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691B1 -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 Google Patents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691B1
KR102462691B1 KR1020180078015A KR20180078015A KR102462691B1 KR 102462691 B1 KR102462691 B1 KR 102462691B1 KR 1020180078015 A KR1020180078015 A KR 1020180078015A KR 20180078015 A KR20180078015 A KR 20180078015A KR 102462691 B1 KR102462691 B1 KR 10246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transmission
installation body
working fluid
hydraulic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961A (ko
Inventor
정승호
강성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8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6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2Guidance of lubricant
    • F16H57/0421Guidance of lubricant on or within the casing, e.g. shields or baffles for collecting lubricant, tubes, pipes, grooves, channels or the like
    • F16H57/0424Lubricant guiding means in the wall of or integrated with the casing, e.g. grooves, channels,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2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유압 트랜스미션이 설치되는 설치본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 쪽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입유로;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제1배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제1배출유로 각각은 작동유체가 상기 설치본체의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설치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Case of Hydrost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에 이용되는 유압 트랜스미션을 수용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유압 트랜스미션은 차량의 작업 및 주행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은 엔진 등의 동력원이 제공하는 동력의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변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이 작동되기 위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는 오일 등의 작동유체가 주입된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은 작동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변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 트랜스미션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서,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이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이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을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이 차량에 설치되는 설치기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는 작동유체가 유입되거나 작동유체가 배출되기 위한 유압라인이 직접 연결되도록 구현되었다. 상기 유압라인은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것으로, 파이프(Pipe)나 호스(Hose) 등으로 구현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 쪽으로 연결되기 위한 상기 유압라인이 설치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상기 유압라인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충격 등에 상기 유압라인이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이 설치된 후에 작업자가 상기 유압라인을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 연결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의 설치가 완료되는 시간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의 설치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 대한 설치 공정의 수를 증대시킴으로써 설치 비용을 증대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 기술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작업자가 상기 유압라인을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 연결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해 상기 유압라인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에 완벽히 연결되지 않은 경우 작동유체의 누출현상이 발생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유압 트랜스미션에 유압라인이 직접 연결되지 않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는 차량의 유압 트랜스미션이 설치되는 설치본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 쪽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입유로;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제1배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 및 상기 제1배출유로 각각은 작동유체가 상기 설치본체의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설치본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압 트랜스미션에 연결된 작동유체의 유로가 설치본체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설치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유압 트랜스미션에 연결된 유압라인의 일부를 담당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압라인이 유압 트랜스미션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도 설치본체까지만 연결되면 유압 트랜스미션에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압라인이 외부에 노출되는 전체적인 길이를 감소시켜 유압라인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 트랜스미션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도 감소시키므로 유압 트랜스미션에 대한 가동수명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유압 트랜스미션을 설치본체에 설치한 후에, 유압라인을 설치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유압 트랜스미션까지 연결할 필요가 없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압 트랜스미션에 연결된 전체적인 유압라인의 설치가 완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압 트랜스미션의 설치 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유압 트랜스미션에 대한 설치공정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설치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유압 트랜스미션을 설치본체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유압 트랜스미션에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로가 연결되도록 구현되므로, 작업자가 유압라인을 유압 트랜스미션에 직접 연결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작동유체의 누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있어서, 도 1의 I-I선을 따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있어서, 유압 트랜스미션이 설치본체에 설치됨에 따라 유입구가 유입유로에 직접 연통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있어서,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있어서, 유압 트랜스미션이 설치본체에 설치됨에 따라 배출구가 제1배출유로에 직접 연통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은 차량의 작업 및 주행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은 엔진 등의 동력원이 제공하는 동력의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변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작동되기 위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는 오일 등의 작동유체가 주입된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은 작동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차량의 변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진동 등으로부터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보호하는 보호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차량에 설치되기 위한 설치기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차량의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설치되는 설치본체(2);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쪽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입유로(3);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제1배출유로(4)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3) 및 상기 제1배출유로(4) 각각은 작동유체가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된 작동유체의 유로가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된 유압라인의 일부를 담당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라인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까지 연장되지 않고도 상기 설치본체(2)까지만 연결되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라인이 외부에 노출되는 전체적인 길이를 감소시켜 상기 유압라인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도 감소시키므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대한 가동수명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업자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한 후에, 상기 유압라인을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까지 연결할 필요가 없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된 전체적인 유압라인의 설치가 완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설치 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대한 설치공정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설치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업자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로가 연결되도록 구현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유압라인을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직접 연결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작동유체의 누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치본체(2), 상기 유입유로(3), 및 상기 제1배출유로(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설치본체(2)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설치본체(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의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설치본체(2)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치본체(2)에는 설치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21)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은 상기 설치공간(21)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설치본체(2)는 상기 설치공간(21)에 수용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쪽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유로(3)의 일측은 펌프유압라인(2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은 작동유체가 유동되도록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펌프부(200)에 연결된 것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에는 차량의 부품 등으로부터 탈락된 금속 조각 등을 여과하는 필터부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으로부터 유입된 작동유체는 상기 유입유로(3)를 통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쪽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으로부터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를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전체 유압라인의 일부를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유입유로(3)가 담당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상기 설치본체(2)에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외부에 노출된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의 길이를 감소시켜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도 감소시키므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대한 가동수명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펌프유압라인(210)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설치공간(21)에 수용되면,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공간(21)에 삽입되는 방향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업자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유입유로(3)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업자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한 후에 상기 유입유로(3)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된 전체적인 유압라인의 설치가 완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설치 효율을 더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대한 설치공정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설치 비용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유입구(110)에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0)는 작동유체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유로(3)의 타측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된 경우 상기 유입구(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설치공간(21)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유입유로(3)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유입구(110)에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입유로(3)와 상기 유입구(110)를 연결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입유로(3)가 상기 유입구(11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동유체가 상기 유입유로(3)로부터 상기 유입구(110)로 유동되는 경로의 전체적인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작동유체가 상기 유입유로(3)로부터 상기 유입구(110)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펌프부(200)가 발생시킨 이송력이 손실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입유로(3)가 상기 유입구(110)에 직접 연통된 간결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유입유로(3)와 상기 유입구(110)를 연결하는 장치가 차지하게 될 공간만큼 상기 설치공간(21)의 부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설치공간(21)이 더 큰 크기의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설치본체(2)가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더 높은 용량의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이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동일한 용량의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유입유로(3)와 상기 유입구(110)를 연결하는 장치가 차지하게 될 공간만큼 상기 설치공간(21)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용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기 설치본체(2)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설치본체(2)가 형성된 형태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에 연결된 일측과 상기 유입구(110)에 연결된 타측이 최단경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3)의 일측은 상기 펌프유압라인(210)의 단면에 대해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3)의 타측은 상기 유입구(110)의 단면에 대해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1배출유로(4)의 일측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배출유로(4)를 통해 저장부(300) 쪽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0)는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저장부(300)는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된 변속기케이스(미도시)의 내부일 수 있다. 상기 변속기케이스(미도시)의 내부에는 차량의 주행 단수를 조절하는 변속기어(미도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를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전체 유압라인의 일부를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배출유로(4)가 담당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별도의 유압라인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까지 연장되지 않고도 상기 설치본체(2)까지만 연결되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설치본체(2)의 외부에 노출된 유압라인의 전체적인 길이를 감소시켜 유압라인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의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도 감소시키므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대한 가동수명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저장부(300)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설치공간(21)에 수용되면,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업자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제1배출유로(4)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업자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한 후에 상기 제1배출유로(4)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된 전체적인 유압라인의 설치가 완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설치 효율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대한 설치공정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설치 비용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배출구(120)에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20)는 작동유체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배출유로(4)의 일측은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된 경우 상기 배출구(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설치공간(21)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배출구(120)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배출유로(4)의 일측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배출구(120)에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제1배출유로(4) 및 상기 배출구(120) 사이에 상기 제1배출유로(4)와 상기 배출구(120)를 연결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1배출유로(4)가 상기 배출구(12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동유체가 상기 배출구(120)로부터 상기 제1배출유로(4)로 유동되는 경로의 전체적인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작동유체가 상기 배출구(120)로부터 상기 제1배출유로(4)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펌프부(200)가 발생시킨 이송력이 손실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제1배출유로(4)가 상기 배출구(120)에 직접 연통된 간결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배출유로(4)와 상기 배출구(120)를 연결하는 장치가 차지하게 될 공간만큼 상기 설치공간(21)의 부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설치공간(21)이 더 큰 크기의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설치본체(2)가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더 높은 용량의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이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동일한 용량의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1배출유로(4)와 상기 배출구(120)를 연결하는 장치가 차지하게 될 공간만큼 상기 설치공간(21)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용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기 설치본체(2)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설치본체(2)가 형성된 형태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120)에 연결된 일측과 상기 저장부(300)에 연결된 타측이 최단경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유로(4)의 일측은 상기 배출구(120)의 단면에 대해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유입밀폐부재(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밀폐부재(5)는 작동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유입밀폐부재(5)는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밀폐부재(5)는 상기 유입유로(3) 및 상기 유입구(110)가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유입유로(3)로부터 상기 유입구(110)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사이로 누출됨에 따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및 상기 설치본체(2)가 누출된 작동유체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및 상기 설치본체(2)를 세척하는 세척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킬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누출된 작동유체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동유체가 누출됨에 따라 차량 전체에 형성된 유압라인의 유압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떨어진 유압을 보상하기 위해 작동유체를 보충하는 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차량의 설치 효율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다른 장치, 기구물 등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 유입밀폐부재(5)는 상기 설치본체(2)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쪽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밀폐부재(5)는 상기 설치본체(2)의 내면에 일부 매설되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밀폐부재(5)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밀폐부재(5)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밀폐부재(5)는 상기 유입유로(3)의 타측 및 상기 유입구(11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밀폐부재(5)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고리(R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유입유로(3)의 타측 및 상기 유입구(110)가 형성된 형태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제1배출밀폐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밀폐부재(6)는 작동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1배출밀폐부재(6)는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밀폐부재(6)는 상기 제1배출유로(4) 및 상기 배출구(120)가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배출구(120)로부터 상기 제1배출유로(4)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사이로 누출됨에 따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및 상기 설치본체(2)가 누출된 작동유체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및 상기 설치본체(2)를 세척하는 세척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킬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누출된 작동유체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동유체가 누출됨에 따라 차량 전체에 형성된 유압라인의 유압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떨어진 유압을 보상하기 위해 작동유체를 보충하는 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차량의 가동률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다른 장치, 기구물 등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출밀폐부재(6)는 상기 설치본체(2)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쪽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밀폐부재(6)는 상기 설치본체(2)의 내면에 일부 매설되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밀폐부재(6)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배출밀폐부재(6)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밀폐부재(6)는 상기 제1배출유로(4)의 일측 및 상기 배출구(12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밀폐부재(6)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고리(R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배출유로(4)의 일측 및 상기 배출구(120)가 형성된 형태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은 커버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7)는 상기 설치공간(21)에 설치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덮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커버부(7)는 상기 설치공간(21)에 대해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반대되는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공간(21)에 수용된 뒤에 상기 커버부(7)가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부(7)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이탈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7)는 상기 설치공간(21) 및 상기 저장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은 제2배출유로(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제1배출유로(4)를 통해 유동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2배출유로(8)의 일측은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유로(4)를 통해 유동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배출유로(8)를 통해 상기 저장부(300) 쪽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커버부(7)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제1배출유로(4)로부터 상기 커버부(7)의 내부를 따라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전체 유압라인의 일부를 상기 커버부(7)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2배출유로(8)가 담당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별도의 유압라인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까지 연장되지 않고도 상기 설치본체(2)까지만 연결되면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설치본체(2)의 외부에 노출된 유압라인의 전체적인 길이를 감소시켜 유압라인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의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도 감소시키므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9100)에 대한 가동수명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커버부(7)가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저장부(300) 및 상기 제1배출유로(4)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되면,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업자가 상기 커버부(7)를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제2배출유로(8)를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업자가 상기 커버부(7)를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제2배출유로(8)를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연결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연결된 전체적인 유압라인의 설치가 완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설치 효율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대한 설치공정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설치 비용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커버부(7)가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유로(8)의 일측은 상기 커버부(7)가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배출유로(4)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7)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배출유로(8)의 일측은 상기 제1배출유로(4)의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커버부(7) 및 상기 설치본체(2) 사이에 상기 제2배출유로(8)와 상기 제1배출유로(4)를 연결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커버부(7) 및 상기 설치본체(2)만으로도 상기 제2배출유로(8)가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동유체가 상기 제1배출유로(4)로부터 상기 제2배출유로(8)로 유동되는 경로의 전체적인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작동유체가 상기 제1배출유로(4)로부터 상기 제2배출유로(8)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이송력이 손실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제2배출유로(8)가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직접 연통된 간결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배출유로(8)와 상기 제1배출유로(4)를 연결하는 장치게 차지하게 될 공간만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전체적인 길이가 감소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공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일측이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직접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부(300)의 내부에 직접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유로(8)를 통해 유동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배출유로(8)의 타측에서 배출됨에 따라 즉시 상기 저장부(300)에 저장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제1배출유로(4) 및 상기 저장부(300)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도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저장부(300)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제1배출유로(4) 및 상기 저장부(300)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의 길이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배출유로(4) 및 상기 저장부(300)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이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충격, 진동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커버부(7)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연결된 일측과 상기 저장부(300)에 연결된 타측이 최단경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유로(8)의 일측은 상기 제1배출유로(4)의 타측의 단면에 대해 동일한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제2배출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작동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커버부(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제1배출유로(4) 및 제2배출유로(8)가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작동유체가 상기 제1배출유로(4)로부터 상기 제2배출유로(8)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커버부(7)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커버부(7) 사이로 누출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7) 및 상기 설치본체(2)가 누출된 작동유체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누출된 작동유체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작동유체가 누출됨에 따라 차량 전체에 형성된 유압라인의 유압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1)는 떨어진 유압을 보상하기 위해 작동유체를 보충하는 작업에 대한 주기를 증대시켜 차량의 가동률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 가능한 다른 장치, 기구물 등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설치본체(2)로부터 상기 커버부(7) 쪽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되거나, 상기 설치본체(2)에 매설(埋設)되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커버부(7)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커버부(7)로부터 상기 설치본체(2) 쪽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커버부(7)에 설치되거나, 상기 커버부(7)에 매설되도록 상기 커버부(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커버부(7) 각각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커버부(7)가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됨에 따라 가압되어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커버부(7)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상기 제2배출유로(8)의 일측 및 상기 제1배출유로(4)의 타측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밀폐부재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고리(R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배출유로(8)의 일측 및 상기 제1배출유로(4)의 타측이 형성된 형태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2 : 설치본체
3 : 유입유로 4 : 제1배출유로
5 : 유입밀폐부재 6 : 제1배출밀폐부재
7 : 커버부 8 : 제2배출유로
100 : 유압 트랜스미션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200 : 펌프부
210 : 펌프유압라인 300 : 저장부

Claims (11)

  1. 차량의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설치되는 설치본체(2);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쪽으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유입유로(3);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제1배출유로(4)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3) 및 상기 제1배출유로(4) 각각은 작동유체가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설치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펌프부(200)에 연결된 펌프유압라인(210)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유로(3)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에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에 직접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배출된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부(300)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유로(4)는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이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으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0)에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작동유체가 상기 유입유로(3)로부터 상기 유입구(110)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된 유입밀폐부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작동유체가 상기 배출구(120)로부터 상기 제1배출유로(4)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설치된 제1배출밀폐부재(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본체(2)에 형성된 설치공간(21)에 설치된 상기 유압 트랜스미션(100)을 덮도록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된 커버부(7); 및
    상기 제1배출유로(4)를 통해 유동된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제2배출유로(8)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작동유체가 상기 커버부(7)의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상기 커버부(7)의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상기 커버부(7)가 상기 설치본체(2)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직접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유로(8)는 일측이 상기 제1배출유로(4)에 직접 연통되고 타측이 배출된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부(300)의 내부에 직접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작동유체가 상기 제1배출유로(4)로부터 상기 제2배출유로(8)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커버부(7)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설치본체(2) 및 상기 커버부(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2배출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KR1020180078015A 2018-07-05 2018-07-05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KR10246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15A KR102462691B1 (ko) 2018-07-05 2018-07-05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15A KR102462691B1 (ko) 2018-07-05 2018-07-05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61A KR20200004961A (ko) 2020-01-15
KR102462691B1 true KR102462691B1 (ko) 2022-11-02

Family

ID=6915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15A KR102462691B1 (ko) 2018-07-05 2018-07-05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6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3428A (ja) 2010-02-09 2011-08-25 Jatco Ltd 自動変速機用オイルポンプの空気抜き構造
JP2015068270A (ja) 2013-09-30 2015-04-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のオイル戻し構造
JP2017096385A (ja) * 2015-11-24 2017-06-01 マツダ株式会社 構造体のケ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1308A (ja) * 1994-04-28 1995-11-14 Hino Motors Ltd 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3428A (ja) 2010-02-09 2011-08-25 Jatco Ltd 自動変速機用オイルポンプの空気抜き構造
JP2015068270A (ja) 2013-09-30 2015-04-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ワーユニットのオイル戻し構造
JP2017096385A (ja) * 2015-11-24 2017-06-01 マツダ株式会社 構造体のケ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61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279B2 (ja) モータ−ポンプユニット
KR102462691B1 (ko) 유압 트랜스미션 케이스
ITMI930292A1 (it) Sistema automatico di depressurizzazione di una guarnizione
JP2004052988A (ja) オイルシール構造
CN101979884A (zh) 清除液压油缸密封损坏污染液压油的方法及过滤装置
KR20220029682A (ko) 윤활제 저장소를 갖는 로봇 관절
FI107075B (fi) Hydraulimoottorin vuotoöljyn palautuslaite
JP2011043170A (ja) 油圧機械式変速装置
JP4412607B2 (ja) 油圧ホースの保護構造
KR101085573B1 (ko) 배출 차단 장치
JP5573825B2 (ja) 回転機械
KR200276992Y1 (ko) 수충격 완화장치
FR2468804A1 (fr) Dispositif a plusieurs joints separes d'etancheite pour machine tournante
KR100980941B1 (ko)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오일 누출 방지 구조
KR100993736B1 (ko) 실린더 헤드 장착용 베큠 펌프의 누유방지장치
RU2296884C2 (ru) Гидроприводной погружной 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US20150059885A1 (en) Valve assembly
KR200472663Y1 (ko) 여과 기능이 구비된 압력 컨트롤 밸브 장치
RU2818389C1 (ru) Инжектор ввода шаров в трубопровод
KR102489675B1 (ko) 유압 밸브 및 농업용 트랙터 프론트 로더의 유압 제어장치
KR102534933B1 (ko) 유압 밸브 및 농업용 트랙터 프론트 로더의 유압 제어장치
KR101394461B1 (ko) 소방용 진공펌프
JP2003074514A (ja) シリンダ装置
KR100366667B1 (ko) 유체이송용 실린더펌프
KR102205803B1 (ko) 농업용 작업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