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617B1 - 롤러블 펜 - Google Patents

롤러블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617B1
KR102456617B1 KR1020210150494A KR20210150494A KR102456617B1 KR 102456617 B1 KR102456617 B1 KR 102456617B1 KR 1020210150494 A KR1020210150494 A KR 1020210150494A KR 20210150494 A KR20210150494 A KR 20210150494A KR 102456617 B1 KR102456617 B1 KR 10245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slide link
link
sleev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길
Original Assignee
이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길 filed Critical 이한길
Priority to KR1020210150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617B1/ko
Priority to CN202221723764.XU priority patent/CN218343144U/zh
Priority to PCT/KR2022/015616 priority patent/WO202308048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한 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할 때는 펜을 펴서 카드 형태로 지갑에 수납하여 휴대하다가 펜을 사용할 때는 카드 형태의 펜을 둥글게 말아 펜 형태로 형 변경하여 사용도록 구성된 롤러블 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러블 펜 {Rollable pen}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한 펜에 관한 것으로서, 펜을 카드 형태로 평평하게 펼쳐서 지갑에 수납하여 휴대하다가, 필요시 꺼내어 둥글게 말아 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롤러블 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업무상 급하게 메모하여야 하거나, 서명을 하여야 할 필요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필기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필기구를 휴대하지 못한 경우 기억에 의존하여 업무를 처리하여 업무 진행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이와 같이 필기구는 거의 필수적으로 휴대하여야 하는 물품임에도,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휴대하더라도 자주 분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21735호, "필기구가 구비된 카드"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8303호, "필기 수단을 갖는 카드"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7686호, "카드 볼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출시 항상 휴대하는 지갑에 카드 형태로 수납하여 다니다가, 급하게 메모를 하거나 서명을 하여야 할 때 카드 형태의 펜을 둥글게 말아 펜 형태로 형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롤러블 펜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러블 펜은 펜(1323)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 상단 부재(130)와, 상기 상단 부재(130)의 일측으로 소정 개수가 연속으로 평행하게 체결되는 연결 부재(120)와, 연속 체결된 연결 부재(120)의 측단부에 평행하게 체결되는 하단 부재(110) 및 상기 각각의 부재(110,120,130)가 이웃하는 부재(110,120,130)에 대해 소정 각도 꺾여 회전 가능하도록 부재(110,120,130)들을 체결하는 회전 체결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카드 형태를 이루는 각 부재(110,120,130)를 말아 연결 부재(120)가 다각형 기둥을 이루고, 상단 부재(130)와 하단 부재(110)가 다각형 기둥 내부에서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며, 펜(1323)이 돌출되어 카드 형태에서 펜 형태로 형 변경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연결 부재(120)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 부재(120)에 체결된 슬라이드 링크(1220)와, 상기 슬라이드 링크(1220) 단부에 삼각 형태로 성형된 펜 지지대(122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펜(1323)과 연동하여 펜 지지대(1221)가 돌출되면서 펜 지지대(1221)가 펜(1323)과 방사상으로 접하며 펜(1323)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펜 지지대(1221)의 펜(1323)과 접하는 면에는 홈 형태의 펜 홈(1222)을 구성함으로써, 펜 지지대(1221)가 펜(132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 부재(130)와 하단 부재(110)가 다각형 기둥 내부에서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은 내부에 홀더(1320)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상단 부재(130)에서 돌출되는 펜부(1351)와, 하단 부재(110)에 홈 형태로 형성된 펜부 수납홈(1111)으로 구성되어, 상기 펜부(1351)가 펜부 수납홈(1111)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체결수단은 상기 각 부재(110,120,130)의 측면에 슬리브가 형성되고, 어느 한 부재의 슬리브와 인접한 다른 부재의 슬리브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며, 축(1217)이 슬리브에 삽입되어 부재(110,120,130)를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링크(1220)의 측면에 형성된 슬리브에 상기 축(1217)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링크(1220)를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지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소에 카드 형태로 펼쳐서 지갑에 수납하여 휴대하다가, 필요시 언제든 지갑에서 꺼내 둥글게 말아 펜 형태로 형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둥글게 말아 일반적인 펜 형태로 형 변경하여 사용할 때도 펜의 몸체와 펜이 흔들거리지 않아 일반적인 펜과 다름없는 필기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커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커버를 분해 도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펜을 구성하는 하단 부재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펜을 구성하는 연결 부재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연결 부재에서 슬라이드 링크와 링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펜을 구성하는 상단 부재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단 부재에서 슬라이드 링크와 상단부재 링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단 부재, 연결 부재 및 하단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에서 홀더를 밀어 펜 및 펜 지지대를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카드 형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말아 펜 형태로 형태 변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15는 카드 형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말려 펜 형태로 형태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카드 형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말려 펜 형태로 형태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17은 카드 형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말려 펜 형태로 형태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부재를 밀어 펜과 펜 지지대를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중간부재를 밀어 펜과 펜 지지대를 돌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펜을 말아 펜 형태로 형태 변경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펜을 말아 펜 형태로 형태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러블 펜(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 형태에서 지갑의 신용카드 수납부에 넣어 휴대하다가 펜이 필요할 때 카드 형태의 펜을 말아 도 17과 같이 일반적인 펜 형태로 형 변경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연결 부재(120)가 수평 방향으로 연속 체결되고, 연속 체결된 연결 부재(120)들의 양측에 각각 하단 부재(110) 및 상단 부재(130)가 체결된다.
하단 부재(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10)과 커버(1120)가 체결되어 구성된다.
하우징(1110)의 상부 면에 긴 홈 형태로 펜부 수납홈(1111)이 형성되고, 상기 펜부 수납홈(1111)의 일측, 이후 설명하는 연결 부재(120)가 체결되는 방향으로는 홈 형태로 결합돌부 수납부(1112)와 링크 수납부(1115)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결합돌부 수납부(1112)에는 가이드 돌기(1114)가 돌출되고, 결합돌부 수납부(1112)의 측단부 양측에는 걸림돌기(111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 수납부(1112)와 마찬가지로 링크 수납부(1115)의 측단부 양측에도 걸림돌기(1116)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링크 수납부(1115)에 하단부재 링크(1130)가 결합, 수납되는데, 하단부재 링크(1130)는 도 4와 같이 몸체의 양측이 연장되어 각각 한 쌍의 플랜지(1131)가 형성되고, 일측 플랜지(1131)에는 몸체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돌기(1133)가 형성되며, 타측 플랜지(1131)에는 몸체 내측으로 경사진 탄성돌기(113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단부재 링크(1130)는 탄성돌기(1132)가 링크 수납부(1115)의 걸림돌기(1116)에 접하도록 링크 수납부(1115)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단 부재(110)의 하우징(1110) 상부에 커버(1120)가 체결되어 결합돌부 수납부(1112)와 링크 수납부(1115)를 덮는데, 커버(1120)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커버(1120)를 체결하였을 때도 하우징(1110)의 펜부 수납홈(1111)이 노출되도록 한다.
연결 부재(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10)과, 상기 하우징(1210)과 결합하며 수납되는 슬라이드 링크(1220) 및 링크(1230)와, 상기 하우징(1210)의 상부를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1240)로 구성된다.
하우징(1210)에는 테두리 부분이 돌출된 입벽(1213)에 의해 홈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와, 테두리 부분이 돌출된 걸림돌기(1216)에 의해 홈 형태로 형성된 링크 수납부(1215)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는 양측의 입벽(1213) 가운데 부분이 개방되고,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에는 가이드 돌기(121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의 전방에는 출입구(1212)가 형성된다.
링크 수납부(1215)는 양측의 걸림돌기(1216)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에는 슬라이드 링크(1220)가 삽입, 결합되는데, 슬라이드 링크(12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가 천공된 결합돌부 수납부(122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 수납부(1223)의 일측 양단부에는 몸체가 연장된 형태로 걸림돌기(122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 수납부(1223)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는 몸체가 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돌부(1229)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돌부(1229)의 양측이 연장되어 플랜지(1227)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227)의 단부에는 몸체 방향으로 경사진 탄성돌기(122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1229)에는 장공 형태로 가이드 돌기 홈(1225)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 홈(1225) 단부는 가이드 돌기 홈(1225)이 몸체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변위 홈(12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링크(1220)의 몸체 전방은 몸체가 연장된 형태로 삼각 형태의 펜 지지대(122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링크(1220)는 도 6과 같이 펜 지지대(1221)가 출입구(1212)를 향하도록 하우징(1210)의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에 슬라이드 링크(1220)를 삽입한다.
하우징(1210)의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에 슬라이드 링크(1220)를 삽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10)의 가이드 돌기(1214)가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 수납부(1223)에 위치하고,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1229)는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의 입벽(1213) 사이의 개방부를 통해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하우징(1210)의 링크 수납부(1215)에는 링크(1230)가 삽입, 결합되는데, 링크(12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양측이 연장되어 각각 한 쌍의 플랜지(1231)가 형성되고, 각각의 플랜지(131)에는 몸체 내측으로 경사진 탄성돌기(123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링크(1230)를 하우징(1210)의 링크 수납부(1215)에 삽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1230) 몸체는 걸림돌기(1216) 사이에 위치하고, 링크(1230)의 탄성 돌기(1232) 사이에 걸림돌기(1216)가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210)에 슬라이드 링크(1220)와 링크(1230)를 삽입, 결합하고, 하우징(1210)의 상부에 커버(1240)를 체결하여 연결 부재(120)가 구성된다.
상단 부재(1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310)과, 상기 하우징(1310)에 결합 수납되는 슬라이드 링크(1330) 및 상단부재 링크(1340)와, 펜(1323)을 구비하여 하우징(1310)에 결합되는 홀더(1320)와, 상기 하우징(1310)을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1350)로 구성된다.
하우징(1310)에는 테두리 부분이 돌출된 입벽(1312)에 의해 홈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311)와, 테두리 부분이 돌출된 걸림돌기(1315)에 의해 홈 형태로 형성된 링크 수납부(1314)가 형성된다.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311)는 일측 입벽(1312)의 가운데 부분이 개방되고,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311)에는 가이드 돌기(13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311)에는 슬라이드 링크(1330)가 삽입, 결합되는데, 슬라이드 링크(13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가 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천공된 돌부 결합홈(1331)이 형성되고, 몸체가 천공된 장공 형태의 가이드 돌기 홈(13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링크(1330)의 돌부 결합홈(1331)이 형성된 반대 측 몸체는 몸체가 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돌부(133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1333)의 단부가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플랜지(1335)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35)의 단부에는 몸체 방향으로 경사진 탄성 돌기(13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링크(1330)의 결합돌부(1333)에는 장공 형태로 천공된 가이드 돌기 홈(133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링크(1330)는 하우징(1310)의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311)에 삽입, 결합하면,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311)의 가이드 돌기(1313)가 슬라이드 링크(1330)의 가이드 돌기 홈(1332)에 삽입되고, 슬라이드 링크(1330)의 결합돌부(1333)가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31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하우징(1310)의 링크 수납부(1314)에 상단부재 링크(1340)가 삽입, 결합되는데, 상단부재 링크(134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양측이 연장되어 각각 한 쌍의 플랜지(1341)가 형성되고, 일측 플랜지(1341)에는 몸체 내측으로 몸체가 절곡 연장된 형태로 돌기(1343)가 형성되며, 타측 플랜지(1341)에는 몸체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탄성돌기(134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단부재 링크(1340)는 탄성돌기(1342)가 링크 수납부(1314)의 걸림돌기(1315)에 접하도록 링크 수납부(1314)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링크(13300의 일측에는 펜(1323)이 구비된 홀더(1320)가 하우징(1310)에 체결되는데, 홀더(132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돌부(1321)가 슬라이드 링크(1330)의 돌부 결합홈(1331)에 삽입되도록 홀더(1320)가 하우징(1310)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링크(1330), 홀더(1320) 및 상단부재 링크(1340)가 삽입 결합된 하우징(1310)의 상부에 커버(1350)가 체결되는데, 상기 커버(1350)에는 펜부(1351)가 상향 돌출됨으로써, 커버(130)의 내측에 펜(1323) 및 홀더(132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커버(1350)를 하우징(1310)에 체결하였을 때, 홀더(1320) 및 펜(1323)이 커버(1350)의 펜부(1351) 내부로 수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단 부재(110), 연결 부재(120) 및 상단 부재(130)를 연속 체결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부재(130)의 일측에 연결 부재(120)가 결합되는데, 상단 부재(13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된 슬라이드 링크(1330)의 결합돌부(1333)가 연결 부재(120)의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 수납부(1223)로 삽입되고, 연결부재(120)의 결합돌부 수납부(1223) 양측의 걸림돌기(1224)가 상단 부재(130)의 슬라이드 링크(1330) 몸체와 플랜지(1335)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단 부재(130)와 연결 부재(120)가 체결된다.
이때, 연결 부재(120)의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1211)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1214)가 상단 부재(130) 슬라이드 링크(1330)의 가이드 돌기 홈(1334)에 삽입된다.
또한, 상단 부재(130)의 상단부재 링크(1340)의 플랜지(1341) 사이로 연결 부재(120)의 링크 수납부(1215)에 형성된 걸림돌기(1216)가 삽입되면서 상단 부재(130)와 연결 부재(120)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상단 부재(130)에 연결 부재(120)가 체결되고, 이 연결 부재(120)에 연속하여 5개의 연결 부재(120)를 연속 체결한다.
연결 부재(120)와 연결 부재(120)의 체결은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링크(1220) 및 링크(1230)로 연결 부재(120)와 연결 부재(120)를 체결한다.
슬라이드 링크(1220)로 연결 부재(120) 사이의 체결은 다음과 같이 체결된다.
상단 부재(130) 방향의 연결 부재(120)(이하, "U-연결부재"라 한다)에서 돌출된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1229)가 하단 부재(110) 방향의 연결 부재(120)(이하, "D-연결부재"라 한다)의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 수납부(1223)에 삽입된다.
U-연결부재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1229)를 D-연결부재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 수납부(1223)에 삽입하면, D-연결부재의 가이드 돌기(1214)가 U-연결부재 슬라이드 링크(1220)의 가이드 돌기 홈(1225)에 삽입된다.
그리고 U-연결부재 슬라이드 링크(1220)의 탄성 돌기(1228)가 D-연결부재 슬라이드 링크(1220)의 걸림돌기(1224)에 밀착되면서 U-연결부재와 D-연결부재를 탄성으로 밀착시킨다.
링크(1230)로 연결 부재(120) 사이의 체결은 다음과 같이 체결된다.
링크(1230)의 플랜지(1231)와 플랜지(1231) 사이에 U-연결부재와 D-연결부재의 링크 수납부(1215) 걸림돌기(1216)가 삽입되고, 링크(1230)의 탄성 돌기(1232)가 U-연결부재와 D-연결부재의 걸림돌기(1216)가 접한 U-연결부재와 D-연결부재를 탄성으로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체결된 6개의 연결 부재(120)가 체결되고, 마지막 연결 부재(120)에 하단 부재(110)가 체결된다.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지막 연결 부재(120)에서 돌출된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1229)가 하단 부재(110) 하우징(1110)의 결합돌부 수납부(1112)에 삽입된다. 이때, 슬라이드 링크(1220)의 가이드 돌기 홈(1225)에 하우징(1110)의 가이드 돌기(1114)가 삽입되고, 슬라이드 링크(1220)의 탄성 돌기(1228)이 걸림 돌기(1113)에 밀착됨으로써, 하단 부재(110)와 연결 부재(120)를 탄성으로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단 부재(110), 6개의 연결 부재(120) 및 상단 부재(130)를 체결하면 도 1과 같이 신용카드 크기의 롤러블 펜(100)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신용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100)을 평소에 지갑에 넣어 휴대하다가 필기구가 필요할 때 롤러블 펜을 말아 일반적인 펜 형태로 형 변경하여 사용한다.
이하, 카드 형태에서 일반적인 펜 형태로 형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부재(130)의 펜부(1351)를 통해 노출된 홀더(1320)를 전방으로 밀면, 연결 부재(120)의 전방에 형성된 출입구(1212)를 통해 각 연결 부재(120) 내부의 펜 지지대(1221)가 돌출된다.
도 3과 같이 홀더(1320)의 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1321)는 상단 부재(130)에 체결된 연결 부재(120)의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 수납부(1223)에 삽입되고, 이 연결 부재(120)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1229)는 다른 연결 부재(120) 슬라이드 링크(1220)의 결합돌부 수납부(1223)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홀더(1320)는 모든 연결 부재(120)의 슬라이드 링크(1220)와 연결된다.
따라서, 홀더(1320)를 전방으로 밀면, 홀더(1320)와 결합된 각 연결 부재(120)의 슬라이드 링크(1220)가 홀더(1320)와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 10과 같이 슬라이드 링크(1220) 전방의 펜 지지대(1221)가 돌출된다.
펜 지지대(1221)는 연결 부재(120)에서 돌출되면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하향으로 소정 각도 꺽이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20)를 구성하는 커버(1240)의 전방에 하향 돌출된 가압돌기(1241)를 형성함으로써, 펜 지지대(1221)가 돌출될 때 가압돌기(1241)에 의해 펜 지지대(1221)가 하향으로 소정 각도 꺽이도록 한다.
도 10과 같이 펜 지지대(1221)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100)을 둥글게 말아서, 도 15 및 도 16과 같이 6개의 연결 부재(120)가 육각 기둥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도 3과 같이 링크(123)들의 탄성돌기(1232)와 슬라이드 링크(1220)들의 탄성 돌기(1228)가 각 연결 부재(120)들이 서로 접하도록 탄성 압착하고 있으므로 도 15와 같이 연결 부재(120)들이 육각 기둥 형태가 되도록 말았을 때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연결 부재(120)의 하우징(1210) 하부 양측은 하우징(1210)의 바닥을 기준으로 60° 각도로 모따기(chamfering) 가공됨으로써, 연결 부재(120)들을 말았을 때 모따기 가공된 면이 접하면서 안정적으로 육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개의 연결 부재(120)가 육각 기둥 형태가 되도록 말고, 도 16과 같이 연결 부재(120) 내부에서 상단 부재(130)의 돌출된 펜부(1351)를 하단 부재(1100의 펜부 수납홈(1111)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연결 부재(120)가 육각 기둥 형태로 고정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부(1351)의 일측에 펜부 수납홈 체결돌기(1322)가 돌출됨으로써, 펜부(1351)가 펜부 수납홈(1111)에 압입되어 풀리지 않고 고정된다.
연결 부재(120)에서 돌출된 삼각 형태의 펜 지지대(1221)는 연결 부재(120)가 말리면서 모여 연결부재(120)의 전방에서 육각 뿔 형태로 형성되고, 육각 뿔 형태로 형성된 펜 지지대(1221)의 단부는 펜(1323) 외면에 밀착하면서 필기할 때 펜(1323)이 흔들거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때, 도 14 및 도 15와 같이, 펜 지지대(1323)의 단부 내면에 펜(1323)의 직경과 동일한 곡률의 펜 홈(1222)을 형성함으로써, 펜 지지대(1221)가 펜(1323)이 움직이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신용카드 정도 두께로서 지갑의 신용카드 수납부에 수납하여 휴대하다가, 필기구가 필요할 때 꺼내서 홀더(1320)를 밀어 펜(1323)과 펜 지지대(1221)를 꺼낸 다음 돌돌 말아서 상단 부재(130)와 하단 부재(110)를 체결하면 일반적인 펜 형태로 형 변경된다.
형 변경된 펜은 신용카드 정도의 길이이고, 두께는 손에 쥐어 필기하기에 적당한 두께이기 때문에 필기감과 사용감이 좋으며, 형 변경된 펜은 단면이 육각형이므로 파지하기가 편하다.
펜을 사용한 후 도 16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단 부재(130)의 펜부(1351)가 하단 부재(110)의 펜부 수납홈(1111)에서 빠지면서 각 연결 부재(120)들을 연결하고 있는 슬라이드 링크(1220)들의 탄성 돌기(1228)와 링크(1230)들의 탄성 돌기(1232)의 탄성에 의해 도 10과 같이 펴지면서 카드 형태로 형 변경되고, 펜부(1351)에서 노출된 홀더(1320)를 후방으로 밀면 돌출된 펜(1323)과 펜 지지대(1221)가 각각 상단 부재(130)와 연결 부재(120) 내부로 수납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느 한 부재와 인접한 부재가 각각 슬라이드 링크와 링크로 체결되어 인접한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는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어느 한 부재와 인접한 부재가 축으로 연결됨으로써, 인접한 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1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100)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처럼 상단 부재(130), 연결 부재(120) 및 하단 부재(110)로 구성된다.
도 19 및 도 20과 같이 각 부재(110,120,130)는 인접한 부재와 축(1217)으로 연결된다.
상단 부재(130)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310)의 내부에서 펜(1323)이 하우징(1310)의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펜(1323)의 후단에는 슬라이드 링크(1330)와 고정 노브(1324)가 체결되어 펜(1323)과 함께 하우징(131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1310)의 일측에 슬리브(1317)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 부재(130)의 일측에 6개의 연결 부재(120)가 체결되는데 연결 부재(120)는 도 20과 같이 몸체 양측에 슬리브(1218)이 형성되고, 이 슬리브(1218)와 인접한 다른 연결 부재(120)의 슬리브(1218)가 동일 축선 상에 배열되며, 이 슬리브(1218)에 축(1217)이 삽입됨으로써 6개의 연결부재(120)가 연속 체결된다.
그리고 도 18 및 도 19와 같이, 링크(1230)와 슬라이드 링크(1220)가 각각의 연결 부재(120) 상부에 결합된다.
슬라이드 링크(1220)의 양측에 슬리브(1251)가 형성되는데, 이 슬리브(1251)에는 연결 부재(120)를 체결하는 축(1217)이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드 링크(1220)가 축(121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슬라이드 링크(1220) 전방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펜 지지대(1221)가 형성된다.
각각의 연결 부재(120)의 전방{펜(1323)이 돌출되는 방향} 상부에는 링크(1230)가 체결되는데, 링크(1230)는 몸체 양측에 슬리브(1233)가 형성되고, 이 슬리브(1233)에는 연결 부재(120)를 체결하는 축(1217)이 삽입됨으로써 링크(1230)가 연결 부재(12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1230)의 하부에는 펜 지지대 삽입홈(123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펜 지지대 삽입홈(1234)에 슬라이드 링크(1220)의 펜 지지대(1221)이 삽입된다.
펜 지지대(1221)는 도 19와 같이 소정 각도로 절곡 또는 굴곡지게 성형되는데, 펜 지지대(1221)의 절곡 또는 굴곡지게 성형된 부분이 링크(1230)의 펜 지지대 삽입홈(1234)에 삽입됨으로써, 도 18과 같이 굴곡 또는 절곡 성형된 펜 지지대(1221) 부분이 탄성 변형하며 평평하게 된다.
하단 부재(110)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일측에 슬리브(1117)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 면에 홈 형태로 펜부 수납홈(1111)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1117)는 연결 부재(120)의 슬리브(1218)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고, 축(1217)이 삽입됨으로써, 연결 부재(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카드 형태에서 펜 형태로 형 변경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드 형태의 본 발명을 형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0)의 슬라이드 링크(1220)을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링크(1220)를 밀면,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연결 부재(120)의 전방으로 렌 지지대(1221)가 돌출된다.
상기 펜 지지대(1221)는 링크(1230)의 펜 지지대 삽입홈(1234)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링크(1230)의 누름에 의해 평평하게 탄성 변형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가, 펜 지지대(1221)가 돌출되면서 링크(1230)의 구속에서 벗어나 탄성 복원되며 상향으로 절곡 또는 굴곡진 형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상단 부재(130)의 슬라이드 링크(1330) 일측에 형성된 슬리브(미부호)는 상단 부재(130)와 인접한 연결 부재(120)의 슬리브(1251)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여 축(1217)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120)의 슬라이드 링크(122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 이와 연동하여 상단 부재(130)의 슬라이드 링크(1330)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 21 및 도 22와 같이 펜(1323)이 전방으로 돌출한다.
슬라이드 링크(1330)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그 후방의 고정 노브(1324)도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여 고정홈(1316)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 노브(1324)는 회전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링크(1330)에 체결되는데, 고정 노브(1324)를 회전시키면 고정 노브(1324)가 상단 부재(130)의 고정홈(1316)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 노브(1324)가 고정홈(1316)에 삽입되면 외력에 의해 펜(13230과 펜 지지대(1221)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시킨다.
도 21 및 도 22와 같이 펜(1323)과 펜 지지대(1221)이 돌출된 상태에서 카드 형태의 롤러블 펜(100)을 말아서 펜 형태로 형 변경한다.
도 23과 같이 각 축(1217)을 중심으로 각 연결 부재(120)를 회전시키면서 상단 부재(130)와 하단 부재(110)는 말려지는 펜 내부로 삽입한다.
펜이 완전이 말려서 첫 번째 연결 부재(120)와 여섯 번째 연결 부재(120)가 접하게 되면, 펜 내부에서 상단 부재(130)의 하부 면과 하단 부재(110)의 하부 면이 접한다.
도 22와 같이 상단 부재(130)의 하부 면에는 돌기 형태로 펜부(1351)가 형성되고, 하단 부재(110)의 하부 면에는 홈 형태로 펜부 수납홈(111)이 형성되므로, 연결 부재(120)를 말아 펜 형태로 형 변경한 후 상단 부재(130)의 펜부(1351)를 하단 부재(110)의 펜부 수납홈(111)에 삽입함으로써, 도 24와 같이 펜 형태로 형 변경된 후 고정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연결 부재(120)를 6개 체결하여 단면이 육각형인 펜으로 형 변경되도록 구성하였으나, 8개의 연결 부재(120)를 체결하여 단면이 팔각형인 펜으로 형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소에 카드 형태로 지갑에 수납하여 다니다가 필요시 카드 형태의 펜을 둥글게 말아 일반적인 펜 형태로 형 변경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둥글게 말아 일반적인 펜 형태로 형 변경하여 사용할 때도 펜의 몸체와 펜이 흔들거리지 않아 일반적인 펜과 동일한 필기감을 제공한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롤러블 펜 110 : 하단 부재
1110 : 하우징 1111 : 펜부 수납홈
1112 : 결합돌부 수납부 1113 : 걸림돌기
1114 : 가이드 돌기 1115 : 링크 수납부
1116 : 걸림돌기 1117 : 슬리브
120 : 연결 부재 1210 : 하우징
1211 :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
1212 : 출입구 1213 : 입벽
1214 : 가이드 돌기 1215 : 링크 수납부
1216 : 걸림돌기 1217 : 축
1218 : 슬리브 1220 : 슬라이드 링크
1221 : 펜 지지대 1222 : 펜 홈
1223 : 결합돌부 수납부 1224 : 걸림돌기
1225 : 가이드 돌기 홈 1226 : 변위 홈
1227 : 플랜지 1228 : 탄성 돌기
1229 : 결합 돌기 1230 : 링크
1231 : 플랜지 1232 : 탄성 돌기
1233 : 슬리브 1234 : 펜 지지대 삽입홈
1240 : 커버 1241 : 가압돌기
1251 : 슬리브 130 : 상단 부재
1310 : 하우징 1311 : 슬라이드 링크 수납부
1312 : 입벽 1313 : 가이드 돌기
1314 : 링크 수납부 1315 : 걸림돌기
1316 : 고정홈 1317 : 슬리브
1320 : 홀더 1321 : 결합돌부
1322 : 펜부 수납홈 체결돌기
1323 : 펜 1324 : 고정 노브
1330 : 슬라이드 링크 1331 : 돌부 결합홈1
332 : 가이드 돌기 홈 1333 : 결합돌부
1334 : 가이드 돌기 홈 1335 : 플랜지
1336 : 탄성돌기 1340 : 상단부재 링크
1341 : 플랜지 1342 : 탄성 돌기
1343 : 돌기 1350 : 커버
1351 : 펜부

Claims (6)

  1. 펜(1323)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 상단 부재(130);
    상기 상단 부재(130)의 일측으로 소정 개수가 연속으로 평행하게 체결되는 연결 부재(120);
    연속 체결된 연결 부재(120)의 측단부에 평행하게 체결되는 하단 부재(110); 및
    상기 각각의 부재(110,120,130)가 이웃하는 부재(110,120,130)에 대해 소정 각도 꺾여 회전 가능하도록 부재(110,120,130)들을 체결하는 회전 체결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카드 형태를 이루는 각 부재(110,120,130)를 말아 연결 부재(120)가 다각형 기둥을 이루고, 상단 부재(130)와 하단 부재(110)가 다각형 기둥 내부에서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며, 펜(1323)이 돌출되어 카드 형태에서 펜 형태로 형 변경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단 부재(130)와 하단 부재(110)가 다각형 기둥 내부에서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은,
    내부에 홀더(1320)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상단 부재(130)에서 돌출되는 펜부(1351)와, 하단 부재(110)에 홈 형태로 형성된 펜부 수납홈(1111)으로 구성되어, 상기 펜부(1351)가 펜부 수납홈(1111)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 롤러블 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 부재(120)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 부재(120)에 체결된 슬라이드 링크(1220);
    상기 슬라이드 링크(1220) 단부에 삼각 형태로 성형된 펜 지지대(12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펜(1323)과 연동하여 펜 지지대(1221)가 돌출되면서 펜 지지대(1221)가 펜(1323)과 방사상으로 접하며 펜(1323)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펜 지지대(1221)의 펜(1323)과 접하는 면에는 홈 형태의 펜 홈(1222)이 형성된 롤러블 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체결수단은,
    상기 각 부재(110,120,130)의 측면에 슬리브가 형성되고, 어느 한 부재의 슬리브와 인접한 다른 부재의 슬리브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며,
    축(1217)이 슬리브에 삽입되어 부재(110,120,130)를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펜.
  6. 펜(1323)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 상단 부재(130);
    상기 상단 부재(130)의 일측으로 소정 개수가 연속으로 평행하게 체결되는 연결 부재(120);
    연속 체결된 연결 부재(120)의 측단부에 평행하게 체결되는 하단 부재(110); 및
    상기 각각의 부재(110,120,130)가 이웃하는 부재(110,120,130)에 대해 소정 각도 꺾여 회전 가능하도록 부재(110,120,130)들을 체결하는 회전 체결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카드 형태를 이루는 각 부재(110,120,130)를 말아 연결 부재(120)가 다각형 기둥을 이루고, 상단 부재(130)와 하단 부재(110)가 다각형 기둥 내부에서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며, 펜(1323)이 돌출되어 카드 형태에서 펜 형태로 형 변경이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연결 부재(120)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 부재(120)에 체결된 슬라이드 링크(1220);
    상기 슬라이드 링크(1220) 단부에 삼각 형태로 성형된 펜 지지대(12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펜(1323)과 연동하여 펜 지지대(1221)가 돌출되면서 펜 지지대(1221)가 펜(1323)과 방사상으로 접하며 펜(1323)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체결수단은,
    상기 각 부재(110,120,130)의 측면에 슬리브가 형성되고, 어느 한 부재의 슬리브와 인접한 다른 부재의 슬리브가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며,
    축(1217)이 슬리브에 삽입되어 부재(110,120,130)를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링크(1220)의 측면에 형성된 슬리브에 상기 축(1217)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링크(1220)를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펜.
KR1020210150494A 2021-11-04 2021-11-04 롤러블 펜 KR10245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94A KR102456617B1 (ko) 2021-11-04 2021-11-04 롤러블 펜
CN202221723764.XU CN218343144U (zh) 2021-11-04 2022-07-06 可卷曲笔
PCT/KR2022/015616 WO2023080480A1 (ko) 2021-11-04 2022-10-14 롤러블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94A KR102456617B1 (ko) 2021-11-04 2021-11-04 롤러블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617B1 true KR102456617B1 (ko) 2022-10-19

Family

ID=8380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494A KR102456617B1 (ko) 2021-11-04 2021-11-04 롤러블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6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683U (ko) * 1987-05-28 1988-12-06
KR19980021735U (ko) 1996-10-23 1998-07-15 신기호 필기구가 구비된 카드
KR200157686Y1 (ko) 1997-11-11 1999-10-01 유효상 카드 볼펜
JP2000247086A (ja) * 1999-02-26 2000-09-12 Junichi Hiyama 展開ボールペン
KR200388303Y1 (ko) 2005-04-15 2005-06-29 장현덕 필기 수단을 갖는 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683U (ko) * 1987-05-28 1988-12-06
KR19980021735U (ko) 1996-10-23 1998-07-15 신기호 필기구가 구비된 카드
KR200157686Y1 (ko) 1997-11-11 1999-10-01 유효상 카드 볼펜
JP2000247086A (ja) * 1999-02-26 2000-09-12 Junichi Hiyama 展開ボールペン
KR200388303Y1 (ko) 2005-04-15 2005-06-29 장현덕 필기 수단을 갖는 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CN105246360B (zh) 用于电子尼古丁输送系统的容器
KR100466180B1 (ko) 버튼 개방식 화장품 케이스
US7331455B2 (en) Tool box with pivoting seats for screwdriver tips
CN110650648B (zh) 自立型收纳工具
US8014130B1 (en) Pen-like universal serial bus (USB) flash drive with deploying and retracting functionalities
US4317638A (en) Foldable pen key ring
KR102456617B1 (ko) 롤러블 펜
KR102456618B1 (ko) 롤러블 펜
JP5503978B2 (ja) 電子装置用入力ペン
CN218343144U (zh) 可卷曲笔
JP2004167249A (ja) 化粧用ブラシアセンブリ
JP2013204762A (ja) 柄の連結構造
TWI332380B (en) Housing of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2009202890A (ja) メモリカード類用収納ケース
JP3839165B2 (ja) 収納ケース
US8365415B2 (en) Nail clipper for accommodating decorative cover
KR200310364Y1 (ko) 필통
KR200362091Y1 (ko) 색연필 케이스
KR101713165B1 (ko) 휴대용 케이스
JP3114309U (ja) カード収納用ケース
KR200359841Y1 (ko) 멀티미디어 메모리카드 케이스
KR200353667Y1 (ko) 슬라이딩식 다단 필통
KR200270880Y1 (ko) 지팡이 손잡이의 회전구조
US6273247B1 (en) Storing case with engaging pa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