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118B1 - 금형용 다이 - Google Patents

금형용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118B1
KR102455118B1 KR1020200029725A KR20200029725A KR102455118B1 KR 102455118 B1 KR102455118 B1 KR 102455118B1 KR 1020200029725 A KR1020200029725 A KR 1020200029725A KR 20200029725 A KR20200029725 A KR 20200029725A KR 102455118 B1 KR102455118 B1 KR 10245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die
punch
mold
resistanc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752A (ko
Inventor
다이스케 콘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르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르츠
Priority to KR102020002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118B1/ko
Publication of KR2021012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03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in punching machines or punch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과제] 펀칭 가공 실행 시에 있어서의 찌꺼기 부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한 금형용 다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펀치(24)의 외주면에 대해서 클리어런스(C)를 갖는 펀칭 구멍(42)이, 피가공재(M)의 펀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이 본체(41)와, 상기 펀칭 구멍의 상부면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있어서, 상기 펀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다이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춤되는 동시에, 그 선단부가 상기 펀치를 펀칭 구멍에 진퇴시켰을 때에 펀칭 찌꺼기(S)의 일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돌출하고 있는 세장형 저항부재(41)를 포함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금형용 다이{DIE FOR MOLD}
본 발명은 금형용 다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펀칭 가공 실행 시에 있어서의 찌꺼기 부상(滓上がり, scum rising)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금속판 등의 피가공재를 소망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수법의 하나로 펀칭 가공이 있다. 펀칭 가공은, 예를 들면, 원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펀칭 형상에 대응하는 펀치(Punch)와 다이(Die)를 조립해넣은 상하 1조의 금형을 제작하고, 프레스기에 부착된 금형에 피가공재를 끼워서 프레스함으로써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하부금형에 배치되는 다이는, 펀칭 구멍의 아래쪽에, 펀칭 구멍보다도 내주를 확장시킨 스필 포트(spill port)를 형성하고 있다. 펀치를 펀칭 구멍에 진퇴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펀칭 찌꺼기는, 이 스필 포트를 통해서 다이로부터 낙하하여 배출된다. 그러나, 드물게, 다이로부터 낙하하지 않고 떠올라, 피가공재의 표면에 펀칭 찌꺼기가 실려버리는 "찌꺼기 부상"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찌꺼기 부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일례로서, 펀치가 상승할 때에 펀칭 구멍의 내부공간이 감압되어서 위쪽으로 인장되는, 펀치와 펀칭 찌꺼기 사이에 자기가 작용해서 위쪽으로 인장되거나, 혹은 도포한 가공 오일의 장력에 의해서 인장되는 것 등이 고려된다.
찌꺼기 부상 대책으로서, 돌기부를 펀칭 구멍의 내주면에 형성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그러나, 펀칭 방향을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돌기부를 형성하면, 펀치가 최하점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마찰이 커서, 다이의 내구성이 염려된다. 또한, 돌기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경우, 다이 자체의 제작이 어렵게 된다. 또한, 펀칭 구멍의 내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판 형상의 돌기부를 형성하면, 찌꺼기 부상의 발생은 억제되었다고 해도, 걸림이 커서 펀칭 찌꺼기가 다이 내에 막히는 배출 불량이 우려된다.
JPS59-194330 A JPS59-81534 A JP 2003-225719 A JP 2015-166102 A JPH5-154576 A
즉,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의거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펀칭 가공 실행 시에 있어서의 찌꺼기 부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한 금형용 다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찌꺼기 부상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다이 내로부의 펀칭 찌꺼기의 배출 불량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0008]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금형용 다이는, 펀치의 외주면에 대해서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갖는 펀칭 구멍이 피가공재의 펀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이 본체와, 상기 펀칭 구멍의 상부면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있어서, 상기 펀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다이 본체의 내부에 끼워맞춤되는 동시에, 그 선단부가 상기 펀치를 펀칭 구멍에 진퇴시켰을 때에 펀칭 찌꺼기의 일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돌출하고 있는 세장형 저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저항부재의 바람직한 일례는 봉 형상 부재이다.
(3)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부재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의 봉 형상 부재이다.
(4) 상기 저항부재는, 바람직한 다른 예로서, 펀칭 찌꺼기의 일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돌출된 선단부와, 이 선단부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플런저(plunger)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 본체의 내부에 펀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끼워맞춤시킨 세장형 형상으로서, 그 선단부가 펀칭 구멍에 펀치를 진퇴시켰을 때에 펀칭 찌꺼기의 일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돌출하고 있는 저항부재를 구비한 것에 의해, 펀칭 가공 실행 시에 있어서 저항부재의 선단부를 펀칭 찌꺼기에 접촉시킬 수 있고, 그 마찰 저항에 의해서, 상승하는 펀치에 인장되어 펀칭 찌꺼기가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세장형 저항부재는 펀칭 찌꺼기와의 접촉 면적이 작으므로, 펀칭 찌꺼기가 다이 본체의 내부에서 막혀서 움직이지 않게 되는 배출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이 본체의 내부에 펀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끼워맞춤시키고 있으므로, 저항부재 자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다이 자체의 제작이 그다지 곤란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금형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금형용 다이의 평면도와 세로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다이와 펀치로 피가공재를 구멍 펀칭 가공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금형용 다이의 평면도와 세로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다이와 펀치로 피가공재를 구멍 펀칭 가공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금형용 다이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하등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금형(1)의 전체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의 제품의 가공에서는, 복수조의 펀치와 다이를 이용하거나, 조임 등의 다른 가공을 하나의 금형에서 동시에 행하거나 할 경우도 있지만,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1에는 1조의 펀치와 다이에 의해서 구멍 펀칭 가공(피어싱 가공)을 하는 전형적인 금형(1)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1)은, 1조의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금형(2)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플랜지형 생크(shank)에 의해서 프레스기 슬라이드에 부착된다. 한편, 하부금형(3)은, 프레스기의 볼스타 상에 부착된다. 상부금형(2)은, 최상단 위치에 펀치 홀더(21)가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면측에 배킹 플레이트(backing plate)(22)와 펀치 플레이트(23)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금형(2)의 중앙부에는, 피가공재(M)를 원형으로 구멍 펀칭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펀치(24)가 펀치 플레이트(2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금형(2)에는,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25)가 스트리퍼 볼트(26)에 의해서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스트리퍼 볼트(26)는,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26a)의 신장 작용에 의해서 스트리퍼 플레이트(25)를 아래쪽으로 가압하고 있다.
펀치 플레이트(23)에는, 원기둥 형상의 스트리퍼 가이드(27)가 고정 배치되어 있다. 스트리퍼 가이드(27)는, 스트리퍼 플레이트(25)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 구멍을 관통해서 더욱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고, 펀칭 가공 실행 시에는, 후술하는 다이 플레이트(32)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시(36)에 관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펀치 홀더(21)에는, 후술하는 다이 홀더(31)에 설치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37)가 관입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부시(2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부금형(3)은, 최하단 위치에 다이 홀더(31)가 배치되어 있고, 그 상부면측에 배킹 플레이트(33)와 다이 플레이트(32)가 배치되어 있다. 하부금형(3)의 중앙부에는, 펀치(24)와 협동해서 피가공재(M)의 상부면을 원형으로 구멍 펀칭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다이(34)가, 다이 플레이트(32)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이 플레이트(32)의 상부면에는, 피가공재(M)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핀(35)이 설치되어 있다.
다이 플레이트(32)와 배킹 플레이트(33)에는, 프레스 가공 실행 시에, 상부금형(2)의 스트리퍼 가이드(27)가 관입하는 원통형의 가이드 부시(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이 홀더(31)에는, 상부금형(2)에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의 가이드 부시(28)에 관입하는 원기둥 형상의 가이드 포스트(37)가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2(a)의 평면도와 도 2(b)의 세로단면도를 참조하면, 다이(34)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다이 본체(4)와, 다이 본체(4)의 내부에 고정 배치된 1쌍의 세장형 저항부재(41)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 본체(4)의 중앙부에는, 피가공재(M)의 펀칭 방향을 따라서 원형의 펀칭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의 펀칭 방향이란, 펀치(24)의 진퇴 방향이기도 하다. 다이 본체(4)에는 더욱 펀칭 구멍(42)보다도 직경을 확장시킨 원형의 스필 포트(43)가, 펀칭 구멍(42)의 아래쪽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펀칭 구멍(42)의 내주면은, 펀치(24)의 외주면에 대해서 소정의 클리어런스(C)를 지니고 있다. 클리어런스(C)는, 예를 들어, 피가공재(M)의 두께의 5 내지 7%의 범위 내에 설정한다.
다이 본체(4)의 크기는, 일례로서, 펀칭 구멍(42)의 직경을 10㎜, 그 외경을 22㎜, 펀칭 구멍(42)의 깊이를 8㎜, 클리어런스(C)를 0.05 내지 0.07㎜로 한다. 펀치(24)의 직경은, 클리어런스(C) 분만큼 펀칭 구멍(42)의 직경보다도 좁은 직경으로 한다. 또한 다이 본체(4) 및 펀치(24)의 재질은, 전형적으로는 금속이다. 금속의 구체예는 스틸이다. 물론, 크기나 재질이 한정되는 일은 없고, 피가공재(M)의 두께나 재질, 펀칭 형상 등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될 수 있다.
저항부재(41)는, 그 선단부가 펀칭 구멍(42)의 내주면보다도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해서, 다이 본체(4)의 내부에 배치(예를 들면 끼워맞춤)되어 있다. 저항부재(41)는, 바람직하게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의 봉 형상 부재이며, 다이 본체(4)의 직경선 상을 따라서 수평으로 배치하고 있다. 타원기둥의 경우, 예를 들면 타원의 장축 직경이 세로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부면측이 곡률을 갖는 곡선형상이면 타원형이나 계란형 등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도 2에는, 바람직한 일례로서, 선단부끼리가 직경선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저항부재(41)를 배치함으로써, 1쌍의 저항부재(41)를 구성하고 있다. 선단부를 돌출시키는 길이는, 예를 들면 펀치 외주면과의 클리어런스(C)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길이로 하고, 이것에 의해 선단부가 펀칭 찌꺼기의 일부와 접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리어런스(C)와 같은 길이, 즉, 평면에서 보아서 펀치(24)의 외주면까지 돌출시킨다. 또, 선단부의 단면은, 반드시 수직평면이 아니어도 되고, 경사면이어도 되고, 구 형상 또는 핀 형상이 되도록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있어도 된다. 혹은, 펀치의 외주면과 서로 비슷하도록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펀칭 가공 실행 시에 있어서의 펀치(24)의 최하점은, 펀칭 구멍(42)의 상부면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설정된다. 따라서, 저항부재(41)는, 바람직하게는 펀치(24)의 최하점보다도 아래쪽 위치가 되도록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가공재(M)의 두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높이로 펀치(24)의 최하점보다도 아래쪽에 위치시킨다. 일례로서, 저항부재(41)가 직경 1.8㎜의 원기둥형, 피가공재(M)의 두께가 1㎜, 펀치(24)의 최하점이 펀칭 구멍(42)의 상부면으로부터 1㎜ 내려간 위치에 설정될 때, 원기둥형의 저항부재(41)의 중심선이 펀칭 구멍(42)의 상부면으로부터 2.5㎜ 내려간 위치가 되도록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펀칭 구멍(42)에 펀치(24)를 진퇴시켰을 때, 펀치(24)에 충돌하지 않고 선단부가 펀칭 찌꺼기와 접하게 된다.
저항부재(41)의 재질은, 예를 들면, 금속이다. 피가공재(M)보다도 강도가 높고, 다이 본체(4)보다도 강도가 낮거나 또는 강도가 같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가공재(M) 및/또는 다이 본체(4)보다도 인성이 높은 재질이다. 피가공재(M) 및 다이 본체(4)에 어떠한 재질을 선택할지에도 따르지만, 스테인리스, 놋쇠, 구리, 구리합금 등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합금 등 인성이 비교적 높은 재질을 선택하면, 후술하는 펀칭 가공 실행 시에 있어서 저항부재(41)가 꺾이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 열팽창률이 높은 재질이면, 가령 선단이 마모되어도 펀칭 가공 실행 시에 발생하는 열로 팽창해서 마모된 부분을 보충하는 것이 기대된다. 물론, 금속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또 수지 등의 다른 재질이어도 된다. 저항부재(41)가 복수의 소재나 부품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적어도 선단부가 상기 조건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0022]
또, 다이(34)의 제작은, 일례로서, 다이 본체(4)의 한쪽의 외주면에서부터 중심을 통해서 다른 쪽의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일직선으로 원통형의 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돌출 설치한 구멍에 외주측에서부터 2개의 원기둥형의 부재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즉, 저항부재(41)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멍을 형성해서 끼워맞춤시킨다. 2개가 아니라, 1개의 원기둥형의 부재를 일직선으로 끼워맞춤시킨 후, 중앙부분을 절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다이 본체(4)에 구멍을 뚫어 형성해서 저항부재(41)를 외주면측에서부터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면, 다이(34)의 제작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항부재(41)를 직경선 상을 따라서 배치하면, 다이 본체(4)에 구멍을 뚫어 형성하기 쉽다.
계속해서, 전술한 펀치(24)와 다이(34)로 피가공재(M)를 구멍 펀칭하는 양상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 3은, 도 1의 금형 전체도로부터 펀치(24), 다이(34) 및 피가공재(M)를 발췌해서 기재한 것이다. 구멍 펀칭 가공은, 도 3(a)와 같이 다이(34)의 상부면에 피가공재(M)를 얹고, 펀치(24)를 하강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펀치(24)가 최하점에 도달하면, 도 3(b)의 세로단면도 및 도 3(c)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부재(41)의 선단부가 펀칭 찌꺼기(S)의 외주 부분에 접촉한다. 펀칭 찌꺼기(S)의 외주 부분은, 예를 들면, 전단면, 파단면, 버어(burr), 처짐(shear droop) 등이 형성되지만, 저항부재(41)쪽이 강도가 높으므로 선단부가 펀칭 찌꺼기(S)에 먹어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도 3(d)와 같이 펀치(24)가 상승했을 때에 위쪽으로 인장되는 작용이 작용했다고 해도, 펀칭 찌꺼기(S)는, 저항부재(41)의 선단부와의 마찰 저항에 의해서 그 위치에 유지되어, 떠오르지 않는다. 이 펀칭 찌꺼기(S)는, 예를 들면 다음의 피가공재(M)를 펀칭했을 때에 발생하는 펀칭 찌꺼기(S)와 펀치(24)에 의해서 밀려내려가, 스필 포트(43)로부터 낙하한다. 재차 펀치(24)를 내리고, 또한 가공 시의 최하점보다도 내려서 펀칭 찌꺼기(S)를 낙하시키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계속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이(34)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이(34)는, 저항부재(41)의 구성이 다른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형태의 다이와 같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에 의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 형상 부재 대신에 플런저(5)에 의해서 세장형 저항부재(41)를 구성한다. 플런저(5)는, 본체부인 케이싱(51), 케이싱(51)의 일단측의 개구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선단부(52), 및 선단부(52)를 가압하는 탄성부재(53)를 구비한다. 케이싱(51)은, 일단측이 개구되고 타단측이 밑바닥을 가진 대략 원통형의 부재이며, 그 외주면이 나선 형상의 나사로 되어 있다. 케이싱(51)의 재질은, 예를 들면 수지 또는 금속이다.
선단부(52)는, 바람직한 일례로서, 그 선단이 둥그스름한 모양을 띤 예를 들어 구 형상 또는 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부분이 펀칭 구멍(42)의 내주면보다도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도면에서는 구 형상으로 기재되어 있다). 즉, 상부면측이 곡률을 갖는 곡선 형상이다. 어느 정도 돌출시킬지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예를 들면 클리어런스(C)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길이로 돌출시킨다. 또한, 저항부재(41)의 배치 높이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바람직하게는 펀치(24)의 최하점보다도 아래쪽 위치가 되도록 배치한다. 일례로서, 선단부(52)가 직경 2㎜의 구 형상, 피가공재(M)의 두께가 1㎜, 펀치(24)의 최하점이 펀칭 구멍(42)의 상부면에서부터 2㎜ 내려간 위치에 설정될 때, 선단부(52)의 중심선이 펀칭 구멍(42)의 상부면에서부터 3㎜ 내려간 위치가 되도록 배치한다. 또, 변형예로서, 선단부(52)를 수직면으로 해도 되고, 경사면으로 해도 되며, 펀치(24)의 외주면과 서로 비슷하도록 내측으로 만곡시켜도 된다. 선단부(52)의 재질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스테인리스, 놋쇠, 구리, 구리합금 등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탄성부재(53)는, 선단부(52)가 케이싱(51)의 길이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되도록 선단부(52)를 가압하고 있다. 즉, 선단부(52)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탄성부재(53)는, 예를 들면 케이싱(51)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는 스프링이다. 선단부(52)는, 펀칭 가공 실행 시에 외압이 가해지면 탄성부재(53)의 가압력에 의해서 대향한다. 단, 탄성부재(53)의 가압력보다도 큰 외압이 가해지면 선단부(52)가 후퇴되어, 선단부(52)의 손상이 억제된다.
플런저(5)를 부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례로서, 케이싱(51)의 외주면의 나사에 대응하는 나사골을 내는 일을 다이 본체(4)에 대해서 외주면측에서부터 행하고, 플런저(5)의 나사를 외주면측에서부터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다이 본체(4)에 끼워맞춤시킨다.
계속해서, 전술한 펀치(24)와 다이(34)로 피가공재(M)를 구멍 펀칭하는 양상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구멍 펀칭 가공은, 도 5(a)와 같이 다이(34)의 상부면에 피가공재(M)를 얹어 놓고, 펀치(24)를 하강시킴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펀치(24)가 최하점에 도달하면, 도 5(b)의 세로단면도 및 도 5(c)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5)의 선단부(52)가 펀칭 찌꺼기(S)의 외주 부분에 접한다. 이때, 선단부(52)는 펀칭 찌꺼기(S)로부터의 외압을 받지만, 탄성부재(53)의 가압력에 의해서 대항한다. 따라서, 도 5(d)와 같이 펀치(24)가 상승해서 위쪽으로 인장되는 작용이 작용했다고 해도, 펀칭 찌꺼기(S)는, 저항부재(41)의 선단부와의 마찰 저항에 의해서 그 위치에 유지되어, 떠오르지 않는다. 이 펀칭 찌꺼기(S)는, 예를 들면 다음 피가공재(M)를 펀칭했을 때에 발생하는 펀칭 찌꺼기(S)와 펀치(24)에 의해서 밀려내려가, 스필 포트(43)로부터 낙하한다. 다시 펀치(24)를 내리고, 더욱 가공 시의 최하점보다도 내려서 펀칭 찌꺼기(S)를 낙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금형(1)의 다이(34)에 따르면, 펀칭 가공 실행 시에 있어서의 찌꺼기 부상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시험에 의해서 도 3(b)의 상태에 있어서의 최대하중을 측정한 바, 스테인리스제의 원기둥의 부재에서는 1.25[kN], 놋쇠제의 원기둥의 부재에서는 0.36[kN]의 최대하중을 견디어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충분히 펀칭 찌꺼기(S)의 떠오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펀칭 가공을 반복해서 행하고, 찌꺼기 부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펀칭 가공은, 원형의 구멍 펀칭 가공(피어싱 가공)으로 한정되는 일은 없다. 타원, 4각형, 직사각형 이외에도 각종 형상의 펀칭 가공에 이용되는 다이(34)에 저항부재(41)를 설치함으로써,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저항부재(41)의 설치수도 2개로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1개 이상이면 된다. 또한, 저항부재(41)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원형 등 상부면이 곡률을 갖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의 봉 형상 부재이어도 된다. 저항부재(41)는, 용접이나 접착 등의 고정 처리를 추가해도 된다. 또한, 중심에서부터 외주를 향해서 다층구조이어도 되고, 다이 본체(41)와의 사이에 다른 부재를 개재해서 끼워맞춤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저항부재(41)는, 반드시 직경선 상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원통형의 다이(34)이면, 60도 간격, 90도 간격 등으로 설정해도 된다. 수평방향 대신에,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경사를 갖게 해서 배치해도 된다. 또한, 세장형 저항부재(41)는, 반드시 일직선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한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금형 2: 상부금형
24: 펀치 3: 하부금형
34: 다이 4: 다이 본체
41: 저항부재 42: 펀칭 구멍
5: 플런저

Claims (4)

  1. 금형용 다이로서,
    펀치의 외주면에 대해서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갖는 펀칭 구멍이 피가공재의 펀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이 본체와,
    펀칭 가공 실행 시의 상기 펀치의 최하점보다도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 본체의 외주측에서부터 상기 펀칭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다이 본체의 내부의 구멍에 상기 외주측에서부터 끼워맞춤되는 동시에, 상기 펀치를 펀칭 구멍에 진퇴시켜서 상기 최하점에 도달했을 때에 펀칭 찌꺼기의 일부와 접해서 상기 펀칭 찌꺼기를 유지하는 위치까지, 상기 피가공재보다도 강도가 높은 선단부가 돌출하고 있는 세장형 저항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봉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다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의 봉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다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재는, 상기 펀칭 찌꺼기의 일부와 접하는 위치까지 돌출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용 다이.
KR1020200029725A 2020-03-10 2020-03-10 금형용 다이 KR10245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25A KR102455118B1 (ko) 2020-03-10 2020-03-10 금형용 다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25A KR102455118B1 (ko) 2020-03-10 2020-03-10 금형용 다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752A KR20210129752A (ko) 2021-10-29
KR102455118B1 true KR102455118B1 (ko) 2022-10-14

Family

ID=7823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725A KR102455118B1 (ko) 2020-03-10 2020-03-10 금형용 다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1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0325A (ja) * 2001-06-27 2003-03-18 Amada Co Ltd ダイ刃先チップ及びダイ金型並びに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4330A (ja) 1983-04-20 1984-11-05 Toshiba Corp カラ−受像管
JPH05154576A (ja) 1991-12-03 1993-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レス打ち抜き金型
JP2003225719A (ja) 2002-01-31 2003-08-12 Hitachi Cable Ltd 精密打ち抜き金型及びその加工方法
JP2015166102A (ja) 2014-03-04 2015-09-24 英一 神田 カス上がりを抑制又は防止するダ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0325A (ja) * 2001-06-27 2003-03-18 Amada Co Ltd ダイ刃先チップ及びダイ金型並びに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752A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0027B2 (ja) ピアスナットの固着方法
JP4556870B2 (ja)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このパンチ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US3496818A (en) Guide bushing for die sets
US4584753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sheet metal pieces
KR20120084785A (ko)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JP6673760B2 (ja) 突起部成形装置、突起部成形方法
US20090044671A1 (en) Punch press shedder pin knockout arrangement
WO2017208669A1 (ja) 鍛造加工装置
PL234006B1 (pl) Urządzenie kuźnicze i sposób kucia
KR102455118B1 (ko) 금형용 다이
KR0134168B1 (ko) 프레스다이
JP6664629B1 (ja) 金型のダイ
CN113385577B (zh) 模具的冲模
KR20190108113A (ko)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21142538A (ja) 金属加工装置および金属加工方法
JP2012030241A (ja) パンチ金型及びそのパンチ金型を使用したねじ穴加工方法
JP5794611B2 (ja) 薄板金属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これを用い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KR20100103319A (ko) 파이프 펀칭가공용 프레스금형
JP4830759B2 (ja)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そのパンチ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並びに薄板金属の孔明け方法
JP5967180B2 (ja) 薄板金属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これを用い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JP6057830B2 (ja) 熱間鍛造金型
JP5799992B2 (ja) 薄板金属の孔開け装置
CN214022996U (zh) 冷挤压模具
CN112453207A (zh) 一种翻边模具
CN215315022U (zh) 一种去毛刺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7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026

Effective date: 202207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