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912B1 -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912B1
KR102456912B1 KR1020210135136A KR20210135136A KR102456912B1 KR 102456912 B1 KR102456912 B1 KR 102456912B1 KR 1020210135136 A KR1020210135136 A KR 1020210135136A KR 20210135136 A KR20210135136 A KR 20210135136A KR 102456912 B1 KR102456912 B1 KR 102456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aterial
tire
sound absorbing
r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영
고병재
문경호
양정원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82Inner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인너라이너 부위에 부착되는 흡음재를 균일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는, 타이어 인너라이너에 부착된 흡음재 위에 설치되는 하부링과, 상기 하부링 위에 장착되어, 하부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링 및 상기 상부링의 양측에서 인너라이너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Tire sound absorbing material crimping device}
본 발명은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인너라이너 부위에 부착되는 흡음재를 균일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정련, 압연, 압출, 비드 공정을 거쳐 성형 공정을 통해 그린타이어를 만든 후 가류 공정을 통해 완제품 타이어를 제조한다. 완제품 타이어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운행 시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공명음이라고 하는데, 이 소음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와 내부 인원들의 감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타이어 공명음 저감을 위하여, 타이어 내측면, 보다 정확하게는 타이어 트레드의 반대편에 위치한 인너라이너 부위에 흡음재를 원주방향을 따라 부착하게 된다. 상기 흡음재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우선 타이어 인너라이너에서 흡음재가 부착될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난 후, 흡음재를 부착하고 별도의 흡음재 부착장치를 통해 흡음재를 접착제에 눌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5797호에서는, "흡음재 고정밴드를 구비하는 타이어 흡음재고정구조 및 이의 포함하여 제조되는 타이어"를 개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흡음재, 신축가능한 소재로 되고, 상기 타이어의 내부 표면과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흡음재를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밀착시키고,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흡음재 고정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압부는 신장되었다가 수축하면서 상기 흡음재의 상면에 하방 압력을 가하며, 별도의 접착층을 도포하지 않기 때문에 흡음재 부착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타이어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흡음재를 타이어의 내부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타이어의 흡음재고정구조"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타이어 흡음재 고정구조의 경우, 고정밴드라는 별도의 구성을 부착시키게 되므로 별도의 이물에 따른 소음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흡음재를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의 또 다른 방법으로 타이어 인너라이너 부위에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흡음재 고정장치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인너라이너 양측에 흡음재 고정장치의 양측 링이 끼워지고 양측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탄성지지대에 의해 흡음재를 가압해주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흡음재 고정장치가 파손되는 경우, 흡음재가 이탈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전술한 흡음재 고정밴드와 마찬가지로 타이어 인너라이너 부위에 고정장치라는 별도의 구성이 설치됨으로써 추가적인 소음발생의 우려가 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775797호(2017.09.06 공고)
본 발명은, 타이어 인너라이너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별도의 구성 없이 흡음재를 균일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는, 타이어 인너라이너에 부착된 흡음재 위에 설치되는 하부링과, 상기 하부링 위에 장착되어, 하부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링 및 상기 상부링의 상부에서 하부링과 상부링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링과 상부링 사이에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링 하측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인너라이너에 도포된 접착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압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링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링을 슬라이딩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음재상에 부착 설치되는 별도의 구성 없이 흡음재를 압착 고정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소음발생요인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 인너라이너 부위에 흡음재가 균일하고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타이어 흡음재 고정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딩 체결부에 의해 하부링과 상부링이 상호 체결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압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딩 체결부에 의해 하부링과 상부링이 상호 체결되는 전후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는, 타이어 인너라이너에 부착된 흡음재 위에 설치되는 하부링(10)과, 상기 하부링(10) 위에 장착되어, 하부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링(20) 및 상기 상부링(20)의 상부에서 하부링(10)과 상부링(20)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링(10)과 상부링(20)은 하나의 세트로써 타이어 인너라이너 부위에 장착되는 흡음재 압착장치로써, 우선 타이어 인너라이너 부위에 흡음재가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이렇게 접착된 흡음재는 별도의 압착장치 없이는 추후 사용에 의해 이탈되거나 파손되면서 또 다른 소음유발 요소가 되어 흡음재를 인너라이너 부위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링(10)과 상부링(20)을 포함한 흡음재 압착장치가 흡음재 위에 결합되어 흡음재를 인너라이너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링(10)은 타이어 인너라이너에 부착되며 소정의 폭, 바람직하게는 흡음재와 동일하거나 더 큰 폭을 가지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링(10)의 상부에는 상부링(2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성은 후술하는 슬라이딩 체결부(40)를 통해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링(10)가 상부링(20)이 흡음재 위에 설치되고, 별도의 체결동작을 통해 체결 및 이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톱니바퀴 체결방식에 의해 상부링(20)이 하부링(10) 방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링(20)이 하부링(10)으로 가압해주면서 이탈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면 그 어떤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30)는 상기 하부링(10)과 상부링(20)을 포함하는 압착장치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링(20)의 상부에서 설치되며 양측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형성되는 프레임을 가진 'ㄷ'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측 프레임에 의해 하부링(10)과 상부링(20)이 흡음재 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며 특히 압착되는 라인이 흡음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링(10)과 상부링(20) 사이에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체결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체결부(40)는 하부링(10)의 상부와 상부링(2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호 체결 및 이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링(10)이 흡음재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링(20)을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딩 체결부(40)에 의해 상호 체결이 이루어진다. 체결됨과 동시에 상부링(20)은 하부링(10)을 가압해줌에 따라 하부링(10)이 흡음재를 인너라이너 방향으로 밀착시켜 흡음재가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일정시간 경과후에는, 상부링(20)을 하부링(10)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흡음재로부터 제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링(10) 하측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인너라이너에 도포된 접착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압착돌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돌기(50)는 흡음재와 인너라이너가 맞닿는 곳에 도포된 접착제의 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게 압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부링(10)의 하부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흡음재 하부에서 복수개의 라인으로 도포된 접착제와 동일한 라인으로 압착돌기(50)가 형성됨으로써, 이후 슬라이딩되어 하부링(10)이 흡음재에 가압되는 과정에서 접착제와 보다 강하게 접착되면서 흡음재 압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링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링을 슬라이딩시키는 손잡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60)는 상부링(2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압착을 진행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부링(20)을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끔 도와주는 구성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부링
20 : 상부링
30 : 가이드
40 : 슬라이딩 체결부
50 : 압착돌기
60 : 손잡이

Claims (4)

  1. 타이어 인너라이너에 부착된 흡음재 위에 설치되는 하부링;
    상기 하부링 위에 장착되어, 하부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링; 및
    상기 상부링의 상부에서 하부링과 상부링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과 상부링 사이에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 하측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인너라이너에 도포된 접착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압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링을 슬라이딩시키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KR1020210135136A 2021-10-12 2021-10-12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KR102456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136A KR102456912B1 (ko) 2021-10-12 2021-10-12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136A KR102456912B1 (ko) 2021-10-12 2021-10-12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912B1 true KR102456912B1 (ko) 2022-10-21

Family

ID=8380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136A KR102456912B1 (ko) 2021-10-12 2021-10-12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91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0461A (ja) * 2014-07-04 2017-07-27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タイヤ内面に発泡体リングを配置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775797B1 (ko) 2015-11-30 2017-09-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재 고정밴드를 구비하는 타이어 흡음재고정구조 및 이의 포함하여 제조되는 타이어
KR101781795B1 (ko) * 2015-11-09 2017-09-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내부에 흡음재 부착장치
KR101801932B1 (ko) * 2016-02-22 2017-1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 부재를 가진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53806A (ko) * 2016-11-14 2018-05-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흡음재 부착장치
KR102003672B1 (ko) * 2016-10-31 2019-07-25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내면으로의 대상 부재의 첩부 장치 및 방법
JP2020001179A (ja) * 2018-06-25 2020-01-0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内面への帯状部材の貼付け装置および方法
JP2021133644A (ja) * 2020-02-28 2021-09-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0461A (ja) * 2014-07-04 2017-07-27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タイヤ内面に発泡体リングを配置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781795B1 (ko) * 2015-11-09 2017-09-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내부에 흡음재 부착장치
KR101775797B1 (ko) 2015-11-30 2017-09-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재 고정밴드를 구비하는 타이어 흡음재고정구조 및 이의 포함하여 제조되는 타이어
KR101801932B1 (ko) * 2016-02-22 2017-1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 부재를 가진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3672B1 (ko) * 2016-10-31 2019-07-25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내면으로의 대상 부재의 첩부 장치 및 방법
KR20180053806A (ko) * 2016-11-14 2018-05-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흡음재 부착장치
JP2020001179A (ja) * 2018-06-25 2020-01-0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内面への帯状部材の貼付け装置および方法
JP2021133644A (ja) * 2020-02-28 2021-09-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716B2 (en) Trim molding for a motor vehicle window panel
US6539671B2 (en) Automotive weather strip with extended base
US7651150B2 (en) Trim molding for a motor vehicle window panel
KR101801932B1 (ko) 흡음 부재를 가진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7331295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EP1798075A3 (en) Pneumatic tire and noise damper assembly
CN101688423A (zh) 与腰线、玻璃滑槽和上部窗侧一体的金属装饰条
JP2007099052A (ja) 電子部品付タイヤ及び電子部品付タイヤの製造方法
US9346418B2 (en) Sealing strand for adhering to a vehicle body
US20110179628A1 (en) Method for arranging and fastening a decorative strip in the region of a motor vehicle window
KR102456912B1 (ko) 타이어 흡음재 압착장치
JP2000516551A (ja) グレイジング異形材を備える窓
JP3045743B2 (ja) 軟カバーを有するビードフィラー構造
JP7346083B2 (ja) 樹脂外板の接着構造
JP2010111089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484201B2 (ja) 車両用のウインドウモ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166938A (zh) 一种汽车车门密封条、汽车车门、汽车及安装方法
US20060032181A1 (en) Vehicle glazing edge seal with embedded stiffener
JP3927651B2 (ja) 電気音響変換器用の振動板を製造する方法
JP2006525153A (ja) 成形ガスケット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そのために用いられるガスケット
JP5376229B2 (ja) 内装材の製造方法
JP7351146B2 (ja) 車両用ガラスモール構造および車両製造方法
JP4572637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
JP2014502579A (ja) タイヤ及びタイヤ製造方法
JP3991692B2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