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221A - 모듈형 안경류 템플 - Google Patents

모듈형 안경류 템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221A
KR20210127221A KR1020217029613A KR20217029613A KR20210127221A KR 20210127221 A KR20210127221 A KR 20210127221A KR 1020217029613 A KR1020217029613 A KR 1020217029613A KR 20217029613 A KR20217029613 A KR 20217029613A KR 20210127221 A KR20210127221 A KR 20210127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wear
temple
electrical connector
fram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베르나르드 아르디사나 2세
요아브 벤-하임
테오도르 다보브
바룬 세라와트
Original Assignee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안경류는 광학 엘리먼트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갖는다. 안경류는 또한 프레임의 제1 측부에 인접한 템플을 포함한다. 템플은 프레임에 인접한 제1 부분 및 제1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가 해제가능한 제2 부분에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안경류에 전력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와 같이 수동적이거나 능동적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부분 내의 전자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고, 또한 제2 부분이 제거될 때,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안경류 템플
[0001] 본 출원은, Modular Eyewear Temple이라는 명칭으로 2019년 2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제62/808,913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내용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완전히 포함된다.
[0002] 본 청구 대상은 전기 컴포넌트들을 갖는 안경류(eyewear), 및 안경류 내의 전기 컴포넌트들을 교환하기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0003]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상에 착용하는 의복 또는 액세서리에 통합된 전자 디바이스들이다. 현재, 전자기기 인에이블 안경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에 전력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통합한다. 안경류는 통상적으로 배터리들을 충전시키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들과 같은 전기 커넥터들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 전기 커넥터들은 종종, 일부 현대의 안경류 설계들에 통합될 때 난제들을 제시하는 큰 폼 팩터들을 갖고, 안경류를 손상시킬 수 있는 안경류의 조작을 요구한다.
[0004] 묘사된 도면들은 제한들이 아니라 예시로서만 하나 이상의 구현들을 묘사한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한다.
[0005] 도 1a는 템플의 제거가능한 부분에 상주하는 전기 컴포넌트를 갖는 전자기기 인에이블 안경류의 측면도이다.
[0006] 도 1b는 전자 커넥터가 안경류의 외부로부터 은닉되어 있는 도 1a의 안경류의 측면도이다.
[0007] 도 1c는 템플의 일부가 안경류로부터 제거된 도 1b의 안경류의 분해된 측면도이고, 템플의 제거된 부분은 전도체들을 갖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디바이스를 갖는다.
[0008] 도 1d는 도 1a의 안경류의 부분 배면도이다.
[0009] 도 1e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의 예이다.
[0010] 도 1f는 조명을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의 예이다.
[0011] 도 1g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의 예이다.
[0012] 도 1h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의 예이다.
[0013] 도 2a, 도 2b, 및 도 2c는 템플의 하나의 부분을 템플의 다른 부분에 삽입하는 예들을 묘사하는 안경류 템플들의 측면도들이다.
[0014] 도 3은 프레임에 연결된 템플의 제1 부분에 대한 템플의 제2 부분의 피봇 연결(pivotal connection)의 일 예의 측면도이다.
[0015] 도 4는 안경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단계들의 일 예를 묘사하는 흐름도이다.
[0016] 도 5는 도 1a의 안경류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 컴포넌트들을 묘사하는 블록도이다.
[0017]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관련 교시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예들로서 기재된다. 그러나, 본 교시들이 그러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해야 한다. 다른 예시들에서, 본 교시들의 양상들을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잘-알려진 방법들, 절차들, 컴포넌트들, 및 회로부의 설명은 세부사항 없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기재된다.
[0018] 후속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러한 설명은, 쓰여진 전체 설명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되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판독되도록 의도된다. 설명에서, "하부", "상부", "수평", "수직", "위", "아래", "위쪽", "아래쪽", "상단" 및 "하단"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뿐만 아니라 그들의 파생어(예컨대, "수평으로", "하향으로", "상향으로" 등)는 그 때 설명된 바와 같은 또는 논의중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들 상대적인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장치가 특정한 배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부착들, 커플링 등에 관한 용어들, 이를테면 "연결된” 및 "상호연결된"은, 달리 명백하게 설명되지 않는 한, 구조들이 직접적으로 또는 중간 구조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서로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관계뿐만 아니라 제거가능하거나 단단한 부착들 또는 관계들 둘 모두를 지칭한다.
[0019] 용어 "상(on)"은 엘리먼트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엘리먼트에 통합되거나 엘리먼트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엘리먼트를 통해 엘리먼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들은 단지 예시 및 논의 목적들을 위해서만 안경류 및 연관된 컴포넌트들의 방향들 또는 배향들을 제공한다.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동작 시에, 안경류는 안경류 디바이스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다른 방향으로, 예컨대, 위, 아래, 옆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배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0020] 예들의 부가적인 목적들,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의 검토 시에 당업자들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거나 또는 그들은 예들의 생성 또는 실시에 의해 습득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특히 지적된 방법들, 방편들 및 조합들은 본 청구 대상의 목적들 및 장점들을 실현하고 확인하는 것을 돕는다.
[0021] 도 1a 내지 도 1d는 일 예에 따른 안경류(10)를 도시한다. 안경류(10)는 2개의 측부들, 즉 제1 측부(12A) 및 제2 측부(12B)를 갖는 프레임(12)을 포함한다. 프레임(12)은 제1 측부(12A) 상에 광학 엘리먼트(18A)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엘리먼트(18)를 지지한다. 광학 엘리먼트(18A)는, 예컨대 렌즈,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투명 피스(piece), 스크린,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또는 시각적 이미지들을 제시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사용자가 시각적 이미지들을 지각할 수 있게 하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하나의 광학 엘리먼트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프레임(12)은, 제1 및 제2 측부들(12A 및 12B) 각각 상의 2개의 광학 엘리먼트들(18A 및 18B)과 같은 다른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도 1d), 또는 안경류(10)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의도된 사용자에 의존하여 임의의 광학 엘리먼트(18)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12)의 제1 측부(12A)는 배터리(25), 무선 트랜시버,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및 프로세서(도 5 및 첨부된 설명 참조)와 같은 다양한 전자 컴포넌트들(24)을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0022] 안경류(10)는 또한 프레임(12)의 제1 측부(12A)에 인접한 템플(14A)을 포함한다. 템플(14A)은 제1 부분(15A) 및 제2 부분(17A)을 포함하며, 제2 부분(17A)은 제1 부분(15A)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에서, 제1 부분(15A)은 프레임(12)과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예에서, 제1 부분(15A)은 힌지(16A)(도 1d)를 통해 프레임(12)에 연결된다. 템플(14A)의 제1 부분(15A)은, 템플(14A)의 제1 부분(15A)이 제2 부분(17A)에 부착되는 부착 지점(13)을 포함한다. 하나의 상태(은닉된 상태; 도 1b)에서, 제2 부분(17A)은 부착 지점(13)에서 템플(14A)의 제1 부분(15A)에 연결되어, 제2 부분(17A)은 제1 부분(15A) 내에 매립된 전기 커넥터(28)를 덮는다. 다른 상태(노출된 상태; 도 1c)에서, 제2 부분(17A)은 부착 지점(13)에서 템플(14A)의 제1 부분(15A)으로부터 해제/제거되어, 전기 커넥터(28)를 노출시킨다. 일 예에서, 제2 부분(17A)은 연결 축, 예컨대 X-축 위치 좌표(도 1c)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노출된 상태를 초래한다.
[0023] 일 예에서, 안경류(10)는 프레임(12)의 제2 부분(17A)에 매립된 전자 디바이스(30)를 포함한다. 안경류(10)는 또한 기계적 부분 및 템플(14A)의 제2 부분(17A)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부분(도 1c)을 갖는 전기 커넥터(26)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26)는 부착 지점(13)에서 템플의 제2 부분(17A)을 제1 부분(15A)에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은닉된 상태(도 1b)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또한 전자 디바이스(30)를 프레임(12)의 전자 컴포넌트들(2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제2 부분(17A)은,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들을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덤(dumb)이라는 용어와 대조적으로, 전기적이고 스마트한 것으로 간주된다.
[0024] 전기 커넥터(26)의 기계적 부분은 또한 부착 지점(13)에서 제1 부분(15A)으로부터 템플의 제2 부분(17A)의 연결해제를 가능하게 하여, 노출된 상태(도 1c)를 초래하도록 기능한다. 일 예에서, 전기 커넥터(26)는, 전기 커넥터(28) 내에 전기 커넥터(26)의 기계적 부분을 그리고 그에 의해 제1 부분(15A)에 부착된 제2 부분(17A)을 유지하는 마찰 끼워맞춤(friction fit)으로 전기 커넥터(28)와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26)의 기계적 부분의 일부 예들은 조인트-타입(joint-type) 연결, 스냅 피처(snap feature), 록킹하기 위한 트위스트(twist to lock) 커넥터, 해제 메커니즘, 자석 등을 포함한다.
[0025] 전기 커넥터(26)의 전기 부분은, 제2 부분(17A)에 매립된 전자 디바이스(30)를 프레임(12) 내의 전자 컴포넌트들(24)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기능하는 다수의 전기 전도체들(32)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30)는 능동 및/또는 수동 전기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능동 전기 컴포넌트의 예는 전자 컴포넌트들(24), 플래시라이트, 카메라, 센서, 마이크로폰, 및 센서들 및/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에 전력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이다. 수동 전기 컴포넌트의 예는 증폭되지 않은 스피커이다.
[0026] 전자 디바이스(30)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배터리는, 제1 부분(15A)으로부터 제2 부분(17A)을 제거하고 제2 부분(17A)의 제2 전기 커넥터(26)를 전기 커넥터(26)의 전기 전도체들(32)을 통해 충전 소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시킴으로써 재충전될 수 있다. 부가적인 제2 부분들(17A)은 예비용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전기 전도체들(32)은 전력 및 접지 연결을 제공한다. 이 예는 광학 엘리먼트들(18)에 근접한 충전을 위해 프레임(12)에 전원을 연결할 필요성을 완화시키고, 또한 충전 동안 프레임(12)을 조작하는 동안 광학 엘리먼트들(18) 또는 프레임(12)이 손상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사용자는, 사용되지 않은 제2 부분(17A)이 예비용이 되도록 하나 이상의 제2 부분들(17A)을 가질 수 있고, 이것은, 이를테면, 충전들 사이에서 프레임(12)의 연장된 동작 수명을 제공하기 위해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제2 부분(17A)은, 사용자가 원하는 배터리 용량을 갖고 사용자가 수용할 수 있는 무게를 갖는 제2 부분(17A)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이한 크기의 배터리들을 가질 수 있다.
[0027] 전자 디바이스(30)는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의 상이한 전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30)는 도 1e의 30A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기 전도체들(32)은 전자 컴포넌트들(24)에 전력 공급하기 위한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리드들의 역할을 한다. 다른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30)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조명(30B), 및 제2 부분(17A)의 내부 상의 연관된 전력 스위치(34)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30B)은, 제2 부분(17A)이 제1 부분(15A)으로부터 제거될 때 독립형 조명으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제2 부분(17A)의 배터리에 의해 또는 전기 커넥터들(26 및 28)을 통해 전자 컴포넌트들(24)에 의해 전력 공급받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자 디바이스(30)는 도 1g의 30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기 전도체들(32)은 전자 컴포넌트들(24)로부터의 사운드 신호들을 통신하는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리드들의 역할을 한다. 전자 디바이스(30)는, 도 1h의 30D에 도시된 바와 같고 사용자의 측면에서 이미지들을 캡처하고 270도 뷰의 렌더링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30)는 AR(augmented reality) 피처들을 지원하는 컴포넌트들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30)의 도시된 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암시되지 않아야 한다.
[0028] 스냅 피처의 예들은, 직선 푸시(push)에 의한 연결/정합 및 직선 풀(pull)에 의한 연결해제/정합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개의 부분들 상의 대응하는 돌출부 및 만입부들을 포함하는 커플링 메커니즘인 스냅-온 커넥터(snap-on connector)를 포함한다. 록킹하기 위한 트위스트 커넥터는, 커넥터가 제2 부분을 제자리에 록킹시키기 위해 직선 푸시 및 이어서 트위스트로 연결되고,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을 언록킹(unlock)시키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트위스트함으로써 연결해제되고, 이어서 직선 풀로 정합해제하는 커플링 메커니즘이다. 해제 메커니즘은, 정합된 커넥터들을 단단히 록킹시키고, 해제 칼라(release collar)를 간단히 풀링 온(pull on)함으로써 신속한 연결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내장형 록킹/해제 칼라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자석 연결의 경우, 템플의 제1 또는 제2 부분은 제1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템플의 제2 또는 제1 부분은 금속 또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석은 은닉된 상태에서 제1 부분에 제2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1 자석을 끌어당기도록 배향되는 반면, 노출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제1 부분으로부터의 제2 부분의 연결해제를 허용한다. 다양한 다른 적합한 연결 기법들이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0029] 도 1a 및 도 1b의 안경류(10)는 또한 프레임(12)(도 1c)의 제2 측부(12B)에 인접한 제2 템플(14B)을 갖는다. 일 예에서, 제2 템플(14B)은 해제가능한 부분을 포함하지 않고 덤인 단일 피스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템플(14B)은 제1 템플(14A)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제1 부분(15B) 및 제1 부분(15B)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 제2 부분(17B)(도 1d)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부분(17B)은 또한, 전기 컴포넌트들(24)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구성될 수 없고 또한 스마트한 개개의 전자 디바이스(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따르면, 제2 템플(14B)의 외측 치수들은, 안경류(12)가 대칭을 갖도록 제1 템플(14A)의 외측 치수들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템플들(14A 및 14B)의 제1 부분들(15A 및 15B) 각각은 각각, 제1 및 제2 힌지들(16A 및 16B)에 의해 프레임(12)의 각각의 대향 측부들(12A 및 12B)에 각각 부착된다(도 1d).
[0030] 일 예에서, 전기 커넥터(26)의 기계적 부분은 전기 커넥터(28)와 정합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또한 노출된 상태에서 템플(14A)의 제1 부분(15A)의 전기 커넥터(28)로부터 연결해제되며, 이는 전기 커넥터(26)가 안경류(10)의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초래한다(도 1c). 전기 커넥터(26)는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근가능하고, 은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근가능하지 않다. 예컨대, 노출된 상태(도 1c)에서, 사용자는, 제2 부분(17A) 내의 전자 디바이스(30)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기능하는 전력 컴포넌트(도시되지 않음)를 전기 커넥터(26)에 연결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커넥터(26)는 은닉된 상태에서 템플(14A)의 제1 부분(15A)의 전기 커넥터(28)에 연결되며, 이는 전기 커넥터(26) 및 전기 커넥터(28) 둘 모두가 안경류(10)의 외부로부터 은닉되는 것을 초래한다(도 1b). 일 예에서, 사용자는 은닉된 상태의 안경류(10)를 착용한다. 일 예에서, 전기 커넥터(26) 및 전기 커넥터(28) 각각은 USB 타입 A, B 또는 C 케이블 커넥터와 같은 케이블 타입 커넥터이고, 이들 각각은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서로 정합한다.
[0031]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아래의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템플(14A)의 제1 부분으로의 템플(14A)의 제2 부분(17A)의 삽입의 다양한 예들을 묘사하는 측면도들이다. 일 예에서, 전기 커넥터(26)는 템플(14A)의 제2 부분(17A)에 일체로 부착된 스냅들(26A 및 26B) 및 전기 인터페이스(26C)(도 2a)를 포함하며, 제1 부분(15A)의 전기 커넥터(28)는 스냅들(26A 및 26B)을, 각각 수용 및 수납하기 위한 홈(groove)들(28A 및 28B) 및 전기 인터페이스(28C)를 수용하고 이에 연결하기 위한 전기 인터페이스(26C)(도 2a)를 정의한다. 도 2a의 예에서, 제2 부분(17A)은 길이방향 삽입 축을 따라 제1 부분(15A)에 직접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스냅들(26A 및 26B)은 그들의 대응하는 홈들(28A 및 28B)(도 2a)에 삽입된다.
[0032] 다른 예에서, 제2 부분(17A)은 먼저 길이방향 삽입 축을 따라 제1 부분(15A)에 삽입되고(도 2b), 이어서 제2 부분(17A)은 제2 부분(17A)을 제자리에 록킹시키도록 회전되어(도 2c), 전기 커넥터(28)뿐만 아니라 전기 커넥터(26)를 은닉시킨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3A)가 초기에 홈(23B)에 삽입된다(도 2b). 이어서, 제2 부분(17A)이 회전되어, 돌출부(23A)로 하여금 제2 부분(17A)을 템플(14A)의 제1 부분(15A)에 견고하게 연결시키고 전기 커넥터들(26 및 28)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홈(23B) 내의 제자리에 록킹되게 한다(도 2c). 홈(23B)으로부터 돌출부(23A)를 언록킹시키기 위해 제2 부분(17A)/돌출부(23A)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어서 템플(14A)의 제1 부분(15A)으로부터 제2 부분(17A)을 제거하기 위해 제2 부분(17A)을 풀링함으로써 프로세스가 반전될 수 있다.
[0033] 다른 예에서, 템플(14)의 제2 부분(17A)은, 제2 부분(17A)이 은닉된 상태와 노출된 상태 사이에서 제1 부분(15A)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힌지(34)에 의해 제1 부분(15A)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도 3). 예컨대, 노출된 상태에서, 제2 부분(17A)은 힌지(34)에 의해 정의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제1 부분(15A)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며, 이는 템플의 제1 부분(15A)으로부터 제2 부분(17A)을 연결해제시키고, 전기 커넥터(26)를 노출시켜, 전기 디바이스(30)가 전력 소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은닉된 상태에서, 제2 부분(17A)은, 전기 커넥터들(26 및 28)을 은닉시키기 위해, 힌지(36)에 의해 정의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제1 부분(15A)에 연결된다.
[0034] 도 4는, 이를테면, 전자 컴포넌트(24)에 전력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갖는 제2 부분을 사용하거나, 제2 부분을 독립형 스마트 디바이스로서 동작시켜, 상이한 제2 부분들(17A)을 교환하는 예를 묘사하는 흐름도이다. 단계들은 도 1a 내지 도 1h에 묘사된 안경류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방법이 제2 템플 부분들(17A)을 교환하기 위해 상이한 커넥터들을 갖는 다른 타입들의 안경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0035] 단계(402)에서, 템플(14A)의 제2 부분(17A)을 제1 부분(15A)으로부터 완전히 연결해제시키기 위해 템플(14A)의 제2 부분(17A)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템플(14A)이 노출된 상태에 배치된다(도 1c).
[0036] 단계(404)에서, 제2 부분(17A)이 재부착되거나 제2 부분(17A)이 제1 부분(15A)에 대한 부착을 위해 구성된 다른 제2 부분으로 교체된다. 일 예에서, 제2 부분(17A)은 전력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제2 부분(17A)을 부착하는 것은 전력 컴포넌트를 전기 커넥터(26)를 통해 전기 커넥터(28)에 연결시켜, 전기 커넥터(26)의 전기 전도체들(32)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여 안경류(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다른 예에서, 제2 부분(17A)이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를 갖고 그리고/또는 더 큰 용량의 배터리를 갖는 것과 같은 상이한 제2 부분(17A)으로 교체된다. 이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수의 제2 부분들(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전력이 중요할 때 대용량 배터리를 갖는 부피가 큰 제2 부분 및 이용가능한 전력이 중요하지 않을 때 더 작은 용량 배터리를 갖는 더 날렵한 제2 부분)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새로운 제2 부분을 구입함으로써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부분(17A)이 LED 및 배터리(예를 들어, 이들은 독립형 플래시라이트로서 동작할 수 있음), 스피커, 센서, 카메라, 및/또는 AR 컴포넌트를 갖는 다른 제2 부분(17A)으로 교체된다.
[0037] 도 5는 안경류(10)에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전자 컴포넌트들(24)을 묘사한다. 예시된 전자 컴포넌트들(24)은 배터리(25), 무선 트랜시버(52),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54), 및 프로세서(56)를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52)는 안경류(10)와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Wi-Fi 핫스팟, 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54)는 정적 및/또는 동적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54)는 프로세서(56)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안경류(1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56)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6)는 배터리(25)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54)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하여, 안경류(10)의 동작 제어 및 트랜시버(52)를 통한 외부 디바이스들과의 통신과 같은 안경류(10)의 기능을 수행한다.
[0038]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 및 표현들은, 특정 의미들이 본 명세서에서 달리 기재된 경우를 제외하고, 그러한 용어들 및 표현들에, 그들의 대응하는 개개의 탐구 및 연구 영역들과 관련하여 부여된 바와 같은 원래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1 및 제2 등과 같은 관계 용어들은, 반드시 그러한 엔티티들 또는 액션들 간의 임의의 실제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엔티티 또는 액션을 다른 엔티티 또는 액션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용어들 "구비하다", "구비하는", "포함하다", "포함하는",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의 목록을 구비하거나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들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하지 않거나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단수로 표현되는 엘리먼트는, 추가의 제약들 없이, 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의 부가적인 동일한 엘리먼트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0039] 부가적으로,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내용을 간소화하려는 목적을 위해 다양한 특징들이 다양한 예들에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방법은, 청구된 예들이 각각의 청구항에서 명확하게 언급된 것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항들이 반영하는 바와 같이, 보호될 요지는 임의의 단일의 개시된 예의 모든 특징들보다 적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항들은 이로써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별개로 청구된 요지로서 그 자체로 유효하다.
[0040] 본 발명의 청구 대상에 대한 개요가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의 더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이러한 실시예들은 실제로 둘 이상이 개시되면 임의의 단일 개시 또는 발명적 개념으로 본 출원의 범위를 자발적으로 제한하려고 의도하지 않으면서 단지 편의를 위해 본원에서 용어 "발명"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0041] 본원에 예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개시된 교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개시물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조적 및 논리적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고 그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여겨져서는 안 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와 함께 그러한 청구 범위가 부여되는 등가물의 전체 범위에 의하아서만 정의된다.

Claims (19)

  1. 안경류로서,
    광학 엘리먼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 상기 프레임은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를 가짐 ― ;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 측부에 인접한 제1 템플 ― 상기 제1 템플은 상기 프레임에 인접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템플은 은닉된 상태 및 노출된 상태를 가짐 ― ; 및
    상기 해제가능하게 연결된 제2 부분에 배치된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안경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템플의 상기 제1 부분에 커플링된 제1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제1 템플의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제2 전기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안경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배치된 전자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전자 컴포넌트를 상기 제1 템플의 상기 제2 부분 내의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안경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템플의 상기 제1 부분 내에 매립되어,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전기 커넥터를 덮을 때, 상기 제1 전기 커넥터가 상기 제1 템플의 상기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안경류의 외부로부터 은닉되고,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전기 커넥터를 덮지 않을 때, 상기 제1 템플의 상기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안경류의 외부에 노출되는,
    안경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상기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안경류의 외부로부터 노출되는,
    안경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능동 컴포넌트인,
    안경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안경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조명을 포함하는,
    안경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센서를 포함하는,
    안경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수동 컴포넌트인,
    안경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 포지셔닝되고 제 1 전기 커넥터에 커플링된 전자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기 커넥터는 상기 해제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부분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안경류.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 타입 커넥터들인,
    안경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 측부에 인접한 제2 템플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템플의 외측 치수들은, 상기 제1 템플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템플의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템플의 외측 치수들과 동일한,
    안경류.
  14. 안경류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경류는 프레임 및 템플을 갖고, 상기 템플은 상기 프레임에 인접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템플의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템플의 제2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에 커플링된 제1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전기 커넥터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제2 전기 커넥터에 커플링된 제2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안경류를 구성하는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컴포넌트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단계, 및 그런 다음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제1 부분에 재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류를 구성하는 방법.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부분을, 배터리를 갖는 다른 상기 제2 부분으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류를 구성하는 방법.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이한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템플의 상기 제1 부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류를 구성하는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제2 전자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경류를 구성하는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컴포넌트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결해제될 때, 상기 LED를 조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경류를 구성하는 방법.
KR1020217029613A 2019-02-22 2020-02-18 모듈형 안경류 템플 KR202101272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08913P 2019-02-22 2019-02-22
US62/808,913 2019-02-22
PCT/US2020/018598 WO2020172138A1 (en) 2019-02-22 2020-02-18 Modular eyewear temp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221A true KR20210127221A (ko) 2021-10-21

Family

ID=6984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613A KR20210127221A (ko) 2019-02-22 2020-02-18 모듈형 안경류 템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71961A1 (ko)
EP (1) EP3928149A1 (ko)
KR (1) KR20210127221A (ko)
CN (1) CN113454521A (ko)
WO (1) WO2020172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7051A1 (en) * 2021-03-11 2022-09-14 Lighthouse Tech Sagl Temples of glasses for the blind or visually impaire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5524B2 (en) * 2001-11-07 2012-08-07 Michael Waters Illuminated eyewear
US8465151B2 (en) * 2003-04-15 2013-06-18 Ipventure, Inc. Eyewear with multi-part temple for supporting one or more electrical components
US20070200998A1 (en) * 2006-02-24 2007-08-30 Chemical Light, Inc. Led illuminated novelty glasses
CN201355411Y (zh) * 2008-12-09 2009-12-02 张增慧 带灯眼镜
US8514097B2 (en) * 2009-08-14 2013-08-20 Michael William Boise Glasses with sound activated lights
CN202199129U (zh) * 2010-02-10 2012-04-25 迈克尔·沃特斯 照明眼镜
US7997724B1 (en) * 2010-05-28 2011-08-16 Sun And Young Sunglasses Co., Ltd. Illuminated eyeglass
EP2439580A1 (en) * 2010-10-01 2012-04-11 Ophtimalia Data exchange system
CN202110334U (zh) * 2011-06-20 2012-01-11 高亿实业有限公司 一种3d快门眼镜
US9482882B1 (en) * 2015-04-15 2016-11-01 Snapchat, Inc. Eyewear having selectively exposable feature
US9921420B2 (en) * 2015-09-25 2018-03-20 Paul D. Bella Eyeglasses and eyeglass attachment for directing filtered air over the eyes of a wearer
US20170255029A1 (en) * 2016-03-03 2017-09-07 Vision Service Pla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eyewear
CN105652473A (zh) * 2016-04-14 2016-06-08 上海理工大学 智能镜架
WO2018145085A1 (en) * 2017-02-06 2018-08-09 Snap, Inc. Heat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US10935815B1 (en) * 2018-03-06 2021-03-02 Snap Inc. Eyewear having custom lighting
US10768451B1 (en) * 2018-06-26 2020-09-08 Snap Inc. Diffusers in wearab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2138A1 (en) 2020-08-27
US20200271961A1 (en) 2020-08-27
EP3928149A1 (en) 2021-12-29
CN113454521A (zh)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0945B2 (en) Eyewear having selectively exposable feature
US10591745B1 (en) Eyewear with conductive temple joint
US11668938B2 (en) Wearable imaging device
US20240081500A1 (en) Carry case for rechargeable eyewear devices
US10863060B2 (en) Smart case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US10514559B1 (en) Eyewear having linkage assembly between a temple and a frame
EP2439580A1 (en) Data exchange system
US20170366652A1 (en) Cell Phone Accessory Apparatus and System With Camera Functionality
CN108475007A (zh) 具有相机模块的电子设备
CN210181299U (zh) 一种穿戴眼镜
US20230094710A1 (en) Modular electronic device system
KR20210110726A (ko) 안경류 내의 전기 커넥터
KR20210127221A (ko) 모듈형 안경류 템플
KR20100092075A (ko) 뒷모습을 보여주도록 카메라센서와 화면표시수단을 구비한 거울
WO2022134982A1 (zh) 眼镜架及智能眼镜
CN214412792U (zh) 电子设备外置摄像头
CN116360100A (zh) 增强现实装置及智能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