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38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383A
KR20220085383A KR1020200175398A KR20200175398A KR20220085383A KR 20220085383 A KR20220085383 A KR 20220085383A KR 1020200175398 A KR1020200175398 A KR 1020200175398A KR 20200175398 A KR20200175398 A KR 20200175398A KR 20220085383 A KR20220085383 A KR 20220085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hinge pin
bush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용원
이윤석
이상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383A/ko
Priority to EP21906981.2A priority patent/EP4265988A1/en
Priority to PCT/KR2021/018643 priority patent/WO2022131677A1/ko
Priority to US18/267,341 priority patent/US20240044569A1/en
Publication of KR2022008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built-in appli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회전되는 서브 도어; 및 상기 메인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은 상기 서브 도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독립적으로 놓이거나,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0430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상기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며,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하는 저장실과, 상기 냉장실에 대응되는 크기의 개구부를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복수개의 도어가드가 마련되는 내부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외부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서 상기 내부도어 쪽으로 연장되어 상부 힌지축에 의해 상기 내부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상부 힌지와, 상기 외부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에서 상기 내부도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상부 힌지에 결합되는 상기 상부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상부 힌지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상부 힌지축 및 하부 힌지축이 내부도어에 결합되므로, 상기 냉장고를 가구장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내부도어를 개방시키는 경우, 상기 내부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외부도어가 가구장과 간섭되어 상기 내부도어를 90도 이상 개방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설령, 선행문헌에서 내부도어와 외부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의 두께를 줄인다고 하더라도, 내부도어에 상부 힌지축과 하부 힌지축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한 상기 내부도어의 도어 개방 각도가 증가되는 것에 제한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상부 힌지축이 외부도어에 연결되는 제2상부 힌지의 제2연장부와, 내부도어 내부에 위치되는 삽입관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구성되므로, 상부 힌지축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도어들의 조립을 위한 공간이 커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부 힌지축이 삽입관과 제2연장부를 동시에 관통시켜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냉장고가 가구장 내에 위치되더라도,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도어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도어 개방 각도가 확보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도어의 회전을 위한 힌지 기구와 도어의 조립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회전되는 서브 도어; 및 상기 메인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은 상기 서브 도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은 상기 서브 도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과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1 힌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메인 도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2 힌지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이 상기 제 2 힌지 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힌지 핀과 상기 제 2 힌지 핀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의 일부는 상기 제 2 힌지 핀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제 1 힌지 핀이 결합되는 제 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 2 힌지 핀이 결합되는 제 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 및 상기 제 2 개구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의 제 1 개구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제 2 개구의 상측 방향으로 제 2 개구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제 1 힌지 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 1 부싱과, 상기 제 2 힌지 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 2 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은 상기 제 1 부싱 내에 수용되는 제 1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은 상기 제 1 개구에 결합되는 결합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핀은,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에서 연장되는 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핀 바디 내에 수용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부싱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핀 바디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싱은 상기 제 2 샤프트를 수용하는 하측 바디와, 상기 핀 바디를 수용하는 상측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바디의 외경은 상기 하측 바디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측 바디의 내경은 상기 하측 바디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제 2 부싱이 수용되기 위한 힌지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에 상기 제 2 부싱이 수용되고, 상기 제 2 부싱에 상기 제 2 힌지 핀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힌지 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힌지 핀 내부 및 상기 힌지 결합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제 1 힌지 핀과 상기 제 2 힌지 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싱은 상기 서브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제 2 힌지 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시, 상기 고정 브라켓, 상기 제 2 부싱, 제 2 힌지 핀 및 상기 제 1 부싱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제 1 힌지 핀에 대해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시, 상기 제 2 부싱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 2 부싱은 상기 제 2 힌지 핀에 대해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제 1 힌지 핀이 구비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제 1 힌지 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며, 제 2 힌지 핀이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제 2 힌지 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서브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 상기 상기 제 2 힌지 핀은 상기 서브 도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 상에서 상기 제 1 힌지 핀과 상기 제 2 힌지 핀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의 일부는 상기 제 2 힌지 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과 상기 제 2 힌지 핀 사이에는 제 1 부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제 2 힌지 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에는 상기 제 2 부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싱은 상기 제 2 힌지 핀과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냉장고가 가구장 내에 위치되더라도,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어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도어 개방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도어의 회전을 위한 힌지 기구와 도어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실시 예의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 예의 일 도어에 힌지 기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상부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메인 도어의 힌지 수용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함께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메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의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실시 예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실시 예의 일 도어에 힌지 기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독립적으로 주방에 설치되거나, 실내의 가구장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실내의 가구장 내에 냉장고(1)가 설치될 때, 냉장고(1)는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다른 냉장고와 함께 좌우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측의 제1공간과 하측의 제2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 도어(20)도 상기 제1공간을 개폐하는 제1도어(21)와 상기 제2공간을 개폐하는 제2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2공간은 냉동실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좌우로 구분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저장공간이 단일의 공간일 수 있고, 단일의 냉장고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21)와 상기 제2도어(22) 중 하나 이상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또는 단일의 냉장고 도어(20)가 회전 타입의 도어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제1도어(21)가 좌우로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일례로 우측의 제1도어가 메인 도어(30)와, 서브 도어(40)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좌측의 제1도어(21)가 메인 도어(30)와, 서브 도어(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메인 도어(30)와 서브 도어(40)를 포함하는 제1도어를 설명의 편의상 "도어(21)"라 이름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도어(30)는 힌지 기구(5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30)는, 개구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메인 도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측에는 바스켓과 같은 도어 저장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는 상기 메인 도어(30)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40)가 상기 개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 도어(40)가 상기 메인 도어(30)의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40)와 함께 상기 메인 도어(30)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는, 상기 메인 도어(30)의 앞쪽에서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도어(40)의 전면(40a)은 상기 메인 도어(30)의 전면(30a)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의 전면(40a)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 간의 거리는 상기 메인 도어(30)의 전면(30a)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 간의 거리보다 길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는 상기 힌지 기구(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는 상기 힌지 기구(5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 및 상기 메인 도어(3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는 힌지 브라켓(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이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51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의 다른 일부는 상기 메인 도어(30)를 가로질러 상기 서브 도어(4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도어(30)의 상면은 상기 힌지 브라켓(51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 브라켓(510)은 상기 메인 도어(3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는, 상기 메인 도어(30)를 지난 상기 힌지 브라켓(510)을 수용하기 위한 힌지 수용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수용부(421)는 일례로 상기 서브 도어(40)의 후면이 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메인 도어(30) 내부의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미도시)를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와이어 가이드(8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힌지 브라켓(5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브라켓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커버(70)는, 상기 힌지 브라켓(510)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커버(70)가 상기 힌지 브라켓(510)을 커버하면 상기 힌지 기구(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커버(70)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80)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브라켓 커버(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 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60)는 상기 브라켓 커버(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60)는 상기 힌지 브라켓(510)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60)에 의해서 상기 힌지 기구(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 커버(6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는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상부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메인 도어의 힌지 수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어(30)는, 상기 힌지 브라켓(51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힌지 수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수용부(32)는 상기 메인 도어(30)의 배면이 전면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30)는, 상기 힌지 브라켓(510)이 관통하기 위한 슬롯(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이 상기 슬롯(3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 브라켓(510)은 상기 힌지 수용부(3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슬롯(33)을 관통한 상기 힌지 브라켓(510)의 일부는 상기 서브 도어(40)의 힌지 수용부(42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는, 상기 메인 도어(30)의 회전 중심(C)(또는 회전 중심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서브 도어(30)의 회전 중심(C)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서브 도어(40)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서브 도어(3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에서 상기 서브 도어(40)의 힌지 수용부(421)에 위치된 부분이 상기 회전 중심(C)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메인 도어(30)의 전면(30a)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30)의 회전 중심(C)은 상기 서브 도어(30)의 회전 중심(C)과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도어(30)와 상기 서브 도어(30)는 동일한 회전 중심(C)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는 상기 메인 도어(30)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 브라켓(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30)의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에는 일례로 상기 고정 브라켓(550)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결합 가이드(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가이드(35)는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가이드(35)는 상기 고정 브라켓(550)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에 놓인 상기 고정 브라켓(550)의 둘레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에는 복수의 체결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 브라켓(550) 및 체결홀(3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550)은 상기 메인 도어(30) 또는 서브 도어(40)의 회전 시 변형이 방지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재질이 서로 다른 상기 고정 브라켓(550)과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과의 체결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550)과 체결되기 위한 별도의 체결 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550) 사이에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이 위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고정 브라켓(550),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 및 상기 체결 플레이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550)의 일부는 상기 메인 도어(30)의 힌지 수용부(32)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메인 도어(30)의 슬롯(33)을 관통하여 상기 서브 도어(40)의 힌지 수용부(421)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힌지 수용부(421)에 위치된 상기 고정 브라켓(550)을 관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힌지 기구(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 기구(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 브라켓(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은, 상기 캐비닛(10)에 안착 및 고정되는 제 1 브라켓(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511)에는 상기 캐비닛(1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홀(5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511)에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고정 리브(미도시)가 관통하기 위한 리브 관통홀(51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리브 관통홀(511b)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은, 상기 제 1 브라켓(511)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브라켓(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브라켓(513)은 상기 제 1 브라켓(511)의 단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은 상기 제 2 브라켓(513)에서 전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브라켓(5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브라켓(511)과 상기 제 3 브라켓(515)은 나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브라켓(513)에 의해서 높이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3 브라켓(515)이 상기 제 1 브라켓(5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브라켓(515)은 상기 메인 도어(30)의 슬롯(33)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30)의 슬롯(33)을 관통한 상기 제 3 브라켓(515)은 상기 서브 도어(40)의 힌지 수용부(42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제 3 브라켓(515)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3 브라켓(515)에는 강도 보강부(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브라켓(515)에는 상기 브라켓 커버(70)가 결합되기 위한 커버 결합부(517)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적어도 2개의 커버 결합부(517)가 상기 제 3 브라켓(515)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커버 결합부(517) 사이에 상기 강도 보강부(51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511)에도 하나 이상의 커버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브라켓 커버(7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 결합부(517)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은, 제 1 개구(5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518)는 상기 힌지 브라켓(51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제 1 개구(518)를 관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개구(518)는 상기 제 3 브라켓(51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518)는 상기 제 3 브라켓(515)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는, 상기 힌지 브라켓(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520)는 일례로 제 1 브라켓(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버(520)는 상기 리브 관통홀(511b)을 관통한 상기 고정 리브가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5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52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고정 리브가 상기 레버(520)와 간섭 없이 상기 함몰부(522)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레버(52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지구(50)는, 제 1 힌지 핀(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530)은 상기 메인 도어(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힌지 핀(530)은 상기 메인 도어(3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530)은, 제 1 샤프트(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532)는 일례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530)은, 상기 제 1 샤프트(53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534)는 상기 제 1 샤프트(532)의 상단부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530)은, 상기 연장부(534)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 바디(5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536)는 상기 제 1 샤프트(532)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536)는 상기 연장부(534)의 상단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536)는, 상기 제 1 개구(51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536)의 직경은 상기 제 1 개구(518)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 바디(536)는 상기 제 1 개구(518)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536)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3 브라켓(515)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536)의 상하 길이는 상기 연장부(534)의 상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532)의 상하 길이는 상기 결합 바디(536)의 상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532)의 외경은 강도 확보가 가능하면서 도어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5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530)은 상기 결합 바디(536)의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플랜지(5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플랜지(538)는 상기 결합 바디(536)의 상단 원주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랜지(538)는 상기 결합 바디(536)가 상기 제 1 개구(518)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브라켓(515)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플랜지(538)는 상기 제 1 힌지 핀(53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530)이 별도의 부품으로 상기 힌지 브라켓(510)에 결합되는 경우, 작업자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힌지 핀(530) 자체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어, 작업 공간의 제약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힌지 핀(530)이 상기 힌지 브라켓(510)에 고정되므로, 상기 메인 도어(30)는 고정된 상기 제 1 힌지 핀(53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는, 상기 제 1 샤프트(532)에 결합되는 제 1 부싱(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540)은 상기 제 1 샤프트(53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53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부싱(540)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부싱(540)에 의해서 상기 제 1 부싱(540)이 상기 제 1 샤프트(532)에 대해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540)은, 상기 제 1 샤프트(532)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543)을 포함하는 제 1 바디(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542)는 일례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54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샤프트(532)의 상하 길이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540)은, 상기 제 1 바디(542)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544)는 일례로 상기 제 1 바디(542)의 상단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542)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연장부(534)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장부(534)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면(54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바디(542)의 상단부는 상기 연장부(534)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는, 상술한 고정 브라켓(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550)은, 상기 메인 도어(30)에 고정되는 도어 결합 브라켓(5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 브라켓(551)은 상기 메인 도어(30)의 복수의 체결홀(36)과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브라켓(515)은 상기 메인 도어(30)의 힌지 수용부(32) 내에서 상기 도어 결합 브라켓(55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 브라켓(510)의 제 3 브라켓(515)이 상기 제 1 브라켓(511) 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상기 메인 도어(30)의 힌지 수용부(32)에 위치되는 상기 제 3 브라켓(515)은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브라켓(515)이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에서 상방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제 3 브라켓(515)과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 사이에 상기 도어 결합 브라켓(551)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 브라켓(551)이 상기 힌지 수용부(32)의 바닥(34)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브라켓(515)은 상기 도어 결합 브라켓(55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550)은, 상기 도어 결합부(552)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연장 브라켓(5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브라켓(553)은 상기 도어 결합 브라켓(551)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550)은 상기 연장 브라켓(553)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브라켓(5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브라켓(553)에 의해서 상기 지지 브라켓(554)은 상기 연장 브라켓(553)에 의해서 상기 도어 결합 브라켓(55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554)이 상기 제 3 브라켓(515)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장 브라켓(553)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브라켓(513)의 상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브라켓(554)은 상기 제 3 브라켓(515)의 하측 에서 상기 제 3 브라켓(515)과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 브라켓(554)과 상기 제 3 브라켓(515)이 이격되는 한 상기 힌지 브라켓(510)과 상기 고정 브라켓(550)의 형태는 위의 설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550)은, 제 2 개구(5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556)는 상기 고정 브라켓(55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556)는 상기 힌지 브라켓(510)의 제 1 개구(518)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제 1 개구(518) 및 상기 제 2 개구(556)를 관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개구(556)는, 상기 지지 브라켓(55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는, 제 2 힌지 핀(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핀(560)은 상기 메인 도어(30)에 대해서 상기 서브 도어(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힌지 핀(560)은 상기 서브 도어(40)의 회전 중심(C)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힌지 핀(560)이 제공하는 상기 메인 도어(30)의 회전 중심(C)과 상기 제 2 힌지 핀(560)이 제공하는 서브 도어(40)의 회전 중심(C)은 일치한다.
상기 제 2 힌지 핀(560)은, 제 2 샤프트(5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샤프트(562)는 일례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핀(560)은, 상기 제 2 샤프트(562)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핀 바디(5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 바디(564)는, 상기 제 1 부싱(540)의 제 1 바디(54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5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565)을 형성하는 상기 핀 바디(564)의 내주면은 상기 제 1 부싱(540)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핀 바디(56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샤프트(562)의 상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 바디(564)에 상기 제 1 부싱(540)이 수용되고, 상기 핀 바디(564) 내에서 상기 제 1 샤프트(532)가 상기 제 1 부싱(54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562)의 외경은 강도 확보가 가능하면서 도어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5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540)의 제 1 바디(542)는 상기 핀 바디(56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부싱(540)은 상기 메인 도어(30)의 회전 과정에서는 상기 핀 바디(564)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1 샤프트(532)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핀 바디(564)는 상기 제 2 개구(55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 바디(564)의 직경은 상기 제 2 개구(556)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핀 바디(564)는 상기 제 2 개구(556)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핀 바디(564)는, 상기 핀 바디(564)의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랜지(5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플랜지(536)는 상기 핀 바디(564)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핀 바디(564)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 바디(564)가 상기 제 2 개구(556)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플랜지(567)는 상기 지지 브라켓(554)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핀(560)이 별도의 부품으로 상기 지지 브라켓(554)에 결합되는 경우, 작업자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힌지 핀(560) 자체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어, 작업 공간의 제약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힌지 핀(560)이 상기 제 1 힌지 핀(530)과 별도의 부품으로 존재하므로, 도어의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작업 공간의 제약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540)의 제 1 바디(542)가 상기 핀 바디(56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부싱(540)의 플랜지(544)는 상기 핀 바디(564)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540)의 플랜지(544)는 상기 제 3 브라켓(515)과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힌지 핀(530)과 상기 제 2 힌지 핀(560) 사이에 상기 제 1 부싱(540)이 배치되므로, 상기 제 1 샤프트(532)가 상기 제 2 힌지 핀(56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 1 샤프트(532)와 상기 제 2 힌지 핀(560) 간의 직접적인 마찰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샤프트(532)가 상기 제 2 힌지 핀(560) 내에 수용되므로, 상기 메인 도어(30)와 상기 서브 도어(40)의 회전 중심(C)이 일치되더라도 상기 힌지 기구(50)의 높이가 증가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는, 상기 제 2 샤프트(562)에 결합되는 제 2 부싱(5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싱(570)은 상기 제 2 샤프트(56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562)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부싱(570)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싱(570)에 의해서 상기 서브 도어(4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2 부싱(570)이 상기 제 2 샤프트(562)에 대해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싱(570)은, 상기 제 2 샤프트(562)를 수용하는 하측 바디(572)와, 상기 핀 바디(564)를 수용하는 상측 바디(5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바디(574)의 내경은 상기 하측 바디(572)의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상측 바디(574)의 외경은 상기 하측 바디(572)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하측 바디(572)와 상기 상측 바디(574)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2 부싱(570)은 단차면(5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면(575)에 상기 핀 바디(542)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핀 바디(542)가 상기 단차면(575)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측 바디(574)의 단부는 상기 지지 브라켓(554)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40)는, 전면 프레임(421)과, 상기 전면 프레임(421)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420)과,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421)의 전면에는 프런트 패널(44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패널(440)은 일례로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런트 패널(440)이 상기 서브 도어(4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프런트 패널(44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면 프레임(421)이 상기 서브 도어(4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420)은 상기 힌지 수용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수용부(421)는 일례로 상기 도어 프레임(420)의 배면이 전면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420)에서 상기 힌지 수용부(421)의 바닥면(421a)에는 함몰된 형태의 힌지 결합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C)은 상기 힌지 결합부(4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422)에는 일례로 상기 제 2 부싱(57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422)는, 제 1 공간(423a)을 구비하는 제 1 수용부(423)와, 상기 제 1 수용부(423)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 2 공간(425a)을 구비하는 제 2 수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부(425)의 내경은 상기 제 1 수용부(423)의 내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423)에는 상기 제 2 부싱(570)의 하측 바디(57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부(425)에는 상기 제 2 부싱(570)의 상측 바디(574)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423)와 상기 제 2 수용부(425)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상기 힌지 결합부(422)는, 상기 제 2 부싱(570)의 단차면(575)을 지지하는 지지부(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422)에 상기 제 2 부싱(57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40)의 회전 시 상기 힌지 결합부(422)와 상기 제 2 부싱(570)이 함께 상기 제 2 힌지 핀(56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554)의 하면은 상기 힌지 수용부(421)의 바닥면(421a)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싱(570)의 상단은 상기 힌지 결합부(4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브라켓(554)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기구(50)의 조립 과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서브 도어(40)의 힌지 결합부(422)에 제 2 부싱(57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550)에는 상기 제 2 힌지 핀(56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550)을 상기 메인 도어(30)에 고정하고, 상기 제 2 힌지 핀(560)을 상기 제 2 부싱(570)에 삽입시키면, 상기 메인 도어(30)와 상기 서브 도어(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싱(540)을 상기 제 2 힌지 핀(56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에 상기 제 1 힌지핀(5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510)을 상기 캐비닛(10)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 1 힌지 핀(530)을 상기 제 1 부싱(540)에 삽입시키면 상기 힌지 기구(5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도 10은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가 함께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메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 도어(30)를 개방시키는 경우, 서브 도어(40)는 메인 도어(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30)는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C)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도어(40)에 위치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40)의 전면과 상기 회전 중심(C)간의 거리가 줄어들어, 상기 메인 도어(3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서브 도어(40)가 주변 구조물과 부딪힐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메인 도어(30)의 두께를 줄인다고 하더라도 상기 메인 도어(30) 및 상기 서브 도어(40)의 회전 중심(C)을 상기 서브 도어(40) 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메인 도어(30)의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메인 도어(30)의 회전 과정에서 서브 도어(40)가 주변 구조물과 부딪힐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40)가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의 회전 중심(C)이 상기 서브 도어(40) 상에 위치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40)의 회전 과정에서 서브 도어(40)가 주변 구조물과 부딪힐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냉장고가 가구장 내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도어(21)의 전체 두께를 줄이면 상기 가구장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도어(21)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21)의 전체 두께를 55mm 이하로 하는 경우, 상기 가구장의 전면에서 상기 도어(21)의 전면이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를 가지는 도어(21)가 메인 도어(30)와 서브 도어(40)를 포함하면서 상기 서브 도어(40)에 상기 회전 중심(C)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40)에 상기 회전 중심(C)이 위치될 때, 상기 회전 중심(C)과 상기 서브 도어(40)까지의 전면 까지의 거리는 13mm 내지 15mm 범위 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 도어(40)에서 전면과 상기 회전 중심(C) 사이에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1: 냉장고 10: 본체
20: 냉장고 도어 30: 메인 도어
40: 서브 도어 50: 힌지 기구
510: 힌지 브라켓 530: 제 1 힌지 핀
540: 제 1 부싱 550: 고정 브라켓
560: 제 2 힌지 핀 570: 제 2 부싱

Claims (18)

  1.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회전되는 서브 도어; 및
    상기 메인 도어 및 상기 서브 도어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 및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은 상기 서브 도어 상에 위치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과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은 일치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1 힌지 핀과,
    상기 메인 도어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 2 힌지 핀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핀이 상기 제 2 힌지 핀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힌지 핀과 상기 제 2 힌지 핀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핀의 일부는 상기 제 2 힌지 핀의 내부에 위치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제 1 힌지 핀이 결합되는 제 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 2 힌지 핀이 결합되는 제 2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개구 및 상기 제 2 개구는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제 1 개구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제 2 개구의 상측 방향으로 제 2 개구와 이격되는 냉장고.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제 1 힌지 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 1 부싱과,
    상기 제 2 힌지 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 2 부싱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 핀은 상기 제 1 부싱 내에 수용되는 제 1 샤프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 핀은,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에서 연장되는 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핀 바디 내에 수용 및 고정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부싱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핀 바디 내에 위치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싱은 상기 제 2 샤프트를 수용하는 하측 바디와, 상기 핀 바디를 수용하는 상측 바디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제 2 부싱이 수용되기 위한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에 상기 제 2 부싱이 수용되고,
    상기 제 2 부싱에 상기 제 2 힌지 핀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힌지 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힌지 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힌지 핀 내부 및 상기 힌지 결합부 내부에 위치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제 1 힌지 핀과 상기 제 2 힌지 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부싱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 내에 위치되는 냉장고.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싱은 상기 서브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제 2 힌지 핀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회전 시, 상기 고정 브라켓, 상기 제 2 부싱, 제 2 힌지 핀 및 상기 제 1 부싱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 1 부싱은 상기 제 1 힌지 핀에 대해서 상대 회전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회전 시, 상기 제 2 부싱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 2 부싱은 상기 제 2 힌지 핀에 대해서 상대 회전되는 냉장고.
  17.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제 1 힌지 핀이 구비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제 1 힌지 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며, 제 2 힌지 핀이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제 2 힌지 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서브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힌지 핀 상기 상기 제 2 힌지 핀은 상기 서브 도어에 위치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 상에서 상기 제 1 힌지 핀과 상기 제 2 힌지 핀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냉장고.
KR1020200175398A 2020-12-15 2020-12-15 냉장고 KR2022008538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98A KR20220085383A (ko) 2020-12-15 2020-12-15 냉장고
EP21906981.2A EP4265988A1 (en) 2020-12-15 2021-12-09 Refrigerator
PCT/KR2021/018643 WO2022131677A1 (ko) 2020-12-15 2021-12-09 냉장고
US18/267,341 US20240044569A1 (en) 2020-12-15 2021-12-0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98A KR20220085383A (ko) 2020-12-15 2020-12-15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83A true KR20220085383A (ko) 2022-06-22

Family

ID=8205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98A KR20220085383A (ko) 2020-12-15 2020-12-15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44569A1 (ko)
EP (1) EP4265988A1 (ko)
KR (1) KR20220085383A (ko)
WO (1) WO2022131677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33U (ko) * 1997-08-30 1999-03-25 전주범 이중 도어 냉장고
KR20000007478U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냉장고 도어의 지지구조체
JP2004211977A (ja) * 2003-01-06 2004-07-29 Sanyo Electric Co Ltd 内扉付き貯蔵庫
KR102025173B1 (ko) 2012-11-09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85823B1 (ko) * 2017-01-03 202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0874882A (zh) * 2018-08-31 2020-03-10 威海新北洋数码科技有限公司 自动售货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65988A1 (en) 2023-10-25
WO2022131677A1 (ko) 2022-06-23
US20240044569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238B2 (en) Refrigerator
JP4222733B2 (ja) 冷却貯蔵庫
US11906238B2 (en) Refrigerator
US20180187953A1 (en) Household appliance
CA2185313C (en) Improved hinge mounting for a microwave oven door
KR102271280B1 (ko) 드럼 세탁기용 내부 도어 조립체,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US20240142161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20085383A (ko) 냉장고
US20240044570A1 (en) Refrigerator
KR20220085385A (ko) 냉장고
KR20220005231A (ko) 냉장고
KR20220089319A (ko) 냉장고
KR102584693B1 (ko) 냉장고
KR102111717B1 (ko) 냉장고
KR102365547B1 (ko) 냉장고
KR20220022224A (ko) 냉장고
EP4276395A1 (en) Refrigerator
JP4222732B2 (ja) 冷却貯蔵庫
KR200147351Y1 (ko) 냉장고용 도어
KR20210116029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KR20210027913A (ko) 냉장고
KR20210051253A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220015210A (ko) 냉장고
KR20230156486A (ko) 냉장고
WO2023180091A1 (en) A househol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drawer-type door with a ligh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