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975B1 - 에어 폭죽 - Google Patents

에어 폭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975B1
KR101176975B1 KR1020120032357A KR20120032357A KR101176975B1 KR 101176975 B1 KR101176975 B1 KR 101176975B1 KR 1020120032357 A KR1020120032357 A KR 1020120032357A KR 20120032357 A KR20120032357 A KR 20120032357A KR 101176975 B1 KR101176975 B1 KR 10117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ranch pipe
rotating body
pressing pl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옥
Original Assignee
김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옥 filed Critical 김순옥
Priority to KR102012003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4/00Fireworks, i.e. pyrotechnic devices for amusement, display, illumination or signal purposes
    • F42B4/04Firecrac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식장 등에서 축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폭죽물에 관한 것으로, 에어를 이용하여 폭발음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많은 량의 오색 테이프를 멀리 그리고 넓게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 폭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된 채로 좌우로 회전하는 상부 회전체와 하부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회전체의 내측으로 고무캡이 씌워진 에어캔이 나사 결합되는 한편 상기 고무캡을 압착시키는 압착판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캡에 결합된 채로 압착판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하부 회전체에는 하부 지관이 씌워지되 지관의 내측으로 에어캔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 상부 회전체의 상측에는 이탈방지캡을 설치하되 상기 이탈방지캡은 상부 지관이 씌워지게 하며, 상기 상부지관의 내부에는 오색 테이프가 채워진 후 상측을 마개로 막아줌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에어 폭죽{Air fireworks}
본 발명은 예식장 등에서 축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폭죽물에 관한 것으로, 에어를 이용하여 폭발음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많은 량의 오색 테이프를 멀리 그리고 넓게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 폭죽에 관한 것이다.
각종 파티 및 예식장에서 축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폭죽을 터트려 오색 테이프가 펼쳐지도록 하고 있으며, 오색 테이프의 발사를 위하여 화약을 사용하는 경우와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화약을 사용하는 경우는 구조적으로 간단한 이점은 있으나, 화약을 사용하기 때문에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을 내포하기에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게 되고, 에어를 이용하는 방법은 압축공기를 효과적으로 폭발시켜 폭발음에 의한 청각적인 효과와 오색 테이프가 발사되어 펼쳐지게 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오색 테이프를 발사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발사기구를 이용하는 한편 에어캔에 압축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여러 번 오색 테이프를 분출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같이 별도의 발사기구를 이용하는 경우는 발사기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한 오색 테이프를 발사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결혼식 등에서 공중으로 오색 테이프를 발사하여 화려한 분위기를 연출함에 있어서, 오색 테이프의 분출을 위하여 별도의 발사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한편 별도의 발사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히 발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된 채로 좌우로 회전하는 상부 회전체와 하부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회전체의 내측으로 고무캡이 씌워진 에어캔이 나사 결합되는 한편 상기 고무캡을 압착시키는 압착판을 설치하며, 상기 상부캡에 결합된 채로 압착판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하부 회전체에는 하부 지관이 씌워지되 지관의 내측으로 에어캔이 위치되게 하고, 상기 상부 회전체의 상측에는 이탈방지캡을 설치하되 상기 이탈방지캡은 상부 지관이 씌워지게 하며, 상기 상부지관의 내부에는 오색 테이프가 채워진 후 상측을 마개로 막아줌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지관과 하부지관을 잡고 좌우로 틀어주게 되면 압착판이 하부 회전체에서 이탈하면서 에어캔의 에어가 분출되어 상부지관에 채워진 오색 테이프가 발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발사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오색 테이프를 압축공기로 발사할 수 있는 것으로, 안전하게 오색 테이프를 발사하여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압축공기의 분출시 발생되는 소리로 청각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폭발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하부 회전체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압착판 개방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상하부 회전체가 결합된 채로 좌우 회동되게 하되 상하부 회전체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하부 지관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상부 회전체에는 중앙에 에어캔의 입구가 나사 결합되게 하는 한편 에어캔의 입구를 막아주는 고무캡을 압착 고정시키는 압착판을 설치하며. 상기 압착판은 하부 회전체에 형성된 스톱퍼에 걸려 고정되게 하되 압착판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에어캔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상부 지관의 내측으로 오색 테이프를 채운 후 마개로 막아줌으로써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압착판을 하부로 눌러 고무캡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하부 회전판을 돌려 스톱퍼로 압착판이 상승하려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압착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주사기로 고무캡을 관통하여 에어캔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고, 상부 회전체에는 차단캡을 씌운 후 상부 지관을 씌워주며, 상기 상부지관의 내측으로 차단캡의 상측으로 오색 테이프를 씌운 후 마개로 막아준다.
이 상태에서 보관, 유통하다가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 지관과 하부지관을 양손으로 잡은 후 마개를 목표물의 상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부지관과 하부지관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하부 회전체에 형성된 스톱퍼가 압착판의 걸림돌기를 눌러주지 못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압착판이 고무캡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들려지는 동시에 에어캔에 채워진 압축공기의 힘에 의해 고무캡이 상부로 튀어 오르면서 에어캔에 채워진 압축공기가 순식간에 분출되게 된다.
에어캔에서 압축공기가 분출되면 압축공기로 인하여 오색 테이프는 마개를 밀면서 공중으로 발사되게 되며, 이때 상부 지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차단캡에 의해 고무캡이 외측으로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같이 상하부 지관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에어캔의 에어를 분출시키게 되면, 에어 분출시 발생되는 폭발음의 청각적인 효과와 에어 분출로 인하여 오색 테이프가 발사되는 시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발사기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히 오색 테이프를 에어의 힘으로 발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폭발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하부 회전체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압착판 개방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에어캔(30)에 채워진 에어를 분출시키는 압력으로 폭발음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오색 테이프를 넓게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에어캔(30)의 입구를 고무캡(40)로 막아주되 압착판(50)으로 고무캡(40)을 눌러준 상태에서 주사바늘(90)을 이용하여 에어캔(30)에 에어를 주입하고, 압착판(50)을 개방하면 에어캔(30)에 채워진 압축공기가 고무캡(40)을 밀면서 순식간에 분출되어 오색 테이프(100)를 발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회전체(20)와 하부 회전체(10)가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회전체(20)의 하측이 하부 회전체(10)에 끼워지면서 결합되고, 상부 회전체(20)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21)가 하부 회전체(10)의 상측과 만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부 회전체(10)는 상부 내측으로 스톱퍼(11)가 돌출된 상태가 되고, 하부 외측으로는 하부 지관(80)이 씌워지게 되며, 상기 하부 회전체(10)와 하부지관(80)은 스테플러(81)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하고, 상기 하부 지관(80)의 내측으로 에어캔(30)이 위치하도록 한다.
여기서 하부지관(80)은 에어캔(30)과는 간격이 발생하도록 하고, 하부 회전체(10)의 하측에 밀착되어 끼워지게 되며, 상기 하부지관(80)과 하부회전체(10)는 스테플러(81)로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이 이루어지되 에어캔(30)은 하부지관(8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부 회전체(20)는 내측으로 압착판(50)을 결합하기 위한 고정턱(22)을 형성하는 한편 그 하측으로 캔고정구(23)를 형성하여 에어캔(30)이 캔고정구(23)에 나사 결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턱(22)에는 중앙에 구멍(52)이 형성된 압착판(50)이 힌지(53)로 결합되게 하며, 상기 캔고정구(23)에 결합되는 에어캔(30)의 입구는 고무캡(40)으로 막아주고, 상기 압착판(50)은 고무캡(40)을 하부로 압착시킨 상태에서 하부 회전체(10)를 회전시켜 스톱퍼(11)의 하측으로 압착판(50)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돌기(51)를 눌러주어 압착판(50)이 고무캡(40)을 눌러준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하부 회전체(10)(20)가 결합되면 하부 회전체(10)의 스톱퍼(11)가 상부 회전체(20)에 결합된 압착판(50)에 형성된 걸림돌기(51)를 눌러주는 위치에 결합된다.
이 같이 압착판(50)의 걸림돌기(51)가 스톱퍼(11)에 눌러 고무캡(40)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주사바늘(90)을 압착판(50)의 구멍(52)을 관통한 후 고무캡(40)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에어캔(30)에 채워지게 하고, 상기 에어캔(30)에 충분한 압력의 압축공기가 채워진 후에는 주사바늘(90)을 뽑아주며, 주사바늘(90)을 뽑아도 에어캔(30)의 압축공기는 고무로된 고무캡(40)이 막아주고 있어 누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 회전체(20)의 상부에는 차단캡(60)을 끼워주되 상기 상부 회전체(20)의 외측으로 상부지관(70)을 씌워주되 상기 상부지관(70)과 상부 회전체(20) 및 차단캡(60)은 스테플러(71) 등으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차단캡(60)은 고무캡(40)이 에어 압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그물망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부지관(70)의 내측으로 차단캡(60)의 위쪽에 오색 테이프(100)를 채워준 후 입구는 마개(75)로 막아줌으로써 제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살펴본다.
먼저 상부 회전체(20)의 내측으로 압착판(50)을 끼운 후 힌지(53)로 압착판(50)이 회동되게 결합하고, 상기 상부 회전체(20)의 캔고정구(23)가 하부 회전체(10)의 내측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부 회전체(20)의 하측으로 하부 회전체(10)를 끼우되 하부 회전체(10)의 상부 내측으로 돌출된 스톱퍼(11)가 압착판(5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부 회전체(20)와 하부 회전체(10)를 결합한 후에는 에어캔(30)의 입구를 고무캡(40)으로 막아준 후 에어캔(30)이 상부회전체(20)에 형성된 캔고정구(23)에 나사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압착판(50)으로 고무캡(40)이 눌려지게 한 상태에서 하부 회전체(10)를 회전시켜 스톱퍼(11)가 압착판(50)의 걸림돌기(5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고무캡(40)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 지려는 힘을 받아 압착판(5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압착판(50)이 고무캡(40)을 하부로 압착시킨 상태에서 걸림돌기(51)가 스톱퍼(1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부 회전체(10)를 회전시킴으로써 압착판(5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같이 압착판(5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주사바늘(90)을 압착판(50)의 구멍(52)을 통하여 고무캡(40)에 끼워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에어캔(30)에 압축공기가 채워지도록 하고, 압축공기가 에어캔(30)에 충분히 채워지면 주사바늘(90)을 뺀다.
이때 고무캡(40)을 사용하는 관계로 주사바늘(90)을 빼더라도 에어캔(30)의 압축공기가 빠지지 않게 된다.
이 같이 에어캔(30)에 압축공기를 채운 후에는 에어캔(3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부 회전체(10)의 하측으로 하부 지관(80)을 끼워준 후 하부지관(80)과 하부 회전체(10)에 스테플러(81)를 박아 하부지관(80)과 하부 회전체(10)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 회전체(20)의 상측으로는 차단캡(60)을 씌워준 후 상부 회전체(20)의 상측으로 상부지관(70)을 씌워주되 상부 지관(70)과 상부 회전체(20) 및 차단캡(60)을 스테플러(71)로 고정하여 상부지관(70)과 상부 회전체(20)가 함께 회전하도록 하며, 차단캡(60)은 상부 회전체(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차단캡(60)은 압착판(50)에서 일정 거리를 이격시킴으로써 압착판(50)이 힌지(5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도 압착판(50)이 차단캡(60)과 닿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 지관(70)의 내측으로 오색 테이프(100)를 채워주고, 상측은 스폰지나 종이 재질의 마개(75)를 막아줌으로써 제작이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손을 이용하여 각각 상부지관(70)과 하부지관(80)을 한 손으로 잡은 후 마개(75)가 목표물의 상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힘껏 서로 반대방향으로 틀어준다.
그러면, 압착판(50)의 걸림돌기(51)를 눌러주는 스톱퍼(11)가 걸림돌기(51)를 눌러주지 못하게 되고, 그러면 에어캔(30)에 채워진 압축공기가 고무캡(40)을 밀면서 분출되게 되며, 에어캔(30)에서 분출된 압축공기는 오색 테이프(100)를 상부 지관(70)에서 분출시키게 된다.
이때, 에어캔(30)의 입구에서 분출된 고무캡(40)은 차단캡(60)에 막혀서 외부로 분출되지 않고, 오색 테이프(100)는 마개(75)를 밀면서 외부로 분출되면서 아름답게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발사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오색 테이프(100)를 발사할 수 있으며, 오색 테이프(100)를 발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폭발음은 청각적인 효과를 주게 되고, 오색 테이프(100)는 시각적인 효과를 주게 된다.
10 : 하부 회전체 11 : 스톱퍼
20 : 상부 회전체 23 : 캔고정구
30 : 에어캔 40 : 고무캡
50 : 압착판 51 : 걸림돌기
52 : 구멍 60 : 차단캡
70 : 상부지관 75 : 마개
80 : 하부지관 90 : 주사바늘
100 : 오색 테이프

Claims (3)

  1. 하부지관(80)이 결합된 하부 회전체(10)의 내측으로 상부지관(70)이 결합된 상부 회전체(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부 회전체(10)(20)가 좌우 회동되게 하고, 상기 상부 회전체(20)의 하측으로 형성된 캔 고정구(23)에는 하부지관(80)에 끼워진 에어캔(30)을 결합시키며, 상기 상부지관(70)의 내측에 채워진 오색 테이프(100)가 상하부 회전체(10)(20)를 어긋나게 할 때 에어캔(3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로 분사되게 하는 에어폭죽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체(20)의 내측으로 압착판(50)을 설치하여 에어캔(30)의 입구를 막아주는 고무캡(40)을 하부로 압착시키게 하되 상기 압착판(5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51)가 하부 회전체(1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톱퍼(11)에 의해 눌려지게 하고,
    상기 압착판(50)이 고무캡(40)을 눌러준 상태에서 압착판(50)에 형성된 구멍(52)을 통하고 고무캡(40)을 관통하여 주사바늘(90)을 꼿아 에어캔(30)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상부 회전체(20)의 상부 내측으로 에어캔(30)에서 분출되는 에어는 통과시키되 고무캡(40)은 막아주는 차단캡(60)을 끼워 고정하고,
    상기 하부 회전체(10)의 하부 외측에는 에어캔(30)이 내측에 끼워지는 하부지관(80)을 끼우되 하부지관(80)과 하부 회전체(10)는 스테플러(81)로 고정하는 한편 상기 상부 회전체(20)의 상부 외측으로 상부지관(70)을 끼워주되 스테플러(71)로 상부지관(70)과 상부 회전체(20) 및 차단캡(60)을 고정하고,
    상기 상부지관(70)의 내측에는 차단캡(60)의 상측으로 오색 테이프(100)를 채워준 후 상부지관(7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마개(75)를 끼워 오색 테이프(100)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폭죽.
  2. 삭제
  3. 삭제
KR1020120032357A 2012-03-29 2012-03-29 에어 폭죽 KR10117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357A KR101176975B1 (ko) 2012-03-29 2012-03-29 에어 폭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357A KR101176975B1 (ko) 2012-03-29 2012-03-29 에어 폭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975B1 true KR101176975B1 (ko) 2012-08-27

Family

ID=4688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357A KR101176975B1 (ko) 2012-03-29 2012-03-29 에어 폭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97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27B1 (ko) * 2014-09-05 2015-12-17 김순옥 에어폭죽 발사장치
CN108981488A (zh) * 2018-08-24 2018-12-11 李文华 一种带炮纸收集功能的鞭炮燃放装置
KR20220000038A (ko) * 2020-06-25 2022-01-03 김용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KR20220000466A (ko) * 2020-06-26 2022-01-04 김용범 공기압 피스톤 축포
KR20220058809A (ko) * 2020-11-01 2022-05-10 채경수 방아쇠가 장착된 공기압축식 축포장난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465Y1 (ko) * 2002-05-27 2002-09-10 이종윤 압축 공기를 이용한 분사 장치
KR200291987Y1 (ko) 2002-07-25 2002-10-12 이종윤 스프링을 이용한 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465Y1 (ko) * 2002-05-27 2002-09-10 이종윤 압축 공기를 이용한 분사 장치
KR200291987Y1 (ko) 2002-07-25 2002-10-12 이종윤 스프링을 이용한 분사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27B1 (ko) * 2014-09-05 2015-12-17 김순옥 에어폭죽 발사장치
CN108981488A (zh) * 2018-08-24 2018-12-11 李文华 一种带炮纸收集功能的鞭炮燃放装置
KR20220000038A (ko) * 2020-06-25 2022-01-03 김용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KR102482812B1 (ko) * 2020-06-25 2022-12-28 김용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KR20220000466A (ko) * 2020-06-26 2022-01-04 김용범 공기압 피스톤 축포
KR102463509B1 (ko) * 2020-06-26 2022-11-03 김용범 공기압 피스톤 축포
KR20220058809A (ko) * 2020-11-01 2022-05-10 채경수 방아쇠가 장착된 공기압축식 축포장난감
KR102589207B1 (ko) 2020-11-01 2023-10-13 채경수 방아쇠가 장착된 공기압축식 축포장난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975B1 (ko) 에어 폭죽
KR101176973B1 (ko) 에어 폭죽
JP4335239B2 (ja) クラッカー発射装置
CN203642796U (zh) 发射软质子弹的气动式玩具枪
JP2013015306A (ja) 高圧空気を用いた多目的グレネードランチャー型発射機
CN207206349U (zh) 一种多用途射钉器
TWI610057B (zh) 玩具槍
KR101609247B1 (ko) 압축 탄산가스 캡슐 개방밸브가 장치된 오색테이프 발사용 키트
KR200488286Y1 (ko) 화약을 이용한 그물 발사 기구
CA2932666C (en) Device for a special effect explosion or burst
CN109059681A (zh) 仿真子弹
KR200216549Y1 (ko) 공기압축을 이용한 비 화학형 폭죽
CN211558800U (zh) 容置盒及爆珠注射装置
CA2831189A1 (en) Packing for hollow charges
KR100868171B1 (ko) 폭죽용 격발기 및 이에 의한 연발식 폭죽발사기
CN204319579U (zh) 投掷型灭火装置
JP3122972U (ja) 微小薄片散布器
KR101107573B1 (ko) 호신용 분사기
JP2017534044A (ja) 疑似破砕性手榴弾
KR102589207B1 (ko) 방아쇠가 장착된 공기압축식 축포장난감
KR100344583B1 (ko) 최루가스 분사기 분사유니트
KR200169770Y1 (ko) 최루액 분사장치
TWM559200U (zh) 玩具型手榴彈
CN216009173U (zh) 一种用于射钉器的防潮一体钉
KR20070021013A (ko) 분사기 약제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