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630B1 -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630B1
KR102456630B1 KR1020180055194A KR20180055194A KR102456630B1 KR 102456630 B1 KR102456630 B1 KR 102456630B1 KR 1020180055194 A KR1020180055194 A KR 1020180055194A KR 20180055194 A KR20180055194 A KR 20180055194A KR 102456630 B1 KR102456630 B1 KR 10245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ceiving
transmitting
side controll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727A (ko
Inventor
한정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63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네트워크 환경에서 일대다 대용량 메시지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송신측 제어기와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분할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분할 메시지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이 상기 송신측 제어기에서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 각각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 중 특정 수신측 제어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 각각에서 결정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이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에서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와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결정한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이 상기 송신측 제어기 및 상기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IN-VEHICLE CON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네트워크 환경에서 일대다 대용량 메시지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장비 시스템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복잡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제어기가 증가함에 따라 입/출력의 수 또한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거리가 떨어진 제어기들간의 입출력을 위해 많은 통신선(wire)들이 사용되었으나, 복잡도 증가에 따라 물리적 와이어의 증가에 따른 원가와 공간상의 제약, 중량증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도입된 것이 CAN(Controller Area Network)와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CAN 통신 방식은 각 제어기들이 두 가닥의 와이어(CAN LOW, CAN HIGH)로 병렬 연결되어 정해진 CAN 프로토콜(데이터 전송 방식, 데이터 전송률, 우선순위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단 2가닥의 와이어로 수많은 정보들을 제어기들간에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CAN 통신 방식은 획기적으로 차량 시스템을 개선한 방식이다.
차량용 네트워크의 백본망을 구성하고 있는 CAN (Controller Area Network) 프로토콜은 CAN 컨트롤러(120)와 CAN 트랜시버로 구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CAN 프로토콜은 CAN 컨트롤러(120) 및 CAN 트랜시버(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AN 프로토콜은 마이크로컴퓨터(이하 MCU라 한다; 110)와 연결된다. CAN 컨트롤러(120)는 내부 버퍼를 가지며 트랜시버에서 전달되는 수신 메시지에 대해 유효한 데이터인지 아닌지 판별 MCU(110)으로 전달한다. 송신 메시지의 경우 MCU(110)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해 CAN 트랜시버로 전달한다.
CAN 트랜시버(130)는 CAN 버스 혹은 MCU(110)에서 전달되는 송수신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CAN 트랜시버(130)는 MCU(110)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CAN 통신용 데이터로 변환하며, CAN 버스에서 전달된 CAN 통신용 데이터를 MCU(110)) 송수신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한편, CAN 프로토콜은 대용량 데이터(예컨대, 8바이트 이상) 전송을 위해 전송 프로토콜(TP: Transport Protocol) 메시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TP 메시지를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 전송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TP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에서 Tx는 송신측 제어기를 의미하고, Rx는 수신측 제어기를 의미하며, 양 제어기 간에는 CAN 버스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해 송신측에서 먼저 최초 프레임(FF: First Frame)을 수신측으로 전송한다(S210). 여기서, 최초 프레임(FF)은 대용량의 원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최대 크기(예컨대, 8Byte)를 갖는 복수의 분할 메시지(Segmented message)로 분할한 경우, 분할 메시지의 첫 번째 프레임에 해당한다.
최초 프레임(FF)을 수신한 수신측에서는 상태(Status), 블럭 크기(block size), 세퍼레이션 타임(Seperation time)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플로우 컨트롤(FC: Flow Control) 프레임을 송신측으로 전송한다(S220).
이후 송신측에서는 최초 프레임 이후의 나머지 분할 메시지에 해당하는 후속 프레임(CF: Consecutive Frame)을 연속적으로 전송한다(S230~S250).
필요에 따라, 수신측은 송신측에 플로우 컨트롤(FC)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으며(S260), 송신측은 마지막 분할 메시지가 전송될 때까지 후속 프레임(CF)을 전송할 수 있다(S270).
이러한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나머지 세부 사항은 관련 표준인 ISO 15765-2를 기재하여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그런데, CAN 네트워크에서 전술한 일반적인 TP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식은 싱글 프레임(SF: Single Frame, 8Byte 이하의 데이터 전송)을 제외한 경우 일대일 통신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서로 다른 두 제어기에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이를 위해서는 시간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제어 신호(예컨대, IL:Interaction Layer)가 필요하다.
따라서, MP3 파일에 포함된 앨범 재킷 이미지나 곡목 등의 태그 정보를 클러스터와 HUD에 함께 전송하는 경우와 같이, 차량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복수의 제어기로 동시에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별도의 제어 신호 없이도 일대다 통신이 가능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CAN 통신 환경에서 대용량 일대다 전송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동기화 제어 신호 없이 일대다 대용량 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송신측 제어기와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분할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분할 메시지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이 상기 송신측 제어기에서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 각각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 중 특정 수신측 제어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 각각에서 결정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이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에서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와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결정한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이 상기 송신측 제어기 및 상기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분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분할 메시지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측 제어기;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 중 특정 수신측 제어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 각각은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을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는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와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결정한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상기 송신측 제어기 및 상기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별도의 동기화를 위한 제어 신호 없이도 대용량 일대다 통신이 CAN 통신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대다 통신에 참여하는 수신측 제어기의 이상 상황에 대처하는 프로토콜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CAN 프로토콜의 간단한 구현예이다.
도 2는 일반적인 TP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두 개의 수신측 제어기가 존재할 경우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데이터 전송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셋 이상의 수신측 제어기가 존재할 경우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데이터 전송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수신측 제어기의 최종 BS 값 및 Stmin 값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에서 제2 수신측 제어기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데이터 전송 과정을, 도 8은 제1 수신측 제어기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데이터 전송 과정을 각각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어기들 중 어느 하나의 송신측 제어기가 둘 이상의 다른 수신측 제어기에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 특정 수신측 제어기가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의 통신 상태를 취합하여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 파라미터 값을 네트워크에 알리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그에 따라, 송신측 제어기는 결정된 통신 파라미터 값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를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에 동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전송 방식이 수행되는 차량용 네트워크 구성의 개요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 네트워크 구성이 도시된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송신측 제어기(Tx)에, 두 개의 수신측 제어기(Rx1, Rx2)가 하나의 CAN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물론, 도 3에서는 두 개의 수신측 제어기를 가정하나, 이보다 많은 수신측 제어기가 동일한 CAN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두 개의 수신측 제어기(Rx1, Rx2)는 동일한 CAN 버스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송신측 제어기(Tx)가 전송하는 CAN 프레임(즉, TP Message)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Tx ↔ Rx1" 과 "Tx ↔ Rx2"와 같이 수신측 제어기별로 별도의 TP 메시지 쌍(Pair)은 구성하지 않는다.
이러한 망 구성을 가정하여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데이터 전송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두 개의 수신측 제어기가 존재할 경우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데이터 전송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포함한 이하의 도면들에서는, 송신측 제어기가 전송할 데이터가 싱글 프레임의 용량보다 커서, TP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라 복수의 분할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에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제1 수신측 제어기(Rx1)가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로부터 통신 상태를 취합하여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 파라미터 값을 네트워크에 알리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때, 통신 상태를 취합하고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제어기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송신측 제어기(Tx)가 최초 프레임(FF, ①)을 수신측 제어기들에 전송한다. 최초 프레임(FF)에는 적어도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Data Size)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수신측 제어기(Rx1)는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 즉 제2 수신측 제어기(Rx2)로부터 통신 파라미터 값의 수신을 대기하고, 제2 수신측 제어기(Rx2)는 자신이 수신 가능한 블럭 사이즈(BS: Block Size, 다음에 연속적으로 수신할 후속 프레임(CF)의 개수), 후속 프레임(CF)간 최소 간격(Stmin) 값 등을 포함하는 플로우 컨트롤(FC(Rx2)) 프레임(②)을 제1 수신측 제어기(Rx1)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플로우 컨트롤(FC) 프레임은 통신 파라미터를 취합 및 결정하는 특정 수신측 제어기, 즉, 제1 수신측 제어기(Rx1)만 수신하면 족하므로, "내부(Internal) 플로우 컨트롤"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수신측 제어기(Rx2)로부터 플로우 컨트롤(FC(Rx2)) 프레임을 수신한 제1 수신측 제어기(Rx1)는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와 제2 수신측 제어기(Rx2)로부터 수신된 플로우 컨트롤(FC(Rx2)) 프레임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를 비교하여 최종 BS 값 및 Stmin 값을 결정하고, 이를 플로우 컨트롤(FC) 프레임(③)을 통해 네트워크에 공유한다. 여기서, 최종 BS 값 및 Stmin 값의 결정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에 따라, 송신측 제어기(Tx)는 제1 수신측 제어기(Rx1)가 전송한 FC 프레임의 정보에 기반하여 후속 프레임들(CF, ④)을 각 수신측 제어기(Rx1, Rx2)에 동시 전송할 수 있다.
BS 값에 해당하는 CF들의 전송이 종료되면, 최종 CF가 전송완료될 때까지 내부 플로우 컨트롤 메시지 전송부터 CF 들의 전송이 반복될 수 있다.
도 5는 셋 이상의 수신측 제어기가 존재할 경우 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데이터 전송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의 경우, 도 4와 달리 셋 이상의 수신측 제어기(RxN, 여기서 N>2인 자연수)가 하나의 CAN 버스에 연결된 경우를 가정하되, 기본적인 과정은 도 4와 동일하므로 도 4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측 제어기(Tx)가 최초 프레임을 모든 수신측 제어기(Rx1~RxN)에 전송하는 과정과, 제1 수신측 제어기(Rx1)이 나머지 제어기들로부터 내부 FC 프레임(FC(Rx2)~FC(RxN))을 대기하는 과정은 동일하다. 대신, 내부 FC 프레임은 제1 수신측 제어기(Rx1)를 제외한 모든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Rx2~RxN)로부터 제1 수신측 제어기(Rx1)로 전송되며, 제1 수신측 제어기(Rx1)는 최종 BS 값 및 Stmin 값을 결정함에 있어 제2 수신측 제어기(Rx2) 뿐만 아니라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의 통신 파라미터도 고려하게 된다.
그에 따라, 송신측 제어기(Tx)는 제1 수신측 제어기(Rx1)가 전송한 FC 프레임의 정보에 기반하여 후속 프레임들(CF)을 각 수신측 제어기(Rx1~RxN)에 동시 전송할 수 있다. BS 값에 해당하는 CF들의 전송이 종료되면, 최종 CF가 전송완료될 때까지 내부 플로우 컨트롤 메시지 전송부터 CF 들의 전송이 반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최종 BS 값 및 Stmin 값의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수신측 제어기의 최종 BS 값 및 Stmin 값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최종 BS 값 및 Stmin 값의 결정 주체가 제1 수신측 제어기(Rx1)인 경우를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내부 FC 프레임을 통해 제1 수신측 제어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의 BS 값과 Stmin 값이 제1 수신측 제어기에 획득된다. 여기서, Stmin.rxN은 제N 수신측 제어기에서 설정한 Stmin 값을, BS.rxN은 제N 수신측 제어기에서 설정한 BS 값을 각각 나타낸다.
획득된 BS 값과 Stmin 값은 제1 수신측 제어기(Rx1)가 설정한 Stmin 값(즉, Stmin.rx1)과 BS 값(즉, BS.rx1)과 함께 비교되어, 모든 Stmin 값 중에 가장 작은 Stmin 값이 최종 Stmin 값으로 결정되고, 모든 BS 값 중에 가장 작은 BS 값이 최종 BS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이상 상황 대처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네트워크에서 제2 수신측 제어기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데이터 전송 과정을, 도 8은 제1 수신측 제어기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데이터 전송 과정을 각각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과 8에서는 편의상, 공통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성을 가정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제2 수신측 제어기(Rx2)가 통신불능이므로, 송신측 제어기(Tx)가 최초 프레임(FF)을 전송한 후 제1 수신측 제어기(Rx1)가 제2 수신측 제어기로부터 내부 플로우 컨트롤(FC) 프레임의 수신을 대기하나, 수신에 실패한다.
제1 수신측 제어기(Rx1)는 제2 수신측 제어기(Rx2)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자신의 기준으로 Stmin 값과 BS 값을 결정하여 플로우 컨트롤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송신측 제어기(Tx1)와 제1 수신측 제어기(Rx1) 간 플로우 컨트롤을 통해 제2 수신측 제어기(Rx2)에 대한 고려 없이 데이터 전송이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수신측 제어기(Rx1)가 통신불능이므로 송신측 제어기(Tx)가 최초 프레임(FF)을 전송한 후 제2 수신측 제어기(Rx2)가 제1 수신측 제어기(Rx1)로 내부 플로우 컨트롤(FC(Rx2)) 프레임을 전송하더라도 제1 수신측 제어기(Rx1)가 플로우 컨트롤(FC)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송신측 제어기(Tx)는 TP 통신을 중단한다.
전술한 대용량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활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AVN(Audio/Video/Navigation)에서 전송하는 AV 관련 대용량 정보(즉, 곡명, 앨범 이미지 등)가 클러스터와 HUD에서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일한 펌웨어로 업데이트 되어야 하는 두 제어기에 리프로그래밍을 진행할 때, 하나의 TP 메시지만을 전송하여 업데이트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TP 메시지만을 이용하여 시간동기가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별도 IL 메시지를 통해 시간 동기화가 불필요하다. 즉, 송신측 제어기는 각각의 제어기에 별도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한 번의 전송만으로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므로 시간이 절약될 수 있을 뿐 아니라, DB 효율화 및 버스로드 절감까지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인 TP 메시지 방식과 비교할 때, 일반적인 TP 메시지 방식은 타겟 수신측 제어기의 숫자만큼 분할 프레임 전송이 반복되어야 하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식은 1회의 전송으로 모든 수신측 제어기가 동일 프레임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동시 전송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TP 메시지 방식에서는 복수의 송신측 제어기가 필요하나(즉, 일대일 전송 과정이 수신측 제어기 개수만큼 필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송신측 제어기로 충분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하나의 송신측 제어기와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분할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분할 메시지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이 상기 송신측 제어기에서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 각각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 중 특정 수신측 제어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 각각에서 결정된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이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에서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와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결정한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이 상기 송신측 제어기 및 상기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기에서 상기 제3 프레임에 포함된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후속 프레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프레임이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은,
    해당하는 상기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에서 지원하는 블럭 사이즈(BS) 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프레임 사이의 최소 간격(Stmin)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와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의 통신 파라미터 값 중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는,
    상기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기는,
    상기 제3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기와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는 전송 프로토콜(TP) 메시지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최초 프레임(FF)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은 플로우 컨트롤(FC)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프레임은 후속 프레임(CF)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기와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는 하나의 CAN 버스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1. 일대다 분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한 분할 메시지의 최초 프레임에 해당하는 제1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측 제어기;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 중 특정 수신측 제어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 각각은,
    자신의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을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는,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와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결정한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상기 송신측 제어기 및 상기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기는,
    상기 제3 프레임에 포함된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후속 프레임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프레임을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로 전송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은,
    해당하는 상기 나머지 수신측 제어기에서 지원하는 블럭 사이즈(BS) 값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프레임 사이의 최소 간격(Stmin)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통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와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의 통신 파라미터 값 중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는,
    상기 특정 수신측 제어기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상기 최종 통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기는,
    상기 제3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기와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는 전송 프로토콜(TP) 메시지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최초 프레임(FF)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은 플로우 컨트롤(FC)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프레임은 후속 프레임(CF)을 포함하는, 차량용 통신 시스템.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제어기와 상기 복수의 수신측 제어기는 하나의 CAN 버스를 통해 연결된, 차량용 통신 시스템.
KR1020180055194A 2018-05-15 2018-05-15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KR10245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94A KR102456630B1 (ko) 2018-05-15 2018-05-15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194A KR102456630B1 (ko) 2018-05-15 2018-05-15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27A KR20190130727A (ko) 2019-11-25
KR102456630B1 true KR102456630B1 (ko) 2022-10-18

Family

ID=6873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194A KR102456630B1 (ko) 2018-05-15 2018-05-15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6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0091A (ja)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13159146A (ja) 2012-02-01 2013-08-19 Denso Corp 車両用データ通信装置
JP2015000597A (ja) 2013-06-13 2015-0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
JP2015179375A (ja)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ログラム書換システムおよび電子制御装置
JP2015202839A (ja) 2014-04-16 2015-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車載中継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0091A (ja) 2009-02-26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13159146A (ja) 2012-02-01 2013-08-19 Denso Corp 車両用データ通信装置
JP2015000597A (ja) 2013-06-13 2015-0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
JP2015179375A (ja) 2014-03-19 2015-10-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ログラム書換システムおよび電子制御装置
JP2015202839A (ja) 2014-04-16 2015-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車載中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727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2788B2 (en) Method of organizing nodes of a network into groupings of nodes,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ming a node of a network of nodes
US11843529B2 (en) Slave-to-master data and out-of-sequence acknowledgements on a daisy-chained bus
US8078785B2 (en) Host modules, electronic devices, electronic system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CN102647323B (zh) 流量控制方法、装置和集群系统
CN105282209A (zh) 车辆用网络系统和其中异构通信控制器的数据传输方法
CN105450266A (zh) 一种近距离传输数据的方法、终端和系统
CN110365643A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WO2017128905A1 (zh) 一种单主机多环most网络通信系统
US20200092043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CN104868979A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其系统
CN102025923A (zh) 实现多模式接入的数字矩阵控制系统及方法
CN104717160A (zh) 交换机及调度算法
CN110971533B (zh) 用于数据通信的方法、服务器装置、客户端装置和介质
KR102456630B1 (ko) 차량용 제어기 및 그 데이터 전송 제어방법
CN104598403A (zh) 一种基于pcie交换器的集群存储系统
CN102694727A (zh) 实现网络数据包转发加速的方法及装置
CN102904803A (zh) 一种报文传输方法和设备
US11803494B2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master device and system
CN103973592A (zh) 信元处理方法及装置
US10353846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train bus architecture
US20180018296A1 (en) Flow control protocol for an audio bus
KR101593840B1 (ko) 캔 프레임 송신 방법 및 장치
CN109343387B (zh) 数据通讯方法、装置、设备及空调
CN113794958B (zh) 一种基于多区域的智能组网控制方法
CN202818349U (zh) 一种most网络与以太网络网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