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038A -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 Google Patents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038A
KR20220000038A KR1020200077479A KR20200077479A KR20220000038A KR 20220000038 A KR20220000038 A KR 20220000038A KR 1020200077479 A KR1020200077479 A KR 1020200077479A KR 20200077479 A KR20200077479 A KR 20200077479A KR 20220000038 A KR20220000038 A KR 20220000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ressure
piston head
pist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812B1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범 filed Critical 김용범
Priority to KR102020007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81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10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 A63H29/16Driving mechanisms actuated by flowing media by steam or compressed 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005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obtain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 F16J1/006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obtain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of differ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F16J10/02Cylinders designed to receive moving pistons or plu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F41B11/89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의 중심축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가해지는 면압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동홀, 상기 제2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유동홀, 상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PISTON ASSEMBLY CAPABLE OF MINIMIZING NEGATIVE PRESSURE AND CANNON SALUTE USING PNEUMATIC OF PISTON CANN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주입을 위한 피스톤을 작동시키는 경우, 피스톤 헤드의 가압 부재의 외주면이 실린더의 내부에서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한 손은 실린더의 외표면을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피스톤 로드를 파지하여 가압하거나 끌어당기는 과정이 요구된다.
특히,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단부에 형성된 미세 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구성되므로 피스톤 헤드의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음압이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여성이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를 도모하는 위치까지 잡아당기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요시간이 증대되어 사용상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생일이나 각종 기념일 등의 축하 행사시에는 샴페인과 폭죽 등을 터뜨리며 축하 분위기를 조성시키고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폭죽은 원뿔형으로 된 밀폐용기 하부에 화약을 장치하고, 그 상부에는 색 테이프나 색지 등을 내장시켜 화약이 폭발할 때의 압력에 의하여 색 테이프 등이 공중으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축하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폭죽의 경우, 색 테이프를 분출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화약을 사용했기 때문에 안전사고 등의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구성의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6549호, 2001.03.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축포를 터뜨릴 수 있는 공기압 축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의 중심축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가해지는 면압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동홀, 상기 제2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유동홀, 상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적어도 1개 구비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면의 투영면을 기준으로 직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절개부의 설치 위치와 상호 투영되는 위치에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1 절단부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압이 분사될 수 있도록 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복수의 장식물,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에 결합되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피스톤 헤드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홀 및 상기 개구홀을 관통하고, 상기 피스톤 헤드에 고정되는 구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복수의 장식물,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그물망 지지체와 상기 피스톤 헤드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기 수용 공간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연결되는 압축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내부에 압력 챔버를 갖는 압력 탱크, 상기 압력 탱크의 일측에 형성되는 실린더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향하여 압축을 수행하도록 상기 피스톤 헤드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가압 부재의 압축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압이 상기 압력 챔버로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원웨이 밸브, 상기 압력 탱크의 타측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안착 고정되고, 상기 압력 탱크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발사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 상기 발사체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커버와 상기 그물망 지지체 사이에 충전되는 복수의 장식물, 상기 장착홈 내에서 상기 발사체의 일측에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압력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개폐 부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압력 탱크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복수의 장식물,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갖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기 수용 공간 측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 부재, 상기 피스톤 헤드와 연통되는 가압 챔버를 갖는 가압 로드 및 상기 가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헤드의 관통공은 상기 절개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헤드의 중심축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면압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동홀, 상기 제2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유동홀, 상기 가압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제어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절개부의 설치 위치와 상호 투영되는 위치에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1 절단부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적어도 1개 구비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면의 투영면을 기준으로 직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압축 튜브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와 연통되는 가압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로드의 내부에는 가압 챔버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 로드와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는 복수의 연통홀을 갖는 격벽이 개재되며, 상기 가압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는 적어도 1개의 제어홀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는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헤드로 인하여 형성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므로 작동 상에 요구되는 힘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공기 충전을 통한 팽창압이 요구되는 물놀이를 위한 튜브, 안전을 위한 부력 자켓, 에어매트리스 또는 풍선 등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축포를 터뜨릴 수 있으므로, 화약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화재 위험을 개선한 것으로, 가정, 사무실, 어린이집 등 실내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며 공기압 및 색종이의 재충전이 가능하므로 재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한 손으로 실린더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피스톤을 가압하여 실린더 내부에 공기압이 상승하면서 커버가 소리와 함께 개방되면서 장식물이 비산되므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스톤 헤드와 가압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에 적용되는 다양한 절개부 형상 및 제1, 2 지지판의 제1, 2 유동홀의 배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피스톤 헤드와 가압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는 실린더(100), 피스톤 헤드(110), 제1 지지판(111), 제2 지지판(112), 제1 유동홀(111a), 제2 유동홀(112a), 가압 부재(120) 및 절개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00)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피스톤 헤드(110)의 가압 부재(120)가 실린더(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00)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에 다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피스톤 헤드(110)가 실린더(10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실린더(100)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외의 어떤 형상도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실린더(100)의 중공 내측 벽면을 따라 피스톤 헤드(110)의 가압 부재(120)가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다.
실린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실린더(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상의 플랜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40)는 피스톤 헤드(110)가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을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피스톤 헤드(110)가 최대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 로드(130)의 후술하는 가압 부재(120)의 반대측 단부에는 파지부(160)가 형성되고, 피스톤 로드(130)가 압축 영역(100a)을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파지부(160)가 플랜지(140)와 접촉함으로써 피스톤 로드(13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한다.
또한, 실린더(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플랜지(140)의 반대측 단부에는 피스톤 헤드(1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압이 분사될 수 있도록 주입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150)는 실린더(10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첨예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에 형성되는 공기압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 충전을 통한 팽창압이 요구되는 물놀이를 위한 튜브, 안전을 위한 부력 자켓, 에어매트리스 또는 풍선 등에 공기를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린더(100)의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는 경우에는 피스톤 헤드(110)의 가압면(121)에 의해 액체가 압축된 상태로 주입구(150)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므로 산업용 유압기계에 액체를 주입하거나 펌프(pump) 기능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피스톤 로드(130)는 소정 길이의 기둥 형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축하중을 견디기 용이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막대가 교차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130)는 실린더(100)의 내부에 일부분이 삽입된 상태로 왕복 운동 하는 것으로서, 피스톤 로드(130)의 실린더(100) 내부에 삽입된 일부분의 단부에는 가압 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120)는 피스톤 헤드(110)에 형성되는 제1 지지판(111) 및 제2 지지판(1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지판(111) 및 제2 지지판(112)은 피스톤 헤드(110)의 축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가압 부재(120)의 내주면이 제1 지지판(111)의 외주면 및 제2 지지판(112)의 외주면에 각각 압착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지지판(111)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동홀(111a)이 포함되고, 제2 지지판(112)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유동홀(112a)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유동홀(111a) 및 제2 유동홀(112a)은 피스톤 헤드(110)가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공기압이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 헤드(110)의 가압 부재(120)가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음압이 최소화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작동 원리는 후술한다.
가압 부재(120)는 실린더(100)의 중심축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된 형상으로서, 그 직경 또는 면적은 실린더(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120)는 실린더(100)의 횡단면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실린더(100)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실린더(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 부재(120)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실린더(100)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실린더(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 부재(120)의 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압 부재(120)의 외주면에는 실린더(100)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어 기밀성이 확보되도록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130)의 길이 방향을 따른 가압 부재(120)의 반대측 단부에는 파지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6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파지부(160)는 피스톤 로드(130)가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을 향하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플랜지(140)와 접촉함으로써 피스톤 로드(130)의 최대 이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한다.
절개부(121a)는 적어도 1개 구비되고, 가압 부재(120)의 가압면(121)의 투영면을 볼 때 직선형으로 보이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21a)는 유체가 일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판막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피스톤 헤드(110)가 압축 영역(100a)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압축 영역(100a)의 증대되는 압력으로 인해 평탄하게 압축됨으로써 절개부(121a)가 밀폐된다.
이와 반대로, 피스톤 헤드(110)가 압축 영역(10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유동홀(111a) 및 제2 유동홀(112a)을 통해 유입되는 압력으로 인해 절개부(121a)가 개방되는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헤드(110)가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절개부(121a)가 밀폐될 뿐만 아니라, 가압 부재(120)의 가압면(121)에 작용하는 면압으로 인해 평탄하게 압축된 상태로 제1 지지판(111)과 면 접촉하게 되므로 공기가 압축되어 압축 영역(100a)의 공기압이 상승된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스톤 헤드(110)가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유동홀(111a) 및 제2 유동홀(112a)을 통해 공기압이 유동하면서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절개부(121a)가 개방되므로 음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에 적용되는 다양한 절개부 형상 및 제1, 2 지지판의 제1, 2 유동홀의 배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절개부(121b)가 직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절개부(121b)가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부(121c)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121c)의 설치 위치는 제1 유동홀(111c)의 설치 위치는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절개부(121c) 및 제1 유동홀(111c)을 피스톤 헤드(110)의 축방향으로 투영하여 볼 때, 상호 오버랩되는 투영면적이 없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스톤 헤드(110)가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압 부재(120)의 가압면(121)에 면압이 작용하여 압축되므로 평탄해진 가압 부재(120)와 제1 지지판(111)의 면 접촉으로 인하여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 과 제2 지지판(112) 간의 연통 상태가 차단된다.
이와 반대로,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스톤 헤드(110)가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1 유동홀(111c) 및 제2 유동홀(112c)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압이 가압 부재(120)를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실린더(100)의 압축 영역(100a)과 제2 지지판(112) 간의 연통이 이루어지므로 음압 발생이 최소화되어 적은 힘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지판(11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피스톤 로드(1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1 절단부(111c) 및 제2 지지판(112)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피스톤 로드(1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2 절단부(112c)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실린더(200), 커버(201), 그물망 지지체(202), 장식물(M), 피스톤 헤드(210), 가압 부재(220), 절개부(221), 탄성 부재(222), 개구홀(203) 및 구동 와이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200), 피스톤 헤드(210), 가압 부재(220) 및 절개부(22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한 구성인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201)는 실린더(2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커버(201)는 실린더(200) 내부의 공기 압력이 발생하여 미는 힘을 받게 되는 경우 외측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201)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실린더(200)의 상기 개구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공기압에 도달하는 경우에 분리 가능하도록 별도의 지지 부재 또는 접착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물망 지지체(202)는 실린더(20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실린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의 유동만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물망 지지체(202)는 메쉬(mesh)를 포함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정 입자의 크기를 분류할 수 있는 망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쉬 번호는 4~2500 mesh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장식물은 다양한 크기의 색종이 또는 그 외의 다양한 크기 또는 입자를 갖고 있으므로 그 중 최소 크기의 장식물이 통과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압력 손실값, 개구율, 입자의 허용 크기 등을 고려한 메쉬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물망 지지체(2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식물이 실린더(200)의 수용 공간(200b)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장식물(M)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만 유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수용 공간(200b)에는 다양한 색상의 종이, 메모, 반지 등의 장식물(M)이 충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2)는 실린더(200)의 내부 공간에서 피스톤 헤드(210)에 탄성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222)는 가압 부재(220)의 반대측에 위치하여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시 실린더(200)의 압축 영역(200a)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탄성 지지하게 된다.
실린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커버(201)의 반대측 단부에 개구홀(20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홀(203)을 통하여 구동 와이어(230)가 관통되고, 구동 와이어(230)의 일단은 제2 지지체(212)에 고정되고, 구동 와이어(230)의 타단은 파지부(23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231)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당기는 힘을 가하면 탄성 부재(222)가 압축됨과 동시에 제1 지지판(211)의 제1 유동홀(221a) 및 제2 지지판(212)의 제2 유동홀(212a)을 통하여 공기압이 배출되며, 가압 부재(220)가 압축 영역(200a) 측으로 변형됨으로써 절개부(221)가 개방되므로 음압이 최소화되어 적은 힘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파지부(231)를 놓는 순간 탄성 부재(222)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가압 부재(220)를 압축 영역(200a) 측으로 미는 힘이 발생한다. 이때, 가압 부재(220)의 절개부(221)는 압축 영역(200a)에 형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압축되어 폐쇄된다.
이후, 압축 영역(200a)의 공기압이 최대치로 도달하면 커버(201)가 외부로 분리됨과 동시에 수용 공간(200b)에 충전된 장식물(M)이 외부로 비산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실린더(300), 커버(301), 그물망 지지체(302), 장식물(M), 지지 부재(303), 가압 부재(320), 절개부(321) 및 압축 튜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300), 커버(301), 그물망 지지체(302), 피스톤 헤드(310), 가압 부재(320) 및 절개부(321)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한 구성인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303)는 실린더(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물망 지지체(302)와 피스톤 헤드(310)의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303)와 가압 부재(320)에 양단이 연결되고, 그 내부에 압축 챔버(330a)가 마련되는 압축 튜브(330)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3)의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관통홀(303a)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03a)은 압축 영역(300a)과 압축 챔버(330a)를 연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가압 부재(320)를 중심으로 압축 튜브(330)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가압 부재(320)와 연통되는 가압 로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 로드(340)의 내부에는 공간으로 마련되는 가압 챔버(340a)가 포함될 수 있다.
가압 로드(340)와 가압 부재(320) 사이에는 복수의 연통홀(312a)을 갖는 격벽(312)이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가압 로드(34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실린더(300)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파지부(341)가 형성되고, 파지부(341)에는 적어도 1개의 제어홀(34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341)의 제어홀(341a)을 누른 상태로 가압 로드(340)를 압축 영역(330a)을 향하여 가압하면 가압 부재(320)에 면압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가압 부재(320)의 절개부(321)가 폐쇄된다.
이후, 압축 튜브(330)의 압축 챔버(330a)에 공기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기압이 최대치에 도달하면 커버(301)가 외부로 이탈됨과 동시에 수용 공간(300b)에 충전되어 있던 장식물(M)은 외부로 비산된다.
한편, 사용자가 파지부(341)의 제어홀(341a)을 개방시킨 상태로 가압 로드(340)를 압축 영역(33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압 부재(320)가 제어홀(341a), 격벽(312)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음압이 최소화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작동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압력 탱크(401), 피스톤 헤드(420), 가압 부재(421), 절개부(421a), 원웨이 밸브(410), 장착홈(402), 발사체(440), 커버(441), 그물망 지지체(442), 장식물(M), 개폐 부재(403) 및 작동 부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 헤드(420), 가압 부재(421), 절개부(421a), 커버(441), 그물망 지지체(442) 및 장식물(M)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한 구성인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탱크(401)는 실린더(400) 내에서 피스톤 로드(430) 및 가압 부재(421)에 의해 형성되는 최대 공기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탱크(401)의 재질은 연질의 튜브 재질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사용처나 사용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최대 공기압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린더(400)는 압력 탱크(40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실린더(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 부재(421)를 중심으로 반대측에 형성되고, 피스톤 헤드(42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지 가능한 피스톤 로드(4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430)에 의해 형성되는 실린더(400)의 가압 영역(400a)의 공기압이 압력 탱크(401)의 압축 영역(401a)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원웨이 밸브(410)가 포함될 수 있다.
원웨이 밸브(410)는 실린더(400)의 내부에 형성되고, 압력 탱크(401)의 내부와 연통되되, 실린더(400)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가 압력 탱크(401) 내부로만 공기압이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별도의 탄성 부재(미도시) 및 볼 밸브(미도시) 등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압력 탱크(401)의 타측에는 장착홈(402)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402)에는 발사체(440)가 안착 고정되는데, 발사체(440)는 압력 탱크(401)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사체(440)의 수용 공간(440b)에 충전되는 장식물(M)이 압력 탱크(401)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사체(440)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441)가 포함되고, 발사체(440)의 내부를 구획하는 그물망 지지체(442)가 형성됨으로써 그물망 지지체(442) 상에 장식물(M)이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발사체(440)의 일측에는 유입홀(403)이 관통 형성되고, 압축 영역(401a)과 연통되되, 개폐 부재(451)가 유입홀(40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폐 부재(451)는 작동 부재(4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작동 부재(450)는 개폐 부재(451)와 일단이 고정되는 구동 와이어(452) 및 구동 와이어(452)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어 부재(45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와이어(452)는 철선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개폐 부재(451)를 끌어당겨 개방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피스톤 로드(43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실린더(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왕복운동을 수행하면 가압 영역(400a)에서 형성되는 공기압이 원웨이 밸브(410)를 통해 압축 영역(401a)으로 공급되어 축적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421)의 절개부(421a)는 유체가 일방향으로만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판막 구조인 바, 피스톤 로드(430)가 가압 영역(400a)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압 영역(400a)의 증대되는 압력으로 인해 평탄하게 압축됨으로써 절개부(421a)가 밀폐되고, 피스톤 로드(430)가 가압 영역(40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절개부(421a)가 개방되므로 음압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적은 힘으로도 작동이 가능해진다.
압력 탱크(401)의 압축 영역(401a)에 형성된 공기압이 일정 수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어 부재(453)를 손으로 당기면 개폐 부재(451)가 이탈되고 유입홀(403)이 개방됨과 동시에 압축 영역(401a)의 공기압이 순간적으로 발사체(440)의 전달 영역(440a)으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발사체(440)의 커버(441)가 외부로 이탈됨과 동시에 수용 영역(440b)에 충전된 복수의 장식물(M)이 외부로 비산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실린더(500), 커버(501), 그물망 지지체(502), 장식물(M), 피스톤 헤드(510), 가압 부재(511), 가압 로드(530) 및 절개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500), 커버(501), 그물망 지지체(502), 장식물(M) 및 가압 로드(5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한 구성인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실린더(50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510) 및 피스톤 헤드(510)에 장착되는 가압 부재(511)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헤드(5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관통홀(514)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514)은 절개부(512)와 연통되도록 한다. 즉, 피스톤 헤드(510)와 가압 부재(511)의 절개부(512)는 상시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 로드(53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실린더(500)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파지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531)에는 적어도 1개의 제어홀(53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부(531)를 파지한 후, 손가락으로 제어홀(531a)을 폐쇄한 상태에서 가압 로드(530)를 압축 영역(500a)을 향하여 가압하면 가압 로드(530)가 압축 영역(500a)을 향하여 이동하고, 압축 영역(500a)의 공기압이 일정 수치에 도달하게 되면 커버(501)가 외부로 이탈됨과 동시에 수용 공간(500b)에 충전된 장식물(M)이 외부로 비산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파지부(531)를 파지한 상태에서 가압 로드(530)를 당기면 가압 로드(531)가 압축 영역(500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 과정에서 제어홀(531a)이 개방되어 있고, 제어홀(531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관통홀(514) 및 절개부(512)를 경유하여 통과하게 되므로, 음압이 최소화되어 적은 힘으로도 가압 로드(531)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는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 헤드로 인하여 형성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므로 작동 상에 요구되는 힘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공기 충전을 통한 팽창압이 요구되는 물놀이를 위한 튜브, 안전을 위한 부력 자켓, 에어매트리스 또는 풍선 등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적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는 화약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하여 축포를 터뜨릴 수 있으므로, 화약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화재 위험을 개선한 것으로, 가정, 사무실, 어린이집 등 실내에서 사용하기 용이하며 공기압 및 색종이의 재충전이 가능하므로 재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한 손으로 실린더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피스톤을 가압하여 실린더 내부에 공기압이 상승하면서 커버가 소리와 함께 개방되면서 장식물이 비산되므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실린더
100a: 압축 영역
110: 피스톤 헤드
120: 가압 부재
121a: 절개부
111: 제1 지지판
112: 제2 지지판
130: 피스톤 로드
140: 플랜지
160: 파지부

Claims (14)

  1.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의 중심축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가해지는 면압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동홀;
    상기 제2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유동홀;
    상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가압 부재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적어도 1개 구비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면의 투영면을 기준으로 직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절개부의 설치 위치와 상호 투영되는 위치에서 어긋나게 배치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1 절단부;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헤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압이 분사될 수 있도록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6.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복수의 장식물;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에 결합되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피스톤 헤드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 부재;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의 반대측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홀; 및
    상기 개구홀을 관통하고, 상기 피스톤 헤드에 고정되는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7.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복수의 장식물;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그물망 지지체와 상기 피스톤 헤드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기 수용 공간 측 단부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연결되는 압축 튜브; 및
    상기 지지 부재에 형성되고, 두께를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8. 내부에 압력 챔버를 갖는 압력 탱크;
    상기 압력 탱크의 일측에 형성되는 실린더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헤드;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향하여 압축을 수행하도록 상기 피스톤 헤드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가압 부재;
    상기 가압 부재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가압 부재의 압축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압이 상기 압력 챔버로 유입되도록 설치되는 원웨이 밸브;
    상기 압력 탱크의 타측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안착 고정되고, 상기 압력 탱크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갖는 발사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
    상기 발사체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커버와 상기 그물망 지지체 사이에 충전되는 복수의 장식물;
    상기 장착홈 내에서 상기 발사체의 일측에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압력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 부재;
    상기 가압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헤드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지 가능한 피스톤 로드; 및
    상기 개폐 부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압력 탱크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9.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구획하고,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 지지체;
    상기 수용 공간에 충전되는 복수의 장식물;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갖는 피스톤 헤드;
    상기 피스톤 헤드의 상기 수용 공간 측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 부재;
    상기 피스톤 헤드와 연통되는 가압 챔버를 갖는 가압 로드; 및
    상기 가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헤드의 관통공은 상기 절개부와 연통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헤드의 중심축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면압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헤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판;
    상기 제1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동홀;
    상기 제2 지지판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2 유동홀;
    상기 가압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제어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동홀은 상기 절개부의 설치 위치와 상호 투영되는 위치에서 어긋나게 배치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1 절단부; 및
    상기 제2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절개되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제2 절단부를 포함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13.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적어도 1개 구비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면의 투영면을 기준으로 직선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압축 튜브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와 연통되는 가압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로드의 내부에는 가압 챔버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 로드와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는 복수의 연통홀을 갖는 격벽이 개재되며,
    상기 가압 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는 적어도 1개의 제어홀이 포함되는,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KR1020200077479A 2020-06-25 2020-06-25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KR102482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79A KR102482812B1 (ko) 2020-06-25 2020-06-25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79A KR102482812B1 (ko) 2020-06-25 2020-06-25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38A true KR20220000038A (ko) 2022-01-03
KR102482812B1 KR102482812B1 (ko) 2022-12-28

Family

ID=7934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479A KR102482812B1 (ko) 2020-06-25 2020-06-25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8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809A (ko) * 2020-11-01 2022-05-10 채경수 방아쇠가 장착된 공기압축식 축포장난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1189U1 (de) * 1994-01-25 1994-03-24 Weber Hermann Pyro Chemie Wurfeinrichtung für Effektkörper, insbesondere Konfetti, Scherzartikel o.dgl.
KR200216549Y1 (ko) 2000-09-01 2001-03-15 김강철 공기압축을 이용한 비 화학형 폭죽
KR200229057Y1 (ko) * 2000-12-22 2001-07-19 디데이 주식회사 축포 발사기
KR20080009704A (ko) * 2005-04-08 2008-01-29 글로벌 메디세이프 홀딩스 리미티드 자동 후퇴 주사기에 있어서 바늘 후퇴의 제어
KR20120092332A (ko) * 2011-02-11 2012-08-21 조희민 원심분리용 주사기형 원심관
KR101176975B1 (ko) * 2012-03-29 2012-08-27 김순옥 에어 폭죽
CN103492009A (zh) * 2011-04-08 2014-01-01 佳迈特股份有限公司 过滤针
US20190046893A1 (en) * 2017-08-10 2019-02-14 Hallmark Cards Incorporated Confetti launch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1189U1 (de) * 1994-01-25 1994-03-24 Weber Hermann Pyro Chemie Wurfeinrichtung für Effektkörper, insbesondere Konfetti, Scherzartikel o.dgl.
KR200216549Y1 (ko) 2000-09-01 2001-03-15 김강철 공기압축을 이용한 비 화학형 폭죽
KR200229057Y1 (ko) * 2000-12-22 2001-07-19 디데이 주식회사 축포 발사기
KR20080009704A (ko) * 2005-04-08 2008-01-29 글로벌 메디세이프 홀딩스 리미티드 자동 후퇴 주사기에 있어서 바늘 후퇴의 제어
KR20120092332A (ko) * 2011-02-11 2012-08-21 조희민 원심분리용 주사기형 원심관
CN103492009A (zh) * 2011-04-08 2014-01-01 佳迈特股份有限公司 过滤针
KR101176975B1 (ko) * 2012-03-29 2012-08-27 김순옥 에어 폭죽
US20190046893A1 (en) * 2017-08-10 2019-02-14 Hallmark Cards Incorporated Confetti launc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809A (ko) * 2020-11-01 2022-05-10 채경수 방아쇠가 장착된 공기압축식 축포장난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812B1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7730A1 (en) Nail-pushing rod restoring apparatus for pneumatic nail gun
US7296721B1 (en) Pneumatic nail gun having nail pusher
CA2174186A1 (en) Precompression Pump Sprayer
KR102482812B1 (ko) 음압을 최소화하는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기압 축포
JPS58138286A (ja) ピストン膜ポンプ
US9403636B2 (en) Metering valve
FI90739C (fi) Kuristamaton poistopumppukokoonpano
US6024269A (en) Cylinder inlet valve for a power stapler
US20030094538A1 (en) Compressed air engine and flying object equipped therewith
EP2224201A2 (en) Toy water gun
CN1210446A (zh) 液压击晕装置
US4440237A (en) Pavement breaker
KR20170087405A (ko) 공기압축기의 개선된 실린더 공기 배출 구조
MX9301007A (es) Conjunto de valvula de mariposa para un aspersor disparador.
JP5090517B2 (ja) 押出し容器
CN103485999A (zh) 一种双向充气泵
TWI644021B (zh) 空氣壓縮機之汽缸出氣結構改良
EP3193016B1 (en) Improved air compressor
CN203412716U (zh) 双向充气的高压手拉气筒
CN1966158A (zh) 吸引式喷射器
US4696227A (en) Press for compacting small scale objects
AU2009251005A1 (en) A combination of a chamber and a piston, a pump, a shock absorber, a transducer, a motor and a power unit incorporating the combination
CN203476635U (zh) 一种推拉充气泵
KR20170101111A (ko) 공기압축기의 개선된 실린더 공기 배출 구조
CN114704774B (zh) 一种充气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