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441B1 -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441B1
KR102463441B1 KR1020160104713A KR20160104713A KR102463441B1 KR 102463441 B1 KR102463441 B1 KR 102463441B1 KR 1020160104713 A KR1020160104713 A KR 1020160104713A KR 20160104713 A KR20160104713 A KR 20160104713A KR 102463441 B1 KR102463441 B1 KR 10246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vehicle
link
panel assembly
integrat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434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4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60K35/5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60K37/04Arrangement of fittings on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K2350/102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자동차의 상태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통합 콘트롤 패널,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을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하는 관절링크 및 상기 관절링크를 동작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로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는 운전자가 운전중에 시야를 과도하게 변경하지 않더라도 조작 및 확인이 용이하고, 자율주행 자동차를 운행하는 경우와 같이 운전자가 대쉬보드에서 멀어진 경우에도 조작 및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CONTROL PANEL ASSEMBLY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CONTROL PANAL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각종 기능의 입력이 가능하고, 필요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와 그것을 구성하는 통합 콘트롤 패널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각종 기능을 조작하고 확인하기 위해서 대쉬보드(dashboard) 중앙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인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콘트롤 패널이 내장된다.
차량의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에서부터 라디오, 히터, 에어컨이나 차량의 운행 모드 등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이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되고, 내비게이션 등도 내장되어 콘트롤 패널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전자제어장치(ECU)를 통한 차량의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콘트롤 패널 등은 센터페시아에 내장되어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며 운전하는 중에 이를 조작하는 것이 그리 쉽지는 않다. 즉, 이러한 조작부는 대체로 운전자의 운행중 시야에 비해 아래쪽에 배치되고, 운전자를 기준으로 우측이 된다.
그러므로, 이의 조작은 운전중에 그리 용이하지 않으며, 운행 중 무리한 조작은 사고의 위험 또한 존재한다.
최근에는 룸미러(room mirror)를 통해서 후방카메라의 영상이 확인 가능한 룸미러도 개발되어 운전자의 편의를 더욱 제고시켰지만, 여전히 룸미러는 운전자 기준으로 우측, 차량의 폭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므로 이러한 룸미러를 통한 후방카메라의 확인도 여전히 운전자가 고개를 돌려야만 가능하다.
한편, 근래 들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핸들, 가속 페달 등을 제어하지 않아도 도로의 상황을 파악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되어 상용화 직전에 있고, 운전자는 이러한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하여 운전의 부담 없이 보다 편안하게 이동이 가능해질 것이다.
실제로 운전자가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하게 되면, 운전자는 운전을 하는 대신 쉬거나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있고, 그럴 경우 운전자는 이동중에 운전석을 뒤로 밀거나 운전석을 눕혀서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자율주행 자동차의 경우에도 고장 등으로 인해 운전자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운전자가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차량의 어떤 기능이나 내비게이션 등의 조작을 원할 경우도 있다.
그런데, 운전자가 운전석을 후방으로 옮기거나 눕혔을 경우에는 클러스터, 내비게이션, 룸미러, 변속 레버, 콘트롤 패널 등의 확인이나 조작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자율주행차량이 테스트 중 사고를 발생시키는 일이 발생하고 있으며, 긴급한 상황에서는 운전자가 직접 변속 레버나 핸들의 조작이 필요할 수 있으나, 운전자가 운전석을 다시 조정하기 전에는 이의 조작이 불가능하다.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의 경우에는 전혀 확인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운전중에 시야를 과도하게 변경하지 않더라도 조작 및 확인이 용이하고, 자율주행 자동차를 운행하는 경우와 같이 운전자가 대쉬보드에서 멀어진 경우에도 조작 및 확인이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통합 콘트롤 패널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자동차의 상태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통합 콘트롤 패널,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을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하는 관절링크 및 상기 관절링크를 동작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후면에 형성되는 볼링크와 결합되는 볼링크 패널 및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고리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과 상기 관절링크의 중앙홀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각도조절 가이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절링크는, 연결홀이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링크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열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중 일 링크의 일측 연결홀은 상기 링크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중 일 링크의 일측 연결홀은 상기 볼링크 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링크 패널은, 상기 볼링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볼링크 홀더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측부에 마련되는 링크 연결구가 관절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링크 연결구는 슬라이딩 홀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링크 패널과 연결되는 링크는 일측의 연결홀을 통해 상기 볼링크 패널의 링크 연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관절링크는, 하나의 연결홀을 기준으로 상위에 위치하는 상부링크와 하위에 위치하는 하부링크로 구분되고, 상기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관절링크는 상기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가 번갈아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관절링크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일 열의 관절링크에 해당하는 상부링크와 그에 대응하는 다른 열의 관절링크에 해당하는 하부링크가 각각에 형성되는 중앙홀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 연결구는 한 쌍으로 상기 볼링크 패널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각각 다른 열의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 구동부는 리니어 로드, 상기 리니어 로드를 직선 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 상기 리니어 로드와 대응되게 운동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가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게 하는 로드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리니어 로드는 상기 일 열의 관절링크 중 일 링크의 연결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다른 열의 관절링크 중 일 링크의 연결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니어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는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한 쌍의 상기 관절링크는 펴지거나 접힘으로써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이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상기 리니어 모터의 동작 제어는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 또는 자동차의 리모컨 키에 의해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은 자동차의 클러스터 상방향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해 자동차의 기능이 구현되고, 구현 가능한 자동차의 기능은 자동차 운전모드의 변환,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에 의해 구현 가능한 자동차의 기능은 자동차의 변속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은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하고, 자동차의 후방카메라에 의해 인식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통합 콘트롤 패널은, 자동차의 상태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자동차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변속 버튼부 및 자동차의 변속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변속 버튼부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클러스터 상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스터 상방향으로부터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해 자동차의 기능이 구현되고, 구현 가능한 자동차의 기능은 자동차 운전모드의 변환,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현 가능한 자동차의 기능은 자동차의 변속기능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영상이 디스플레이 가능하고, 자동차의 후방카메라에 의해 인식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은, 자동차용 스마트키를 통해 통합 콘트롤 패널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한 전자제어장치(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링크 구동부가 구동되며, 상기 링크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관절링크가 전진 또는 후진됨으로써, 상기 관절링크에 연결된 통합 콘트롤 패널이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전진 또는 후진 명령을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에 입력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링크 구동부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에 입력되는 자동차의 기능 실행 명령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기능 실행 명령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작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디스플레이에 터치-앤드-드래그(touch & drag)로서 입력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합 콘트롤 패널은 센터페시아에 내장되지 않고, 클러스터의 상방향에 해당하는 운전자측에 배치되므로, 운전자가 운전중에도 차량의 상태 확인 및 조작을 위해서 고개를 돌리지 않아도 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높아지고, 보다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콘트롤 패널을 통해 각종 기능이 통합적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운전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준다.
또한, 기존의 콘트롤 패널이 존재하던 공간을 냉장고, 콘솔 박스 등의 다른 용도로 활용이 가능해지고, 별도의 AVN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통합 콘트롤 패널이 룸미러를 대신하여 후방카메라에 의한 영상이 디스플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위치에 룸미러의 배치가 불필요하고, 룸미러의 확인을 위해 시야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는 운전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통합 콘트롤 패널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운전자가 운전석을 뒤로 밀거나 눕혔을 경우에도 통합 콘트롤 패널의 조작 및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합 콘트롤 패널이 이동하면서 각도가 변경 가능하여 운전자의 확인 및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한다.
그러므로, 운전자가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서 발생할 문제를 줄일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가 적용된 차량 내부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합 콘트롤 패널의 정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은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동작 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와 같은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일 부분을 사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실제 적용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가 적용된 차량 내부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합 콘트롤 패널의 정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통합 콘트롤 패널은 종래에 센터페시아에 내장되었던 콘트롤 패널을 대체하고, 이를 사용자 편의에 적합할 수 있게 하며, 자율주행 자동차의 경우 현실적인 대안을 제공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통합 콘트롤 패널은 기존의 콘트롤 패널에 의해 조작 가능하였던 자동차의 각종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거기에 독자적인 기능이 부가된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를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서 자동차의 클러스터(cluster) 상방향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즉, 도 1과 같이 통합 콘트롤 패널(100)이 운전석에 대응될 수 있게 클러스터 상방향에 배치되게 하여 운전자가 고개를 돌리지 않고서도 필요한 기능의 조작 및 디스플레이의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통합 콘트롤 패널(100)은 운전자의 시야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의 지지 및 수납은 클러스터 상부의 대쉬보드 또는 전면유리 윗 천장부분에 의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통합 콘트롤 패널(100)이 이와 같은 배치를 가지고, 기존의 콘트롤 패널을 대체함에 따라 기존의 위치(A)는 다른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즉, 수납을 위한 콘솔박스 또는 냉장고 설치 등의 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이러한 통합 콘트롤 패널(100)의 가능한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통합 콘트롤 패널(100)에는 각종 미디어, 내비게이션, DMB, 후방카메라 등의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110)가 구성되고, 이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동차의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 버튼부(130)가 일 측부에 마련되고, 특히 자동차의 변속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변속 버튼부(120)가 또한 일 측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후술할 통합 콘트롤 패널(100)의 전진 및 후진 명령을 위한 버튼 또한 구성된다.
예시된 기능 버튼부(130)는 라디오, 히터, EPB(Electric Parking Brake), 자동차의 운전 모드(mode), 조향장치(스티어링), 내비게이션, DMB, 후방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이 같은 기능들이 통합 콘트롤 패널(100)을 통해 입력되면, 이에 대한 신호는 전자제어장치(ECU)로 전송되어, 전자제어장치가 해당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조향장치의 조작은 디스플레이(110)에 터치-앤드-드래그(touch&drag) 입력을 함으로써 드래그 방향으로 핸들이 조작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통합 콘트롤 패널(100)은 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동차가 자율주행을 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을 뒤로 해서 쉬고 있는 상황에서도 핸들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후방카메라를 동작시켜서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후방카메라가 디스플레이되게 함으로써 운전자는 룸미러 대신에 통합 콘트롤 패널(100)을 통해서 후방을 주시하며 운전을 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종래의 룸미러를 차량의 전면 중앙에 배치시키지 않아도 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운전자가 시야를 변동시키지 않아도 되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통합 콘트롤 패널은 각도조절수단, 관절링크 및 링크 구동부에 의해서 배치된 위치에서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자율주행자동차에 적용되어 운전자가 운전석을 뒤로 밀어서 휴식 등을 취하는 경우에도 이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링크 구동부는 관절링크를 동작시켜 통합 콘트롤 패널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각도조절수단은 전진 또는 후진되는 통합 콘트롤 패널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게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통합 콘트롤 패널(100)의 후면에는 볼링크(140)가 중앙에 형성되고, 가이드 고리(150)가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각도조절수단은 볼링크 패널(200)과 각도조절 가이드(300)를 포함하는데, 볼링크 패널(200)은 통합 콘트롤 패널(100)의 볼링크(140)가 삽입, 안착되는 볼링크 홀더(210)가 중앙에 형성되고, 양 측부에는 링크 연결구(220)가 형성되어 후술할 관절링크가 링크 연결구(220)에 연결되며, 링크 연결구(220)가 슬라이딩 동작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홀(230)이 마련되어 이의 동작에 의해 관절링크가 동작될 수 있게 한다.
각도조절가이드(300)는 가이드 핀(310)과 가이드 헤드(320)를 포함하며, 가이드 핀(310)은 통합 콘트롤 패널(100) 후면의 가이드 고리(15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각도조절가이드(300) 몸체 끝단에서 몸체에 수직하게 마련되고, 가이드 헤드(320)는 후술할 관절링크의 중앙홀에 끼워진다.
그래서, 통합 콘트롤 패널(100)은 볼링크(140)에 의해서 사용자 임의적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각도조절가이드(300)가 조절된 각을 유지하도록 하며, 가이드 핀(310)에 의해서 조절 각도의 한계가 있도록 한다.
그러한 각도 변경을 위해서 가이드 핀(310)이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고리(150)는 가이드 핀(310)의 직경보다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절링크는 링크 구동부에 의해서 관절이 접히거나 펴짐으로써 통합 콘트롤 패널(100)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하며, 이를 위해 일련의 관절링크 중 링크 구동부에 인접한 링크는 링크 구동부에 연결되고, 통합 콘트롤 패널 측에 인접한 링크는 볼링크 패널(200)에 연결되고, 특히 링크 연결구(220)와 결합이 된다.
이를 위해 관절링크는 복수의 링크가 이어져 연결되어 일련의 링크를 형성하고, 그러한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관절링크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관절이 쉽게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관절링크는 상부링크(410)와 하부 링크(420)가 번갈아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각각의 상부링크(410)와 하부 링크(420)의 양 측부에는 연결홀(412, 422)이 마련되어, 두 연결홀(412, 422)을 연결핀(미도시)에 의해 두 링크 간을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각 상부링크(410)와 하부 링크(420)에는 중앙홀(411, 421)이 마련되어, 일 열에 해당하는 상부링크가 다른 열에 해당하는 하부링크와 중앙홀(411, 421)에 연결핀이 관통되는 것에 의해서 도시와 같은 가위 형상이 연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링크 구동부 측의 일 열의 상부링크와 다른 열의 하부링크가 펴지게 되어 접혀 있던 관절링크가 펴짐으로써 통합 콘트롤 패널(100)이 전진하게 된다.
통합 콘트롤 패널 측에 인접한 말단의 상부링크(410)와 하부링크(420)는 각각 볼링크 패널(200)의 링크 연결구(220)와 연결홀을 통해 연결되고, 링크 연결구(200)는 슬라이딩 홀(230)을 통해 도 6의 도시와 같이 수평적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링크가 접히거나 펴지게 된다.
그리고, 각도조절 가이드(300)는 말단의 상부링크(410) 및 하부링크(420)의 중앙홀에 사이드 헤드(320)가 끼워져 연결되어 통합 콘트롤 패널(1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한 링크 구동부는 리니어 로드(520)와 가이드 로드(540)가 각각 다른 열의 첫 번째 링크의 연결홀에 연결이 되고, 리니어 로드(520)는 리니어 모터(510)에 의해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직선 방향은 차량의 폭방향에 해당한다.
가이드 로드(540)는 리니어 로드(520)가 전진 후진하는 것에 대응되게 동시에 전진 및 후진되고, 서로의 방향은 서로 반대로서 양 로드가 전진하게 되면 가까워져서 관절링크가 펴지게 되고, 후진하게 되면 멀어져서 관절링크가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 로드(540)는 로드 가이더(530) 내에서 슬라이딩 운동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링크 구동부는 자동차에 고정 결합되어야 하며, 직접 고정되거나 다른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링크의 접힘과 펴짐시의 볼링크(140)와 가이드 헤드(320)의 거리는 각각 D1, D2로 달라지게 된다.
D1에서 D2만큼의 거리가 되면, 도 5와 같이 자연적으로 통합 콘트롤 패널(100)의 각도는 하향되어 운전석에 앉아 있는 운전자의 시야에 적합하게 동작된다.
이 경우, 각도조절 가이드(300)의 가이드 헤드(320)는 밀려서 올라가게 되며, 이를 위해 각도조절 가이드(300)는 굽어진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10)는 자동차용 스마트키를 통해서 리니어 모터(510)의 동작이 제어되게 하거나, 통합 콘트롤 패널(100) 상에 표시되는 버튼을 통해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도7과 같이 운전석이 뒤로 밀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스마트 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통합 콘트롤 패널(100)이 전진되도록 제어하고, 후진을 위해서는 스마트 키 조작이나 통합 콘트롤 패널(100)의 직접 조작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00 : 통합 콘트롤 패널
110 : 디스플레이 120 : 변속 버튼부 130 : 기능 버튼부
140 : 볼 링크 150 : 가이드 고리
200 : 볼 링크 패널
210 : 볼 링크 홀더 220 : 링크 연결구 230 : 슬라이딩 홀
300 : 각도 조절 가이드
310 : 가이드 핀 320 : 가이드 헤드
410 : 상부 링크
411 : 중앙홀 412 : 연결홀
420 : 하부 링크
421 : 중앙홀 422 : 연결홀
510 : 리니어 모터 520 : 리니어 로드
530 : 로드 가이더 540 : 가이드 로드

Claims (25)

  1. 삭제
  2. 자동차의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자동차의 상태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통합 콘트롤 패널;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을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하는 관절링크; 및
    상기 관절링크를 동작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후면에 형성되는 볼링크와 결합되는 볼링크 패널; 및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고리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과 상기 관절링크의 중앙홀에 끼워지는 가이드 헤드를 포함하는 각도조절 가이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절링크는,
    연결홀이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링크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열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중 일 링크의 일측 연결홀은 상기 링크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 중 일 링크의 일측 연결홀은 상기 볼링크 패널과 연결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볼링크 패널은,
    상기 볼링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볼링크 홀더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측부에 마련되는 링크 연결구가 관절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링크 연결구는 슬라이딩 홀 내에서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링크 패널과 연결되는 링크는 일측의 연결홀을 통해 상기 볼링크 패널의 링크 연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관절링크는, 하나의 연결홀을 기준으로 상위에 위치하는 상부링크와 하위에 위치하는 하부링크로 구분되고, 상기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관절링크는 상기 상부링크와 상기 하부링크가 번갈아 연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관절링크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일 열의 관절링크에 해당하는 상부링크와 그에 대응하는 다른 열의 관절링크에 해당하는 하부링크가 각각에 형성되는 중앙홀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링크 연결구는 한 쌍으로 상기 볼링크 패널의 양 측부에 마련되어 각각 다른 열의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링크 구동부는
    리니어 로드;
    상기 리니어 로드를 직선 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
    상기 리니어 로드와 대응되게 운동하는 가이드 로드; 및
    상기 가이드 로드가 내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게 하는 로드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0. 청구항 9 있어서,
    상기 리니어 로드는 상기 일 열의 관절링크 중 일 링크의 연결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는 상기 다른 열의 관절링크 중 일 링크의 연결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는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한 쌍의 상기 관절링크는 펴지거나 접힘으로써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이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모터의 동작 제어는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 또는 자동차의 리모컨 키에 의해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은 자동차의 클러스터 상방향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해 자동차의 기능이 구현되고, 구현 가능한 자동차의 기능은 자동차 운전모드의 변환,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에 의해 구현 가능한 자동차의 기능은 자동차의 변속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은 내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하고, 자동차의 후방카메라에 의해 인식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은,
    자동차의 상태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자동차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버튼부; 및
    자동차의 변속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변속 버튼부를 포함하며,
    자동차의 클러스터 상방향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은, 상기 클러스터 상방향으로부터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동차의 전자제어장치(ECU)에 의해 자동차의 기능이 구현되고, 구현 가능한 자동차의 기능은 자동차 운전모드의 변환,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구현 가능한 자동차의 기능은 자동차의 변속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내비게이션 영상이 디스플레이 가능하고, 자동차의 후방카메라에 의해 인식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22. 청구항 2의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의 작동방법으로서,
    자동차용 스마트키를 통해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동작신호를 수신한 전자제어장치(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링크 구동부가 구동되며, 상기 링크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관절링크가 전진 또는 후진됨으로써, 상기 관절링크에 연결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이 자동차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전진 또는 후진 명령을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에 입력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링크 구동부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에 입력되는 자동차의 기능 실행 명령에 의해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해당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기능 실행 명령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조작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콘트롤 패널의 디스플레이에 터치-앤드-드래그(touch & drag)로서 입력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KR1020160104713A 2016-08-18 2016-08-18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KR10246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13A KR102463441B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13A KR102463441B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34A KR20180020434A (ko) 2018-02-28
KR102463441B1 true KR102463441B1 (ko) 2022-11-04

Family

ID=6140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713A KR102463441B1 (ko) 2016-08-18 2016-08-18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4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2858B2 (ja) * 1997-03-25 2004-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モニター
KR100510411B1 (ko) * 2003-04-10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장치
KR100797444B1 (ko) * 2006-03-27 2008-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
JP3139707U (ja) * 2007-12-07 2008-02-28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商品説明用モニタ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3970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34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2504B2 (en) Vehicle having multiple driving positions
CN105683021B (zh) 用于车辆的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
US10207697B2 (en) Movable steering wheel for autonomous vehicle
US20180373343A1 (en) Vehicle operation device
CN104816727A (zh) 用于自主驾驶车辆的控制设备
CN110550084A (zh) 可收起式车辆界面
JP2007523007A (ja) 車両レベル調整装置を使用してトレーラを連結する方法
EP3069917B1 (en) Positionable user interface for vehicular use
CN104417362A (zh) 车辆用换档装置
JPWO2007034567A1 (ja) 自動車車両ドライブバイワイヤー操舵システム
US20200406935A1 (en) In-car display device of automatic driving vehicle
CN111194279A (zh) 用于工业车辆驾驶室的摄像机组件
US11577607B2 (en) Operation device of automatic driving vehicle
US20200247327A1 (en) Vehicle display device
CN104843014A (zh) 一种汽车起步驾驶辅助系统、具有其的汽车及相应方法
KR102463441B1 (ko)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자동차용 콘트롤 패널 어셈블리 작동방법
US11327487B2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system
US11897520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vehicle control from automated vehicle control to manual vehicle control
CN206520559U (zh) 中控台和具有其的车辆
JP2020117103A (ja) 車両用表示装置
JP6099642B2 (ja) 車両とトレーラとの連結体のための後進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後進装置
US10814901B2 (en) Driver station with module comprising an electronic communication interface element and associated vehicle
KR102310423B1 (ko) 주차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224272A1 (en) Ergonomic vehicle control system
US20210034051A1 (en) Vehicle op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