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963B1 -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 - Google Patents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963B1
KR102456963B1 KR1020220092890A KR20220092890A KR102456963B1 KR 102456963 B1 KR102456963 B1 KR 102456963B1 KR 1020220092890 A KR1020220092890 A KR 1020220092890A KR 20220092890 A KR20220092890 A KR 20220092890A KR 102456963 B1 KR102456963 B1 KR 102456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ip
manipulation unit
manipulatio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22009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61M25/0084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being one or more injection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61B2018/141Sna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Guide wires having a lumen for drug delivery or s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3그립이 구비된 바디부; 인젝터를 포함한 제1처치구의 조작을 위해 바디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1그립이 구비되는 제1조작부; 및 스네어를 포함한 제2처치구의 조작을 위해 제1조작부와 독립적으로 바디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2그립이 구비되는 제2조작부;를 포함하고, 제1 내지 3그립은,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의료용 시술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 등에서 시술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 {MEDICAL INSTRUMENT WITH INTERGRATED SNARE AND INJECTOR}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의료용 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소 침습성 수술은 통증 감소, 빠른 회복속도 등을 이점으로 적용분야가 지속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최소 침습성 수술의 대표적인 예는 내시경(endoscope) 시술이다. 내시경 시술은 카메라가 달린 관(catheter)을 인체 내부로 삽입하고, 시술자가 카메라를 통해 환부를 관찰하면서 용종(polyp) 등을 절제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내시경 시술은 흔히 대장이나 위의 내부 점막 관찰이나 이에 발생된 용종 절제에 사용된다.
내시경을 통한 용종 절제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내시경을 통해 절제도구인 스네어(snare)가 인체 내부로 삽입되어 용종으로 접근될 수 있다. 이후 스네어의 단부에서 올가미가 나와 용종 주변의 조직을 포위하고, 다시 올가미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며 용종이 올가미에 포획된다. 용종이 포획되면, 내시경을 통해 다시 인젝터(injector)가 삽입되고, 인젝터의 단부에서 니들(needle)이 나와 포획된 용종에 약물이나 생리식염수가 주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종이 부풀어오르면, 스네어에 고주파전류가 인가되고 용종의 절제, 괴사, 지혈 등의 치료가 이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시경 시술에 있어서, 용종의 포획을 위한 스네어와 약물 등의 주입을 위한 인젝터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시술 상 다소 번거로움이 있다. 즉, 시술자는 스네어의 삽입 및 작동 과정과, 인젝터의 삽입 및 작동 과정을 반복해 수행해야 한다. 이는 시술시간의 측면에서도 좋지 않다.
한편 의료용 스네어, 인젝터 등의 시술기구는 종래 다양하게 고안되어 왔고, 현재도 많은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2076622호는 시술 상황에 따라 저온 또는 고온 올가미 절제술을 적용할 수 있는 "착탈식 의료용 스네어 전류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스네어"를 제안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60228호는 시술 후 니들부를 교체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2076622호(2020년 2월 6일 등록) 등록특허 제10-1260228호(2013년 4월 26일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시경 시술 등에서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 의료용 시술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되어 시술 편의성 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의료용 시술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시술자의 조작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의료용 시술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3그립이 구비된 바디부; 인젝터를 포함한 제1처치구의 조작을 위해 상기 바디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1그립이 구비되는 제1조작부; 및 스네어를 포함한 제2처치구의 조작을 위해 상기 제1조작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바디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2그립이 구비되는 제2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3그립은,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의료용 시술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시술기구는 인젝터 등의 제1처치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1조작부와, 스네어 등의 제2처치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2조작부가 하나의 시술기구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술기구는 시술 편의성을 개선하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시술기구는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으로 제1 내지 3그립을 잡고 사용 및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처치구의 조작은 대응되는 각 그립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기구는 시술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직관적인 작동 방식을 통해 시술 중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시술기구는 사용자가 시술 과정에서 수행하게 되는 손가락의 전, 후진 동작에 따라 하나의 조작부가 자연스럽게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술기구는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술을 수행하면서도, 조작 편의성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술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C1-C1'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연튜브의 길이방향에 따른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절연튜브의 끝단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록킹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시술기구의 제1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시술기구의 제2작동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시술기구의 제3작동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시술기구의 제4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시술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의료용 시술기구(100)는 복수의 시술수단이 하나의 시술기구(100)에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시술수단은 제1시술수단 및 제2시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제1시술수단 및 제2시술수단이 하나의 시술기구(100)에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시술수단은 인젝터(injector)로 구성될 수 있고, 제2시술수단은 스네어(snare)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내시경 시술을 통한 용종 제거에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필요에 따라 제1시술수단 또는 제2시술수단은 인젝터 및 스네어 외 다른 시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시술수단이 인젝터, 제2시술수단이 스네어인 경우를 가정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한 손을 사용해 각 시술수단을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사용자가 한 쪽 손의 손가락을 각 그립에 끼워 넣고, 각 그립을 조작해 시술에 필요한 작동을 수행하도록 의도된다. 각 시술수단은 각 그립의 조작에 따라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각 시술수단의 조작을 위해 시술기구(100)로부터 손을 떼는 등 부가적인 조작 과정을 최소화하여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사용 방식은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반드시 상기의 기본적인 작동 방식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복수의 시술수단을 하나의 시술기구(100)에 일체화하고, 기본적으로 한 손 조작을 통해 각 시술수단이 조작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데 하나의 목적을 둔다. 이러한 시술기구(100)는 시술 시간의 단축, 성공 가능성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술기구(100)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바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시술기구(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대체로 전후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할 각 구성요소들은 대체로 바디부(110)를 매개로 조합되어 하나의 시술기구(100)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내부공간은 대체로 바디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은 후술할 로드(141, 151) 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바디부(110)의 전단에는 소켓(111)이 구비될 수 있다. 소켓(111)은 로드(141, 151) 등을 바디부(110)의 전단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소켓(111)은 바디부(110)의 다른 영역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소켓(111)은 전후방향을 축으로 바디부(110)의 다른 영역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술할 그립(123, 133, 112) 등이 소켓(111)에 대해 회전 가능해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바디부(110)의 후단에는 제3그립(112)이 구비될 수 있다. 제3그립(112)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제3그립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그립(112)은 후술할 제1그립(123) 및 제2그립(133)과 함께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넣어 시술기구(100)를 잡을 수 있는 지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제1조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부(120)는 제1처치구(143)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처치구(143)는 인젝터로 가정되어 있다.
제1조작부(120)는 바디부(1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1처치구(143)는 제1조작부(120)의 전후 이동에 연동되어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처치구(143)는 제1조작부(120)의 전방(도면상 좌측) 이동에 따라 전진되거나, 제1조작부(120)의 후방(도면상 우측) 이동에 따라 후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조작부(120)를 전후 이동시켜 제1처치구(143)를 조작할 수 있다.
제1조작부(120)의 전후 이동을 위해, 제1조작부(120)는 바디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바디부(110)에는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가이드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제1조작부(120)는 제1가이드수단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드수단은 바디부(110)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레일이나 홈 또는 돌기 등의 기계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조작부(120)는 레일 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다.
제1조작부(120)는 대체로 바디부(1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2조작부(130)가 바디부(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것과 대비된다. 제1조작부(120)는 바디부(110)의 상부 영역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조작부(120)는 제1스토퍼(113)에 의해 전후방향의 이동 영역이 규제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3)는 바디부(110)의 길이방향 일 측에 구비되어 제1조작부(12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조작부(120)의 후방 이동은 바디부(110) 후단의 제3그립(112)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조작부(120)는 제1스토퍼(113)와 제3그립(112)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3)는 제1조작부(120)와 대응되도록 대체로 바디부(11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3)는 후술할 제2조작부(130)의 이동에는 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조작부(130)는 후술할 제2스토퍼(114)에 의해 전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인젝터로 가정된 제1처치구(143)와 스네어로 가정된 제2처치구(153)의 상이한 작동범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1처치구(143) 또는 제1조작부(120)는, 제2처치구(153) 또는 제2조작부(130) 대비 짧은 작동범위(길이)를 가지고 있다. 예시적으로 인젝터를 포함하는 제1처치구(143)는 약 10~20mm의 작동범위를 가질 수 있고, 스네어를 포함하는 제2처치구(153)는 약 60~70mm의 작동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처치구(143, 153) 또는 조작부(120, 130)의 작동범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제1스토퍼(113)는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적절히 제한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고, 그 구조나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말발굽 형태의 제1스토퍼(113)가 바디부(110)의 상부 영역에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제1스토퍼(113)는 바디부(110)와 구분된 별개의 부품 형태로 구현되거나, 바디부(110)에 일체화된 구조나 형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 제1스토퍼(113)는 소정 범위 전후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스토퍼(113)는 소정 범위 전후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스토퍼(113)는 전술한 제1가이드수단의 길이방향 일 측에 체결되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제1가이드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제조자 또는 사용자가 제1처치구(143)의 적절한 작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제1스토퍼(113) 구성은 후술할 제2스토퍼(114)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조작부(120)는 제1조작부바디(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부바디(121)는 제1조작부(12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바디부(1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1조작부바디(121)의 후단에는 제1커넥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커넥터(122)에는 제1처치구(143)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연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커넥터(122)에는 인젝터로 공급되는 주사제의 연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제1조작부바디(121)에는 제1그립(123)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그립(123)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제1그립홀(123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그립홀(123a)은 대체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그립(123)은 전술한 제3그립(112)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넣어 시술기구(100)를 잡을 수 있는 지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그립(123)은 대체로 제1조작부바디(1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또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그립(123)이 바디부(110) 또는 후술할 제2그립(133)과 적절한 간격을 가져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1그립(123)에는 록킹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록킹부(170)는 적어도 일부가 제1그립홀(123a)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170)는 제1조작부(120)의 전후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록킹부(17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제2조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작부(130)는 제2처치구(153)를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처치구(153)는 스네어로 가정되어 있다.
제2조작부(130)는 대체로 전술한 제1조작부(12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조작부(130)는 바디부(1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이에 연동해 제2처치구(153)가 전후 이동될 수 있다. 제2조작부(1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바디부(110)에는 레일이나 홈 또는 돌기 등의 기계적 형상을 포함하는 제2가이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조작부(130)는 제2스토퍼(114)에 의해 이동 영역이 규제될 수 있다. 제2스토퍼(114)는 바디부(110)의 하부 영역에서 대체로 제1스토퍼(113)와 유사한 구조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조작부(130)는 제1조작부(120)와 달리 바디부(1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조작부(130)는 제1조작부(120)와 상이한 작동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2조작부(130) 또는 제2처치구(153)는, 제1조작부(120) 또는 제1처치구(143) 대비 긴 작동범위(길이)를 가지고 있다.
제2조작부(130)는 제1조작부(12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조작부(120)는 전후 이동을 통해 제1처치구(143)를 개별 작동시킬 수 있고, 제1조작부(120)의 전후 이동은 제2조작부(130)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제2조작부(130)는 전후 이동을 통해 제2처치구(153)를 개별 작동시킬 수 있고, 제2조작부(130)의 전후 이동은 제1조작부(120)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제2조작부(130)는 제2조작부바디(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작부바디(131)는 제2조작부(13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바디부(1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2조작부(130)의 전단 하측에는 제2커넥터(13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커넥터(132)에는 제2처치구(153)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연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커넥터(132)에는 스네어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제2조작부바디(131)에는 제2그립(133)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그립(133)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제2그립홀(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그립(133)은 전술한 제1그립(123) 및 제3그립(112)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넣어 시술기구(100)를 잡을 수 있는 지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그립(133)은 대체로 제2조작부바디(13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또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그립(133)이 바디부(110) 또는 전술한 제1그립(123)과 적절한 간격을 가져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사용자가 제1 내지 3그립(123, 133, 112)에 손가락을 끼워 넣어 시술기구(100)를 잡도록 의도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그립홀(123a)에 검지 손가락을 끼워 넣고, 제2그립홀(133a)에 중지 손가락을 끼워 넣으며, 제3그립홀(112a)에 엄지 손가락을 끼워 넣어 시술기구(100)를 잡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조작부(120)는 검지 손가락을 통해 조작될 수 있고, 제2조작부(130)는 중지 손가락을 통해 조작될 수 있다. 엄지 손가락은 제1조작부(120)나 제2조작부(130)의 조작을 위한 지지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시술기구(100)를 잡은 채 검지 또는 중지 손가락을 통해 각 조작부(120, 1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개선되고 시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제1작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작동부(140)는 제1조작부(120)에 연결되어, 제1조작부(120)의 조작에 따라 연동될 수 있다. 즉, 제1작동부(140)는 제1조작부(120)의 전방 이동에 대응해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제1조작부(120)의 후방 이동에 대응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작동부(140)는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제1로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141)는 바디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후단이 제1조작부바디(121)에 체결될 수 있다. 제1로드(141)의 전단 일부는 제1조작부(120)의 전후 위치에 따라 소켓(111)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1로드(141)는 후술할 제1와이어(142)의 배치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강성을 지닌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로드(141)는 소정의 강성을 지닌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이는 제1와이어(142)가 인체 내부로의 삽입을 위해 유연한 재질로 이뤄지는 것과 대비된다. 또한 제1로드(141)는 내부로 제1와이어(142)가 지나갈 수 있도록 관(tube) 형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제1작동부(140)는 제1와이어(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142)는 제1조작부(120)로부터 제1로드(141)의 내부를 경유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42)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치구(143)가 인젝터인 경우 제1와이어(142)는 유연한 재질의 플라스틱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와이어'의 명칭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유연한 재질의 부재를 포괄하는 의미임을 알려 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와이어는 반드시 사전적 의미의 '와이어(wire)'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술한 제1와이어(142)는 유연한 재질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할 바와 같은 제2와이어(152)는 끝단에 올가미 형태의 스네어를 형성하는 2가닥의 금속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와이어(142)의 끝단(전단)에는 제1처치구(143)가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에서 제1처치구(143)는 인젝터로 가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술기구(100)는 제2작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작동부(150)는 제2조작부(130)에 연결되어, 제2조작부(130)의 조작에 따라 연동될 수 있다. 즉, 제2작동부(150)는 제2조작부(130)의 전방 이동에 대응해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제2조작부(130)의 후방 이동에 대응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작동부(150)는 대체로 전술한 제1작동부(140)와 유사하게 이뤄질 수 있다. 제2작동부(150)는 제2로드(15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로드(151)의 내부로는 제2와이어(152)가 연장될 수 있다. 제2와이어(152)의 끝단(전단)에는 제2처치구(153)가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본 실시예에서 제2처치구(153)는 스네어로 가정되어 있고, 이러한 경우 제2와이어(152)는 대략 2가닥의 금속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C1-C1'선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와이어(142) 및 제2와이어(152)는 소켓(111) 외측에서 절연튜브(160)로 싸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절연튜브(160)의 내부에는 제1와이어(142)가 수용되는 제1내측튜브(161)와, 제2와이어(152)가 수용되는 제2내측튜브(16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2내측튜브(161, 162)는 절연튜브(160) 내에서 각각의 제1, 2와이어(142, 152)에 대한 이송 경로를 제공해 제1, 2와이어(142, 152) 사이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절연튜브(160), 제1내측튜브(161) 및 제2내측튜브(162)는 각각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절연튜브(160), 제1내측튜브(161) 및 제2내측튜브(162)는 외력에 대해 상이한 변형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내측튜브(161) 또는 제2내측튜브(162)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외력에 대해, 절연튜브(160)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변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와이어(142) 또는 제2와이어(152)를 보호하고 작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변형도의 차이는 튜브의 재질이나 두께, 튜브에 부가되는 코팅이나 기계적 형상 등에 의해 적절히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연튜브의 길이방향에 따른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절연튜브(160)는 내부에 제1와이어(142) 및 제2와이어(152)를 함께 수용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의료용 스네어 또는 인젝션에서 통상 하나의 와이어가 절연튜브 내부에 배치되는 것과 대비된다.
복수의 와이어(142, 152) 배치에 따른 외경의 확장을 줄이기 위해, 절연튜브(160)는 소켓(111)에 인접한 후단영역(163)과, 후단영역(163)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단영역(164) 간에 외경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튜브(160)의 후단영역(163)은 제1외경(D1)을 가질 수 있고, 절연튜브(160)의 후단영역(163)은 제1외경(D1)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2외경(D2)을 가질 수 있다. 제2외경(D2)은 예컨대 제1외경(D1)의 60~80%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튜브(160) 내부의 제1, 2내측튜브(161, 162)는 외경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제1, 2와이어(142, 152)의 적절한 작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후단영역(163)은 소켓(111)과 연결되는 소정의 길이 구간에 제한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후단영역(163)은 절연튜브(160) 전체 길이의 5~10%로 구성될 수 있고, 나머지 길이 구간은 제2외경(D2)을 가진 전단영역(1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반적인 절연튜브(160)의 길이를 고려할 때 후단영역(163)은 10~20cm로 구성될 수 있고, 나머지 길이 구간은 제2외경(D2)을 가진 전단영역(164)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단영역(163) 및 전단영역(164)을 갖는 절연튜브(16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절연튜브(160)는 상이한 외경을 갖는 튜브체를 길이방향으로 접합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튜브(165)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탄성을 갖는 절연튜브(160)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구간 확관튜브(165)를 삽입해 후단영역(163)의 외경을 선택적으로 확관시키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확관튜브(165)는 절연튜브(160) 대비 큰 강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질의 튜브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확관튜브(165) 전단은 삽입 동작을 보조하기 위해 끝단을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165a)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절연튜브의 끝단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와이어(142)의 끝단에는 제1처치구(143)가 구비될 수 있고, 제2와이어(152)의 끝단에는 제2처치구(15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처치구(143)는 인젝터, 제2처치구(153)는 스네어로 가정되어 있다. 제1처치구(143)는 제1조작부(120)의 조작에 의해 절연튜브(160) 끝단에서 전방으로 출몰 가능하게 이뤄질 수 있고, 제2처치구(153)는 제2조작부(130)의 조작에 의해 절연튜브(160) 끝단에서 전반으로 출몰 가능하게 이뤄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처치구(143, 153)의 조작이나 출몰은 상호 독립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록킹부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록킹부(170)는 제1그립(123)에 구비되어, 제1조작부(120)의 전후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처치구(143)는 시술 중 소정의 위치로 고정되거나, 시술 부위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록킹부(170)는 제1그립(123)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그립홀(123a)에 손가락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해당 손가락을 통해 록킹부(170)를 잠금 및 잠금해제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조작 및 시술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록킹부(170)는 록킹레버(171)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레버(171)는 제4그립(171a)을 구비할 수 있고, 제4그립(171a)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제4그립홀(171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4그립(171a)은 대체로 제1그립홀(123a)과 대응되는 원형 링의 형태로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1그립홀(123a) 및 제4그립홀(171b)을 통해 제1그립(123) 부위를 하나의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다.
제4그립(171a)은 적어도 일부가 제1그립홀(123a)의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1그립홀(123a)에 배치된 손가락을 통해 제4그립(171a) 내지 록킹레버(171)에 조작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제4그립(171a)은 제1그립홀(123a)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노출영역(171c)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노출영역(171c)은 제2그립홀(133a)과 외관 영역을 둘러싸는 원형의 영역으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노출영역(171c)의 형태는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즉, 노출영역(171c)은 록킹레버(171)의 일부로서, 제1그립홀(123a)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제1그립홀(123a)에 배치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소정의 조작력을 받을 수 있는 형태이면 무방하다.
노출영역(171c)은 소정의 폭(W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폭(W1)은 록킹레버(171)의 작동범위(회전각도)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록킹레버(171)는 제1회전축(R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회전축(R1)은 록킹레버(171)의 하부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축(R1)은 바디부(110)의 폭 방향에 따른 회전축으로 이뤄질 수 있고, 록킹레버(171)는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 회전을 '정방향'으로 지칭하고,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방향 회전을 '역방향'으로 지칭한다.
또한 록킹레버(171)는 제1링크축(171d)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링크축(171d)은 제1회전축(R1)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록킹레버(171)는 대략 원형의 제4그립(171a)을 가지고, 제4그립(171a)의 하단 부위가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그 하단 부위에 제1링크축(171d)이 배치되고 있다. 제1링크축(171d)은 록킹레버(171)의 외면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록킹부(170)는 링크레버(172)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레버(172)는 록킹레버(171)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록킹레버(171)와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링크레버(172)는 대략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 예시되고 있다. 링크레버(172)는 록킹레버(17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1조작부(120)를 고정(잠금)시키거나 고정해제(잠금해제)시킬 수 있다.
링크레버(172)는 제2회전축(R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회전축(R2)은 폭 방향에 따른 회전축으로 이뤄져, 대략 링크레버(172)의 하부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레버(172)는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전술한 제1회전축(R1)에서와 유사하게,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 회전을 '정방향'으로 지칭하고,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방향 회전을 '역방향'으로 지칭한다.
또한 링크레버(172)는 제1링크홀(172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링크홀(172a)은 제2회전축(R2)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링크홀(172a)은 상하로 연장된 슬릿(slit)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제1링크축(171d)은 제1링크홀(172a)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축(171d)은 제1링크홀(17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링크레버(172)는 록킹레버(171)와 연동될 수 있다.
링크레버(172)는 하단에 록킹면(172b)을 구비할 수 있다. 록킹면(172b)은 바디부(110)의 외면에 접촉되어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구속(잠금)하거나, 바디부(110)의 외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구속해제(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는 록킹부(170)의 작동과 관련해 부연한다.
록킹면(172b)은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한 원호(ar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록킹면(172b)의 적절한 이탈(잠금해제)를 위해, 원호 형상을 적절한 중심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원호 형상은 록킹레버(171)의 회전 범위나 노출영역(171c)의 폭(W1)을 고려해 적절한 중심각을 가질 수 있다. 원호 형상의 록킹면(172b)은 소정의 작동 구간 이상에서 록킹면(172b)의 이탈(잠금해제)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 사용 중 불필요한 오작동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록킹면(172b)은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바디부(110)의 외면과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마찰 접촉될 수 있다. 고정력 또는 마찰력의 확보를 위해, 록킹면(172b) 또는 대응되는 바디부(110)의 외면에는 마찰재, 기계적 형상 등이 적절히 부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록킹면(172b)에는 제1록킹기어(172c)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바디부(110)의 외면에는 제2록킹기어(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록킹기어(172c)는 제2록킹기어(115)와 기어결합될 수 있다. 제1, 2록킹기어(172c, 115)는 록킹부(170) 내지 제1조작부(120)가 보다 완전하게 고정(잠금)될 수 있도록 한다.
록킹레버(171) 및/또는 링크레버(172)에는 록킹레버(171)나 링크레버(172)를 초기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수단은 록킹레버(171)나 링크레버(172)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대응해 록킹레버(171)나 링크레버(172)를 탄성 지지하고, 외력(사용자의 조작력)이 제거되면 록킹레버(171)나 링크레버(172)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구조나 재질의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수단은 제1회전축(R1) 또는 제2회전축(R2)에 배치되어, 록킹레버(171) 또는 링크레버(172)를 탄성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시술기구(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하의 작동 과정은 설계 의도된 바에 따른 시술기구(100)의 일반적인 작동 과정이며, 시술기구(100)의 사용 방법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시술기구의 제1작동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내지 3그립(123, 133, 112)을 통해 시술기구(100)를 파지하고, 제2그립(133)을 전진시켜 제2처치구(153)를 시술 부위로 접근시킬 수 있다. 본 작동은 예컨대 스네어로 용종을 포획하기 위해 이뤄질 수 있다.
제2그립(133)의 전진 동작에 있어서, 제1그립(123)은 록킹면(172b)이 바디부(110)의 외면에 구속(잠금)되어 초기 상태로 위치 유지될 수 있다. 의도하지 않게 제1그립(123)에 작용되는 작은 크기의 외력은 탄성수단에 의해 적절히 지지되어, 잠금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시술기구의 제2작동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작동 이후 사용자는 제2그립(133)을 적절히 후진시켜 제2처치구(153)에 용종을 완전히 포획할 수 있다. 또는 용종의 포획 과정은 후술할 약물의 주입과 함께 이뤄지거나, 순차적 또는 단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그립(123)을 전진시켜 제1처치구(143)를 용종으로 접근시킬 수 있다. 본 작동은 예컨대 인젝션을 용종으로 접근시키기 위해 이뤄질 수 있다. 제1처치구(143)가 용종 내부로 삽입되면, 제1커넥터(122)를 통해 제공되는 약물이 용종으로 주입될 수 있다. 약물은 예컨대 생리 식염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작 과정에서 록킹부(17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외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잠금해제되며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조작부(120)를 전진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통해 전방으로 힘을 가하면, 노출영역(171c)이 전방으로 눌리게 되고, 록킹레버(171)는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될 수 있다. 록킹레버(171)가 반시계방향 회전되면, 제1링크축(171d)은 제1링크홀(172a)을 통해 링크레버(172)의 상측을 후방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링크레버(172)는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될 수 있다.
링크레버(172)가 시계방향 회전되면, 록킹면(172b)은 바디부(110)의 외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는 제1록킹기어(172c)가 제2록킹기어(115)로부터 이탈되면서 제1, 2록킹기어(172c, 115) 간의 기어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부(170)과 바디부(110) 간의 구속이 해제되고, 제1조작부(120)는 바디부(110)를 따라 전진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노출영역(171c)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제1조작부(120)를 전진시켜 필요한 시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시술기구의 제3작동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빼고 노출영역(171c)을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면, 록킹레버(171) 내지 링크레버(172)는 탄성수단에 의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록킹면(172b)은 해당 위치에서 다시 바디부(110)의 외면에 접촉되거나, 제1록킹기어(172c)가 제2록킹기어(115)에 맞물리면서, 록킹부(170) 내지 제1조작부(120)는 해당 위치에서 고정(잠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처치구(143)는 용종으로 적절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약물 등을 주입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의료용 시술기구의 제4작동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약물의 주입이 완료되고 제2처치구(153)에 용종이 완전히 포획되면, 제1처치구(143) 내지 제1조작부(120)는 다시 후진될 수 있다. 또한 제2처치구(153)로 전류가 인가되어 스네어를 통한 용종의 절제가 이뤄질 수 있다.
전술한 제1조작부(120)의 전진 동작과 유사하게, 상기의 조작 과정에서 록킹부(17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외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잠금해제되며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조작부(120)를 후진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통해 후방으로 힘을 가하면, 노출영역(171c)이 후방으로 눌리게 되고, 록킹레버(171)는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될 수 있다. 록킹레버(171)가 시계방향 회전되면, 제1링크축(171d)을 제1링크홀(172a)을 통해 링크레버(172)의 상측을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링크레버(172)는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될 수 있다.
링크레버(172)가 반시계방향 회전되면, 록킹면(172b)은 바디부(110)의 외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는 제1록킹기어(172c)가 제2록킹기어(115)로부터 이탈되면서 제1, 2록킹기어(172c, 115) 간의 기어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부(170)과 바디부(110) 간의 구속이 해제되고, 제1조작부(120)는 바디부(110)를 따라 후진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노출영역(171c)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제1조작부(120)를 후진시켜 제1처치구(143)를 시술 부위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후방으로 이동된 제1조작부(120)는 사용자가 더 이상 외력을 가하지 않음에 따라 해당 위치에서 다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도 8을 참조해 전술한 바와 유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시술기구(100)는 인젝터 등의 제1처치구(143)를 조작하기 위한 제1조작부(120)와, 스네어 등의 제2처치구(153)를 조작하기 위한 제2조작부(130)가 하나의 시술기구(100)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술기구(100)는 시술 편의성을 개선하고,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시술기구(100)는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으로 제1 내지 3그립(123, 133, 112)을 잡고 사용 및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처치구(143, 153)의 조작은 대응되는 각 그립(123, 133)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기구(100)는 시술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직관적인 작동 방식을 통해 시술 중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시술기구(100)는 사용자가 시술 과정에서 수행하게 되는 손가락의 전, 후진 동작에 따라 하나의 조작부(120)가 자연스럽게 잠금 또는 잠금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술기구(100)는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술을 수행하면서도, 조작 편의성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의료용 시술기구 110: 바디부
111: 소켓 112: 제3그립
113: 제1스토퍼 114: 제2스토퍼
115: 제2록킹기어 120: 제1조작부
121: 제1조작부바디 122: 제1커넥터
123: 제1그립 130: 제2조작부
131: 제2조작부바디 132: 제2커넥터
133: 제2그립 140: 제1작동부
141: 제1로드 142: 제1와이어
150: 제2작동부 151: 제2로드
152: 제2와이어 160: 절연튜브
161: 제1내측튜브 162: 제2내측튜브
163: 후단영역 164: 전단영역
165: 확관튜브 170: 록킹부
171: 록킹레버 172: 링크레버

Claims (10)

  1. 제3그립(112)이 구비된 바디부(110);
    인젝터(injector)를 포함한 제1처치구(143)의 조작을 위해 상기 바디부(1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1그립(123)이 구비되는 제1조작부(120);
    스네어(snare)를 포함한 제2처치구(153)의 조작을 위해 상기 제1조작부(120)와 독립적으로 상기 바디부(11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제2그립(133)이 구비되는 제2조작부(130); 및
    상기 제1그립(123)에 배치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록킹부(17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3그립(123, 133, 112)은, 사용자가 한 손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170)는,
    제1회전축(R1)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회전 동작되는 록킹레버(171); 및
    상기 제1회전축(R1)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회전축(R2)을 구비하고, 상기 록킹레버(171)의 회전에 연동해 회전 동작되며, 상기 록킹레버(171)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바디부(110)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구속 가능하도록 형성된 링크레버(172);를 포함하는, 의료용 시술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제1조작부(120)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1스토퍼(113); 및
    상기 제1스토퍼(113)와 상이한 전후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조작부(130)의 전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2스토퍼(114);를 포함하는, 의료용 시술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 영역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조작부바디(121);
    상기 제1조작부바디(12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1그립홀(123a)을 구비하는 제1그립(123); 및
    상기 제1조작부바디(12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처치구(143)로의 약물 공급수단이 연결되는 제1커넥터(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하부 영역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조작부바디(131);
    상기 제2조작부바디(13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2그립홀(133a)을 구비하는 제2그립(133); 및
    상기 제2조작부바디(13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처치구(153)로의 전류 공급수단이 연결되는 제2커넥터(132);를 포함하는, 의료용 시술기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70)는,
    상기 제1그립(123)의 제1그립홀(123a)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그립홀(123a)에 배치된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조작력을 전달받는 노출영역(171c); 및
    상기 노출영역(171c)에 인가된 조작력에 연동되고, 상기 바디부(110)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상기 바디부(110)의 외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구속해제하는 록킹면(172b);을 포함하는, 의료용 시술기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레버(171)는,
    상기 제1그립(123)의 제1그립홀(123a) 내측으로 노출되고, 소정 폭(W1)을 갖고 원형으로 연장되는 노출영역(171c); 및
    상기 제1회전축(R1)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된 제1링크축(171d);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레버(17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축(171d)이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제1링크홀(172a); 및
    상기 제2회전축(R2)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110)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상기 바디부(110)의 외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1조작부(120)의 이동을 구속해제하는 록킹면(172b);을 포함하는, 의료용 시술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록킹면(172b)은,
    원호(arc) 형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10)의 외면에 형성된 제2록킹기어(115)와 기어결합되는 제1록킹기어(172c)를 포함하는, 의료용 시술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단에 상기 제1처치구(143)가 구비된 제1와이어(1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작부(12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동작되는 제1작동부(140); 및
    후단에 상기 제2처치구(153)가 구비된 제2와이어(15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조작부(13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동작되는 제2작동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와이어(142)는, 제1내측튜브(16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와이어(152)는, 제2내측튜브(162)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2내측튜브(161, 162)는, 절연튜브(16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의료용 시술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절연튜브(160)는,
    제1외경(D1)을 가지고, 상기 바디부(110)에 인접한 상기 절연튜브(160)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후단영역(163); 및
    상기 후단영역(163)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외경(D1)보다 소정 정도 작은 제2외경(D2)을 갖는 전단영역(164);을 포함하고,
    상기 후단영역(163)은,
    상기 절연튜브(16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절연튜브(160)의 외경을 상기 제2외경(D2)에서 상기 제1외경(D1)으로 부분적 확관시키는 확관튜브(165)를 포함하는, 의료용 시술기구.
KR1020220092890A 2022-07-27 2022-07-27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 KR102456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90A KR102456963B1 (ko) 2022-07-27 2022-07-27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90A KR102456963B1 (ko) 2022-07-27 2022-07-27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963B1 true KR102456963B1 (ko) 2022-10-19

Family

ID=8380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890A KR102456963B1 (ko) 2022-07-27 2022-07-27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9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28B1 (ko) 2010-11-24 2013-05-03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
KR20180016236A (ko) * 2016-08-05 2018-02-14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의료용 스네어
CN210009125U (zh) * 2018-11-29 2020-02-04 饶小龙 一种用于内镜的手术器械
KR20200049258A (ko) * 2018-10-31 2020-05-08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병변조직 제거용 의료용 스네어
KR102076622B1 (ko) 2019-04-02 2020-05-18 주식회사 비씨엠 착탈식 의료용 스네어 전류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스네어
CN213156252U (zh) * 2020-07-08 2021-05-11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集粘膜切开、粘膜下注射及圈套切除于一体的装置
CN214908014U (zh) * 2021-03-01 2021-11-30 谢菁 一种一体式切除器套件
US20220022956A1 (en) * 2019-04-15 2022-01-27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snar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28B1 (ko) 2010-11-24 2013-05-03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
KR20180016236A (ko) * 2016-08-05 2018-02-14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의료용 스네어
KR20200049258A (ko) * 2018-10-31 2020-05-08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병변조직 제거용 의료용 스네어
CN210009125U (zh) * 2018-11-29 2020-02-04 饶小龙 一种用于内镜的手术器械
KR102076622B1 (ko) 2019-04-02 2020-05-18 주식회사 비씨엠 착탈식 의료용 스네어 전류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의료용 스네어
US20220022956A1 (en) * 2019-04-15 2022-01-27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snare
CN213156252U (zh) * 2020-07-08 2021-05-11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集粘膜切开、粘膜下注射及圈套切除于一体的装置
CN214908014U (zh) * 2021-03-01 2021-11-30 谢菁 一种一体式切除器套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22907A1 (en) Tissue engag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4624485B2 (ja) 縫合器及び縫合システム
ES2250753T3 (es) Aparato endoscopico de sutura vascular.
EP1277443B1 (en) Surgical treating instrument
KR100884864B1 (ko) 내시경 치료 기구
CN105611864B (zh) 用于支撑内窥镜工具的装置
US20050234507A1 (en) Medical tool for access to internal tissue
US8142356B2 (en) Method of manipulating tissue
US20070167676A1 (en) Overtube and medical procedure via natural orifice using the same
JP2010036027A (ja) 縫合器
JP2010522626A (ja) 固定可能なカニューレおよびカニューレの固定方法
KR101822606B1 (ko) 의료용 스네어 장치
JP4450873B2 (ja) 内視鏡用穿刺針操作補助器具
CN109862832A (zh) 带有用于填塞器的锁定组件的血管封堵装置
US11701498B2 (en) Guide wire gripping unit
WO2011004905A1 (ja) 生体管小孔縫合手術システム
KR102336100B1 (ko) 복수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US6736812B2 (en) Dual short throw advancer/retractor
KR102456963B1 (ko) 스네어 및 인젝터가 일체화된 의료용 시술기구
KR101484491B1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US11083450B2 (en) Laparoscopic device
KR102614596B1 (ko) 복수개 처치구 병용을 위한 멀티 루멘 구조의 의료용 토출 기구
KR102161618B1 (ko)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
JPWO2020017024A1 (ja) ガイドワイヤ保持具
JP4254275B2 (ja) 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