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165B1 - Pcb 검사용 지그 - Google Patents

Pcb 검사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165B1
KR102458165B1 KR1020200119383A KR20200119383A KR102458165B1 KR 102458165 B1 KR102458165 B1 KR 102458165B1 KR 1020200119383 A KR1020200119383 A KR 1020200119383A KR 20200119383 A KR20200119383 A KR 20200119383A KR 102458165 B1 KR102458165 B1 KR 10245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pcb
jig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783A (ko
Inventor
황진호
윤동영
이선수
이종곤
Original Assignee
일본전산리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본전산리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본전산리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16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4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using dedicated test connectors, test elements or test circuits on the IC under te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9Interfaces, e.g. between probe and te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B 검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하부 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홀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부 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홀에 배치되고, 도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재와, 상기 상부 홀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프링 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PCB의 접점과 접속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지그유닛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PCB 검사용 지그 {Jig for PCB inspection}
본 발명은 PCB 검사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printed circuit board)란 전기 절연성 기판에 구리와 같은 전도성 재료로 회로 라인 패턴(line pattern)을 형성시킨 것으로 전자부품을 탑재하기 직전의 기판을 말하며, PCB 어셈블리란 PCB 기판의 용도에 적합한 전자 소자가 결합된 PCB를 말한다.
PCB는 기판 재료의 종류에 따라, 페놀과 에폭시로 제작되는 리지드(rigid) PCB와 폴리이미드(polyimid)와 같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플렉서블(flexible) PCB로 나뉜다.
한편,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전자 장치가 대중화되면서, 회로 특성이 안정화되고 소형 및 경량화된 PCB가 개인 휴대용 전자장치의 메인기판으로 사용되며, 특히 FPCB는 폴더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굴곡부위의 회로로 사용된다.
이러한 PCB는 패턴에 의한 회로를 형성한 후 완성된 패턴이 정상적으로 제작되었는지 검사하는 전기적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전기적 검사는 테스트 설비를 활용하여 회로의 시작과 끝 부분에서 저항을 측정하여 회로의 끊어짐(Open) 또는 회로 붙음(Short) 등을 검사하는 것으로, 테스트 설비에는 PCB를 탑재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검사용 지그가 사용되며, 이 검사용 지그는 다층으로 판이 이루어져 PCB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다수의 검사용 핀이 삽입되어 테스트 설비와 PCB간을 연결하여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PCB 검사용 지그는 복수의 플레이트(1,2,3,4,5)를 포함하고, 복수의 플레이트(1,2,3,4,5)는 종방향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2,3,4,5)에는 서로 연통하는 홀이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에는, 플런저 조립체(6,7,8,9)가 수용된다.
상기 플런저 조립체(6,7,8,9)는 상기 홀에 수용되고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파이프(6)와, 상기 파이프(6)의 내측에 수용되는 스프링(7)과, 상기 스프링(7)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플런저(8)와 상기 스프링(7)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플런저(9)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런저(8)는 하단이 상기 파이프(6)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7)의 상단과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플런저(8)의 상단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2,3,4,5) 중 최상단에 위치한 플레이트(1)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2플런저(9)는 상단에 상기 파이프(6)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7)의 하단과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플런저(9)의 하단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2,3,4,5) 중 최하단에 위치한 플레이트(5)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노출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3,4,5) 중 최하단에 위치한 플레이트(5)의 하측에는 베이스(10)가 배치되고, 상기 제2플런저(9)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단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플런저 조립체(6,7,8,9)가 하나의 몸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2,3,4,5)에 조립된다.
따라서, 조립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과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품의 개수가 증가되면서,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이 증가되고, 필요한 플레이트의 수가 증가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파이프(6)의 구성으로, 플런저 조립체(6,7,8,9)의 외경이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의 상측으로 노출된 플런저(8) 간의 거리가 증가되어, 피치(pitch)가 증가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한국등록특허 10-05514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2개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한 PCB 검사용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 구조의 스프링 부재와 플런저를 구비한 PCB 검사용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플런저 간의 피치를 줄일 수 있는 PCB 검사용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 2개의 플레이트와, 스프링 부재와 플런저의 조립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는 PCB 검사용 지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최소 2개의 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 및 플런저로 구성된다.
또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하부 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홀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부 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홀에 배치되고, 도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재와, 상기 상부 홀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프링 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PCB의 접점과 접속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지그유닛을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홀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직경을 갖는 제1홀과, 상기 제1홀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단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는, 상기 제2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제1홀에 배치되는 확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홀은 상기 제2홀과 동일한 제2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외경이 작아지면서 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는 PCB의 접점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압축할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홀의 하단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하단은 테스터(tester)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각각 복수의 하부 홀과 복수의 상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하부 홀에는 스프링 부재가 배치되고, 각각의 상부홀에는 플런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PCB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PCB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PCB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PCB와 이격된 제1위치에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PCB와 접촉하는 제2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PCB와 상기 플런저의 접촉 시, 상기 스프링 부재가 압축되면서, 상기 플런저는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테스터(tester)와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wire)를 갖는 전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홀은 제3직경을 갖고, 상기 하부홀은 상기 제3직경을 보다 큰 제4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는, 상기 제3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하부홀에 배치되는 확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압축하려는 힘에 저항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와 고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에서,상기 하부 프레이트의 하부 홀에 상기 스프링 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상부 홀에 플런저를 삽입한 뒤,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일체형 대비, 플레이트 장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 공정이 간편하며, 파인 피치(fine pitch)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조립 과정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2개의 플레이트(100,200)와, 하나의 스프링 부재(300) 및 플런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우, 종래 대비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또한, 필요한 부품수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단 2개의 플레이트로 검사용 지그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플런저(400)와 스프링 부재(300)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조립 과정이 쉽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작 비용 및 제작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구성을 생략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측으로 노출된 플런저(400) 간의 거리가 감소되어, 피치(pitch)를 좁힐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는, 지그유닛(3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상기 지그유닛(30)은 PCB(20)의 상측에만 배치될 수 있고, 하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유닛(30)은 PCB(20)의 상측과 하측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그유닛(30)의 플레이트(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플런저(400)는 PCB(2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그유닛(30)이 PCB(20)의 하측에 배치된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지그유닛(30)이 PCB(20)의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상부 플레이트(100)가 배치되고,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측으로 플런저(400)가 노출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300)는 플런저(400)의 하측에 배치된다.
다른 예로, 지그유닛(30)이 PCB(20)의 상측에 배치되면, 하부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상부 플레이트(100)가 배치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측으로 플런저(400)가 노출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300)는 플런저(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그유닛(30)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하부 홀(210)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하부 홀(210)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부 홀(110)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유닛(30)은 상기 하부 홀(210)에 배치되고, 도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재(300)와, 상기 상부 홀(110)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프링 부재(30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PCB(20)의 접점과 접속하는 플런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런저(400)의 하부는 상기 상부홀(110)은 물론 하부홀(210)의 상측에도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300)의 상부는 하부홀(210)은 물론 상부 홀(110)의 하측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홀(110)은,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홀(11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직경을 갖는 제1홀(111)과, 상기 제1홀(111)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단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홀(111)은 일정한 제1직경을 갖고, 제2홀(112)은 일정한 제2직경을 갖는다.
상기의 경우, 상기 제1홀(111)과 제2홀(112)은 상기 상부홀(110)을 형성한다.
상기 제1홀(111)과 제2홀(112) 사이에는 서로의 직경 차이에 의해서, 단턱부(1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400)의 하단에는, 상기 제2홀(112)의 제2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제1홀(111)에 배치되는 확장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20)의 외경은, 상기 제1홀(111)의 제1직경보다 작거나, 상기 제1홀(111)의 제1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부(120)는 제1홀(111) 내부에서 승강동작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단턱부(120)는 상기 플런저(400)의 확장부(420)가 걸리면서, 플런저(40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홀(210)은 상기 제2홀(112)과 동일한 제2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홀(210)은 상기 제2홀(112) 보다 큰 직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400)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외경이 작아지면서 첨단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410)는 PCB(20)의 접점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첨단부(410)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거나, 상측으로 뾰족한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상기 첨단부(410)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첨단부(410)는, 적어도 일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300)는 압축할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400)가 PCB(20)의 접점과 접촉하기 전, 상기 스프링 부재(300)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플런저(400)의 상측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부로 최대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400)는 상기 확장부(420)가 단턱부(120)에 걸리면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그유닛(3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플런저(400)가 PCB(20)의 접점과 접촉하면, 플런저(400)가 눌리면서, 스프링 부재(300)는 압축하고, 스프링 부재(300)가 밀어내는 힘에 의해, 플런저(400)는 PCB(20)의 접점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는 상기 하부 홀(210)의 하단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220, 도 5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20, 도 5참조)에 정의된 홀(230, 도 5 참조)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 부재(300)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부재(300)의 상단은 상기 플런저(400)에 접촉 지지되고, 스프링 부재(300)의 하단은 상기 이탈방지돌기(220, 도 5참조)에 접촉 지지되어 스프링 부재(300)는 하부홀(210)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300)의 하단은 와이어(500)와 접촉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부재(300)의 하단은 와이어(500) 등을 통해서, 테스터(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터(40)에서 검사신호(출력신호)를 출력하면, 와이어(500)를 통해, 해당 신호가 스프링 부재(300)와 플런저(400)를 통해서, PCB(20)의 접점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PCB(20)를 통과한 신호는 다시, 다른 위치의 플런저(400)와 스프링 부재(300)를 통해 출력된 후, 와이어(500)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테스터(40)로 입력되거나,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테스터(40)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비교하거나, 입력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PCB(20)의 결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부재(300)는 상기 플런저(400)가 가압되면 압축되고, 플런저(400)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400)의 첨단부(410)는 상기 PCB(20)의 접점의 높이에 대응하며, 하강할 수 있고, 상기 PCB(20)의 접점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300)는 도체로 이루어져 상기 플런저(400)와 와이어(500) 또는 테스터(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는 각각 복수의 하부 홀(210)과 복수의 상부 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하부 홀(210)에는 스프링 부재(300)가 배치되고, 각각의 상부홀(110)에는 플런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CB(20)에는 복수의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에는 상기 PCB(20)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과 대응하여, 각각 복수의 하부 홀(210)과 복수의 상부 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하부 홀(210)에는 스프링 부재(300)가 배치되고, 각각의 상부홀(110)에는 플런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PCB(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유닛(30)은 상기 PCB(2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PCB(20)의 상부화 하부에 배치된 플런저(400)는 첨단부(41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CB(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B(20)의 상부화 하부에 배치된 지그유닛(30)에는, 상기 PCB(2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접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플런저(4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PCB(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그유닛(30)은 상기 PCB(20)와 이격된 제1위치에서, 상기 플런저(400)가 상기 PCB(20)의 접점과 접촉할 수 있는 제2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PCB(20)와 상기 플런저(400)의 접촉 시, 상기 스프링 부재(300)가 압축되면서, 상기 플런저(400)는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테스터(40)와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500)를 갖는 전극부(6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홀(110)은 제3직경을 갖고, 상기 하부홀(210)은 상기 제3직경을 보다 큰 제4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400)의 하단에는, 상기 제3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하부홀(210)에 배치되는 확장부(42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런저(400)의 확장부(420)는 상기 하부홀(210) 내부에서만 승강동작하고, 확장부(420)의 상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하단에 의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400)의 전체 길이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그유닛(30)은, 헤드부(100,200,300,400)와, 전극부(500,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00,200,300,400)는 전술한, 상부 플레이트(100), 하부 플레이트(200), 스프링 부재(300), 플런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를 체결하는 복수의 제1체결부재(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71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하측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500,600)는 상기 헤드부(100,200,300,400)가 안착되는 전극 플레이트(610) 및 상기 전극 플레이트(610)가 안착되는 스페이서(6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플레이트(610)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300)와 접촉하는 위치에, 와이어(500)의 일부가 노출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가 상기 전극 플레이트(610)의 상측에 안착되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300)의 하단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6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와이어(500)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를 상기 전극 플레이트(610) 및 스페이서(620)와 체결하는 제2체결부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7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플레이트(610)이 상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재(710)의 일부가 수용되는 오목홈(611)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조립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부 플레이트(100)에는 상부 홀(110)이 형성된 상태이고, 하부 플레이트(200)에는 하부홀(210)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a)와 같이, 상부 홀(11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플런저(400)를 끼운다.
이때, 플런저(400)의 확장부(420)는 상부 홀(110)에 형성된 단턱부(120)에 걸리면서, 플런저(400)의 상방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홀(21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스프링 부재(300)를 끼운다.
이때, 상기 스프링 부재(300)는 상기 하부홀(210)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20)에 의해 하부홀(210)의 하방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하부홀(21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b)와 같이 스프링 부재(300)의 상단에 플런저(400)의 하단이 위치되게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를 적층하고, 상부 플레이트(100)와 하부 플레이트(200)를 체결하여, 지그 유닛(30)을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그유닛(30)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부 플레이트(100)가 분리된 상태에서,상기 하부 프레이트(200)의 하부 홀(210)에 상기 스프링 부재(300)를 삽입하고, 상부 플레이트(100)의 상부 홀(110)에 플런저(400)를 삽입한 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0)를 적층하고, 조립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PCB 검사용 지그에 포함된 스프링 부재(300)는, 신축 작용을 하는 탄성부(310)와, 상기 탄성부(310)의 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320,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10)와 고정부(320,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10)의 내경은 상기 고정부(320,33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310)의 외경은 상기 고정부(320,3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310)는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을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탄성부(310)는 압축하려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고정부(320,330)는 이러한 탄성을 구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320,330)는 압축하려는 힘에 대해 변형되지 않고, 원래 형상을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320,330)는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부(310)의 하측에 고정부(330)가 구비되면, 상기 고정부(330)는 이탈방지돌기(220)에 의해 정의된 홀(230)의 외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3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하부로 노출되어, 와이어(500)와 접속이 용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부(320,330)의 외경은, 상기 이탈방지돌기(220)에 의해 정의된 홀(230)의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310)의 상측에도 동일하게 고정부(320)가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부(310)의 신축 방향이 뒤틀리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31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부(320)는 탄성부(310)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부(320)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31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부(320)는 상기 플런저(400)의 하단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 유닛(30)의 형성을 위해서, 총 2장의 플레이트(100,200)만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 효과가 크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런저(400)와 스프링 부재(300)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종래 상부,하부 플런저와 스프링을 파이프와 조립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조립시간 및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 상부,하부 플런저와 스프링을 커버하는 파이프를 생략하여, 플런저 간의 피치를 좁힐 수 있다.
또한, 플런저와 스프링핀의 길이가 짧고 단순해 자동화 조립이 가능한 이점도 있다.
100 : 상부 플레이트
200 : 하부 플레이트
300 : 스프링 부재
400 : 플런저

Claims (10)

  1. PCB 검사용 지그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하부 홀을 형성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홀과 연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상부 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홀에 배치되고, 도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재;
    상기 상부 홀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프링 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PCB의 접점과 접속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지그유닛을 적어도 하나 구비하되,
    상기 지그유닛은, 헤드부와, 전극부와,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기 스프링 부재, 상기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재는 복수 구비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하측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체결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헤드부가 안착되는 전극 플레이트 및 상기 전극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와 접촉하는 위치에, 와이어의 일부가 노출되게 고정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수용된 스프링 부재의 하단은, 상기 전극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노출된 와이어의 상단과 접촉하며,
    상기 제2체결부재는 복수 구비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상기 전극 플레이트 및 스페이서에 상측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체결하는 PCB 검사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직경을 갖는 제1홀;
    상기 제1홀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단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제2홀을 포함하는 PCB 검사용 지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하단에는, 상기 제2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제1홀에 배치되는 확장부를 형성하는 PCB 검사용 지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외경이 작아지면서 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는 PCB의 접점과 접속하는 PCB 검사용 지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압축할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PCB 검사용 지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홀의 하단 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는 PCB 검사용 지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는 각각 복수의 하부 홀과 복수의 상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하부 홀에는 스프링 부재가 배치되고, 각각의 상부홀에는 플런저가 배치되는 PCB 검사용 지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압축하려는 힘에 저항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PCB 검사용 지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고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되는 PCB 검사용 지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유닛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 홀에 상기 스프링 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상부 홀에 플런저를 삽입한 뒤,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구비되는 PCB 검사용 지그.

KR1020200119383A 2020-09-16 2020-09-16 Pcb 검사용 지그 KR10245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383A KR102458165B1 (ko) 2020-09-16 2020-09-16 Pcb 검사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383A KR102458165B1 (ko) 2020-09-16 2020-09-16 Pcb 검사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83A KR20220036783A (ko) 2022-03-23
KR102458165B1 true KR102458165B1 (ko) 2022-10-25

Family

ID=8096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383A KR102458165B1 (ko) 2020-09-16 2020-09-16 Pcb 검사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473B1 (ko) * 2020-12-17 2023-12-12 니덱어드밴스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cb 검사용 지그
KR102587516B1 (ko) * 2023-05-18 2023-10-11 주식회사 티에스이 테스트 소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925B1 (ko) * 2005-02-22 2006-05-23 (주)티아이에스코리아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검사용 지그
KR100679663B1 (ko) * 2005-10-31 2007-02-06 (주)티에스이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소켓
JP2011089930A (ja) 2009-10-23 2011-05-06 Yokowo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446B1 (ko) 2005-10-25 2006-02-10 주식회사 써밋트시스템 피시비 기판의 전기적 검사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925B1 (ko) * 2005-02-22 2006-05-23 (주)티아이에스코리아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검사용 지그
KR100679663B1 (ko) * 2005-10-31 2007-02-06 (주)티에스이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 소켓
JP2011089930A (ja) 2009-10-23 2011-05-06 Yokowo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83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9774B2 (en) Probe pin and an IC socket with the same
US6821131B2 (en) IC socket for a fine pitch IC package
US7626408B1 (en) Electrical spring probe
US6902410B2 (en) Contact unit and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20060003625A1 (en) Probe car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2458165B1 (ko) Pcb 검사용 지그
US20080180125A1 (en) Contact Probe And Socket For Testing Semiconductor Chips
KR101307365B1 (ko)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KR20080056978A (ko) 반도체 테스트 장치용 포고핀
JP6892277B2 (ja) プローブ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20110071070A (ko) 전자 소자 소켓
KR102232789B1 (ko) 멀티-레이어 mems 스프링 핀
US7535241B2 (en) Test probe with hollow tubular contact with bullet-nosed configuration at one end and crimped configuration on other end
KR101013986B1 (ko) 테스트 소켓
KR20090077991A (ko) 전도성 러버 핀을 이용한 소켓
KR101369406B1 (ko) 탐침 구조물 및 이를 갖는 전기적 검사 장치
US11162979B2 (en) Plate spring-type connecting pin
JP2003178848A (ja) 半導体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KR20230067769A (ko) 테스트 소켓
KR102158027B1 (ko) 중공형 테스트 핀
KR20220036784A (ko) Pcb 검사용 지그
KR102612473B1 (ko) Pcb 검사용 지그
KR200345500Y1 (ko) 검사용 탐침장치
KR102587516B1 (ko) 테스트 소켓
KR100293243B1 (ko) 반도체소자검사용소켓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