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727A -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727A
KR20210106727A KR1020200021575A KR20200021575A KR20210106727A KR 20210106727 A KR20210106727 A KR 20210106727A KR 1020200021575 A KR1020200021575 A KR 1020200021575A KR 20200021575 A KR20200021575 A KR 20200021575A KR 20210106727 A KR20210106727 A KR 20210106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eceiver
data
fire
monitoring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형
심재헌
유창배
변종욱
최민규
임양만
Original Assignee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비밍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비밍코어 filed Critical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727A/ko
Publication of KR20210106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4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043Monitoring of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포트; 상기 입력 받은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MCU;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포트는,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1 입력포트; 및 R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2 입력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포트가 화재수신기로부터 입력 받는 데이터는, 화재수신기가 수집한 데이터 및 화재수신기의 동작 여부 데이터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MONITORING OF FIRE ALARM CONTROL PANEL}
본 발명은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화재수신기의 전원 차단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화재수신기가 수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발하여진 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표시하고 경보를 울리는 장치이다.
화재수신기는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감지기나 발신기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화재수신기가 화재 발생 경보를 잘못 울리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이유로, 화재수신기 관리자가 화재수신기의 전원을 고의로 차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고의적인 화재수신기의 전원 차단은,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화재수신기가 화재의 발생을 표시하거나 경보를 울리지 못함으로써, 대형 화재 및 인명 피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36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재수신기의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수신기가 수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소방시설의 유지보수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NB-IoT 통신망 또는 Cat.M1 통신망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함으로써, 화재 감시의 무중단 운영을 할 수 있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는,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포트; 상기 입력 받은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MCU;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포트는,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1 입력포트; 및R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2 입력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포트가 화재수신기로부터 입력 받는 데이터는, 화재수신기가 수집한 데이터 및 화재수신기의 동작 여부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포트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와 아날로그 입력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포트는, 상기 R형 화재수신기와 RS-232, RS-485 또는 이더넷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NB-IoT(Narrow Band-IoT) 통신망 또는 Cat.M1(LTE Category M1)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NB-IoT 모드 또는 Cat.M1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용 전원 및 비상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점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화재수신기;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화재수신기가 수집한 데이터 및 상기 화재수신기의 동작 여부 데이터를 입력 받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상기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화재수신기가 수집한 데이터 및 상기 화재수신기의 동작 여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방재난본부 서버; 및 상기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소방재난본부 서버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망;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NB-IoT(Narrow Band-IoT) 통신망 또는 Cat.M1(LTE Category M1)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은 화재수신기의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은 화재수신기가 수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소방시설의 유지보수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NB-IoT 통신망 또는 Cat.M1 통신망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함으로써 화재 감시의 무중단 운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발명의 태양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그러나 이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된 실시예들로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또는 실시예 상호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상관없이 이 구성요소를 반드시 포함한다는 의미이지 다른 구성요소들의 포함 가능성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량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화재수신기(100),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 소방재난본부 서버(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수신기(100)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발하여진 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표시하고 경보를 울리는 장치이다.
화재수신기(100)는 신호 방식에 따라 크게 P형 화재수신기와 R형 화재수신기로 나눌 수 있다. P형 화재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신호로서 수신하고, R형 화재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신호로서 수신한다.
한편, 화재수신기(100)는 화재 또는 화재 예방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즉, 화재수신기(100)는 화재, 저수위, 펌프, 고장, 주경종, 지구경종, 알람 밸브 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기존에 설치된 화재수신기(100)와 연결되어 화재수신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는 화재수신기(100)의 종류는 무관하다.
즉,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아날로그 방식, RS-232 방식, RS-485 방식 및 이더넷 방식의 포트를 구비하므로, 화재수신기(100)의 종류와 무관하게 화재수신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가 화재수신기(100)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데이터는, 화재수신기(100)가 수집한 데이터 및 화재수신기(100)의 동작 여부 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가 화재수신기(100)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는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기반의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소방재난본부 서버(300)에 전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망(400)은, LPWA(저전력 광역통신, Low Power Wide Area) 네트워크 중에서도 NB-IoT 통신망과 Cat.M1 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물인터넷 장치가 이용하는 통신망은, 광범위한 지역의 수많은 기기를 낮은 전력소모로 저가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이 요구된다. LPWA 네트워크는 낮은 전력소모, 넓은 커버리지, 보안성 및 저비용의 장점을 갖추고 있으므로 사물인터넷에 적합한 통신방식이다.
국내 통신 사업자가 구축한 LPWA 네트워크는 크게 LoRa(Long Range) 통신망, NB-IoT (Narrow Band-IoT) 통신망, Cat.M1(LTE Category M1) 통신망으로 나눌 수 있다.
LoRa 통신망은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접 대역에 대한 간섭 및 신호 손실의 가능성이 존재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화재 감시의 무중단 운영이 요구되는 본 발명에는 적합하지 않은 통신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신망(400)은 LoRa 통신망이 아닌 NB-IoT 통신망 및 Cat.M1 통신망을 사용한다.
NB-IoT 통신망 및 Cat.M1 통신망은 면허 대역을 사용하므로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와 소방재난본부 서버(300) 사이에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한편, NB-IoT 통신망 및 Cat.M1 통신망은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차이가 나는데, 후술할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의 통신모듈(240)은 전송할 데이터 양에 따라 NB-IoT 모드 또는 Cat.M1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이 가능하다. 즉,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사용할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소방재난본부 서버(300)는, 화재수신기(100)의 전원 차단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전원이 차단된 경우 화재수신기(10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시정 요청을 할 수 있고, 화재수신기(100)가 수집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화재수신기(100)가 설치된 건물의 소방시설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1 입력포트(210), R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2 입력포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MCU(230), 통신모듈(240), 블루투스 모뎀(250) 및 전원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화재수신기(100)와 연결되어 화재수신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에 P형 화재수신기가 연결되는 경우, P형 화재수신기의 접점 연결단자와 제1 입력포트(210)가 아날로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에 R형 화재수신기가 연결되는 경우, R형 화재수신기의 접점 연결단자와 제2 입력포트(220)가 연결될 수 있고,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R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입력포트(220)는 RS-232 포트, RS-485 포트 및 이더넷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R형 화재수신기가 연결된 포트에 따라, R형 화재수신기로부터 RS-232 방식, RS-485 방식 또는 이더넷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제2 입력포트(220)는 R형 화재수신기를 제조하는 제조사마다 다르게 설정되는 프로토콜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MCU(Micro Controller Unit, 230)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출력 버스 등 컴퓨팅 요소를 내장한 연산 장치이다. MCU(230)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MCU(230)는 제1 입력포트(210) 또는 제2 입력포트(22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반 통신망(400)을 통해 소방재난본부 서버(300)에 송신하기 위하여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1 입력포트(210)로부터 입력받은 P형 화재수신기의 데이터는 아날로그 방식이므로, MCU(230)는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통신모듈(240)은 MCU(230)가 변환한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망(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망(400)은 NB-IoT 통신망 또는 Cat.M1 통신망을 사용하므로, 통신모듈(240)은 통신망(400)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NB-IoT 통신망 및 Cat.M1 통신망을 동시에 지원하는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모듈(240)은 기본적으로 NB-IoT 모드로 설정되어 NB-IoT 통신망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통신모듈(240)이 통신망(400)에 전송할 데이터 양이 많을 경우 고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Cat.M1 모드로 설정되어 Cat.M1 통신망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240)은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도 NB-IoT 모드 또는 Cat.M1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블루투스 모뎀(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블루투스 모뎀(250)을 통해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는 화재수신기(100)를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는 화재수신기(100)가 수집한 데이터 및 화재수신기(100)의 전원 차단 여부 데이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화재수신기(100)의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화재수신기(100)를 직접 들여다 보지 않아도 근거리에서 편리하게 화재수신기(100)를 관리할 수 있다.
전원부(260)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24V 상용전원을 포함하며, 정전 등의 비상시에 사용될 수 있는 비상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는 장치의 외부에 점검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방시설의 점검 시 화재수신기(100)는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것이 아님에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하여 경보를 울릴 수 있다. 이 때,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의 점검 스위치를 턴-온 시킴으로써, 소방재난본부 서버(300)는 화재수신기(100)가 수집한 데이터 및 화재수신기(100)의 동작 여부 데이터가 실제 화재 상황이 아닌 소방시설을 점검하면서 발생한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방재난본부 서버(300)가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화재수신기(100)의 전원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화재수신기(100)가 수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소방시설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건물에서 발생하는 대형 화재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200)와 소방재난본부 서버(300)가 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NB-IoT(Narrow Band-IoT) 통신망 또는 Cat.M1(LTE Category M1)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화재 감시의 무중단 운영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필수적 특징을 유지한 채로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되어질 것이지만,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도출되는 구성은 물론 그와 등가인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재수신기
200: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210: 제1 입력포트
220: 제2 입력포트
230: MCU
240: 통신모듈
250: 블루투스 모뎀
260: 전원부
300: 소방재난본부 서버
400: 통신망

Claims (10)

  1.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포트;
    상기 입력 받은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MCU;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망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포트는,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1 입력포트; 및
    R형 화재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제2 입력포트;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포트가 화재수신기로부터 입력 받는 데이터는,
    화재수신기가 수집한 데이터 및 화재수신기의 동작 여부 데이터인,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포트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와 아날로그 입력 방식으로 연결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포트는,
    상기 R형 화재수신기와 RS-232, RS-485 또는 이더넷 방식으로 연결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NB-IoT(Narrow Band-IoT) 통신망 또는 Cat.M1(LTE Category M1)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NB-IoT 모드 또는 Cat.M1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용 전원 및 비상 전원을 포함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뎀; 을 더 포함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점검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9. 데이터를 수집하는 화재수신기;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화재수신기가 수집한 데이터 및 상기 화재수신기의 동작 여부 데이터를 입력 받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상기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화재수신기가 수집한 데이터 및 상기 화재수신기의 동작 여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방재난본부 서버; 및
    상기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소방재난본부 서버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신망; 을 포함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NB-IoT(Narrow Band-IoT) 통신망 또는 Cat.M1(LTE Category M1)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021575A 2020-02-21 2020-02-21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06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575A KR20210106727A (ko) 2020-02-21 2020-02-21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575A KR20210106727A (ko) 2020-02-21 2020-02-21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27A true KR20210106727A (ko) 2021-08-31

Family

ID=7748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575A KR20210106727A (ko) 2020-02-21 2020-02-21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67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660B1 (ko) 2017-11-21 2019-06-27 (주)도요테크놀러지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660B1 (ko) 2017-11-21 2019-06-27 (주)도요테크놀러지 화재감지 및 화재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1490B2 (en) Security monitoring methodology using digital audio
CA259207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path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JP5815278B2 (ja) 警報連携システム
CN103684845A (zh) 网络备用装置及具备该网络备用装置的网络系统
KR102541286B1 (ko) 단일 서버 기반의 이종 네트워크 통합 배선 장애 관리 시스템
JP7462080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EP1177682B1 (en) A status monitoring and data processing system suitable for use in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JP2014186417A (ja) 警報システム
KR20210106727A (ko) 화재수신기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JP6457291B2 (ja) 防災機器システム
JP2013047946A (ja) 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危険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危険状態処理サーバー
JP2003187355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GB2358504A (en) Alarm or detection system
KR101449452B1 (ko) 용역사업자 망분리서버 네트워크(배전반, 비상발전기, 네트웍장비, cctv, 방송장비, 자동제어) 콘트롤박스 및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196051B2 (ja) 警報システム
JP2005322122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の制御装置
CN216210548U (zh) 环网柜运行故障监测系统
JP3622401B2 (ja) 防災用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短絡検出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防災用監視方法、防災用監視システム
KR101396113B1 (ko) 혼합링 구조의 센서 네트워크 구현 방법 및 장치
JP2016076238A (ja) 連携システム
JP2020170520A (ja) トンネル非常用設備
CA2845056A1 (en) Emergency power system environmental alert module
KR20090099698A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이중화한 무선 브리지 통신장치
CN211427111U (zh) 社区机电设备管理系统
JP6738887B2 (ja) 防災機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