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032B1 -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032B1
KR102463032B1 KR1020200169426A KR20200169426A KR102463032B1 KR 102463032 B1 KR102463032 B1 KR 102463032B1 KR 1020200169426 A KR1020200169426 A KR 1020200169426A KR 20200169426 A KR20200169426 A KR 20200169426A KR 102463032 B1 KR102463032 B1 KR 10246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content
present
cast stee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382A (ko
Inventor
이도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6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0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이 개시된다.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중량 %로, C: 0.44 내지 0.48%, Si: 0.8 내지 1.0%, Mn: 1.0 내지 1.2%, P: 0.03% 이하, S: 0.03% 이하, Cr: 23 내지 25%, Ni: 22 내지 24%, Mo: 0.01 내지 0.05%, Nb: 0.01 내지 0.02%, V: 0.03 내지 0.08%, W: 0.005 내지 0.015%, Co: 0.1 내지 0.2%, Ti: 0.005 내지 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HEAT-RESISTANT CAST STEEL, ROLL FOR HEATING FURNACE WITH IMPROVED CREEP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강 공정에서 소둔로용 롤로 사용되기에 적합하고, 크리프 특성이 향상되고, 크리프 특성의 물성 편차를 50%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는 내열 주강 및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온의 철강 소둔 공정에서 사용되는 소둔로용 롤은 HK40, KHR20T 등의 강종이 사용된다. HK40, KHR20T 내열강은 열처리로(爐), 고온 고열의 발전소, 제철 설비에 사용되는 Fe-Cr-Ni계 합금으로 내열성 뿐만 아니라 크리프 특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크리프(Creep)이란 물체가 고온 환경 하에서 일정한 응력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크리프에 의한 변형은 온도, 시간, 결정립 크기 및 응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HK40, KHR20T 강은 합금조성이 개시되어 있는 강종이나, 제안된 합금 성분의 조성범위가 지나치게 넓다. 이러한 넓은 합금조성 성분계를 갖는 합금으로 소둔로용 롤 주조 제품을 제조할 경우, 제품의 상당수는 크리프 특성이 열위하는 등 제품마다 물리적 특성에 상당한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크리프 특성이 열위한 롤 제품은 교체를 위한 유지 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롤 제품의 수명을 예측하기 어려워 롤의 교체 주기가 불규칙적이므로 정비 및 관리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따라서, 교체 주기가 길고, 일정한 교체 주기를 갖는 소둔로용 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크리프 특성이 향상되고, 제작 편차를 저감할 수 있는 새로운 성분계의 강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작 편차를 저감하면서,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중량 %로, C: 0.44 내지 0.48%, Si: 0.8 내지 1.0%, Mn: 1.0 내지 1.2%, P: 0.03% 이하, S: 0.03% 이하, Cr: 23 내지 25%, Ni: 22 내지 24%, Cu: 0.1% 이하(0% 포함), Mo: 0.01 내지 0.05%, Nb: 0.01 내지 0.02%, V: 0.03 내지 0.08%, W: 0.005 내지 0.015%, Co: 0.1 내지 0.2%, Ti: 0.005 내지 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경도가 325 내지 355Hv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1000℃의 온도에서, 161 시간 동안, 20MPa의 일정 하중을 부과시, 크리프 변형이 0.1 내지 0.3%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900℃에서의 고온 인장강도가 135 내지 150MPa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소둔로용 롤은 중량 %로, C: 0.44 내지 0.48%, Si: 0.8 내지 1.0%, Mn: 1.0 내지 1.2%, P: 0.03% 이하, S: 0.03% 이하, Cr: 23 내지 25%, Ni: 22 내지 24%, Cu: 0.1% 이하(0% 포함), Mo: 0.01 내지 0.05%, Nb: 0.01 내지 0.02%, V: 0.03 내지 0.08%, W: 0.005 내지 0.015%, Co: 0.1 내지 0.2%, Ti: 0.005 내지 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소둔로용 롤의 평균 사용일은 230일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소둔로용 롤의 제조방법은 중량 %로, C: 0.44 내지 0.48%, Si: 0.8 내지 1.0%, Mn: 1.0 내지 1.2%, P: 0.03% 이하, S: 0.03% 이하, Cr: 23 내지 25%, Ni: 22 내지 24%, Cu: 0.1% 이하(0% 포함), Mo: 0.01 내지 0.05%, Nb: 0.01 내지 0.02%, V: 0.03 내지 0.08%, W: 0.005 내지 0.015%, Co: 0.1 내지 0.2%, Ti: 0.005 내지 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주강 용탕을 제조하는 단계; 용탕을 주형틀에 주입하여 소둔로용 롤 형상으로 주조하는 단계; 및 주조된 제품을 공냉하여 내열 주강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으로 제조된 소둔로용 롤은 교체 주기가 길고, 일정한 교체 주기를 가질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정비 및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도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소둔로용 롤의 평균 사용일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1000℃의 온도에서, 161 시간 동안, 20MPa의 일정 하중을 부과하고, 크리프 변형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900℃의 시험온도에서, 2mm/min의 시험속도로 신장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하중 10kgf로 경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Md Bahaa Zaghloul 등의 학술논문(On The Strengthening of the centrifugally cast Hk40 tube, Metallugical Engineering Dept.,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Ohokayama, Meguro-ku, Tokyo, Japan, 152, 265-274.)에 의하면 같은 강종인 HK40의 경우에도 C, Ti 및 Nb 등과 같은 탄화물(carbide) 형성 합금의 조성 범위를 미세하게 조정하면, 합금 원소들의 관계성에 따라 크리프 특성이 일반 HK40 강에 비해 2배 이상 차이가 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발명자는 종래 개시된 상용 합금인 KHR20T 강종의 합금 범위에 추가 원소를 투입하고, C, Ni 및 Nb의 함량을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크리프 특성이 더욱 향상되고, 제품의 제조 편차가 종래 대비 50% 감소한 내열 주강 및 소둔로용 롤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중량 %로, C: 0.44 내지 0.48%, Si: 0.8 내지 1.0%, Mn: 1.0 내지 1.2%, P: 0.03% 이하, S: 0.03% 이하, Cr: 23 내지 25%, Ni: 22 내지 24%, Cu: 0.1% 이하, Mo: 0.01 내지 0.05%, Nb: 0.01 내지 0.02%, V: 0.03 내지 0.08%, W: 0.005 내지 0.015%, Co: 0.1 내지 0.2%, Ti: 0.005 내지 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경도가 325 내지 355H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1000℃의 온도에서, 161 시간 동안, 20MPa의 일정 하중을 부과시, 크리프 변형이 0.1 내지 0.3%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900℃에서의 고온 인장강도가 135 내지 150MPa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합금성분 원소 함량의 수치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단위는 중량%이다.
C의 함량은 0.44 내지 0.48%이다.
C는 Nb, Cr 등과 결합하여 탄화물을 형성하고, 고온 인장 강도, 크리프 강도를 확보하는데 유용한 원소이다. C의 함량이 0.44% 미만일 경우, 본 발명에서 목표로하는 크리프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고, C의 함량이 0.48을 초과할 경우, Cr 탄화물(Cr23C6)이 증가하여 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피로 특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의 함량을 0.44 내지 0.48%로 제한한다.
Si의 함량은 0.8 내지 1.0%이다.
Si은 제강 시에 탈산제로서 첨가되는 원소이다. Si의 함량이 0.8% 미만일 경우, 적정한 탈산을 통해 강을 청정하게 할 수 없고, Si의 함량이 1.0%를 초과할 경우, 연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i의 함량을 0.8 내지 1.0%로 제한한다.
Mn의 함량은 1.0 내지 1.2%이다.
Mn은 Si과 마찬가지로, 제강 시에 탈산제로서 첨가되고, 용강 중의 MnS를 형성하여 유해한 S을 MnS로 고정하기 위해 첨가되는 원소이다. Mn의 함량이 1.0%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Mn의 함량이 1.2%를 초과할 경우, 고온 강도가 열위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n의 함량을 1.0 내지 1.2%로 제한한다.
P 및 S의 함량은 0.03% 이하이다.
P 및 S은 불가피하게 함유되는 불순물서, 본 발명에서는 그 함량을 가능한 한 낮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 P 및 S의 함량은 0%로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나, 제조공정상 필연적으로 함유될 수 밖에 없으므로, 상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P 및 S의 함량의 상한을 KHR20T 강종과 동일하게 0.03%로 관리한다.
Cr의 함량은 23 내지 25%이다.
Cr은 Cr탄화물(C23C6)을 석출 생성함으로써,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고, 내산화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Cr의 함량이 23%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Cr의 함량이 25%를 초과할 경우, Cr탄화물이 과도하게 생성되어, 피로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r의 함량을 23 내지 25%로 제한한다.
Ni의 함량은 22 내지 24%이다.
Ni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화시키고,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Ni의 함량이 22%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24%를 초과할 경우, 크리프 강도가 열위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i의 함량을 22 내지 24%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상용 합금인 KHR20T 강종에 Ti를 0.005 내지 0.1%로 첨가하고, Nb의 조성 범위를 0.01 내지 0.02 범위로 제한한다. Ti 및 Nb은 모두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특히, Ti 및 Nb은 (Ti, Nb)C 탄화물을 생성함으로써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Ni의 함량을 22 내지 24%로 제한하고, (Ti, Nb)C 탄화물을 생성하는 C, Ti 및 Nb의 함량을 소정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상용 합금인 KHR20T 강종보다 고온 인장강도가 상승하고, 특히, 크리프 변형 특성의 편차가 50%이하로 저감되고, 이에 따라 평균 롤 사용일수가 큰 폭으로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i의 함량은 0.005 내지 0.1%이다.
Ti은 매트릭스에 고용하면 C와 결합해 미세한 (Ti, Nb)C 탄화물을 생성함으로써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Ti의 함량이 0.005%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0.1%를 초과할 경우, 조대하고 엉성한 석출물이 생성되어 미세한 (Ti, Nb)C 탄화물 석출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Ti의 함량을 0.005 내지 0.1%로 제한한다.
Nb의 함량은 0.01 내지 0.02%이다.
Nb은 Ti과 마찬가지로, 매트릭스에 고용하면 C와 결합해 미세한 (Ti, Nb)C 탄화물을 생성함으로써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Nb의 함량이 0.01%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0.02%를 초과할 경우, 조대하고 엉성한 석출물이 생성되어 미세한 (Ti, Nb)C 탄화물 석출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Nb의 함량을 0.01 내지 0.02%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용 합금인 KHR20T 강종에 Cu, Mo, V, W 및 Co를 더 첨가한다. Cu, Mo, W, V 및 Co는 모두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Cu의 함량은 0.1% 이하이다.(0% 포함)
Cu는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다만, Cu의 함량이 0.1%를 초과할 경우, 연성 및 가공성이 열위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Cu의 상한을 0.1%로 제한한다.
Mo의 함량은 0.01 내지 0.05%이다.
Mo은 Mo탄화물 석출 강화에 의해 고온 강도 및 크리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이다. Mo의 함량이 0.01%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0.05%를 초과할 경우, 연성 및 가공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o의 함량을 0.01 내지 0.05%로 제한한다.
W의 함량은 0.005 내지 0.015%이다.
W는 크리프 강도를 높이는 원소이다. W의 함량이 0.005%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0.015%를 초과할 경우, 연성 및 가공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W의 함량을 0.005 내지 0.015%로 제한한다.
V의 함량은 0.03 내지 0.08%이다.
V은 열처리 시, 탄화물을 형성하여 크리프 파단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V의 함량이 0.03%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0.08%를 초과할 경우,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V의 함량을 0.03 내지 0.08%로 제한한다.
Co의 함량은 0.1 내지 0.2%이다.
Co는 매트릭스에 고용해 크리프 파단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Co의 함량이 0.1% 미만일 경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0.2%를 초과할 경우, 고가의 재료로 고비용을 초래하고, 탄화물의 석출을 촉진시켜, 오히려 크리프 파단 강도가 열위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Co의 함량을 0.1 내지 0.2%로 제한한다.
합금조성 외 잔부는 Fe이다. 본 발명의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은 통상 강의 공업적 생산 과정에서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순물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그 종류와 함량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소둔로용 롤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소둔로용 롤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일 실시예로써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소둔로용 롤의 제조방법은 중량 %로, C: 0.44 내지 0.48%, Si: 0.8 내지 1.0%, Mn: 1.0 내지 1.2%, Cr: 23 내지 25%, Ni: 22 내지 24%, Cu: 0.1% 이하(0% 포함), Mo: 0.01 내지 0.05%, Nb: 0.01 내지 0.02%, V: 0.03 내지 0.08%, W: 0.005 내지 0.015%, Co: 0.1 내지 0.2%, Ti: 0.005 내지 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주강 용탕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탕을 주형틀에 주입하여 롤 제품 형상으로 주조하는 단계; 및 상기 주조된 제품을 공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용 롤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소둔로용 롤은 평균 사용일은 230일 이상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 예
구분 합금조성(중량%)
C Si Mn P Si Cr Ni Cu Mo Nb V W Co Ti
실시예1 0.44
~0.46
0.8
~1
1
~1.2
0~0.03 0~0.03 23~25 22~24 0~0.1 0.01
~0.05
0.01
~0.02
0.03
~0.08
0.005
~0.015
0.1~0.2 0.005
~0.01
비교예1
(KHR20T)
0.35
~0.5
~2 ~1.5 0~0.03 0~0.03 23~27 19~25 - - 0~0.5 - - - -
비교예2 0.32
~0.39
0.65
~1.05
0.53
~1.26
0~0.03 0~0.03 23.9
~24.8
19.6
~20.5
0.076
~0.11
0.028
~0.074
0.34
~0.41
0.088
~0.109
0.01
~0.18
0.001
~0.19
0~0.028
[평균 롤 사용주기 평가]표 1과 같은 합금조성을 만족하도록 주강 용탕을 제조하고, 용탕을 주형틀에 주입하여 소둔로용 롤의 형상으로 주조한 후, 냉각하여 실시예1,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소둔로용 롤 제품을 얻었다. 이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평균 롤 사용일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합금 조성을 만족하는 실시예1은 사용 주기가 240일 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KHR20T) 및 비교예 2는 각각 100일, 70일로 사용 주기가 짧고, 크리프 특성이 실시예보다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크리프 변형 평가]
크리프 변형 평가는 표1의 합금 성분을 갖는 내열 주강 시편을 제조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1000℃의 온도에서, 161 시간 동안, 20MPa의 일정 하중을 부과하고, 크리프 변형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2에 나타내었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금 조성을 만족하는 실시예1은 크리프 변형이 0.1 내지 0.3% 범위로 낮고, 편차가 0.2△%로 작게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1은 크리프 변형이 0.29% 내지 0.72% 범위로 높고, 편차가 0.43△% 정도로 실시예1과 대비하여 2배 이상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2는 0.19%의 크리프 변형을 나타내었다. 단, 크리프 변형 편차는 측정하지 않았다.
[고온 인장강도 평가]
고온 인장강도는 표1의 합금 성분을 갖는 내열 주강 시편을 900℃의 시험온도에서, 2mm/min의 시험속도로 신장하여 고온 인장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3에 나타내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금 조성을 만족하는 실시예1은 인장강도가 135 내지 150 MPa로 그 편차가 15△Mpa로 비교예에 대비하여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1보다 우수한 고온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비교예1은 90 MPa의 낮은 인장강도를 나타내어 고온 강도가 가장 열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2는 180 MPa의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내었으나, 평균 롤 사용일수가 짧아 소둔로용 롤 제품으로 적합하지 않다.
[경도 평가]
경도는 표1의 합금 성분을 갖는 내열 주강 시편을 비커스 경도기를 이용하여 하중 10kgf로 경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4에 나타내었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금 조성을 만족하는 실시예1은 경도가 325 내지 355Hv로 그 편차가 30△Hv로 작게 나타났다.
비교예1은 365 내지 405Hv로 40△Hv의 큰 편차를 나타내었다.
비교예2는 경도가 365 내지 385Hv로 20△Hv의 작은 편차를 보였으나, 평균 롤 사용일수가 짧아 소둔로용 롤 제품으로 적합하지 않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평균 롤 사용주기가 길고, 크리프 변형 편차가 낮고, 일정 수준의 고온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비교예1은 경도는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크리프 변형 편차가 크고, 고온 인장강도가 가장 낮으며, 평균 롤 사용일수가 짧아 소둔로 용 롤 제품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2는 경도가 크고, 고온 인장강도는 확보하였으나, 평균 롤 사용일수가 가장 짧아 소둔로용 롤 제품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중량 %로, C: 0.44 내지 0.48%, Si: 0.8 내지 1.0%, Mn: 1.0 내지 1.2%, P: 0.03% 이하, S: 0.03% 이하, Cr: 23 내지 25%, Ni: 22 내지 24%, Cu: 0.1% 이하(0% 포함), Mo: 0.01 내지 0.05%, Nb: 0.01 내지 0.02%, V: 0.03 내지 0.08%, W: 0.005 내지 0.015%, Co: 0.1 내지 0.2%, Ti: 0.005 내지 0.1%,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주강 용탕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탕을 주형틀에 주입하여 소둔로용 롤 형상으로 주조하는 단계; 및
    상기 주조된 제품을 공냉하여 내열 주강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둔로용 롤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소둔로용 롤은, 경도가 325 내지 355Hv이고; 1000℃의 온도에서, 161 시간 동안, 20MPa의 일정 하중을 부과 시, 크리프 변형이 0.1 내지 0.3%인, 크리프 변형 특성이 향상된 소둔로용 롤의 제조방법.
KR1020200169426A 2020-12-07 2020-12-07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 KR10246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26A KR102463032B1 (ko) 2020-12-07 2020-12-07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426A KR102463032B1 (ko) 2020-12-07 2020-12-07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382A KR20220080382A (ko) 2022-06-14
KR102463032B1 true KR102463032B1 (ko) 2022-11-03

Family

ID=8198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426A KR102463032B1 (ko) 2020-12-07 2020-12-07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0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0219B2 (ja) * 1980-08-19 1984-09-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表面にAl↓2O↓3皮膜を生成するオ−ステナイト系耐酸化耐熱鋳造合金
JPS59104458A (ja) * 1983-11-22 1984-06-16 Shirikoroi Kenkyusho:Kk 高珪素耐熱鋳鋼の改良
JPH0776721A (ja) * 1993-09-10 1995-03-20 Nidatsuku Kk 耐熱鋳造合金の熱処理方法
JPH10251792A (ja) * 1997-03-10 1998-09-22 Kubota Corp スラブ搬送タイヤローラのタイヤ用耐熱合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382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6177B1 (en) Austenitic heat-resistant cast steel
JP7018510B2 (ja) 優れた硬度と衝撃靭性を有する耐摩耗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560258B (zh) 一种低碳高硼铸造耐磨合金钢及其制备方法
KR101379079B1 (ko) 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CN101910440A (zh) 具有优良强度和延性的拉拔用线材及其制造方法
JP2022502570A (ja) 優れた硬度及び衝撃靭性を有する耐摩耗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791714A (zh) 焊接性能良好的500MPa螺纹钢筋及生产方法
CN102912248A (zh) 高韧性耐磨耐蚀马氏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CN105543647A (zh) 一种高强度特种钢合金及其制备工艺
CN115637393A (zh) 一种链篦机链节用奥氏体耐热钢及其制备方法
KR102009630B1 (ko) 강판
KR20150074697A (ko) 저 니켈 함유 스테인리스강
KR20170035133A (ko) 구상흑연주철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63032B1 (ko) 크리프 특성이 향상된 내열 주강, 소둔로용 롤 및 그 제조방법
EP2059622A1 (en) Temperature-stable cast-iron alloy and its use
JP2007146263A (ja) 水冷孔からの割れが抑制されたダイカスト用熱間工具鋼
JPH062904B2 (ja) 高強度低合金鋼極厚鋼材の製造方法
CN102312170A (zh) 马氏体耐磨铸钢
JP2021507990A (ja) 優れた硬度及び衝撃靭性を有する耐摩耗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312159A (zh) 马氏体耐磨铸钢的热处理工艺
CN101748335B (zh) 一种不含镍烧结机炉蓖条材料及其制造方法
US8202375B2 (en) Temperature-stable cast iron alloy and use of said alloy
KR20140042101A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CN109972024A (zh) 一种齿轮钢钢棒用钢及其制备方法和钢棒的制备方法
JP2002294389A (ja) 高クロム鋳鉄鋳物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