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954B1 -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954B1
KR102459954B1 KR1020220015689A KR20220015689A KR102459954B1 KR 102459954 B1 KR102459954 B1 KR 102459954B1 KR 1020220015689 A KR1020220015689 A KR 1020220015689A KR 20220015689 A KR20220015689 A KR 20220015689A KR 102459954 B1 KR102459954 B1 KR 10245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ace
container unit
accommoda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상
이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to KR102022001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은, 외형을 이루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용기유닛, 오물이 저장되는 별도의 적재공간을 가지며, 상기 용기유닛의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별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용기유닛의 내부에 삽입 안착되는 수용유닛 및 외부의 오물이 상기 수용유닛 내부로 이동되게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수용유닛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유닛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수용유닛을 함께 밀폐시키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에서 공기를 흡입 시 상기 이격공간 내부와 상기 적재공간 내부의 공기를 동시에 한다.

Description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Dual-structured separable waste accommodating module}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물 처리 장치에 연결되어 오물과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분리 가능한 별도의 수용유닛을 통해 오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물수용모듈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 또는 환자는 신체적, 정신적인 불편함으로 인하여 스스로 용변을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배설물을 후처리하기 위해서는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배설물을 후처리하는 과정은 보호자나 간병인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환자에게도 큰 스트레스와 번거로움을 유발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배설물 처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 배설물 처리 장치의 경우 배설물을 처리하는 데만 그치지 않고 비데, 온풍건조 등의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으며, 냄새가 역류하지 않고 배설물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설물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세척 및 교체가 필요하다. 이렇게 배설물을 후처리 하기 위한 세척공간의 한계와 이를 수행하는 간병부담 및 위생성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오물과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오물을 후처리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058829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오물을 저장하고 이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배설물 처리 장치와 연동되어 배설물과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은, 외형을 이루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용기유닛, 오물이 저장되는 별도의 적재공간을 가지며, 상기 용기유닛의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별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용기유닛의 내부에 삽입 안착되는 수용유닛 및 외부의 오물이 상기 수용유닛 내부로 이동되게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수용유닛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유닛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수용유닛을 함께 밀폐시키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에서 공기를 흡입 시 상기 이격공간 내부와 상기 적재공간 내부의 공기를 동시에 흡입한다.
또한, 상기 수용유닛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유닛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용기유닛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적재공간을 가지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확장되어 상기 용기유닛의 상면에 걸쳐지며, 상부에서 안착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이격공간이 상기 커버유닛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유닛은 상기 이격공간의 내부와 상단부가 연통되는 별도의 연통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통홀과 상기 연통유로가 대응하여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유닛은 상기 연통유로와 인접하며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제1연통홀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통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적재공간의 상부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외형을 이루며 상기 용기유닛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 및 상기 이격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 및 상기 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용기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유닛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연통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격공간 내부와 상기 연통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별도로 외부에 구비되는 동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오물을 수집하는 용기유닛 내부에 별도의 수용유닛을 독립적으로 교체하여 수용유닛의 교체 만으로도 간단하게 오물을 비워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오물이 적재되는 수용유닛의 내부공기 흡입 시 용기유닛 내부에 안착되는 수용유닛과 용기유닛 내부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한 공기를 함께 흡입 함으로써 수용유닛 내외부의 공기압 편차를 최소화 함으로써 수용유닛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에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에 있어서 커버유닛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에서 수용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에서 이격공간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도 1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에서 수용유닛에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은 크게 용기유닛(100), 수용유닛(200), 커버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유닛(100)는,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오물을 직접 저장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상기 수용유닛(20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유닛(100)는 실린더 형, 육면체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유닛(100)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유로(110)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별도로 내부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유닛(1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연통유로(110)가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용기유닛(100)의 내면과 상부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상기 수용유닛(200)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더라도 내부에 형성되는 이격공간(102)과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유로(11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용기유닛(100) 내부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오물을 내부에 적재하는 별도의 적재공간(20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용기유닛(10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수용되며, 수용되는 부분이 상기 용기유닛(100)의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10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면의 일부에 복수 개의 연결홀(212)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202)으로 오물이 투입되거나 또는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유닛(200)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유닛(100)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유닛(200)은 크게 수용부(210) 및 확장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10) 내부에 오물이 투입 수용된다.
상기 수용부(210)는 상기 용기유닛(10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상기 용기유닛(100) 내부로 삽입되며, 별도의 적재공간(20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210)는 커버유닛(300)이 상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유입부(310)와 배출부(320)가 연통되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로 오물이 투입되거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210)는 상기 적재공간(202)의 상부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310)와 상기 배출부(320)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2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입부(310)와 연통되고 나머지는 상기 배출부(32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210)는 상기 적재공간(202)의 상부가 커버되도록 구성되되, 중앙 및 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연결홀(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에 위치한 상기 연결홀(212)은 상기 유입부(310)와 연통되어 오물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로 투입되며 나머지는 상기 배출부(320)와 연통되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210)는 상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홀(212)을 통해서만 상기 적재공간(202)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210)는 상기 용기유닛(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이격공간(102)을 형성함과 동시에 독립적인 상기 적재공간(202)을 가지며 상부에 복수 개의 상기 연결홀(212)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202)이 내외부로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확장부(220)는 상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확장되어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면에 걸쳐지며, 상기 용기유닛(100)과 상기 수용유닛(200) 사이의 상기 이격공간(102)을 상부에서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수용부(210)의 상단부에서 횡 방향으로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면에 안작된다. 이때, 상기 용기유닛(100)의 내벽과 상기 수용부(210)의 외측면 사이에는 상기 이격공간(102)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220)가 상기 이격공간(10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한다.
즉,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수용부(210)가 상기 용기유닛(100) 내부에서 상기 이격공간(102)을 가지며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격공간(102)을 밀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수용부(210)의 상단부에서 상대적으로 큰 둘레를 가지며 원형으로 확장되어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측에 안착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커버유닛(300)이 상기 확장부(220)를 가압하여 압착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유닛(100)과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킨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이격공간(102)이 후술하는 상기 커버유닛(3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연통홀(2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연통홀(222)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102)이 외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통홀(222)은 상기 용기유닛(100)에 구비된 상기 연통유로(110)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연통유로(110) 및 강기 제1연통홀(222)을 경유하여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용기유닛(100)은 내부와 상단부가 연통되는 별도의 연통유로(1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연통홀(222)과 상기 연통유로(110)의 상단부가 대응하여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유닛(200)이 안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유닛(100)은 상기 연통유로(110)와 인접하며,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된 돌출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제1연통홀(222)이 상기 돌출부(120)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연통유로(110)와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유닛(200)이 상기 용기유닛(100)에 안착 시 상기 확장부(220)에 의해 상기 연통유로(110)와 상기 제1연통홀(222)이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수용부(210) 및 상기 확장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10)는 내부의 적재공간(202)을 통해 오물을 수용하고,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이격공간(102)을 밀폐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연통홀(222)을 통해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수용유닛(200)이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버유닛(300)은 상기 용기유닛(100)과 함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구성이며, 결합 시 내부에 상기 수용유닛(200)이 수용되어 외부와 밀폐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300)은 상기 수용유닛(200)의 커버 형태로 상부에 결합되며 별도의 유입부(310) 및 배출부(320)를 통해 오물을 상기 수용유닛(200)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커버유닛(300)은 크게 커버부(330), 유입부(310), 배출부(320) 및 고정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330)는 외형을 이루며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내부에 연통공간(332)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202) 및 상기 이격공간(102)과 각각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330)는 상기 용기유닛(100)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부에서 결합 시 상기 수용유닛(200)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연통공간(3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330)는 상기 연통공간(332) 내부에 후술하는 상기 고정부(340)가 수용되며, 상기 고정부(340)에 의해 상기 용기유닛(100)에 안착된 상기 수용유닛(200)이 상부에서 가압되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310)와 상기 배출부(320)가 각각 내부에 독립적인 관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유입부(310)는 길게 관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330) 내에 배치되며 일단에 유입홀(312)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330)의 외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330)를 관통하여 상기 용기유닛(100) 내부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유입부(310)는 타단이 후술하는 고정부(340)를 경유하며 상기 수용유닛(200) 내부까지 연통되어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오물을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부(310)는 하나의 배관형태로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수용유닛(200)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212)과 연통되어 오물을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유입부(310)는 별도의 배설물 처리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배설물 처리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노약자나 환자의 배설물과 같은 오물이 상기 적재공간(202)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320)는 상기 상기 유입부(31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공간(202) 및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320)는 배관형태로 일단에 별도의 배출홀(322)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330)의 외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부(330) 내부의 연통공간(332)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통공간(332)은 상기 수용부(210)에 형성된 상기 연결홀(212) 및 상기 용기유닛(100)에 형성된 상기 연통유로(110)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공간(202)과 상기 이격공간(102)이 연통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부(320)를 통해 상기 용기유닛(100) 및 상기 수용유닛(20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오물은 상기 유입부(310)를 통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출부(320)는, 별도의 동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함께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의 공기도 함께 배출 함으로써, 상기 동력부에 의한 공기 흡입으로 인해 상기 수용부(210)가 수축되거나 내외부 공기압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부는 상기 적재공간(202)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오물이 상기 유입부(31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다만, 동력부는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구체적인 개수, 성능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 상기 동력부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적재공간(202) 및 상기 이격공간(102)과 동시에 연통됨으로써 상기 동력부에 의해 내부 공기가 흡입 되더라도 상기 수용부(210)의 내 외부 공기압 변화를 최소화시켜 형상이 변화하거나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출부(320)는, 별도의 필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물의 불쾌한 냄새 또는 입자를 필터링하여 악취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가 구비되는 위치, 종류 등은 사용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커버유닛(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유닛(200)에 접촉하며, 상기 용기유닛(100)에 상기 용기유닛(100)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330) 내부에 상기 연통공간(332)이 형성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340)는 평판형태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330)의 하부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연통공간(332)을 형성하고,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유닛(100)에 접촉하여 가압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커버부(33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330)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상부에 상기 연통공간(332)을 형성하는 형태로 고정되며, 둘레에 따른 가장자리부분이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확장부(220)를 하부로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34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확장부(2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연통유로(110)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상기 연통공간(332)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제2연통홀(34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연통홀(346)은 상기 연통유로(110) 및 상기 제1연통유로(1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이들과 연통되어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와 상기 연통공간(332) 내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연통홀(346)은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제1연통홀(222)의 상부에서 적층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와 연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상기 수용유닛(20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342) 및 제2연결구(3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구(342)는 상기 고정부(340)의 중앙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홀(212) 중 중앙에 위치한 하나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310)는 상기 커버부(330)상에서 독립적인 경로를 형성하고 있어, 상기 연통공간(332)과 연결되지 않고 직접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구(342)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310)를 통해 투입되는 오물은 상기 제1연결구(342)를 통해 이탈 없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제2연결구(34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제1연결구(342)와 인접한 위치에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34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통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연결구(344)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부가 상기 연통공간(332)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구(344)는 상기 커버유닛(300)과 상기 용기유닛(100)의 결합 시 상기 제1연결구(342)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연결홀(21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통공간(332)과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가 연통된다.
즉, 상기 제1연결구(342)는 상기 유입부(310)가 독립적으로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제2연결구(344)는 상기 연통공간(332)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340)는 상기 커버부(330)의 하부에서 상기 연통공간(33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연결구(342)와 상기 제2연결구(344)를 통해 각각 상기 유입부(310)와 상기 연통공간(332)이 독립적으로 상기 적재공간(202)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홀(322)을 통해 상기 연통공간(332) 내부의 공기를 흡입 시 상기 제2연결구(344)를 통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연통공간(332)으로 흡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연통홀(346)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의 공기도 상기 연통공간(332)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300)은 상기 유입부(310), 상기 배출부(320), 상기 커버부(330) 및 상기 고정부(340)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유닛(200)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입부(310)와 상기 배출부(320)가 독립적인 경로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연통공간(332)을 통해 배출부(320)에서 공기의 흡입 시 상기 적재공간(202)과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의 공기를 동시에 흡입 시킴으로써 상기 수용유닛(200)이 공기압변화로 인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물을 수집하는 용기유닛(100) 내부에 별도의 수용유닛(200)을 독립적으로 교체하여 수용유닛(200)의 교체 만으로도 간단하게 오물을 비워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에서 이격공간(102)과 적재공간(20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상태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유닛(200)은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수용부(210)가 상기 용기유닛(100)의 내부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격공간(10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220)는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연통홀(222)이 상기 고정부(340)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제1연통홀(222)이 상기 연통유로(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300)이 상기 용기유닛(10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이때 상기 고정부(340)가 상기 확장부(220) 및 상기 수용부(210)의 상면에 접촉하여 고정함과 동시에 제2연통홀(346)이 상기 제1연통홀(222)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유닛(300)의 결합 시 상기 고정부(340)에 형성된 상기 제1연결구(342)와 상기 제2연결구(344)는 각각 상기 수용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연결홀(212)에 삽입되며, 상기 제2연결구(344)는 상기 커버유닛(300)에 형성된 상기 연통공간(332)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통유로(110), 상기 제1연통홀(222), 상기 제2연통홀(346)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와 상기 연통공간(332)이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구(344)를 통해 상기 적재공간(202) 내부와 상기 연통공간(332) 내부가 연결된다.
이후 상기 배출부(320)에서 공기의 흡입 시 상기 연통공간(33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상기 적재공간(202)과 상기 이격공간(102) 내부의 공기가 동시에 흡입 됨으로써 상기 적재공간(202) 내 외부의 공기압 편차를 최소화하여 수용유닛(200)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에서 상기 수용유닛(200)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비닐이나 실리콘 등 수납에 용이한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수축이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용기유닛(100) 내부에서 오물을 수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은 상기 수용유닛(200)이 안정적으로 용기유닛(100) 내부에서 오물을 수용 함으로써, 별도의 용기유닛(100)을 세척할 필요 없이 수용유닛(200)만 간단하게 교체 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용기유닛
110: 연통유로
120: 돌출부
200: 수용유닛
210: 수용부
220: 확장부
300: 커버유닛
310: 유입부
320: 배출부
330: 커버부
340: 고정부

Claims (12)

  1. 외형을 이루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용기유닛;
    오물이 저장되는 별도의 적재공간을 가지며, 상기 용기유닛의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별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용기유닛의 내부에 삽입 안착되는 수용유닛; 및
    외부의 오물이 상기 수용유닛 내부로 이동되게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수용유닛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유닛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상기 용기유닛과 상기 수용유닛을 함께 밀폐시키는 커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용기유닛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적재공간을 가지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단부에서 둘레를 따라 확장되어 상기 용기유닛의 상면에 걸쳐지며 상부에서 안착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유닛은 상기 이격공간의 내부와 상단부가 연통되는 별도의 연통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는 상기 이격공간이 상기 커버유닛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연통홀이 대응해 상호 연통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공기를 흡입 시 상기 이격공간 내부와 상기 적재공간 내부의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유닛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유닛은 상기 연통유로와 인접하며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제1연통홀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통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적재공간의 상부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외형을 이루며 상기 용기유닛의 상부에서 결합되고,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적재공간 및 상기 이격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 및 상기 배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일정 면적을 가지며 상기 용기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유닛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연통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격공간 내부와 상기 연통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통홀이 형성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별도로 외부에 구비되는 동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KR1020220015689A 2022-02-07 2022-02-07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KR10245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689A KR102459954B1 (ko) 2022-02-07 2022-02-07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689A KR102459954B1 (ko) 2022-02-07 2022-02-07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954B1 true KR102459954B1 (ko) 2022-10-31

Family

ID=8380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689A KR102459954B1 (ko) 2022-02-07 2022-02-07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95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1922A (en) * 1980-01-21 1982-03-30 Deaton David W Medical receptacle with disposable liner assembly
US4379455A (en) * 1980-01-21 1983-04-12 Deaton David W Medical receptacle with disposable liner assembly
JPH10243998A (ja) * 1997-02-26 1998-09-14 Medela Ag 液体吸引装置及び使捨てバッグ
JP2006136491A (ja) * 2004-11-12 2006-06-01 Hitachi Ltd 自動排尿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尿パック
KR100588297B1 (ko) 2006-03-30 2006-06-12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JP2007259898A (ja) * 2006-03-27 2007-10-11 Takuo Mochizuki 尿吸引装置
KR101996872B1 (ko) * 2019-01-18 2019-07-08 주식회사 큐라코 역류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1922A (en) * 1980-01-21 1982-03-30 Deaton David W Medical receptacle with disposable liner assembly
US4379455A (en) * 1980-01-21 1983-04-12 Deaton David W Medical receptacle with disposable liner assembly
JPH10243998A (ja) * 1997-02-26 1998-09-14 Medela Ag 液体吸引装置及び使捨てバッグ
JP2006136491A (ja) * 2004-11-12 2006-06-01 Hitachi Ltd 自動排尿処理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尿パック
JP2007259898A (ja) * 2006-03-27 2007-10-11 Takuo Mochizuki 尿吸引装置
KR100588297B1 (ko) 2006-03-30 2006-06-12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KR101996872B1 (ko) * 2019-01-18 2019-07-08 주식회사 큐라코 역류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9522B2 (ja) 流体収集システム
CN103037915B (zh) 一次性使用的吸乳器组件
CN103108615B (zh) 造口术端口气体释放机构
CN101896135B (zh) 用于流体注射器的改进的止回阀
US20080281282A1 (en) Urine collection and disposal system
EP2424474B1 (en) Ostomy bag
US20110196323A1 (en) Ostomy bag odor control and irrigation system
KR102459954B1 (ko) 이중구조의 분리형 오물수용모듈
ES2259489A1 (es) Filtro colector de polvo para aspirador y aspirador provisto de dicho filtro.
EP0772430A1 (en) Urine collecting device
JPH0528623B2 (ko)
KR101644895B1 (ko) 유체 수집용 용기
TW201012447A (en) Portable fluid storage device
US6001086A (en) Device for removing urine and/or feces
KR101767103B1 (ko)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JP3151290U (ja) 密閉型負圧吸引装置
KR20140133309A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
CN113057829B (zh) 一种卧便护理设备及使用方法
JP2008237420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KR100939295B1 (ko) 분뇨 수집장치
JP2002165821A (ja) 排泄物処理装置
KR101733445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KR20180126985A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용 오물통 착탈구조
JP2001509060A (ja) 使い捨て歯科用排出トラップ
KR102027643B1 (ko)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