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744B1 -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744B1
KR102457744B1 KR1020220001791A KR20220001791A KR102457744B1 KR 102457744 B1 KR102457744 B1 KR 102457744B1 KR 1020220001791 A KR1020220001791 A KR 1020220001791A KR 20220001791 A KR20220001791 A KR 20220001791A KR 102457744 B1 KR102457744 B1 KR 10245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glass plate
film layer
wire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김준기
이태은
노청민
조근식
이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22000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744B1/ko
Priority to KR1020220054383A priority patent/KR20230106483A/ko
Priority to US17/835,449 priority patent/US2023021159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744B1/ko
Priority to PCT/KR2022/017821 priority patent/WO202313246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3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4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 B26D1/5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with a plurality of band-kniv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54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02Precutting and tensioning or bre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15Electronic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8Cutting members therefor in the form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1Pretreating the materials before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44Cutting wires, e.g. vibrating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패널 분해장치가 제공된다. 태양광패널 분해장치는, 태양광패널의 유리판과, 유리판에 접합된 필름층을 서로 분리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에 있어서, 유리판과 필름층의 접합선이 상방과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태양광패널을 세워서 고정하고, 태양광패널을 유리판과 필름층의 접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공급모듈, 및 태양광패널의 이동방향 전방에 공급모듈과 이격되고 접합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유리판과 필름층을 분리하는 와이어형 절단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패널 분해장치{Solar panel disassemb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형 절단날로 양면형 및 단면형 태양광패널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패널은 태양광 발전에서 핵심이 되는 장비이다. 태양광패널은 태양광셀이 집적된 필름층이 유리판과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근래에는 필름층의 양면에 유리판이 접합된 양면형 태양광패널도 제작되고 있다.
태양광발전은 개발 이후 효율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기 때문에, 현재에도 태양광 발전시설은 다수 설치되고 있다. 기존의 발전시설이 적용되기 어려운 지역이나 공해에 민감한 청정지역 등 다양한 지역에 태양광 발전시설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시설도, 태양광셀의 수명이 다하면 교체하거나 폐기하여야 하는 관리상의 문제는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노후 태양광패널들이 폐기 처리되지만, 유리판과 필름층이 적층된 구조 때문에 처리과정은 복잡하다.
특히, 자원활용 측면에서 태양광패널의 유리판을 파쇄하지 않고 분해하는 처리방식이 요구되나, 종래 스크래퍼 등으로 유리판에 접합되어 있는 필름층을 말끔하게 제거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양면형 태양광패널의 경우 양면의 유리판을 모두 분해해야 하므로 더욱 가중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은 아직 적절히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기술적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91346호, (2020. 03. 1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형 절단날로 양면형 및 단면형 태양광패널을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는, 태양광패널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에 접합된 필름층을 서로 분리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의 접합선이 상방과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태양광패널을 세워서 고정하고, 상기 태양광패널을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의 접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공급모듈; 및 상기 태양광패널의 이동방향 전방에 상기 공급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접합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을 분리하는 와이어형 절단날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의 하중이 상기 접합면에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태양광패널을 파지하여 평행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필름층의 양면에 한 쌍의 유리판이 접합된 양면형 패널이고,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이중날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유리판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하중이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로 집중되도록 상기 태양광패널의 모서리를 지지하며 평행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어 상기 태양광패널과 접촉하는 동안 접촉면적이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접합면은 중력방향과 평행하되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은 중력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접합면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이 모두 중력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접합면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이 모두 중력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태양광패널의 상기 유리판 측이 상기 필름층에 대해 중력 상방에 배치되어 절단된 상기 필름층을 자중에 의해 상기 유리판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일 모서리를 파지하여 상기 태양광패널을 고정시키는 제1파지수단, 및 상기 제1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태양광패널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태양광패널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외면을 파지하여 상기 태양광패널을 고정시키는 제2파지수단, 및 상기 제2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태양광패널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태양광패널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패널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을 향하는 모서리 및 상기 모서리에서 서로 경사지게 벌어져 상기 필름층 및 상기 유리판 각각에 접촉하는 두 접촉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은, 장력방향으로 구동되는 와이어쏘, 및 열로서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 사이를 녹여서 절개하는 가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 와이어로 이루어진 절단날을 이용하여 태양광패널의 유리판과 필름층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미세 와이어로 유리판과 필름층 사이에 고도의 압력을 가하여 깨끗한 절개면을 형성하고 형성된 절개면은 재결합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단면형 태양광패널(유리판이 한 장인 것)뿐만 아니라 양면형 태양광패널(두 장의 유리판이 필름층 양면에 접합된 것)에도 문제없이 적용되며, 양면형 태양광패널의 유리판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어 공정 간소화에도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분해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동작에 의한 양면형 태양광패널의 분해과정을 태양광패널의 전면 및 평면에 대해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동작에 의한 단면형 태양광패널의 분해과정을 태양광패널의 전면 및 평면에 대해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분해동작 후 태양광패널의 처리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와이어형 절단날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그를 바탕으로 제2, 제3, 및 제4실시예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1)는 와이어형 절단날(20)을 태양광패널(A)의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에 삽입하여 절개한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은 두께가 매우 얇아(직경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음) 장력에 의해 당겨지면 매우 예리한 칼날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접촉면에 고도의 압력을 가하여 정밀한 절개면을 형성하지만, 절개면 사이의 간격이 작고 와이어의 부피도 거의 없기 때문에 절개면이 재접촉하기 쉬운 문제도 있다. 따라서 종전에는 태양광패널 폐기처리에 사용하기 매우 곤란하였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공정(스크래핑 등)대로 태양광패널을 수평방향으로 눕혀놓고 절개작업 등을 진행한다면 절개된 부분이 자중에 의해 재접합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것처럼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접합선(Aa)이 상방과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태양광패널(A)을 세운 상태로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해소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폐태양광패널의 보다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기술적 보완과 연구를 거듭하여 태양광패널(A) 자체를 세운 상태로 공정을 진행할 때에만 정밀하고 깨끗한 절개면을 얻고 공정속도도 빨라짐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폐태양광 처리방식을 크게 개선한 발명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태양광패널 분해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태양광패널 분해장치(1)는, 태양광패널(A)의 유리판(A1)과, 유리판(A1)에 접합된 필름층(A2)을 서로 분리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1)에 있어서,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접합선(Aa)이 상방과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태양광패널(A)을 세워서 고정하고, 상기 태양광패널(A)을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접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공급모듈(10), 및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 전방에 공급모듈(10)과 이격되고 상기 접합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유리판(A1)과 필름층(A2)을 분리하는 와이어형 절단날(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서, 공급모듈(10)은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하중이 둘 사이의 접합면에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태양광패널(A)을 파지하여 평행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미세 와이어로 절개한 접합면이 재접촉하는 것을 막고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분리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술사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형태들로 구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해당 실시형태들도 한정적인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실시예들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처리대상인 태양광패널(A)은, 유리판(A1)과, 유리판(A1)에 접합된 필름층(A2)을 포함한다. 필름층(A2)에는 태양광셀이 집적되어 있으며 태양광셀이 집적된 필름층(A2)은 상대적으로 얇은 필름과 같은 형태로 유리판(A1)에 적층된다. 유리판(A1)과 필름층(A2)은 서로 접합되며 이로 인해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선(Aa)이 형성된다.
접합선(Aa)은 내부 접합면의 둘레에 위치한다.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의 접합면은 양면이 평행한 유리판(A1)을 따라 형성되므로, 접합면은 접합선(Aa) 안쪽에 유리판(A1)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면으로 가정한다.
'접합면'은 태양광패널(A)이 접합된 상태에서 고려하며, 태양광패널(A) 분해 후, 와이어형 절단날(20)에 의해 접합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면은 '절개면'으로 지칭한다.
태양광패널(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층(A2)의 양면에 한 쌍의 유리판(A1)이 접합된 양면형 패널이고,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이중날로 구성되어, 한 쌍의 유리판(A1)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다.
종래의 스크래퍼 등은 실질적으로 태양광패널(A)의 면을 눌러 접합면과 수직한 방향으로도 하중을 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양 쪽의 유리판(A1)을 동시에 분리하기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양면형 태양광패널(A)뿐만 아니라, 통상의 단면형 태양광패널(도 4 및 도 9의 A'참조) 모두를 접합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정밀하게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공급모듈(10)은, 태양광패널(A)의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접합선(Aa)이 상방과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태양광패널(A)을 세워서 고정하고, 태양광패널(A)을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접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전술한 것처럼, 접합면은 접합선(Aa) 안쪽에 유리판(A1)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서, 이러한 접합면은 중력방향과 평행하되 태양광패널(A)의 평행이동 방향은 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분해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패널(A)은 중력(G)방향과 평행하게(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며 그에 따라 접합면도 중력방향과 평행하게(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공급모듈(10)은 태양광패널(A)을 이와 같이 세워서 정렬시킨 후 중력(G)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도 2의 (b)참조). 따라서 이동간에 태양광패널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으므로,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하중은 접합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할 뿐,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게 된다(도 3 및 도 4참조).
이를 위해 공급모듈(10)은, 태양광패널(A)의 하중이 유리판(A1)과 필름층(A2)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로 집중되도록 태양광패널(A)의 모서리를 지지하며 평행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한 구조 중 하나로 공급모듈(10)은 태양광패널(A)의 일 모서리를 파지하여 태양광패널(A)을 고정시키는 제1파지수단, 및 제1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태양광패널(A)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태양광패널(A)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지수단(110)은 수평이동용 푸셔(111)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수단(120)은 수평가이드바(121) 및 가이드롤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이동용 푸셔(111)는 태양광패널(A)의 모서리를 파지하여 고정시키는 제1파지수단의 예이며, 수평가이드바(121) 및 가이드롤러(122)는 제1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태양광패널(A)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태양광패널(A)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의 예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형태로 제1파지수단과 제2가이드수단을 구현한다.
그러나 공급모듈(10)의 구현형태가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공급모듈(10)은 태양광패널(A)의 외면을 파지하여 태양광패널(A)을 고정시키는 제2파지수단, 및 제2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태양광패널(A)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태양광패널(A)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파지수단은 예를 들어, 태양광패널(A)의 양면에 접촉하여 태양광패널(A)을 가압 이송하는 공급롤러(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롤러의 축방향을 세로로 조정함으로써 태양광패널(A)을 롤러 사이에 세울 수 있다. 제2가이드수단은 공급롤러와 다른 측에 배치되어 태양광패널(A)을 가이드하는 또 다른 가이드바(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급모듈(10)의 구성방식이 반드시 푸셔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롤러와 같이 태양광패널을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태양광패널(A)을 가압 이송하는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구현될 수 있다. 후술하는 제2 내지 제4실시예 역시 그러한 형태로 공급모듈(10)의 구현형태를 얼마든지 변화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푸셔와 같이 일직선 상으로 구동되는 공급구조를 기본적인 구현형태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공급모듈(10)은 파지수단(110)과 가이드수단(120)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수평이동용 푸셔(111)는 말단에 태양광패널(A)의 측면 모서리를 붙잡아 세로로 세울 수 있는 홀더 등의 파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직선 상으로 움직이며 태양광패널(A)을 평행이동 시킬 수 있다. 수평이동용 푸셔(11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은 리니어 액츄에이터 및/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다양한 기계구조를 활용한 방식이 가능하다.
수평가이드바(121)는 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바 형상의 가이드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가이드바(121)는 태양광패널(A)의 하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수평가이드바(121)의 길이나 너비 등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22)는 태양광패널(A)의 외면에 실질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고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롤러(122)는 태양광패널(A)의 양 측에 태양광패널(A)의 두께만큼 이격시킨 후 축방향을 중력방향으로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모듈(10)을 이용하여 태양광패널(A)의 접합면을 도 2의 (a)와 같이 중력(G)방향과 평행하게 배열하되,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은 도 2의 (b)와 같이 중력(G)방향과 수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패널(A)은 공급모듈(10)에 의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절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형 절단날(20)은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 전방에 공급모듈(1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접합면 상에 위치하며, 접합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접합선(Aa)을 통해 접합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로 통과되며 유리판(A1)과 필름층(A2)을 분리하게 된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패널(A)의 평행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중력(G)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변형례처럼 와이어형 절단날(20)을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사선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와이어형 절단날(20)에는 장력을 생성하기 위한 구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홈(211)이 형성된 구동롤러(21, 22, 23)를 하나 또는 복수로 와이어형 절단날(20)의 양단에 배치하여 장력으로 절단날을 당길 수 있다. 장력을 유지하면서 롤러를 회전시켜 장력방향으로 절단날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와이어형 절단날(20)은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면서 태양광패널(A)을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장력방향으로 구동되는 와이어쏘(wire saw)일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형태는 복수의 구동롤러(21, 22, 23)로 와이어형 절단날(20)을 감거나 푸는 것도 가능한 구조이나 와이어형 절단날(20)의 양단은 반드시 서로 분리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도시된 형태라 하더라도, 궤도 형태로 와이어형 절단날(20)의 양단을 연결하여 반복 회전하게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캐터필러와 같이 양단이 연결된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열로서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를 녹여서 절개하는 가열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열선 형태의 와이어형 절단날(20)에도 롤러 등으로 장력을 부여하고 구동되는 구조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가열선이 반드시 가동될 필요는 없으며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더라도 절단이 가능하다면 고정형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은, 장력방향으로 구동되는 와이어쏘, 및 열로서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를 녹여서 절개하는 가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선과 와이어쏘의 조합으로 이중날을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후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체(3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쐐기체(30)는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을 따라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후단에 배치되며, 와이어형 절단날(20)을 향하는 모서리(311) 및 모서리(311)에서 서로 경사지게 벌어져 필름층(A2) 및 유리판(A1) 각각에 접촉하는(도 3 및 도 4참조) 두 접촉면(312)을 가질 수 있다.
쐐기체(30)는 와이어형 절단날(20)의 개수에 대응하여 개수조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형 절단날(20)이 이중날로 구성되어 한 쌍의 유리판(A1)을 동시에 분리하는 경우, 쐐기체(30) 역시 각 와이어형 절단날(20) 후단에 쌍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태양광패널 분해장치(1)는, 다음과 같이 태양광패널(A)을 분리한다. 이하, 전술한 도 2와 함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태양광패널 분해장치(1)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동작에 의한 양면형 태양광패널의 분해과정을 태양광패널의 전면 및 평면에 대해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동작에 의한 단면형 태양광패널의 분해과정을 태양광패널의 전면 및 평면에 대해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분해동작 후 태양광패널의 처리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와이어형 절단날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패널(A)은 공급모듈(10)에 의해 중력(G)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중력(G)방향과 수직하게 이동된다(도 2의 (b)참조). 태양광패널(A)은 파지수단(110)에 의해 전술한 접합선(도 1의 Aa참조)이 상방과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세워지며 그에 따라 유리판과 필름층이 접합되어 형성된 접합면도 상방과 하방을 향하게 정렬된다. 접합면은 사실상 유리판(A1)의 외면과 평행하므로 유리판(A1) 외면의 정렬방향으로부터 접합선 안쪽의 접합면의 정렬방향도 알 수 있다. 그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다.
파지수단(110)이 태양광패널(A)을 수평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면 태양광패널(A)은 도 2의 (b)와 같이, 이동방향과 수직한 와이어형 절단날(20)을 교차하여 통과하게 된다. 태양광패널(A)은 전술한 가이드수단(120)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태양광패널(A) 전체를 수직하게 세워놓은 상태로, 와이어형 절단날(20)과 교차하여 통과시키며 유리판과 필름층을 분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이러한 분해과정에서 유리판(A1) 및 필름층(A2) 각각에 작용하는 하중이 나타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중력(G)방향으로 배열된 와이어형 절단날(20)은 그와 동일방향으로 배열된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의 접합선(Aa)에 삽입되어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의 접합면을 절개한다. 이때 도 3의 (a)와 같이 유리판(A1) 및 필름층(A2) 각각은 하중을 접합면과 수직한 방향이 아닌, 평행한 방향으로 받게 된다.
이와 같이 공정 중에 유리판(A1) 및 필름층(A2)의 하중이 접합면과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접합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은 서로 붙지 않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직경이 매우 작은 미세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절개하여도, 절개면이 분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예리한 절개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분리가 깨끗하게 되어 후속하는 처리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b)와 같이,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후단에서는 전술한 쐐기체(30)가 필름층(A2)과 유리판(A1)에 형성된 절개면을 벌리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필름층(A2)과 유리판(A1)은 서로 나누어진 별개의 부품으로 더욱 쉽게 분리된다. 쐐기체(30)는 모서리(311)로부터 경사지게 벌어진 두 접촉면(312)으로 필름층(A2)의 절개면과 유리판(A1)의 절개면 양쪽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절개과정은 이중날로 되어있는 한 쌍의 와이어형 절단날(20)에 의해, 필름층(A2) 양 면에 접합된 한 쌍의 유리판(A1)에 대해 동시에 진행된다. 따라서,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필름층(A2) 양면에 한 쌍의 유리판(A1)이 접합된 양면형 패널도 한번의 공정으로 매우 신속하게 분해할 수 있다. 분리된 필름층(A2)은 한 쌍의 쐐기체(30) 사이로 통과되면서 두 유리판(A1)과는 다른 경로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절개과정은 유리판(A1)이 하나인 단면형 패널에 대해서도 동등하게 진행된다. 단면형 태양광패널(A') 역시 중력(G)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중력(G)방향으로 배열된 와이어형 절단날(20)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배열된 접합면이 예리하게 절개되며 공정 중에 유리판(A1) 및 필름층(A2)의 하중이 접합면과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접합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은 서로 붙지 않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후단에서는 전술한 쐐기체(30)가 필름층(A2)과 유리판(A1)에 형성된 절개면을 벌리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필름층(A2)과 유리판(A1)은 서로 나누어진 별개의 부품으로 더욱 쉽게 분리된다. 이와 같이 도 1의 와이어형 절단날(20)을 이중날 또는 단일날로 교체함으로써 양면형 패널 및 단면형 패널 모두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형 절단날(20)에 의해 분리된 유리판(A1)과 필름층(A2)은 서로 다른 경로로 배출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리판(A1)은 별도의 컨베이어 등 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어 보관용 랙 등에 보관될 수 있다. 양면형 패널을 분해하여 한 쌍의 유리판(A1)이 동시에 분해된 경우라면, 한 쌍의 유리판(A1)을 동시에 같은 경로 또는 다른 경로로 배출할 수 있다. 두 유리판(A1) 사이의 필름층(A2)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하부에 폐기용 바스켓(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수집할 수 있다.
파지수단(110)인 수평이동용 푸셔(111)는 말단이 와이어형 절단날(20)에 인접하되, 닿지 않는 정도까지 근접하게 수평 이동하면서 태양광패널을 밀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 시퀀스를 끝내면 수평이동용 푸셔(111)는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다음 태양광패널에 대해 같은 공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형 절단날(20-1)은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 와이어형 절단날(20-1)은 태양광패널(A)의 평행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어, 특히 태양광패널(A)과 접촉하는 동안 접촉면적이 변동될 수 있다. 경사각이 바뀌더라도, 와이어형 절단날(20-1)은 유리판과 필름층이 접합된 접합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 그대로 놓이므로 유리판과 필름층 사이를 문제없이 절개할 수 있다.
비스듬히 배치된 와이어형 절단날(20-1)은 예를 들어, 태양광패널(A)이 이동하면 태양광패널(A)의 두 모서리가 만나는 한쪽 꼭지점에서부터 접촉을 시작하여 접촉면적을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태양광패널(A)로부터 이탈할 때에는, 그 반대편으로 접촉면적이 서서히 감소되며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광패널과 접촉하는 동안 접촉면적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와이어형 절단날(20-1)에 발생하는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간당 접촉면적의 감소로 와이어형 절단날(20-1)을 냉각하거나, 와이어형 절단날(20-1)에 쌓이는 피로나 데미지를 줄이는 데에도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절단날이 비스듬히 써는 형태로 태양광패널(A)과 접촉하므로, 절단효과도 상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형 절단날(20-1)을 비스듬히 배치한 경우에는, 태양광패널(A)을 와이어형 절단날(20-1) 방향으로 더 깊숙히 밀 수 있는 보조 푸셔(111a)등을 설치하여 공급모듈(10)의 구성을 바꾸어 줄 수 있으며 그를 통해 공정을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태양광패널(A)을 접합선이 상하로 노출되도록 세운 상태로, 유리판과 필름층의 하중이 접합면에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평행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과정에서 접합면과 평행한 와이어형 절단날(20, 20-1)이 접합면을 절개하여 절개면을 형성하지만, 유리판과 필름층의 하중이 접합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접합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은 분리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미세한 와이어형 절단날을 사용하여 양면형 또는 단면형 태양광패널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제3, 및 제4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이므로 그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고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1-1)는,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접합면과 태양광패널(A)의 평행이동 방향이 모두 중력(G)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태양광패널(A)의 접합면이 중력(G)방향과 평행하게(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중력(G)방향과 평행하게(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역시, 유리판과 필름층의 하중이 접합면에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접합면을 절개하여 유리판과 필름층을 분리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공급모듈(10)은 태양광패널(A)의 일 모서리를 파지하여 태양광패널(A)을 고정시키는 제1파지수단 및 제1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태양광패널(A)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태양광패널(A)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승강집게부(112)는 제1파지수단의 또 다른 예이며, 승강가이드바(123)는 제1가이드수단의 또 다른 예이다.
제2실시예의 공급모듈(10) 역시 파지수단(110)과 가이드수단(120)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집게부(112)는 도 7의 확대도(a-a'선의 부분단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말단에 가동식 집게가 형성되어 있고 승강이 가능하다. 따라서 태양광패널(A)의 상단 모서리를 파지하여 고정하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식 집게는 예를 들어 집게부분이 열리거나 닫히는 방식으로 가동될 수 있으며, 태양광패널(A)을 착탈 가능하게 파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123)는 예를 들어, 중력(G)방향으로 이동하는 태양광패널(A)의 측면 모서리에 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구조일 수 있다. 파지수단과 가이드수단의 형상 및 구조는 상황에 맞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도면의 예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은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즉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공급모듈(1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쐐기체(30)도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을 따라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후단에 와이어형 절단날(2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방향이 중력(G)방향이기 때문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공급모듈(10), 와이어형 절단날(20), 쐐기체(30)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태양광패널(A)은 와이어형 절단날(2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통과되며 분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와이어형 절단날(20)의 이중날 구조 또는 단일날 구조, 쐐기체(30)를 이용한 절개면의 이격동작은 이러한 구조에도 동등하게 적용된다. 또한 전술한 변형례처럼 와이어형 절단날(20)을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도록 배치를 바꾸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로 공정이 진행될 때에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유리판 및 필름층 각각의 하중은 접합면과 평행하게 가해지며 접합면에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접합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은 서로 붙지 않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직경이 매우 작은 미세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절개하여도, 절개면이 분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와이어형 절단날(20)로는 예리한 절개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분리가 깨끗하게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1-2)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리판과 필름층의 접합면과 태양광패널(A)의 평행이동 방향이 모두 중력(G)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3실시예에서 태양광패널(A)은 이동방향이 중력(G)방향과 평행하되, 중력(G)방향으로 하강하지 않고 상승하면서 절개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해 태양광패널(A)은 중력(G)방향으로 하강하거나, 또는 중력(G)방향과 평행하되 중력(G) 반대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중력(G)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분해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도 공급모듈(10)은 태양광패널(A)의 일 모서리를 파지하여 태양광패널(A)을 고정시키는 제1파지수단 및 제1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태양광패널(A)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태양광패널(A)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승강용 푸셔(113)는 제1파지수단의 또 다른 예이고, 승강가이드바(123)는 제1가이드수단의 또 다른 예에 해당한다.
제3실시예의 공급모듈(10) 역시 파지수단(110)과 가이드수단(120)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용 푸셔(113)는 말단에 태양광패널(A)의 하단모서리를 받쳐 고정하는 홀더 등의 고정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일직선 상으로 구동되며 태양광패널(A)을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123)는 태양광패널(A)의 측면 모서리와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은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즉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공급모듈(1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쐐기체(30)는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을 따라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후단에 와이어형 절단날(2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3실시예는 이동방향이 중력(G) 상방이기 때문에, 아래에서부터 위로 공급모듈(10), 와이어형 절단날(20), 쐐기체(30)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태양광패널(A)은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통과되며 분해될 수 있다. 제3실시예 역시, 앞서 설명한 와이어형 절단날(20)의 이중날 구조 또는 단일날 구조, 및 쐐기체(30)를 이용한 절개면의 이격동작이 동등하게 적용되며 전술한 변형례처럼 와이어형 절단날(20)을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도록 배치를 바꾸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승하며 공정이 진행될 때에도, 역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유리판 및 필름층 각각의 하중은 접합면과 평행하게 가해지며, 접합면에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접합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은 서로 붙지 않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직경이 매우 작은 미세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절개하여도, 절개면이 분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예리한 절개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분리가 깨끗하게 이루어진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의한 태양광모듈 분해장치(1-3)는, 태양광패널(A)의 접합면과 태양광패널(A)의 평행이동 방향이 모두 중력(G)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를 이룰 수 있다. 공급모듈(10)이 태양광패널(A)을 이동시키는 방향은 중력(G)방향에 대해 일정각도(θ)로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 태양광패널(A)은 해당 각도로 비스듬히 상승하면서 와이어형 절단날(20)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태양광패널(A)의 접합선(Aa)이 상방과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세워져서 분해되되, 반드시 수직으로 세워질 필요는 없다. 특히 유리판(A1)이 하나인 단면형 패널인 경우에는, 제4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접합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접합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의 공급모듈(10)역시 태양광패널(A)의 일 모서리를 파지하여 태양광패널(A)을 고정시키는 제1파지수단 및 제1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태양광패널(A)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태양광패널(A)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형태로 예시되었다. 전술한 실시예처럼, 승강용 푸셔(113)는 제1파지수단으로, 승강가이드바(123)는 제1가이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승강용 푸셔(113)의 승강방향 및 승강가이드바(123)의 배열방향은 중력(G)방향에 대해 일정각도(θ) 경사지게 배열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와이어형 절단날(20)은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과 수직하며,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공급모듈(10)의 상방에 배치된다. 전술한 쐐기체(30)도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을 따라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후단에 와이어형 절단날(2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동방향이 중력(G)방향과 경사를 이루면서 중력(G)을 거스르는 상방이기 때문에, 아래에서부터 위로 중력(G)방향에 대해 일정각도(θ) 경사진 경사면을 따라서, 공급모듈(10), 와이어형 절단날(20), 쐐기체(30)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는 태양광패널(A)을 받치기 위한 경사진 형태의 배출수단(40)이 함께 도시되었다. 쐐기체(30)는 배출수단(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수단(40)은 배출롤러(410)가 형성된 경사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사판 말단에 쐐기체(30)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수단(40)의 일 측에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밈대(420)와 분해된 유리판(A1)이 낙하하지 않게 받치는 걸림턱(4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태양광패널(A)은 와이어형 절단날(20)의 하방에서 일정각도 경사지게 상방으로 통과되면서 분해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사구조에는 태양광패널(A)의 유리판(A1) 측이 필름층(A2)에 대해 중력 상방에 배치됨으로써(도 9의 확대도 참조) 절단된 필름층(A2)을 자중에 의해 유리판(A1)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필름층(A2)의 하중이 접합면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작용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의 간격은 중력(G)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A1)은 쐐기체(30)의 접촉면(312) 중 윗면을 따라 배출수단(40)에 도달되지만, 필름층(A2)은 쐐기체(30)의 접촉면(312) 중 하면을 따라 중력(G)에 의해 벌어지며 낙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유리판(A1)과 필름층(A2) 사이의 접합면에 수직으로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층(A2)을 자중에 의해 유리판(A1)과 더욱 손쉽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합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면은 서로 붙지 않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직경이 매우 작은 미세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절개하여도 절개면이 분리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형 절단날(20)로 예리한 절개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A1)과 필름층(A2)의 분리가 깨끗하게 되어 후속하는 처리도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제4실시예 역시 전술한 변형례처럼 와이어형 절단날(20)을 태양광패널(A)의 이동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도록 배치를 바꾸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특히 유리판(A1)이 한장인 단면형 태양광패널(A')의 처리에 이러한 제4실시예의 형태가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필름층(A2)과 분리된 유리판(A1)은 밈대(420)에 의해 밀려 걸림턱(430)에 지지되고 배출롤러(410)에 의해 이동되어 예정된 장소로 배출될 수 있다. 필름층(A2)은 하방에 바스켓(미도시) 등을 배치하여 수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와이어형 절단날(20)을 이용하여 유리판(A1)과 필름층(A2)이 접합된 태양광패널들을 효과적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 1-1, 1-2, 1-3: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10: 공급모듈
20, 20-1: 와이어형 절단날 21, 22, 23: 구동롤러
30: 쐐기체 40: 배출수단
110: 파지수단 111: 수평이동용 푸셔
111a: 보조 푸셔 112: 승강집게부
113: 승강용 푸셔 120: 가이드수단
121: 수평가이드바 122: 가이드롤러
123: 승강가이드바 211: 홈
311: 모서리 312: 접촉면
410: 배출롤러 420: 밈대
430: 걸림턱 A, A': 태양광패널
A1: 유리판 A2: 필름층
Aa: 접합선 G: 중력

Claims (14)

  1. 태양광패널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에 접합된 필름층을 서로 분리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의 접합선이 상방과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태양광패널을 세워서 고정하고, 상기 태양광패널을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의 접합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는 공급모듈;
    상기 태양광패널의 이동방향 전방에 상기 공급모듈과 이격되고 상기 접합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을 분리하는 와이어형 절단날; 및
    상기 태양광패널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을 향하는 모서리 및 상기 모서리에서 서로 경사지게 벌어져 상기 필름층 및 상기 유리판 각각에 접촉하는 두 접촉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체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의 하중이 상기 접합면에 수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태양광패널을 파지하여 평행이동시키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필름층의 양면에 한 쌍의 유리판이 접합된 양면형 패널이고,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이중날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유리판을 동시에 분리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하중이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로 집중되도록 상기 태양광패널의 모서리를 지지하며 평행이동시키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열되어 상기 태양광패널과 접촉하는 동안 접촉면적이 변동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은 중력방향과 평행하되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은 중력방향과 수직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이 모두 중력방향과 평행한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과 상기 태양광패널의 평행이동 방향이 모두 중력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패널의 상기 유리판 측이 상기 필름층에 대해 중력 상방에 배치되어 절단된 상기 필름층을 자중에 의해 상기 유리판과 분리시키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일 모서리를 파지하여 상기 태양광패널을 고정시키는 제1파지수단, 및 상기 제1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태양광패널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태양광패널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태양광패널의 외면을 파지하여 상기 태양광패널을 고정시키는 제2파지수단, 및 상기 제2파지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태양광패널의 타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태양광패널을 이동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형 절단날은, 장력방향으로 구동되는 와이어쏘, 및
    열로서 상기 유리판과 상기 필름층 사이를 녹여서 절개하는 가열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KR1020220001791A 2022-01-05 2022-01-05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KR10245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791A KR102457744B1 (ko) 2022-01-05 2022-01-05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KR1020220054383A KR20230106483A (ko) 2022-01-05 2022-05-02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US17/835,449 US20230211597A1 (en) 2022-01-05 2022-06-08 Solar panel disassembling apparatus
PCT/KR2022/017821 WO2023132462A1 (en) 2022-01-05 2022-11-14 Solar panel disassemb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791A KR102457744B1 (ko) 2022-01-05 2022-01-05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383A Division KR20230106483A (ko) 2022-01-05 2022-05-02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744B1 true KR102457744B1 (ko) 2022-10-24

Family

ID=838059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791A KR102457744B1 (ko) 2022-01-05 2022-01-05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KR1020220054383A KR20230106483A (ko) 2022-01-05 2022-05-02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383A KR20230106483A (ko) 2022-01-05 2022-05-02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11597A1 (ko)
KR (2) KR102457744B1 (ko)
WO (1) WO20231324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5239A (zh) * 2023-05-25 2023-06-23 南京莱迪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线性热导式拆解装置及方法
WO2023132462A1 (en) * 2022-01-05 2023-07-13 Won Kwang S&T Co., Ltd. Solar panel disassembl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897B1 (ko) * 2023-10-30 2024-03-07 주식회사 에스앤뉴 폐 태양광모듈 분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6439A (zh) * 2012-09-24 2013-01-02 天津英利新能源有限公司 应用于全玻太阳能电池板的剥离方法及其剥离机
KR102091346B1 (ko) 2019-01-04 2020-03-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패널 재활용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4715A (ja) * 2005-06-01 2006-12-14 Fujifilm Holdings Corp 積層体フイルムのハーフカット方法及び装置
CN103085116B (zh) * 2013-01-15 2015-01-21 上海交通大学 太阳能电池板回收处理中eva层电热丝切割装置
JP6271468B2 (ja) * 2015-04-17 2018-01-31 株式会社エヌ・ピー・シー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リサイクル装置
KR102457744B1 (ko) * 2022-01-05 2022-10-24 주식회사 원광에스앤티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6439A (zh) * 2012-09-24 2013-01-02 天津英利新能源有限公司 应用于全玻太阳能电池板的剥离方法及其剥离机
KR102091346B1 (ko) 2019-01-04 2020-03-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패널 재활용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62A1 (en) * 2022-01-05 2023-07-13 Won Kwang S&T Co., Ltd. Solar panel disassembling apparatus
CN116315239A (zh) * 2023-05-25 2023-06-23 南京莱迪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线性热导式拆解装置及方法
CN116315239B (zh) * 2023-05-25 2023-07-25 南京莱迪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线性热导式拆解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1597A1 (en) 2023-07-06
WO2023132462A1 (en) 2023-07-13
KR20230106483A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744B1 (ko)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KR102025664B1 (ko) 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54030B1 (ko) 폐태양광모듈 분리해체장치
CN107564997B (zh) 电池片输送、划片、串焊一体化设备及划片、焊接方法
KR102176212B1 (ko) 태빙장치
KR102350630B1 (ko) 태양광 패널 처리 장치
FR2591932A1 (fr) Systeme de decoupage a laser
KR101142423B1 (ko) 시트 절단장치
KR20190013693A (ko) 유리 롤의 제조 방법
CN109103287B (zh) 一种薄膜裁切、铺设一体机
WO2019102783A1 (ja) 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CN106312340A (zh) 一种用于激光切割设备的板料夹持装置
CN107824988A (zh) 一种节能环保的电子垃圾自动裁剪回收装置
KR102536401B1 (ko) 폐태양전지 모듈 전면유리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KR102501770B1 (ko) 태양광패널 분해장치
KR102176213B1 (ko) 태빙장치
CN113199544B (zh) 高精度的石膏板分切机构
CN215869325U (zh) 一种电池片的规整结构
KR20210015287A (ko) 태양광 폐모듈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2589354B1 (ko) 태양광 패널 분해 장치
KR102589352B1 (ko) 태양광 패널 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분해 방법
CN212763823U (zh) 一种切刀分离设备
CN108381178A (zh) 焊接折弯一体机
KR102526139B1 (ko) 태양광모듈의 프레임 자동분리 장치
KR102364969B1 (ko) 태양광모듈 리프팅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태양광모듈해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