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492B1 -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492B1
KR102456492B1 KR1020210164736A KR20210164736A KR102456492B1 KR 102456492 B1 KR102456492 B1 KR 102456492B1 KR 1020210164736 A KR1020210164736 A KR 1020210164736A KR 20210164736 A KR20210164736 A KR 20210164736A KR 102456492 B1 KR102456492 B1 KR 102456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device
layer
slab
contac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성
허무원
류한태
김진우
김호룡
김재환
김선웅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재단법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재단법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거나, 바닥층에 설치되거나, 최상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Damping fixture for seismic reinforc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쇠장치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내진 보강을 위해 건물의 골조 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감쇠장치는 경제성과 시공성이 타 공법에 비해 뛰어나 건식공법을 요구하는 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골조에 설치되는 감쇠장치들이 도시된다.
일례로, 도 1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주형 감쇠장치는 슬라브와 벽에 설치된다. 슬라브와 벽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벽에 배근된 철근과 감쇠장치를 고정시키는 앵커 등의 볼트가 맞닿게 되어 콘크리트 벽의 파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형 감쇠장치는 감쇠장치가 슬라브에 직접 체결되지 않고, 강재 기둥 또는 벽체 형태의 프레임에 연결된 채 슬라브에 체결된다. 체결을 위한 연결재는 기존 RC골조와 후설치 앵커와 전산볼트를 이용하여 많이 설치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볼트의 소요 전단력 및 전도모멘트는 감쇠장치의 최대하중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감쇠장치의 최대하중이 크게 되면 안정성을 위해 볼트의 수량 증가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크기 증가가 필요했다(도 2 참조).
따라서, 크기가 커진 베이스플레이트를 슬라브 또는 보에 체결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보장받기 위해 볼트의 수량도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볼트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슬라브 또는 보에 관통되는 볼트의 개수 및 범위가 증가하여 볼트가 슬라브 또는 보에 배근된 철근과 맞닿게 되어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구조에 악영향을 주거나 다수의 볼트 체결부위에서 기인하는 콘크리트 파열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각 층마다 동일한 방식으로 감쇠장치를 고정할 경우 각 층의 특수성이 고려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컨대, 바닥층 아래에 보가 없는 경우의 문제, 또는 최상층에서 볼팅 등의 연결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인 제 10-1442487호가 개시된다.
구조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댐퍼 고정장치와 수평보 형 댐퍼를 설치하여 건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 내진보강방법이 개시되나, 댐퍼를 구조물에 체결시키는데 있어, 플레이트의 크기와 볼트 수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진 않아,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관련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인 제 2020-012280호가 개시된다.
교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기둥의 상단 간이 세로 빔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세로 빔에서 다리축 직교 방향으로 돌출되는 슬라브를 구비한 라면 고가교의 방진 구조가 개시되나, 마찬가지로 플레이트의 크기와 볼트 수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진 않아,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248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0-01228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78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슬라브와 보에 감쇠장치를 단단히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보강하되, 슬라브와 보에 직접 체결되는 볼트의 수량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파열 문제 및 구조 손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감쇠장치가 설치되는 각 층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감쇠장치 설치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 손상의 문제 이외의 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예컨대, 바닥층에서는 그 아래 층의 보가 없더라도 단단한 고정에 문제가 없어야 하며, 최상층에서는 강우시 연결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n은 2 이상 N이하이며, 상기 중간층의 바닥면에는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보가 위치하며, 상기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하는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 및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하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는(100),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3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3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1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Z형강(130); 상기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제 1 관통볼트(181); 상기 제 1 관통볼트(181)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제 1 볼트헤드(191); 상기 Z형강(130)의 하부(13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 2 관통볼트(182); 및 상기 제 2 관통볼트(182)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2 볼트헤드(192)를 포함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n은 2 이상 N이하이고, 상기 중간층의 바닥면에는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보가 위치하며, 상기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하되 그 일측이 보 외측으로 돌출된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 및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하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는(100),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3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3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133)를 포함하는 Z형강(130);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4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4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상면에 접하는 하부(143)를 포함하는 C형강(140); 상기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제 1 관통볼트(181); 상기 C형강(140)의 상부(14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다른 제 1 관통볼트(181); 상기 제 1 관통볼트(181)들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각각 제 1 볼트헤드(191); 상기 Z형강(130)의 하부(13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 2 관통볼트(182); 상기 C형강(140)의 하부(14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으로서 보 외측으로 돌출된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 2' 관통볼트(182'); 상기 제 2 관통볼트(182)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2 볼트헤드(192); 및 상기 제 2' 관통볼트(182')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제 2' 볼트헤드(192')를 포함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Z형강(130)의 상부와 측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인 스티프너(13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바닥층 고정장치(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층의 바닥면에는 바닥면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바닥면 보가 위치하며, 상기 바닥층 고정장치(200)는, 바닥면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251) 및 바닥면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252)를 포함하는 한 쌍의 L형강(250); 상기 L형강(250)의 상부(251)와 바닥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바닥면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제 3 관통볼트(183); 상기 제 3 관통볼트(183)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제 3 볼트헤드(193); 및 상기 L형강(250)의 상부(251)와 측부(252)를 연결하는 보강부재인 바닥층 스티프너(25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L형강(250)의 측부(25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보관통볼트(2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상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해 최상층 위의 슬라브에 설치되는 최상층 고정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층 위측에는 최상층 슬라브 및 그 아래에 최상층 보가 위치하며, 상기 최상층 고정장치(300)는, 최상층 슬라브의 상면에 위치하는 최상층 프레임(30); 최상층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331), 최상층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332) 및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3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최상층 Z형강(330); 상기 최상층 Z형강(330)의 상부(331)와 상기 최상층 프레임(30)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제 4 관통볼트(184); 상기 제 4 관통볼트(184)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제 4 볼트헤드(194); 상기 최상층 Z형강(330)의 하부(333)와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보에 설치되는 제 5 관통볼트(185); 및 상기 제 5 관통볼트(185)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5 볼트헤드(19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상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해 최상층 위의 슬라브에 설치되는 최상층 고정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층 위측에는 최상층 슬라브 및 그 아래에 최상층 보가 위치하며, 상기 최상층 고정장치(300)는, 최상층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331), 최상층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332) 및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3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최상층 Z형강(330); 상기 최상층 Z형강(330)의 하부(333)와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 5 관통볼트(185); 상기 제 5 관통볼트(185)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5 볼트헤드(195); 상기 최상층 Z형강(330)의 상부(331)와 슬라브의 하부를 고정하되 슬라브를 관통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6 관통볼트(186); 상기 제 6 관통볼트(186)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6 볼트헤드(196); 및 상기 한 쌍의 최상층 Z형강(330)의 측부(33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보관통볼트(3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n은 2 이상 N이하이며, 상기 중간층의 바닥면에는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보가 위치하며, 상기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하는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 및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하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는(100),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3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3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1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Z형강(130); 상기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은 용접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n은 2 이상 N이하이고, 상기 중간층의 바닥면에는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보가 위치하며, 상기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하되 그 일측이 보 외측으로 돌출된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 및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하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는(100),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3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3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133)를 포함하는 Z형강(130);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4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4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상면에 접하는 하부(143)를 포함하는 C형강(140); 상기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은 용접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C형강(140)의 상부(14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도 용접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감쇠장치를 단단히 고정하면서도, 종래기술 대비 슬라브 또는 보에 체결되는 볼트의 수량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파열 문제 및 구조 손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둘째, 각 층의 특수성이 고려된다. 최상층 슬라브를 볼팅 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강우시 누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바닥층에서는 보가 없더라도 고정에 문제가 없다.
셋째, 특별한 보강이 더 필요한 경우, 예컨대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에서 이미 균열이 있는 경우, 다른 감쇠장치에 비하여 보다 단단히 고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에 보관통볼트, 스티프너 등을 상황에 맞게 활용함으로써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 종래의 감쇠장치 설치 예가 도시된다.
도 2는, 벽식 감쇠장치 설치 예 및 벽식 감쇠장치 설치시 베이스 플레이트에 발생하는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본 발명의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있어, 중간층에 적용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4에, 본 발명의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있어, 중간층에 적용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5에, 본 발명의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있어, 중간층에 적용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스티프너가 적용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6에, 본 발명의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있어, 최하층에 적용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7에, 본 발명의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있어, 최하층에 적용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에 보관통볼트가 적용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8에, 본 발명의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있어, 최상층에 적용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9에, 본 발명의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있어, 최상층에 적용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스티프너가 적용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0에, 본 발명의 감쇠장치 고정장치에 있어, 중간층, 최하층, 및 최상층에 적용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실시예들이 용접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도시된다.
도 11에, 검증 실험의 실험체 및 주요 실험 변수가 도시된다.
도 12a에, 제5, 제6실험체의 바닥보 콘크리트 파괴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체 형상 및 치수가 도시되고, 도 12b에 제7, 제8 실험체의 천장보 콘크리트 파괴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체 형상 및 치수가 도시된다.
도 13a내지 13c에, 제5, 제6실험체의 바닥보 콘크리트 파괴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체 형상 및 치수가 도시된다.
도 14에, 제7, 제8실험체에서 관통 앵커볼트의 설치여부를 달리하여 천장보 콘크리트 파괴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체 형상 및 치수가 도시된다.
도 15a 내지 15f에, 제5 실험체의 실험결과가 도시된다.
도 16a 내지 16f에, 제6 실험체의 실험결과가 도시된다.
도 17a 내지 17f에, 제7 실험체의 실험결과가 도시된다.
도 18a 내지 18f에, 제8 실험체의 실험결과가 도시된다.
이하에서, 중간층, 바닥층 및 최하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 및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포함하는 감쇠장치를 의미하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감쇠장치라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고정장치는 감쇠장치(20)를 슬라브(11) 및 보(12)에 체결하기 위한 구조체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쇠장치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중간층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설명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간층 감쇠장치(20)의 고정장치(100)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를 설명한다.
중간층은 N층 건물에서 2이상 N이하의 층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10층 건물의 경우(N=10) 2층부터 10층을 의미한다. 각 층의 바닥면의 슬라브 및 그 아래의 보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감쇠장치(20)가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쇠장치(20)는 하부프레임(21) 및 상부프레임(22)을 포함하고 하부프레임(21) 및 상부프레임(22) 사이에 내진 보강 기능을 하는 댐퍼가 위치한다.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은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한 상태이며,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은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한 상태이다.
고정장치(100)는 볼트를 감쇠장치(20)를 슬라브 및 보에 고정하기 위해, 한 쌍의 Z형강(130)를 포함한다.
각각의 Z형강(130)은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131), 수직으로 연장된 측부(132) 및 다시 수평으로 연장된 하부(133)를 포함한다. 상부(131)와 하부(133)의 연장방향은 서로 상이하여 Z 형상이 된다.
상부(131)는 슬라브(12)의 하면에 접하며, 측부(132)는 보의 측면에 접한다. 또한, 하부(133)는 그 아래층인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한다.
제 1 관통볼트(181)는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된다. 제 1 볼트헤드(191)는 제 1 관통볼트(181)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한다.
제 2 관통볼트(182)는 Z형강(130)의 하부(13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 2 볼트헤드(192)는 제 2 관통볼트(182)의 하부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Z형강(130)의 양측에서 해당 층의 감쇠장치(20)와 그 아래 층의 감쇠장치(20)를 모두 지지하면서, 각 감쇠장치(20)의 하부프레임(21) 및 상부프레임(22)과 볼트(181, 182)들이 연결되기에 우수한 전단 성능을 갖게 되어 하나의 고정장치마다 사용되어야 하는 볼트의 개수를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경우에 따라 건물 지지 성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스티프너 또는 보관통볼트가 더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4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한 쌍의 Z형강(130)가 아니라 이와 달리 단일의 Z형강(130) 및 C형강(140)을 포함한다.
단일의 Z형강(130)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새롭게 채택되는 C형강(140)은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141), 수직으로 연장된 측부(142) 및 다시 수평으로 연장된 하부(143)를 포함한다. 다만, Z형강(130)과 달리 상부(141)와 하부(143)의 연장방향은 동일하여 C형상이다.
상부(141)는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고, 측부(142)는 보의 측면에 접한다. 하부(143)는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상면에 접한다.
Z형강(130)을 연결하는 제 1 관통볼트(181)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에 관통 설치된다. 제 1 볼트헤드(191)가 제 1 관통볼트(181)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한다.
C형강(140)의 상부(141)를 연결하는 제 1 관통볼트(181)는 Z형강에서의 제 1 관통볼트(181)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다른 제 1 관통볼트(181)는 C형강(140)의 상부(14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에 관통 설치된다.
다만, 제 2 관통볼트(182)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브를 관통하지 않으며 Z형강(130)의 하부(13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 2 볼트헤드(192)가 제 2 관통볼트(182)의 하부를 고정한다.
제 2' 관통볼트(182')는 C형강(140)의 하부(14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으로서 보 외측으로 돌출된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 2' 볼트헤드(192')가 제 2' 관통볼트(182')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슬라브(12)의 일측에 볼팅을 하기 어려운 구조의 경우(예컨대, 슬라브 배근 등에 기인), 또는 아래층의 감쇠장치(20)의 상부프레임(22)이 돌출되어 크기를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 C형강(140)을 이용하여 감쇠장치(20)를 단단히 고정하고 볼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들의 또 다른 방식에서, Z형강(130)의 상부와 측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인 스티프너(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층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설명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층 감쇠장치(20)의 고정장치(200)를 설명한다.
바닥층은 N층 건물에서 1층을 의미한다(n=1). 물론, 지하층이 있는 경우 바닥층은 그 아래의 층으로 확장되어 최하 지하층이 바닥층이 될 수도 있다.
바닥층은 구조상 바닥면의 슬라브인 바닥면 슬라브 및 그 아래의 바닥면 보를 기준으로 상부에만 감쇠장치(20)가 위치한다. 따라서, 전술한 중간층 고정장치와 같은 구조를 채택할 경우 Z형강(130)이 함께 볼팅할 아래 층의 감쇠장치가 없기에, 다른 방식으로 구조적 보강을 하여야 한다.
바닥층 고정장치(200)는 바닥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며, 한 쌍의 L형강(250)을 포함한다.
L형강(250)은 한 쌍으로, 바닥면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251) 및 바닥면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252)를 포함한다.
제 3 관통볼트(183)는 L형강(250)의 상부(251)와 바닥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바닥면 슬라브를 관통 설치한다.
제 3 볼트헤드(193)는 제 3 관통볼트(183)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한다.
바닥층 스티프너(255)는 L형강(250)의 상부(251)와 측부(252)를 연결한다. 보강부재인 바닥층 스티프너(255)에 의해 부족한 바닥층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L형강(250)의 측부(25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보관통볼트(270)를 더 포함하여, 구조 성능이 더욱 필요할 경우 이를 이용해 보강할 수 있다.
최상층 감쇠장치 고정장치의 설명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최상층 감쇠장치(20)의 고정장치(300)를 설명한다.
최상층은 구조상 외기와 노출되고, 최ㅂ상층 위의 슬라브의 상측, 즉 옥상에는 감쇠장치(20)가 없고, 최상층 상부 슬라브인 최상층 슬라브 및 그 아래의 최상층 보를 기준으로 하부에만 감쇠장치(20)가 위치하여, 구조적 보강이 더욱 필요하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300)를 설명한다.
최상층 고정장치(300)는 최상층에 설치되는 감쇠장치(20)를 고정하며, 최상층 Z형강(330) 및 최상층 프레임(30)을 포함한다.
최상층 프레임(30)은 최상층 슬라브의 상면에 위치하여 부족한 최상층의 구조를 보강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고정장치(300)가 최상층 슬라브와 함께 관통 설치하도록 플레이트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최상층 Z형강(330)은 앞선 실시예의 Z형강과 동일한 구성이다.
제 4 관통볼트(184)는 최상층 Z형강(330)의 상부(331)와 최상층 프레임(30)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한다.
제 4 볼트헤드(194)는 제 4 관통볼트(184)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한다.
제 5 관통볼트(185)는 최상층 Z형강(330)의 하부(333)와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보에 설치된다.
제 5 볼트헤드(195)가 제 5 관통볼트(185)의 하부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고정장치(300)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300)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추가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최상층 프레임(30)을 포함하지 않는다. 옥상에 최상층 프레임(30)이 마련되지 않아 옥상의 활용 면적을 더욱 확보할 수 있으나, 앞선 실시예에 비해 구조적 보강이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위한 제6 관통볼트(186), 제6 볼트헤드(196) 및 보관통볼트(370)를 더 포함하여, 부족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관통볼트(370)가 한 쌍의 최상층 Z형강(330)의 측부(33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포함한다.
제 6 관통볼트(186)는 앞선 실시예의 제4 관통볼트(184)의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6 관통볼트(186)는 최상층 Z형강(330)의 상부(331)와 슬라브의 하부를 고정하되 슬라브를 관통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다만, 앞선 실시예의 제4 관통볼트(184)와 달리 관통하진 않대 슬라브의 중심까지는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최상층 슬라브이기 때문에 관통하여 설치할 경우, 강우시 연결 부위를 통해 비가 건물 내측으로 유입되어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 6 볼트헤드(196)는 제 6 관통볼트(186)의 하부를 고정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 바닥층 및 최상층에 적용되는 고정장치들의 경우, 볼트헤드 및 관통볼트 없이, 한 쌍의 Z형강(130) 및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가 용접되는 방식(도 10 (a), (c), (d)), Z형강(130), C형강(140) 및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가 용접되는 방식(도 10(d))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은 용접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은 용접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C형강(140)의 상부(14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도 용접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될 것이다.
이 방식으로 실시할 경우, 이음부분에 볼트헤드가 노출되지 않아 기존 실시예들 대비 심미감이 뛰어나고, 성능은 유지된다.
고정장치의 성능 검증
도 11에, 검증 실험의 실험체 및 주요 실험 변수가 도시된다.
제5 실험체 및 제6 실험체는 바닥층 고정장치(200)의 검증 실험을 위한 실험체이고, 제7 실험체 및 제8 실험체는 최상층 고정장치(300)의 검증 실험을 위한 실험체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실험체 스펙이 도시되고, 도 15내지 도 15에 검증 실험 결과가 도시된다.
도 12a에, 제5, 제6실험체의 바닥보 콘크리트 파괴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체 형상 및 치수가 도시된다.
도 12b에 제7, 제8 실험체의 천장보 콘크리트 파괴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체 형상 및 치수가 도시된다.
제7 실험체는 콘크리트 접합면이 에폭시에 의해 부착된다.
도 13a내지 13c에, 제5, 제6실험체의 바닥보 콘크리트 파괴강도 평가를 위한 실험체 형상 및 치수가 도시된다.
도 13a에 제5 실험체 및 제6 실험체, 즉, 바닥층 고정장치(200)의 보관통볼트(270)의 유무에 따른 실시예들의 모듈부재 및 바닥 RC보 제작 도면이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b에 제5 실험체, 즉, 바닥층 고정장치(200)의 보관통볼트(270)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의 슬래브 포함 바닥 RC보 철근 상세가 도시된다.
도 13c에 제6 실험체, 즉, 바닥층 고정장치(200)의 보관통볼트(270)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슬래브 포함 바닥 RC보 철근 상세가 도시된다.
도 14는, 도 12b에 도시된 제7, 제8실험체에서 관통 앵커볼트의 설치여부를 달리한 실험체 스펙이 도시된다. 콘크리트 바닥보 철근 상세 스펙은 제5 및 제6 실험체와 동일하며, 슬래브 관통 앵커볼트는 설치하지 않고, 보 관통 앵커볼트를 설치하였다.
도 15a 내지 15f를 참고하여, 제5 실험체의 검증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도 15a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와 도 15b의 파괴양상 사진을 참고하면, A 슬래브에서 균열이 관측될 때 하중은 100kN, 변위는 6.6mm로 나타나고, B 보-슬래브 균열이 연결될 때 하중은 125kN, 변위는 10mm로 나타나고, C 균열크기가 확장 및 파단될 때 하중은 160kN, 변위는 30mm로 나타났다.
도 15c의 실험종료 사진을 참고하면, 보-슬래브 접합 면 균열이 확인되고, 볼트 구멍으로 균열이 확장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5d에 철근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착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가 도시되고, 도 15e에 강재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탁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그래프가 도시되고, 도 15f에 콘크리트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착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 전단 변형률-변위관계 그래프, 하중-전단 변형률 관계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16a 내지 16f를 참고하여, 제6 실험체의 검증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도 16a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와 도 16b의 파괴양상 사진을 참고하면, A 슬래브에서 균열이 관측될 때 하중은 100kN, 변위는 5.3mm로 나타나고, B 슬래브 하단에서 사인장 균열이 발생할 때 하중은 224kN, 변위는 25mm로 나타나고, C 균열크기가 확장 및 기둥 용접부가 파단될 때 하중은 243kN, 변위는 60mm로 나타났다.
도 16c의 실험종료 사진을 참고하면, 보-슬래브 접합 면 및 볼트 주변에서 균열이 확인되고, 베이스 플레이트가 변형과 용접부가 파단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6d에 철근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착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가 도시되고, 도 16e에 강재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탁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그래프가 도시되고, 도 16f에 콘크리트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착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 전단 변형률-변위관계 그래프, 하중-전단 변형률 관계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17a 내지 17f를 참고하여, 제7 실험체의 검증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도 17a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와 도 17b의 파괴양상 사진을 참고하면, A 슬래브에서 균열이 관측될 때 하중은 109kN, 변위는 2.5mm로 나타나고, B H형강에서 좌굴이 발생할 때 하중은 234kN, 변위는 15mm로 나타나고, C 최대강도 도달 및 균열이 확장될 때 하중은 315kN, 변위는 40mm로 나타나고, D 파단 이후 실험 종료할 때 하중은 184kN, 변위는 70mm으로 나타났다.
도 17c의 실험종료 사진을 참고하면, 부가력 방향으로 콘크리트 압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7d에 철근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착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가 도시되고, 도 17e에 강재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탁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그래프가 도시되고, 도 17f에 콘크리트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착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 전단 변형률-변위관계 그래프, 하중-전단 변형률 관계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18a 내지 18f를 참고하여, 제8 실험체의 검증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도 18a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와 도 18b의 파괴양상 사진을 참고하면, A 슬래브에서 균열이 관측될 때 하중은 98kN, 변위는 2.5mm로 나타나고, B H형강에서 좌굴이 발생할 때 하중은 220kN, 변위는 11mm로 나타나고, C 일시강도 도달 후 일시적으로 강도가 감소할 때 하중은 372kN, 변위는 35mm로 나타나고, D H형강 용접부 파단으로 실험 종료할 때 하중은 382kN, 변위는 94mm으로 나타났다.
도 18c의 실험종료 사진을 참고하면, 볼트 주변에 균열이 발생하고, H형강 용접부가 파단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8d에 철근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착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가 도시되고, 도 18e에 강재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탁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그래프가 도시되고, 도 18f에 콘크리트 게이지와, 게이지 센서 부착 위치에 따른 하중-변형 관계 그래프, 전단 변형률-변위관계 그래프, 하중-전단 변형률 관계 그래프가 도시된다.
검증 실험 결과, 제5 실험체 대비 제6 실험체의 성능이 증가하고, 제7 실험체 대비 제8 실험체의 성능이 증가하여 보관통볼트(270, 370)로 인한 보강 성능이 확실하게 검증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슬라브
12: 보
20: 감쇠장치
21: 감쇠장치 하부프레임
22: 감쇠장치 상부프레임
30: 최상층 프레임
100: 고정장치
130: Z형강
131: 상부
132: 측부
133: 하부
135: 스티프너
140: C 형강
141: 상부
142: 측
181: 제 1 관통볼트
182: 제2 관통볼트
182': 제2' 관통볼트
183: 제 3 관통볼트
184: 제 4 관통볼트
185: 제 5 관통볼트
186: 제 6 관통볼트
191: 제 1 볼트헤드
192: 제2 볼트헤드
192': 제2' 볼트헤드
193: 제 3 볼트헤드
194: 제 4 볼트헤드
195: 제 5 볼트헤드
196: 제 6 볼트헤드
200: 바닥층 고정장치
250: L형강
251: 상부
252: 측부
255: 스티프너
270: 보관통볼트
300: 최상층 고정장치
331: 상부
332: 측부
333: 하부
330: Z형강
370: 보관통볼트

Claims (9)

  1.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는 벽식감쇠장치인 감쇠장치(20)를 상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n은 2 이상 N이하이며,
    상기 중간층의 바닥면에는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보가 위치하며,
    n층에 위치하는 고정장치(100)는 n층의 감쇠장치(20)의 하부와 n-1층의 감쇠장치(20)의 상부를 그 사이에 위치한 슬라브와 보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상기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하는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 및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하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100)는,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3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3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133)를 포함하여 보를 감싸면서 접한 채 슬라브 하면에 체결되는 한 쌍의 Z형강(130);
    상기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제 1 관통볼트(181);
    상기 제 1 관통볼트(181)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제 1 볼트헤드(191);
    상기 Z형강(130)의 하부(13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되 보는 관통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2 관통볼트(182); 및
    상기 제 2 관통볼트(182)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2 볼트헤드(192)를 포함하여,
    n-1층의 감쇠장치(20)는 그 상부가 n층의 고정장치(100)의 하부에 의해 n층의 슬라브와 보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n-1층의 고정장치(100)의 상부에 의해 n-1층의 슬라브와 보에 고정되되, 그 상부 및 하부 모두에서 보를 관통하지 않으며 접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2.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는 벽식감쇠장치인 감쇠장치(20)를 상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n은 2 이상 N이하이고,
    상기 중간층의 바닥면에는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보가 위치하며,
    n층에 위치하는 고정장치(100)는 n층의 감쇠장치(20)의 하부와 n-1층의 감쇠장치(20)의 상부를 그 사이에 위치한 슬라브와 보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상기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하되 그 일측이 보 외측으로 돌출된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 및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하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100)는,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3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3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133)를 포함하여 보의 일부를 감싸면서 접한 채 슬라브 하면에 체결되는 Z형강(130);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4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4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상면에 접하는 하부(143)를 포함하여 보의 다른 일부를 감싸면서 접한 채 슬라브 하면에 체결되는 C형강(140);
    상기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제 1 관통볼트(181);
    상기 C형강(140)의 상부(14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다른 제 1 관통볼트(181);
    상기 제 1 관통볼트(181)들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각각 제 1 볼트헤드(191);
    상기 Z형강(130)의 하부(13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되 보는 관통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2 관통볼트(182);
    상기 C형강(140)의 하부(143)와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으로서 보 외측으로 돌출된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 2' 관통볼트(182');
    상기 제 2 관통볼트(182)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2 볼트헤드(192); 및
    상기 제 2' 관통볼트(182')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제 2' 볼트헤드(192')를 포함하여,
    n-1층의 감쇠장치(20)는 그 상부가 n층의 고정장치(100)의 하부에 의해 n층의 슬라브와 보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n-1층의 고정장치(100)의 상부에 의해 n-1층의 슬라브와 보에 고정되되, 그 상부 및 하부 모두에서 보를 관통하지 않으며 접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Z형강(130)의 상부와 측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인 스티프너(135)를 더 포함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바닥층에 설치되는 벽식감쇠장치인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바닥층 고정장치(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층의 바닥면에는 바닥면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바닥면 보가 위치하며,
    상기 바닥층 고정장치(200)는,
    바닥면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251) 및 바닥면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252)를 포함하는 한 쌍의 L형강(250);
    상기 L형강(250)의 상부(251)와 바닥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바닥면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제 3 관통볼트(183);
    상기 제 3 관통볼트(183)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제 3 볼트헤드(193); 및
    상기 L형강(250)의 상부(251)와 측부(252)를 연결하는 보강부재인 바닥층 스티프너(255)를 포함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L형강(250)의 측부(25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보관통볼트(270)를 더 포함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최상층에 설치되는 벽식감쇠장치인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해 최상층 위의 슬라브에 설치되는 최상층 고정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층 위측에는 최상층 슬라브 및 그 아래에 최상층 보가 위치하며,
    상기 최상층 고정장치(300)는,
    최상층 슬라브의 상면에 위치하는 최상층 프레임(30);
    최상층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331), 최상층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332) 및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3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최상층 Z형강(330);
    상기 최상층 Z형강(330)의 상부(331)와 상기 최상층 프레임(30)을 연결하도록 슬라브를 관통 설치되는 제 4 관통볼트(184);
    상기 제 4 관통볼트(184)의 상부 및 하부를 고정하는 제 4 볼트헤드(194);
    상기 최상층 Z형강(330)의 하부(333)와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보에 설치되는 제 5 관통볼트(185); 및
    상기 제 5 관통볼트(185)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5 볼트헤드(195)를 포함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최상층에 설치되는 벽식감쇠장치인 감쇠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해 최상층 위의 슬라브에 설치되는 최상층 고정장치(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층 위측에는 최상층 슬라브 및 그 아래에 최상층 보가 위치하며,
    상기 최상층 고정장치(300)는,
    최상층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331), 최상층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332) 및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333)를 포함하는 한 쌍의 최상층 Z형강(330);
    상기 최상층 Z형강(330)의 하부(333)와 N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 5 관통볼트(185);
    상기 제 5 관통볼트(185)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5 볼트헤드(195);
    상기 최상층 Z형강(330)의 상부(331)와 슬라브의 하부를 고정하되 슬라브를 관통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제 6 관통볼트(186);
    상기 제 6 관통볼트(186)의 하부를 고정하는 제 6 볼트헤드(196); 및
    상기 한 쌍의 최상층 Z형강(330)의 측부(33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보관통볼트(370)를 더 포함하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8.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는 벽식감쇠장치인 감쇠장치(20)를 상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n은 2 이상 N이하이며,
    상기 중간층의 바닥면에는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보가 위치하며,
    n층에 위치하는 고정장치(100)는 n층의 감쇠장치(20)의 하부와 n-1층의 감쇠장치(20)의 상부를 그 사이에 위치한 슬라브와 보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상기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하는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 및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하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100)는,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3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3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133)를 포함하여 보를 감싸면서 접한 채 슬라브 하면에 체결되는 한 쌍의 Z형강(130);
    상기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은 용접되어 체결부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n-1층의 감쇠장치(20)는 그 상부가 n층의 고정장치(100)의 하부에 의해 n층의 슬라브와 보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n-1층의 고정장치(100)의 상부에 의해 n-1층의 슬라브와 보에 고정되되, 그 상부 및 하부 모두에서 보를 관통하지 않으며 접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9. N층 건물에서 중간층인 n층에 설치되는 벽식감쇠장치인 감쇠장치(20)를 상하에서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로서,
    n은 2 이상 N이하이고,
    상기 중간층의 바닥면에는 슬라브 및 그 아래에 보가 위치하며,
    n층에 위치하는 고정장치(100)는 n층의 감쇠장치(20)의 하부와 n-1층의 감쇠장치(20)의 상부를 그 사이에 위치한 슬라브와 보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상기 감쇠장치(20)는,
    감쇠장치(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보와 접하되 그 일측이 보 외측으로 돌출된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 및
    감쇠장치(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슬라브와 접하는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100)는,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3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3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133)를 포함하여 보의 일부를 감싸면서 접한 채 슬라브 하면에 체결되는 Z형강(130);
    슬라브의 하면에 접하는 상부(141), 보의 측면에 접하는 측부(142) 및 n-1층의 감쇠장치 상부프레임(22)의 상면에 접하는 하부(143)를 포함하여 보의 다른 일부를 감싸면서 접한 채 슬라브 하면에 체결되는 C형강(140);
    상기 Z형강(130)의 상부(13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은 용접되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C형강(140)의 상부(141)와 n층의 감쇠장치 하부프레임(21)도 용접되어 체결부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n-1층의 감쇠장치(20)는 그 상부가 n층의 고정장치(100)의 하부에 의해 n층의 슬라브와 보에 고정되고 그 하부가 n-1층의 고정장치(100)의 상부에 의해 n-1층의 슬라브와 보에 고정되되, 그 상부 및 하부 모두에서 보를 관통하지 않으며 접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는,
    감쇠장치 고정장치.
KR1020210164736A 2021-11-25 2021-11-25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 KR102456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36A KR102456492B1 (ko) 2021-11-25 2021-11-25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736A KR102456492B1 (ko) 2021-11-25 2021-11-25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492B1 true KR102456492B1 (ko) 2022-10-25

Family

ID=8380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736A KR102456492B1 (ko) 2021-11-25 2021-11-25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4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132A (ja) * 1997-01-14 1998-07-28 Toda Constr Co Ltd 壁付き柱の耐震補強構造
JP2003013614A (ja) * 2001-04-26 2003-01-15 Ohmoto Gumi Co Ltd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ブレースの取付装置
KR101067869B1 (ko) 2009-04-07 2011-09-27 한국전력공사 계전기 판넬에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내진 보강구조
KR101442487B1 (ko) 2013-03-08 2014-09-25 삼영엠텍(주) 댐퍼고정 장치와 수평보형 댐퍼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KR101880630B1 (ko) * 2017-04-05 2018-07-20 (주)제이스코리아 건축물의 내진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JP2020012280A (ja) 2018-07-17 2020-01-23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ラーメン高架橋の防振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132A (ja) * 1997-01-14 1998-07-28 Toda Constr Co Ltd 壁付き柱の耐震補強構造
JP2003013614A (ja) * 2001-04-26 2003-01-15 Ohmoto Gumi Co Ltd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ブレースの取付装置
KR101067869B1 (ko) 2009-04-07 2011-09-27 한국전력공사 계전기 판넬에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내진 보강구조
KR101442487B1 (ko) 2013-03-08 2014-09-25 삼영엠텍(주) 댐퍼고정 장치와 수평보형 댐퍼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방법
KR101880630B1 (ko) * 2017-04-05 2018-07-20 (주)제이스코리아 건축물의 내진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JP2020012280A (ja) 2018-07-17 2020-01-23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ラーメン高架橋の防振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29B1 (ko) 전단벽 수평지지 구조
KR101165320B1 (ko)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
JP4625540B1 (ja) ハイブリット顎および該ハイブリット顎を用いた柱梁の接合構造
US9145701B2 (en)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ement apparatus, earthquake resistant building, and an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ing method
KR102006932B1 (ko)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JP2008063803A (ja) 内リブ付形鋼を用いた合成床版、合成床版橋又は合成桁橋
JP6166560B2 (ja) 免震建物の増築構造
JP4617633B2 (ja) 制震構造物
KR20090025496A (ko) 내진성능 보강구조체
KR102201159B1 (ko) 캡유닛과 보강기둥을 이용한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56492B1 (ko) 내진 보강을 위한 감쇠장치 고정장치
Mansour Development of the design of eccentrically braced frames with replaceable shear links
JP2006132313A (ja) 基礎と架台の接合構造
JP4472726B2 (ja) 免震建物構造
KR101770988B1 (ko) 구조물 내진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585072B1 (ko) 교량 구조물의 보강구조체를 이용한 성능개선 및 내진보강 공법
KR20200025362A (ko)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200025360A (ko) 댐퍼가 구비된 강재 브레이스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JP2001248331A (ja) 制震ダンパーの設置構造および設置方法
TWI689654B (zh) 制震壁
KR102300605B1 (ko) 내진용 조적 칸막이벽 전도 방지 구조
JP6057371B2 (ja) 耐震補強部材
KR102468041B1 (ko) 증축건축물
CN211340846U (zh) 拱形腰梁
JP5778062B2 (ja) 耐震・制振部材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