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513B1 - 렌즈 금형 구조물 - Google Patents

렌즈 금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513B1
KR102458513B1 KR1020210005664A KR20210005664A KR102458513B1 KR 102458513 B1 KR102458513 B1 KR 102458513B1 KR 1020210005664 A KR1020210005664 A KR 1020210005664A KR 20210005664 A KR20210005664 A KR 20210005664A KR 102458513 B1 KR102458513 B1 KR 10245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cooling path
upper fixing
spru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836A (ko
Inventor
김원표
이정석
제갈창성
홍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21000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5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81Aligning injection nozzles with the mould sprue b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구조물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고정판과 베이스 서포트판과 하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메인 베이스를 구비하여 하부 메인 베이스에 하부 카세트를 수납하고 상부 메인 베이스에 상부 카세트와 카세트 보조판을 순차적으로 수납하면서, 상부 카세트와 카세트 보조판을 지나 상부 카세트와 카세트 보조판의 적층 방향을 따라 스프루(sprue)를 둘러싸는 스프루부쉬(sprue bush); 및 상부 메인 베이스와 카세트 보조판 상에서 스프루부쉬의 스프루와 연통하는 노즐 수용홀을 가지는 상부 고정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금형 구조물{LENS-M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하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메인 베이스에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를 각각 수납하고 상부 메인 베이스 상에 상부 고정판 그리고 하부 메인 베이스 아래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하부 고정판과 베이스 서포트판을 구비하면서 상부 고정판을 통해 하부 및 상부 카세트 사이에 수지를 주입하여 하부 및 상부 카세트 사이의 캐비티(cavity)에서 렌즈 사출품을 제작하는 렌즈 금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전화(이하, "카메라폰" 으로 지칭함)가 전세계의 소비자에게 크게 주목을 받으면서 폭발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상기 카메라폰은 기본적으로 사진 촬영과 이미지 저장 이외에 고해상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해주는 고화질 화상에 대한 소비자 요구 뿐만아니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기반으로 사회 관계망을 쉽게 연결하게 해주는 정보 공유화에 대한 소비자 욕구에 맞추어 제조되고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배럴 형상의 경통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비구면 렌즈(이하, "비구면 렌즈" 가 "렌즈" 로 지칭됨)를 통해 피사체로부터 조사되는 외부의 광선을 입사받아 입사된 광선을 촬상 소자에 전달하여 촬상 소자에서 피사체의 이미지를 형상화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는 렌즈 금형 모듈에 수지를 고온 및 고압으로 주입하여 렌즈 금형 모듈의 내부에 수납되는 두 개의 카세트 사이에 성형시킨 렌즈 사출품으로부터 획득된다.
상기 렌즈 사출품은 렌즈의 제조 기술과 제조 비용을 고려하여 렌즈 금형 모듈에서 두 개의 카세트 사이의 캐비티(cavity)에 한 번의 수지 주입후 두 개의 카세트로부터 성형되어 여러 개의 렌즈를 동시에 제작하게 해준다. 상기 렌즈 금형 모듈은 종래기술로써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조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의 렌즈 금형 모듈(도 1(a) 또는 도 1(b)의 55)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고정판(도 4의 5)과 베이스 서포트판(도 4의 15)과 하부 메인 베이스(도 4의 25)와 상부 메인 베이스(도 1의 38)와 상부 고정판(도 1(a) 또는 도 1(b)의 49)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하부 메인 베이스(25)와 상부 메인 베이스(38)는 카세트 수납 방식을 통해 하부 카세트(도면에 미도시)와 상부 카세트(32)를 각각 수납하고, 상기 상부 카세트(32)는 스프루부쉬(36)를 도 1(b)와 같이 갖는다. 상기 상부 메인 베이스(38)는 상부 카세트(32) 상에 카세트 보조판(34)을 도 1(b)와 같이 더 수납한다. 상기 카세트 보조판(34)과 상부 고정판(49)은 중앙 영역에 노즐 수용홀(43)을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갖는다. 상기 카세트 보조판(34)과 상부 고정판(49)은 노즐 수용홀(43)을 통해 상부 고정판(49)의 외부에 스프루부쉬(36)를 노출시킨다.
상기 상부 고정판(49)은, 상부 고정판(49)의 내부에서 평면적으로 볼 때, 상부 고정판(49)의 일 측벽과 타 측벽 사이에 도 1 또는 도 3의 냉각경로(46)를 갖는다. 즉, 상기 냉각경로(46)는, 노즐 수용홀(43)의 일 측부를 지나 상부 고정판(49)의 일 측벽과 타 측벽 사이에 제1 모자 모양의 자취(T1)를 가지며, 노즐 수용홀(43)의 타 측부를 지나 상부 고정판(49)의 일 측벽과 타 측벽 사이에 제2 모자 모양의 자취(T1)를 갖는다. 상기 냉각경로(46)는 카세트 보조판(34)과 상부 메인 베이스(38)로부터 이격하여 상부 고정판(49)의 노즐 수용홀(43)을 둘러싼다.
상기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 사이의 캐비티에 렌즈 사출품(도 14의 194)을 성형시키기 위해, 사출기의 사출 노즐(65)이 상부 고정판(49)과 카세트 보조판(34)의 노즐 수용홀(43)에 도 1과 같이 삽입된다. 상기 사출기는 사출 노즐(65)을 통해 스프루부쉬(36)에 접촉된다. 상기 사출기는 사출 노즐(65)과 스프루부쉬(36)를 통해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 사이의 캐비티에 고온 및 고압으로 수지를 주입한다. 상기 사출 노즐(65)은 250~300℃ 의 온도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스프루부쉬(36)의 스프루(도 15의 H1)를 통해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 사이의 런너(runner)와 게이트(gate)를 순차적으로 지나 렌즈 성형 홈에 도달된다. 상기 수지는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에서 스프루부쉬(36)와 런너와 게이트와 렌즈 성형 홈을 채워 렌즈 사출품(194)으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렌즈 금형 모듈(55)은 렌즈 사출품(194)에 다양한 압력을 다단계로 적용하여 스프루(H1)와 런너와 게이트와 렌즈 성형 홈에 수지 충진 환경을 양호하게 만들도록 조작된다. 이 때에,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성형 시간은 7초이다.
상기 렌즈 사출품(194)이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에 성형된 후, 상기 렌즈 금형 모듈(55)은 상부 고정판(49)의 냉각경로(46)를 따라 냉각 매체의 흐름을 유도한다. 상기 냉각 매체는, 노즐 수용홀(4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도 3의 쌍 방향 자취(T1)를 따라, 상부 고정판(49)의 일 측벽으로부터 타 측벽을 향해 그리고 상부 고정판(49)의 타 측벽으로부터 일 측벽을 향해 흐른다. 상기 냉각 매체는 상부 고정판(49)의 냉각경로(46)에서 130~150℃ 의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렌즈 사출품(194)은 상부 고정판(49)의 냉각경로(46)에 냉각 매체의 흐름 동안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에서 150~250℃ 의 온도를 갖는다. 이 때에,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냉각 시간은 18초이다.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성형 시간과 냉각 시간의 합, 예를 들면 개당 싸이클 타임(cycle time per each; CT/ea)은 25초이다. 그러나,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개수를 증가시키면서 렌즈 사출품(194)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개당 싸이클 타임은 25초보다 더 줄여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성형 시간과 냉각 시간은, 개당 싸이클 타임을 고려하여 조금씩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당 싸이클 타임이 18초에 고정되는 때,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성형 시간과 냉각 시간은 9.5초와 8.5초로 조정되었다. 상기 렌즈 사출품(194)은 도 14와 같이 16 개의 렌즈(184)를 갖는다. 개별 렌즈(184)가 양면 볼록인 때, 개별 렌즈(184)에서, 성형후 비구면 형상과 설계시 비구면 형상이 도 15에서 종래기술의 그래프들에 비교되었다.
우선적으로, 상기 개별 렌즈(184)는 일면(S1)과 타면(S2)을 도 14와 같이 갖는다. 따라서, 상기 16 개의 렌즈(184)는 16 개의 일면(S1)과 16 개의 타면(S2)를 갖는다. 상기 16 개의 일면(S1)은 하부 카세트에 접촉되고, 상기 16 개의 타면(S2)은 상부 카세트(32)에 접촉된다. 상기 16 개의 일면(S1)은 도 14에서 렌즈 사출품(194)의 둘레를 따라 16 개의 렌즈(184)에 1-S1, 2-S1, 3-S1, ... , 15-S1 및 16-S1 의 번호를 붙여 구분될 수 있다.
상기 16 개의 타면(S2)은 도 14에서 렌즈 사출품(194)의 둘레를 따라 16 개의 렌즈(184)에 1-S2, 2-S2, 3-S2, ... , 15-S2 및 16-S2 의 번호를 붙여 구분될 수 있다. 발명의 설명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 도 14 및 도 15를 고려해 볼 때, 첫번째와 다섯번째와 아홉번째와 열세번째의 렌즈(184)가 선택되었다. 상기 첫번째와 다섯번째와 아홉번째와 열세번째의 렌즈(184)는 개별 렌즈(184)에서 일면(S1) 및 타면(S2)의 조합을 고려하여 1-S1 & 1-S2, 5-S1 & 5-S2, 9-S1 & 9-S2, 그리고 13-S1 & 13-S2 에 각각 대응된다.
또한, 상기 첫번째와 다섯번째와 아홉번째와 열세번째의 렌즈(184)는 개별 렌즈(184)의 번호 순에 대응되는 그래프에 개별 렌즈(184)의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고 있다. 즉, 개별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또는 13-S2)는 개별 렌즈(184)의 일면(S1) 또는 타면(S2)에서 일축과 타축을 따라 비구면 측정 도구의 스캔 이동 동안 스캔 거리에 따라 나타나는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보여준다. 상기 일축과 타축은 개별 렌즈(184)의 일면(S1) 또는 타면(S2)에서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또한, 상기 개별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또는 13-S2)가 개별 렌즈(184)의 중심으로부터 테두리를 향해 개별 렌즈(184)의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스캔 거리에 따라 말 안장(saddle)의 자취로 표현하고 있는데, 상기 말 안장의 중앙 부분은 개별 렌즈(184)의 일축과 타축에서 말 안장의 양 가장자리 대비 설계 데이터를 비교적 충실히 반영하여 평평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기 말 안장의 양 가장자리는 개별 렌즈(184)의 일면(S1)과 타면(S2)에서 그리고 개별 렌즈(184)의 일축과 타축에서 심하게 요동친다.
상기 개별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또는 13-S2) 아래에 수치는 말 안장의 양 가장자리에서 설계 데이터 대비 가장 높은 왜곡 정도를 지칭한다. 8 개의 선택된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및 13-S2)를 고려하면, 상기 개별 렌즈(184)의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는 렌즈 사출품(194)의 냉각시간에 매우 의존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냉각시간이 렌즈 금형 모듈(55)에서 부족하면, 상기 랜즈 사출품(194)은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 사이의 캐비티에서 충분히 고형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렌즈 사출품(194)이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개별 렌즈(184)는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 사이에서 충분히 고형화되지 않아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 사이의 렌즈 성형 홈의 바닥에 눌러 붙는 정도를 달리가지고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로부터 분리시 렌즈 성형 홈의 바닥 테두리를 따라 늘어지면서 떨어진다. 따라서, 8 개의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및 13-S2)는 말 안장의 양 가장자리에서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크게 보인다.
또한, 이를 증명하듯이, 도 16에서, 상기 렌즈 사출품(194)은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로부터 분리후 스프루부쉬(36)의 스프루(H1)를 채웠던 사출품 기둥(P1)을 곧게 세워진 형상으로 갖지 않고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상으로 갖는다. 상기 사출품 기둥(P1)은 상부 카세트(32)에서 스프루부쉬(36)에서 충분히 고형화되지 않아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2)로부터 렌즈 사출품(194)의 분리후 중력에 저항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휘어져 생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렌즈 사출품(194)은 큰 온도 범위와 짧은 냉각시간을 통해 성형되기 때문에 수지의 온도 특성에 맞지 않아 개별 렌즈(184)의 조악한 형상과 사출품 기둥(P1)의 조악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사출품 기둥(P1)은 렌즈 금형 모듈(55)로부터 절단스테이지(도면에 미도시)를 향해 렌즈 사출품(194)을 옮기는 로봇 팔(도면에 미도시)에 잡히는 역할을 한다. 이 때에, 상기 로봇 팔은 사출품 기둥(P1)의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상에 기인하여 사출품 기둥(P1)을 잡지 못해 렌즈 금형 모듈(55)로부터 절단스테이지를 향하는 이송 작업에 시간을 길게 소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스테이지는 렌즈 사출품(194)으로부터 16 개의 렌즈(184)를 분리하는 장소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렌즈 사출품의 개당 싸이클 타임을 18초로 고정하면서, 렌즈 사출품의 냉각시간과 성형시간을 조정하더라도, 렌즈 사출품에 둘러싸이는 16 개의 렌즈에서 개별 렌즈의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작게하면서 렌즈 사출품의 사출품 기둥을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상으로 만들지 않는데 적합한 렌즈 금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구조물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고정판과 베이스 서포트판과 하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메인 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메인 베이스에 하부 카세트를 수납하고 상기 상부 메인 베이스에 상부 카세트와 카세트 보조판을 순차적으로 수납하면서, 상기 상부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 보조판을 지나 상기 상부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 보조판의 적층 방향을 따라 스프루(sprue)를 둘러싸는 스프루부쉬(sprue bush); 및 상기 상부 메인 베이스와 상기 카세트 보조판 상에서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스프루와 연통하는 노즐 수용홀을 가지는 상부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판은, 냉각 매체의 흐름을 따라 볼 때, 상기 스프루부쉬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루부쉬는, 상기 상부 카세트로부터 상기 카세트 보조판을 향해 하부 스프루부쉬와 상부 스프루부쉬를 가지고, 상기 하부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스프루부쉬는, 상기 상부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 보조판의 상기 적층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하부 스프루부쉬보다 상기 상부 스프루부쉬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면서 'T' 자형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루부쉬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길이 방향을 따라 'T' 자형의 원 기둥을 이루도록 하부 스프루부쉬보다 상부 스프루부쉬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하부 스프루부쉬에서 하부 부쉬 냉각경로, 그리고 상기 상부 스프루부쉬에서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와 연통하는 상부 부쉬 냉각경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스프루부쉬의 절단면을 볼 때,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 보다 더 길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스프루부쉬의 절단면을 볼 때,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 대비 상대적으로 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스프루 주변에서 상기 스프루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나선 형상으로 돌아 들어간 후 상기 스프루의 상기 하부로부터 상기 상부를 향해 나선 형상으로 돌아 나와 상기 스프루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스프루의 양 측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스프루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스프루의 개별 측부의 하부 부쉬 냉각경로와 결합하여 연통하고 상기 스프루의 상기 개별 측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수평하게 그리고 수직하게 상기 상부 고정판을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스프루 주변에서 상기 스프루를 감는 꽈배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루의 하부에서 이어지며 상기 스프루의 상부에서 상기 스프루의 양 측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스프루의 상기 양 측부에서 양팔 벌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와 연통하고 상기 상부 고정판으로부터 상기 냉각 매체를 공급받도록 상기 상부 고정판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을 향해 제1 국자 모양의 자취를 가지며,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을 향해 제2 국자 모양의 자취를 가지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결합하여 상기 노즐 수용홀 주변에 위치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국자 모양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노즐 수용홀을 향해 오목하게 굽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 또는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에 노출되는 자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노즐 수용홀을 지나는 절단면에서 볼 때,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루부쉬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으로부터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를 향해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으로부터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 경로와 결합하여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부터 상기 스프루부쉬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노즐 수용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서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계면에서 상기 스프루부쉬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이,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과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사이에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과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 경로와 상기 스프루부쉬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가지는 때, 상기 수직 공급 냉각 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계면에서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마주하여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을 향해 제1 국자 모양의 자취를 가지며,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을 향해 제2 국자 모양의 자취를 가지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결합하여 상기 노즐 수용홀 주변에 위치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 아래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를 지나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 제1 냄비 모양의 자취를 가지며,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타 측부를 지나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 제2 냄비 모양의 자취를 가지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 국자 모양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노즐 수용홀을 향해 오목하게 굽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 또는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에 노출되는 자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냄비 모양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 수용홀을 오목하게 둘러싸는 용기부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 및 상기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 패스 냉각경로는,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노즐 수용홀을 지나는 절단면에서 볼 때,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루부쉬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으로부터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를 향해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으로부터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 경로와 결합하여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부터 상기 스프루부쉬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 아래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를 평행하게 지나고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둘러싸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패스 냉각경로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노즐 수용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서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패스 냉각 경로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계면에서 상기 스프루부쉬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이,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과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사이에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과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 경로와 상기 스프루부쉬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 아래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을 이어주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를 가지는 때, 상기 수직 공급 냉각 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계면에서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마주하여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구조물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고정판과 베이스 서포트판과 하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고정판을 구비하면서, 하부 메인 베이스에 하부 카세트, 그리고 상부 메인 베이스에 상부 카세트와 카세트 보조판을 수납 방식으로 수용하며, 상부 카세트와 카세트 보조판에 스프루부쉬를 수용하고, 상부 고정판의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수직 공급 냉각경로, 그리고 스프루부쉬의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하부 부쉬 냉각경로를 순차적으로 연통시키므로,
렌즈 사출품의 개당 싸이클 타임을 18초로 고정하면서, 렌즈 사출품의 냉각시간과 성형시간을 조정하더라도, 렌즈 사출품에 둘러싸이는 16 개의 렌즈에서 개별 렌즈의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작게하면서 렌즈 사출품의 사출품 기둥을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상 대신 곧게 세워진 형상으로 만들 수 있게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 금형 모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Ⅰ - Ⅰ' 를 따라 렌즈 금형 모듈을 절단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고정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부 고정판을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절단선 Ⅱ - Ⅱ' 를 따라 렌즈 금형 구조물을 절단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고정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b)의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부 고정판을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에서 상부 고정판과 스프루부쉬를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과 스프루부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b) 또는 도 8의 스프루부쉬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0(a)는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에 대한 변형예로써 상부 고정판의 내부 구조를 수직 위치 별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절단선 Ⅲ - Ⅲ' 를 따라 렌즈 금형 구조물을 절단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고정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b)의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부 고정판을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a)의 렌즈 금형 구조물에서 상부 고정판과 스프루부쉬를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과 스프루부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와 표와 이미지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절단선 Ⅱ - Ⅱ' 를 따라 렌즈 금형 구조물을 절단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고정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b)의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부 고정판을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에서 상부 고정판과 스프루부쉬를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과 스프루부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5(b) 또는 도 8의 스프루부쉬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구조물(140)은, 도 4와 같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고정판(5)과 베이스 서포트판(15)과 하부 메인 베이스(25)와 상부 메인 베이스(110)와 상부 고정판(130)을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 메인 베이스(25)는, 도면에 미도시되지만, 하부 카세트를 수납하고, 상기 상부 메인 베이스(110)는, 도 5(b)와 같이, 상부 카세트(70)와 카세트 보조판(80)을 순차적으로 수납한다.
상기 상부 카세트(70)와 카세트 보조판(80)은, 도 5(b)와 같이, 스프루부쉬(sprue bush; 100)를 수용한다. 상기 스프루부쉬(100)는, 도 5(b)와 같이, 상부 카세트(70)와 카세트 보조판(80)을 지나 상부 카세트(70)와 카세트 보조판(80)의 적층 방향을 따라 스프루(sprue; 도 9 또는 도 15의 H2)를 둘러싼다. 상기 상부 고정판(130)은, 도 5(b)와 같이, 상부 메인 베이스(110)와 카세트 보조판(80) 상에서 스프루부쉬(100)의 스프루(H2)와 연통하는 노즐 수용홀(123)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상부 고정판(130)은, 도 5(a)와 도 5(b)에서, 냉각 매체(M)의 흐름을 따라 볼 때, 스프루부쉬(100)와 연통한다.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프루부쉬(100)는, 상부 카세트(70)로부터 카세트 보조판(80)을 향해 하부 스프루부쉬(도 8 또는 도 9의 94)와 상부 스프루부쉬(도 8 또는 도 9의 98)를 갖는다. 상기 하부 스프루부쉬(94)와 상부 스프루부쉬(98)는, 상부 카세트(70)와 카세트 보조판(80)의 적층 방향을 따라 볼 때, 하부 스프루부쉬(94)보다 상부 스프루부쉬(98)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면서 'T' 자형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루부쉬(100)는, 도 5(b)와 도 8과 도 9를 고려해 볼 때, 스프루부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T' 자형의 원 기둥을 이루도록 하부 스프루부쉬(94)보다 상부 스프루부쉬(98)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고, 하부 스프루부쉬(94)에서 하부 부쉬 냉각경로(92), 그리고 상부 스프루부쉬(98)에서 하부 부쉬 냉각경로(92)와 연통하는 상부 부쉬 냉각경로(96)를 갖는다.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92)는, 도 8에서, 스프루부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프루부쉬(100)의 절단면을 볼 때, 상부 부쉬 냉각경로(96) 보다 더 길다.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92)는, 도 8과 같이, 스프루부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프루부쉬(100)의 절단면을 볼 때, 상부 부쉬 냉각경로(96)로 대비 상대적으로 더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92)는, 도 8 및 도 9에서, 스프루부쉬(100)의 스프루(H2) 주변에서 스프루(H2)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나선 형상으로 돌아 들어간 후 스프루(H2)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나선 형상으로 돌아 나와 스프루(H2)의 상부에서 스프루(H2)의 양 측부를 향해 개구된다.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96)는, 도 8 및 도 9에서, 스프루부쉬(100)의 스프루(H2)의 상부에서 스프루(H2)의 개별 측부의 하부 부쉬 냉각경로(92)와 결합하여 연통하고 스프루(H2)의 개별 측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수평하게 그리고 수직하게 상부 고정판(130)을 향해 연장한다.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92)는, 도 8 및 도 9에서, 스프루부쉬(100)의 스프루(H2) 주변에서 스프루(H2)를 감는 꽈배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루(H2)의 하부에서 이어지며 스프루(H2)의 상부에서 스프루(H2)의 양 측부를 향해 개구된다.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96)는, 도 8 및 도 9에서, 스프루부쉬(100)의 스프루(H2)의 양 측부에서 양팔 벌린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부쉬 냉각경로(92)와 연통하고 상부 고정판(130)으로부터 냉각 매체(M)를 공급받도록 상부 고정판(130)을 향해 개구된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판(130)은, 도 5(a) 및 도 7에서, 상부 고정판(130)의 내부에서 평면적으로 볼 때, 상부 고정판(130)에서, 노즐 수용홀(123)의 일 측부로부터 상부 고정판(130)의 일 측벽을 향해 제1 국자 모양의 자취(T2)를 가지며, 노즐 수용홀(123)의 타 측부로부터 상부 고정판(130)의 타 측벽을 향해 제2 국자 모양의 자취(T2)를 가지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와, 상부 고정판(130)에서, 노즐 수용홀(12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와 결합하여 노즐 수용홀(123) 주변에 위치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126)를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국자 모양은, 도 7과 같이, 상부 고정판(130)에서, 노즐 수용홀(123)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고정되어 노즐 수용홀(123)을 향해 오목하게 굽어지는 머리부와, 상부 고정판(130)의 일 측벽 또는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부 고정판(130)의 외부에 노출되는 자루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판(130)은, 도 5(b) 및 도 7 및 도 8에서, 상부 고정판(130)의 노즐 수용홀(123)을 지나는 절단면에서 볼 때, 상부 고정판(130)의 내부에서, 스프루부쉬(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부 고정판(130)의 일 측벽으로부터 노즐 수용홀(123)의 일 측부를 향해 그리고 상부 고정판(130)의 타 측벽으로부터 노즐 수용홀(123)의 타 측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와, 노즐 수용홀(12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수평 공급 냉각 경로(129)와 결합하여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부터 스프루부쉬(100)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126)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와 수직 공급 냉각경로(126)는, 도 5(b) 및 도 7 내지 도 9를 고려해 볼 때, 상부 고정판(130)의 노즐 수용홀(123)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고정판(130)의 일 측벽과 타 측벽 사이에서 대칭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는, 도 5 내지 8을 고려해 볼 때, 상부 고정판(130)의 일 측벽과 타 측벽을 관통하여 상부 고정판(130)의 외부를 향해 개구된다.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126)는, 도 5 및 도 7 및 도 8을 고려해 볼 때, 스프루부쉬(100)와 상부 고정판(130)의 계면에서 스프루부쉬(100)를 향해 개구된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판(130)이, 도 5 내지 도 8에서, 상부 고정판(130)의 내부에서, 상부 고정판(130)의 일 측벽과 노즐 수용홀(123)의 일 측부 사이에 그리고 상부 고정판(130)의 타 측벽과 노즐 수용홀(123)의 타 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와, 노즐 수용홀(12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수평 공급 냉각 경로(129)와 스프루부쉬(10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126)를 가지는 때, 상기 수직 공급 냉각 경로(126)는, 도 5 및 도 7 내지 도 9를 고려해 볼 때 스프루부쉬(100)와 상부 고정판(130)의 계면에서 스프루부쉬(100)의 상부 부쉬 냉각경로(96)와 마주하여 상부 부쉬 냉각경로(96)와 연통한다.
도 10(a)는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에 대한 변형예로써 상부 고정판의 내부 구조를 수직 위치 별로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절단선 Ⅲ - Ⅲ' 를 따라 렌즈 금형 구조물을 절단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고정판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b)의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상부 고정판을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a)의 렌즈 금형 구조물에서 상부 고정판과 스프루부쉬를 절단한 후 상부 고정판과 스프루부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 금형 구조물(170)은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14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상기 렌즈 금형 구조물(170)의 상부 고정판(160)은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140)의 상부 고정판(130)과 다른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부 고정판(160)은, 도 10(a) 및 도 10(b)를 고려해 볼 때, 상부 고정판(130)의 내부에서 수직 위치별로 다른 구조를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고정판(160)은, 도 10(a) 및 도 12에서, 상부 고정판(160)의 내부에서 평면적으로 볼 때, 상부 고정판(160)에서,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로부터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을 향해 제1 국자 모양의 자취(T3)를 가지며, 노즐 수용홀(153)의 타 측부로부터 상부 고정판(160)의 타 측벽을 향해 제2 국자 모양의 자취(T3)를 가지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와, 상부 고정판(160)에서,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와 결합하여 노즐 수용홀(153) 주변에 위치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158)와, 수평 공급 냉각경로(158) 아래에서,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를 지나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과 타 측벽 사이에 제1 냄비 모양의 자취(T4)를 가지며, 노즐 수용홀(153)의 타 측부를 지나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과 타 측벽 사이에 제2 냄비 모양의 자취(T4)를 가지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156)를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국자 모양은, 도 10(a) 및 도 12를 고려해 볼 때, 상부 고정판(160)에서,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고정되어 노즐 수용홀(153)을 향해 오목하게 굽어지는 머리부와,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 또는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부 고정판(160)의 외부에 노출되는 자루부로 이루어진다. 제1 또는 제2 냄비 모양은, 도 10(a) 및 도 12를 고려해 볼 때, 상부 고정판(160)에서,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위치되어 노즐 수용홀(153)을 오목하게 둘러싸는 용기부와,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 및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부 고정판(160)의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패스 냉각경로는, 도 10(a) 및 도 12를 고려해 볼 때,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와 부분적으로 겹치고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판(160)은, 도 10(b) 및 도 13에서, 상부 고정판(160)의 노즐 수용홀(153)을 지나는 절단면에서 볼 때, 상부 고정판(160)의 내부에서, 스프루부쉬(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으로부터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를 향해 그리고 상부 고정판(160)의 타 측벽으로부터 노즐 수용홀(153)의 타 측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와,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수평 공급 냉각 경로(159)와 결합하여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부터 스프루부쉬(100)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158)와,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 아래에서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과 타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와 타 측부를 평행하게 지나고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수직 공급 냉각경로(158)를 둘러싸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156)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와 수직 공급 냉각경로(158)와 수평 패스 냉각경로(156)는, 도 10(b) 및 도 13을 고려해 볼 때, 상부 고정판(160)의 노즐 수용홀(153)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과 타 측벽 사이에서 대칭구조를 이룬다.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와 수평 패스 냉각 경로(156)는, 도 10 내지 도 13을 고려해 볼 때,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과 타 측벽을 관통하여 상부 고정판(160)의 외부를 향해 개구된다.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158)는, 도 10(b) 및 도 12 및 도 13을 고려해 볼 때, 스프루부쉬(100)와 상부 고정판(160)의 계면에서 스프루부쉬(100)를 향해 개구된다.
한편, 상기 상부 고정판(160)이, 도 10 내지 도 13을 고려해 볼 때, 상부 고정판(160)의 내부에서, 상부 고정판(160)의 일 측벽과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 사이에 그리고 상부 고정판(160)의 타 측벽과 노즐 수용홀(153)의 타 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와, 노즐 수용홀(153)의 일 측부와 타 측부에서, 수평 공급 냉각 경로(159)와 스프루부쉬(100) 사이에 위치되는 수직 공급 냉각경로(158)와, 수평 공급 냉각경로(159) 아래에서, 상부 고정판(100)의 일 측벽과 타 측벽을 이어주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156)를 가지는 때, 상기 수직 공급 냉각 경로(158)는, 도 10(b) 및 도 12 및 도 13을 고려해 볼 때, 스프루부쉬(100)와 상부 고정판(160)의 계면에서 스프루부쉬(100)의 상부 부쉬 냉각경로(96)와 마주하여 상부 부쉬 냉각경로(96)와 연통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4의 렌즈 금형 구조물의 이용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와 표와 이미지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렌즈 금형 구조물(140)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금형 구조물(14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고정판(5)과 베이스 서포트판(15)과 하부 메인 베이스(25)와 상부 메인 베이스(110)와 상부 고정판(1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메인 베이스(25)는, 하부 카세트(도면에 미도시)를 수납하고, 상기 상부 메인 베이스(110)는, 상부 카세트(70)와 카세트 보조판(80)을 순차적으로 수납한다. 상기 상부 카세트(70)와 카세트 보조판(80)는, 스프루부쉬(100)를 수용한다.
다음으로, 사출기의 사출 노즐(65)이 상부 고정판(130)을 관통하여 스프루부쉬(10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사출 노즐(65)과 스프루부쉬(100)의 접촉후, 상기 사출기는 사출 노즐(65)을 사용하여 고온 및 고압으로 스프루부쉬(100)에 수지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사출 노즐(65)은 250~300℃ 의 온도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스프루부쉬(100)의 스프루(도 15의 H2)를 통해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70) 사이의 런너와 게이트(도면에 미도시)를 순차적으로 지나 렌즈 성형 홈(도면에 미도시)에 도달된다.
상기 수지는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70)에서 스프루부쉬(100)와 런너와 게이트와 렌즈 성형 홈을 채워 렌즈 사출품(198)으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렌즈 금형 구조물(140)은 렌즈 사출품(198)에 다양한 압력을 다단계로 적용하여 스프루(H2)와 런너와 게이트와 렌즈 성형 홈에 수지 충진 환경을 양호하게 만들도록 조작된다. 이 때에, 상기 렌즈 사출품(198)의 성형 시간은 8초이다. 상기 렌즈 사출품(198)이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70)에 성형된 후, 상기 렌즈 금형 구조물(140)은 상부 고정판(130)의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와 수직 공급 냉각 경로(126) 그리고 스프루부쉬(100)의 상부 부쉬 냉각경로(96)와 하부 부쉬 냉각경로(92)를 따라 냉각 매체(M)의 흐름을 유도한다.
상기 냉각 매체(M)는, 노즐 수용홀(123) 주변에서, 도 7의 쌍 방향 자취(T2) 그리고 도 9의 꽈배기 형상과 양팔 벌린 형상을 따라 흐르고, 상부 고정판(130)의 일 측벽으로부터 타 측벽을 향해 그리고 상부 고정판(130)의 타 측벽으로부터 일 측벽을 향해 흐른다. 상기 냉각 매체(M)는 상부 고정판(130)의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와 수직 공급 냉각 경로(126) 그리고 스프루부쉬(100)의 상부 부쉬 냉각경로(96)와 하부 부쉬 냉각경로(92)에서 130~150℃ 의 온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렌즈 사출품(198)은 상부 고정판(130)의 수평 공급 냉각경로(129)와 수직 공급 냉각 경로(126) 그리고 스프루부쉬(100)의 상부 부쉬 냉각경로(96)와 하부 부쉬 냉각경로(92)에 냉각 매체(M)의 흐름 동안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70)에서 200~250℃ 의 온도를 갖는다. 이 때에, 상기 렌즈 사출품(198)의 냉각 시간은 10초이다. 상기 렌즈 사출품(198)의 성형 시간과 냉각 시간의 합, 예를 들면 개당 싸이클 타임(cycle time per each; CT/ea)은 18초이다.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비교를 위해 부연 설명하면, 종래기술로써, 도 1 내지 도3에서 렌즈 사출품(194)의 성형 시간과 냉각 시간은 9.5초와 8.5초이었다. 이에 반해서, 도 4 내지 도 9의 렌즈 사출품(198)의 성형 시간과 냉각 시간은 8초와 10초로 조정되었다.
도 4 내지 도 9의 개당 싸이클 타임(CT/ea)이 도 1 내지 도 3의 개당 싸이클 타임(CT/ea)과 동일한 시간(= 18초)이지만, 도 4 내지 도 9의 개당 싸이클 타임(CT/ea)에서 냉각시간(= 10초)은 도 1 내지 도 3의 개당 싸이클 타임(CT/ea)에서 냉각시간(= 8.5초)보다 더 길다. 한편, 상기 렌즈 사출품(198)은 도 14와 같이 16 개의 렌즈(188)를 갖는다. 개별 렌즈(188)가 양면 볼록인 때, 개별 렌즈(188)에서, 성형후 비구면 형상과 설계시 비구면 형상이 도 15에서 종래기술의 그래프들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그래프들에 비교되었다. 우선적으로, 상기 개별 렌즈(188)는 일면(S1)과 타면(S2)을 도 14와 같이 갖는다.
따라서, 상기 16 개의 렌즈(188)는 16 개의 일면(S1)과 16 개의 타면(S2)를 갖는다. 상기 16 개의 일면(S1)은 하부 카세트에 접촉되고, 상기 16 개의 타면(S2)은 상부 카세트(70)에 접촉된다. 상기 16 개의 일면(S1)은 도 14에서 렌즈 사출품(198)의 둘레를 따라 16 개의 렌즈(188)에 1-S1, 2-S1, 3-S1, ... , 15-S1 및 16-S1 의 번호를 붙여 구분될 수 있다.상기 16 개의 타면(S2)은 도 14에서 렌즈 사출품(198)의 둘레를 따라 16 개의 렌즈(188)에 1-S2, 2-S2, 3-S2, ... , 15-S2 및 16-S2 의 번호를 붙여 구분될 수 있다.
발명의 설명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 도 14 및 도 15를 고려해 볼 때, 첫번째와 다섯번째와 아홉번째와 열세번째의 렌즈(188)가 선택되었다. 상기 첫번째와 다섯번째와 아홉번째와 열세번째의 렌즈(188)는 개별 렌즈(188)에서 일면(S1) 및 타면(S2)의 조합을 고려하여 1-S1 & 1-S2, 5-S1 & 5-S2, 9-S1 & 9-S2, 그리고 13-S1 & 13-S2 에 각각 대응된다. 또한, 상기 첫번째와 다섯번째와 아홉번째와 열세번째의 렌즈(188)는 개별 렌즈(188)의 번호 순에 대응되는 그래프에 개별 렌즈(188)의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개별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또는 13-S2)는 개별 렌즈(188)의 일면(S1) 또는 타면(S2)에서 일축과 타축을 따라 비구면 측정 도구의 스캔 이동 동안 스캔 거리에 따라 나타나는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보여준다. 상기 일축과 타축은 개별 렌즈(188)의 일면(S1) 또는 타면(S2)에서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이 때에, 상기 개별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또는 13-S2)가 개별 렌즈(188)의 중심으로부터 테두리를 향해 개별 렌즈(188)의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스캔 거리에 따라 말 안장의 자취로 표현하고 있는데, 상기 말 안장의 중앙 부분은 개별 렌즈(188)의 일축과 타축에서 말 안장의 양 가장자리 대비 설계 데이터를 비교적 충실히 반영하여 평평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상기 말 안장의 양 가장자리는 개별 렌즈(188)의 일면(S1)과 타면(S2)에서 그리고 개별 렌즈(188)의 일축과 타축에서 요동친다. 상기 개별 그래프 아래에 수치는 말 안장의 양 가장자리에서 설계 데이터 대비 가장 높은 왜곡 정도를 지칭한다. 8 개의 선택된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및 13-S2)를 고려하면, 상기 개별 렌즈(188)의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는 렌즈 사출품(194) 대비 렌즈 사출품(198)에서 많이 완화되었슴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렌즈 사출품(198)의 성형시간이 렌즈 사출품(194)의 성형시간 대비 부족하더라도, 상기 렌즈 사출품(198)은 렌즈 사출품(194)보다 냉각시간을 더 늘려서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70) 사이의 캐비티에서 렌즈 사출품(194) 대비 충분히 고형화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렌즈 사출품(194)의 냉각시간에서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36)의 온도 범위는 150~250℃ 이지만, 상기 렌즈 사출품(198)의 냉각시간에서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70)의 온도 범위는 200~250℃ 이므로, 상기 렌즈 사출품(198)은 수지의 온도 특성에 맞추어서 렌즈 사출품(194) 보다 더 짧은 시간에 충분히 고형화된다.
상기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70)의 온도 범위가 200~250℃ 인 이유는 스프루부쉬(100)에 하부 및 상부 부쉬 냉각경로(92, 96)를 구비하여 스프루부쉬(100)와 상부 카세트(100)와 하부 카세트의 온도를 올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렌즈 사출품(198)과 관련되는 8 개의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및 13-S2)는 말 안장의 양 가장자리에 설계 대비 성형후 비구면 왜곡 정도를 렌즈 사출품(194)과 관련되는 8 개의 그래프(1-S1, 1-S2, 5-S1, 5-S2, 9-S1, 9-S2, 13-S1, 및 13-S2) 보다 더 작은 수치를 보여준다.
또한, 이를 증명하듯이, 도 16에서, 상기 렌즈 사출품(198)은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70)로부터 분리후 스프루부쉬(100)의 스프루(H2)를 채웠던 사출품 기둥(P2)을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형상으로 갖지 않고 곧게 세워진 형상으로 갖는다. 상기 사출품 기둥(P2)은 상부 카세트(70)에서 스프루부쉬(100)에서 충분히 고형화되어 하부 카세트와 상부 카세트(100)로부터 렌즈 사출품(198)의 분리후 중력에 저항하여 곧게 세워진다.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렌즈 사출품(198)은 스프루부쉬(100)와 상부 카세트(100)와 하부 카세트에서 렌즈 사출품(194) 대비 작은 온도 범위와 짧은 냉각시간을 통해 성형되므로 수지의 온도 특성에 맞게 개별 렌즈(188)의 양호한 형상과 사출품 기둥(P2)의 양호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사출품 기둥(P2)은 렌즈 금형 구조물(140)로부터 절단스테이지(도면에 미도시)를 향해 렌즈 사출품(198)을 옮기는 로봇 팔(도면에 미도시)에 잡히는 역할을 한다.
이 때에, 상기 로봇 팔은 사출품 기둥(P2)의 곧게 세워진 형상에 기인하여 사출품 기둥(P2)을 바로 잡아 렌즈 금형 구조물(140)로부터 절단스테이지를 향하는 이송 작업에 시간을 짧게 소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스테이지는 렌즈 사출품(198)으로부터 16 개의 렌즈(188)를 분리하는 장소이다.
92; 하부 부쉬 냉각경로, 94; 하부 스프루부쉬
96: 상부 부쉬 냉각경로, 98; 상부 스프루부쉬
100; 스프루부쉬, 123; 노즐 수용홀
126; 수직 공급 냉각경로, 129; 수평 공급 냉각경로,
130; 상부 고정판, H2; 스프루

Claims (21)

  1.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고정판과 베이스 서포트판과 하부 메인 베이스와 상부 메인 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메인 베이스에 하부 카세트를 수납하고 상기 상부 메인 베이스에 상부 카세트와 카세트 보조판을 순차적으로 수납하는 렌즈 금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상부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 보조판을 지나 상기 상부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 보조판의 적층 방향을 따라 스프루(sprue)를 둘러싸는 스프루부쉬(sprue bush); 및
    상기 상부 메인 베이스와 상기 카세트 보조판 상에서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스프루와 연통하는 노즐 수용홀을 가지는 상부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개별 측부에 하나의 그룹으로 위치되어 서로 연통하는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가지고,
    상기 스프루부쉬는,
    상기 상부 고정판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스프루부쉬의 길이 방향을 따라 'T' 자형의 원 기둥을 이루도록 하부 스프루부쉬보다 상부 스프루부쉬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하부 스프루부쉬에서 상기 스프루 주변에 하부 부쉬 냉각경로, 그리고 상기 상부 스프루부쉬에서 상기 스프루 주변애 상부 부쉬 냉각경로를 가지고,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상부 스프루부쉬에서 상기 스프루의 상기 양 측부에 양팔 벌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하부 스프루부쉬에서 상기 스프루를 따라 두 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가닥을 통해 상기 스프루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상기 스프루를 여러 번 감으면서 상기 두 개의 가닥을 엇바뀌게 꼬아가면서 서로를 감고 있는 꽈배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루의 상기 하부의 바닥에서 상기 두 개의 가닥을 연결하며 상기 스프루의 상기 상부에서 상기 두 개의 가닥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에 연결되는, 렌즈 금형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루부쉬는,
    상기 상부 카세트로부터 상기 카세트 보조판을 향해 하부 스프루부쉬와 상부 스프루부쉬를 가지고,
    상기 하부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스프루부쉬는,
    상기 상부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 보조판의 상기 적층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하부 스프루부쉬보다 상기 상부 스프루부쉬에서 더 큰 직경을 가지면서 'T' 자형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금형 구조물.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스프루부쉬의 절단면을 볼 때,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 보다 더 긴, 렌즈 금형 구조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쉬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스프루부쉬의 절단면을 볼 때,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 대비 상대적으로 더 굴곡지게 형성되는, 렌즈 금형 구조물.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을 향해 제1 국자 모양의 자취를 가지며,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을 향해 제2 국자 모양의 자취를 가지는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결합하여 상기 노즐 수용홀 주변에 위치되는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포함하는, 렌즈 금형 구조물.
  9. 제8 항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국자 모양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노즐 수용홀을 향해 오목하게 굽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 또는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에 노출되는 자루부로 이루어진, 렌즈 금형 구조물.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노즐 수용홀을 지나는 절단면에서 볼 때,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루부쉬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으로부터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를 향해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으로부터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 경로와 결합하여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부터 상기 스프루부쉬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포함하는, 렌즈 금형 구조물.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노즐 수용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서 대칭구조를 이루는, 렌즈 금형 구조물.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계면에서 상기 스프루부쉬를 향해 개구되는, 렌즈 금형 구조물.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이,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과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사이에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과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 경로와 상기 스프루부쉬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가지는 때,
    상기 수직 공급 냉각 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계면에서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마주하여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연통하는, 렌즈 금형 구조물.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평면적으로 볼 때,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을 향해 제1 국자 모양의 자취를 가지며,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로부터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을 향해 제2 국자 모양의 자취를 가지는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결합하여 상기 노즐 수용홀 주변에 위치되는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 아래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를 지나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 제1 냄비 모양의 자취를 가지며,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타 측부를 지나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 제2 냄비 모양의 자취를 가지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를 포함하는, 렌즈 금형 구조물.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국자 모양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고정되어 상기 노즐 수용홀을 향해 오목하게 굽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 또는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에 노출되는 자루부로 이루어진, 렌즈 금형 구조물.
  16. 제14 항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냄비 모양은,
    상기 상부 고정판에서,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또는 타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 수용홀을 오목하게 둘러싸는 용기부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 및 상기 타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렌즈 금형 구조물.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패스 냉각경로는,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렌즈 금형 구조물.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은,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노즐 수용홀을 지나는 절단면에서 볼 때,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루부쉬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으로부터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를 향해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으로부터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하는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 경로와 결합하여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부터 상기 스프루부쉬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 아래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를 평행하게 지나고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를 둘러싸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를 포함하는, 렌즈 금형 구조물.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패스 냉각경로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노즐 수용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 사이에서 대칭구조를 이루는, 렌즈 금형 구조물.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패스 냉각 경로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의 외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계면에서 상기 스프루부쉬를 향해 개구되는, 렌즈 금형 구조물.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이,
    상기 상부 고정판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일 측벽과 상기 노즐 수용홀의 일 측부 사이에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판의 타 측벽과 상기 노즐 수용홀의 타 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노즐 수용홀의 상기 일 측부와 상기 타 측부에서, 상기 수평 공급 냉각 경로와 상기 스프루부쉬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수직 공급 냉각경로와,
    상기 수평 공급 냉각경로 아래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의 상기 일 측벽과 상기 타 측벽을 이어주는 수평 패스 냉각경로를 가지는 때,
    상기 수직 공급 냉각 경로는,
    상기 스프루부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의 계면에서 상기 스프루부쉬의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마주하여 상기 상부 부쉬 냉각경로와 연통하는, 렌즈 금형 구조물.


KR1020210005664A 2021-01-15 2021-01-15 렌즈 금형 구조물 KR10245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64A KR102458513B1 (ko) 2021-01-15 2021-01-15 렌즈 금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64A KR102458513B1 (ko) 2021-01-15 2021-01-15 렌즈 금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836A KR20220103836A (ko) 2022-07-25
KR102458513B1 true KR102458513B1 (ko) 2022-10-26

Family

ID=8260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664A KR102458513B1 (ko) 2021-01-15 2021-01-15 렌즈 금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5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0877B2 (ja) * 1995-04-17 2001-12-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射出圧縮成形装置
JP5001289B2 (ja) * 2006-09-27 2012-08-15 日本碍子株式会社 スプルー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122A (ko) * 2015-09-03 2017-03-13 채홍삼 렌즈 제작용 사출장치
KR20190005434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세코닉스 렌즈 금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0877B2 (ja) * 1995-04-17 2001-12-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射出圧縮成形装置
JP5001289B2 (ja) * 2006-09-27 2012-08-15 日本碍子株式会社 スプルー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836A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3013B (zh) 摄像透镜单元及其制造方法
US9019637B2 (en) Plastic lens barr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640369B (zh) 光通信模块
KR102458513B1 (ko) 렌즈 금형 구조물
JPS5896785A (ja) 発光ダイオ−ドの合成樹脂レンズ成形方法
US7517207B2 (en) Injection molding device
JP3216515U (ja) 射出成形金型
US20120014001A1 (en) Optical lens unit and plastic lens forming mold and plastic lens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8000021B2 (en) Len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lens manufactured thereby
CN210702564U (zh) 一种模具
KR101548817B1 (ko) 렌즈 성형용 금형장치
CN101320786A (zh) 一种电池封装工艺及其专用模具
CN103782225B (zh) 浇铸模塑平移式多焦点接触透镜的方法
CN204790087U (zh) 新型sfp光纤结构件构架
KR101957691B1 (ko) 렌즈 금형 모듈
CN206557453U (zh) 一种应用于激光准直打点以及测距仪的玻璃非球面透镜
CN206358652U (zh) 一种防尘吸塑盒
CN208601859U (zh) 模具结构和流体回路系统
CN205652531U (zh) 一种镜片包装盒
JP5260102B2 (ja) チューブ容器成形用の金型、チューブ容器の成形方法、およびチューブ容器
KR101774804B1 (ko) 코아 조정와셔를 구비한 렌즈 금형 장치
CN205497959U (zh) 改进型圆模芯运水结构
KR102426283B1 (ko) 트랜스퍼 유닛을 갖는 핫 런너 시스템
KR101775935B1 (ko) 렌즈 금형 장치
CN215416056U (zh) 镜筒、镜头、镜头模组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