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147B1 -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147B1
KR102454147B1 KR1020210026084A KR20210026084A KR102454147B1 KR 102454147 B1 KR102454147 B1 KR 102454147B1 KR 1020210026084 A KR1020210026084 A KR 1020210026084A KR 20210026084 A KR20210026084 A KR 20210026084A KR 102454147 B1 KR102454147 B1 KR 10245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ilure
node
power
specific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829A (ko
Inventor
김형수
양영석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식회사 유비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식회사 유비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02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1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H04L41/06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involving logical or physical relationship, e.g. grouping and hierarch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04L12/2887Access multiplexer, e.g. DSLAM characterised by the offered subscriber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잉 개스프(dying gasp)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구내에 설치된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시 생성하는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고, 상기 전원장애의 경우에만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인력의 현장출동을 제어함으로써, 단순한 정전으로 인한 현장출동을 줄여 장애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OWER FAILURE MONITORING USING STATUS INFORMATION INCLUDED DYING GASP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잉 개스프(dying gasp)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구내에 설치된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시 생성하는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고, 상기 전원장애의 경우에만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인력의 현장출동을 제어함으로써, 단순한 정전으로 인한 현장출동을 줄여 장애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입자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는 의도하지 않는 전원 이상, 예를 들어 정전 등이 발생할 때 이를 알리기 위해서 다잉 개스프를 발생하여 상위의 DSL 접속장치(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DSLAM)에 전송한다. 즉 전원 이상시 상기 다잉 개스프를 통해서 상위망의 장치에서 하위망의 전원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잉 개스프는 정전, 전원 이상이 발생할 때 생성되는 메시지인 전력 상태 비트로서, ITU-T 권고안 G.991.2(12/2003)의 부분 7.1.2.5.3에 인용된다.
그러나 상기 다잉 개스프만으로는 네트워크 스위치 등의 장비 자체에 장애가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정전 장애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웠으며, 사용자들의 전원장애 신고에 대해서 정전으로 확인되더라도 해당 현장에 인력을 반드시 투입하여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관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구내에 설치된 복수의 노드(예: L2 스위치, L3 스위치, DSLAM 등)로부터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다잉 개스프가 발생한 특정 노드와 동일지역 혹은 인접지역에 설치된 다른 노드의 상태정보(예: 노드다운, 파워 페일(power fail) 등)를 참조하여 전원장애인지 정전인지를 확인함으로써, 단순한 정전으로 인한 불필요한 현장출동을 억제하여 장애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기존에 구축한 다잉 개스프 발생이력이나 추세정보를 활용하여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정전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해당 현장의 온도나 바람세기 등의 기상상황을 활용하여 전원장애인지 정전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383370호(2014.04.02.)는 다잉 개스프를 이용한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더넷 기반의 하위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다잉 개스프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SMPS와; 상기 SMPS으로부터 다잉 개스프 알람 신호를 전달받아 알람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CPU와; 상기 CPU로부터 전송된 알람 패킷을 입력받아 상위단에 전달하도록 업링크하는 PHY와; 상기 PHY로부터 알람 패킷을 전송받아 하위 시스템의 전원 이상을 판단하는 L3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더넷 기반의 다잉 개스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이더넷 기반 또는 E-PON 기반의 시스템에 다잉 개스프(Dying gasp)를 적용하여 정전, 전원 이상시 상위망의 장치에서 하위망의 전원 이상 유무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알람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할하는 시스템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특정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구내에 구비된 각각의 노드에서 전원장애시 생성되는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통해서 장비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정전인지를 확인하여, 정전으로 인한 불필요한 현장출동을 억제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현저한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450963호(2004.09.21.)는 외장형 디지털 가입자 라인 통신단말의 다잉 개스프 처리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에 이더넷(Ethernet)으로 연결되는 외장형 디지털 가입자 라인 통신단말에서 다잉 개스프(Dying gasp) 처리를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는 이더넷 포트의 상태를 감지하여, 이더넷 포트 상태가 액티브된 후에 인액티브되는 것이 감지되면 다잉 개스프 처리를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각각의 노드에서 전원장애시 발생하는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토대로 장비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정전인지를 확인하여, 단순한 정전으로 인한 유지보수 인력의 현장출동을 최대한 억제하고, 각 노드의 장애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선행기술과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구내에 설치된 복수의 원격 노드에서 전원장애 발생시 생성되는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노드와 동일위치 혹은 인접위치의 연관성 있는 다른 노드의 노드다운, 파워 페일 등의 상태정보를 통해서 장비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아니면 정전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장애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정전으로 인한 유지보수 인력의 현장출동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각 노드의 장애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특정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구내에 설치된 각각의 노드에서 생성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토대로 장비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정전인지를 확인할 때, 기존에 구축한 다잉 개스프 발생이력이나 추세정보의 매핑관계, 또는 해당 현장의 기상상황(예: 온도, 바람세기 등)을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정전으로 판단한 특정 공동주택이나 빌딩측에서 정전 안내방송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각 사용자들이 정전 상황인 것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불만과 장애신고를 줄일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 및 상기 상태정보로부터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장애유형 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유형은 상기 원격 노드 중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할 경우,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상기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는,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노드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노드이거나,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노드가 설치된 특정 구내의 다른 장소 또는 상기 특정 구내와 인접한 다른 구내에 설치된 노드이며, 상기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에서 상기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는,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특정 노드의 다잉 개스프에 대한 알람과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에 대한 알람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 상태를 유지하면 정전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에는 전원장애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노드가 위치한 장소로의 현장출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는,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기 저장되어 있는 각 원격 노드별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의 발생이력이나 추세에 따른 전원장애나 정전에 대한 결과와 현재 각 원격 노드에서 발생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매핑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거나, 또는 상기 노드가 위치한 현장의 온도나 바람세기를 포함한 기상정보가 기준값을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은,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에서 정전으로 판단한 원격 노드가 속한 특정 구내측에 정전 안내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구내측에 구비된 방송장비를 통해 상기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하는 안내방송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애 감시 방법은,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상태정보로부터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장애유형 판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유형은 상기 원격 노드 중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할 경우,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상기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는,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노드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노드이거나,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노드가 설치된 특정 구내의 다른 장소 또는 상기 특정 구내와 인접한 다른 구내에 설치된 노드이며, 상기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에서 상기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유형 판정 단계는,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특정 노드의 다잉 개스프에 대한 알람과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에 대한 알람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 상태를 유지하면 정전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에는 전원장애로 판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노드가 위치한 장소로의 현장출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애유형 판정 단계는,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기 저장되어 있는 각 원격 노드별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의 발생이력이나 추세에 따른 전원장애나 정전에 대한 결과와 현재 각 원격 노드에서 발생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매핑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거나, 또는 상기 노드가 위치한 현장의 온도나 바람세기를 포함한 기상정보가 기준값을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방법은,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장애유형 판정 단계에서 정전으로 판단한 원격 노드가 속한 특정 구내측에 정전 안내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구내측에 구비된 방송장비를 통해 상기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하는 안내방송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구내에 설치된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시 생성하는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한 다음,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할 경우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이 높은 동일지역 혹은 인접지역에 설치된 다른 노드의 노드다운이나 파워 페일에 대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정확하게 확인함으로써, 단순한 정전으로 인한 유지보수 인력의 불필요한 현장출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동주택이나 빌딩측에서 정전 안내방송을 통해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만과 장애신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장애 혹은 정전추정의 장애유형 판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방법의 동작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의 장애유형 판정을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 집선 L3, 상기 집선 L3과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구내에 설치된 L3 및 L2 장비, 상기 L2 장비와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접속된 전화, IPTV, PC 등의 댁내 장비, 관리자 단말(200), 데이터베이스(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 노드(예를 들어, 구내에 설치된 L3 및 L2 스위치, 댁내에 구비된 전화, IPTV, PC 등)노드(300)에서 발생하는 전원장애와 정전을 구별하고, 정전 발생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현장에 유지보수를 위한 인력이 출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애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각각의 원격 노드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단순한 정전의 경우, 유지보수를 인력의 현장출동을 최대한 억제하여, 장애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구내에 설치된 각각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시 생성되는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즉 특정 노드에서 전원이상에 따라 생성한 다잉 개스프와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즉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동일위치 혹은 인접위치에 설치된 다른 원격 노드)의 노드다운, 파워 페일 등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다잉 개스프는 신호 또는 메시지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원격 노드의 전원 공급을 수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에 구비된 포토 다이오드를 통해서 전원 이상 동작신호인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상위망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특정 노드로 공급되는 전압이 기 설정된 전압 이하로 하강되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가 턴온되면, 상기 특정 노드에서 이를 확인하여 다잉 개스프를 상위망으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드다운은 노드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를 말하며, 상기 파워 페일은 노드에 공급되는 전압이 규정된 전압 이하로 떨어진 경우를 말한다.
이어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상기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장비의 장애로 인한 전원장애 문제인지, 아니면 정전 문제인지를 판정하며, 상기 판정한 결과를 확인한 관리자 단말(200)에서 전원장애 또는 정전에 따라 유지보수 인력을 현장에 파견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특정 노드로부터 수신한 다잉 개스프와 상기 다잉 개스프가 생성된 특정 노드와 동일한 설치환경 또는 인접한 설치환경의 다른 원격 노드들의 노드다운이나 파워 페일을 참조하여 전원장애인지 정전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중 하나이다.
즉 특정 노드에서 상기 다잉 개스프가 확인되면 유지보수를 위한 인력을 무조건 현장으로 출동하여야 하는 종래와 달리,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단순한 정전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지보수 인력의 현장출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인력의 현장출동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소모와 사용자들의 불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아파트나 빌딩의 특정 구내에 설치된 각각의 원격 노드에서 생성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토대로 장비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아니면 정전인지를 확인할 때, 기존에 구축한 다잉 개스프 발생이력이나 추세정보에 대한 매핑관계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전원장애나 정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중인 각 원격 노드별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의 발생이력이나 추세에 따른 전원장애나 정전에 대한 결과와, 현재 각 원격 노드에서 발생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매핑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노드의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특정 노드에서 생성된 다잉 개스프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장애나 정전을 확인할 때, 해당 현장의 온도, 바람세기, 강수량 등의 각종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전원장애나 정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정보를 고려하여 장애유형을 확인할 경우에도, 기존의 각 원격 노드별 현장의 기상정보를 토대로 전원장애 또는 정전이 발생한 경우의 기상정보에 대한 평균값이나 중간값으로 전원장애 기준값이나 정전 기준값으로 설정해두고, 다잉 개스프를 제공한 상기 특정 노드의 현재 기상상태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원장애나 정전의 장애유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특정 노드에서 생성된 다잉 개스프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전원장애나 정전을 확인할 때, 정전으로 판단한 특정 아파트나 빌딩측에 정전에 대한 안내방송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정전이 발생한 아파트나 빌딩에 위치한 사용자들이 정전 상황인 것을 신속하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장애발생 신고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집선 L3은 공동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구내에 설치된 L3 스위치와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라우터 등의 네트워크 장비이다.
상기 원격 노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 등의 특정 구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3 스위치, 상기 L3 스위치 하위망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2 스위치 등의 각종 네트워크 장비이다.
댁내의 전화, IPTV, PC 등의 장비는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구내에 설치된 상기 L2 스위치와 접속된다.
상기 관리자 단말(200)은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과 접속되어, 관리자가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에서 수행하는 장애유형 판정을 확인하고, 상기 판정한 장애유형에 따라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공동주택이나 빌딩별로 설치되어 있는 각 원격 노드에 대한 설치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의 제어를 통해서 각 원격 노드에서 발생하는 각종 장애상황이나 이에 대한 처리결과를 누적하여 저장, 관리한다.
한편, 각 노드에서 발생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감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나 빌딩 등의 구내에 설치된 L3 스위치, L2 스위치 등의 각 원격 노드에서 장비 자체의 문제나 정전으로 인해서 전원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원격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가 생성되고(①), 각 원격 노드의 전원장애 감시를 수행하는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에서 각 원격 노드에서 생성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한다(②).
이때 상기 상태정보는 각 원격 노드에서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사용 환경에 따라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원격 노드에서 현재의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각 원격 노드로부터 수신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노드에 전원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아니면 정전이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한다(③). 즉 특정 노드에서 생성한 다잉 개스프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에서 생성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는 상기 다잉 개스프를 제공한 특정 노드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노드이거나, 상기 다잉 개스프를 제공한 특정 노드가 설치된 특정 구내의 다른 장소 또는 상기 특정 구내와 인접한 다른 구내에 설치된 노드이다.
여기서, 각각의 원격 노드로부터 수신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장애유형을 판단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하기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판정한 결과 각 원격 노드의 장애 유형에 따른 현장출동 명령을 생성하며(④), 상기 생성한 현장출동 명령에 따른 유지보수 인력의 현장출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현장출동에 따른 장애처리 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⑤).
즉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특정 노드로부터 수신한 다잉 개스프와 상기 특정 노드와 같은 설치환경에 있는 노드의 노드다운이나 파워 페일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아니면 단순한 정전인지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장애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태정보 수신부(110), 장애유형 판정부(120), 태스크 처리부(130), 이력정보 확인부(140), 기상정보 확인부(150), 메모리(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구성 부분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각종 기능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 각 노드의 전원장애 상태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110)는 각각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시스템 로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구내에 설치된 특정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다잉 개스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다잉 개스프를 제공한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에서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노드다운이나 파워 페일 등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상태정보를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110)는 상기 다잉 개스프를 제공한 특정 노드와 동일한 설치장소에 위치하거나, 인접한 설치장소에 위치한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에 직접 상태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는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110)로부터 제공받은 각각의 원격 노드로부터 수신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한다.
즉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는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110)로부터 다잉 개스프가 수신되면 다잉 개스프 알람을 발생시키고, 이를 각 노드별로 구분하여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하며,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110)로부터 각 노드별 노드다운이나 파워 페일 등이 수신되면, 노드다운 알람이나 파워 페일 알람을 발생키시고, 이를 각 노드별로 구분하여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한다. 이어서,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3)는 특정 노드에서 생성한 상기 다잉 개스프와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의 조합을 토대로 전원장애인지 정전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한 결과를 상기 태스크 처리부(13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전원장애 혹은 정전에 대한 판정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전원장애 혹은 정전추정의 장애유형 판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는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노드의 다잉 개스프에 대한 알람을 확인하고(①), 상기 다잉 개스프에 대한 알람을 발생한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에 대한 알람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 상태를 유지하면 정전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에는 전원장애로 판정(②)함으로써, 상기 태스크 처리부(130)를 통해 관리자가 상기 노드가 위치한 현장으로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는 다잉 개스프가 발생한 특정 노드는 물론, 상기 특정 노드와 동일 장소 또는 다른 장소에 설치된 연관성 있는 노드의 전원장애와 노드다운이나 파워 페일을 포함한 상태정보의 조합을 통해서 전원장애 또는 정전을 확인하는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태스크 처리부(130)는 장애처리와 관련한 업무를 처리하는 구성 부분으로서, 현장출동 처리부(131)와 안내방송 처리부(132)로 구성된다.
상기 현장출동 처리부(131)는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에서 판정한 장애유형이 전원장애인 경우 특정 노드의 전원장애 태스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전원장애 태스크를 유지보수 인력이 보유한 단말로 제공하여 해당 노드로 출동할 수 있도록 처리하며, 유지보수에 대한 결과를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현장출동 처리부(131)는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에서 판정한 장애유형이 정전인 경우 특정 노드의 정전 태스크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전원 태스크에 따라 유지보수 인력이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 해당 현장의 정전상황 해소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안내방송 처리부(132)는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에서 정전으로 판단한 노드가 속한 특정 구내측에 정전 안내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구내의 방송장비를 통해 송출되는 안내방송을 통해 사용자들이 정전 상태임을 신속하게 확인함으로써, 장애신고를 줄이고 불만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력정보 확인부(1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각 노드별 다잉 개스프 발생이력이나 추세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정보를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에서 각 노드별 다잉 개스프 발생이력이나 추세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에서, 상기 이력정보 확인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원격 노드별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의 발생이력이나 추세에 따른 전원장애나 정전에 대한 결과와, 상기 상태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각 원격 노드에서 발생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매핑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상정보 확인부(150)는 상기 다잉 개스프와 상기 다잉 개스프를 제공한 노드가 설치된 현장의 온도나 바람세기를 포함한 현재 기상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120)에서, 상기 기상정보 확인부(15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노드가 위치한 현장의 기상정보가 기준값을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특정 노드의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준값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는 각 노드별 현장의 기상정보를 토대로 전원장애 또는 정전이 발생한 경우의 기상정보에 대한 평균값이나 중간값으로 설정한 전원장애 기준값이나 정전 기준값이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장애 판정부(120)와 상기 태스크 처리부(13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방법의 동작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아파트나 빌딩의 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L3 스위치, L2 스위치 등의 각 원격 노드에서 전원공급이 되지 않아 전원장애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한 결과 전원장애가 발생하면 각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위망의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 단계를 수행한다(S200). 이때 상기 상태정보는 각 원격 노드에서 소정의 주기로 생성하여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에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200 단계에서 수신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장애유형 판정 단계를 수행한다(S300). 즉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이 높은 동일지역 혹은 인접지역에 설치된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와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특정 노드의 다잉 개스프에 대한 알람과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에 대한 알람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 상태를 유지하면 정전으로 판정하고, 그 이외에는 전원장애로 판정한다.
한편,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각 원격 노드별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의 발생이력이나 추세에 따른 전원장애나 정전에 대한 결과와 현재 각 원격 노드에서 발생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매핑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다잉 개스프를 생성한 특정 노드가 위치한 현장의 온도나 바람세기를 포함한 기상정보가 기준값을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할 수 있다.
이제,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한 이후,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300 단계에서 판정한 장애유형이 전원장애이면, 상기 노드가 위치한 현장으로 유지보수 인력을 출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처리하며, 상기 S300 단계에서 판정한 장애유형이 정전이면, 정전으로 판정된 노드의 장애가 해소되는지를 확인한다(S400).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수행한 전원장애에 따른 현장출동을 통한 장애해소 결과, 또는 정전에 따른 장애해소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누적하여 저장, 관리한다(S500).
한편,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300 단계의 장애유형 판정 단계에서 판정한 결과 정전인 경우, 정전이 발생한 특정 구내측에 정전 안내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특정 구내의 방송장비를 통해 상기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S300 단계의 장애유형 판단의 구체적인 예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의 장애유형 판정을 구체적인 예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S200 단계에서 수신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확인한 결과,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L2에서 다잉 개스프와 노드다운의 발생이 조합된 것인지를 판단한다(S301).
상기 S301 단계의 판단결과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L2에서 다잉 개스프와 노드다운의 발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전원장애 알람을 신규로 발생하고(S302), 해당 상황이 기 설정된 시간(예: 13분)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03).
상기 S303 단계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L2의 전원장애로 판정하여 유지보수 인력의 현장출동을 통해 장애발생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며, 동시에 동일 설치장소의 모든 노드다운이나 다잉 개스프는 전원장애 알람으로 처리한다(S304).
그러나 상기 S30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노드다운이 해결되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302 단계에서 발생한 전원장애 알람을 해소한다(S305).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S200 단계에서 수신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확인한 결과, 동일한 아파트단지 내의 서로 다른 설치장소의 L2 2대 이상에서 다잉 개스프와 노드다운의 발생이 조합된 것인지를 판단한다(S311).
상기 S311 단계의 판단결과 동일한 아파트단지 내의 서로 다른 설치장소의 L2 2대 이상에서 다잉 개스프와 노드다운의 발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정전추정 알람을 신규로 발생하고(S312), 해당 상황이 기 설정된 시간(예: 13분)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13).
상기 S313 단계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장비 자체의 문제가 아닌 해당 아파트단지의 정전추정으로 판정하여 유지보수 인력을 현장에 출동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동일한 아파트단지 내의 모든 전원장애(즉 다잉 개스프나 노드다운) 알람은 정전추정 알람으로 처리한다(S314).
그러나 상기 S31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전원장애 알람이 해소되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312 단계에서 발생한 정전추정 알람을 해소한다(S315).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S200 단계에서 수신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확인한 결과, 동일한 아파트단지의 L3, L2가 동시에 노드다운되고, 설치장소가 다른 L2 1대 이상에서 다잉 개스프의 발생이 조합된 것인지를 판단한다(S321).
상기 S321 단계의 판단결과 동일한 아파트단지의 L3, L2가 동시에 노드다운되고, 설치장소가 다른 L2 1대 이상에서 다잉 개스프의 발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정전추정 알람을 신규로 발생하고(S322), 해당 상황이 기 설정된 시간(예: 2분)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23).
상기 S313 단계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장비 자체의 문제가 아닌 해당 아파트단지의 정전추정으로 판정하여 유지보수 인력을 현장에 출동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동일한 아파트단지 내의 모든 전원장애와 노드다운 알람은 정전추정 알람으로 처리한다(S324).
그러나 상기 S32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L3의 노드다운이 해소되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322 단계에서 발생한 정전추정 알람을 해소한다(S325).
또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S200 단계에서 수신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확인한 결과, 동일 아파트단지의 L3에 파워 페일 장애가 발생하고, L3과 설치장소가 다른 L2 1대 이상에서 다잉 개스프의 발생이 조합된 것인지를 판단한다(S331).
상기 S331 단계의 판단결과 동일 아파트단지의 L3에 파워 페일 장애가 발생하고, L3과 설치장소가 다른 L2 1대 이상에서 다잉 개스프의 발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정전추정 알람을 신규로 발생하고(S332), 해당 상황이 기 설정된 시간(예: 35분)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33).
상기 S333 단계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장비 자체의 문제가 아닌 해당 아파트단지의 정전추정으로 판정하여 유지보수 인력을 현장에 출동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동일한 아파트단지 내의 모든 전원장애와 파워 페일 알람은 정전추정 알람으로 처리한다(S334).
그러나 상기 S333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L3의 파워 페일이 해소되면,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S332 단계에서 발생한 정전추정 알람을 해소한다(S335).
이처럼, 본 발명은 공동주택이나 빌딩의 구내에 설치된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시 생성하는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한 다음,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할 경우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이 높은 동일지역 혹은 인접지역에 설치된 다른 노드의 노드다운이나 파워 페일에 대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전원장애 또는 정전의 장애유형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정전으로 인한 유지보수 인력의 불필요한 현장출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동주택이나 빌딩측에서 정전 안내방송을 통해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만과 장애신고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110 : 상태정보 수신부
120 : 장애유형 판정부 130 : 태스크 처리부
131 : 현장출동 처리부 132 : 안내방송 처리부
140 : 이력정보 확인부 150 : 기상정보 확인부
160 : 메모리 200 : 관리자 단말
3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부; 및
    상기 상태정보로부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장애유형 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는,
    상기 복수의 원격 노드 중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는,
    상기 특정 노드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노드이거나, 상기 특정 노드가 설치된 특정 구내의 다른 장소 또는 상기 특정 구내와 인접한 다른 구내에 설치된 노드이며,
    상기 판정한 장애유형에 따른 현장출동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정전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지보수 인력의 현장출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는,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특정 노드의 다잉 개스프에 대한 알람과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에 대한 알람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로 판정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로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애유형 판정부는,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기 저장되어 있는 각 원격 노드별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의 발생이력이나 추세에 따른 전원장애에 대한 결과와 현재 각 원격 노드에서 발생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매핑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 또는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의 장애유형을 판정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노드가 위치한 현장의 온도나 바람세기를 포함한 기상정보가 기준값을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 또는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의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은,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로 판단한 원격 노드가 속한 특정 구내측에 정전 안내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구내측에 구비된 방송장비를 통해 상기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하는 안내방송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6.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복수의 원격 노드로부터 전원장애 발생에 따른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한 상태정보로부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장애유형 판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애유형 판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원격 노드 중 특정 노드에서 다잉 개스프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인지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는,
    상기 특정 노드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 노드이거나, 상기 특정 노드가 설치된 특정 구내의 다른 장소 또는 상기 특정 구내와 인접한 다른 구내에 설치된 노드이며,
    상기 판정한 장애유형에 따른 현장출동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정전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지보수 인력의 현장출동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애 감시 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애유형 판정 단계는,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상기 특정 노드의 다잉 개스프에 대한 알람과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에 대한 알람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동일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로 판정하고, 그 이외에는 상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애 감시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애유형 판정 단계는,
    상기 특정 노드와 연관성 있는 다른 원격 노드의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장애유형을 판정할 때,
    기 저장되어 있는 각 원격 노드별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의 발생이력이나 추세에 따른 전원장애에 대한 결과와 현재 각 원격 노드에서 발생한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매핑하여,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 또는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의 장애유형을 판정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노드가 위치한 현장의 온도나 바람세기를 포함한 기상정보가 기준값을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토대로 상기 장비 자체의 문제로 인한 전원장애 또는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의 장애유형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애 감시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애 감시 방법은,
    상기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정전으로 인한 전원장애로 판단한 원격 노드가 속한 특정 구내측에 정전 안내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특정 구내측에 구비된 방송장비를 통해 상기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하는 안내방송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애 감시 방법.
KR1020210026084A 2021-02-26 2021-02-26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84A KR102454147B1 (ko) 2021-02-26 2021-02-26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84A KR102454147B1 (ko) 2021-02-26 2021-02-26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829A KR20220122829A (ko) 2022-09-05
KR102454147B1 true KR102454147B1 (ko) 2022-10-17

Family

ID=8327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084A KR102454147B1 (ko) 2021-02-26 2021-02-26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60680B (zh) * 2023-05-31 2024-05-24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基于节点电力线通信停电事件研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6868A (ja) * 2013-10-12 2015-04-20 善郎 水野 異常状態検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6619A (ko) * 2006-09-28 2006-12-07 애드바 에이지 옵티컬 네트워킹 이더넷 기반 통신시스템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3370B1 (ko) * 2012-07-03 2014-04-10 (주)유비쿼스 다잉 개스프를 이용한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6868A (ja) * 2013-10-12 2015-04-20 善郎 水野 異常状態検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829A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64543B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 utility network, computer program product used to manage utility network, method of managing performance problems in utility network and system for monitoring utility grid
US20140372805A1 (en) Self-healing managed customer premises equipment
JP2003109152A (ja)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センサ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US20140122140A1 (en) Advanced managed service customer edge router
KR1020448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KR101090644B1 (ko) 개선된 p형 수신기 기반의 화재 자동탐지 시스템
KR102454147B1 (ko) 다잉 개스프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활용한 전원장애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898435B (zh) 家庭服务系统及其故障处理方法、家电设备、服务器
CN101666645B (zh) 一种机房微细环境监测系统
CN101777951A (zh) 一种数据监测的方法和系统
JP2023040256A (ja) 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6340154A (ja) メーター通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10098064A (ko) 중계기 기지국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035830B1 (ko) 망 운용에 구비되는 전송 장비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32898B1 (ko) PoE 라인을 이용한 원격전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6134B1 (ko)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3187355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230281B1 (ko) 전력설비 통합 제어 통신을 수행하는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
JP2005322122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の制御装置
Cisco Out-of-Band Management
JP5418184B2 (ja) 宅内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宅内機器管理方法
CN201489661U (zh) 一种机房微细环境监测系统
CN211427111U (zh) 社区机电设备管理系统
KR20210106727A (ko)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0851168B1 (ko) 이더넷 스위치 고장복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