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319B1 - 클렌징 화장료 - Google Patents

클렌징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319B1
KR102454319B1 KR1020167035640A KR20167035640A KR102454319B1 KR 102454319 B1 KR102454319 B1 KR 102454319B1 KR 1020167035640 A KR1020167035640 A KR 1020167035640A KR 20167035640 A KR20167035640 A KR 20167035640A KR 102454319 B1 KR102454319 B1 KR 10245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cosmetic
acid
thickener
polyoxyethyle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397A (ko
Inventor
유이치 사카니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7001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유성 오염의 세정력이 우수하고, 또한 물로 씻어 낼 수 있는 클렌징 화장료이며, 손에 취했을 때에 늘어져 떨어지기 어렵고, 전연성이 우수하고,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했을 때의 토출성이 우수한 클렌징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증점제 (A)와 유제 (B)와 계면 활성제 (C)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이며, 증점제 (A)로서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클렌징 화장료의 0.1 내지 10.0중량% 포함한다.
R1-(CONH-R2)n (1)
(식 중, R1은 벤젠, 벤조페논, 비페닐, 나프탈렌, 시클로헥산 또는 부탄의 구조식으로부터 n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고, R2는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임. n은 3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 n개의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

Description

클렌징 화장료 {MAKE-UP REMOVER}
본 발명은 유성 오염을 제거하는 클렌징 화장료이며,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용도에 적합한 클렌징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6월 9일에 일본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18680호 및 2014년 11월 28일에 일본에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24179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피지에 의한 오염이나 메이크업 화장료에 의한 오염(=메이크업 오염) 등의 피부의 유성 오염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클렌징 화장료로서는, 피지나 메이크업 오염에 빠르게 친화되어, 물로 헹굼으로써 깨끗하게 씻어 낼 수 있는 것이 요구되어 있어, 유제와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액상의 클렌징 화장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액상의 클렌징 화장료는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경우, 토출 시에 비산되거나, 손에 취했을 때에 손가락 사이로부터 늘어져 떨어지거나, 용기의 토출구로부터 드리핑되어 용기를 오염시키거나 하는 것이 문제였다.
국제 공개 제2013/172187호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는, 증점제를 첨가하여 유제를 적절하게 증점하는 방법이 생각된다. 그러나, 종래의 증점제(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59765호 공보에 기재된 폴리스티렌-수소화 폴리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로는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펌프 방식의 용기로부터의 토출성이나, 피부에 도포할 때의 전연성(展延性)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5592호 공보에는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화합물의 겔화제로서, 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트리스(2-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가 기재되어 있지만, 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트리스(2-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는 유제에 용해되기 어려워, 이것을 유제의 증점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성 오염의 세정력이 우수하고, 또한 물로 씻어 낼 수 있는 클렌징 화장료이며, 손에 취했을 때에 늘어져 떨어지기 어렵고, 전연성이 우수하고,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했을 때의 토출성이 우수한 클렌징 화장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유제를 임의의 점도까지 증점하고, 그 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 상기 화합물에 의해 적절하게 증점된 유제와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는 유성 오염의 세정력이 우수하고, 물로 씻어 낼 수 있고,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했을 때에는 토출성이 우수하고, 손에 취했을 때 늘어져 떨어지기 어렵고, 또한 용기의 토출구로부터 드리핑되기 어렵고, 피부에 도포할 때는 전연성이 우수한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증점제 (A)와 유제 (B)와 계면 활성제 (C)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이며, 증점제 (A)로서 하기 식 (1)
R1-(CONH-R2)n (1)
(식 중, R1은 벤젠, 벤조페논, 비페닐, 나프탈렌, 시클로헥산 또는 부탄의 구조식으로부터 n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고, R2는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임. n은 3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 n개의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
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클렌징 화장료의 0.1 내지 10.0중량%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25℃, 전단 속도 10s- 1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 내지 3000mPaㆍs인 상기의 클렌징 화장료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관한 것이다.
[1] 증점제 (A)와 유제 (B)와 계면 활성제 (C)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이며, 증점제 (A)로서 하기 식 (1)
R1-(CONH-R2)n (1)
(식 중, R1은 벤젠, 벤조페논, 비페닐, 나프탈렌, 시클로헥산 또는 부탄의 구조식으로부터 n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고, R2는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임. n은 3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 n개의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
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클렌징 화장료의 0.1 내지 10.0중량%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2]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식 (1) 중의 n개의 R2가 모두 동일한 기인 화합물 및/또는 식 (1) 중의 n개의 R2가 2종의 상이한 기인 화합물인 [1]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3]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식 (1) 중의 n개의 R2가 모두 동일하게, 탄소수 4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인 [1] 또는 [2]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4]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식 (1) 중의 n개의 R2가 2종의 상이한 기(R21, R22)이고, R21, R22의 한쪽이 탄소수 4 내지 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이고, R21, R22의 다른 쪽이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상 알킬기 또는 직쇄상 알케닐기인 화합물인 [1] 또는 [2]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5]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분자량이 500 내지 1300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6] 유제 (B)가 탄화수소, 천연유, 에스테르, 실리콘유,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7] 계면 활성제 (C)가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8] 유제 (B)의 함유량이 클렌징 화장료의 40.0 내지 99.0중량%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9] 계면 활성제 (C)의 함유량이 클렌징 화장료의 1.0 내지 40.0중량%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10]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유제 (B) 100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10.0중량부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11] 25℃, 전단 속도 10s- 1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 내지 3000mPaㆍs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클렌징 화장료.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상기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에 의해 증점되어 적당한 점성을 갖고, 그 점성이 경시 안정적으로 유지된 유제와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므로, 유성 오염의 세정력이 우수하고, 피부의 오염이나 메이크업 오염과 용이하게 친화되어, 물로 헹굼으로써 깨끗하게 씻어 낼 수 있다. 또한, 적당한 점도를 가지므로 손에 취했을 때에 손가락 사이로부터 늘어져 떨어지기 어렵고, 또한 전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했을 때는 토출성이 우수하고, 용기의 토출구로부터 드리핑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피부의 유성 오염의 클렌징 용도에 적합하다.
[증점제 (A)]
본 발명은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증점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1-(CONH-R2)n (1)
식 (1) 중, R1은 벤젠, 벤조페논, 비페닐, 나프탈렌, 시클로헥산 또는 부탄의 구조식으로부터 n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고, R2는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n은 3 이상의 정수(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특히 바람직하게는 4)를 나타낸다. n개의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R2는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예를 들어 n-부틸, s-부틸, t-부틸, 펜틸, 헥실, 옥틸, 2-에틸헥실, 데실, 도데실, 미리스틸, 스테아릴, 노나데실기 등의 탄소수 4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4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 2-부테닐, 2-펜테닐, 이소펜테닐, 2-헥세닐, 3-헥세닐, 4-헥세닐, 5-헥세닐, 7-옥테닐, 9-데세닐, 11-도데세닐, 올레일기 등의 탄소수 4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케닐기; 부티닐, 펜티닐, 헥시닐, 옥티닐, 데시닐, 펜타데시닐, 옥타데시닐기 등의 탄소수 4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로서는, 그 중에서도, n개의 R2가 모두 동일한 기인 화합물, 혹은 n개의 R2가 2종의 상이한 기인 화합물이, 유제 (B)의 용해성이 우수하고, 유제 (B)를 원하는 점도로 증점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n개의 R2가 모두 동일한 기(R21)인 화합물(상기 R21은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냄)로서는, 그 중에서도, R21이 탄소수 4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n개의 R2가 2종의 상이한 기(R21, R22)인 화합물(상기 R21, R22는 서로 상이하고 탄소수 4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냄)로서는, 그 중에서도 R21, R22의 한쪽이 탄소수 4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4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이고, R21, R22의 다른 쪽이 탄소수 6 내지 20 정도(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0)의 직쇄상 알킬기 또는 직쇄상 알케닐기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n이 4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의 R21, R22는 상기와 동일하다. 1분자 중에 복수의 R21이 존재하는 경우, 그들은 동일한 기이다. R2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n이 4 이외의 정수(예를 들어, n=3)인 화합물은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에 대응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6124992121-pct00001
Figure 112016124992121-pct00002
Figure 112016124992121-pct00003
Figure 112016124992121-pct00004
Figure 112016124992121-pct00005
Figure 112016124992121-pct00006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n개의 R2가 2종의 상이한 기인 화합물이, 폭넓은 유제에 대해 우수한 증점성을 갖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500 내지 1300 정도,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30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300, 가장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1200이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증점 효과가 저감하는 경향이 있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1 또는 2의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하기 식 (2)
R1-(COOH)n (2)
(R1, n은 상기와 동일함)
로 표현되는 카르복실산을 염화티오닐과 반응시켜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를 얻고, 얻어진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에 아민 (R2-NH2)(R2는 상기와 동일함)을 반응시키는 방법
2. 상기 식 (2)로 표현되는 카르복실산에 대응하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에 아민 (1) (R2-NH2)을 반응시켜 아미드산을 얻고, 또한 아민 (2) (R2-NH2, 아민 (1)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를 축합제를 사용하여 축합시키는 방법
상기 1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식 (2)로 표현되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1,3,5-벤젠트리카르복실산,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피로멜리트산), 2,4,5-벤조페논트리카르복실산, 3,4,3'-벤조페논트리카르복실산, 3,4,4'-벤조페논트리카르복실산,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1,1'-비페닐-2,4,4'-트리카르복실산, 1,1'-비페닐-2,3,3',4'-테트라카르복실산, 1,6,7-나프탈렌트리카르복실산, 1,2,3-나프탈렌트리카르복실산, 1,3,8-나프탈렌트리카르복실산, 1,4,6-나프탈렌트리카르복실산,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1,2,4-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1,2,4-부탄트리카르복실산,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아민(R2-NH2)으로서는, 예를 들어 n-부틸아민, s-부틸아민, 헥실아민, 옥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미리스틸아민, 스테아릴아민, 올레일아민 등의, 상기 R2가 탄소수 4 이상(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2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바람직하게는,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인 아민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와 아민의 반응은, 예를 들어 아민을 투입한 계 내에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를 적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아민의 사용량은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1몰에 대해, 예를 들어 4 내지 8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몰이다. 여기서, 2종 이상의 상이한 아민을 사용하면,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n개의 R2가 2종 이상의 상이한 기인 화합물이 얻어진다.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와 아민의 반응은 용매의 존재 하 또는 비존재 하에서 행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석유 에테르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브로모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1,2-디메톡시에탄,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용매;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계 용매; 술포란 등의 술포란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용매; 실리콘 오일 등의 고비점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으로서는,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와 아민의 총량에 대해, 예를 들어 50 내지 300중량% 정도이다. 용매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반응 성분의 농도가 낮아져, 반응 속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와 아민의 반응(=적하)은, 통상, 상압 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상기 반응(=적하 시)의 분위기로서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공기 분위기,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반응 온도(=적하 시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60℃ 정도이다. 반응 시간(=적하 시간)은, 예를 들어 0.5 내지 20시간 정도이다. 반응(=적하) 종료 후에는 숙성 공정을 마련해도 된다. 숙성 공정을 마련하는 경우, 숙성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60℃ 정도, 숙성 시간은 예를 들어 1 내지 5시간 정도이다. 또한, 반응은 배치식, 세미 배치식, 연속식 등의 어떤 방법으로도 행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예를 들어 여과, 농축, 증류, 추출, 정석, 흡착,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 수단이나, 이들을 조합한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2의 제조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아민 (1) 및 하기 용매를 계 내에 투입하고, 숙성시킴으로써 아미드산을 형성하고, 그 후, 아민 (2)와 축합제(예를 들어, 카르보디이미드 또는 그의 염)를 투입하고, 숙성시킴으로써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2종 이상의 상이한 아민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n개의 R2가 2종 이상의 상이한 기인 화합물이 얻어진다.
상기 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는,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2:4,5-이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1'-비페닐-2,3,3',4'-테트라카르복실산-2,3:3',4'-이무수물, 나프탈렌1,4,5,8-테트라카르복실산-1,8:4,5-이무수물,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1,2:4,5-이무수물, meso-부탄-1,2,3,4-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1), (2)로서는, 상기 1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민과 동일한 예를 들 수 있다.
아민 (1)의 사용량으로서는, 카르복실산 무수물 1몰에 대해, 예를 들어 2 내지 4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몰이다. 또한, 아민 (2)의 사용량으로서는, 카르복실산 무수물 1몰에 대해, 예를 들어 2 내지 4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몰이다.
상기 카르보디이미드는 하기 식 (3)으로 표현된다.
R-N=C=N-R' (3)
상기 식 (3) 중, R, R'로서는, 예를 들어 헤테로 원자 함유 치환기를 갖고 있을 수 있는, 탄소수 3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의 알킬기 및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R, R'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R과 R'는 서로 결합하여 (-N=C=N-)기와 함께 환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소수 3 내지 8의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부틸, t-부틸, 펜틸, 이소펜틸, s-펜틸, t-펜틸, 헥실, 이소헥실, s-헥실, t-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 내지 8원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헤테로 원자 함유 치환기로서는, 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등의 디(C1-3)알킬아미노기 등의 질소 원자 함유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카르보디이미드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염(구체적으로는,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의 사용량으로서는, 카르복실산 무수물 1몰에 대해, 예를 들어 2 내지 6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몰이다.
상기 용매로서는, 아미드산의 용해성이 우수한 프로톤 수용성 용매(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으로서는, 아미드산의 총량에 대해, 예를 들어 50 내지 300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중량%이다. 용매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반응 성분의 농도가 낮아져, 반응 속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반응은, 통상, 상압 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상기 반응의 분위기로서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공기 분위기,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의 어떤 것이어도 된다. 숙성 온도(반응 온도)는, 예를 들어 30 내지 70℃ 정도이다.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아민의 숙성 시간은, 예를 들어 0.5 내지 5시간 정도이고, 아미드산과 아민의 숙성 시간은, 예를 들어 0.5 내지 20시간 정도이다. 또한, 반응은 배치식, 세미 배치식, 연속식 등의 어떤 방법으로도 행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얻어진 반응 생성물은, 예를 들어 여과, 농축, 증류, 추출, 정석, 흡착, 재결정,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 수단이나, 이들을 조합한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아미드 결합 부위에 있어서 수소 결합에 의해 자기 회합하여 섬유 형상의 자기 조직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R2기가 유제 (B)에 대해 친화성을 갖는다. 그로 인해, 유제 (B)와 상용시킴으로써, 유제 (B)를 적절하게, 또한 경시 안정적으로 증점할 수 있다. 특히, 식 (1) 중의 R2가 2종 이상의 상이한 기인 경우는 적당한 결정성을 가지므로, 유제 (B)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증점할 수 있어, 보다 넓은 범위의 유제 (B)에 대해 증점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즉, 폭넓은 유제 선택성을 갖는다.
[유제 (B)]
본 발명의 유제로서는, 액상이나 페이스트상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체상의 오일이라도, 액상의 클렌징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는 범위 내이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제는 극성 오일이어도 되고, 비극성 오일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유제로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 해바라기유, 마카데미아 넛츠유,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소맥 배아유, 쌀 배아유, 올리브유, 호호바유, 달맞이꽃 종자유, 야자유, 산다화유, 로즈힙 오일 등의 천연유;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데실, 라우르산헥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옥틸, 이소팔미트산옥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올레산데실, 옥탄산세틸, 옥탄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르산에틸,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이소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세틸, 트리(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린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라우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고급 지방산; 헥사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 (C)]
본 발명의 계면 활성제 (C)에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포함된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중에서도, 안전성의 점에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에는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에테르ㆍ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포함된다.
상기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5)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7)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1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2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3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4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5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100) 경화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3)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6)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8)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5)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글리세릴토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글리세릴토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30)글리세릴토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40)글리세릴토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올레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6)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8)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미리스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30)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미리스테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트리메틸올프로판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30)소르비톨테트라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40)소르비톨테트라올리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6)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2)디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ㆍ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5)세틸에테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10)세틸에테르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중에서도 에스테르형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클렌징 화장료]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증점제 (A)와 유제 (B)와 계면 활성제 (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의 점도[25℃, 전단 속도 10s- 1에 있어서의]는, 예를 들어 300 내지 3000mPaㆍs 정도,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mPaㆍs,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mPaㆍs,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3000mPaㆍs이다. 그로 인해,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토출 시에 비산되기 어렵고, 토출구로부터의 드리핑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피부에 도포할 때는, 손가락 사이로부터 늘어져 떨어지기 어렵고, 또한 전연성이 우수하다. 즉, 사용성이 우수하다. 한편, 점도가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토출성이나 사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점도가 상기 범위를 하회하면, 토출 시에 비산되거나, 손에 취했을 때에 손가락 사이로부터 늘어져 떨어지거나, 용기의 토출구로부터 드리핑되어 용기를 오염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예를 들어 증점제 (A)와 유제 (B)를 상용시키는 공정을 거쳐서 얻어진 오일 조성물에, 계면 활성제 (C)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조성물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증점제 (A)와 유제 (B)의 전량을 혼합하여 가온하고, 상용시킨 후, 냉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제 (B)의 일부에 상기 증점제 (A)를 혼합하여, 가온, 상용시킨 후, 냉각하고, 그 후, 남은 유제 (B)를 혼합하는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에 있어서의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함유량(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는 그 총량)은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에 포함되는 유제 (B) 100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0.5 내지 10.0중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부이다.
또한,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함유량(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는 그 총량)은 클렌징 화장료 전량의 0.1 내지 10.0중량%이고,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다. 또한,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7.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이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상기 범위에서 배합함으로써 유제 (B)에 적당한 점도를 부여할 수 있고, 사용성 및 토출성이 우수한 클렌징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하회하면, 클렌징 화장료의 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해도 유리한 효과는 얻어지기 어렵고, 오히려 클렌징 화장료의 전연성이나 토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에는 증점제 (A)로서,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이외의 다른 증점제를 함유해도 되지만, 클렌징 화장료에 포함되는 전체 증점제에서 차지하는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비율은, 예를 들어 3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이다. 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비율의 상한은 100중량%이다. 다른 증점제의 함유량이 과잉이 되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증점제」란, 점성을 부여하는 증점제, 겔화하는 겔화제 및 조성물의 성분을 균일하게 안정화하는 안정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유제 (B)의 함유량(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는 그 총량)은 클렌징 화장료 전량의, 예를 들어 40.0 내지 99.0중량% 정도이고,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5.0중량%이다. 또한,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9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0.0중량%이다. 유제 (B)를 상기 범위에서 함유하는 클렌징 화장료는 유성 오염의 세정력이 우수하고, 사용성 및 토출성이 우수하다.
증점제 (A)와 유제 (B)의 조합은 증점제 (A)와 유제 (B)가 상용하는 조합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용 시의 온도는 증점제 (A)와 유제 (B)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제 (B)의 비점이 100℃ 이하인 경우에는 비점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용 후의 냉각은 실온(예를 들어, 1 내지 30℃) 이하까지 냉각할 수 있으면 되고, 실온에서 서서히 냉각해도 되고, 빙냉 등에 의해 급속 냉각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 (C)의 함유량(2종 이상 함유하는 경우는 그 총량)은 클렌징 화장료 전량의 예를 들어 1.0 내지 40.0중량%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중량%이다. 계면 활성제 (C)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하회하면, 클렌징 화장료를 물로 씻어 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계면 활성제 (C)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피부에의 자극이 강해져, 안전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클렌징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이후, 「다른 성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부제, 항균제, 소염제, 수렴제, 보습제, 산화 방지제, 알코올류, 물, 착색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에 있어서의 다른 성분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10.0중량% 이하 정도,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상기 특성을 겸비하므로, 클렌징 화장료를 도포하고, 손가락으로 가볍게 마사지함으로써 피부의 오염이나 유성 화장료(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자외선 차단 화장료, 립스틱, 마스카라 등)에 의한 메이크업 오염 등의 유성 오염에 친화시킬 수 있고, 그 후, 물로 씻어 냄으로써,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했을 때는, 비산되는 일 없이 토출시킬 수 있고, 토출구로부터의 늘어져 떨어짐도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유성 오염용 클렌징 화장료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 생성물의 구조는 1H-NMR에 의해 확인하였다.
제조예 1(증점제 (1):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헥실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적하 깔때기 및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클로로포름 20mL, 헥실아민 3.6g(0.036mol)을 투입하고, 계 내 온도를 40℃로 설정하였다.
그 후, 피로멜리트산테트라클로라이드 3g(0.009mol)의 10mL 클로로포름 용액을 2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또한 2시간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粗液)의 저비점 성분을 증발기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백색의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파운데이션에 대해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헥실아미드)(분자량: 586)를 3.5g 얻었다(수율: 67%).
제조예 2(증점제 (2):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옥틸아미드)의 합성)
헥실아민 대신에 옥틸아민 4.8g(0.036mol)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옥틸아미드)(분자량: 699)를 3.7g 얻었다(수율: 59%).
제조예 3(증점제 (3):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올레일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적하 깔때기 및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피리딘 20mL,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2:4,5-이무수물 3.0g(0.014mol), 올레일아민 7.4g(0.028mol)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3시간 숙성하였다.
그 후, 2-에틸헥실아민 3.6g(0.028mol),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7.0g(0.056mol)을 투입하고, 또한 8시간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점 성분을 증발기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담황색의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파운데이션에 대해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올레일아미드)(분자량: 975)[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4-디(2-에틸헥실아미드)-2,5-디(올레일아미드)와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5-디(2-에틸헥실아미드)-2,4-디(올레일아미드)의 혼합물]를 5.9g 얻었다(수율: 51%).
제조예 4(증점제 (4):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도데실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적하 깔때기 및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클로로포름 20mL, 도데실아민 11.4g(0.062mol)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클로라이드 4.97g(0.011mol)의 10mL 클로로포름 용액을 0.5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또한 4시간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점 성분을 증발기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담황색의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파운데이션에 대해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테트라(도데실아미드)(분자량:923)를 2.4g 얻었다(수율: 27%).
제조예 5(증점제 (5):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올레일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적하 깔때기 및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피리딘 20mL,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1,2:3,4-이무수물 4.2g(0.021mol), 올레일아민 11.3g(0.042mol)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3시간 숙성하였다.
그 후, 2-에틸헥실아민 5.4g(0.042mol),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5.8g(0.048mol)을 투입하고, 또한 8시간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점 성분을 증발기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담황색의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얻어진 파운데이션에 대해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디(2-에틸헥실아미드)디(올레일아미드)(분자량: 1024.95)[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1,4-디(2-에틸헥실아미드)-2,3-디(올레일아미드)와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1,3-디(2-에틸헥실아미드)-2,4-디(올레일아미드)의 혼합물]를 16.7g 얻었다(수율: 83%).
제조예 6(증점제 (6):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디(n-부틸아미드)디(올레일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적하 깔때기 및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피리딘 20mL,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1,2:4,5-이무수물 4.5g(0.02mol), 올레일아민 10.7g(0.04mol)을 투입하였다. 계 내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3시간 숙성하였다.
그 후, n-부틸아민 2.9g(0.02mol),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5.5g(0.044mol)을 투입하고, 또한 8시간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점 성분을 증발기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담황색의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얻어진 파운데이션에 대해 CHCl3/CH3OH(70/30(v/v))로 재결정을 행하여,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디(n-부틸아미드)디(올레일아미드)(분자량: 869.43)[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1,4-디(n-부틸아미드)-2,5-디(올레일아미드)와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1,5-디(n-부틸아미드)-2,4-디(올레일아미드)의 혼합물]를 11.6g 얻었다(수율: 67%).
제조예 7(증점제 (7): 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트리스(2-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의 합성)
딤로스 냉각관, 질소 도입구, 적하 깔때기 및 열전대를 구비한 100mL 4구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피리딘 20mL, 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 2.97g(0.017mol),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7.0g(0.056mol)을 투입하고, 계 내 온도를 50℃로 설정하고, 3시간 숙성하였다.
2-메틸시클로헥실아민 5.7g(0.051mol)을 투입하고, 또한 8시간 숙성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조액의 저비점 성분을 증발기로 제거하고, 메탄올로 세정하여, 담황색의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파운데이션에 대해 아세톤으로 세정하여, 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트리스(2-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를 4.7g 얻었다(수율: 61%).
실시예 1
(클렌징 화장료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증점제 (1) 2중량부와, 유제로서의 옥탄산세틸(상품명 「CEH」, 고큐 알코올 고교(주)제) 78중량부를 혼합하고, 80℃에서 가열 교반하여 이들을 상용시키고, 그 후, 25℃까지 냉각하여 오일 조성물 (1)을 얻고, 얻어진 오일 조성물 (1)에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10)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상품명 「EMALEX GWIS-110」, 니혼 에멀전(주)제) 10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8)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상품명 「EMALEX GWIS-108」, 니혼 에멀전(주)제)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클렌징 화장료 (1)(25℃, 전단 속도 10s- 1에 있어서의 점도: 2400mPaㆍs)을 얻었다.
(평가)
얻어진 클렌징 화장료 (1)을, 구경 2.5㎜, 토출량이 1.5mL인 노즐 토출구가 부착된 펌프식 용기에 충전하여, 20명의 여성 패널리스트가 2주간 사용하고, 펌프식 용기에 의한 사용성(토출구의 드리핑이나, 토출 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지), 클렌징 화장료의 사용감(손에 취했을 때에 손가락 사이로부터 늘어져 떨어지지 않는지, 전연성이 좋은지), 수세의 용이함에 대해 5단계(+2: 매우 좋음, +1: 좋음, 0: 보통, -1: 나쁨, -2: 매우 나쁨)로 평가하고, 그 평가점의 평균값으로부터, 하기 기준에 따라 클렌징 화장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1.0점 이상
○: 0점 이상, 1.0점 미만
×: 0점 미만
실시예 2 내지 6,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에 나타내는 처방(단위는 중량부)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클렌징 화장료를 얻고, 그들에 대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112016124992121-pct00007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또한 물로 용이하게 씻어 낼 수 있다. 한편, 증점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경우는, 토출 시에 클렌징 화장료가 비산되기 쉽고, 토출구로부터 드리핑되기 쉬웠다. 또한, 손가락 사이로부터 늘어져 떨어져 사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 공지의 증점제(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트리스(2-메틸시클로헥실아미드))를 사용한 경우는, 상기 증점제가 유제에 용해되지 않았으므로, 증점 효과가 얻어지지 않아, 증점제를 사용하지 않았던 경우와 동일한 결과였다.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유성 오염의 세정력이 우수하고, 피부의 오염이나 메이크업 오염과 용이하게 친화되어, 물로 헹굼으로써 깨끗하게 씻어 낼 수 있다. 또한, 적당한 점도를 가지므로 손에 취했을 때에 손가락 사이로부터 늘어져 떨어지기 어렵고, 또한 전연성이 우수하다. 또한,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했을 때는 토출성이 우수하고, 용기의 토출구로부터 드리핑되기 어렵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는 펌프 방식의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피부의 유성 오염의 클렌징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2)

  1. 증점제 (A)와 유제 (B)와 계면 활성제 (C)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이며, 증점제 (A)로서 하기 식 (1)
    R1-(CONH-R2)4 (1)
    (식 중, R1은 벤젠, 벤조페논, 시클로헥산 또는 부탄의 구조식으로부터 4개의 수소 원자를 제외한 기이고, R2는 탄소수 4~2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임. 4개의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
    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클렌징 화장료의 0.1 내지 10.0중량% 포함하고,
    계면 활성제 (C)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25℃, 전단 속도 10s- 1에 있어서의 점도가 300 내지 3000mPaㆍs인 클렌징 화장료.
KR1020167035640A 2014-06-09 2015-06-08 클렌징 화장료 KR102454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8680 2014-06-09
JP2014118680 2014-06-09
JP2014241793 2014-11-28
JPJP-P-2014-241793 2014-11-28
PCT/JP2015/066467 WO2015190433A1 (ja) 2014-06-09 2015-06-08 クレンジング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397A KR20170010397A (ko) 2017-01-31
KR102454319B1 true KR102454319B1 (ko) 2022-10-14

Family

ID=5483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640A KR102454319B1 (ko) 2014-06-09 2015-06-08 클렌징 화장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03659B2 (ko)
KR (1) KR102454319B1 (ko)
CN (1) CN106456482B (ko)
WO (1) WO2015190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8531B2 (ja) * 2014-06-17 2018-09-12 株式会社ダイセル 油性化粧料
KR102628679B1 (ko) * 2014-11-20 2024-01-25 주식회사 다이셀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JP6421100B2 (ja) * 2015-09-04 2018-11-07 株式会社ダイセル カルボン酸ア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WO2018186261A1 (ja) * 2017-04-04 2018-10-11 株式会社ダイセル クレンジング化粧料
WO2019188623A1 (ja) * 2018-03-30 2019-10-03 株式会社ダイセル クレンジング化粧料
WO2020067019A1 (ja) * 2018-09-27 2020-04-02 株式会社ダイセル クレンジング化粧料、及びクレンジング化粧料製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5592A (ja) * 2007-12-28 2009-07-16 New Japan Chem Co Ltd 新規な有機ゲル化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1612B2 (ja) * 1997-01-29 2004-03-0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シクロヘキサントリカルボキサミド誘導体を含有する組成物
MXPA00007480A (es) * 1998-01-28 2003-08-01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liquidas en emulsion para limpieza personal que contienen un aceite de ponderacion.
JP2011213682A (ja) * 2010-03-31 2011-10-27 Naris Cosmetics Co Ltd 泡沫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2012077195A (ja) * 2010-10-01 2012-04-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流動性有機物の粘度調整方法及びそのための粘度調整剤
EP2710997A4 (en) * 2011-05-18 2015-01-21 Daicel Corp OIL COMPOSITION FOR COSMETIC PRODUCT
US9315720B2 (en) * 2011-09-23 2016-04-19 Synoil Fluids Holdings Inc. Pyromellitamide gelling agents
JP5837434B2 (ja) * 2012-01-31 2015-12-24 株式会社マンダム 液状洗浄料
JP5748681B2 (ja) * 2012-01-31 2015-07-15 株式会社マンダム 透明液状洗浄料
JP6005396B2 (ja) 2012-05-16 2016-10-1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油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6246138B2 (ja) * 2013-02-08 2017-12-13 株式会社ダイセル 増粘安定剤、及びそれを用いた増粘安定化組成物
JP6431047B2 (ja) * 2014-03-31 2018-11-28 株式会社ダイセル 潤滑用及び/又は洗浄用及び/又は冷却用油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5592A (ja) * 2007-12-28 2009-07-16 New Japan Chem Co Ltd 新規な有機ゲル化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190433A1 (ja) 2017-04-20
CN106456482B (zh) 2020-10-30
JP6603659B2 (ja) 2019-11-06
KR20170010397A (ko) 2017-01-31
WO2015190433A1 (ja) 2015-12-17
CN106456482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319B1 (ko) 클렌징 화장료
JP6578274B2 (ja) ヘアオイル
US9464036B2 (en) Thickening stabilizer, and thickening/stabilizing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2311979B1 (ko)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JP6388531B2 (ja) 油性化粧料
KR102587854B1 (ko)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US10544086B2 (en) Dialkyl carbonates of branched alcohols and their use
JP6464428B2 (ja) 増粘安定剤、及びそれを用いた増粘安定化組成物
JPWO2019188623A1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2390771B1 (ko)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KR102628679B1 (ko) 증점 안정제 및 그것을 사용한 증점 안정화 조성물
JP5804995B2 (ja) ラメラ液晶型化粧料用組成物
WO2020067019A1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及びクレンジング化粧料製品
JP6487634B2 (ja) 液状オイル組成物
WO2022208395A1 (en) Two phase water-based smudge-resistant make-up remover
US20220313568A1 (en) Two phase water-based smudge-resistant make-up remover
JP6543034B2 (ja) 保湿性化粧料用組成物
JPWO2019181545A1 (ja) 粉末状増粘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