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995B1 -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995B1
KR102460995B1 KR1020220048044A KR20220048044A KR102460995B1 KR 102460995 B1 KR102460995 B1 KR 102460995B1 KR 1020220048044 A KR1020220048044 A KR 1020220048044A KR 20220048044 A KR20220048044 A KR 20220048044A KR 102460995 B1 KR102460995 B1 KR 10246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parts
pill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김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열 filed Critical 김광열
Priority to KR102022004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을 개선시키고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한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감나무잎 분말, 뽕잎 분말, 솔잎 분말, 귀리 분말, 백강잠 분말, 찰벼눈 분말, 동충하초 분말, 오가피 분말, 참빗살나무 분말, 음양곽 분말, 겨우살이 분말, 함초 분말, 하고초 분말, 약콩 분말, 돼지감자 분말, 여주 분말 및 겉보리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혼합단계와; b)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는 반죽단계와; c) 상기 반죽물을 이용해 환 형태로 성형하는 제환단계와; d) 상기 환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Pills for preventing diabet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혈당을 개선시키고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한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은 혈액 내에 존재하는 포도당이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질환으로, 인슐린의 분비결함 또는 인슐린 작용의 결함에 기인한 만성 고혈당증의 특징을 나타내는 다중적 병인의 대사 장애를 말한다.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형)과 제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2형 당뇨병의 병인은 두 가지 원인으로 인슐린 분비장애와 인슐린 저항성의 복합 장애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95% 이상은 제2형 당뇨병으로 이것은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서구화된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환경의 변화, 각종 스트레스 증가 및 인구 고령화 등으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슐린 분비장애란 혈당 농도에 따라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적절한 양의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상황을 말한다. 이것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세포의 양적인 감소 또는 베타세포의 기능적인 분배장애 때문에 나타난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분비된 인슐린이 혈류를 타고 표적장기에 도달했으나 그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 및 민감성이 저하된 상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슐린이 세포막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한 후에 발생되는 세포내 신호가 어떤 원인에 의해서 그 세기가 감소되는 신호전달 장애로 생각된다.
인슐린 분비장애와 인슐린 저항성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당뇨병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즉, 인슐린 저항성이 있으면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인슐린이 분비되어야 하고, 반대로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아 생긴 고혈당 자체가 다시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현재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치료법으로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다. 약물요법에는 인슐린 분비기능을 증가시키는 설폰요소제계통 약물, 인슐린 작용력을 향상시키는 PPAR-γ 항진제 계통의 약물, 탄수화물의 소화흡수를 방해하여 식후 혈당의 상승을 방지하는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 계통의 약물, 세포에 포도당이 흡수되는 것을 촉진하는 비구아니드계통의 약물, 작용시간이 다양한 인슐린 등이 임상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당뇨 예방과 관련된 음료수, 환 등의 식품이 특허문헌 0001 내지 0003과 같이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다이어트 및 당뇨 기능성 건강 보조 식품용 환의 제조 방법은, 돼지감자, 여주, 강낭콩, 약콩, 율금, 창출을 준비한 후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돼지감자 분말 40 중량부와, 상기 돼지감자 분말 40 중량부 대비 45 ~ 55 중량부의 여주 분말, 5 ~ 15 중량부의 강낭콩 분말, 10 ~ 20 중량부의 약콩 분말, 25 ~ 35 중량부의 율금 분말, 3 ~ 7 중량부의 창출 분말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재료를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와; 반죽된 재료를 제환기에 투입하여 환 형태로 제조하는 환 제조단계와; 제조된 환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02는 통유황오리, 오리 다리뼈, 오리 발뼈 및 유황오리의 머리 등을 이용한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유황오리 엑기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01 및 0002는 기호도가 개선되고 혈당이 조절되는 이점이 있으나, 더욱 혈당을 강하시켜 당뇨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KR10-1373089B1 (2014.03.05) KR10-2265866B1 (2021.06.10)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혈당을 개선시키고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한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감나무잎 분말, 뽕잎 분말, 솔잎 분말, 귀리 분말, 백강잠 분말, 찰벼눈 분말, 동충하초 분말, 오가피 분말, 참빗살나무 분말, 음양곽 분말, 겨우살이 분말, 함초 분말, 하고초 분말, 약콩 분말, 돼지감자 분말, 여주 분말 및 겉보리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혼합단계와;
b)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는 반죽단계와;
c) 상기 반죽물을 이용해 환 형태로 성형하는 제환단계와;
d) 상기 환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단계는 감나무잎 분말 100중량부에 뽕잎 분말 90~110중량부, 솔잎 분말 30~40중량부, 귀리 분말 50~60중량부, 백강잠 분말 10~20중량부, 찰벼눈 분말 5~10중량부, 동충하초 분말 60~70중량부, 오가피 분말 60~70중량부, 참빗살나무 분말 60~70중량부, 음양곽 분말 60~70중량부, 겨우살이 분말 60~70중량부, 함초 분말 60~70중량부, 하고초 분말 60~70중량부, 약콩 분말 30~40중량부, 돼지감자 분말 30~40중량부, 여주 분말 30~40중량부 및 겉보리 분말 60~7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a)단계의 혼합물에 도깨비바늘 분말, 짚속대 분말이 더 혼합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단계의 혼합물에 상기 감나무잎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도깨비바늘 분말 90~110중량부, 짚속대 분말 30~40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a)단계의 혼합물에 도깨비바늘 분말, 짚속대 분말, 금전초 분말, 왕과 분말이 더 혼합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단계의 혼합물에 상기 감나무잎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도깨비바늘 분말 90~110중량부, 짚속대 분말 30~40중량부, 금전초 분말 10~20중량부, 왕과 분말 10~20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환은 맛 및 향에 대한 기호도가 높고, 혈당 강하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의 제조방법은 재료 혼합단계, 반죽단계, 제환단계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재료 혼합단계는 감나무잎 분말, 뽕잎 분말, 솔잎 분말, 귀리 분말, 백강잠 분말, 찰벼눈 분말, 동충하초 분말, 오가피 분말, 참빗살나무 분말, 음양곽 분말, 겨우살이 분말, 함초 분말, 하고초 분말, 약콩 분말, 돼지감자 분말, 여주 분말 및 겉보리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감나무잎 분말은 감나무잎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감나무잎에는 플라보노이드배당체, 수지, 탄닌, 카로틴, 유기산, 당, 정유, 엽록소 및 기타 여러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섬유질, 단백질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뽕잎 분말은 뽕잎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50여종의 각종 미네랄과 21종의 아미노산, 59종의 유기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단백질, GABA, Rutin, 칼슘,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아스파라긴산, 라이신, 콜린, 세린, 메티오닌, 글루타민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솔잎 분말은 솔잎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단백질 4.5%, 지방 3.9%, 탄수화물 19.6%, 섬유 13.3%, 무기질 0.6% 이며 비타민A와 B1 및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상기 귀리 분말은 귀리를 분말화한 것으로서, 귀리에는 식이섬유, 비타민B, 칼슘, 필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 백강잠 분말은 누에나방과 곤충 누에 유충이 백강균에 감염되어 강직되어 죽은 것을 말린 전충인 백강잠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이다.
상기 찰벼눈 분말은 찰벼의 쌀눈을 분말화한 것으로서, 찰벼눈에는 알파토코체롤, 감마오리자놀, 가바(GABA), 옥타코사놀, 식이섬유, 리논레신, 베타시스테롤, 비타민B1, B2, B6, 미네랄, 칼슘 등의 인체에 중요한 영양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 동충하초 분말은 동충하초를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동충하초에는 수분 11%, 지방 8%, 단백질 25%, 탄수화물 29%, 무기질 4%, 동충하초산(D-mannitol) 7% 등이 함유되어 있고, 기타 베타글루칸(1-3), 코디세핀(Cordycepin), 항산화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오가피 분말은 두릅나무에 속한 낙엽관목인 오갈피의 뿌리껍질을 건조한 오가피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으로서,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flanonoid), 리그난(lignan),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상기 참빗살나무 분말은 참빗살나무의 열매를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이다.
그리고 음양관 분말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삼지구엽초의 전초를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으로서, 음양관에는 약 20여 종의 flavonoid 화합물이 분리 보고되어 있고, 활성성분은 icariin 및 noricariin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서 lignan 화합물 및 cresyl alcohol, 정유, 지방산 등이 분리 보고되어 있다.
상기 겨우살이 분말은 참나무·물오리나무·밤나무·팽나무 등에 기생하는 쌍떡잎식물 단향목 겨우살이과의 상록 기생관목인 겨우살이를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으로서, 겨우살이에는 올레아놀산과 사포닌, 아미린, 아라킨, 비스찐, 고무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함초 분말은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인 함초를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으로서, 나트륨을 비롯하여 칼슘, 칼륨, 철분 등 다량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하고초 분말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하고초를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하고초에는 우르솔산(Ursolic acid)과 배당체인 프루네린(Prunerin), 이뇨작용을 하는 염화칼리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약콩 분말은 검은콩의 일종으로 껍질은 까맣고 크기는 보통 검은콩보다 훨씬 잘아 마치 쥐눈처럼 생겼다고 하여 서목태(鼠目太)로 불리우는 약콩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으로서, 약콩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과 함께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되어 있고, 폴리페놀, 프로안토시아니딘과 같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다.
상기 돼지감자 분말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돼지감자를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돼지감자에는 이눌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 여주 분말은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인 여주를 건조시켜 분말화한 것으로서, 여주에는 섬유질이 풍부하고,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 등의 비타민과, 칼슘, 철분, 마그네슘, 인, 칼륨, 아연, 망간 등 각종 미네랄과, 갈산, 타닌산, 카테친, 카페인산, 쿠마르산, 클로로겐산, 겐티신산, 에피카테친, 페놀산, 글리코시드, 사포닌, 알칼로이드, 트라터핀, 인슐린 유사 단백질, 항염성 단백질, 스테로이드 등, 수십 종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겉보리 분말은 곡식입자의 내외영이 성숙 후에도 떨어지지 않는 보리인 겉보리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맛과 향의 기호도를 개선시키고 혈당의 강하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감나무잎 분말 100중량부에 뽕잎 분말 90~110중량부, 솔잎 분말 30~40중량부, 귀리 분말 50~60중량부, 백강잠 분말 10~20중량부, 찰벼눈 분말 5~10중량부, 동충하초 분말 60~70중량부, 오가피 분말 60~70중량부, 참빗살나무 분말 60~70중량부, 음양곽 분말 60~70중량부, 겨우살이 분말 60~70중량부, 함초 분말 60~70중량부, 하고초 분말 60~70중량부, 약콩 분말 30~40중량부, 돼지감자 분말 30~40중량부, 여주 분말 30~40중량부, 홍련초 분말 10~20중량부 및 겉보리 분말 60~7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더 향상된 혈당의 강하효과를 얻기 위해 도깨비바늘 분말, 짚속대 분말이 더 혼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도깨비바늘 분말은 국화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인 도깨비바늘의 줄기와 잎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도깨비바늘에는 volatile oils, 탄닌, 고미질, chol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짚속대 분말은 볏짚의 속대를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이다.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를 유지하며 더 향상된 혈당의 강하효과를 얻기 위해 상기 감나무잎 100중량부에 대해 도깨비바늘 분말 90~110중량부, 짚속대 분말 30~40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금전초 분말, 왕과 분말이 더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금전초 분말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습한 양지에서 자란 금전초를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금전초에는 타닌, 휘발성 정유, 치네올, 쓴맛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왕과 분말은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Thladiantha dubia)인 왕과의 열매를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으로서, 왕과의 열매에는 β-carotene, lycopene, stigmast-7-en-3β-ol, α-spina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혈당의 강하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감나무잎 100중량부에 대해 금전초 분말 10~20중량부 및 왕과 분말 10~20중량부가 더 혼합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반죽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물의 혼합량은 상기 혼합물 100중량부에 50~100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환기를 이용해 제환시 반죽물이 제환기에 잘 들러붙지 않고 성형이 원활히 될 정도로 혼합되면 족하다.
상기 제환단계는 상기 반죽물을 제환기를 이용해 일정한 크기의 환형태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이때 환의 크기는 복용하기 좋도록 직경 1~5mm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제환단계에 의해 제조된 환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조된 환을 온풍 건조 또는 저온제습 건조를 통해 건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환은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하고, 혈당 강하효과가 우수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감나무잎 분말 100g, 뽕잎 분말 100g, 솔잎 분말 35g, 귀리 분말 55g, 백강잠 분말 15g, 찰벼눈 분말 6g, 동충하초 분말 65g, 오가피 분말 65g, 참빗살나무 분말 65g, 음양곽 분말 65g, 겨우살이 분말 65g, 함초 분말 65g, 하고초 분말 65g, 약콩 분말 35g, 돼지감자 분말 35g, 여주 분말 35g 및 겉보리 분말 6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그리고 혼합물에 물 600㎖를 첨가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었고, 반죽물을 제환기를 이용해 직경 3mm의 크기로 제환하였고, 제환된 환을 35~45℃로 건조시켜 실시예 1의 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감나무잎 분말 100g, 뽕잎 분말 100g, 솔잎 분말 35g, 귀리 분말 55g, 백강잠 분말 15g, 찰벼눈 분말 6g, 동충하초 분말 65g, 오가피 분말 65g, 참빗살나무 분말 65g, 음양곽 분말 65g, 겨우살이 분말 65g, 함초 분말 65g, 하고초 분말 65g, 약콩 분말 35g, 돼지감자 분말 35g, 여주 분말 35g, 겉보리 분말 65g, 도깨비바늘 분말 100g, 짚속대 분말 3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그리고 혼합물에 물 650㎖를 첨가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었고, 반죽물을 제환기를 이용해 직경 3mm의 크기로 제환하였고, 제환된 환을 35~45℃로 건조시켜 실시예 2의 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감나무잎 분말 100g, 뽕잎 분말 100g, 솔잎 분말 35g, 귀리 분말 55g, 백강잠 분말 15g, 찰벼눈 분말 6g, 동충하초 분말 65g, 오가피 분말 65g, 참빗살나무 분말 65g, 음양곽 분말 65g, 겨우살이 분말 65g, 함초 분말 65g, 하고초 분말 65g, 약콩 분말 35g, 돼지감자 분말 35g, 여주 분말 35g, 겉보리 분말 65g, 도깨비바늘 분말 100g, 짚속대 분말 35g, 금전초 분말 15g, 왕과 분말 1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그리고 혼합물에 물 660㎖를 첨가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었고, 반죽물을 제환기를 이용해 직경 3mm의 크기로 제환하였고, 제환된 환을 35~45℃로 건조시켜 실시예 3의 환을 제조하였다.
[관능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의 환에 대해 관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성 평가는 40~60대의 성인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맛, 향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해 1~9점(1: 매우 나쁘다 ~ 9: 매우 좋다)으로 평가하였고, 이에 대해 평균값을 하기 표 1로 나타냈다.
전체 기호도
실시예 1 7.5 7.9 7.7
실시예 2 8.1 8.3 8.2
실시예 3 8.2 8.2 8.2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환은 모두 맛, 향 및 전체 기호도가 7.5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특히, 실시예 2 및 3의 환의 전체기호도가 8.2로 평가되어 실시예 1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혈당 측정]
실시예 1 내지 3의 환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당뇨 환자 15명을 모집하여, 3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각 실시예 1 내지 3의 환을 아침과 저녁에 20개씩 복용시켰다.
이때 일주일의 휴약기간을 거친 후 공복 상태에서 혈당수치(mg/dL)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3의 환을 2개월간 복용시킨 후 공복 상태에서 혈당수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냈다.
복용전
혈당(mg/dL)
2달 복용후
혈당(mg/dL)
혈당 강하율
(%)


실시예 1
환자1 131 122 6.9
환자2 130 121 6.9
환자3 135 126 6.7
환자4 141 131 7.1
환자5 129 120 7.0


실시예 2
환자6 132 122 7.6
환자7 135 125 7.4
환자8 128 118 7.8
환자9 140 129 7.6
환자10 142 131 7.7


실시예 3
환자11 145 133 8.3
환자12 129 118 8.5
환자13 137 126 8.0
환자14 134 123 8.2
환자15 139 128 7.9
표 2의 실험결과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환을 2개월 이상 복용시 혈당이 저하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의 환의 경우 혈당 강하율이 7.4% 이상으로 실시예 1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고, 실시예 3의 환경의 경우 혈당 강하율이 7.9% 이상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Claims (7)

  1. a) 감나무잎 분말 100g, 뽕잎 분말 100g, 솔잎 분말 35g, 귀리 분말 55g, 백강잠 분말 15g, 찰벼눈 분말 6g, 동충하초 분말 65g, 오가피 분말 65g, 참빗살나무 분말 65g, 음양곽 분말 65g, 겨우살이 분말 65g, 함초 분말 65g, 하고초 분말 65g, 약콩 분말 35g, 돼지감자 분말 35g, 여주 분말 35g, 겉보리 분말 65g, 도깨비바늘 분말 100g, 짚속대 분말 35g, 금전초 분말 15g, 왕과 분말 15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혼합단계와;
    b)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는 반죽단계와;
    c) 상기 반죽물을 이용해 환 형태로 성형하는 제환단계와;
    d) 상기 환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48044A 2022-04-19 2022-04-19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46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044A KR102460995B1 (ko) 2022-04-19 2022-04-19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044A KR102460995B1 (ko) 2022-04-19 2022-04-19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995B1 true KR102460995B1 (ko) 2022-10-28

Family

ID=8383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044A KR102460995B1 (ko) 2022-04-19 2022-04-19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9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343A (ko) * 2008-01-04 2009-07-08 (주)케이엠제약 항당뇨 한방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2897A (ko) * 2012-02-13 2013-08-21 고광길 다이어트 및 당뇨 기능성 건강 보조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4457A (ko) * 2018-07-31 2020-02-11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혈당개선용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866B1 (ko) 2018-11-28 2021-06-16 (주)덕담골얼쑤농업회사법인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유황오리 엑기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343A (ko) * 2008-01-04 2009-07-08 (주)케이엠제약 항당뇨 한방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2897A (ko) * 2012-02-13 2013-08-21 고광길 다이어트 및 당뇨 기능성 건강 보조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3089B1 (ko) 2012-02-13 2014-03-17 고광길 다이어트 및 당뇨 기능성 건강 보조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14457A (ko) * 2018-07-31 2020-02-11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혈당개선용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866B1 (ko) 2018-11-28 2021-06-16 (주)덕담골얼쑤농업회사법인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유황오리 엑기스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raldk.com에 게재된 ‘[재미있는 약초이야기]귀침초(도깨비바늘)’(2018.09.27.)* *
tistory.com에 게재된 ‘금전초 효능 8가지’(2020.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wafor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benefits of chicory (Cichorium intybus) as an ideal complementary and/or alternative livestock feed supplement
KR20110001302A (ko) 혈당조절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갖는 기능성 흑마늘 환의 제조방법
KR102130332B1 (ko) 천마와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572979B1 (ko) 갈색거저리 단백질 및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또는 근위축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uzardo‐Ocampo et al. Pulse By‐products
KR101598395B1 (ko) 어성초, 삼백초 및 여주가 함유된 산야초 김치의 제조방법
Ikram et al. Nutritional, biochemical,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carob: A review
Calle et al. Aroids as underexplored tubers with potential health benefits
KR102460995B1 (ko) 혈당조절 효능을 갖는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002080B1 (ko) 감, 잡곡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찹쌀떡의 제조방법
KR102483928B1 (ko) 녹용 및 당귀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 증진용 조성물
CN103431108B (zh) 一种苦荞茶的制备方法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30519A (ko) 힐링죽 및 그 제조방법
JP2003252775A (ja) Nk細胞活性化剤
KR102000427B1 (ko) 굼벵이 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2020931B1 (ko) 식용곤충을 함유하는 기능성 건강 스프의 제조방법
KR10100346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능을 갖는 청국장 환(丸)의 제조방법
KR102430026B1 (ko) 새싹보리인삼 굼벵이 쿠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싹보리인삼 굼벵이 쿠키
KR102069264B1 (ko) 버들잎 국수의 제조 방법
KR101690415B1 (ko) 엽록소, 쌀눈, 천마, 치아씨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200074355A (ko) 백수오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청
KR20150120038A (ko) 청국장의 향미를 개선한 건강보조식품과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6569A (ko)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4020B1 (ko) 얼룩두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