers gas launcher
US3913873A (en) Mechanical spreader for a parachute
JP2006176131A (ja) エアゾール容器
US4237939A (en) Stackable tube body having a layer of sealant material
US4258498A (en) Noise producing toy
CN2439012Y (zh) 触发式气体发射器
JP3243685U (ja) パウダースプレー装置
CN206095059U (zh) 薄膜环保炮竹
KR200476903Y1 (ko) 과압력에 의한 폭발방지용 가스용기
JP2605083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底部側のバルブ
US3974558A (en) Method of installing annular seal for coaxial tubular member
CN113090942B (zh) 非重复充装压力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