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24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43B1
KR102460243B1 KR1020220043100A KR20220043100A KR102460243B1 KR 102460243 B1 KR102460243 B1 KR 102460243B1 KR 1020220043100 A KR1020220043100 A KR 1020220043100A KR 20220043100 A KR20220043100 A KR 20220043100A KR 102460243 B1 KR102460243 B1 KR 102460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re
connector
electric wire
inn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7944A (ko
Inventor
이정현
이승원
구양렬
윤석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4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Abstract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도어, 내부도어와 함께 저장실을 개폐하는 외부도어로서, 내부도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도어를 포함하고, 내부도어는, 본체로부터 내부도어로 연장되는 제 1 전선과, 외부도어로부터 내부도어로 연장되는 제 2 전선이 연결되도록, 내부도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넥터안착부를 포함한다. 이중도어의 회전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전선의 연결관계를 개선하여, 전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구조를 개선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보관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냉장고는 저장실과 도어의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에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TMP(Top Mounted Freezer)형 냉장고와,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냉장고가 있다.
또한, 저장실이 수직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일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며 타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SBS(Side By Side)형 냉장고가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되 상측의 냉장실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 냉장고가 있다.
근래의 냉장고는 다양한 전자장치가 추가되어, 냉장고의 본래의 기능 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기능을 보완, 개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냉장고에 다양한 장치가 추가됨에 따라, 각 장치들을 냉장고에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과, 이들 장치와 제어부 또는 전원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자장치의 배치와, 전자장치와 냉장고의 연결관계를 개선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선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장품의 배치구조를 개선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도어; 상기 내부도어와 함께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외부도어로서, 상기 내부도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본체의 본체전선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내부도어를 지나게 배치되는 제 1 전선과, 상기 외부도어로부터 상기 내부도어로 연장되는 제 2 전선이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도어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넥터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도어와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개방상태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는 닫힘상태와,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상기 외부도어가 개방되는 일부개방상태를 이동하며, 상기 개방상태, 상기 닫힘상태, 상기 일부개방상태간의 이동에서, 상기 본체, 상기 외부도어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에 이르는 상기 제 1, 2 전선의 길이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안착부는, 상기 제 1 전선의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커넥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커넥터안착부에서 상기 제 1, 2 커넥터를 분리함으로서,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커넥터안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외부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제 2 전선을 상기 외부도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제 2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도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에 이르도록 가이드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외부도어의 회전중심이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내부도어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도어에 회전이 간섭되지 않게 상기 힌지어셈블리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어셈블리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전선과 상기 외부전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내부전선을 연결 해제함으로서, 상기 내부도어 또는 상기 외부도어가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외부전선과 함께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내부전선과 함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어는, 그 전면에 마련되며 영상출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내부도어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도어로서, 상기 본체의 본체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도어를 지나는 내부전선을 갖는 내부도어; 상기 외부도어의 전기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내부전선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전선을 갖고, 상기 내부도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전선과 상기 외부전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내부전선과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서, 상기 내부도어 또는 상기 외부도어가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외부전선과 함께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내부전선과 함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선의 제 1 커넥터와, 상기 내부전선의 제 2 커넥터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도어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넥터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도어와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개방상태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는 닫힘상태와,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상기 외부도어가 개방되는 일부개방상태를 이동하며, 상기 개방상태, 상기 닫힘상태, 상기 일부개방상태간의 이동에서, 상기 본체, 상기 외부도어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에 이르는 상기 내부전선과 상기 외부전선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안착부는, 상기 제 1 전선의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전선의 제 2 커넥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커넥터안착부에서 상기 제 1, 2 커넥터를 분리함으로서,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 2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도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에 이르도록 가이드공간을 갖고, 상기 커넥터안착부와 연결되며, 상기 외부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자장치와 냉장고의 연결관계를 개선하여, 전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의 회전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전선의 연결관계를 개선하여, 전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선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외부영향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장치를 도어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장품의 배치구조를 개선하여,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냉장고의 단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구성을 분해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분해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간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간의 결합에 관한 분 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도어의 내부의 전선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8, 9,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 일부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 일부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일부구성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일부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21,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구성을 분해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도어의 내부의 전선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24는 도 21의 A의 확대도.
도 25는 도 21의 B의 확대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커넥터안착부와 전선가이드를 확대한 도면.
도 2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8, 29,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2)과, 내상(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4)과, 내상(12)과 외상(14)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20)을 단열시키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력공급장치 또는 제어부등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커버(76)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수평격벽(25)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22)과, 하측의 냉동실(미도시)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2)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30, 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냉동실(24) 또한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도어(50)에 의해 개폐 될 수 있다. 도어들(30, 40, 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딩하여 개폐하는 슬라이딩 도어가 적용될 수도 있다.
냉장실(22)을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30, 40)는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도면상 우측 도어(30)를 제 1 도어(30)라고 하고, 좌측 도어(40)를 제 2 도어(40)라고 한다. 냉장실(22)의 도어들(30, 40)과 냉동실(24)의 도어들(50) 사이의 관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실(22)의 도어들(30, 40)을 상부도어(30, 40)라 하고, 냉동실(24)의 도어들(50)을 하부도어(50)라 한다. 제 1 도어(30)에는 제 1 도어(30)의 개폐를 위해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도어손잡이(38)가 마련되고, 제 2 도어(40)에는 제 2 도어(40)의 개폐를 위해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도어손잡이(48)가 마련된다. 하부도어(50)또한 하부도어(50)의 개폐를 위해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도어손잡이(58)가 마련된다.
제 1 도어(30)는 냉장실(22)의 우측 일부를 개폐할 수 있고, 제 2 도어(40)는 냉장실(22)의 나머지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의 배면에는 각각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선반(35)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선반(35)은 도어선반(35)의 좌우 양측에서 도어선반(35)을 지지하도록 제 1, 2 도어(30, 4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선반지지부(35a)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지지부(35a)는 별도의 구성으로 도어들(30, 40, 5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들(30, 40, 50)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의 배면 테두리에는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가스켓(36)이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36)은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의 배면에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제 1 도어(30)와 제 2 도어(40) 사이의 이격된 틈이 발생하고 이러한 틈을 밀폐하도록 바어셈블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구성을 분해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분해한 도면이다.
제 1 도어(30)는 제 1 내부도어(31)와 제 1 외부도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도어(40)는 하나로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도어(30)와 마찬가지로 제 2 내부도어와 제 2 외부도어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도어(30)는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내부도어(31)와, 제 1 내부도어(31)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외부도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도어(32)는 제 1 내부도어(31)의 전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도어선반(35)과 선반지지부(35a)와, 가스켓(36)은 제 1 내부도어(3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부도어(31)의 외상(31a)과 내상(31b)은 사각형의 틀의 형상을 갖고, 내측이 개방된 도어개구(33)를 가질 수 있다. 제 1 외부도어(32)는 제 1 내부도어(31)의 도어개구(33)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외부도어(32)는 제 1 내부도어(3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도어돌출면(39)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돌출면(39)은 제 1 내부도어(31)의 도어개구(33)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외부도어(32)가 제 1 내부도어(31)에 대해 폐쇄위치에 위치하면 도어돌출면(39)은 도어개구(33)를 덮도록 구성된다. 도어돌출면(39)은 제 1 외부도어(32)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됨으로서, 제 1 외부도어(32) 내부에 단열재의 배치를 여유롭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외부도어(32)에서 도어돌출면(39)이 배치되는 부분의 제 1 외부도어(32) 두께를 인접한 부분에 비해 두껍게 할 수 있어, 제 1 외부도어(32)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제 1 내부도어(31)를 내부도어(31)로 칭하며, 제 1 외부도어(32)를 외부도어(32)로 칭한다. 또한 하기 설명은 제 1 도어(30)에 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도어(4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 1 도어(30)를 도어(30)라고 칭한다.
냉장고(1)는 입출력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3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60)의 장착을 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착부(34)도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간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간의 결합에 관한 분 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도어의 내부의 전선의 배치에 관한 도면이다.
냉장고(1)는 도어(30)에 장착되는 전자장치를 위해 도어(30)와 본체(10)를 연결하는 전선(6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62)은 본체(10)의 본체전선(77, 도 2 참고)으로부터 내부도어(31)로 연장되는 제 1 전선(64)과, 외부도어(32)로부터 내부도어(31)로 연장되는 제 2 전선(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선(64)은 본체전선(77)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내부도어(31)를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전선(66)은 제 1 전선(64)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외부도어(32)로부터 내부도어(31)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2 전선(64, 66)은 각각 내부전선(64), 외부전선(66)으로 칭할 수 있다. 제 1, 2 전선(64, 66)은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64a, 66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2 전선(62)은 각각 제 1, 2 커넥터(64a, 66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는 제 1 ,2 전선(62)이 연결되도록 커넥터 안착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전선(6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 2 커넥터(64a, 66a)는 커넥터 안착부(37)에서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안착부(37)는 내부도어(3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도어(31) 상면에서 안착공간(37a)을 형성할 수 있다. 안착공간(37a)에서는 제 1, 2 커넥터(64a, 66a)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 안착부(37)는 내부도어(31)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안착부(37)는 내부도어(31)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넥터 안착부(37)는 외부도어(32)의 상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커넥터 안착부(37)가 외부도어(32)의 상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전선(64)은 이후 설명하는 힌지어셈블리(80)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부도어(32)에 마련되는 커넥터 안착부(37)에 이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선(64)은 본체(10)의 본체전선(77)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전선(77)과 연결된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선(64)은 내부도어(31)까지 연장되어 제 2 전선(66)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선(66)은 외부도어(32)에 장착되는 전자제품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일례로 제 2 전선(66)은 디스플레이 장치(60)로부터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60)와 제어부간의 정보를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2 전선(62)이 내부도어(31)에 마련되는 커넥터 안착부(37)에서 결합됨에 따라, 외부도어(32)를 내부도어(31)로부터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외부도어(32)를 내부도어(31)로부터 분리할 때, 커넥터 안착부(37)에 안착된 제 1, 2 전선(62)의 제 1, 2 커넥터(64a, 66a)를 분리함으로서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 또는 해제할 수 있고, 외부도어(32)를 내부도어(31)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2 전선(62)은 단수로 설명하였으나, 제 1, 2 전선(62)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적용이 가능하다.
본체전선(77)과, 제 1, 2 전선(64, 66)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체전선(77)과 제 1 전선(64), 제 2 전선(66)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도어(32)는 제 2 전선(66)과 함께 내부도어(3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부도어(31)는 제 1 전선(64)과 함께 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본체전선(77)과 제 2 전선(66) 중 어느 하나와, 제 1 전선(64)과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서, 내부도어(31) 또는 외부도어(32)가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전선(77)과 제 1 전선(64)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서, 내부도어(31)는 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외부도어(32)는 내부도어(31)에 결합되므로, 이 과정을 통해 내부도어(31)와 외부도어(32)가 함께 본체(10)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 전선(66)과 제 1 전선(64)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서, 외부도어(32)는 내부도어(31)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30)를 본체(10)에 장착 또는 본체(10)로부터 분리함에 있어서, 냉장고의 조립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체(10)에 도어(30)를 결합할 때, 본체(10)에 내부도어(31)와 외부도어(32)를 순차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고, 내부도어(31)와 외부도어(32)가 결합된 상태를 본체(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어(3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위 과정의 역순에 의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어힌지(70, 도 3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힌지(70)는 도어힌지 브라켓(72)과, 도어힌지 브라켓(72)에 형성되는 힌지회전축(7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힌지 브라켓(72)은 본체(10)에 장착되며, 도어(30)는 힌지회전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내부도어(31)에는 힌지회전축(74)에 대응되는 힌지홀(31c)이 형성되며, 힌지회전축(74)은 내부도어(31)의 힌지홀(31c)에 삽입되어 내부도어(31)가 힌지회전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도어(31)가 회전동작을 함에 있어서, 본체(10)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힌지회전축(74)은 본체(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30)는 힌지어셈블리(8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80)는 내부도어(31)의 일구성일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80)는 커넥터안착부(37)와 연결되며, 외부도어(3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80)는 제 2 전선(66)을 외부도어(3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커넥터안착부(37)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80)는 힌지브라켓(82)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브라켓(82)은 내부도어(31) 또는 외부도어(32) 중 어느 하나의 도어(30)에 마련되며, 다른 도어(3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브라켓(82)은 내부도어(31)에 장착되며, 외부도어(32)는 힌지브라켓(82)에 형성되는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브라켓(82)은 외부도어(32)에 장착되며, 힌지브라켓(82)에 형성되는 회전축(83)이 내부도어(31)에 결합되어 외부도어(32)가 내부도어(3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힌지브라켓(82)은 커넥터 안착부(37)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82)은 힌지몸체(82a), 회전축(83)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몸체(82a)는 내부도어(31)에 고정되어 외부도어(32)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힌지몸체(82a)는 외부도어(32)의 하중을 지지하고, 외부도어(32)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83)은 중공부(84)를 갖고, 힌지몸체(82a)에 마련되어 외부도어(32)가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83)은 외부도어(32)의 회전홀(32a, 도 3 참고)에 삽입되어, 외부도어(32)가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도어(32)가 회전동작을 함에 있어서, 내부도어(31)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회전축(83)은 내부도어(3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힌지어셈블리(80)는 외부도어(32)의 회전중심이 내부도어(31)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도어(32)는 내부도어(3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어셈블리삽입부(89)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80)는 내부도어(31)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므로, 외부도어(32)의 회전이 내부도어(31)에 간섭되지 않도록 힌지어셈블리(80)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회전축(83)의 중공부(84)로는 제 2 전선(66)이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전선(66)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장치(60)와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축(83)의 중공부(84)를 지나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82)은 강체로 형성되므로, 도어(30)의 회전동작이 발생하더라도 회전축(83)과 커넥터 안착부(37)간의 거리, 각도, 배치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내부도어(31) 또는 외부도어(32)의 회전에 의하더라도, 회전축(83)과 커넥터 안착부(37)간의 거리, 각도, 배치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회전축(83)의 중공부(84)를 지나는 제 2 전선(66)이 도어(30)의 회전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커넥터 안착부(37)로 연장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80)는 힌지커버(86)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커버(86)는 힌지몸체(82a)의 적어도 일부와, 커넥터 안착부(37)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86)는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일측으로 힌지브라켓(82)과 커넥터 안착부(37)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86)의 내측에는 가이드공간(87)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86)는 회전축(83)의 적어도 일부와, 커넥터 안착부(37)를 덮을 수 있으며, 회전축(83)으로부터 커넥터 안착부(37)에 이르는 가이드공간(87)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8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87)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외부로 제 2 전선(66)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며, 제 2 전선(66)을 외부도어(3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커넥터안착부(37)에 이르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제 2 전선(66)은 회전축(83)의 중공부(84)를 지나며, 힌지커버(86)와 힌지브라켓(82)이 형성하는 가이드공간(87)을 통해 커넥터 안착부(37)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힌지커버(86)는 제 2 전선(66)을 중공부(84)로부터 커넥터 안착부(37)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제 1 전선(64)은 본체(10)로부터 연장되어, 힌지회전축(74)에 형성되는 중공부(74a)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선(64)은 중공부(74a)를 지나 내부도어(31)의 상면의 하부를 지나 커넥터 안착부(37)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 안착부(37)로 연장되는 제 1 전선(64)은, 커넥터 안착부(37)로 연장되는 제 2 전선(66)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 9,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외부도어(32)와 내부도어(31)가 모두 닫힌 상태이며, 도 9는 외부도어(32)는 개방상태, 내부도어(31)는 닫힌상태이며, 도 10은 내부도어(31)는 본체(10)에 대해, 외부도어(32)는 내부도어(31)에 대해 모두 개방상태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도어(31)와 외부도어(32)는 함께 본체(10)에 대해 개방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의 도어(30)의 상태를 닫힘상태(30a), 도 9의 도어(30)의 상태를 일부개방상태(30b), 도 10의 도어(30)의 상태를 개방상태(30c)라 할 수 있다. 도 어(30)가 개방상태(30c)에서는 도 10과 같이 내부도어(31)와 외부도어(32)가 분리될 수도 있으나, 함께 본체(10)에 대해 개방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8에서와 같은 닫힘상태(30a)에서, 내부도어(31)는 도어힌지(70)에 의해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부도어(32)는 힌지어셈블리(80)에 의해 내부도어(31)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부개방상태(30b)에서 외부도어(32)는 내부도어(31)와 분리되어 힌지어셈블리(80)의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힌지어셈블리(80)는 내부도어(3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외부도어(32)의 회전에 의하더라도 힌지어셈블리(80)는 이동하지 않고 내부도어(31)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개방상태(30c)에서 외부도어(32)는 내부도어(31)와 분리되어 힌지어셈블리(80)의 회전축(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내부도어(31)는 본체(10)와 분리되어 도어힌지(70)의 힌지회전축(7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힌지어셈블리(80)는 내부도어(3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외부도어(32), 내부도어(31)의 회전에 의하더라도 힌지어셈블리(80)는 동작하지 않고 내부도어(3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힌지어셈블리(80)의 회전축(83)과 커넥터 안착부(37)는 도어(30)의 회전동작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거리, 각도와 배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도어(32)로의 회전축(83)으로부터 커넥터 안착부(37)로 연장되는 제 2 전선(66)이 도어(30)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어(30)가 개방상태(30c), 닫힘상태(30a), 일부개방상태(30b)를 이동하는 동안, 제 1, 2 전선(64, 66)의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선(66)이 외부도어(32), 내부도어(31)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 1 전선(64)과 연결됨에 따라, 외부도어(32)에 장착되는 전자장치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전자장치와 제어부간의 신호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전선(66)은 반복되는 도어(30)의 회전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서, 제 2 전선(6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 일부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 일부구성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어(40)는 장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90)는 도어(40)의 상부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인쇄회로기판(99)이 장착되는 장착공간(9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90)가 마련되는 도어(40)는 제 2 도어(40)인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60)가 장착되는 제 1 도어(3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 2 도어(40)를 도어(40)라고 칭한다.
장착부(90)는 도어(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90)는 도어(40)의 상부에 도어(40)의 도어외상(44)과 도어내상(45)과 함께, 도어(40)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부(90)는 도어(4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46)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90)는 상면플레이트(4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착부(90)는 상면플레이트(46)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부(90)는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인접한 상면플레이트(46)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테두리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91)는 인접한 도어(40)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면플레이트(46)의 상면에 고일 수 있는 수분이 장착공간(9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장착부(9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장착공간(92)을 형성하도록 도어(40)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90)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99)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부(90)는 도어(40)의 전후방향인 제 1 방향(W1)으로의 폭보다, 도어(40)의 좌우방향인 제 2 방향(W2)으로의 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공간(92)은 제 1 방향(W1)보다 제 2 방향(W2)의 폭이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부(90)는 장착공간(92)의 깊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96)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96)은 장착공간(92)의 깊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장착부(90) 몸체의 내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96)은 인쇄회로기판(99)을 장착부(90)에 장착할 때, 인쇄회로기판(99)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99)은 대략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장착부(9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서, 인쇄회로기판(99)이 도어(40)의 전후면과 나란하게 도어(40)에 삽입되어, 도어(40)의 전후방향 폭에 의해 인쇄회로기판(99)의 크기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장착부(90)는 보강리브(98)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98)는 장착부(90)의 몸체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98)는 장착부(90)의 몸체 외면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보강리브(98)가 상호간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보강리브(98)는 도어(40)의 상면플레이트(46)의 하면과, 장착부(90)의 외면을 연결함으로서 장착부(9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강리브(98)는 상면플레이트(46)와 무관하게 장착부(90)의 외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부(90), 상면플레이트(46), 외상(14)과 내상(12)의 내부에는 도어(40)의 단열을 위해 발포제가 발포되는 데, 보강리브(98)는 발포압력에 의해 장착부(9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부(90)는 상면플레이트(46), 도어(40)의 외상(44)과 내상(45)과 함께, 도어(40)의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일부구성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A를 확대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의 일부단면도이다.
냉장고(1)는 입출력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3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60)의 장착을 위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착부(134)도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134)는 디스플레이 장치(60)의 후면과 마주하며 디스플레이 장치(6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유닛(13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유닛(135)은 디스플레이 장치(60)의 후면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열유닛(135)은 디스플레이 장치(60)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에서는 입출력기능을 수행하면서 발열하게 되는 데, 방열유닛(135)은 디스플레이 장치(60)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아, 도어(30)의 전체로 퍼져나감으로서 방열하게 된다. 방열유닛(135)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34)는 방열유닛(135)의 둘레와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장착공간의 깊이를 형성하는 장착케이스(136)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케이스(136)는 사출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유닛(135)은 프레스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케이스(136)와 방열유닛(135)은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나, 장착케이스(136)와 방열유닛(135)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착케이스(136)와 방열유닛(135)이 모두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방열유닛(135)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과 대응되는 유닛몸체(135a)와, 유닛몸체(135a)의 둘레에 마련되어 장착케이스(136)에 결합되는 유닛테두리부(135b)를 포함한다. 유닛몸체(135a)는 강도보강을 위해 엠보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닛테두리부(135b)는 유닛몸체(135a)의 둘레에서 유닛몸체(135a)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닛테두리부(135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을 향하도록 유닛몸체(135a)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방열유닛(135)은 유닛테두리부(135b)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되는 유닛고정부(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고정부(135c)는 이후 설명하는 장착케이스(136)의 유닛스토퍼(136b)와 케이스홀더(136c)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유닛고정부(135c)는 유닛몸체(135a)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장착케이스(136)는 케이스몸체(136a)와, 유닛스토퍼(136b)와 케이스홀더(136c)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몸체(136a)는 방열유닛(135)의 둘레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장착부의 깊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몸체(136a)는 방열유닛(135)가 안착되는 유닛안착면(136aa)을 포함할 수 있다. 유닛안착면(136aa)과, 방열유닛(135)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닛안착면(136aa)은 방열유닛(135)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방열유닛(135)이 장착케이스(136)에 장착될 때 장착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열유닛(135)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가 유닛안착면(136aa)에 접촉 및 안착됨에 따라, 유닛안착면(136aa)은 방열유닛(135)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유닛스토퍼(136b)는 장착케이스(136)상 마련되어, 방열유닛(135)이 디스플레이 장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열유닛(135)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홀더(136c)는 장착케이스(136)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방열유닛(135)이 디스플레이 장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열유닛(135)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즉, 유닛스토퍼(135b)는 방열유닛(135)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며, 케이스홀더(136c)는 방열유닛(135)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홀더(136c)는 탄성을 가지고 동작할 수 있다. 즉, 방열유닛(135)이 유닛안착면(136aa)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유닛테두리 또는 유닛고정부(135c)는 케이스홀더(136c)를 탄성가압하게 된다. 방열유닛(135)이 유닛안착면(136aa)에 안착되면, 케이스홀더(136c)는 원위치로 탄성복귀하게 되면서 유닛고정부(135c)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방열유닛(135)은 장착케이스(136)와 별도의 체결구조 없이도 결합이 가능하며, 방열유닛(135)이 장착케이스(13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방열유닛(135)과 장착케이스(136)의 결합을 위해 나사결합과 같은 별도의 체결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들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냉장고(201)는 본체(210)와, 본체(2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220)과, 저장실(220)을 개폐하는 도어(230)와, 저장실(2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저장실(220)을 형성하는 내상(212)과, 내상(2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214)과, 내상(212)과 외상(214)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220)을 단열시키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실(220)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수직격벽(미도시)에 의해 일측의 냉장실(222)과, 타측의 냉동실(224)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22)과 냉동실(224)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면에서 냉장고를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이 냉동실, 우측이 냉장실일 수 있다. 냉장실과 냉동실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들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도어(230)는 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도면상 우측 도어를 제 1 도어(230)라고 하고, 좌측 도어를 제 2 도어(240)라고 한다. 제 1 도어(230)에는 제 1 도어(230)의 개폐를 위해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도어손잡이(238)가 마련되고, 제 2 도어(240)에는 제 2 도어(240)의 개폐를 위해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도어손잡이(248)가 마련된다.
도어선반(235)은 도어선반(235)의 좌우 양측에서 도어선반(235)을 지지하도록 제 1, 2 도어(230, 24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선반지지부(235a)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지지부(235a)는 별도의 구성으로 도어들(230, 24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들(230, 240)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 1 도어(230)와, 제 2 도어(240)의 배면 테두리에는 제 1 도어(230)와, 제 2 도어(240)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2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가스켓(236)이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236)은 제 1 도어(230)와, 제 2 도어(240)의 배면에 테두리를 따라 루프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마그넷(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1,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제 1 도어(230)는 제 1 내부도어(231)와 제 1 외부도어(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도어(240)는 하나로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도어(230)와 마찬가지로 제 2 내부도어와 제 2 외부도어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도어(230)는 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내부도어(231)와, 제 1 내부도어(231)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외부도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외부도어(232)는 제 1 내부도어(231)의 전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도어선반(235)과 선반지지부(235a)와, 가스켓(236)은 제 1 내부도어(23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부도어(231)의 외상(231a)과 내상(231b)은 사각형의 틀의 형상을 갖고, 내측이 개방된 도어개구(233)를 가질 수 있다. 제 1 외부도어(232)는 제 1 내부도어(231)의 도어개구(233)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외부도어(232)는 제 1 내부도어(23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도어돌출면(239)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돌출면(239)은 제 1 내부도어(231)의 도어개구(233)와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외부도어(232)가 제 1 내부도어(231)에 대해 폐쇄위치에 위치하면 도어돌출면(239)은 도어개구(233)를 덮도록 구성된다. 도어돌출면(239)은 제 1 외부도어(232)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됨으로서, 제 1 외부도어(232) 내부에 단열재의 배치를 여유롭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외부도어(232)에서 도어돌출면(239)이 배치되는 부분의 제 1 외부도어(232) 두께를 인접한 부분에 비해 두껍게 할 수 있어, 제 1 외부도어(232)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제 1 내부도어(231)를 내부도어(231)로 칭하며, 제 1 외부도어(232)를 외부도어(232)로 칭한다. 또한 하기 설명은 제 1 도어(230)에 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도어(24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 1 도어(230)를 도어(230)라고 칭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도어의 내부의 전선의 배치에 관한 도면, 도 24는 도 21의 A의 확대도, 도 25는 도 21의 B의 확대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커넥터안착부와 전선가이드를 확대한 도면이다.
냉장고(201)는 도어(230)에 장착되는 전자장치를 위해 도어(230)와 본체(210)를 연결하는 전선(26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262)은 제 1 전선(264)과, 제 2 전선(2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전선(264, 66)은 각각 내부전선(264), 외부전선(266)으로 칭할 수 있다. 제 1, 2 전선(264, 66)은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264a, 266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30)는 제 1 ,2 전선(262)이 연결되도록 커넥터 안착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전선(26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 2 커넥터(264a, 266a)는 커넥터 안착부(237)에서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안착부(237)는 내부도어(23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도어(231) 상면에서 안착공간(237a)을 형성할 수 있다. 커넥터 안착부(237)는 내부도어(231) 의 상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230)는 커넥터 안착부(237)의 안착공간(237a)을 덮도록 커버(237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37b)는 내부도어(231)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부도어(231)의 상면과, 커넥터 안착부(237)의 상부는 외부도어(232)의 상면과 단차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내부도어(231)의 상면, 커넥터안착부(237)의 상부, 외부도어(232)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230)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 안착부(237)의 외부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여 외부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제 1 전선(264)은 본체(210)의 본체전선(277)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전선(277)과 연결된 제어부(미도시) 또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선(264)은 내부도어(231)까지 연장되어 제 2 전선(266)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선(264)은 내부도어(231)의 제 1 전선인출구(237c)를 통해 커넥터안착부(237)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선(264)의 일단은 힌지회전축(274)의 중공부(274a)를 통해 인출되어 본체전선(277)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선(264)의 타단은 커넥터안착부(237)에 형성되는 제 1 전선인출구(237c)를 통해 인출되어, 제 2 전선(266)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선(266)은 외부도어(232)에 장착되는 전자제품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일례로 제 2 전선(266)은 디스플레이 장치(260)로부터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260)와 제어부간의 정보를 전달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 1, 2 전선(264, 266)이 내부도어(231)에 마련되는 커넥터 안착부(237)에서 결합됨에 따라, 외부도어(232)를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외부도어(232)를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할 때, 커넥터 안착부(237)에 안착된 제 1, 2 전선(262)의 제 1, 2 커넥터(264a, 266a)를 분리함으로서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 또는 해제할 수 있고, 외부도어(232)를 내부도어(231)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2 전선(264, 266)은 단수로 설명하였으나, 제 1, 2 전선(264, 266)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적용이 가능하다.
본체전선(277)과, 제 1, 2 전선(264, 266)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체전선(277)과 제 1 전선(264), 제 2 전선(266)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도어(232)는 제 2 전선(266)과 함께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내부도어(231)는 제 1 전선(264)과 함께 본체(2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본체전선(277)과 제 2 전선(266) 중 어느 하나와, 제 1 전선(264)과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서, 내부도어(231) 또는 외부도어(232)가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전선(277)과 제 1 전선(264)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서, 내부도어(231)는 본체(210)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외부도어(232)는 내부도어(231)에 결합되므로, 이 과정을 통해 내부도어(231)와 외부도어(232)가 함께 본체(210)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 전선(266)과 제 1 전선(264)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서, 외부도어(232)는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를 본체(210)에 장착 또는 본체로부터 분리함에 있어서, 냉장고의 조립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체(210)에 도어(230)를 결합할 때, 본체에 내부도어(231)와 외부도어(232)를 순차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고, 내부도어(231)와 외부도어(232)가 결합된 상태를 본체(2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도어(230)를 본체(2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위 과정의 역순에 의할 수 있다.
도어(230)는 힌지어셈블리(28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280)는 내부도어(231)의 일구성일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280)는 커넥터안착부(237)와 연결되며,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280)는 제 2 전선(266)을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커넥터안착부(237)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280)은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280)는 제 2 전선(266)을 외부도어(232)로부터 내부도어(231)로 가이드하며, 내부도어(231)에 대한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280)는 힌지브라켓(282)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브라켓(282)은 내부도어(231) 또는 외부도어(232) 중 어느 하나의 도어(230)에 마련되며, 다른 도어(23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브라켓(282)은 내부도어(231)에 장착되며, 외부도어(232)는 힌지브라켓(282)에 형성되는 회전축(28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브라켓(282)은 외부도어(232)에 장착되며, 힌지브라켓(282)에 형성되는 회전축(283)이 내부도어(231)에 결합되어 외부도어(232)가 내부도어(23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힌지브라켓(282)은 커넥터 안착부(237)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282)은 힌지몸체(282a), 회전축(283)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280)는 전선가이드(28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가이드(286)는 제 2 전선(266)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287)을 형성할 수 있다. 전선가이드(286)는 힌지브라켓(282)과 별도의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선가이드(286)과 힌지브라켓(28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선가이드(286)는 커넥터안착부(237)와 연결되며,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에 이르기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전선(266)은 전선가이드(286)의 가이드공간(287)을 통해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커넥터안착부(237)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전선가이드(286)는 커넥터안착부(237)의 안착공간(237a)과 연결되는 가이드개구(28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선(266)은 전선가이드(286)의 가이드공간(287)을 지나, 가이드개구(286c)를 통해 커넥터안착부(237)의 안착공간(237a)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커버(237b)와 가이드커버(286b)가 각각 커넥터안착부(237)과 가이드몸체(286a)에 안착되더라도, 가이드개구(286c)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선가이드(286)는 일측이 개방되는 가이드몸체(286a)와, 개방된 일측을 덮는 가이드커버(286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286a)는 가이드공간(287)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도어(232)는 내부도어(231)와 마주하는 내면에 마련되며, 힌지어셈블리(280)의 적어도 일부가 지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어셈블리삽입부(289)를 포함한다.
어셈블리삽입부(289)는 외부도어(232)와 내부도어(231)가 밀착된 상태에서, 내부도어(231)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힌지어셈블리(280)가 외부도어(232)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어셈블리삽입부(289)는 외부도어(232)의 내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도어(232)는 어셈블리삽입부(289)의 상부에 제 2 전선(266)이 지나는 연장가이드(288)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가이드(288)는 외부도어(232)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연장가이드(288)는 외부도어(232)의 전기장치로부터 연결되는 제 2 전선(266)을 전선가이드(286)에 이르기까지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연장가이드(288)는 외부도어(232)에 장착시에는 외부도어(232)의 내면과 일치하는 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가이드(288)은 가이드리브(288a), 가이드커버(288b)와, 가이드공간(288c)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도어(232)는 연장가이드(288)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전선인출구(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선(266)은 제 2 전선인출구(290)로부터 인출되어, 연장가이드(288)의 가이드공간(288c)을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외부도어(232)의 내측면에는 제 2 전선인출구(290)로부터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리브(288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커버(288b)는 제 2 전선(266)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이드리브(288a)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288a)와 가이드커버(288b)는 제 2 전선(266)을 제 2 전선인출구(290)로부터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을 향해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리브(288a)와 가이드커버(288b)는 제 2 전선(266)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간(288c)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커버(288b)는 외부도어(232)의 내측면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도어(232)에는 결합홀(23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커버(288b) 는 결합홀(232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88b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288bb)는 가이드커버(288b)의 커버몸체(288ba)의 탄성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232a)은 외부도어(23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288bb)는 가이드커버(288b)의 일측면, 자세하게는 커버몸체(288ba)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커버(288b)가 외부도어(232)의 내측면에 장착되면, 결합돌기(288ba)는 결합홀(232a)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게 된다.
가이드커버(288b)를 외부도어(23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홀(232a)에 삽입된 결합돌기(288bb)를 가압하여, 결합돌기(288bb)를 결합홀(232a)로부터 이탈시킨다. 결합돌기(288bb)는 커버몸체(288ba)에 대해 탄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므로, 외부도어(232)로부터 가이드커버(288b)를 이탈시키면, 가압되어 눌려있던 결합돌기(288bb)는 재차 탄성복귀 하게 된다.
연장가이드(288)는 제 2 전선(266)을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까지 가이드하며, 전선가이드(286)는 제 2 전선(266)을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커넥터안착부(237)까지 가이드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2 전선가이드(286)를 지나는 제 2 전선(266)은 외부도어(232)의 회전중심을 지나 힌지어셈블리(28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내부도어(231) 또는 외부도어(232)의 회전에 의하더라도, 회전축(283)과 커넥터 안착부(237)간의 거리, 각도, 배치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서, 제 2 전선(266)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2 전선(266)이 도어(230)의 회전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커넥터 안착부(237)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전선(264)은 본체(210)의 본체전선(277)과 연결되며, 힌지회전축(274)에 형성되는 중공부(274a)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선(264)은 중공부(274a)를 지나 내부도어(231)의 상면의 하부를 지나 커넥터 안착부(237)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터 안착부(237)로 연장되는 제 1 전선(264)은, 커넥터 안착부(237)로 연장되는 제 2 전선(266)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조립 및 분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앞선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외부도어(232)를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안착부(237)에서 커버(237b)를 개방하여, 안착공간(237b)에 위치한 제 1, 2 커넥터(264a, 264b)를 분리한다. 전선가이드(286)의 가이드커버(286b)를 개방하면 제 2 전선(266)이 외부로 노출되게 마련된다.
즉, 제 1, 2 커넥터(264a, 264b)를 분리하고, 커버(237b)와 가이드커버(286b)를 각각 커넥터안착부(237)와 가이드몸체(286a)로부터 분리하면, 제 2 전선(266)은 내부도어(231)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힌지어셈블리(280)는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함으로서, 외부도어(232)는 내부도어(231)와 분리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도어(232)는 힌지브라켓(282)에 형성되는 회전축(283)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서, 외부도어(232)를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연장가이드(288)의 가이드커버(288b)를 외부도어(232)로부터 분리시킨 후, 외부도어(232)를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다음은 본체(210)로부터 내부도어(231)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는 경우, 내부도어(231)를 본체(210)로부터 분리할 때, 외부도어(232)를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외부도어(232)를 내부도어(231)로부터 분리하고, 내부도어(231)를 본체(21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도어(231)와 외부도어(232)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도어(231)를 본체(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어(230)가 본체(2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본체(210)의 상부에 마련되는 본체커버(276)를 본체(210)로부터 분리하고 난 뒤, 본체전선(277)의 본체커넥터(277a)와 제 1 전선(264)의 연결커넥터(264b)를 분리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어(230)와 본체(210)간의 전기적연결을 단절시킬 수 있게된다. 이로서, 도어(230)는 본체(210)에 대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도어힌지(270)와 힌지회전축(274)을 분리시킴으로서 도어(230)를 본체(2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8, 29,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8은 외부도어(232)와 내부도어(231)가 모두 닫힌 상태(30a)이며, 도 29는 외부도어(232)는 개방상태, 내부도어(231)는 닫힌상태인 일부개방상태(30b)이며, 도 30은 내부도어(231)는 본체(210)에 대해, 외부도어(232)는 내부도어(231)에 대해 모두 개방상태(30c)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도어(231)와 외부도어(232)는 함께 본체(210)에 대해 개방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28의 도어(230)의 상태를 닫힘상태(230a), 도 29의 도어(230)의 상태를 일부개방상태(230b), 도 30의 도어(230)의 상태를 개방상태(230c)라 할 수 있다. 도어(230)가 개방상태(230c)에서는 도 10과 같이 내부도어(231)와 외부도어(232)가 분리될 수도 있으나, 내부도어(231)와 외부도어(232)가 밀착된 채 함께 본체(210)에 대해 개방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8에서와 같은 닫힘상태(230a)에서, 내부도어(231)는 도어힌지(270)에 의해 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부도어(232)는 힌지어셈블리(280)에 의해 내부도어(231)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2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부개방상태(230b)에서 외부도어(232)는 내부도어(231)와 분리되어 힌지어셈블리(280)의 회전축(2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힌지어셈블리(280)는 내부도어(23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외부도어(232)의 회전에 의하더라도 힌지어셈블리(280)는 이동하지 않고 내부도어(231)에 고정되어 있다.
도 3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개방상태(230c)에서 외부도어(232)는 내부도어(231)와 분리되어 힌지어셈블리(280)의 회전축(28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내부도어(231)는 본체(210)와 분리되어 도어힌지(270)의 힌지회전축(27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30에서와 같이 힌지어셈블리(280)는 내부도어(23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외부도어(232), 내부도어(231)의 회전에 의하더라도 힌지어셈블리(280)는 동작하지 않고 내부도어(23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힌지어셈블리(280)의 회전축(283)과 커넥터 안착부(237)는 도어(230)의 회전동작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거리, 각도와 배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도어(232)로의 회전축(283)으로부터 커넥터안착부(237)로 연장되는 제 2 전선(266)이 도어(230)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전선(266)이 외부도어(232), 내부도어(231)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제 1 전선(264)과 연결됨에 따라, 외부도어(232)에 장착되는 전자장치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전자장치와 제어부간의 신호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전선(266)은 반복되는 도어(230)의 회전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서, 제 2 전선(26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20 : 저장실 30 : 제 1 도어
40 : 제 2 도어 60 : 디스플레이 장치
62 : 전선 70 : 도어힌지
80 : 힌지어셈블리 90 : 장착부

Claims (17)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도어;
    상기 내부도어와 함께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외부도어로서, 상기 내부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도어; 및
    상기 내부도어에 위치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본체의 본체전선에 연결되는 제1 전선을 상기 외부도어로부터 상기 내부도어까지 연장되는 제2 전선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제2 전선과 함께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제1 전선과 함께 상기 본체의 상기 본체전선 및 상기 외부도어의 상기 제2 전선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전선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전선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내부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며 안착공간을 포함하는 커넥터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안착공간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 및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개방상태,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는 닫힘상태, 및
    상기 외부도어가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개방되는 일부개방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내부도어 및 상기 외부도어가 상기 개방상태, 상기 닫힘상태, 및 상기 일부개방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제1 전선의 제1 길이는 유지되며, 상기 외부도어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제2 전선의 제2 길이는 유지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안착부에서 서로 분리됨에 따라, 상기 외부도어가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는 일 측이 상기 커넥터안착부에 연결되며 타 측이 상기 외부도어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힌지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외부도어의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까지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제2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도어의 상기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까지 가이드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는,
    상기 내부도어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으로서,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기 외부도어의 상기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힌지브라켓; 및
    상기 외부도어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힌지브라켓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힌지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은 제어부 또는 전력공급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은 상기 외부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은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2 전선으로 전달하며,
    상기 제2 전선은 상기 제1 전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제2 전선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선은 상기 제2 전선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14.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도어로서, 상기 본체의 본체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내부도어를 지나는 내부전선을 갖는 내부도어;
    상기 내부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부도어와 함께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외부도어로서, 상기 외부도어의 전기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내부전선과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외부도어로부터 상기 내부도어까지 연장되는 외부전선을 갖는 외부도어; 및
    상기 내부도어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전선을 상기 외부전선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외부전선과 함께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부도어는 상기 내부전선과 함께 상기 본체의 상기 본체전선 및 상기 외부도어의 상기 외부전선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도어의 상부에 형성되는 커넥터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외부전선의 일 단에 형성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내부전선의 일 단에 형성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공간에서 결합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어 및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개방상태,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는 닫힘상태, 및
    상기 외부도어가 상기 내부도어로부터 개방되는 일부개방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내부도어 및 상기 외부도어가 상기 개방상태, 상기 닫힘상태, 및 상기 일부개방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내부전선의 제1 길이는 유지되며, 상기 외부도어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외부전선의 제2 길이는 유지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어는 상기 외부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도어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안착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공간을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터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도어의 상기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KR1020220043100A 2017-01-03 2022-04-06 냉장고 KR102460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0956 2017-01-03
KR1020170000956 2017-01-03
US201762524882P 2017-06-26 2017-06-26
US62/524,882 2017-06-26
KR1020170111502A KR102385823B1 (ko) 2017-01-03 2017-08-31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02A Division KR102385823B1 (ko) 2017-01-03 2017-08-3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944A KR20220047944A (ko) 2022-04-19
KR102460243B1 true KR102460243B1 (ko) 2022-10-31

Family

ID=662860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02A KR102385823B1 (ko) 2017-01-03 2017-08-31 냉장고
KR1020220043100A KR102460243B1 (ko) 2017-01-03 2022-04-06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02A KR102385823B1 (ko) 2017-01-03 2017-08-31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507553B1 (ko)
KR (2) KR102385823B1 (ko)
CN (1) CN109863358B (ko)
AU (1) AU201820619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3801A (ja) * 2020-03-13 2021-09-2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KR102365547B1 (ko) * 2020-08-13 202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85383A (ko) *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3482472B (zh) * 2021-07-21 2023-01-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铰链组件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9465B2 (ja) * 2000-09-25 2008-10-2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開閉扉の支持装置
TR200202566A2 (tr) * 2002-11-22 2004-06-21 Vestel Beyaz E�Ya Sanay� Ve T�Caret A.�. Açma yönü değiştirilebilen kapıya sahip elektronik kontrollü soğutucu.
BR0205050A (pt) * 2002-11-25 2004-06-29 Multibras Eletrodomesticos Sa Sistema de alimentação elétrica para porta de refrigeradores e freezers
DE102004013431B4 (de) * 2003-03-20 2018-06-21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tür
KR20060000340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070194675A1 (en) * 2006-02-17 2007-08-23 Jacco Van Beek Refrigerator having a door with integrated control panel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KR20120007895A (ko) * 2010-07-15 2012-01-2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아웃도어의 디스플레이유닛 장착장치
US20120242207A1 (en) * 2011-03-22 2012-09-27 Martin Mershon Connection point for communication device on appliance
CN103105031B (zh) * 2011-11-11 2017-08-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制冷器具
CN104466826B (zh) * 2014-11-26 2017-09-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门体铰链线束约束结构及冰箱
EP3169958B1 (en) * 2015-04-27 2019-07-3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door and refrigerator door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63358B (zh) 2021-09-24
KR20180080092A (ko) 2018-07-11
EP3507553A1 (en) 2019-07-10
KR20220047944A (ko) 2022-04-19
EP3507553B1 (en) 2023-11-22
AU2018206195A1 (en) 2019-05-02
CN109863358A (zh) 2019-06-07
AU2018206195B2 (en) 2023-01-19
EP3507553A4 (en) 2019-09-18
KR102385823B1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243B1 (ko) 냉장고
US11656022B2 (en) Refrigerator
US10145604B2 (en) Refrigerator
CA2866660C (en) Refrigerator
KR102470041B1 (ko) 냉장고
JP6852663B2 (ja) 冷蔵庫
JP7481162B2 (ja) 冷蔵庫
JP7481163B2 (ja) 冷蔵庫
CN113686079B (zh) 冰箱
CN113686080B (zh) 冰箱
CN113686080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