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210B1 - 광 라인 센서 유닛 - Google Patents

광 라인 센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210B1
KR102455210B1 KR1020207032002A KR20207032002A KR102455210B1 KR 102455210 B1 KR102455210 B1 KR 102455210B1 KR 1020207032002 A KR1020207032002 A KR 1020207032002A KR 20207032002 A KR20207032002 A KR 20207032002A KR 102455210 B1 KR102455210 B1 KR 10245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b
scan direction
line sensor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820A (ko
Inventor
유스케 미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비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비넥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비넥스
Publication of KR2020013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5Specially adapted constructive features of fluorime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7D7/121Apparatus characterised by sensor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6Investigating moving she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6Investigating moving sheets
    • G01N2021/8663Paper, e.g. gloss, moisture cont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수광부(受光部; 31)는, 부(副)주사 방향(x)에 직교하는 주(主)주사 방향(y)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311)를 갖고, 지엽류(紙葉類)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복수의 수광 소자(311)로 수광한다. 제1 반송면(332)은, 반송로(1)에서의 수광부(31)측의 면을 구성한다. 복수의 개구부(331)가, 제1 반송면(332)에서의 각 수광 소자(31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창 부재(34)가, 복수의 개구부(331)를 각각 덮고,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각 수광 소자(311)를 향해 투과시킨다. 복수의 개구부(331)는, 각각의 부주사 방향(x)의 폭이 주주사 방향(y)의 폭보다 긴 장공(長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 라인 센서 유닛
본 발명은 반송로를 부(副)주사 방향을 따라 반송되는 지엽류(紙葉類)에 여기광을 조사하여,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쇄 기술이나 복사 기술의 놀라운 성능 향상에 따라, 지폐나 유가 증권 등의 지엽류의 위조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지엽류의 진위를 적확(的確)하게 판별하여 위조를 배제하는 것이,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이러한 지엽류의 진위를 판별하는 수법으로서, 형광체 또는 인광체를 이용한 수법이 있다.
형광체 또는 인광체 등의 발광체는, 특정한 파장의 여기광이 조사됨으로써 여기되고, 일정한 파장의 광(형광 또는 인광)을 방출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종래, 형광 또는 인광의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지엽류에 대해 여기광을 조사하고, 여기광 조사 중의 발광의 강도 정보, 또는 여기광 조사 정지 후의 발광(잔광)의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지엽류의 종별 및 진위를 판별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3 참조).
예컨대 특허문헌 1에서는, 미약한 인광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여기광의 조사 중 및 조사 후의 각 기간 중에, 각각 2개의 타이밍에서 신호 강도가 측정된다. 그리고, 각 기간 중의 2개의 타이밍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가 서로 감산됨으로써, 배경 신호가 제거되어,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반송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제1 검출부에서 지엽류로부터의 형광이 검출되고, 반송로의 하류측에 설치된 제2 검출부에서 지엽류로부터의 인광이 검출된다. 또한, 제1 검출부에 대해 기준광을 방사하는 제1 기준 부재와, 제2 검출부에 대해 기준광을 방사하는 제2 기준 부재가 구비되고, 각 기준광에 기초하여 각 검출부의 검출 결과의 보정이 행해진다.
특허문헌 3에서는, 반송 중의 지엽류에 대해 여기광이 조사되고, 여기광의 조사 정지 후에 취득한 지엽류로부터의 인광의 강도에 기초하여, 인광의 강도의 감쇠율이 산출된다. 그리고, 산출된 감쇠율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인광 감쇠율 패턴을 이용하여, 지엽류의 진위의 판정이 행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04812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5367509호 공보 특허문헌 3: 국제 공개 제2015/159438호
지엽류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이나 인광은 미약하기 때문에, 지엽류의 진위 판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S/N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엽류가 더러워져 있는 경우 등에는, 안정된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수 없어, 충분한 S/N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수의 수광(受光) 소자가 주(主)주사 방향으로 배열된 구성에 있어서는, 각 수광 소자 사이에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 라인 센서 유닛은, 복잡한 구조를 갖고, 또한 고속으로 지엽류를 반송하기 때문에, 반송로에 지엽류가 막히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 라인 센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수광 소자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로에 지엽류가 막히기 어려운 광 라인 센서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원 발명에 따른 광 라인 센서 유닛은, 반송로를 부주사 방향을 따라 반송되는 지엽류에 여기광을 조사하여,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으로서, 광원과, 수광부와, 제1 반송면과, 복수의 제1 개구부와, 복수의 제1 창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은 여기광을 조사한다. 상기 수광부는, 상기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주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를 갖고,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상기 복수의 수광 소자로 수광한다. 상기 제1 반송면은, 상기 반송로에서의 상기 수광부측의 면을 구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는, 상기 제1 반송면에서의 각 수광 소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창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를 각각 덮고,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각 수광 소자를 향해 투과시킨다.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는, 각각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이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보다 긴 장공(長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수광 소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각 제1 개구부를 통해,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각 수광 소자로 수광할 수 있다. 각 제1 개구부가 장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부주사 방향의 폭이 주주사 방향의 폭보다 길기 때문에, 각 수광 소자에의 외란광의 입사를 억제하면서, 부주사 방향으로 반송되는 지엽류로부터 보다 많은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상기 광원의 광축과 상기 수광 소자의 광축이 대략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3) 상기 수광부는,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각 수광 소자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렌즈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광 라인 센서 유닛은, 상기 복수의 수광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렌즈를 유지하는 수광부 홀더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4)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는, 각각 장원형(長圓形)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5)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는, 곡률 중심이 서로 이격된 원호형의 양단부와, 이들을 접속하는 직선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6) 상기 광 라인 센서 유닛은, 복수의 차폐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복수의 차폐부는,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배열되는 각 수광 소자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각 제1 창 부재에 있어서 확산한 형광 또는 인광이, 각 제1 창 부재에 대향하는 수광 소자 이외의 수광 소자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주사 방향으로 배열되는 각 수광 소자 사이에 각각 설치된 차폐부에 의해, 각 수광 소자에 대해, 대향하는 제1 창 부재로부터의 광만을 입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수광 소자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7) 지엽류는 상기 반송로를 상기 부주사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반송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을 Wm,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을 Ws, 형광 또는 인광의 감쇠 시간을 tde(초),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V(m/초), 상기 감쇠 시간 동안에 지엽류의 임의의 일점이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v(m)로 했을 때에,
Wv=tde×V
Wm<Ws≤2Wv+Wm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엽류가 부주사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반송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개구부를 구성하는 장공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8) 지엽류는 상기 반송로를 상기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반송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을 Wm,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을 Ws, 형광 또는 인광의 감쇠 시간을 tde(초),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여기광의 조사 시간을 tr(초),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V(m/초), 상기 감쇠 시간 동안에 지엽류의 임의의 일점이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v(m), 상기 조사 시간 동안에 지엽류의 임의의 일점이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i(m)로 했을 때에,
Wv=tde×V
Wi=tr×V
Wm<Ws≤Wv+Wi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엽류가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반송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개구부를 구성하는 장공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9)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여기광에 의한 지엽류의 조명 영역은 대략 원형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조명 영역의 외경이,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10) 상기 복수의 제1 창 부재에서의 상기 반송로측의 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1a≤Ra≤12.5a
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제1 창 부재에서의 형광 또는 인광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수광 소자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11) 상기 제1 창 부재는,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것과 같은 렌즈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창 부재에 의한 집광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수광 소자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창 부재의 중앙부가 제1 개구부로부터 돌출함으로써, 반송 중의 지엽류가 제1 개구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로에 지엽류가 막히기 어렵다.
(12) 상기 제1 창 부재에서의 상기 반송로측의 면은,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상기 반송로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 또는 볼록 만곡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창 부재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상기 반송로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창 부재의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반송로에 노출되지 않고, 제1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 중의 지엽류가 상기 단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창 부재의 경사면 또는 볼록 만곡면을 따라, 반송 중의 지엽류의 선단을 원활히 반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로에 지엽류가 막히기 어렵다.
(13) 상기 광원은, 상기 복수의 수광 소자에 대해 상기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각각 대향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광 라인 센서 유닛은, 제2 반송면과, 복수의 제2 개구부와, 복수의 제2 창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제2 반송면은, 상기 반송로에서의 상기 광원측의 면을 구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는, 상기 제2 반송면에서의 각 발광 소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창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를 각각 덮고, 각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킨다.
(14)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는, 각각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이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보다 긴 장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각 발광 소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각 제2 개구부를 통해, 지엽류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각 제2 개구부가 장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부주사 방향의 폭이 주주사 방향의 폭보다 길기 때문에, 부주사 방향으로 반송되는 지엽류에 보다 많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5)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적외 LED여도 좋다.
(16)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포탄형의 LED여도 좋다.
(17) 상기 제1 창 부재에서의 상기 반송로측의 면은,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상기 반송로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 또는 볼록 만곡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창 부재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상기 반송로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창 부재의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반송로에 노출되지 않고, 제1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 중의 지엽류가 상기 단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창 부재의 경사면 또는 볼록 만곡면을 따라, 반송 중의 지엽류의 선단을 원활히 반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로에 지엽류가 막히기 어렵다. 또한, 각 제1 개구부가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창 부재에서의 경사면 또는 볼록 만곡면의 테이퍼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반송로에 지엽류가 막히기 어렵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각 수광 소자에의 외란광의 입사를 억제하면서, 부주사 방향으로 반송되는 지엽류로부터 보다 많은 광을 수광할 수 있기 때문에,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 라인 센서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부주사 방향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광 라인 센서 유닛의 주주사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광 라인 센서 유닛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창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개구부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개구부의 형상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 라인 센서 유닛의 주주사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광 라인 센서 유닛>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 라인 센서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부주사 방향(x)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광 라인 센서 유닛의 주주사 방향(y)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 광 라인 센서 유닛은, 반송로(1)를 따라 반송되는 지엽류(S)에 여기광을 조사하여, 지엽류(S)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지엽류(S)는, 부주사 방향(x)을 따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반송된다. 도 1의 광 라인 센서 유닛에는, 반송로(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광원 유닛(2) 및 수광 유닛(3)이 구비되어 있다.
광원 유닛(2)은, 광원(21), 드라이버 기판(22), 케이스(23) 및 창 부재(제2 창 부재)(2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21)은, 반송로(1)를 따라 반송되는 지엽류(S)에 대해 여기광을 조사한다. 광원(21)으로부터 조사되는 여기광의 광축은, 반송로(1)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광원(21)은, 여기광으로서, 예컨대 자외광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한다. 광원(2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는, 자외광 이외에, 가시광 또는 적외광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지엽류(S)에는, 진위를 판별하기 위해서 형광체 또는 인광체 등의 발광체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1)를 따라 반송되는 지엽류(S)에 대해, 광원(21)으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면, 발광체가 여기되어 일정한 파장의 광(형광 또는 인광)을 방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라인 센서 유닛에서는, 지엽류(S)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광 유닛(3)으로 수광함으로써, 여기광 조사 중의 발광의 강도 정보, 및 여기광 조사 정지 후의 발광(잔광)의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지엽류(S)의 종별 및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광원(21)은 드라이버 기판(2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원(21)은, 드라이버 기판(22)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구동된다. 광원(21)의 외측은 케이스(23)에 의해 덮여 있고, 광원(21)으로부터의 광은, 케이스(23)에 형성된 개구부(제2 개구부)(231)를 통해 반송로(1)에 조사된다. 개구부(231)에는, 광원(21)으로부터의 광을 투과 가능한 창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원(21)이 복수의 발광 소자(211)를 구비하고 있다. 각 발광 소자는, 예컨대 포탄형(수지 몰드형)의 LED여도 좋다. LED는, 적외 LED여도 좋다. 각 발광 소자(211)는, 부주사 방향(x)에 직교하는 주주사 방향(y)을 따라 일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211)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고, 각 발광 소자(211)로부터 동일한 강도로 여기광이 조사된다. 케이스(23)의 반송로(1)측의 면은, 반송로(1)에서의 광원(21)측의 면[제2 반송면(232)]을 구성하고 있다. 제2 반송면(232)에는, 각 발광 소자(211)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반송면(232)에는 주주사 방향(y)을 따라 복수의 개구부(231)가 형성되고, 각 개구부(231)가 창 부재(24)에 의해 덮여 있다.
창 부재(24)는, 예컨대 수지 또는 유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 창 부재(24)는, 각 발광 소자(211)로부터의 광을 투과시켜 반송로(1)로 유도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재료이면, 다른 임의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광원(2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자외광, 가시광 및 적외광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 가능한 재료로 창 부재(24)를 형성하면 된다.
수광 유닛(3)은, 수광부(31), 센서 기판(32), 케이스(33) 및 창 부재(제1 창 부재)(3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수광부(31)는, 지엽류(S)로부터의 광(형광 또는 인광)을 수광한다. 수광부(31)는, 주주사 방향(y)을 따라 일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수광 소자(311)를 구비하고 있다. 각 수광 소자(311)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고, 각 발광 소자(211)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이에 의해, 각 수광 소자(311)가, 각 발광 소자(211)에 대해 반송로(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수광 소자(311)의 광축은, 반송로(1)에 대해 직교하고 있고, 대향하는 발광 소자(211)의 광축과 동축이다. 각 수광 소자(311)의 광축과, 각 수광 소자(311)에 대향하는 각 발광 소자(211)의 광축은, 동축이 아니어도 좋으나, 대략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부(31)는 센서 기판(3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수광부(31)의 각 수광 소자(311)로부터의 신호는, 센서 기판(32)을 통해 처리된다. 수광부(31)의 외측은 케이스(33)에 의해 덮여 있고, 수광부(31)에는, 케이스(33)에 형성된 개구부(제1 개구부)(331)를 통해 지엽류(S)로부터의 광이 입사된다. 개구부(331)에는, 지엽류(S)로부터의 광을 투과 가능한 창 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33)의 반송로(1)측의 면은, 반송로(1)에서의 수광부(31)측의 면[제1 반송면(332)]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반송면(332)에는, 각 수광 소자(311)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반송면(332)에는 주주사 방향(y)을 따라 복수의 개구부(331)가 형성되고, 각 개구부(331)가 창 부재(34)에 의해 덮여 있다. 창 부재(34)는, 예컨대 수지 또는 유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 창 부재(34)는, 지엽류(S)로부터의 광을 각 수광 소자(311)를 향해 투과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은 재료이면, 다른 임의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광 라인 센서 유닛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원(21)을 유지하기 위한 광원 홀더(25)가 광원 유닛(2)에 구비되고, 수광부(31)를 유지하기 위한 수광부 홀더(35)가 수광 유닛(3)에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211)는, 하나의 광원 홀더(25)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어도 좋고, 각각 상이한 광원 홀더(25)에 의해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수광부(31)는, 전술한 복수의 수광 소자(311) 외에, 각 수광 소자(311)에 대향하는 복수의 렌즈(312)를 구비하고 있다. 지엽류(S)로부터의 광은, 각 렌즈(312)에 의해 집광되고, 각 렌즈(312)에 대향하는 각 수광 소자(311)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복수의 수광 소자(311) 및 복수의 렌즈(312)는, 하나의 수광부 홀더(35)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어도 좋고, 각각 상이한 수광부 홀더(35)에 의해 유지되어 있어도 좋다.
광원 유닛(2)에서의 창 부재(24)는, 광원 홀더(2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창 부재(24) 및 광원 홀더(25)가, 수지 또는 유리 등의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창 부재(24)는,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것과 같은 렌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 부재(24)에서의 반송로(1)측의 면이,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는 매끄러운 볼록 만곡면을 갖고 있다.
창 부재(24)의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는, 반송로(1)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부(23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창 부재(24)의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는, 개구부(231) 내로부터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으나, 창 부재(24)의 부주사 방향(x)의 중앙부는, 개구부(231) 내보다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단, 창 부재(24)의 형상은, 상기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광 유닛(3)에서의 창 부재(34)는, 수광부 홀더(3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창 부재(34) 및 수광부 홀더(35)가, 수지 또는 유리 등의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창 부재(34)는,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것과 같은 렌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 부재(34)에서의 반송로(1)측의 면이,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만곡면을 갖고 있다.
이러한 창 부재(34)에 의하면, 집광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수광 소자(311)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 부재(34)의 중앙부가 개구부(331)로부터 돌출함으로써, 반송 중의 지엽류(S)가 개구부(331)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로(1)에 지엽류(S)가 막히기 어렵다. 이러한 효과는, 전술한 광원 유닛(2)의 창 부재(24)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발휘할 수 있다.
창 부재(34)의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는, 반송로(1)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부(33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창 부재(34)의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는, 개구부(331) 내로부터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으나, 창 부재(34)의 부주사 방향(x)의 중앙부는, 개구부(331) 내보다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단, 창 부재(34)의 형상은, 상기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창 부재(34)의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가 반송로(1)에 노출되지 않고, 개구부(331)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 중의 지엽류(S)가 상기 단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창 부재(34)의 볼록 만곡면을 따라, 반송 중의 지엽류(S)의 선단을 원활히 반송 방향[부주사 방향(x)]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로(1)에 지엽류가 막히기 어렵다. 이러한 효과는, 전술한 광원 유닛(2)의 창 부재(24)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발휘할 수 있다.
<창 부재의 변형예>
도 4는 도 3의 창 부재(34)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수광 유닛(3)의 창 부재(34)에서의 반송로(1)측의 면이, 볼록 만곡면을 갖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비해, 도 4의 예에서는, 수광 유닛(3)의 창 부재(34)에서의 반송로(1)측의 면이,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341)을 갖고 있다. 각 경사면(341)은, 창 부재(34)의 중앙부측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면(342)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창 부재(34)에서의 반송로(1)측의 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창 부재(34)의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각 경사면(341)의 양단 가장자리]는, 반송로(1)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구부(33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창 부재(34)의 부주사 방향(x)의 양단 가장자리는, 개구부(331) 내로부터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으나, 창 부재(34)의 부주사 방향(x)의 중앙부[각 경사면(341)의 중앙부측 및 평탄면(342)]는, 개구부(331) 내보다 반송로(1)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창 부재(34)에서의 부주사 방향(x)의 경사면(341)(도 4 참조) 또는 볼록 만곡면(도 3 참조)의 테이퍼각이, 창 부재(34)에서의 주주사 방향(y)의 경사면 또는 볼록 만곡면의 테이퍼각보다 작으면, 반송로(1)에 지엽류를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수광 유닛(3)의 창 부재(34)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광원 유닛(2)의 창 부재(24)에 대해서도 동일한 형상을 채용해도 좋다.
<개구부의 형상>
도 5는 개구부(331)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개구부(33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는 광원(21)으로부터 여기광이 조사되는 타이밍과, 수광부(31)에서의 지엽류(S)로부터의 광의 수광 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고, 각 타이밍을 개구부(331)의 형상에 대응시켜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31)는, 부주사 방향(x)의 폭(Ws)이, 주주사 방향(y)의 폭(Wm)보다 긴 장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331)에서의 부주사 방향(x)의 양단부(331a)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331a)끼리가 직선부(331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양단부(331a)의 곡률 중심은 서로 떨어져 있고, 이들의 곡률 중심 사이의 거리가 직선부(331b)의 길이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수광 소자(31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각 개구부(331)를 통해, 지엽류(S)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각 수광 소자(311)로 수광할 수 있다. 각 개구부(331)가 장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부주사 방향(x)의 폭(Ws)이 주주사 방향(y)의 폭(Wm)보다 길기 때문에, 각 수광 소자(311)에의 외란광의 입사를 억제하면서, 부주사 방향(x)으로 반송되는 지엽류(S)로부터 보다 많은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원(21)으로부터의 여기광에 의한 지엽류(S)의 조명 영역은 대략 원형이다. 이 조명 영역의 외경은, 개구부(331)의 부주사 방향(x)의 폭(Ws)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331)의 부주사 방향(x)의 폭(Ws) 전체에 걸치도록, 지엽류(S)의 조명 영역이 대향하고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1)으로부터 여기광이 조사되고 있는 시간[조사 시간(tr)(초)] 동안, 수광부(31)에서의 지엽류(S)로부터의 광의 수광 강도는 서서히 증가한다. 그리고, 광원(21)으로부터의 여기광의 조사가 정지되었을 때에는, 수광부(31)에서의 수광 강도가 급격히 감소하지만, 그 후에도 잔광에 의한 수광 강도가 검출되고, 잔광에 의한 수광 강도가 감쇠하는 시간[감쇠 시간(tde)(초)] 동안은 수광 강도가 서서히 감소한다.
이 예에서는, 지엽류(S)가 반송로(1)를 부주사 방향(x)을 따라 일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경우, 지엽류(S)의 반송 속도를 V(m/초), 감쇠 시간(tde) 동안에 지엽류(S)의 임의의 일점이 부주사 방향(x)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v(m), 조사 시간(tr) 동안에 지엽류(S)의 임의의 일점이 부주사 방향(x)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i(m)로 했을 때에, 하기 식 (1)~(3)을 만족시키도록 각 폭(Ws, Wm)이 설정된다.
Wv=tde×V …(1)
Wi=tr×V …(2)
Wm<Ws≤Wv+Wi …(3)
이에 의해, 지엽류(S)가 부주사 방향(x)을 따라 일방향으로 반송되는 구성에 있어서, 개구부(331)를 구성하는 장공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수광 유닛(3)의 창 부재(34)에서의 반송로(1)측의 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하기 식 (4)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기 식 (4)에서의 「a」는, 「평균(average)」을 의미하고 있고, 「0.1a」는 평균의 거칠기가 「0.1」이며, 「12.5a」는 평균의 거칠기가 「12.5」이다.
0.1a≤Ra≤12.5a …(4)
이에 의해, 각 창 부재(34)에서의 형광 또는 인광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수광 소자(311)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y)으로 배열되는 각 수광 소자(311) 사이에, 각각 차폐부(3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차폐부(36)는, 각 창 부재(34)에 있어서 확산한 형광 또는 인광이, 각 창 부재(34)에 대향하는 수광 소자(311) 이외의 수광 소자(311)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각 차폐부(36)는, 부주사 방향(x) 및 주주사 방향(y)에 직교하는 방향[수광부(31)의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차폐부(36)는, 그 표면에 입사되는 광을 흡수 또는 반사시킨다.
상기와 같은 각 차폐부(36)에 의해, 각 수광 소자(311)에 대해, 대향하는 창 부재(34)로부터의 광만을 입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수광 소자(311)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각 차폐부(36)는, 인접하는 수광 소자(311) 사이에서 광의 출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소의 광을 통과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각 차폐부(36)는, 수광부 홀더(35)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수광부 홀더(35)와는 다른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차폐부(36)는, 수광부 홀더(35)의 외면 또는 내면에 도장을 실시하거나, 증착 등에 의해 막을 형성하거나, 2색 성형 등의 제법을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해도 좋다.
<개구부의 변형예>
도 6은 개구부(331)의 형상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개구부(33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b)는 광원(21)으로부터 여기광이 조사되는 타이밍과, 수광부(31)에서의 지엽류(S)로부터의 광의 수광 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고, 각 타이밍을 개구부(331)의 형상에 대응시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지엽류(S)가 반송로(1)를 부주사 방향(x)을 따라 양방향으로 반송된다. 즉, 지엽류(S)는, 도 6에서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반송되는 경우도 있으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반송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지엽류(S)가 양방향으로 반송되는 경우, 개구부(331)의 주주사 방향(y)의 폭(Wm)에 대한 부주사 방향(x)의 폭(Ws)의 비율은, 도 5와 같이 일방향으로 반송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큰 값이 된다. 즉, 개구부(331)가, 부주사 방향(x)을 따라, 보다 가늘고 긴 형상의 장공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엽류(S)의 반송 속도를 V(m/초), 감쇠 시간(tde) 동안에 지엽류(S)의 임의의 일점이 부주사 방향(x)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v(m)로 했을 때에, 하기 식 (5) 및 (6)을 만족시키도록 각 폭(Ws, Wm)이 설정된다.
Wv=tde×V …(5)
Wm<Ws≤2Wv+Wm …(6)
이에 의해, 지엽류(S)가 부주사 방향(x)을 따라 양방향으로 반송되는 구성에 있어서, 개구부(331)를 구성하는 장공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의 변형예>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수광 유닛(3)의 개구부(331)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광원 유닛(2)의 개구부(231)에 대해서도 동일한 형상을 채용해도 좋다. 즉, 수광 유닛(3)의 각 개구부(231)는, 각각의 부주사 방향(x)의 폭이 주주사 방향(y)의 폭보다 긴 장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각 발광 소자(211)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각 개구부(231)를 통해, 지엽류(S)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각 개구부(231)가 장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부주사 방향(x)의 폭이 주주사 방향(y)의 폭보다 길기 때문에, 부주사 방향(x)으로 반송되는 지엽류(S)에 보다 많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할 때의 S/N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수광 유닛(3)의 각 개구부(231)의 형상은, 지엽류(S)가 반송로(1)를 부주사 방향(x)을 따라 일방향으로 반송되는 구성이면, 전술한 식 (1)~(3)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엽류(S)가 반송로(1)를 부주사 방향(x)을 따라 양방향으로 반송되는 구성이면, 전술한 식 (5) 및 (6)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 유닛(2)의 창 부재(24)에서의 반송로(1)측의 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전술한 식 (4)를 만족시키고 있어도 좋다.
각 개구부(231, 331)는, 곡률 중심이 서로 이격된 원호형의 양단부와, 이들을 접속하는 직선부를 갖는 장원형 형상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직선부를 갖지 않는 타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각 개구부(231, 331)의 양단부는, 원호형에 한하지 않고, 2자 곡선형으로 형성되어도 좋으며, 스플라인 곡선을 포함하는 고차 다항식으로 표시되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광원(21)은, 수광 소자(311)와 같은 수의 발광 소자(211)를 갖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수광 소자(311)보다 적은 수(예컨대 하나)의 발광 소자로부터 지엽류(S)에 광이 조사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광원(21)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발광 소자(211)를 구비한 이산적인 광원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라인형의 조명 광원이어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 라인 센서 유닛의 주주사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원 유닛(200)의 구성만이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유닛(200)은, 광원(201), 드라이버 기판(202), 도광체(203), 케이스(204) 및 투광 커버(205)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광체(203)는, 주주사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투명한 부재이고, 광원(201)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여기광)을 확산시키며, 그 여기광을 반송로(1)를 따라 반송되는 지엽류(S)에 조사한다.
광원(201)은, 도광체(203)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광체(203)의 단부면에 대해 주주사 방향(y)을 따라 여기광을 출사한다. 이 예에서는, 도광체(203)의 양단에 광원(201)이 설치되어 있으나, 어느 한쪽의 단부면에만 광원(201)이 설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광원(201)은, 여기광으로서, 예컨대 자외광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한다. 광원(20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에는, 자외광 이외에, 가시광 또는 적외광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예와 같이 도광체(203)의 양단에 광원(201)이 설치된 구성의 경우에는, 한쪽의 광원(201)으로부터 자외광을 포함하는 광이 조사되고, 다른쪽의 광원으로부터 가시광 또는 적외광을 포함하는 광이 조사되어도 좋다.
광원(201)은, 단자(206)를 통해 드라이버 기판(2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원(201)에는 발광 소자(211)가 구비되어 있고, 드라이버 기판(202)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발광 소자(211)가 발광한다. 광원(201) 및 도광체(203)의 외측은 케이스(204)에 의해 덮여 있고, 도광체(203)로부터의 광은, 케이스(204)에 형성된 개구부(207)를 통해 반송로(1)에 조사된다. 개구부(207)에는, 도광체(203)로부터의 광을 투과 가능한 투광 커버(205)가 설치되어 있다.
1: 반송로 2: 광원 유닛
3: 수광 유닛 21: 광원
22: 드라이버 기판 23: 케이스
24: 창 부재 25: 광원 홀더
31: 수광부 32: 센서 기판
33: 케이스 34: 창 부재
35: 수광부 홀더 36: 차폐부
200: 광원 유닛 201: 광원
202: 드라이버 기판 203: 도광체
211: 발광 소자 231: 개구부
232: 제2 반송면 311: 수광 소자
312: 렌즈 331: 개구부
332: 제1 반송면

Claims (17)

  1. 반송로를 부(副)주사 방향을 따라 반송되는 지엽류(紙葉類)에 여기광을 조사하여,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검출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으로서,
    여기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부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주(主)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수광(受光) 소자를 갖고,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상기 복수의 수광 소자로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반송로에서의 상기 수광부측의 면을 구성하는 제1 반송면과,
    상기 제1 반송면에서의 각 수광 소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개구부와,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를 각각 덮고,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각 수광 소자를 향해 투과시키는 복수의 제1 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는, 각각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이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보다 긴 장공(長孔)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광축과 상기 수광 소자의 광축이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지엽류로부터의 형광 또는 인광을 각 수광 소자에 집광시키는 복수의 렌즈를 갖고,
    상기 복수의 수광 소자 및 상기 복수의 렌즈를 유지하는 수광부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는, 각각 장원형(長圓形)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는, 곡률 중심이 서로 이격된 원호형의 양단부와, 이들을 접속하는 직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주사 방향으로 배열되는 각 수광 소자 사이에 각각 설치되고, 각 제1 창 부재에 있어서 확산한 형광 또는 인광이, 각 제1 창 부재에 대향하는 수광 소자 이외의 수광 소자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차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엽류는 상기 반송로를 상기 부주사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반송되고,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을 Wm,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을 Ws, 형광 또는 인광의 감쇠 시간을 tde(초),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V(m/초), 상기 감쇠 시간 동안에 지엽류의 임의의 일점이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v(m)로 했을 때에,
    Wv=tde×V
    Wm<Ws≤2Wv+Wm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엽류는 상기 반송로를 상기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반송되고,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을 Wm,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을 Ws, 형광 또는 인광의 감쇠 시간을 tde(초),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여기광의 조사 시간을 tr(초), 지엽류의 반송 속도를 V(m/초), 상기 감쇠 시간 동안에 지엽류의 임의의 일점이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v(m), 상기 조사 시간 동안에 지엽류의 임의의 일점이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Wi(m)로 했을 때에,
    Wv=tde×V
    Wi=tr×V
    Wm<Ws≤Wv+Wi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여기광에 의한 지엽류의 조명 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조명 영역의 외경이,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창 부재에서의 상기 반송로측의 면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0.1a≤Ra≤12.5a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창 부재는,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것과 같은 렌즈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창 부재에서의 상기 반송로측의 면은,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상기 반송로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 또는 볼록 만곡면을 갖고,
    상기 제1 창 부재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상기 반송로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복수의 수광 소자에 대해 상기 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각각 대향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고,
    상기 반송로에서의 상기 광원측의 면을 구성하는 제2 반송면과,
    상기 제2 반송면에서의 각 발광 소자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개구부와,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를 각각 덮고, 각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투과시키는 복수의 제2 창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는, 각각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폭이 상기 주주사 방향의 폭보다 긴 장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적외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포탄형의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창 부재에서의 상기 반송로측의 면은,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해 상기 반송로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 또는 볼록 만곡면을 갖고,
    상기 제1 창 부재의 상기 부주사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가, 상기 반송로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개구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라인 센서 유닛.
KR1020207032002A 2018-08-01 2019-06-21 광 라인 센서 유닛 KR102455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5229A JP7185439B2 (ja) 2018-08-01 2018-08-01 光ラインセンサユニット
JPJP-P-2018-145229 2018-08-01
PCT/JP2019/024712 WO2020026642A1 (ja) 2018-08-01 2019-06-21 光ラインセンサ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820A KR20200138820A (ko) 2020-12-10
KR102455210B1 true KR102455210B1 (ko) 2022-10-14

Family

ID=6923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002A KR102455210B1 (ko) 2018-08-01 2019-06-21 광 라인 센서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32610A4 (ko)
JP (1) JP7185439B2 (ko)
KR (1) KR102455210B1 (ko)
CN (1) CN112313717B (ko)
WO (1) WO2020026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7700A (zh) * 2021-10-25 2022-03-15 中钞特种防伪科技有限公司 磁性传感器及使用该磁性传感器的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650A (ja) 2002-01-11 2003-07-25 Hitachi Ltd 画像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現金自動取扱装置
JP2014186597A (ja) 2013-03-25 2014-10-02 Nippon Conlux Co Ltd 紙葉類識別装置
JP6247747B2 (ja) 2014-04-18 2017-12-1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真偽判別装置及び紙葉類真偽判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155A (ja) * 1984-06-20 1986-01-13 Hitachi Ltd 紙類搬送装置
JP2001052232A (ja) 1999-08-10 2001-02-23 Fuji Electric Co Ltd 紙葉類真偽識別装置
DK1237128T3 (da) 2001-03-01 2012-10-29 Sicpa Holding Sa Detektor til forbedrede luminescerende egenskaber
GB0106816D0 (en) * 2001-03-19 2001-05-09 Rue De Int Ltd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5215784A (ja) * 2004-01-27 2005-08-11 Nidec Copal Corp 蛍光検出装置
GB2452073B (en) * 2007-08-23 2012-03-07 Int Currency Tech Anti-EMI lens module
JP2010060524A (ja) 2008-09-05 2010-03-18 Toshiba Corp 蛍光・燐光検知装置
JP5367509B2 (ja) 2009-08-27 2013-12-11 株式会社東芝 光検出装置、及びこの光検出装置を備える紙葉類処理装置
US8400509B2 (en) * 2009-09-22 2013-03-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uthentication apparatus for value documents
KR101203076B1 (ko) * 2010-07-22 2012-11-20 (주)리딕스 지폐계수기
JP5536150B2 (ja) * 2011-08-09 2014-07-02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939576B2 (ja) 2012-12-12 2016-06-2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葉類識別装置
JP6288709B2 (ja) * 2014-05-22 2018-03-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蛍光・燐光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650A (ja) 2002-01-11 2003-07-25 Hitachi Ltd 画像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現金自動取扱装置
JP2014186597A (ja) 2013-03-25 2014-10-02 Nippon Conlux Co Ltd 紙葉類識別装置
JP6247747B2 (ja) 2014-04-18 2017-12-1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真偽判別装置及び紙葉類真偽判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13717A (zh) 2021-02-02
KR20200138820A (ko) 2020-12-10
EP3832610A1 (en) 2021-06-09
JP7185439B2 (ja) 2022-12-07
CN112313717B (zh) 2023-03-24
JP2020021318A (ja) 2020-02-06
WO2020026642A1 (ja) 2020-02-06
EP3832610A4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8111B2 (ja) 紙葉の真偽鑑別装置
US9841379B2 (en)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detecting apparatus
EP2908293B1 (en) Document photosensor of surface-mounted elements
AU2018242894B2 (en) Optical sensor, light detection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light detection method, and phosphorescence detection apparatus
KR102455210B1 (ko) 광 라인 센서 유닛
JP4596690B2 (ja) 紙葉類蛍光検出センサ
EP3474242B1 (en) Ultraviolet fluorescent color detection device and ultraviolet fluorescent color detection method
JP5537473B2 (ja) 光学ラインセンサ装置及び有価紙面の鑑別方法
JP7141274B2 (ja) 光ラインセンサユニット
JPS617155A (ja) 紙類搬送装置
JP6207359B2 (ja)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EP3151204A1 (en) Line light source and optical line sensor unit
JP2010060524A (ja) 蛍光・燐光検知装置
JP2014068338A (ja)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JP3542223B2 (ja) 硬貨識別装置
JP2013083528A (ja) 密着型光学ラインセンサ装置及び有価紙面の鑑別方法
CN112313932B (zh) 光学线传感器单元
WO2019194152A1 (ja) 光検出センサ、光検出装置、シート類処理装置および光検出方法
WO2019188096A1 (ja) 光検出センサ、光検出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2009216678A (ja) 光学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光学センサ
JP4901228B2 (ja) 分光検出装置
JP2014197005A (ja) 光学ラインセンサ装置及び有価紙面の鑑別方法
JP4511202B2 (ja) 光学式識別装置
JP2008016998A (ja) 光学式読み取り装置とその補正方法
JPH1145362A (ja) 紙幣等識別装置のセンサ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