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899B1 - 광 섬유 커넥터 터미네이션 시험 공구 - Google Patents

광 섬유 커넥터 터미네이션 시험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899B1
KR102454899B1 KR1020197006654A KR20197006654A KR102454899B1 KR 102454899 B1 KR102454899 B1 KR 102454899B1 KR 1020197006654 A KR1020197006654 A KR 1020197006654A KR 20197006654 A KR20197006654 A KR 20197006654A KR 102454899 B1 KR102454899 B1 KR 10245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tool
housing
connector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884A (ko
Inventor
수렌드라 치티 바부
유 후앙
로만 제이. 처노빅
스콧 알. 하트만
Original Assignee
팬듀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듀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팬듀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3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optical fibres; Mecha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optical testing of optical fib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광 커넥터(156)의 터미네이션을 시험하기 위한 공구(100)는 하우징, 하우징에 부착된 크래들(112) 및 크래들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커버(195)를 포함한다. 크래들(112)은 광 섬유 커넥터(156)를 구속하도록 구성되고, 커버(195)는 광 섬유 커넥터가 주위 광이 도달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광 커넥터의 터미네이션을 시험하기 위한 공구는 하우징, 하우징에 부착된 크래들, 런치 섬유, 및 페룰 어댑터를 포함한다. 페룰 어댑터는 크래들 상의 피벗 지점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Description

광 섬유 커넥터 터미네이션 시험 공구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3월 27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2/476,964호 및 2016년 8월 23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2/378,298호에 대한 혜택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용으로 본 출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광 섬유 케이블 터미네이션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드 터미네이션가능 커넥터를 설치하는데 사용자를 돕는 공구 및 이와 연계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 광학의 분야에서 작업할 때, 사용자들은 보통 광 섬유 또는 섬유 리본의 비-연결된 단부들 간을 연결하도록 요구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접속(splicing)으로서 지칭되고 두 개의 섬유 간 일시적 또는 영구적 접합을 야기하는 것을 수반한다. 특정 경우에서, 두 개의 섬유는 정확하게 정렬되고 그 다음 전기 아크로 보통 야기되는 국부화된 강한 부분 가열을 사용하여 함께 융착된다. 이는 융착 접속으로서 지칭되고 두 개의 광 섬유 간에 고성능 영구 접합을 야기하기 위해 폭넓게 채용된다. 그러나, 융착 접속기 장치는 부피가 크고, 고가이며, 상대적으로 부서지기 쉬울 수 있다. 대안으로, 두 개의 섬유는 기계적 접속으로서 보통 지칭되는 정렬 고정구에 단순히 서로 인접해 있을 수 있다. 정렬 고정구는 일측 상에 별개의 섬유의 두 개의 단부를 수용하고 섬유들을 물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정렬 튜브 또는 V형 그루브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서, 정렬 장치는 필드 섬유에 연결되도록 만들어진 스터브 섬유가 내장된 광섬유 커넥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필드 섬유는 커넥터 내부의 스터브 섬유에 대한 기계적 접속을 이용하여 터미네이션될 수 있다.
신호의 상당한 손실을 회피하고 이러한 접합부 내에서의 잠재적 반사 또는 광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섬유(들)가 적절하게 갈라진다는 것, 섬유들 간이 정확하게 정렬된다는 것, 그리고 섬유들 간에 도포되는 투명 겔 또는 광 접착제가 유리 광 속성들에 맞다는 것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세부사항들을 검출 및/또는 확실하게 하는 것이 언제나 용이한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광 섬유 케이블을 터미네이션하는 임무를 돕는 다양한 해결방법이 개발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 인용되는, "광 섬유 접속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62/370,379호 및 "커넥터를 터미네이션 및 시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14/920,270호가 접속과 관련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커넥터를 평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상을 기재한다. 그러나, 이 출원의 개시는 광 섬유 터미네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해결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의도된 목적에 사용되는 공구를 물리적으로 거의 정의하지 않는다.
따라서, 필드 섬유의 개선된 터미네이션을 제공하고, 기계적 접촉의 품질을 결정 및 개선하는 것을 돕는 것과 관련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 섬유 케이블 터미네이션과 관련된 장치,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대해 사용된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들, 양태들, 및 이점들은 뒤따를 수 있는 다음 도면들, 설명, 및 임의의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네이션 공구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터미네이션 공구의 상면도.
도 1c는 도 1a의 터미네이션 공구의 측면도.
도 2는 도 1a의 터미네이션 공구의 분해된 사시도.
도 3은 도 1a의 터미네이션 공구의 단면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저면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크래들의 상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내에 설치된 커넥터의 상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 내에 설치된 커넥터의 상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네이션 공구에 대한 크래들의 정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하우징에 부착된 런치 섬유 어댑터 및 TOSA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네이션 공구에 대한 런치 섬유 및 이의 부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에 커넥터를 부착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네이션 공구의 양손잡이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네이션 공구의 카메라 및 렌즈 시스템 및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네이션 공구의 상부 하우징에 대한 적외선 필터의 위치설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CD 구성요소와 함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반 구성요소와 함께 네비게이션 스위치의 분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구성요소의 분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된 터미네이션 공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도 18 및 도 19의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네이션 공구 상에 장착된 도 18 및 도 19의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개방 위치에서 도 18 및 도 19의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터미네이션 공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도 24 및 도 25의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네이션 공구 상에 장착된 도 24 및 도 25의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개방 위치에서 도 24 및 도 25의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터미네이션 공구(10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상기 도면에 도시되고, 도 1a는 사시도, 도 1b는 상면도 및 도 1c는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네이션 공구(100)는 상부 하우징(102) 및 하부 하우징(104)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02)은 베젤(108)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LCD)(106), 네비게이션 스위치(110), 평가 대상인 커넥터용 크래들(112), IR 필터(114) 및 배터리 하우징(116)을 갖는다. 이는 또한 광 윈도우(118)를 가지며, 상기 광 윈도우를 통하여 이미지 캡춰 시스템이 평가 대상인 커넥터의 이미지를 캡춰한다. 상부 하우징(102) 내의 정렬 핀(119) 및 하부 하우징(104) 내의 정렬 홀(121)(도 3 참조)이 결합 중에 하우징(102, 104) 둘 모두의 정렬을 돕는다. 상부 하우징(102)에 부착된 4개의 자석(120)은 터미네이션 공정 동안 크래들(112)을 정렬하고 이를 자기적으로 보유하는 것을 돕는다. 하부 하우징(104)은 주 인쇄 회로 기판(PCB)(112), 전송기 광 서브-조립체(TOSA)(124), 런치 섬유 어댑터(launch fiber adapter, 126), 배터리 도어(128) 및 미끄럼 방지 패드(130)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네이션 공구(100)는 도 4a 내지 도 6에 도시된 3가지 타입의 크래들을 포함한다. 이들 크래들(112.2, 112.4, 112.6)은 각각 LC, SC, 및 ST 광 섬유 커넥터에 대해 설계된다. 단지 3개의 크래들이 도시될지라도, 임의의 개수의 크래들이 공구와 함께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크래들은 특정 타입의 단일 또는 다-섬유 커넥터에 대해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각각의 크래들(112)은 이의 기저에 광 윈도우(132)를 가지며 상기 광 윈도우를 통하여 평가 대상인 커넥터가 이미지 캡춰 시스템에 의해 도시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02)에 크래들(112)을 부착하기 위하여, 4개의 자석(134)이 각각의 크래들 내에 수용된다. 이는 압축 끼워맞춤,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각각의 자석 캐비티(136)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 내에 보유될 수 있다. 설치될 때, 자석은 상부 하우징(102) 내에 설치된 자석(1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격된다. 상부 하우징(102)의 각각의 자석 포켓(137) 내로 자석(120)의 위치설정이 도 7에 도시될 수 있다. 각각의 자석 세트 내에서 자석의 동일한 상대적인 위치설정에 따라 크래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자석(120, 134)에 의해 상부 하우징(102)에 끌어 당겨지고 어느 정도 고정될 수 있다. 자석(120)과 자석(134)이 서로 끌어당기며, 이는 적절한 극 배향으로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임의의 2개의 각각의 자석(120/134)의 극은 반대이어야 한다(N-S 또는 S-N).
크래들(112)은 상부 하우징(102) 및 각각의 크래들(112) 내의 정렬 특징부에 의해 상부 하우징(102) 내의 광 윈도우(118)에 걸쳐 정밀하게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의 경우에, 이들 정렬 특징부는 상부 하우징(102)(도 8 참조) 내에 설계된 대응 정렬 홀(140) 및 크래들(112)(도 4a 참조) 내에 설계된 정렬 핀(138)이다. 상부 하우징(102)에 크래들(112)을 부착하는 자기 방법에 따라 결합된 이 정렬 설계에 따라서 광 윈도우(118)에 걸쳐 크래들(112)의 용이하고 번거롭지 않고 정밀한 정렬이 허용되고,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102)의 광 윈도우(118) 근처에서 크래들(112)을 낙하 또는 배치할 때 크래들(112)은 자기 상호작용 및 정렬 특징부를 통하여 자체 정렬되고 자기 인력을 통하여 고정되게 부착된다. 이 경우 "고정 된"은 평가 대상인 커넥터를 크래들 내로의 설치, 공구의 움직임 또는 다른 유사한 발생으로 인한 크래들의 의도치 않은 움직임을 지칭하는 것으로 주지된다. 사용자는 상부 하우징과 크래들 내의 자석들 사이에서 자기 인력을 차단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함으로써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크래들을 분리할 수 있다. 이 설계는 크래들(112)을 상부 하우징(102) 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사용자의 기술 의존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재차 도 4b를 참조하면, LC 크래들(112.2) 및 SC 크래들(112.4)은 빔의 마주보게 대향하는 벽 상에서 반구형 돌출부(144)를 갖는 2개의 직립 빔을 갖도록 설계된다. 대응하는 반구형 리세스(150)를 갖는 런치 섬유(148)(도 10 참조)의 페룰 어댑터(146)로 쌍을 이룰 때, 어댑터와 크래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볼-소켓 접합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크래들은 소정 범위의 각도(도 11 참조)를 통하여 피벗회전할 수 있다.
실제로, 터미네이션 공구(100)는 TOSA(124)에 의해 생성된 광을 런치 섬유(148)를 통해 평가 대상인 커넥터에 전달하고, 그 후에 사용자에 터미네이션-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로부터 발광 패턴(들)을 평가한다. 실시예에서, TOSA(124)는 소정의 파장에서 적외선(IR) 광을 방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TOSA(124)에 의해 방출된 광의 파장은 필요/원하는 대로 조절될 수 있고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스펙트럼 내에 있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TOSA(124)는 본 실시예에서 LC 어댑터로서 도시된 런치 섬유 어댑터(126) 내로 삽입된 이의 페룰을 이용하여 제1 PCB(122)에 연결된다. 런치 섬유(148)는 평가 대상인 커넥터로 TOSA(124)로부터 광을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런치 섬유(148)의 일 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치 섬유 어댑터(126)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커넥터(152)(예를 들어, 표준 LC 커넥터)로 터미네이션된다. 런치 섬유(148)의 다른 단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112) 및 궁극적으로 평가 대상인 커넥터에 연결되는 페룰 어댑터(146)(예를 들어, LC 커넥터에 대해 1.25 mm 페룰 어댑터 또는 SC 및 ST 커넥터에 대해 2.5 mm 페룰 어댑터)로 터미네이션된다. 페룰 어댑터(146)는 반구형 리세스(150)를 포함하여 이들 사이에 볼-소켓 접합을 형성하는 크래들(112)의 2개의 직립 빔(142)들 사이에서 페룰 어댑터가 스냅연결된다. 크래들(112)에 설치되면, 런치 섬유(148)는 평가 대상인 커넥터(15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회전 지점(154) 주위에서 피벗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벗회전 설계는 페룰 어댑터(146)가 커넥터(156)를 삽입하는 사용자에 대해 보다 편리한 삽입 각도를 제공하도록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 뒤, 커넥터(156)가 페룰 어댑터(146) 내로 삽입되면, 양 구성요소는 구속된 위치로 하향 스윙운동하고, 적절한 터미네이션 및 평가를 위해 평가 대상인 커넥터(156)를 광 윈도우(118 및 132) 상의 적절한 위치에 안착시킨다.
크래들(112)은 이 크래들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방향으로 광 윈도우에 걸쳐 배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부 하우징(102)과 크래들(112) 사이의 정렬 특징부 및 자기 보유 특징부가 광 윈도우(118, 132)의 중간 평면 주위에서 대칭이도록 설계된다. 공구의 이미징 구성요소의 정확한 위치설정에 따라 이를 조합함으로써(예를 들어, 광 윈도우(118, 132)에 대해 중심) 용이한 오른손 및/또는 왼손 작동이 허용될 수 있다.
터미네이션 공구(100)의 이미징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 중에 카메라 센서(158), 렌즈 시스템(160), 마이크로프로세서(162) 및 마이크로-USB 포트(164)를 갖는 제1 PCB(122)를 포함한다. 카메라 센서(158)는 제1 PCB(122) 상에 매립되어 렌즈 시스템(160)이 그 위에서 직접 중심에 위치된다. 렌즈 시스템(160)의 적절한 정렬을 돕기 위하여, 렌즈 홀더(166)(렌즈 시스템(160)의 일부임)는 복수의 정렬 핀(168)이 제공된다.
IR 스펙트럼의 광으로 작동하는(일부 실시예에서) 터미네이션 공구(100)로 인해, 상부 하우징(102)의 광 윈도우(118) 아래에 IR 필터(170)가 부착된다(도 14 참조). 이 IR 필터(170)는 IR 광만을 카메라 센서(158)로 통과시키고 모든 가시광선을 차단한다. IR 필터(170)와 상부 하우징(102) 사이의 밀봉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스킷(172)이 또한 제공된다. 추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시트(174)는 먼지가 터미네이션 공구(100) 내로 유입되고 다양한 이미지 구성요소 상에 증착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먼지 쉴드로서 사용되어 공구의 성능을 달성한다. 시트(174)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2, 104) 사이에 개재된다.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돕기 위해, 터미네이션 공구(100)는 이미지, 메시지, 지시, 메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는 LCD(106)가 제공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LCD(106)는 제2 PCB(176) 상에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102)에 열 고정된다. 공구(100) 내로 먼지 유입의 방지를 돕고 LCD(106)용 쿠션으로 제공되는 개스킷(178)은 상부 하우징(102)과 LCD(106) 사이에 제공된다. 추가로 베젤(108)이 상부 하우징(102)에 부착된다. 베젤은 브랜드/모델 식별자로 스크린 인쇄될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LCD(106) 스크린에 대해 베젤 상에 대조 색상이 사용되는 경우, 베젤(108)은 LCD 스크린 상에 표시된 정보를 더 쉽게 판독하도록 하는 픽처 프레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터미네이션 공구(100)는 또한 LCD(106) 상에 표시된 메뉴로부터 선택하고 이를 네비게이션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스위치(110)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 스위치(110)는 누를 때 4 방향 및 1 유입/입력을 트래버싱할 수 있다(traversing). 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100)의 상부 하우징(102)에 열 고정된 제3 PCB(180) 상에 장착된다. 개스킷(182)은 네비게이션 스위치 버튼(184)과 네비게이션 스위치(110) 자체 사이에 제공된다. 이는 상부 하우징(102)의 개구를 통해 먼지가 유입되거나 또는 PCB(180)와 우발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버튼(184) 주위의 상부 하우징(102)의 개구를 위한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커버를 제공한다. 우발적 낙하 동안에 스위치를 보호하고 우발적 선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184)의 주변부 주위에 버튼 가드(186)로 제공되는 4개의 돌출부가 제공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터미네이션 공구는 배터리 하우징(116)에 수용되고 배터리 도어(190)로 덮인 배터리(188)(예를 들어, 2개의 AA 사이즈 배터리)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배터리 하우징(116)은 상부 하우징 내의 한 쌍의 보스에 나사나사산 형성 나사를 사용하여 상부 하우징(102)에 체결된다. 배터리 구성요소 및 터미네이션 공구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손상 방지를 돕기 위하여, 탄성 커버/케이스 및 추가 하우징 보강부와 같은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특정 파장(예를 들어, 790 nm 초과)에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갖는 환경에서 터미네이션 공구(100)를 작동시킬 때, 커넥터(156), 크래들(112) 및/또는 광 윈도우(118)를 이들 광원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이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95)를 제공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서 터미네이션 공구(100)에 장착되고 도 20a 및 도 20b에서 단독으로 상세히 도시된 커버(195)는 이의 하부 근처에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200)을 포함한다. 자석(200)(들)은 크래들(112) 내의 자석(134)(들)에 걸쳐 끼워맞춤되도록 배열되어 커버(195)가 크래들을 통하여 공구(100)에 자기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터미네이션 단계들 사이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95)가 후방으로 밀릴 수 있어서 커넥터 및 크래들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고, 자석(200)과 자석(134) 사이의 자기 상호작용은 커버(195)가 공구(100)로부터 완벽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커버(205)의 대안의 실시예는 커버(205)가 리빙 힌지(living hinge, 210)를 포함하는 도 24 내지 도 29에 도시된다. 커버(205)는 이 내에 설치된 자석을 갖는 4개의 풋(215)을 포함한다. 풋(215)의 위치설정은 크래들(112) 내의 자석(134)의 레이아웃에 대응한다. 이 구성에서, 커버(205)는 서로 끌어당기는 풋(215) 내의 자석 및 자석(134)과 함께 크래들에 걸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에 접근하고 커버를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전방 부분이 리빙 힌지(210)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커버(205)의 전방 부분을 들어 올리기 위해 탭(220)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몇몇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비-제한적(그것들이 예시인 것 또는 예시적이지 않을 것으로서 라벨링되었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임을 그리고 대안들, 치환들, 및 등가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감에 유의하라. 추가적으로, 설명된 실시예들이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그 대신 이러한 조합들이 허용되는 경우 가능성 있게 조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들 및 장치들을 구현하는 많은 대안적인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이 또한 주의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뒤따를 수 있는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모든 그러한 대안물, 치환물, 및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8)

  1. 광 커넥터의 터미네이션을 시험하기 위한 공구로서,
    제1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크래들;
    런치 섬유; 및
    상기 런치 섬유의 일 단부에 부착된 페룰 어댑터;
    를 포함하고,
    상기 페룰 어댑터는 평가 대상인 광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크래들 상의 피벗 지점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크래들에 연결되고,
    상기 크래들은 상기 하우징에 상기 크래들을 정렬하고 자기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복수의 자석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제2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어댑터는 상기 페룰 어댑터와 직립 빔 사이에 볼 및 소켓 접합을 형성하는 상기 크래들의 상기 직립 빔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페룰 어댑터 상에서의 반구형 리세스를 통하여 상기 크래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7006654A 2016-08-23 2017-08-11 광 섬유 커넥터 터미네이션 시험 공구 KR102454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78298P 2016-08-23 2016-08-23
US62/378,298 2016-08-23
US201762476964P 2017-03-27 2017-03-27
US62/476,964 2017-03-27
US15/668,961 US10317314B2 (en) 2016-08-23 2017-08-04 Fiber optic connector termination tool
US15/668,961 2017-08-04
PCT/US2017/046489 WO2018038937A1 (en) 2016-08-23 2017-08-11 Fiber optic connector termination test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884A KR20190038884A (ko) 2019-04-09
KR102454899B1 true KR102454899B1 (ko) 2022-10-14

Family

ID=6124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654A KR102454899B1 (ko) 2016-08-23 2017-08-11 광 섬유 커넥터 터미네이션 시험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17314B2 (ko)
EP (1) EP3504530B1 (ko)
JP (1) JP7055128B2 (ko)
KR (1) KR102454899B1 (ko)
CN (2) CN111812780B (ko)
MX (1) MX2019001963A (ko)
TW (1) TWI761364B (ko)
WO (1) WO2018038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6280S1 (en) * 2017-05-25 2019-08-13 Panduit Corp. Termination tool
USD846414S1 (en) * 2017-06-28 2019-04-23 Panduit Corp. Fiber connector termination tool
CN112639564A (zh) 2018-10-04 2021-04-09 株式会社藤仓 光纤保护单元以及光纤保护方法
SG11202103399UA (en) 2018-10-04 2021-05-28 Fujikura Ltd Reticulated tube, optical fiber protective unit, method for protecting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ticulated tub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974A (ja) * 1999-08-31 2001-03-23 Ando Electric Co Ltd フェルール保持機構
JP2011095411A (ja) * 2009-10-28 2011-05-12 Sei Optifrontier Co Ltd フェルールホルダ
JP2012247795A (ja) * 2006-06-13 2012-12-13 Panduit Corp スタブファイバコネクタおよびツールアッセンブリ
US20150063761A1 (en) * 2013-08-29 2015-03-05 Corning Cable Systems Llc Test system for checking a splice connection between a fiber optic connector and one or more optical fibe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851378A (en) * 1977-08-10 1980-02-07 Int Standard Electric Corp Coupling of optical fibres
CA1299407C (en) * 1986-09-29 1992-04-28 Lucius Joseph Freeman Optical fiber connecting means
US5278932A (en) 1992-09-30 1994-01-11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splice verification system
WO2001061317A1 (en) 2000-02-17 2001-08-23 Ots Llc Apparatus for optical cable testing
US6816661B1 (en) 2000-03-22 2004-11-09 Corning Cable Systems Llc Multifiber connector, installation tool and associated methods of validating optical fiber continuity
ATE367593T1 (de) * 2001-02-09 2007-08-15 Sanmina Sci Corp Ausrichtungssystem für faseroptisches kabel
US7192195B2 (en) 2005-07-29 2007-03-20 Corning Cable System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optical insertion loss
JP4579787B2 (ja) 2005-08-02 2010-11-10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コネクタプラグ用カバー装置
CN101833140B (zh) * 2005-10-24 2012-09-05 3M创新有限公司 光纤端接平台和光纤端接方法
US8094988B2 (en) * 2005-12-15 2012-01-10 Corning Cable System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verifying an acceptable splice termination
US7680384B2 (en) 2006-01-26 2010-03-16 Corning Cable Systems Llc Installation tool with integrated visual fault indicator for field-installable mechanical splice connector
US20100092147A1 (en) 2006-10-16 2010-04-15 Christophe Desard Optical fiber cable retention device
US8967884B2 (en) 2010-12-14 2015-03-0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transceiver
US9523829B2 (en) * 2012-10-18 2016-12-2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 optic cable sub-assemblies with strain-relief to a circuit board and methods of assembling
US9581781B2 (en) 2013-06-24 2017-02-28 Go!Foton Holdings, Inc. Patch panel pivoting tray cable retention mechanisms
US20150063756A1 (en) 2013-08-29 2015-03-05 Coring Cable Systems Llc System for terminating one or more optical fibers and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used in same
JP5901666B2 (ja) * 2014-01-28 2016-04-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US9442005B2 (en) 2014-07-30 2016-09-1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Non-contact methods of measuring insertion loss in optical fiber connectors
CN205449449U (zh) * 2016-03-17 2016-08-10 苏州茂立光电科技有限公司 导光板量测的夹持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4974A (ja) * 1999-08-31 2001-03-23 Ando Electric Co Ltd フェルール保持機構
JP2012247795A (ja) * 2006-06-13 2012-12-13 Panduit Corp スタブファイバコネクタおよびツールアッセンブリ
JP2011095411A (ja) * 2009-10-28 2011-05-12 Sei Optifrontier Co Ltd フェルールホルダ
US20150063761A1 (en) * 2013-08-29 2015-03-05 Corning Cable Systems Llc Test system for checking a splice connection between a fiber optic connector and one or more optical f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17314B2 (en) 2019-06-11
MX2019001963A (es) 2019-06-20
CN111812780A (zh) 2020-10-23
EP3504530A1 (en) 2019-07-03
JP7055128B2 (ja) 2022-04-15
TW201821844A (zh) 2018-06-16
EP3504530B1 (en) 2020-12-02
CN109642849A (zh) 2019-04-16
WO2018038937A1 (en) 2018-03-01
CN109642849B (zh) 2020-09-11
JP2019531502A (ja) 2019-10-31
TWI761364B (zh) 2022-04-21
US20180058980A1 (en) 2018-03-01
CN111812780B (zh) 2022-04-01
KR20190038884A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899B1 (ko) 광 섬유 커넥터 터미네이션 시험 공구
CN205374874U (zh) 一种头戴式人机交互装置
US10534184B2 (en) Auxiliary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s
US9154677B2 (en) Camera accessory for angled camera viewing
US9146353B2 (en) Optical fiber fusion splicer
TW201518799A (zh) 光纖連接頭、光纖適配器及光纖連接器
KR101448088B1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CN113156652A (zh) 显示装置以及穿戴式设备
US20150116699A1 (en) Removable device for inspecting polish of an optical fiber endface using a portable camera,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CN112130322A (zh) 头戴显示装置
US20150116700A1 (en) Device for inspecting a cleave of an optical fiber endface,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US20210223575A1 (en) Smartphone-Assisted Portable Augmented Reality (AR) Device and Clip-on Unit for Adjustable Attachment to a User's Spectacles
JP6730518B2 (ja) 光繊維融着機
CN108803002B (zh) 内窥镜
KR20130040379A (ko) 단일화된 부품이 케이스의 중앙부에 내장된 입체영상 안경
US7004640B2 (en) Low profile local injection and detection system for optical fiber waveguides
KR102086429B1 (ko) 광섬유 수평화가 가능한 광섬유 융착기
KR20210127221A (ko) 모듈형 안경류 템플
CN214338001U (zh) 放大镜模块及智能终端
CN216118206U (zh) 显示装置以及穿戴式设备
CN211454194U (zh) 摄像辅助装置和电器设备
WO2021141254A1 (ko) 휴대용 안구 검진 장치
CN219039490U (zh) 可拆式投影装置及其密封外壳、与穿戴式设备
KR101095372B1 (ko) Apc형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 트랜시버
JP2004240202A (ja) 視界の方向が屈曲固定されたハンドルパイプ形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