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666B1 -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666B1
KR102455666B1 KR1020210079312A KR20210079312A KR102455666B1 KR 102455666 B1 KR102455666 B1 KR 102455666B1 KR 1020210079312 A KR1020210079312 A KR 1020210079312A KR 20210079312 A KR20210079312 A KR 20210079312A KR 102455666 B1 KR102455666 B1 KR 10245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terminal
offline
player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797A (ko
Inventor
김늘
김이야
Original Assignee
김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늘 filed Critical 김늘
Publication of KR2021015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은 단말로부터의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에 연동하여, 메모리 내 선수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으로서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단계와,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의 사용자가 선수와 함께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SERVICE OF ONLINE GAME CONNECTED WITH OFFLINE GAME}
본 발명은 단말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선수와 함께 한 팀이 되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매년 다양한 장소에서 많은 경기들이 개최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기는 방송 매체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중계된다. 시청자들은 방송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경기 영상을 다양한 종류의 기기를 이용하여 시청함으로써, 경기를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시청자는 경기 영상을 시청하면서 선수를 혼자 응원할 뿐, 경기에 출전한 선수와 함께 경기에 참여하거나, 선수와 유대감을 형성할 수는 없다.
또한, 경기 영상을 시청하기만 하는 시청자는 경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지루함을 느낄 수 있으며, 경기 시청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게 되어 경기를 온전히 즐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가 선수와 함께 경기를 즐길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오프라인 경기(예컨대, 골프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하면서, 단말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선수와 함께 한 팀을 이루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경기에 대한 흥미도 및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온라인 게임경기를 통해 오프라인 경기에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복수의 선수 중에서 단말의 사용자가 선택한 선수와 한 팀을 이루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가 평소에 좋아하던 선수와 함께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시,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버튼 외에,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도구(예컨대, 골프채, 스틱)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 게임경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오프라인 경기에서 획득한 선수의 점수와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획득한 단말의 사용자의 점수를 이용하여 팀의 점수를 산출하고, 팀의 점수에 기초하여 팀이 상위권에 속함에 따라 팀에 상금이 부여되는 경우,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에게 설정된 분배 규칙에 기초하여 상금을 분배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로 하여금 선수와의 유대감 및 팀의식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말의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하는 동시에,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선수와 함께 한 팀이 되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말로부터의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에 연동하여, 메모리 내 선수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와,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에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단계와,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경기 영상을 전송받는 단말의 사용자가 선수와 함께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단말로부터의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에 연동하여, 메모리 내 선수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에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시키고,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처리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하여, 경기 영상을 전송받는 단말의 사용자가 선수와 함께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하면서, 단말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선수와 함께 한 팀을 이루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경기에 대한 흥미도 및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온라인 게임경기를 통해 오프라인 경기에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복수의 선수 중에서 단말의 사용자가 선택한 선수와 한 팀을 이루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가 평소에 좋아하던 선수와 함께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시,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버튼 외에,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도구(예컨대, 골프채, 스틱)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 게임경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오프라인 경기에서 획득한 선수의 점수와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획득한 단말의 사용자의 점수를 이용하여 팀의 점수를 산출하고, 팀의 점수에 기초하여 팀이 상위권에 속함에 따라 팀에 상금이 부여되는 경우,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에게 설정된 분배 규칙에 기초하여 상금을 분배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로 하여금 선수와의 유대감 및 팀의식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복수의 카메라, 복수의 단말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에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에서 단말에서의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를 지원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에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한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산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에서 상금을 분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예컨대, 웹 사이트(wet site)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에 단말에서의 사용자 회원 가입을 지원하고, 가입한 회원에게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에서의 사용자 회원 가입시 유료로 진행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복수의 카메라, 복수의 단말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지원 시스템(100)은 복수의 카메라(110),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이하, '서비스 지원 장치'로 칭함)(120), 복수의 단말(130), 광고 서버(140) 및 네트워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10)는 오프라인 경기(예컨대, 골프 경기)가 진행되는 공간(예컨대, 경기장) 내 서로 상이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카메라(110)는 오프라인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경기 영상을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서비스 지원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복수의 카메라(110)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경기 영상(또는, 경기관련 데이터 포함)을 수신하고, 경기진행 시스템으로부터 경기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며,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의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오프라인 경기에서 촬영한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중계 서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에 대한 정보(예컨대, 선수의 성명, 캐릭터, 나이, 소속, 경기 실적, 경기 평균 점수 등)를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에 대한 정보를 경기 협회 서버(도시하지 않음)(또는, 관리자)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선수에 대한 정보를 선수 리스트로 작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획득된 선수에 대한 정보 중 팀장(또는, 구단주)로 기등록된 선수에 대한 정보만을 선수 리스트로 작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복수의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메모리 내 선수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하고,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선택된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으로서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가상 플레이 팀에 포함된 사용자의 단말에 경기 영상을 전송하는 동안에, 단말의 사용자가 선수와 함께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여,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하도록 하는 동시에, 온라인 게임경기를 통해 오프라인 경기에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경기 영상을 전송하는 동안에, 광고 서버(140)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광고 컨텐츠를 경기 영상과 함께 전송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에 경기 영상과 함께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단말의 사용자에게 광고함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상금을 협찬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는 참가자들 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지원함으로써, 단말과 연관된 화면에 SNS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 참가자들이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130)은 예컨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에 회원으로서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서비스 지원 장치(120)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오프라인 경기 시청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하는 동안에,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프라인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선수와의 매칭을 통해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를 예약할 수 있다.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를 예약한 경우, 서비스 지원 장치(120)는 오프라인 경기가 시작되기 전(예컨대, 경기시작 5분전)에, 오프라인 경기 일정에 대한 메시지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선수 정보 요청을 서비스 지원 장치(120)에 전송하고, 서비스 지원 장치(120)로부터 선수 리스트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단말은 선수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선수를 서비스 지원 장치(120)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지원 장치(120)에 의해, 단말의 사용자가 선수와 매칭되고,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에 단말의 사용자가 팀원으로서 합류하여, 상기 선수와 함께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서비스 지원 장치(120)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지원 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경기 영상을 단말과 연관된 화면의 일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다른 일부에 온라인 게임경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단말과 연관된 화면을 오프라인 경기와 관련된 화면(제1 영역) 및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 각각에 오프라인 경기에서 촬영된 경기 영상 및 온라인 게임경기를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하는 동시에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광고 서버(140)는 서비스 지원 장치(120)에 광고 컨텐츠를 전송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120)를 통해 단말에 광고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복수의 카메라(110), 서비스 지원 장치(120), 복수의 단말(130) 및 광고 서버(1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15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15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 및 게이트웨이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5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150)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200)는 인터페이스(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는 오프라인 경기(예컨대, 골프 경기)가 진행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예컨대, 고정되어 설치된 카메라, 드론에 장착되어 이동 가능한 카메라)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골프 경기가 개최될 경우, 선수가 18개의 경기장을 차례대로 이동하면서 플레이하는 장면을 촬영한 경기 영상을 18개의 경기장에 각각 위치하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10)는 경기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경기출전 선수, 경기 위치 등)를 카메라 또는 경기진행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경기 영상은 오프라인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장면을 촬영한 영상으로서, 설정된 주기 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인터페이스(210)에 의해,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경기 영상(또는, 경기관련 데이터에 함께)을 메모리(2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가공하여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단말과 연관된 화면(예컨대, 단말의 내부에 위치하는 화면, 단말에서 비추는 빛을 수신하는 스크린 화면, 단말의 외부에 위치하여, 단말과 통신 가능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에 제약받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오프라인 경기를 어디서든 시청할 수 있게 한다.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을 요청한 단말에 경기 영상을 전송하거나, 또는 접속하는 모든 단말에 경기 영상을 전송하여 중계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저장, 가공 또는 중계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게임 콘솔, 프로젝터,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어,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셋톱박스(STB),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사이니지, 스마트 TV,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등 어떤 종류의 디바이스든 될 수 있고, 고정형 기기 및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10)는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이 단말에 제공되는 도중에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을 수신하거나, 또는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이 제공되고 있지 않은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210)는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의 시청 여부와 무관하게, 단말로부터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을 수신하여,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하는 동안에,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오프라인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선수와의 매칭을 통해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를 예약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10)는 단말로부터의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에 연동하여, 메모리(230) 내 선수 리스트 획득하고, 획득한 선수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선수 리스트는 프로세서(220)에 의해,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에 대한 정보(예컨대, 선수의 성명, 캐릭터, 나이, 소속, 경기 실적, 경기 평균 점수 등)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메모리(23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이때, 선수 리스트는 선수에 대한 정보 외에,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정원수 및 팀원 잔여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210)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따라,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 잔여수가 없을 때, 상기 가상 플레이 팀에 포함된 선수가 단말에서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상기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즉, 선수가 팀장인 가상 플레이팀)의 팀원에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선수 리스트에서 복수의 선수가 선택된 경우, 단말의 사용자를 복수의 선수와 각각 매칭시킴으로써, 단말의 사용자를 복수의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으로서 각각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을 전송받는 단말의 사용자가 단말에서 선택된 선수와 함께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단말에 의해 지정된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는 동안에, 단말의 사용자가 선수와 함께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즉, 프로세서(220)는 단말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하면서, 단말의 사용자가 좋아하는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와 함께 한 팀을 이루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경기에 대한 흥미도 및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온라인 게임경기를 통해 오프라인 경기에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단말의 사용자의 선택 또는 중계에 의한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가 단말(예컨대, 경기 영상을 요청한 단말 또는 중계 대상의 모든 단말)에 전송되어, 단말과 연관된 화면(예컨대, 단말 내 화면, 단말과 연관된 스크린 화면, 단말과 통신 가능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설정된 시점이 도래하거나, 또는 단말로부터의 참여 요청에 따라, 단말과 연관된 화면을 분할하고 오프라인 경기의 경기 영상과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선수가 스윙한 골프공이 경기장 내 사전에 정해진 장소(예컨대, 그린)에 위치하거나, 또는 사전에 정해진 경기진행 시점에 선수가 퍼터를 그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된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는 동안에, 설정된 시점이 도래하거나, 또는 단말로부터의 참여 요청이 입력되면,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제1 영역(오프라인 경기와 관련된 화면 즉, 오프라인 경기 화면)에 경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제1 영역을 제외한 화면 내 제2 영역(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 즉, 온라인 게임경기 화면)에 온라인 게임경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경기 영상을 시청하는 동시에 온라인 게임경기를 즐길 수 있게 한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화면에 경기 영상 및 온라인 게임경기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단말 내 화면에 경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단말과 연관된 스크린 화면(예컨대, 단말에서 비추는 빛을 수신하는 스크린 화면, 단말의 외부에 위치하여, 단말과 통신 가능한 화면)에 온라인 게임경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경기 영상 시청 및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 지원을 위해, 프로세서(220)는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을 포함하는 경기장을 그래픽으로 처리하여 그래픽 영상을 생성하고, 그래픽 영상을 경기 영상과 함께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 중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그래픽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오프라인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의 영상 또는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경기장 그래픽에 매칭하여 골프공이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20)는 그래픽 처리시,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에 포함된 선수를 단말의 사용자의 캐릭터(예컨대, 가입시 등록된 캐릭터)로 변경하고, 사용자의 캐릭터를 그래픽 영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경기 디스플레이시, 프로세서(220)는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 및 골프공의 목적지인 홀을 포함하는 경기 영상을 그래픽으로 처리하고, 처리된 그래픽 영상을 경기 영상과 함께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그래픽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경기에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선수가 스윙한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과 홀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를 화면 내 제2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조정한 후, 조정된 거리만큼 골프공 및 홀을 이격시켜 화면 내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예컨대,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기준 크기(예컨대, 선수의 키, 골프채 길이 등)에 기초하여 선수가 경기장에서 스윙한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과 홀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계산된 거리가 2m 이상이나, 경기 영상이 경기장 전체의 장면을 포함함에 따라 20㎝ 크기의 제2 영역에 표시되는 골프공과 홀 간의 거리가, 2㎝ 미만의 거리로 표시되는 경우, 제2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길게 조정한 후, 조정된 거리만큼 골프공 및 홀을 이격시켜 화면 내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홀까지 골프공을 이동시키도록 퍼팅하기 위해 선수가 느끼는 거리감을 단말의 사용자 또한 유사하게 느낄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 및 골프공의 목적지인 홀을 포함하는 경기 영상을 그래픽으로 처리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프로세서(220)는 골프 경기에서 진행되던 선수의 플레이 상태(또는, 홀을 기준으로 골프공이 위치한 지점)을 그대로 화면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제공하여,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진행하던 플레이를 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경기를 통해 이어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홀에 꽂힌 깃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경기장에서의 풍향 및 풍속을 확인하고, 풍향 및 풍속을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풍향 및 풍속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퍼팅할 수 있게 한다. 즉, 프로세서(220)는 경기장의 환경을 단말에 더 제공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가 경기장의 현장감을 느끼면서 비슷한 환경에서 퍼팅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경기 영상과 온라인 게임경기를 제공하는 프로세서(220)는 카메라로부터 설정된 주기 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함에 따라,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제1 영역에 표시되는 경기 영상이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반면, 특정 시점(설정된 시점이 도래하거나, 또는 단말로부터의 참여 요청이 입력된 시점)에서의 경기 영상을 그래픽 처리하여 단말에 전송함에 따라,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제2 영역에 표시되는 그래픽 영상은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이 입력되기 전까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단말의 게임 요청에 기초하여 그래픽 영상을 갱신하고, 갱신된 그래픽 영상을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에서 개인 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 실행(또는, 표시되는 골프공 터치) 또는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도구(예컨대, 골프채, 스틱)의 퍼팅 동작 실행에 기초하여,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버튼 실행을 통한 동작 실행시, 버튼의 움직임 방향은 예컨대, 퍼팅의 방향과 연관되고, 버튼의 클릭 세기는 퍼팅의 세기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경기시, 스마트폰, 골프채 및 센서로 이루어진 세트 중 최소 하나 이상의 도구들은 게임 참가자(단말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온라인 게임경기의 프로그램의 의해 인식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방향, 속도, 스핀 등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할 수 있는 데이터는 상기 도구들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설정된 시점(예컨대, 경기장에 할당된 플레이 시간이 종료되는 시점, 골프공이 경기장 내 그린에 위치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 단말에서 퍼팅을 발생할 수 있게 하고, 설정된 시점까지 퍼팅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설정된 마이너스 점수를 단말의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이후 발생하는 퍼팅 요청을 무효화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설정된 시점이 도래하기 전에 타임 카운트 신호(예컨대, 초단위 카운트 신호)를 화면 내 제2 영역에 제공하여, 유효 퍼팅을 실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점수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프로세서(220)는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시도한 세기 및 방향을 추출하고, 세기 및 방향에 기초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서 골프공을 이동시켜 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실시간 오프라인 경기시의 풍향, 풍속, 날씨 및 경기장 표면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에서의 온라인 게임경기에 반영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확인된 경기장에서의 풍향 및 풍속에 더 기초하여 골프공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경기장의 현장감을 느끼면서 보다 흥미롭게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단말에서의 퍼팅 수행 후, 프로세서(220)는 화면 내 온라인 게임경기 화면에서 이동한 골프공이 홀에 들어간 경우(홀인, hole in), 오프라인 경기가 진행되더라도, 온라인 게임경기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20)는 화면 내 온라인 게임경기 화면에서 이동한 골프공이 홀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 오프라인 경기가 종료되더라도, 단말에서의 퍼팅 수행을 대기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오프라인 경기와 무관하게, 골프공이 홀에 들어갈 때까지(또는, 종료 시각에 도래할 때까지) 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경기를 계속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상기 설정된 시점이 도래기 전에, 단말로부터의 실습 요청이 입력되면,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했을 때와 같은 환경을 제공하되, 점수 산출에 반영하지 않는다. 프로세서(220)는 단말의 사용자가 연습 게임을 경험하도록 함으로써, 퍼팅(또는, 스윙)에 대한 감각을 익힐 수 있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각 경기장 마다 오프라인 경기 및 온라인 게임경기가 종료되면(예컨대, 18개의 경기장에서의 모든 경기가 종료되면), 오프라인 경기에서의 선수의 점수 및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의 점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일반적인 경기 규칙에 기초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4파로 홀인 해야 하는 제1 경기장에서, 선수가 3파로 홀인한 경우, 프로세서(220)는 선수의 점수로서 '1'점을 산출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220)는 팀원인 단말의 사용자가 동일한 제1 경기장에서 4파로 홀인한 경우, 단말의 사용자의 점수로서 '-1'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20)는 오프라인 경기에서의 선수의 점수 및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의 점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산출방식에 따라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상 플레이 팀이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A' 선수인 팀장 및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가한 제1 내지 제3 사용자인 팀원으로 구성된 경우, 프로세서(220)는 'A'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획득한 점수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각각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획득한 점수들을 평균하여 제1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선수 리스트 내 모든 선수가 각각 포함된 복수의 가상 플레이 팀들의 점수에 기초하여 선정된 가상 플레이 팀들에 상금을 부여하고, 상금을 선정된 가상 플레이 팀들 내 팀원에게 설정된 분배 규칙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20)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각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모두 산출하여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고, 설정된 순위(예컨대, 3위) 내에 나열된 가상 플레이 팀들에 해당 상금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가상 플레이 팀들에 점수에 따라 상금을 차등하게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금 분배시, 프로세서(220)는 예컨대, 가상 플레이 팀의 팀장인 선수에게 가상 플레이 팀에 부여된 상금의 50%를 부여하고, 나머지 상금의 50%를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인 단말의 사용자들에게 동일하게 부여(또는, 점수 순서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부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상금을 분배할 수 있다. 상기 상금은 예컨대, 오프라인 경기를 주최하는 협회 또는 오프라인 경기를 통해 제품을 광고하는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오프라인 경기 화면 및 온라인 게임경기 화면에 경기 영상 및 온라인 게임경기가 각각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때, 광고 컨텐츠를 단말에 전송하여, 화면 내 오프라인 경기 화면(또는, 온라인 게임경기 화면)에 광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220)는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는 단말들 간의 SNS를 지원함으로써,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는 참가자들(또는, 가상 플레이 팀원)이 소통할 수 있게 한다. 단말의 사용자로서 선수가 SNS에 참여할 경우, 팀원들은 팀장인 선수와 소통하면서 온라인 게임경기를 즐길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단말에서 문자 외에도, 음성을 통해 SNS에 참여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에 방해받지 않고, 팀원들 간에 소통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20)는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를 신청한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참여가 허용되면, 참여가 허용된 단말에서 비실시간으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경기가 끝난 후에도 해당 경기를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즐길 수 있게 한다.
메모리(230)는 프로세서(22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220)에서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에 대한 정보(예컨대, 선수의 성명, 캐릭터, 나이, 소속, 경기 실적, 경기 평균 점수 등), 선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된 선수 리스트,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구성원, 가상 플레이 팀의 정원수 및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 잔여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경기 영상 및 기등록된 광고 컨텐츠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에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키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고자 하는 단말의 사용자와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를 매칭시켜, 가상 플레이 팀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에 대한 시청 요청을 발생한 단말에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단말은 설정된 시간 내(예컨대, 오프라인 경기 시작 시각을 기준으로 10분 내, 골프공이 그린에 위치하기 전)에 단말과 연관된 화면에 표시된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 버튼(또는, 선수 정보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또는, 단말에서 게임 참여 음성이 인식되면),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한국 프로' 골프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을 단말(310)에 전송하여, 단말(310) 내 화면(32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에 따라 단말(310)의 사용자가 '한국 프로' 골프 경기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는 '한국 프로' 골프 경기에 대한 정보(예컨대, 경기시작 시각, 상금 액수, 선수 인원 등) 및 '한국 프로' 골프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대한 정보(예컨대, 상금 액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단말(310)에 전송하여, 단말(310) 내 화면(320)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310)은 화면(320)에 표시된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 버튼(330)이 선택되면, '한국 프로' 골프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을 발생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로부터 시작하지 않는 오프라인 경기에 대한 시청 요청이 수신되거나, 또는 오프라인 경기 안내 요청이 수신되면, 오프라인 경기에 대한 정보(예컨대, 경기 일정, 상금 액수, 선수 인원 등)를 단말에 제공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단말은 화면에서 오프라인 경기에 관련하여 표시된 선수 정보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의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을 수신한 서비스 지원 장치는 메모리 내 선수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하고,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으로서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에 대한 정보(예컨대, 선수의 성명, 캐릭터, 나이, 소속, 경기 실적, 경기 평균 점수 등)를 포함한 선수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수를 선택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선수 리스트에 가상 플레이 팀의 정원수 및 팀원 잔여수를 더 포함함으로써, 선택 가능한 선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즉,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를 단말에 중계하는 중에 단말에서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을 발생하는 경우, 가상 플레이 팀을 구성하여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를 바로 시작할 수 있게 한다. 반면,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단말에서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을 발생하는 경우, 가상 플레이 팀을 구성하여 앞으로 시작될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를 미리 예약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단말(310) 내 화면(320)에 표시된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 버튼(330)이 선택됨에 따라, 단말에서 '한국 프로' 골프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이 발생하면, '한국 프로' 골프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에 대한 선수 리스트(340)를 메모리로부터 획득하여 단말(310)에 제공함으로써, 함께 플레이하고자 하는 선수를 단말(310)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선수 리스트(340)에서 'A' 선수(350)가 선택된 경우, 'A' 선수(350)와 단말(310)의 사용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즉, 서비스 지원 장치는 'A' 선수(350)가 팀장으로 구성된 제1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으로서 단말(310)의 사용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에서 단말에서의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를 지원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는 동안에, 설정된 시점이 도래하거나, 또는 단말로부터의 참여 요청이 입력되면,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 및 온라인 게임경기가 각각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경기 영상을 시청하는 동시에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서비스 지원 장치(400)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선수가 스윙한 골프공이 경기장 내 사전에 정해진 장소(예를 들어, 그린)에 위치하거나, 또는 사전에 정해진 경기진행 시점에 선수가 퍼터를 그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된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마트폰(410) 내 화면(420)의 제1 영역(430)(오프라인 경기 화면) 및 제2 영역(440)(온라인 게임경기 화면)에 골프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 및 골프 경기에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를 각각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400)는 골프 경기에서 진행되던 선수의 플레이 상태(또는, 홀을 기준으로 골프공이 위치한 지점)을 그대로 스마트폰(410) 내 화면의 제2 영역에 제공하여,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진행하던 플레이를 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경기를 통해 이어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 지원 장치는 실시간 오프라인 경기시의 풍향, 풍속, 날씨 및 경기장 표면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에서의 온라인 게임경기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지원 장치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홀에 꽂힌 깃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경기장에서의 풍향 및 풍속을 확인하고, 풍향 및 풍속을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제2 영역에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풍향 및 풍속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퍼팅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서비스 지원 장치(400)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홀에 꽂힌 깃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풍향 및 풍속으로서, 북향 및 10m/sec가 확인되면, 북향 및 10m/sec을 스마트폰(410) 내 화면의 제2 영역에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400)는 골프공과 홀을 연결하는 가상선(450)을 기준으로 북향이 어느 방향인지를 화살표(460)로 표시함으로써,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골프공을 퍼팅할 수 있게 한다. 단말은 화면 내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 실행(또는, 골프공 터치)이 감지되면, 게임 요청을 발생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과 연관된 화면으로서, 스마트폰에 내장된 화면 외에, 스크린 화면(또는, TV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지원 장치(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510)(예컨대, 스크린 화면과 통신 가능한 단말, 스크린 화면에 빛을 비추는 빔 프로젝터)과 연관된 스크린 화면(52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골프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 및 골프 경기에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를 각각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는 사용자의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시, 사용자가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도구(예컨대, 골프채, 스틱)를 이용해서 퍼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라인 게임경기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단말은 예컨대, 내장된 카메라(또는, 스크린에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하여 경기 영상을 생성하고, 경기 영상으로부터 퍼팅 동작 실행(예컨대, 사용자가 퍼터를 잡고, 퍼터를 일정 간격 이상 움직임)이 감지되면, 게임 요청을 발생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게임 요청으로부터 세기 및 방향을 추출하고, 세기 및 방향에 기초하여 화면 내 제2 영역에서 골프공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단말에서의 사용자 퍼팅 수행 후, 골프공이 목적지인 홀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에서의 퍼팅 수행을 대기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의 사용자가 속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장인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홀인하여 경기가 종료된 경우에도, 선수와 무관하게 온라인 게임경기를 계속 진행할 수 있게 하고, 단말에서의 퍼팅 수행 결과, 화면 내 제2 영역에서 홀인되면, 온라인 경기를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에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한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산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선수의 점수와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가한 단말의 사용자들의 점수를 이용하여,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들이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단말의 사용자가 속한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는 가상 플레이 팀의 팀장으로서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선수의 점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는 오프라인 경기에 더 몰입하여, 출전한 선수를 더욱 응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지원 장치는 모든 오프라인 경기 및 온라인 게임경기가 종료되면, 오프라인 경기에서의 선수의 점수 및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의 점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산출방식에 따라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상 플레이 팀이 '한국 프로' 골프 경기에 출전한 'A' 선수(팀장) 및 '한국 프로' 골프 경기에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가한 제1 내지 제3 사용자(팀장을 제외한 팀원)으로 구성된 경우, 서비스 지원 장치는 'A'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획득한 점수(20)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각각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획득한 점수들(24, 25, 23)을 평균하여 제1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23)로서 산출하여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610).
서비스 지원 장치는 제1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산출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모든 선수가 각각 포함된 복수의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모두 산출하고, 복수의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에 기초하여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에서 상금을 분배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모든 선수가 각각 포함된 복수의 가상 플레이 팀들의 점수에 기초하여 순위를 결정하고, 설정된 순위(예컨대, 3위)에 해당하는 가상 플레이 팀들에 상금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가상 플레이 팀들에 순위에 따라 상금을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는 가상 플레이 팀에 부여된 상금을 설정된 분배 규칙에 따라,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에게 분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상 플레이 팀에 100, 000, 000원(또는, 포인트)이 부여된 경우, 제1 가상 플레이 팀의 팀장인 'A' 선수에게 50, 000, 000원을 부여하고, 나머지 50, 000, 000원을 제1 내지 제3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부여(또는, 점수 순서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의 사용자로 하여금, 프로 선수와 함께 경기를 즐길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상금을 획득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서비스 지원 방법은 서비스 지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로부터의 오프라인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에 연동하여, 메모리 내 선수 리스트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선수 리스트는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에 대한 정보(예컨대, 선수의 성명, 캐릭터, 나이, 소속, 경기 실적, 경기 평균 점수 등)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수 리스트는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정원수 및 팀원 잔여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에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가 진행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들 및 경기진행 시스템으로부터 오프라인 경기(예컨대, 골프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저장, 가공하고, 단말에 중계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의 사용자의 선택 또는 중계에 의한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단말(예컨대, 경기 영상을 요청한 단말 또는 중계 대상의 모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는 경기 영상을 단말과 연관된 화면(예컨대, 단말 내 화면, 단말과 연관된 스크린 화면, 단말과 통신 가능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방식으로 오프라인 경기를 시청할 수 있게 한다. 오프라인 경기 영상의 제공은 단말이 선택한 선수와 단말의 사용자 간의 매칭 후에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선수 정보 요청 이전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는 경기 영상을 전송받는 단말의 사용자가 선수와 함께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한다. 즉, 서비스 지원 장치는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는 동안에, 단말의 사용자가 선수와 함께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설정된 시점이 도래하거나, 또는 단말로부터의 참여 요청에 따라, 단말과 연관된 화면을 분할하고 오프라인 경기의 경기 영상과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선수가 스윙한 골프공이 경기장 내 사전에 정해진 장소(예컨대, 그린)에 위치하거나, 또는 사전에 정해진 경기진행 시점에 선수가 퍼터를 그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된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에 관한 경기 영상을 단말에 전송하는 동안에, 설정된 시점이 도래하거나, 또는 단말로부터의 참여 요청이 입력되면,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제1 영역(오프라인 경기와 관련된 화면 즉, 오프라인 경기 화면)에 경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제1 영역을 제외한 화면 내 제2 영역(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 즉, 온라인 게임경기 화면)에 온라인 게임경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경기 영상을 시청하는 동시에 온라인 게임경기를 즐길 수 있게 한다.
한편, 사용자의 경기 영상 시청 및 온라인 게임경기 참여 지원을 위해, 서비스 지원 장치는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을 포함하는 경기장을 그래픽으로 처리하여 그래픽 영상을 생성하고, 그래픽 영상을 경기 영상과 함께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 중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그래픽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의 영상 또는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경기장 그래픽에 매칭하여 골프공이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또한, 온라인 게임경기 디스플레이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 및 골프공의 목적지인 홀을 포함하는 경기 영상을 그래픽으로 처리하고, 처리된 그래픽 영상을 경기 영상과 함께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과 연관된 화면 중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그래픽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선수가 스윙한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과 홀이 위치하는 지점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를 화면 내 제2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조정한 후, 조정된 거리만큼 골프공 및 홀을 이격시켜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로써, 서비스 지원 장치는 골프 경기에서 진행되던 선수의 플레이 상태(또는, 홀을 기준으로 골프공이 위치한 지점)을 그대로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제공하여,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진행하던 플레이를 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경기를 통해 이어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실시간 오프라인 경기시의 풍향, 풍속, 날씨 및 경기장 표면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에서의 온라인 게임경기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지원 장치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홀에 꽂힌 깃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경기장에서의 풍향 및 풍속을 확인하고, 풍향 및 풍속을 단말과 연관된 화면 내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더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풍향 및 풍속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퍼팅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마련한다.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게임 요청에서 사용자가 시도한 세기 및 방향을 추출하고, 세기 및 방향에 기초하여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서 골프공을 이동시켜 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 지원 장치는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 실행 또는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도구(예컨대, 골프채, 스틱)의 퍼팅 동작 실행에 기초하여,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을 입력받도록 한다.
단계 S850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 및 온라인 게임경기가 종료되면,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한 참가자에게 상금을 분배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지원 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경기 및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가 종료되면, 오프라인 경기에서의 선수의 점수 및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의 점수를 산출하고, 선수의 점수 및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의 점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산출방식에 따라 가상 플레이팀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상 플레이 팀이 오프라인 경기에 출전한 'A' 선수인 팀장 및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가한 제1 내지 제3 사용자인 팀원으로 구성된 경우, 서비스 지원 장치는 'A' 선수가 오프라인 경기에서 획득한 점수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각각이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획득한 점수들을 평균하여 제1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는 선수 리스트 내 모든 선수가 각각 포함된 복수의 가상 플레이 팀들의 점수에 기초하여 선정된 가상 플레이 팀들에 상금을 부여하고, 상금을 선정된 가상 플레이 팀들 내 팀원에게 설정된 분배 규칙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금 분배시,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예컨대, 가상 플레이 팀의 팀장인 선수에게 가상 플레이 팀에 부여된 상금의 50%를 부여하고, 나머지 상금의 50%를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인 단말의 사용자들에게 동일하게 부여(또는, 점수 순서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부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상금을 분배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지원 장치는 오프라인 경기가 종료된 후에,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를 신청한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참여가 허용되면, 참여가 허용된 단말에서 비실시간으로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경기가 끝난 후에도 해당 경기를 온라인에서 자유롭게 즐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지원 시스템
110: 복수의 카메라
120: 서비스 지원 장치
130: 복수의 단말
140: 광고 서버
150: 네트워크

Claims (19)

  1.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으로서,
    단말로부터의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에 연동하여, 메모리 내 선수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의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상기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에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선수가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의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경기 영상을 전송받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선수와 함께 상기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지원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의 경기가 진행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들 및 경기진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경기 영상 및 상기 경기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경기 영상 및 상기 경기관련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연관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 및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가 종료되면,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에서의 상기 선수의 점수 및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상기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의 점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산출방식에 따라 상기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는,
    설정된 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단말과 연관된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오프라인 경기의 상기 경기 영상과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하나의 화면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의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를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하나의 화면에서 상기 경기 영상을 시청하는 동시에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경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선수가 스윙한 골프공이 경기장 내의 그린에 위치하고 상기 선수가 퍼터를 그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설정된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연관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선수가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을 포함하는 경기장을 그래픽으로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그래픽 영상을 상기 경기 영상과 함께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화면 중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상기 그래픽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에서 상기 스윙한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의 영상 또는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경기장 그래픽에 매칭하여 상기 골프공이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시도한 세기 및 방향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세기 및 상기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서 상기 골프공을 이동시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 실행 또는 상기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도구의 동작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서의 게임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단계는,
    실시간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시의 풍향, 풍속, 날씨 및 경기장 표면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에서의 온라인 게임경기에 반영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리스트 내 모든 선수가 각각 포함된 복수의 가상 플레이 팀들의 점수에 기초하여 선정된 가상 플레이 팀들에 상금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상금을 상기 선정된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에게 설정된 분배 규칙에 따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를 신청한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참여가 허용되면, 상기 참여가 허용된 단말에서 비실시간으로 상기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상기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방법.
  11.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단말로부터의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의 선수 정보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메모리 내 선수 리스트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오프라인 경기가 진행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카메라들로부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오프라인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선수 리스트에서 선택된 선수와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매칭시켜,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에서 상기 선수가 포함된 가상 플레이 팀의 팀원에 상기 단말의 사용자를 포함시키고, 상기 선수가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처리하는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선수가 상기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경기 영상을 전송받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선수와 함께 상기 가상 플레이 팀으로서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경기 영상 및 경기관련 데이터를 저장, 가공 또는 중계하는 기능을 구비한 서버를 통해,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수의 소속 팀 관련된 상기 경기 영상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연관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점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단말과 연관된 화면을 분할하고 상기 오프라인 경기의 상기 경기 영상과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오프라인 경기 및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가 종료되면, 상기 오프라인 경기에서의 상기 선수의 점수 및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상기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의 점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산출방식에 따라 상기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를 산출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경기 영상으로부터 상기 선수가 스윙한 골프공이 경기장 내의 그린에 위치하고 상기 선수가 퍼터를 그립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설정된 시점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하나의 화면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오프라인 경기에서 플레이하는 경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를 디스플레이 하여, 상기 하나의 화면에서 상기 경기 영상을 시청하는 동시에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선수가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에서 스윙한 골프공을 포함하는 경기장을 그래픽으로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그래픽 영상을 온라인 게임경기에 적용하고,
    상기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에서 상기 스윙한 골프공이 위치하는 지점의 영상 또는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서의 경기장 그래픽에 매칭하여 상기 골프공이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요청으로부터 골프공의 궤적을 산출할 수 있는 세기 및 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 내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와 관련된 화면에서 상기 골프공을 이동시켜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게임경기에 참여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버튼 실행 또는 상기 단말에서 인식 가능한 도구의 동작 실행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서의 게임 요청을 입력 받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실시간 오프라인 골프 코스에서 진행하는 경기시의 풍향, 풍속, 날씨, 및 경기장 표면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에서의 온라인 게임경기에 반영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선수 리스트 내 모든 선수가 각각 포함된 복수의 가상 플레이 팀의 점수에 기초하여 선정된 가상 플레이 팀들에 상금을 부여하고, 상기 상금을 상기 선정된 가상 플레이 팀 내 팀원에게 설정된 분배 규칙에 따라 분배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KR1020210079312A 2020-06-18 2021-06-18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45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542 2020-06-18
KR20200074542 2020-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797A KR20210156797A (ko) 2021-12-27
KR102455666B1 true KR102455666B1 (ko) 2022-10-18

Family

ID=7917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312A KR102455666B1 (ko) 2020-06-18 2021-06-18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5463A1 (en) * 2021-04-19 2022-10-20 Ju Hyoung KIM Event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digital twin of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655B1 (ko) * 2016-01-14 2016-12-05 주식회사 골프존 플레이어 매칭 장치 및 플레이어 매칭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029B1 (ko) * 2013-03-14 2014-10-10 김영복 실전 스포츠 경기 결과를 활용하는 가상 스포츠 게임에서의 광고 컨텐츠 연계 노출시스템 및 방법
JP6200610B1 (ja) * 2016-06-24 2017-09-20 エージー 18,エルエルシー 複数のプレイヤーの間の双方向型ゲーム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101069A (ko) * 2017-03-03 2018-09-12 신재혁 가상 야구게임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야구게임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655B1 (ko) * 2016-01-14 2016-12-05 주식회사 골프존 플레이어 매칭 장치 및 플레이어 매칭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5463A1 (en) * 2021-04-19 2022-10-20 Ju Hyoung KIM Event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digital twin of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797A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4913B2 (ja) ファンダムの影響による勝者トーナメントの作成
JP6745301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10108B2 (ja) サーバ、方法、プログラム、動画像放送システム
USRE44095E1 (en) Fantasy sports live
US8632408B2 (en) Entertainment device and method
US202303023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Remote Viewers to Participate in a Multi-Player Video Game Play Session
US20030220143A1 (en) On-line gaming spectator
JP2004513716A (ja) オンラインでフォーラムへの同時参加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I322024B (en) Game server, method for evaluating spectator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102455666B1 (ko) 오프라인 경기와 연계된 온라인 게임경기의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184134B1 (ko) 영상 골프 시스템 서버 및 네트워크 접속 장치
CN104606883A (zh) 一种多人视频在线游戏中观众与游戏玩家互动的方法
JP2019141164A (ja) ゲームシステム
KR20180064142A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연계한 스크린게임 방법 및 스크린게임 장치
CN106663296A (zh) 特定角色狙击活动射击游戏控制方法及其系统
US20150231506A1 (en) Celebrity video gaming network
JP7428924B2 (ja) ゲームシステム
KR101970268B1 (ko) 커스텀 리그의 참가자 및 관전자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온라인 게임 시스템
KR102042417B1 (ko) 당구 게임 진행 시스템
JP7463322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
US11235251B2 (en) Bypass a game watching platform
JP7146847B2 (ja) サーバ、方法、プログラム、動画像放送システム
CN117046101A (zh) 游戏中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Taylor et al. Watching the Watchers: New Perspectives on Spectatorship, Gaming and Online Media
KR20130082884A (ko) 온라인 게임내 스포츠 컨텐츠 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