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130B1 -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130B1
KR102461130B1 KR1020197006908A KR20197006908A KR102461130B1 KR 102461130 B1 KR102461130 B1 KR 102461130B1 KR 1020197006908 A KR1020197006908 A KR 1020197006908A KR 20197006908 A KR20197006908 A KR 20197006908A KR 102461130 B1 KR102461130 B1 KR 102461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dical soft
finger
soft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238A (ko
Inventor
다케히코 유키
요코 다카하시
야스마사 우에하라
다카히코 구니시게
마쓰타로우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9004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1)는, 제1 면부(3)와 제2 면부(4)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2)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용기 본체부(2)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제1 면부(3)와 제2 면부(4)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내면 중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에 있어서,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본 발명은, 의료용 연질 용기 및 이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구에 의하지 않고 환자에게 영양이나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경장 영양법 또는 정맥 영양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 영양법에서는, 환자의 비강부터 위 또는 십이지장까지 통하는 튜브를 개재하여 영양제, 유동식, 또는 약제 등의 액상물이 투여된다. 또, 정맥 영양법에서는,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 수액 회로를 개재하여 포도당 등의 영양 성분 및/또는 약제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물(일반적으로 「수액」이라고 불린다)이 투여된다.
경장 영양법 또는 정맥 영양법을 행할 때에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액상물을 빈 의료용 연질 용기에 미리 주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의 파우치 용기의 일례는, 충전부에 연결되는 개구부가 용기 상부의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형성된 용기이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상부에, 각각, 시트가 2중으로 되어 있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 주머니 형상부를 구비한다. 주머니 형상부는 충전부로부터 격리된 내부 공간과, 당해 내부 공간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구는, 예를 들어, 폭 방향으로 열린 개구부이며, 주머니 형상부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의 폭 방향 일단에는, 당해 개구부를 넓히기 쉽게 하기 위해서, 평면에서 봤을 때 반원형의 절결이 형성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파우치 용기에서는, 엄지와 검지가 주머니 형상부 내에 쑥 삽입되기 때문에, 충전물(액상물)이 손가락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개구부를 넓히면서 용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2865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파우치 용기에서는, 삽입구로의 손가락의 삽입성에 대해서, 더 나은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손가락 삽입부로의 삽입성이 양호한 의료용 연질 용기 및, 당해 의료용 연질 용기를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는,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의 내면에,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예는,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으로부터, 상기 삽입 개시 측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주름접힘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예는,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는 1장이 연속한 시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예는,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외측 시트 및 상기 내측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 의료용 연질 용기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굴곡한 굴곡부를 포함한다.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각 손가락 삽입부의 상연부와 하연부는, 각각,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가 접합된 상연 접합부와 하연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영양 공급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삽입부로의 삽입성이 양호한 의료용 연질 용기, 및 당해 의료용 연질 용기를 포함하는 영양 공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개구부를 개구시킨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의료용 연질 용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8은, 굴곡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영양 공급 시스템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 [1]~[28]을 개시한다.
[1]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의 내면 중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2] 각 손가락 삽입부의 내면 중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에 있어서,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3]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4]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쌍방에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상기 외측 시트에 형성된 엠보싱 가공에 의한 제1 볼록부의 꼭대기면과, 상기 내측 시트에 형성된 엠보싱 가공에 의한 제2 볼록부의 꼭대기면이, 접하고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5]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볼록부는, 직선형 볼록부이며,
상기 제1 볼록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볼록부의 길이 방향이 서로 상이한, 상기 [4]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6]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개시 측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주름접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7]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주름접힘부는, 상기 외측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8] 상기 주름접힘부는, 각 손가락 삽입부의 꼭대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9]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는 1장이 연속한 시트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연질 용기.
[10]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외측 시트 및 상기 내측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 의료용 연질 용기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굴곡한 굴곡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연질 용기.
[11] 상기 굴곡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폭 방향과 평행인, 상기 [10]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12] 상기 굴곡부가,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1]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13] 상기 굴곡부는, 상기 외측 시트 및 상기 내측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박육부(薄肉部)인, 상기 [12]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14]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각 손가락 삽입부의 상연부와 하연부는, 각각,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가 접합된 상연 접합부와 하연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의료용 연질 용기.
[15] 상기 용기 본체부의 양측부 중의,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에 가까운 측부의 변이 구부러져 있음으로써, 1쌍의 손가락 삽입부의 폭이 수용부의 폭보다 좁은,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16]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 및 상기 내측 시트 중 어느 한쪽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3] 내지 [5], [7] 내지 [14]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17] 각 손가락 삽입부의 상연부와 하연부는, 각각,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가 접합된 상연 접합부와 하연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결부는, 상기 상연 접합부와의 사이, 및, 상기 하연 접합부와의 사이에, 각각, 상기 외측 시트의 일부가 남도록,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6]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18] 상기 절결부의 윤곽을 구성하는 변은, 대략 U자 형상이며,
상기 U자 형상의 저부의 변은, 상기 의료용 연질 용기의 저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삽입 개시 측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상기 [17]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19] 상기 내측 시트 및 상기 외측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손가락 삽입부에 한 손의 엄지를 삽입하고, 다른쪽의 손가락 삽입부에 상기 한 손의 상기 엄지 이외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1쌍의 손가락 삽입부를 서로 멀리했을 때에, 상기 구멍을 골짜기부로서 1쌍의 손가락 삽입부가 く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상기 [3] 내지 [5], [7] 내지 [14], [16] 내지 [18]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0] 상기 구멍은, 각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된 손가락의 선단보다, 더욱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19]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1] 상기 구멍은,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단으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전체 폭의 3분의 2보다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상기 [19] 또는 [20]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2] 상기 구멍은, 길이 방향이 용기 본체부의 상하 방향을 따른 종장(縱長) 구멍인, 상기 [19] 내지 [21]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3] 상기 구멍의 상단부의 윤곽은 원호형이며, 상기 상단부보다 하방의 부분은, 구멍의 폭이 하단으로부터 상단부를 향해 점차 넓어지고 있는, 상기 [19] 내지 [22]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4] 상기 구멍은, 상기 수용부를 폭 방향으로 2등분하는 수직 중심선의 연장선 상에 형성된, 상기 [19] 내지 [23]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5] 상기 용기 본체부의 하단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의 중심축과 상기 수직 중심선의 연장선이 일치하는, 상기 [24]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6] 상기 구멍은, 상기 내측 시트와 상기 외측 시트의 양방의 폭 방향 동위치에 형성된, 상기 [19] 내지 [25]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7] 상기 구멍은, 상기 의료용 연질 용기의 매달기용 구멍을 겸하는, 상기 [26]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
[28] 상기 [1] 내지 [27] 중 어느 한쪽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를 포함하는 영양 공급 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1)의 배면도이며, 도 3은,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의료용 연질 용기(1)의 개구부를 개구시킨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5~도 7은, 의료용 연질 용기(1)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지면의 상하 방향을 의료용 연질 용기의 「상하 방향」, 당해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한다. 「상하 방향」은, 의료용 연질 용기의 중심축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
도 1~도 7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1)는, 용기 본체부(2)와, 용기 본체부(2)의 배출구(26)에 고정된 배출용 포트(5)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부(2)는, 액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1)와, 수용부(21)의 상방에 배치된 1쌍의 손가락 삽입부(221, 222)(이하 「손가락 삽입부(221)」는, 「제1 손가락 삽입부(221)」라고, 「손가락 삽입부(222)」는 「제2 손가락 삽입부(222)」라고 말한다)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부(2)는, 제1 면부(3)와 제2 면부(4)의 외주부 중 3변이 서로 열접착(히트 실링) 등 됨으로써 형성된 주연 접합부(23)을 구비하고 있고, 용기 본체부(2)의 상부에 있어서의 제1 면부(3)와 제2 면부(4)의 사이에, 수용부(21)에 연결되는 개구부(24)를 갖는다. 수용부(21) 내에 액상물이 충전될 때, 개구부(24)는 수용부(21)보다 위에 위치한다. 제1 면부(3)와 제2 면부(4)에는, 각각, 수용부(21)에 주입되는 액상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용기 본체부(2)의 내면 중의, 손가락 삽입부(221, 222)보다 하방에는, 수용부(21)를, 수용부(21)의 외측에 대해서 개폐 자유롭게 하는 지퍼(25)(재개폐 자유롭게 하는 걸어맞춤부, 별명 「척 실링」이라고도 말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지퍼(25)는, 종래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면부(3)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제1 시트(31)와, 제1 시트(31)보다 면적이 작고, 제1 시트(31)의 지퍼(25)보다 상측의 내면에 열접착 등에 의해 접합된 제1 내측 시트(31a)를 포함한다. 제1 내측 시트(31a)는, 폭 방향으로부터의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폭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적어도 1개 형성하도록, 적어도, 그 상연부와 하연부가 제1 시트(31)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시트(31) 중 손가락 삽입부(221)를 구성하는 부분을 제1 외측 시트(31b)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제1 면부(3)는, 수용부(21)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제1 내측 시트(31a)와 제1 외측 시트(31b)를 포함하며, 폭 방향으로부터 제1 내측 시트(31a)와 제1 외측 시트(31b)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제1 손가락 삽입부(221)를 포함한다. 제1 손가락 삽입부(221)를 구성하는 제1 내측 시트(31a)와 제1 외측 시트(31b)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므로, 제1 내측 시트(31a)와 제1 외측 시트(31b)는, 서로 느슨해지지 않고 적층되어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가락 삽입부(221)의 상연부와 하연부는, 각각, 제1 외측 시트(31b)와 제1 내측 시트(31a)가 접합된 제1 상연 접합부(221c)와 제1 하연 접합부(221d)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면부(4)는,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제2 시트(41)와, 제2 시트(41)보다 면적이 작고, 제2 시트(41)의 지퍼(25)보다 상측의 내면에 접합된 제2 내측 시트(41a)를 포함한다. 제2 내측 시트(41a)는, 폭 방향으로부터의 손가락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폭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적어도 1개 형성하도록, 적어도, 그 상연부와 하연부가 제2 시트(41)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시트(41) 중 손가락 삽입부(222)를 구성하는 부분을 제2 외측 시트(41b)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제2 면부(4)는, 수용부(21)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제2 내측 시트(41a)와 제2 외측 시트(41b)를 포함하며, 폭 방향으로부터 제2 내측 시트(41a)와 제2 외측 시트(41b)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제2 손가락 삽입부(222)를 포함한다. 제2 손가락 삽입부(222)를 구성하는 제2 내측 시트(41a)와 제2 외측 시트(41b)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므로, 제2 내측 시트(41a)와 제2 외측 시트(41b)는, 서로 느슨해지지 않고 적층되어 있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손가락 삽입부(222)의 상연부와 하연부는, 각각, 제2 외측 시트(41b)와 제2 내측 시트(41a)가 접합된 제2 상연 접합부(222c)와 제2 하연 접합부(222d)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 「제1 내측 시트」와 「제2 내측 시트」를 함께 「내측 시트」라고 약칭하고, 「제1 외측 시트」와 「제2 외측 시트」를 함께 「외측 시트」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1 상연 접합부」와 「제2 상연 접합부」를 함께 「상연 접합부」라고 약칭하고, 「제1 하연 접합부」와 「제2 하연 접합부」를 함께 「하연 접합부」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시트(31b)의 내면(제1 내측 시트(31a)에 마주보는 면)에는,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음으로써, 제1 내측 시트(31a)측으로 돌출한 제1 볼록부(32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내측 시트(31a)의 내면(제1 외측 시트(31b)에 마주보는 면)에는,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음으로써, 제1 외측 시트(31b)측으로 돌출한 제2 볼록부(32f)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32e)는, 길이 방향이 의료용 연질 용기(1)의 폭 방향과 일치하는 선형 볼록부이며, 제1 외측 시트(31b)의 내면에는, 복수의 제1 볼록부(32e)가, 폭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볼록부(32f)는, 길이 방향이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상하 방향과 일치하는 선형 볼록부이며, 제1 내측 시트(31a)의 내면에는, 복수의 제2 볼록부(32f)가, 상하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볼록부(32e)의 길이 방향과 제2 볼록부(32f)의 길이 방향이 직교하고, 또한, 제1 볼록부(32e)의 꼭대기면(321e)과 제2 볼록부(32f)의 꼭대기면(321f)이 맞닿는 위치 관계로, 제1 외측 시트(31b)와 제1 내측 시트(31a)가 겹쳐져 있다. 그로 인해, 제1 외측 시트(31b)와 제1 내측 시트(31a)는, 주머니 제작의 과정에서 서로 밀착하는 것이 억제됨과 더불어, 양자 사이에 아주 약간이지만 간극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 삽입부(221)로의 손가락의 삽입성이 향상되어 있다. 주머니 제작 과정에 있어서의, 제1 볼록부(32e)와 제2 볼록부(32f)의 위치 맞춤은, 각 볼록부가 선형이며, 한쪽이 폭 방향으로 배향하고, 다른쪽이 상하 방향으로 배향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외측 시트(41b)의 제2 내측 시트(41a)에 마주보는 면에도 선형의 제1 볼록부가 형성되고, 제2 내측 시트(41a)의 제2 외측 시트(41b)에 마주보는 면에도 선형의 제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삽입부(222)로의 손가락의 삽입성도 향상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가락 삽입부(221)의 제1 내측 시트(31a)와 제1 외측 시트(31b)의 각각에, 용기 본체부(2)의 상하 방향을 따른 종장 구멍(6b, 6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종장 구멍(6b, 6a)은, 의료용 연질 용기(1)의 폭 방향 동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손가락 삽입부(222)의 제2 내측 시트(41a)와 제2 외측 시트(41b)의 각각에도, 용기 본체부(2)의 상하 방향을 따른 제2 종장 구멍(7b, 7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종장 구멍(7b, 7a)은, 의료용 연질 용기(1)의 폭 방향 동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제1 종장 구멍」과 「제2 종장 구멍」을 함께 「종장 구멍」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 본원에 있어서 「종장 구멍」은, 상하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구멍을 말한다.
지퍼(25) 등의 개폐 수단에 의한 수용부(21)의 닫힘 상태가 해제된 의료용 연질 용기(1)에 대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가락 삽입부(221)에 예를 들어 한 손의 엄지를 삽입하고, 제2 손가락 삽입부(222)에 예를 들어 상기 한 손의 엄지 이외의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을 삽입하며, 제1 손가락 삽입부(221)와 제2 손가락 삽입부(222)를 서로 떼어 놓기 위해서, 당해 엄지와 검지을 각각 멀리하면, 제1 손가락 삽입부(221) 및 제2 손가락 삽입부(222)에, 각각, 종장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종장 구멍을 골짜기부로서 1쌍의 손가락 삽입부(221, 222)가, 각각, く자 형상으로 굴곡한다. 그로 인해, 손가락에 대한 시트의 추종성이 좋고, 개구부(24)가 크게 열리므로, 개구부(24)의 개구 조작을 행하기 쉽다. 개구부(24)를 연 상태에서는, 액상물의 수용부(21)로의 주입 방향에서 볼 때, 개구부(24)는, 예를 들어, 대략 마름모꼴이 된다. 또, 도 1~도 7에 도시된 의료용 연질 용기(1)에서는, 내측 시트 및 외측 시트의 양방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에 대한 시트의 추종성이 향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가동역이 넓어지고 있으며, 고로, 개구부(24)를 보다 크게 열기 쉬우며, 개구부(24)의 개구 조작을 보다 행하기 쉽다.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있어서의 제1 종장 구멍(6b, 6a) 및 제2 종장 구멍(7b, 7a)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 내에 삽입된 손가락에 의해서, 손가락 삽입부(221, 222)가, 각각, 구멍을 골짜기부로서, く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한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손가락 삽입부(221, 222) 내에 삽입된 손가락의 선단은, 각각, 제1 종장 구멍(6b, 6a), 제2 종장 구멍(7b, 7a)에 도달하지 않아도 되나, 예를 들어, 제1 종장 구멍(6b, 6a) 및 제2 종장 구멍(7b, 7a) 중 적어도 한쪽이,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삽입된 손가락의 선단보다, 더욱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고, 제1 종장 구멍(6b, 6a) 및 제2 종장 구멍(7b, 7a)의 양방이,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삽입된 손가락의 선단보다, 더욱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의 근처에 형성되어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어, 종장 구멍은,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으로부터 수용부(21)의 전체 폭의 3분의 2보다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고, 수용부(21)의 전체 폭의 2분의 1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에서는, 제1 손가락 삽입부(221)에 삽입된 엄지는, 제1 종장 구멍(6b)을 관통하여 제1 외측 시트(31b)로부터 제1 손가락 삽입부(2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종장 구멍(6b)의 윤곽을 구성하는 제1 외측 시트(31b)가 손가락 위에 올라와 있다. 제2 손가락 삽입부(222)에 삽입된 상기 한 손의 엄지 이외의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은, 제2 종장 구멍(7b)을 관통하여 제2 외측 시트(41b)로부터 제2 손가락 삽입부(2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2 종장 구멍(7b)의 윤곽을 구성하는 제2 외측 시트(41b)가 손가락 위에 올라와 있다. 그로 인해, 손가락의 가동역이 보다 넓어지기 때문에, 개구부(24)를 보다 한층 크게 열 수 있으며, 개구부(24)의 개구 조작을 보다 한층 행하기 쉽다. 또, 제1 종장 구멍(6b) 및 제2 종장 구멍(7b)의 윤곽선을 구성하는 외측 시트가 손가락 위에 올라와 있으므로, 액상물의 수용부(21)로의 한창 주입 중에, 수용부(21)가 무거워져도,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유지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삽입되는 손가락 중 어느 한쪽만이, 종장 구멍을 관통하도록, 손가락 삽입부에 종장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도 7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제1 외측 시트(31b) 및 제2 외측 시트(41b) 뿐만 아니라, 제1 내측 시트(31a) 및 제2 내측 시트(41a)에도 종장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제1 손가락 삽입부의 종장 구멍과 제2 손가락 삽입부의 종장 구멍이, 의료용 연질 용기(1)의 폭 방향 동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의료용 연질 용기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제1 손가락 삽입부의 종장 구멍과 제2 손가락 삽입부의 종장 구멍의 양방을 절단에 의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의료용 연질 용기의 생산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종장 구멍(6a, 6b) 및 제2 종장 구멍(7a, 7b)의 상단부의 윤곽은 원호형이다. 그리고, 상단부보다 하방의 부분은, 구멍의 폭이 하단으로부터 상단부를 향해 점차 넓어지고 있다. 그로 인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가락 삽입부(221)와 제2 손가락 삽입부(222)를 상호 떼어 놓았을 때에, 제1 손가락 삽입부(221)와 제2 손가락 삽입부(222)는, 종장 구멍(6a, 7a)으로부터 노출된 손가락이, 제1 내측 시트(31a) 및 제2 내측 시트(41a)에 의해서 개구부(24)에 대해서 가려지도록 굴곡한다. 따라서, 제1 내측 시트(31a) 및 제2 내측 시트(41a)에 종장 구멍(6a, 7a)이 형성되어 있어도, 제1 내측 시트(31a) 및 제2 내측 시트(41a)의 종장 구멍(6a, 7a)의 근방의 부분에 의해서, 손가락이 거의 덮여 가려져, 손가락이, 개구부(24)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되며, 액상물의 오염도 억제된다.
수용부(21)에 액상물이 주입되면, 종장 구멍을 관통한 손가락에 손가락 삽입부를 구성하는 시트가 손가락으로 눌려, 그 결과, 특히, 종장 구멍의 개구 중 상측 부분의 폭이 좁아진다. 손가락으로의 시트의 추종성을 향상시키거나, 손가락의 가동역을 넓히기 위해서는, 종장 구멍의 개구 부분의 폭은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손가락으로의 시트의 추종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손가락의 가동역을 넓혀, 개구부의 개구 조작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장 구멍의 개구 중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내측 시트(31a) 및 제2 내측 시트(41a)의 종장 구멍(6a, 7a)의 근방의 부분에 의해서, 개구부(24)에 대해서 손가락이 거의 덮여 가려지도록 하고, 손가락의 액상물에 의한 오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종장 구멍의 개구 중 하측 부분이 상측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종장 구멍을 매달기 구멍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액상물의 무게에 의한 부하를 분산하는 관점에서, 원호의 R은 큰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5mm 이상 1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면부(3) 및 제2 면부(4)의 재료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제조에 이용되는 종래 공지의 연질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부타디엔,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시트, 또는 상기 단층 시트가 적층된 적층 시트를 들 수 있다. 적층 시트의 구체적 층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나일론/폴리에틸렌, 나일론/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나일론/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연질 플라스틱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1mm 이상 0.3mm 정도이다.
배출용 포트(5)는, 예를 들어, 관형이다. 배출용 포트(5)는, 용기 본체부(2) 내외를, 연통 가능하게 하도록, 배출구(26)에 있어서, 제1 면부(3)와 제2 면부(4)에 끼워져, 용기 본체부(2)에 고정되어 있다.
배출구(26) 및 배출용 포트(5)는, 수용부(21)를 폭 방향으로 2등분하는 수직 중심선 A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배출용 포트(5)의 용기 본체부(2)로의 고정은, 배출구(26)에 있어서, 제1 시트(31)와 제2 시트(41)의 사이에 배출용 포트(5)에 배치하고, 제1 시트(31)와 제2 시트(41)의 외주연들을 열접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배출용 포트(5)의 재료로는,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EVA(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배출구(26) 및 배출용 포트(5)가, 수직 중심선 A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종장 구멍(6a, 6b) 및 제2 종장 구멍(7a, 7b)도, 수직 중심선 A의 연장선 상에 형성하면, 제1 종장 구멍(6a, 6b) 및 제2 종장 구멍(7a, 7b)은, 의료용 연질 용기(1)를 스탠드 등에 매달기 위한 매달기용 구멍을 겸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부(2)의 폭 방향 양측부 중,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을 포함하는 측부의 변이 구부러져 있음으로써,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폭이 수용부(21)의 폭보다 좁아져 있다. 그로 인해, 수직 중심선 A의 연장선 상에 제1 종장 구멍(6a, 6b) 및 제2 종장 구멍(7a, 7b)을 설치하면서,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으로부터 제1 종장 구멍(6a, 6b) 및 제2 종장 구멍(7a, 7b)까지의 거리를,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삽입된 손가락 중의, 적어도 한쪽을 종장 구멍에 도달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양방을 종장 구멍에 도달시키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쪽을 종장 구멍을 관통시켜 외측 시트로부터 손가락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양방을 종장 구멍을 관통시켜 외측 시트로부터 손가락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정하기 쉽다.
수직 중심선 A의 연장선과 제1 종장 구멍(6a, 6b) 및 제2 종장 구멍(7a, 7b)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경우,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으로부터, 제1 종장 구멍 및 제2 종장 구멍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는, 개구부(24)의 개구 조작성과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유지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mm 이상 80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mm 이상 60mm 이하이다.
제1 손가락 삽입부(221), 제2 손가락 삽입부(222)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 및 그 근방에 있어서, 제1 외측 시트(31b)와 제2 외측 시트(41b)에 제1 절결부(32), 제2 절결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절결부(32), 제2 절결부(42)로부터, 각각, 제1 내측 시트(31a)와 제2 내측 시트(41a)의 내측면이 노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1 손가락 삽입부(221)의 내부 공간(221g), 제2 손가락 삽입부(222)의 내부 공간(222g)으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제1 절결부(32), 제2 절결부(42)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는, 각 손가락 삽입부 내에 있어서의 손가락의 가동역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각각, 제1 종장 구멍(6a, 6b), 제2 종장 구멍(7a, 7b)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 크고, 그리고, 제1 종장 구멍(6a, 6b) 및 제2 종장 구멍(7a, 7b)의 상하 방향 위치는, 제1 절결부(32) 및 제2 절결부(42)의 위치와, 완전히 일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결부(32)는, 각각, 제1 상연 접합부(221c)와의 사이, 및, 제1 하연 접합부(221d)와의 사이에, 각각, 제1 외측 시트(31b)의 일부가 남도록 제1 외측 시트(31b)에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액상물의 수용부(21)로의 한창 주입 중 등에, 제1 외측 시트(31b) 중의, 제1 상연 접합부(221c) 및 제1 하연 접합부(221d)에 인접하는 부분에, 액상물의 무게에 의한 부담이 집중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동일한 이유로부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결부(42)도, 각각, 제2 상연 접합부(222c)와의 사이, 및, 제2 하연 접합부(222d)와의 사이에, 각각, 제2 외측 시트(41b)의 일부가 남도록, 제2 손가락 삽입부(222)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222a) 및 그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결부(32)의 윤곽선 중의, 상기 「제1 외측 시트(31b)의 일부」에 대응하는 부분(32a(상측 윤곽 개시 단부), 32b(하측 윤곽 개시 단부))을, 제1 절결부(32)의 폭 방향과 평행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이라고 하면, 「제1 외측 시트(31b)의 일부」는, 제1 손가락 삽입부(221) 내로의 손가락의 삽입 방향을 규제하면서, 보다 안쪽으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1 상측 가이드부(221e) 및 제1 하측 가이드부(221f)로서 기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부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결부(42)의 윤곽선의 일부분(42a(상측 윤곽 개시 단부), 42b(하측 윤곽 개시 단부))을 제2 절결부(42)의 폭 방향과 평행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이라고 하고, 제2 외측 시트(41b)가, 제2 상측 가이드부(222e) 및 제2 하측 가이드부(222f)를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장 구멍(6b, 7b)의 꼭대기부(61, 71)는, 윤곽선의 일부분(32a, 42a)보다 아주 약간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면,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삽입되고, 종장 구멍(6b, 7b)으로부터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외측으로 돌출한 손가락 위에 외측 시트(31b, 41b)가 올라와 있기 쉽고, 액상물의 수용부(21) 내로의 한창 주입 중에, 당해 손가락으로,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양호한 자세의 담보를 행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절결부(32, 42)의 윤곽선은, 부분(32a, 42a)에 인접하고,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저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선(32c, 42c)을 포함하고 있으면, 손가락 삽입부(221, 222) 내로 손가락을 보다 깊게 삽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절결부(32, 42)의 윤곽선에 있어서, 부분(32b, 42b)과 경사선(32c, 42c)이, 호상선(弧狀線)(32d, 42d)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면, 절결부(32, 42)의 윤곽선 중 경사선(32c, 42c)의 하부 부근에, 액상물의 무게에 의한 부하가 집중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절결부(32, 42)를 평면에서 보면, 그 윤곽선은, 대략 U자 형상이며, U자 형상의 저부의 부분은,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저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면, 바람직하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각 손가락 삽입부를 구성하는, 내측 시트(31a, 41a)와 외측 시트(31b, 41b)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쌍방에,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제1 볼록부와 제2 볼록부가 맞닿고 있다. 그로 인해,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 사이의 간극이, 내측 시트의 내면과 외측 시트의 내면 중 어느 한쪽에만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보다 크고, 손가락의 삽입성의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 중 어느 한쪽에만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 양태도 포함한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본 발명은, 제1 볼록부의 꼭대기면과 제2 볼록부의 꼭대기면이 맞닿는 한, 각 볼록부의 형상, 길이 방향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볼록부와 제2 볼록부가 더불어 직선형 볼록부이며, 제1 볼록부의 길이 방향과 제2 볼록부의 길이 방향이 서로 상이하면, 주머니 제작 과정에 있어서, 양자의 위치 맞춤에 의해 양 볼록부의 꼭대기면을 용이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제1 볼록부와 제2 볼록부는, 각각, 외측 시트의 내면의 전체 영역, 내측 시트의 내면의 전체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주머니 제작의 과정에서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가 서로 밀착하는 것이 억제되고,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의 사이에 아주 약간이지만 간극이 존재하게 되고, 손가락의 삽입성이 향상한다면, 각 손가락 삽입부의 내면의 어느 개소에,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손가락 삽입부로의 손가락의 삽입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각 손가락 삽입부의 내면 중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 및 그 근방에, 엠보싱 가공이 이루어져 있으면 바람직하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제1 손가락 삽입부의 종장 구멍과 제2 손가락 삽입부의 종장 구멍은, 생산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의료용 연질 용기(1)의 폭 방향 동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손가락 삽입부의 종장 구멍의 윤곽과 제2 손가락 삽입부의 종장 구멍의 윤곽은, 의료용 연질 용기(1)의 두께 방향에서 봤을 때 완전히 일치하고 있으나, 이들은, 의료용 연질 용기(1)의 상하 방향 및 폭 방향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어긋나 있어도 된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수용부(21) 내외의 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지퍼(척 실링) 등의 걸어맞춤부인데,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의한 개구부(24)의 개구 조작, 개구 상태의 유지, 및 액상물의 수용부(21)로의 주입 조작성이 방해되지 않는 한, 상기 수단은 종래부터 공지된 다른 수단이어도 된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배출구(26)에 고정된 배출용 포트(5)를 구비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는, 배출용 포트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거래되어도 된다.
제1 면부(3)와 제2 면부(4)에는, 각각, 수용부(21)에 주입되는 액상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특히, 수용부(21)에 주입되는 액상물이 불투명한 경우에, 수완가의 여하에 관계없이 의료용 연질 용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눈금은, 제1 면부(3)에만 또는 제2 면부(4)에만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외측 시트(31b, 41b)가, 각각, 제1 시트(31), 제2 시트(41)의 일부인데, 이를 대신하여, 내측 시트(31a, 41a)가, 제1 시트(31), 제2 시트(41)의 일부이며, 외측 시트(31b, 41b)가, 제1 시트(31), 제2 시트(41)와는 다른 시트여도 된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외측 시트(31b, 41b)는, 각각, 제1 시트(31), 제2 시트(41)의 일부인데, 수용부(21)를 구성하는 시트와는 별개로 준비된 시트이며, 열접착 등에 의해, 수용부(21)를 구성하는 시트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외측 시트(31b, 41b)와, 내측 시트(31a, 41a)는, 각각, 별개로 준비된 시트인데,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는, 1장이 연속한 시트여도 된다.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에서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형성된 구멍은, 종장 구멍이며, 의료용 연질 용기의 유지의 안정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굵기 정도의 폭의 개구를 갖는 종장 구멍이나, 손가락 삽입부를 구성하는 시트의 손가락에 대한 추종성의 향상에 기여한다면, 구멍은, 진원, 횡장(橫長) 구멍, 삼각형, 역삼각형, 사각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는, 종래부터 공지의 파우치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데, 생산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도 1~도 7에 도시한 의료용 연질 용기(1)는,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제1 시트(31)의 장척체(長尺體), 제2 시트(41)의 장척체, 제1 내측 시트(31a)의 장척체, 제2 내측 시트(41a)의 장척체, 및 지퍼(25)의 장척체를 각각 준비한다.
이어서, 제1 시트(31)의 장척체와 제2 시트(41)의 장척체를, 그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서로 겹쳐, 제1 시트(31)의 장척체와 제2 시트(41)의 장척체 사이에, 제1 내측 시트(31a)의 장척체, 제2 내측 시트(41a)의 장척체, 및 지퍼(25)의 장척체를, 각각, 소정의 위치에 삽입한다(적층 공정).
이어서, 각 장척체들이 소정의 위치에서 적절히 접합되도록 히트 실링하여, 각 장척체의 일체화물을 형성한다(접합 공정). 구체적으로는, 주연 접합부(23), 상연 접합부(221c, 222c), 하연 접합부(221d, 222d)가 되는 개소를 형성하고, 지퍼(25)의 장척체를 제1 시트(31)의 장척체와 제2 시트(41)의 장척체의 쌍방에 접합한다.
이어서, 복수의 용기 본체부를 제작하도록, 일체화물을 절단한다(절단 공정). 당해 절단 공정에 있어서, 종장 구멍을 형성한다. 또,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제조 방법의 다른 일례에서는, 상기 적층 공정, 접합 공정, 및 절단 공정에 더해, 배출용 포트(5)를 열접착에 의해 용기 본체부(2)의 배출구(26)에 고정하는 공정을 더욱 포함한다.
외측 시트에 절결부가 형성된 형태에서는, 적층 공정의 한창이나 혹은 적층 공정의 전에, 제1 시트의 장척체와 제2 시트의 장척체의 각각의 소정의 위치에, 절결부가 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면 된다.
(실시 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의료용 연질 용기(10)의 배면도이며, 도 10은, 의료용 연질 용기(10)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도 10에 있어서, 동일 명칭의 부재에 대해서는,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의료용 연질 용기(1)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연질 용기(10)에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를 구성하는 외측 시트(31b, 41b)와 내측 시트(31a, 41a)에는,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지 않고,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를 대신하여, 각각, 주름접힘부(81, 82)가 형성되어 있다. 주름접힘부(81, 82)는, 각각, 손가락 삽입부의 외측을 향해 돌출한 주름산을 갖는다. 주름접힘부(81, 82)는, 각각,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에 있어서, 삽입 개시 측단(221a, 222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름접힘부(81, 82)는, 각각, 외측 시트(31b, 41b)의 절결부(32, 42)로부터, 하연 접합부(221d, 222d)를 향해 형성되어 있고, 주름접힘부(81, 82)의 주름 폭은, 하연 접합부(221d, 222d)를 향해 좁아져 있다.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주름접힘부(81, 8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측 시트(31b, 41b)와 내측 시트(31a, 41a)가, 주머니 제작의 과정에서 서로 밀착하는 것이 억제됨과 더불어, 양자 사이에 아주 약간이지만 간극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 삽입부(221, 222)로의 손가락의 삽입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도 8~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주름접힘부(81, 82)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를 구성하는 외측 시트(31b, 41b)에 형성되어 있는데, 내측 시트(31a, 41a)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 3)
도 1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의료용 연질 용기(11)의 일례의 배면도이며, 도 13은, 의료용 연질 용기(11)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도 13에 있어서, 동일 명칭의 부재에 대해서는,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의료용 연질 용기(1)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의료용 연질 용기(11)에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를 구성하는 외측 시트(31b, 41b)와 내측 시트(31a, 41a)에는,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지 않고,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를 대신하여, 주름접힘부(83, 84)가 형성되어 있다. 주름접힘부(83, 84)는, 각각,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한 주름산을 갖는다. 주름접힘부(83, 84)는, 각각,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꼭대기부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주름접힘부(83, 84)의 주름 폭은,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전체 폭에 걸쳐서 일정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 형태 2와 동일하게, 손가락 삽입부(221, 222)에, 주름접힘부(83, 8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측 시트(31b, 41b)와 내측 시트(31a, 41a)가, 주머니 제작의 과정에서 서로 밀착하는 것이 억제됨과 더불어, 양자 사이에 아주 약간이지만 간극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 삽입부(221, 222)로의 손가락의 삽입성이 향상되어 있다.
(실시 형태 4)
도 14는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의료용 연질 용기(12)의 배면도이며, 도 16은, 의료용 연질 용기(12)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의료용 연질 용기(1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도 17에 있어서, 동일 명칭의 부재에 대해서는,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의료용 연질 용기(1)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용 연질 용기(12)에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를 구성하는 외측 시트(31b, 41b)와 내측 시트(31a, 41a)에는,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지 않고, 제1 볼록부 및 제2 볼록부를 대신하여, 외측 시트(31b, 41b)의 각각에, 의료용 연질 용기(10)의 내측(내측 시트(31a, 41a)측)을 향해 굴곡한 굴곡부(85, 8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손가락 삽입부(221)에, 손가락 삽입부보다 상측에 매달기용 구멍(9)이 설치되어 있다.
굴곡부(85, 86)는, 그 길이 방향이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폭 방향과 평행이며,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85, 86)는,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시트(31b, 41b)의 굴곡부(85, 86)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아진 박육부이며, 예를 들어, 선단이 예리하지 않은 핀 등으로, 외측 시트(31b, 41b)의 외측면을 눌러,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시트(31b, 41b)가 굴곡부(85, 86)를 포함하고 있으면, 외측 시트(31b)와 내측 시트(31a)의 사이, 및 외측 시트(41b)와 내측 시트(41a)의 사이에, 각각, 간극이 생기기 쉽고, 고로, 손가락 삽입부(221, 222)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행하기 쉽다.
도 14~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굴곡부(85, 86)가, 외측 시트에 박육부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외측 시트(31b)로서 2장의 시트(311b, 312b)를 접합한 것을 이용하고, 외측 시트(41b)로서 2장의 시트(411b, 412b)를 접합한 것을 이용하며, 당해 2장의 시트의 접합부(313b, 413b)의 내측단을 굴곡부라고 해도 된다.
또한, 굴곡부(85, 86)가, 외측 시트 및 내측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굴곡부(85, 86)를,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의 양방에 형성하는 경우는, 외측 시트의 굴곡부의 굴곡 방향과, 내측 시트의 굴곡부의 굴곡 방향이 상이하면 바람직하고, 또는, 외측 시트의 굴곡부와, 내측 시트의 굴곡부가, 서로, 의료용 연질 용기의 두께 방향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손가락 삽입부(221)에는, 손가락 삽입부보다 상측에 매달기용 구멍(9)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를 대신하여,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의료용 연질 용기(1)와 동일하게,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양방에, 매달기 구멍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종장 구멍 등의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실시 형태 5)
도 19는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의료용 연질 용기(13)의 배면도이며, 도 21은, 의료용 연질 용기(13)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도 21에 있어서, 동일 명칭의 부재에 대해서는, 도 1~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의료용 연질 용기(1)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의료용 연질 용기(13)에서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외측 시트(31b, 41b)와 내측 시트(31a, 41a)가 1장이 연속한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꼭대기부에 있어서, 당해 연속한 시트가 구부러져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의 의료용 연질 용기(1)에 있어서의, 제1 상연 접합부(221c) 및 제2 상연 접합부(222c)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외측 시트(31b)와 내측 시트(31a)의 사이, 및 외측 시트(41b)와 내측 시트(41a)의 사이에, 각각, 간극이 생기기 쉽고, 고로, 손가락 삽입부(221, 222)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행하기 쉽다.
(실시 형태 6)
도 2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의 정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의료용 연질 용기(14)의 배면도이며, 도 24는, 의료용 연질 용기(14)의 손가락 삽입부의 내측 시트와 외측 시트를 떼어 놓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도 24에 있어서, 동일 명칭의 부재에 대해서는, 도 14~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 의료용 연질 용기(12)의 경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의료용 연질 용기(14)에서는, 각 손가락 삽입부(221, 222)의 상연부와 하연부가, 각각, 외측 시트(31b, 41b)와 내측 시트(31a, 41a)를 접합한 상연 접합부(221c, 222c)와 하연 접합부(221d, 222d)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 중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외측 시트(31b, 41b)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내측 시트(31a, 41a)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그로 인해, 외측 시트가 대응하는 내측 시트에 대해서 느슨해지므로, 외측 시트(31b)와 내측 시트(31a)의 사이, 및 외측 시트(41b)와 내측 시트(41a)의 사이에, 각각, 간극이 생기기 쉽고, 고로, 손가락 삽입부(221, 222)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행하기 쉽다.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 중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내측 시트(31a, 41a)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외측 시트(31b, 41b)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이 경우, 내측 시트가 대응하는 외측 시트에 대해서 느슨해진다. 이러한 형태에서도, 외측 시트(31b)와 내측 시트(31a)의 사이, 및 외측 시트(41b)와 내측 시트(41a)의 사이에, 각각, 간극이 생기기 쉽고, 고로, 손가락 삽입부(221, 222)로의 손가락의 삽입을 행하기 쉽다.
도 8 내지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 의료용 연질 용기에서는, 손가락 삽입부(221, 222)를 구성하는 외측 시트와 내측 시트에,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지 않은지, 또는, 엠보싱 가공을 하는 것에 대하여 명기하고 있지 않으나, 이들 실시 형태의 의료용 연질 용기에 대해서도, 외측 시트 및 내측 시트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에,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를 포함하는 경장 영양 공급 시스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일례인 의료용 연질 용기(1)는, 예를 들어, 경장 영양 공급 시스템(50) 등의 영양 공급 시스템의 구성 부품으로서 사용된다. 경장 영양 공급 시스템(50)은, 예를 들어, 배출용 포트(5)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51)와, 가요성 튜브(51)를 압압(押壓)하여 가요성 튜브(51) 내를 흐르는 액상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정기(52), 점적통(53), 커넥터(54), 커넥터 커버(55)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장 영양 공급 시스템은, 도 25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 공급 시스템이 구비하는 구성 부품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연질 용기의 다른 일례인 의료용 연질 용기(10~14)에 대해서도, 의료용 연질 용기(1)와 동일하게, 경장 영양 공급 시스템(50) 등의 영양 공급 시스템의 구성 부품으로서 사용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서는, 경장 영양법에 있어서도 적절히 사용되는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1, 10, 11, 12, 13, 14 의료용 연질 용기
2 용기 본체부
21 수용부
221, 222 손가락 삽입부
221a, 222a 손가락 삽입부의 손가락의 삽입 개시 측단
221c 제1 상연 접합부
221d 제1 하연 접합부
221g 손가락 삽입부의 내부 공간
222c 제2 상연 접합부
222d 제2 하연 접합부
222g 손가락 삽입부의 내부 공간
23 주연 접합부
24 개구부
25 지퍼
26 배출구
3 제1 면부
31 제1 시트
31a 제1 내측 시트
31b 제1 외측 시트
32 제1 절결부
32a, 32b 제1 절결부의 윤곽선의 일부분
32c 경사선
32d 호상선
32e 제1 볼록부
321e 제1 볼록부의 꼭대기면
32f 제2 볼록부
321f 제2 볼록부의 꼭대기면
4 제2 면부
41 제2 시트
41a 제2 내측 시트
41b 제2 외측 시트
42 제2 절결부
42a, 42b 제2 절결부의 윤곽선의 일부분
42c 경사선
42d 호상선
5 배출용 포트
6a, 6b 제1 종장 구멍
7a, 7b 제2 종장 구멍
81, 82, 83, 84 주름접힘부
85, 86 굴곡부
9 매달기용 구멍
50 경장 영양 공급 시스템

Claims (14)

  1. 제1 면부와 제2 면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를 포함한 의료용 연질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부는,
    액상물을 수용 가능하게 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면부와 상기 제2 면부의 상부가, 각각, 폭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받아들임 가능하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가락 삽입부를 포함하며,
    각 손가락 삽입부의 내면에,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으며,
    각 손가락 삽입부 중의, 상기 용기 본체부의 외측에 면하는 부분을 외측 시트라고 칭하고,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측에 면하는 부분을 내측 시트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쌍방에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고,
    상기 외측 시트에 형성된 엠보싱 가공에 의한 제1 볼록부와, 상기 내측 시트에 형성된 엠보싱 가공에 의한 제2 볼록부가, 접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볼록부는, 선형 볼록부이며,
    상기 제1 볼록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2 볼록부의 길이 방향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 중 한쪽이 상기 의료용 연질 용기의 폭 방향으로 배향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손가락 삽입부의 내면 중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에 있어서,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 및 상기 제2 볼록부는, 직선형 볼록부인, 의료용 연질 용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손가락 삽입부의 적어도 손가락의 삽입 개시측에 있어서, 상기 삽입 개시 측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주름접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름접힘부는, 상기 외측 시트에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름접힘부는, 각 손가락 삽입부의 꼭대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는 1장의 연속한 시트로 이루어지는, 의료용 연질 용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 및 상기 내측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 의료용 연질 용기의 외측 또는 내측을 향해 굴곡한 굴곡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연질 용기.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손가락 삽입부의 상연부와 하연부는, 각각,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가 접합된 상연 접합부와 하연 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시트와 상기 내측 시트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의료용 연질 용기.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의료용 연질 용기를 포함하는 영양 공급 시스템.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와 상기 제2 볼록부 중 다른쪽이 상기 의료용 연질 용기의 상하 방향으로 배향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의 길이 방향이, 상기 의료용 연질 용기의 폭 방향으로 배향해 있는, 의료용 연질 용기.
KR1020197006908A 2016-08-10 2017-08-09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KR102461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7988 2016-08-10
JP2016157988 2016-08-10
PCT/JP2017/029015 WO2018030497A1 (ja) 2016-08-10 2017-08-09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238A KR20190040238A (ko) 2019-04-17
KR102461130B1 true KR102461130B1 (ko) 2022-10-31

Family

ID=6116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908A KR102461130B1 (ko) 2016-08-10 2017-08-09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03038B2 (ko)
KR (1) KR102461130B1 (ko)
CN (1) CN109562018A (ko)
WO (1) WO2018030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8565A1 (en) * 2019-05-17 2022-07-14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Adaptive primary packaging for therapeutic solutions
WO2022076908A2 (en) 2020-10-09 2022-04-14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836A (ja) * 2006-11-21 2008-06-05 Ajinomoto Co Inc 医療用複室容器
JP2012010741A (ja) 2010-06-29 2012-01-19 Jms Co Ltd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2014028652A (ja) * 2012-06-26 2014-02-13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パウ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1154A (ja) * 1986-03-01 1987-09-04 株式会社 日本メデイカル・サプライ ブロツキング性の改良された医療用バツグ
CA2164120A1 (en) * 1993-06-28 1995-01-05 Jose Porchia Flexible thermoplastic containers having a visual pattern thereon
US20030102245A1 (en) 2001-12-05 2003-06-05 Donglei Wang Vacuum fresh-maintaining plastic bag
US7938581B2 (en) 2004-04-22 2011-05-10 Lau Kong Ping Vacuum sealing bag
JP5661331B2 (ja) 2009-05-18 2015-01-2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WO2012150632A1 (ja) * 2011-05-02 2012-11-08 株式会社モリモト医薬 投薬用容器
CN104768854B (zh) * 2012-06-26 2017-01-18 尼普洛株式会社 袋容器
JP6182012B2 (ja) * 2013-08-02 2017-08-1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介護用手袋
JP3190299U (ja) 2014-02-13 2014-04-24 三鈴精工株式会社 手袋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5836A (ja) * 2006-11-21 2008-06-05 Ajinomoto Co Inc 医療用複室容器
JP2012010741A (ja) 2010-06-29 2012-01-19 Jms Co Ltd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2014028652A (ja) * 2012-06-26 2014-02-13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パウ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497A1 (ja) 2018-02-15
CN109562018A (zh) 2019-04-02
JPWO2018030497A1 (ja) 2019-06-13
JP7003038B2 (ja) 2022-01-20
KR20190040238A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5408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5924265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US9604759B2 (en) Pouch container
KR102461130B1 (ko)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JP5516139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KR102468593B1 (ko) 의료용 연질 용기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 공급 시스템
JP7333005B2 (ja) 経腸栄養バッグ
JP6615688B2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供給システム
JP2016077431A (ja) 医療用軟質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415253B2 (ja) 経腸栄養バッグ及び経腸栄養バッグの製造方法
JP2008132302A (ja) 医療用容器及びポ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