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810B1 -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810B1
KR102461810B1 KR1020200049543A KR20200049543A KR102461810B1 KR 102461810 B1 KR102461810 B1 KR 102461810B1 KR 1020200049543 A KR1020200049543 A KR 1020200049543A KR 20200049543 A KR20200049543 A KR 20200049543A KR 102461810 B1 KR102461810 B1 KR 10246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stinal
extract
bacteria
composition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131A (ko
Inventor
서우덕
이미자
김현영
함현미
박기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4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81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2Prebiotics, ingredients ferment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beneficial microflo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여,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내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장내균총에 포함된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장건강을 도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healthy intestine comprising extract from young barley leaves improving enteric microbiota}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새싹보리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여,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내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위장(gastrointestinal track, GI) 내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군집을 이루어 서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집단을 장내균총(enteric microbiota)이라고 한다. 이들은 장관 내부의 생태계를 구성하면서 면역 기능, 소화 및 신진대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위장의 생리와 기능에 필수적이다. 사람의 장내균총은 환경 변화에 상당히 저항적이지만 항생제, 스트레스, 식이 혹은 특정 질병 등과 같은 요인은 장내균총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장내균총의 구성과 기능의 변화를 장내 불균형(dysbiosis)이라 하며, 가장 일반적인 정의는 비피도박테리아, 락토바실러스와 같은 유익균과, 대장균과 같은 유해균의 불균형을 말한다. 이러한 불균형은 자가 면역 질환, 염증성 장 질환, 비만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졌다. 대체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익균이 많고 유해균이 적은 상태로 장내 균총을 유지시켜야 한다고 여겨지고 있는데, 상기 장내균총은 외부에서 유입된 음식물이나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등 인체의 상태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이들이 생성하는 효소와 대사산물들은 여러 가지 물질의 인체 내 대사에 관여하고, 영양분이나 약물의 흡수, 독성물질의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이같은 사람의 장내균총의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을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라고 한다.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는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s, SCFA)의 생산에 의한 장내 pH 감소 및 장내 영양소와 장벽 부착 부위에 관한 경쟁을 통해 유해균의 생장을 저해한다. 또한, 면역활성화 작용, 유당불내증의 경감 등 인체에 유익한 기능을 한다고 알려졌다.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미생물로는 비피도박테리아와 젖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에 속하는 균이 있다. 젖산균은 탄수화물을 발효시켜 젖산을 생성하는 균으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스트렙토코커스 속 균주, 류코노스톡 속 균주 등이 포함된다. 한편, 비피도박테리아는 다양한 올리고당을 에너지원으로써 이용하는 균이며, 육탄당을 젖산이나 초산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과당-6-인산포스포케톨라아제(fructose-6-phosphate phosphoketolase)라는 효소가 작용하고, 발효 과정에서 기체를 생성하지 않는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장내에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식 및 유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요 성분을 프리바이오틱스라고 한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는 사람에 의해서는 소화되지 않으나, 장내 미생물에 의해 선택적으로 발효되어 이들의 성장과 대사 변화를 조절함으로써 숙주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스의 대표적인 예로서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s, FOS)이 알려져 있다.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에 과당분자가 β-1, 2로 결합한 형태의 올리고당인데,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아에 의해 발효가 가능하기 때문에, FOS를 섭취하면 비피도박테리움과 락토바실러스 종들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FOS는 장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증가시켜 사람에게 유익한 작용을 할 수 있지만, 장내 FOS의 대사가 가능한 유해균 및 프로바이오틱이 아닌 균주(non-probiotics)에 의해 역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알려져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증식 및 유지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어, 이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1973514호에는 포도씨 분말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증식 및 유지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새싹보리 추출물을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새싹보리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내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는 새싹보리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새싹보리"란, 보리에 싹을 틔워 약 15cm정도 자란 어린 식물체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새싹보리는 보리를 하루정도 물에 침지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의 손실을 방지한 조건에서 파종하여 발아시킨 다음, 7 내지 10일 동안 성장시켜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이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새싹보리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은 상기 새싹보리의 식물전체, 이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루토나린 또는 사포나린이 함유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그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 역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루토나린 또는 사포나린이 함유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싹보리의 식물전체, 이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10 내지 25℃의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4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이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새싹보리 추출물을 다양한 분획방법에 적용하여 수득하여, 루토나린 또는 사포나린이 함유된 분획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을 다양한 분획방법에 적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데, 상기 분획방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용매 분획법에 사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분획법은 비극성 수준이 높은 용매로부터 낮은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란,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주로 대장 내 유용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미생물의 생육이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건강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난소화성 식품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새싹보리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여,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장내 유익균"이란, 기존에 숙주의 장내에서 서식하는 유익균 및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의미한다. 이들은 위산과 답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하며, 장관 내에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고, 독성이 없으며 비병원성인 조건을 만족하는 균을 의미한다. 즉,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익균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류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락토코커스 속(Lactococcus sp.),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엔테로코커스 속(Enterococcus sp.)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균주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비피도박테리움 속 또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장내 유해균"이란, 기존에 숙주의 장내에서 서식하는 유해균 및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 장내 환경에 유해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내 유해균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서,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속(Pseudomonas-aeruginosa sp.), 비브리오 속(Vibrio sp.), 스태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sp.), 클로스트리디움 속(Clostridium sp.), 유박테리움 속(Eubacterium sp.) 에스케리치아 속(Escherichia sp.) 또는 박테로이드 속(Bacteroides sp.) 균주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클로스트리디움 속, 스태필로코커스 속 또는 에스케리치아 속 균주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균주 또는 대장균(E. coli)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새싹보리는 오랫동안 식량자원으로서 사용되었고, 그의 추출물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그의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새싹보리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최종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식품 조성물은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새싹보리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특히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장내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새싹보리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할 경우, 상기 개체의 장내건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장내건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내건장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상기 새싹보리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이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장내균총에 포함된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장내 균총을 개선하여 장건강을 도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새싹보리 추출물의 처리농도에 따른 장내 미생물 유래 β-glucosidase의 활성수준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새싹보리 추출물의 제조
큰알보리1호를 파종 해 약 7-10일 사이에 수확한 새싹보리를 건조하고 분말화 하였다. 상기 분말에 80% 발효주정을 넣어 약 24시간 실온에서 교반 추출한 다음, 용매를 농축기로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새싹보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 균총 개선 효과 구명
실시예 2-1: 장내 미생물 배양액의 β-glucosidase 활성 측정
장내 미생물로부터 분비되는 β-glucosidase는 배당체를 분해하여 당과 비배당체 부분을 분리하는데, 배당체가 분해되면 반응성이 증가되고, 체내 흡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아미그달린과 같은 청산 배당체, 쿠마린 배당체 및 페놀성 배당체는 분해 후 독성기가 유리되어 생체에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내 미생물 유래 β-glucosidase의 활성에 새싹보리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GAM (General Anaerobic Medium) 배지 5 mL에 새싹보리 추출물을 다양한 함량으로 첨가한 후, 배지의 pH를 7.2로 적정하고 멸균하였다.
그런 다음, 건강한 한국인의 신선한 분변을 혐기성 상태의 배지로 10배 희석한 후 5 μL를 상기 멸균된 배지에 처리하고, 혐기적 배양기에서 37℃로 배양하여 시료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시료 100 μL, 0.1 M phosphate buffer (pH 6.0) 300 μL 및 2 mM PNP β-D-glucoside 200 μL를 혼합하고, 37℃에서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물에 0.5 N NaOH 400 μL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증류수 1 mL을 가한 다음, 원심분리(3000 rpm, 20분)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상층액을 대상으로 405nm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리된 PNP의 함량을 산출한 후, 이를 β-glucosidase의 활성수준으로 사용하였다(도 1). 이때, 유리된 PNP의 함량이 많을 수록 β-glucosidase의 활성수준이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도 1은 새싹보리 추출물의 처리농도에 따른 장내 미생물 유래 β-glucosidase의 활성수준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새싹보리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증가될 수록 유리된 PNP의 함량이 감소되어, β-glucosidase의 활성수준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새싹보리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장내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2: 새싹보리 추출물이 장내 균총의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장내균총에 포함된 장내 유익균(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장내 유해균(클로스트리듐 속 균주, 대장균 및 스태필로코커스 속 균주)의 증식에 미치는 새싹보리 추출물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EG 액상 배지(Beef extract 2.0 g, Proteose peptone No.3 10.0 g, Yeast extrat 5.0 g, Na2HPO4 4.0 g, Soluble starch 0.5 g, Glucose 1.5 g, L-cystein 0.4 g, Silicon antifoamer 0.25 mL, Tween 80 0.5 g, 증류수 1000 mL) 5 mL에 새싹보리 추출물을 1.0%(w/v) 함량으로 첨가한 후, 혐기조건에서 멸균하였다.
다음으로, 건강한 한국인의 신선한 분변을 혐기성 상태의 배지로 (100-1000배) 희석한 후, 이를 2.5%(v/v)의 함량으로 상기 멸균된 배지에 첨가한 다음, 혐기적 배양기 (Gas-pak jar)에서 37℃의 조건으로 6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후, 배양액을 10^7배까지 10배씩 순차적으로 단계 희석하여 배양희석물을 수득하고, 상기 배양희석물 50μL를 장내균총 미생물에 적합한 각각의 한천(agar) 평판배지에 도말하고, 37℃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를 배양하기 위하여는 BS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혐기조건에서 배양하고,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배양하기 위하여는 MRS (Man-Rogosa-Sharpe)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혐기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클로스트리듐 속 균주를 배양하기 위하여는 SPS (Sulfite Polymyxin Sulfadiazine)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혐기조건에서 배양하고, Clostridium perfringens 균주를 배양하기 위하여는 Differential Reinforced Clostridial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혐기조건에서 배양하였으며, 대장균을 배양하기 위하여는 McConkey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호기조건에서 배양하고, 스태필로코커스 속 균주를 배양하기 위하여는 Mannitol salt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호기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는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배지에서 배양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후, 현미경으로 균의 집락(colony)의 수를 측정하여 균주의 증식수준을 비교하였다(표 1).
새싹보리 추출물에 의한 배양액의 균총 변화 (log CFU=colony forming unit)/mL
장내균총 균주 대조군 새싹보리 추출물(1.0%)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클로스트리듐 속 균주
Clostridium perfringens 균주
대장균
스태필로코커스 속 균주
8.5
6.1
8.6
5.1
7.4
3.4
9.3
7.4
8.5
4.4
6.4
3.3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장내균총에 포함된 장내 유익균(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경우, 새싹보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각 균주의 증식수준이 증가하였고, 장내균총에 포함된 일부 장내 유해균(클로스트리듐 속 균주 및 스태필로코커스 속 균주)의 경우, 새싹보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장내균총에 포함된 일부 장내 유해균(Clostridium perfringens 균주 및 대장균)의 경우, 새싹보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각 균주의 증식수준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새싹보리 추출물은 장내균총에 포함된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장내 균총을 개선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새싹보리 발효주정 및 물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균총에 포함된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로서,
    상기 장내 유익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균주이고,
    상기 장내 유해균은 스태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sp.) 또는 클로스트리디움 속(Clostridium sp.) 균주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장내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
KR1020200049543A 2020-04-23 2020-04-23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46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543A KR102461810B1 (ko) 2020-04-23 2020-04-23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543A KR102461810B1 (ko) 2020-04-23 2020-04-23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131A KR20210131131A (ko) 2021-11-02
KR102461810B1 true KR102461810B1 (ko) 2022-11-04

Family

ID=7847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543A KR102461810B1 (ko) 2020-04-23 2020-04-23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28B1 (ko) * 2022-11-16 2023-08-08 김태윤 반려견의 장 건강 유지와 분변 냄새 감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2662B2 (ja) * 2009-12-22 2016-06-08 プロビ アクティエボラーグ 穀物ベースフラクション及びプロバイオティックを含む非発酵組成物、並びにそれらの使用
KR101483589B1 (ko) * 2011-11-09 2015-01-19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코사놀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45464B1 (ko) * 2014-05-13 2016-08-08 대한민국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80003073A (ko) * 2016-06-30 2018-01-09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050667A (ko) * 2017-11-03 2019-05-13 (주) 노바렉스 새싹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songdoschool/221406002117) 새싹보리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으로 장건강 지키세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28B1 (ko) * 2022-11-16 2023-08-08 김태윤 반려견의 장 건강 유지와 분변 냄새 감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131A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4588B2 (en) Bacillus subtilis isolate from corn
US20130011368A1 (en) Metabolically Active Micro-Organism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JP2014506463A (ja) 腸管内微生物叢の回復および再構成のためのシンバイオティクス組成物
KR102021883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m101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4245A (ko)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US20230248788A1 (en)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for supporting companion animals with gastrointestinal disorders
KR102021881B1 (ko)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lm101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5182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및 이의 용도
KR101381547B1 (ko)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류코노스톡 메센트로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10156445A (ko) 들쭉나무 열매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
Xie et al. Fecal fermentation and high-fat diet-induced obesity mouse model confirmed exopolysaccharide from Weissella cibaria PFY06 can ameliorate obesity by regulating the gut microbiota
KR102461810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의 장내균총 개선에 따른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8362A (ko)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118363A (ko) 항염증 및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를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4933984B (zh) 一种促进体内塑化剂及重金属排出的益生菌益生元复合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3511406A1 (en) Faecalibacterium longum and application thereof
US11850270B2 (en) Probiotics and methods of use
KR20110081672A (ko)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ok1-6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오르니틴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김치
KR102082315B1 (ko) 부티릴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KR20170017176A (ko) 장 내 유산균 증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산균 생산 방법
Tsirulnichenko et al. Prebiotic properties of licorice root extracts.
KR20220059972A (ko) 비타민 k2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41349A (ko) 흑효모 발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 및 비만 예방, 치료용 조성물
KR102589192B1 (ko) 항염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브레비스 srcm 10091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78408B1 (ko) 지방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