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935B1 - 렌즈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935B1
KR101775935B1 KR1020150134147A KR20150134147A KR101775935B1 KR 101775935 B1 KR101775935 B1 KR 101775935B1 KR 1020150134147 A KR1020150134147 A KR 1020150134147A KR 20150134147 A KR20150134147 A KR 20150134147A KR 101775935 B1 KR101775935 B1 KR 101775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re plate
plate
lens
upp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420A (ko
Inventor
제갈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5013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9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29C45/2606Guiding or cen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형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카세트형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스프루가 형성되며, 상하로 구동하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와의 결합에 의해 런너 및 게이트를 형성하는 하부 코아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는 상부 코아 및 상기 상부 코아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 코아 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와 하부 코아 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코아와의 결합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형으로 형성되어 일체형 카세트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금형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되어 일체형 카세트형 구조를 이루는 렌즈 금형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의 코아 구동에 의한 이젝팅 방식의 구현을 위한 장치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일정 단축에 유리하며, 구조 단순화로 장치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렌즈 금형 장치{MOLD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ENS}
본 발명은 장착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카세트형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되어 일체형 카세트형 구조를 이루는 렌즈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전화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이 증대되고 요구되는 서비스의 다양화, 예컨대 사진 촬영 또는 화상 전송 내지 통신을 하고자 하는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특히, 휴대전화 카메라의 카메라 렌즈 모듈에 있어서는 그 요구가 더욱 강해지고 있으며, 디지털 카메라 기술과 모바일폰 기술을 융합시킨 확장된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폰, 즉 소위 카메라폰(camera phone 또는 camara mobile phone)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으며, 고성능화의 요구에 따라 3메가 픽셀 이상의 촬상 소자를 가지는 카메라 렌즈 모듈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한 실정이다.
이러한 3메가 픽셀 이상의 고화질, 고성능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매 ~ 6매 정도의 렌즈를 사용하여야 하며, 다양한 종류의 수차의 제어가 가능한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렌즈의 사용의 증가에 따라, 렌즈 금형 장치를 이용한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렌즈가 제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 터닝 머신(DTM) 등의 가공장비를 이용하여 렌즈 금형 장치를 제작하고, 레진을 주입하여 사출하는 방식으로 렌즈가 제작되게 된다.
종래의 렌즈 금형 장치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10) 내부의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카세트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카세트 구조로 장착 프레임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렌즈 금형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렌즈 금형 장치(20)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21)와 하부 코아 플레이트(22)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코아(23) 및 하부 코아(24)와, 상기 상부 코아(23) 및 하부 코아(24) 사이에 형성되며 레진이 제공되는 캐비티(25)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코아가 포함된 카세트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20)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21)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2)의 결합 후, 캐비티(25) 내의 레진의 주입, 성형 및 냉각이 완료되면, 상하부 코아 플레이트(21),(22)의 분리 후 코아(23),(24)가 구동되어 코아에 의해서 성형된 렌즈를 이젝팅(ejecting)하게 된다.
이러한 코아의 구동을 위해서, 하부 코아 플레이트(22) 하부에는 이젝팅 플레이트(30)가 카셋트에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이젝팅 플레이트(30)의 작동을 위한 작동부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코아 이젝팅 구동을 위한 금형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코아의 용이한 구동을 위해서 코아 플레이트와 코아 사이에 일정한 갭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용융된 렌즈의 주입시 코아 플레이트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갭이 더욱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코아의 디센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렌즈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코아는 주로 렌즈의 형상 제조에 관여하며, 렌즈의 외경은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의 형상에 의해 좌우되게 되므로, 즉, 렌즈의 형상 및 외경이 다른 부품에 의해 가공되는 구조로,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렌즈의 형상 및 외경이 코아 및 코아 플레이트에서 결정되므로, 렌즈의 치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코아 및 코아 플레이트 전체를 교체하여야하므로, 치수 변경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진의 주입 및 냉각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가스의 배출양에 따라 렌즈의 형상이 좌우되게 되는데, 코아 구동식의 종래의 렌즈 금형 장치의 경우, 가스의 배출이 코아 및 코아 플레이트 사이, 상부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 사이(parting line)로 배출되게 되므로, 가스의 융착에 의한 오염된 가스를 제거하려면 코아를 분리하여야 하는 등, 오염 제거가 번거로우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18473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058906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5-006904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되어 일체형 카세트형 구조를 이루는 렌즈 금형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착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카세트형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스프루가 형성되며, 상하로 구동하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와의 결합에 의해 런너 및 게이트를 형성하는 하부 코아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는 상부 코아 및 상기 상부 코아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 코아 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와 하부 코아 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코아와의 결합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형으로 형성되어 일체형 카세트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금형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는, 상기 상부 코아 및 하부 코아와의 결합면에 형성되되, 렌즈 외경 성형 부위가 코아 내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 상측 및 상기 하부 코아 플레이트 하측에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및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코아 상단부 및 하부 코아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코아를 코아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루 하측부에는 센터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런너 하측부에는 이젝팅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코아 및 하부 코아를 각각 결합하기 위한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코아 수용부는, DTM 장비에 의해 동시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코아 및 하부 코아는, 무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티는, 상기 스프루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캐비티는, 12개의 캐비티 또는 16개의 캐비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되어 일체형 카세트형 구조를 이루는 것을 렌즈 금형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의 코아 구동에 의한 이젝팅 방식의 구현을 위한 장치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일정 단축에 유리하며, 구조 단순화로 장치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형 코아에 의해 코아 플레이트와 코아 사이에 갭이 필요없으므로, 코아의 틸팅(tilting)이나 디센터링(decentering) 현상이 최소화되어 렌즈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형 코아 방식에 의해 렌즈 성형시 발생하는 가스의 방출이 상부 코아 플레이트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의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따라 이루어지게 되므로, 융착된 가스의 제거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 성형을 위한 캐비티가 코아 내부에 포함되어, 렌즈의 형상 및 외경을 동일한 부품 내에서 동시 가공할 수 있으므로,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렌즈 싸이즈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코아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치수 변경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코아 방식을 구현함에 따라, 렌즈 성형부 및 런너, 게이트 부위의 이젝팅을 센터핀 및 이젝팅핀에 의해 런너 부위를 이젝팅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하여, 직접적으로 렌즈 성형부를 이젝팅하는 것에 비해,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렌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도 2 - 종래 기술에 따른 캐비티가 형성된 하부 코아 플레이트를 나타낸 모식도.
도 3 -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측면 모식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코아 플레이트를 나타낸 모식도.
도 6 -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가 형성된 하부 코아 플레이트에 대한 모식도((a)평면 절개 모식도, (b)수직 절개 입체 모식도).
도 7 -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에 대한 모식도((a)종래 기술, (b)본 발명).
도 8 -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에 대한 평면도((a)종래 기술, (b)본 발명).
도 9 -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a)종래 기술, (b)12캐비티, (c)16캐비티).
본 발명은 장착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카세트형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되어 일체형 카세트형 구조를 이루는 렌즈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코아가 코아 플레이트 상에 고정결합되어, 종래의 코아 구동에 의한 이젝팅 방식의 구현을 위한 장치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 일정 단축에 유리하며, 구조 단순화로 장치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의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코아 플레이트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코아 플레이트에 대한 모식도((a)평면 절개 모식도, (b)수직 절개 입체 모식도)이고, 도 7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에 대한 모식도((a)종래 기술, (b)본 발명)이고, 도 8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에 대한 평면도((a)종래 기술, (b)본 발명)이며, 도 9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a)종래 기술, (b)12캐비티, (c)16캐비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는, 장착 프레임(10) 내부에 삽입되는 카세트형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스프루(s)가 형성되며, 상하로 구동하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와의 결합에 의해 런너(r) 및 게이트(g)를 형성하는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에 고정결합되는 상부 코아(300) 및 상기 상부 코아(300)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와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코아(300)와의 결합면에 캐비티(c)를 형성하는 하부 코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형으로 형성되어 일체형 카세트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렌즈 금형 장치를 이용한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렌즈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 터닝 머신(DTM) 등의 가공장비를 이용하여 렌즈 금형 장치를 제작하고, 레진을 주입하여 사출하는 방식으로 렌즈가 제작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금형 장치는 장착 프레임(10) 내부의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카세트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렌즈 금형 장치가 일체형 카세트 형태로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10)은 다수개의 연결블록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측 중앙부로는 스프루 부시가 설치되고, 용융된 레진은 스프루(s)를 통과하여 런너(r), 게이트(g)를 통과하여 캐비티(c)에 도달하게 된다. 장착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연결블록 내부는 렌즈 금형 장치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고온의 열매체가 순환되도록 복수개의 유로(미도시)가 형성된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 프레임(10) 내부에 수용결합되는 카세트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는 장착 프레임(10) 중앙부위에 삽입결합되는 카세트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 상부 코아(300) 및 하부 코아(400)로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서포트(support) 플레이트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는 중심부에 스프루(sprue)(s)가 형성되고, 상하로 구동되도록 형성되며,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는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의 상하 구동에 의해 캐비티(c)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이 구현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결합면이 금형에 있어서, 파팅 라인(parting line)이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는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와의 결합에 의해 런너(r) 및 게이트(g)를 형상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는 고정 금형 형태로 구현되고,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는 구동 금형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런너(r), 게이트(g) 및 레진 주입을 위한 캐비티(c)가 밀폐되게 형성된다.
각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 4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정위치에서 결합되게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프루(s)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런너(r) 및 게이트(g) 부위가 형성되고, 코아가 삽입결합될 코아 수용부(900)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사형으로 형성된 코아 수용부(900)에는 코아가 고정형으로 삽입결합되게 되며,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네 모서리에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와의 정위치 결합을 위한 가이드핀이 결합될 통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캐비티(c)는 공간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래의 배열 형태에 비해 많은 수의 캐비티(c)를 구현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복잡한 금형 구조에 의해 8캐비티(도 9(a))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같은 크기의 카세트 구조에 있어서 12캐비티(도 9(b), 도 9(c))로 구현할 수 있다.
도 6(a)는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에 대한 평면 절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수직 절개 입체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 하측부에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60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코아(300)는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의 코아 수용부(90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부 코아(400)는 상기 상부 코아(300)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코아 수용부(900)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와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코아(300)와의 결합면에 캐비티(c)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결합에 의해 이에 고정결합된 상부 코아(300) 및 하부 코아(400)도 결합되게 되며, 상부 코아(300)의 하단면 및 하부 코아(400)의 상단면의 형상에 의해 렌즈 성형을 위한 캐비티(c)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캐비티(c)는, 상기 상부 코아(300) 및 하부 코아(400)와의 결합면에 형성되되, 렌즈 외경 성형 부위가 코아 내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코아는 주로 렌즈의 형상 제조에 관여하며, 렌즈의 외경은 코아를 둘러싸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게 되므로, 렌즈의 형상 및 외경이 코아 및 플레이트와 같이 각 다른 부품에 의해 가공되는 구조로,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코아 내부에 캐비티(c)가 완전히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코아 내부에서 렌즈의 형상뿐만 아니라 외경까지 동시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렌즈 싸이즈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종래에는 코아 및 플레이트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코아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치수 변경이 용이하며, 비용을 절감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상측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 하측에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500) 및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600)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 코아(300) 상단부 및 하부 코아(400)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형성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상측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 하측에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500) 및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600)가 각각 형성되며, 코아 수용부(900)에 각 수용결합된 상부 코아(300)의 상단부 및 하부 코아(400)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코아를 코아 플레이트에 고정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코아의 단부와 나사결합되어 코아 및 코아 플레이트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고,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서포트 플레이트, 코아 플레이트 및 코아가 일체형 카세트 구조를 이루어, 장착 프레임(10) 내부의 수용부(11)에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카세트 구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코아가 플레이트 상에 고정결합되어 종래의 코아 구동에 의한 이젝팅 방식의 구현을 위한 장치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 일정 단축에 유리하며, 구조 단순화로 장치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종래 기술(a) 및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b)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코아가 포함된 카세트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결합 후, 캐비티(c) 내의 레진의 주입, 성형 및 냉각이 완료되면, 상하부 코아 플레이트(200),(300)의 분리 후 코아가 구동되어 코아에 의해서 성형된 렌즈를 이젝팅(ejecting)하게 된다.
이러한 코아의 구동을 위해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 플레이트 하부에는 이젝팅 플레이트가 카셋트에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이젝팅 플레이트의 작동을 위한 작동부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코아 이젝팅 구동을 위한 금형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코아의 용이한 구동을 위해서 코아 플레이트와 코아 사이에 일정한 갭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용융된 렌즈의 주입시 코아 플레이트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갭이 더욱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코아의 디센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렌즈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금형 장치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아 구동 방식이 아닌 코아가 코아 플레이트 상에 고정결합되어, 종래의 코아 구동에 의한 이젝팅 방식의 구현을 위한 장치가 필요없게 되어 구조 단순화로 장치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형 코아에 의해 코아 플레이트와 코아 사이에 갭이 필요없으므로, 코아의 틸팅(tilting)이나 디센터링(decentering) 현상이 최소화되어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렌즈 성형시 발생하는 가스의 방출이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의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따라서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융착된 가스의 제거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이젝팅을 위해서는 상기 스프루(s) 하측부에 형성된 센터핀(700) 및 상기 런너(r) 하측부에 형성된 이젝팅핀(800)에 의해서 구현되게 된다. 상기 센터핀(700)은 스프루(s) 하측부에 형성되어, 성형된 렌즈 부위가 코아 플레이트의 분리에 의해 딸려 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이젝팅핀(800)은 성형된 렌즈를 포함하는 런너(r) 및 게이트(g)를 코아로부터 밀어내어 이젝팅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정형 코아 방식을 구현함에 따라, 렌즈 성형부 및 런너(r), 게이트(g) 부위의 이젝팅을 센터핀(700) 및 이젝팅핀(800)에 의해 런너(r) 부위를 이젝팅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하여, 직접적으로 렌즈 성형부를 이젝팅하는 것에 비해,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렌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코아 방식은 플레이트와 고정결합되어, 일체형 카세트 구조를 이루며, 이에 의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의 단순화로, 캐비티(c)의 공간적 배열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캐비티(c)의 배열을 방사형으로 구현할 수 있어, 종래의 배열 형태(도 8(a), 도 9(a))에 비해 많은 수의 캐비티(c)를 구현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 코아(300) 및 하부 코아(400)를 각각 결합하기 위한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코아 수용부(900)는, 다이아몬드 터닝 머신(DTM) 장비에 의해 동시가공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킨 후, 코아 수용부(900)의 형성을 위해 상부 코아 플레이트(100) 상측부에서 하부 코아 플레이트(200) 하측부까지 동시 가공을 수행하여, 설계 오차를 최소화하고, 코아의 센터링이 잘 맞추어지도록 하여, 정밀한 렌즈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코아 수용부(900)에 수용되는 코아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무단 구조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며, 이에 따른 코아 플레이트의 제작이 용이하며, 코아-코아 수용부(코아-홀) 구조의 단순화로 가공과 정밀도가 더욱 상승되게 되며, 이에 따라 가공시간을 단축시키고, 코아 외경에 대한 표준화로 재고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착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카세트형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되어 일체형 카세트형 구조를 이루는 렌즈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코아가 코아 플레이트 상에 고정결합되어, 종래의 코아 구동에 의한 이젝팅 방식의 구현을 위한 장치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 일정 단축에 유리하며, 구조 단순화로 장치에 대한 높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형 코아에 의해 코아 플레이트와 코아 사이에 갭이 필요없으므로, 코아의 틸팅(tilting)이나 디센터링(decentering) 현상이 최소화되어 렌즈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고정형 코아 방식에 의해 렌즈 성형시 발생하는 가스의 방출이 상부 코아 플레이트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의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따라 이루어지게 되므로, 융착된 가스의 제거가 용이하여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또한, 렌즈 성형을 위한 캐비티가 코아 내부에 포함되어, 렌즈의 형상 및 외경을 동일한 부품 내에서 동시 가공할 수 있으므로,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렌즈 싸이즈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코아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치수 변경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형 코아 방식을 구현함에 따라, 렌즈 성형부 및 런너, 게이트 부위의 이젝팅을 센터핀 및 이젝팅핀에 의해 런너 부위를 이젝팅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하여, 직접적으로 렌즈 성형부를 이젝팅하는 것에 비해,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렌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렌즈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10 : 장착 프레임 11 : 수용부
100 : 상부 코아 플레이트 200 : 하부 코아 플레이트
300 : 상부 코아 400 : 하부 코아
500 :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600 :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
700 : 센터핀 800 : 이젝팅핀
900 : 코아 수용부
c : 캐비티 s : 스프루
r : 런너 g : 게이트

Claims (9)

  1. 장착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카세트형 구조의 렌즈 금형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스프루가 형성되며, 상하로 구동하는 상부 코아 플레이트;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와의 결합에 의해 런너 및 게이트를 형성하는 하부 코아 플레이트;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는 상부 코아; 및
    상기 상부 코아에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하부 코아 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와 하부 코아 플레이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코아와의 결합면에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코아 플레이트에 코아가 고정형으로 형성되어 일체형 카세트 구조를 이루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상부 코아 및 하부 코아와의 결합면에 형성되되, 렌즈 외경 성형 부위가 코아 내부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렌즈 성형부, 런너 및 게이트 부위의 이젝팅은 상기 스프루 하측부에 형성된 센터핀과 상기 런너 하측부에 형성된 이젝팅핀에 의해 런너 부위를 이젝팅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금형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 상측 및 상기 하부 코아 플레이트 하측에는 상부 서포트 플레이트 및 하부 서포트 플레이트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코아 상단부 및 하부 코아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코아를 코아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금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아 및 하부 코아를 각각 결합하기 위한 상기 상부 코아 플레이트 및 하부 코아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코아 수용부는, DTM 장비에 의해 동시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금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아 및 하부 코아는,
    무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금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상기 스프루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금형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12개의 캐비티 또는 16개의 캐비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금형 장치.
KR1020150134147A 2015-09-22 2015-09-22 렌즈 금형 장치 KR101775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47A KR101775935B1 (ko) 2015-09-22 2015-09-22 렌즈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147A KR101775935B1 (ko) 2015-09-22 2015-09-22 렌즈 금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20A KR20170035420A (ko) 2017-03-31
KR101775935B1 true KR101775935B1 (ko) 2017-09-08

Family

ID=5850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147A KR101775935B1 (ko) 2015-09-22 2015-09-22 렌즈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7304B (zh) * 2018-10-25 2020-03-11 均賀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鏡片塑膠射出成型模具結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789A (ja) * 2004-12-27 2006-07-13 Pentax Corp 樹脂レンズの成形型
KR101313815B1 (ko) * 2013-01-31 2013-09-30 (주)옵토라인 방사형 런너 구조를 가지는 렌즈금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056B1 (ko) 2013-11-21 2015-10-06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성형용 금형장치
KR101548817B1 (ko) 2013-11-25 2015-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성형용 금형장치
KR101418473B1 (ko) 2014-02-06 2014-07-22 나노몰텍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성형용 금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789A (ja) * 2004-12-27 2006-07-13 Pentax Corp 樹脂レンズの成形型
KR101313815B1 (ko) * 2013-01-31 2013-09-30 (주)옵토라인 방사형 런너 구조를 가지는 렌즈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20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30272B (zh) 塑胶镜筒、相机模块及电子装置
EP1734015A2 (en) Optical element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154934U (ja) 組合わせレンズモジュールのレンズホルダー
TW201516514A (zh) 塑膠鏡筒
US7517207B2 (en) Injection molding device
JP2014202906A (ja) モールドレンズのレンズユニット構造とモールドレンズの成形型
JP2007022905A (ja) 光学素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光学素子デバイス、および成形装置
KR101030395B1 (ko) 광학유리렌즈세트의 제조방법
JP2008155577A (ja) レンズ成形用金型およびレンズの製造方法
KR20190005434A (ko) 렌즈 금형 장치
KR101775935B1 (ko) 렌즈 금형 장치
KR101558056B1 (ko) 렌즈 성형용 금형장치
KR101822565B1 (ko) 핫 러너를 적용한 렌즈용 사출 성형품
KR101774804B1 (ko) 코아 조정와셔를 구비한 렌즈 금형 장치
KR101774822B1 (ko) 테이퍼핀이 구비된 렌즈 금형 장치
KR101673207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컷팅 블록 및 게이트 컷팅 장치
KR101548817B1 (ko) 렌즈 성형용 금형장치
US7402032B2 (en) Mold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mold apparatus
KR100636804B1 (ko) 휴대폰의 이형부재 조립품 제조방법
JP2008230005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形方法およびレンズプリフォーム
JPH03230920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プラスチックレンズ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製造用金型
US10882234B2 (en) Mold
JP2010089390A (ja) 成形金型
KR200311738Y1 (ko) 페룰 제조용 금형
KR101354831B1 (ko) 렌즈 사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