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544B1 - 주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544B1
KR102453544B1 KR1020220009373A KR20220009373A KR102453544B1 KR 102453544 B1 KR102453544 B1 KR 102453544B1 KR 1020220009373 A KR1020220009373 A KR 1020220009373A KR 20220009373 A KR20220009373 A KR 20220009373A KR 102453544 B1 KR102453544 B1 KR 10245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creen
vehicle number
vehicl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덕
Original Assignee
김수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덕 filed Critical 김수덕
Priority to KR102022000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차면에 롤스크린이 설치되는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방문차량이 롤스크린의 상태에 따라 주차가 가능하지 아니면 주차가 불가능한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가능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주차면을 개방시키고, 주차불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주차면을 폐쇄시키는 주차면 개폐장치; 건축물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건축물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건축물의 주차면 주변에 설치되어, 건축물 주차면 각각에 주차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주차면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및, 건축물 내의 차량의 입차시 상기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및 상기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와 연동하여 입출시 각각에 대한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며, 입차시 변환된 문자정보가 등록 차량인 경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를 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주차가능신호를 출력시키고, 입차시 변환된 문자정보가 미등록 차량인 경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를 폐쇄되도록 주차불가신호를 출력시키는 주차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주차면의 입구측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원통형롤러, 상기 원통형롤러의 외주연 일부 영역에 일방향으로 권취되는 제1스크린 및, 상기 원통형롤러의 외주연 일부 영역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제1스크린의 권취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1스크린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는 롤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NET SYSTEM}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입출차를 관리하여 건물의 주차장에 설치되어 등록 차량과 비등록 차량 각각에 대한 주차기록 및 주차비용이 연산되도록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은 상업용 건물과 같이 다수의 사업체가 입점한 건물에서 지하 주차장을 관리시에 입출차되는 차량의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판독하고, 판독한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입출차를 기록 및 관리하게 된다.
이 경우, 보통 대부분의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은 방문 차량이 어느 곳에 주차하는지에 상관없이 주차를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을 채택하게 되는 경우 입점한 업체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업체가 방문 주차장을 많이 이용하면, 다른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방문 주차장 이용율이 떨어지게 되어 건물 관리소에 잦은 항의를 유발하게 된다.
그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8329호(2020.06.30 공고)에서는 불법적으로 주차면을 점거한 차량에 대해 주차면의 소유주가 불법으로 주차면을 점거한 차량의 소유주에게 직접적으로 전화하거나, 경비소에 항의전화를 하지않고도, 불법 점거한 차량의 이동 요청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 경우, 등록특허 제10-2128329호에서는 각 세대마다 할당된 주차면에 다른 차량이 주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주차면에 상부에 롤스크린을 설치하고 주차면 이용시에는 롤스크린이 올라가도록 하고 미이용시에는 롤스크린이 주차면의 입구측으로 내려와 미등록 차량이 주차할 수 없도록 막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은 롤스크린이 직조물로 되어 있어 차량에 피해를 주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방문 차량이 주차를 시행하려 하였을 때 롤 스크린이 내려와 있는 상황이나 올라가 있는 상황들 가운데 어느 상황에서 주차를 해야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아무상황에서나 주차를 시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차면에 롤스크린이 설치되는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은 방문차량이 롤스크린의 상태에 따라 주차가 가능하지 아니면 주차가 불가능한지 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더불어, 주차면에 롤스크린이 설치되는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은 롤스크린에는 아무 정보도 없는 경우, 주차 할당제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주차면을 할당한 업체와 같은 정보를 방문 차량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8329호(2020.06.30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차면에 롤스크린이 설치되는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방문차량이 롤스크린의 상태에 따라 주차가 가능하지 아니면 주차가 불가능한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차면에 롤스크린이 설치되는 종래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롤스크린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방문차량이 어느 곳에 주차를 시행해야 할 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가능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주차면을 개방시키고, 주차불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주차면을 폐쇄시키는 주차면 개폐장치; 건축물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건축물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건축물의 주차면 주변에 설치되어, 건축물 주차면 각각에 주차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주차면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및, 건축물 내의 차량의 입차시 상기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및 상기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와 연동하여 입출시 각각에 대한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며, 입차시 변환된 문자정보가 등록 차량인 경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를 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주차가능신호를 출력시키고, 입차시 변환된 문자정보가 미등록 차량인 경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를 폐쇄되도록 주차불가신호를 출력시키는 주차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주차면의 입구측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원통형롤러, 상기 원통형롤러의 외주연 일부 영역에 일방향으로 권취되는 제1스크린 및, 상기 원통형롤러의 외주연 일부 영역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제1스크린의 권취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1스크린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는 롤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상기 원통형 롤러와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이 수용되는 스크린수용체, 상기 스크린수용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2스크린의 주차가능 문구에 대한 투영광을 조사하는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 및, 상기 스크린수용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스크린에 주차불가 문구에 대한 투영광을 조사하는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상기 주차가능 로고라이트의 광이 조사되는 상기 제1스크린 일 면 또는 상기 주차불가능 로고라이트의 광이 조사되는 상기 제2스크린의 일 면에 결합되고 표면에 식별정보 인쇄층이 인쇄되는 식별정보 인쇄필름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상기 스크린수용체의 주변에 결합되는 상기 원통형롤러와 연동하여 정회전시 상기 제2스크린이 펼쳐지면서 상기 제1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하고, 역회전시에 상기 제1스크린이 펼쳐지면서 상기 제2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주차관제서버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주차관제서버로부터 주차불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에 정회전신호를 발생시켜 주차면의 입구측에 상기 제2스크린이 펼쳐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1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를 턴 온시킨 상태에서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를 턴 오프 시키며, 상기 주차관제서버로부터 주차가능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에 역회전신호를 발생시켜 주차면의 입구측에 상기 제1스크린이 펼쳐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2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를 턴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를 턴 온시키는 스크린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문차량이 제1스크린과 제2스크린의 상태를 확인하여 주차가 가능하지 아니면 주차가 불가능한지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스크린이나 제2스크린에 식별정보가 표시되록 하여 방문차량이 어느 곳에 주차를 시행해야 할 지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관제서버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 상태의 블록도.
도 3은 구동모터가 역회전하여 주차면 주변에 배치된 제2스크린이 권취된 상태에서 제1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구동모터가 정회전하여 도 3에 도시된 제1스크린이 권취된 상태에서 제2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통형롤러를 A방향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원통형롤러를 B방향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C-C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의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명세서에서 예시하는 단말기는 전자기기로써, 컴퓨터, 노트북 및, 스마트폰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가능한 장치로 정의하며, 응응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과 같이 전자기기에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 경우, 응용프로그램은 윈도우즈(Windows), 아이오에스(ios), 안드로이드, 리눅스 등과 같은 운영체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환경하에서 구동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관제서버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 상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구동모터가 역회전하여 주차면 주변에 배치된 제2스크린이 권취된 상태에서 제1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구동모터가 정회전하여 도 3에 도시된 제1스크린이 권취된 상태에서 제2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통형롤러를 A방향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원통형롤러를 B방향으로 절개하여 본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C-C선을 절개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면 개폐장치(10),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20),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30), 주차면 차량번호 감시카메라(40) 및, 주차관제서버(50)를 포함하며, 입주측 스마트폰(60) 및 관리자단말(7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주차면 개폐장치(10)는 건축물 각각의 주차면의 주차 입구측 상부공간 마다 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차면 개폐장치(10)는 원통형롤러(11), 제1스크린(12), 제2스크린(13), 스크린수용체(14),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 식별정보 인쇄필름(17), 구동모터(18) 및, 스크린제어부(19)를 포함한다.
원통형롤러(11)는 원통형 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크린수용체(14)에 회동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수용된다. 또한, 원통형롤러(11)는 외주연에 제1스크린(12)과 제2스크린(13)이 권취되되 제1스크린(12)과 제2스크린(13)이 서로 간에 겹치거나 교차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권취되되 제1스크린(12)의 권취방향과 제2스크린(13)의 권취방향이 서로 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취된다. 또한, 원통형롤러(11)는 구동모터(18)의 연동하여 구동모터(18)의 회전방향에 따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스크린(12)은 수지재질의 필름이나 직조물로 형성되며, 원통형롤러(11)의 외주연 일부 영역에 일방향으로 권취된다. 또한, 제1스크린(12)은 일면에 식별정보 인쇄필름(17)이 접착이나 점착으로 또는 테이핑등의 방법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스크린(12)은 필름이나 직조물로 형성되어 차량과 충돌하여도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제2스크린(13)은 수지재질의 필름이나 직조물로 형성되며, 원통형롤러(11)의 외주연 일부 영역에 권취되는 경우 제1스크린(12)의 권취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취되고 제1스크린(12)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스크린(13)은 필름이나 직조물로 형성되어 차량과 충돌하여도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스크린(12) 및 제2스크린(13)은 직조 재질 및 연질의 수지재질 가운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차량과 직접적으로 부딛히는 경우에 차량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주차면이 폐쇄되는 경우에도 주차면의 소유주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된다.
스크린수용체(14)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공간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원통형롤러(11)와 제1스크린(12) 및 제2스크린(13)을 수용하고, 건축물 내의 주차면 각각의 상부 공간에 설치된다. 여기서, 스크린수용체(14)는 주차면의 주차입구측에서 차량의 정면을 가로막도록 주차면의 입구측 상부 공간에 배치된다.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는 스크린수용체(14)에 결합되며 제2스크린(13)에 주차가능 문구에 대한 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는 양단이 개구된 제1광원케이스(15a), 제1광원케이스(15a)에 삽입되어 광원으로 이용되는 제1발광다이오드(15b), 제1광원케이스(15a)에 삽입되며 주차가능 로고 이미지(15a1)가 인쇄되어 제1발광다이오드(15b)의 광을 조사받는 경우에 주차가능 로고 이미지(15a1)가 광의 형태로 투영되는 제1이미지렌즈(15c) 및, 제1광원케이스(15a)의 일 단에 결합되어 주차가능 로고 이미지(15a1)를 투과시키며 주차가능 로고 이미지(15a1)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1초점렌즈(15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는 주차면에 주차를 시행하는 운전자가 제1스크린(12)에 조사된 주차가능 로고 이미지(15a1)를 보고 주차가능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는 주차가능 로고 이미지(15a1)의 일부 외곽영역이 식별정보 인쇄필름(17)의 식별정보 문구인쇄층(17a)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서, 식별정보 인쇄필름(17)의 식별정보 문구인쇄층(17a)이 반사되도록 하여 문구 내용의 식별력이 향상되도록 하게 된다.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는 스크린수용체(14)에 결합되며 제1스크린(12)에 주차불가 문구에 대한 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는 양단이 개구된 제2광원케이스(16a), 제2광원케이스(16a)에 삽입되어 광원으로 이용되는 제2발광다이오드(16b), 제2광원케이스(16a)에 삽입되며 주차불가 로고 이미지(16a1)가 인쇄되어 제2발광다이오드(16b)의 광을 조사받는 경우에 주차불가 로고 이미지(16a1)의 광의 형태로 투영되는 제2이미지렌즈(16c) 및, 제2광원케이스(16a)의 일 단에 결합되어 주차불가 로고 이미지(16a1)를 투과시키며 주차불가 로고 이미지(16a1)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2초점렌즈(16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는 주차면에 주차를 시행하는 운전자가 제2스크린(13)에 조사된 주차불가 로고 이미지(16a1)를 보고 주차불가한 상태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식별정보 인쇄필름(17)은 수지필름으로써, 제2스크린(13)의 주차가능 로고라이트의 광이 조사되는 일 면이나 제1스크린(12)의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의 광이 조사되는 일 면에 결합되며, 표면에 식별정보 문구인쇄층(17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식별정보 인쇄필름(17)은 제2스크린(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 경우, 식별정보 문구인쇄층(17a)은 반사잉크로 인쇄되어 차량이 주차면에 주차시에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의 일부 광에 의해 식별정보 문구인쇄층(17a)이 뚜렷하게 보이도록 하게 되며, 차량의 라이트를 통해 반사되어 식별정보 문구인쇄층(17a)이 더욱 뚜렸하게 보이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식별정보 문구인쇄층(17a)의 문구 내용은 "xx산업 xxx호" 및 "xxx동 xxx호"와 같이 업체정보나 주택의 호실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주차면에 주차를 시행하는 운전자는 식별정보 문구인쇄층(17a)을 보고 어떠한 업체 또는 호실에 배정된 주차면인지 알 수 있어 해당 주차면에 주차를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별정보 인쇄필름(17)은 제2스크린(13)의 일 면에 결합시에 접착, 점착 및 테이핑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서, 업체명이나 호실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에 제1스크린(12)에서 식별정보 인쇄필름(17)만을 분리하여 변경된 업체명이나 호실정보가 인쇄된 식별정보 인쇄필름(17)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구동모터(18)는 스크린수용체(14)의 주변에 결합되어, 원통형롤러(11)와 연동하여 정회전시 제2스크린(13)이 펼쳐지면서 제1스크린(12)이 권취되도록 하고, 역회전시에 제1스크린(12)이 펼쳐지면서 제2스크린(13)이 권취되도록 한다.
스크린제어부(19)는 후술하는 주차관제서버(50)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하여 구동모터(18)의 회전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린제어부(19)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크린제어부(19)는 주차관제서버(50)로부터 주차가능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구동모터(18)에 정회전신호를 발생시켜 주차면의 입구측에 제2스크린(13)이 펼쳐지도록 하면서 제1스크린(12)이 권취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를 턴 온시킨 상태에서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를 턴오프 시키게 된다. 또한, 스크린제어부(19)는 주차관제서버(50)로부터 주차불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구동모터(18)에 역회전신호를 발생시켜 일정 시간동안 주차면의 입구측에 제1스크린(12)이 펼쳐지도록 하면서 제2스크린(13)이 권취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를 턴 오프시킨 상태에서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를 턴온 시키게 된다.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20)는 주차관제서버(50)와 연동하며, 건축물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20)는 건축물 주차장 입구측에 설치된 입구측 차단바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30)는 주차관제서버(50)와 연동하며, 건축물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30)는 건축물 주차장 출구측에 설치된 출구측 차단바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주차면 차량번호 감시카메라(40)는 주차관제서버(50)와 연동하며, 건축물의 주차면 주변에 설치되어, 건축물 주차면 각각에 주차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주차면 차량번호 감시카메라(40)는 주차면의 각각마다 설치되어 주차면 각각마다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주차면을 촬영하여 각각의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의 영상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주차장의 중앙부근에 설치되어 360도 회전함으로써 주차면 전체를 촬영하는 방식으로 주차된 차량들의 차량번호 영상을 촬영할 수 도 있다.
주차관제서버(50)는 차량번호 등록부(51), 입차측 차량번호변환부(52), 출차측 차량번호변환부(53), 입차확인부(54), 출차확인부(55), 주차면 개방제어부(56) 및, 입출차 관리부(57)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차량번호 등록부(51)는 건축물내에 거주하는 입주인이나 입점한 업체들이 등록한 차량의 차량번호들과 차량번호 각각에 대응하는 주차면위치정보를 저장하여 관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주차면위치정보는 주차면 각각에 대한 고유한 주소정보이다. 이와 같은 차량번호 등록부(51)는 후술하는 관리자단말(70)과 연동하여 관리자단만을 이용하는 관리자에 의해 주차면위치정보와 대응하는 차량번호들을 열람할 수 있으며, 각각의 차량번호들을 수정 및 삭제하여 관리될 수 있다.
입차측 차량번호변환부(52)는 건축물 내의 차량의 입차시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20)와 연동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차량번호 문자정보로 변환한다.
출차측 차량번호변환부(53)는 건축물 내의 차량의 출차시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30)와 연동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차량번호 문자정보로 변환한다.
입차확인부(54)는 입주인차량이나 업체차량이 주차장의 출입구를 통해 입차한 경우를 기록하여 입차에 관한 사항을 관리사무소에서 자동적으로 계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차량의 입차시 입차측 차량번호변환부(52)와 연동하여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를 입력받고,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가 차량번호 등록부(51)상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입차정보를 기록하고, 지인이나 방문객과 같이 차량번호 등록부(51)상에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가 없는 경우 방문객차량으로 입차정보를 기록한다.
출차확인부(55)는 입주인이 주차장의 주차면에 주차된 자신의 차량을 운행하여 주차장의 외부로 출차하는 경우를 기록하여 빈 주차공간을 관리사무소에서 자동적으로 계수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차량의 출차시 출차측 차량번호변환부(53)와 연동하여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를 입력받고,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가 차량번호 등록부(51)상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출차정보를 기록하고, 지인이나 방문객과 같이 차량번호 등록부(51)상에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가 없는 경우 방문객차량으로 출차정보를 기록한다.
주차면 개방제어부(56)는 건축물 내의 차량이 주차장의 입출차하는 경우에 입주인이 주차할 주차면의 주차면 개폐장치(10)가 자동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데, 보다 상세하게, 주차면 개방제어부(56)는 차량의 입차시 입차확인부(54)와 연동하여 출차정보가 기록된 차량번호와 대응하는 주차면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주차면 개폐장치(10)에 주차가능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차량의 출차시 입차확인부(54)와 연동하여 출차정보가 기록된 차량번호와 대응하는 주차면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주차면 개폐장치(10)에 주차불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입출차 관리부(57)는 입차확인부(54) 및 출차확인부(55)와 연동하여 차량의 입차시와 출차시에 생성된 입차정보 및 출차정보를 통해 입출차 차량을 계수하며, 총 주차면 수량이 어느 정도 남았는지를 계수하여 관리자단말(70)로 송출함으로써, 전체 주차면에 대한 입차 차량의 대수와 출차 차량의 대수 및 주차가능한 남아있는 주차면의 수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입주측 스마트폰(60)은 건축물내에 거주하는 입주인이나 업체담당자들과 같은 주차등록자들이 설치하여 이용하는 주차장 이용 앱(APP)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차관제서버(50)와 연동하게 된다. 여기서, 입주측 스마트폰(60)은 주차장 이용 앱 내에 주차면위치정보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주차장 이용 앱에서 주차장 이용 주차면 점유시 주차면 감시부(58)로부터 주차면 점유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주차면 점유에 관한 점유알림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주차등록자에게 소유하고 있는 주차면이 점유되었다는 것을 알릴 수 있게 된다.
관리자단말(70)은 피씨와 같은 통신가능한 단말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관리자단말(70)은 건축물 내의 관리소 내에 설치되어 운용되며, 입출차 관리부(57)와 연동하여 계수된 입출차 차량에 대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체 주차면에 대한 입차 차량의 대수와 출차 차량 및 주차가능한 남아있는 주차면의 수를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입차시에는 입차정보를 입력받고, 입주인이 자신이 소유한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운행하여 건축물 주차장 입구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20)가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입차측 차량번호변환부(52)에서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20)가 촬영한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차량번호 문자정보로 변환하게 되며,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가 차량번호 등록부(51)상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입차정보를 기록하고, 지인이나 방문객과 같이 차량번호 등록부(51)상에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가 없는 경우 방문객차량으로 입차확인부(54)에 입차정보를 기록한다. 이 경우, 입출차 관리부(57)는 입차확인부(54)와 연동하여 입차정보를 입력받고, 주차 가능한 전체 전차면 수에서 1를 감하여 기록하게 된다.
다음, 입차확인부(54)에서는 입차정보의 생성시에 주차면 개방제어부(56)로 주차가능신호를 전송하고, 주차면 개방제어부(56)에서 스크린제어부(19)로 주차가능신호를 전달하며, 주차가능신호를 입력받은 스크린제어부(19)에서 구동모터(18)에 정회전신호를 발생시켜 일정 시간동안 제2스크린(13)을 펼치면서 제1스크린(12)을 권취시키고, 이와 동시에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를 턴 온시킨 상태에서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를 턴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주차를 시행하는 운전자는 제2스크린(13)에 투영된 주차가능 로고 이미지(15a1)의 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주차가능한 자리에 주차를 시행하게 된다. 이 경우, 제2스크린(13)에는 식별정보 인쇄필름(17)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식별정보 인쇄필름(17)의 식별정보에 대한 문구 형상을 보고, 업체정보나 호실정보를 확인하여 어느 곳에 주차를 시행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등록자가 자신이 소유한 주차면에 주차된 차량을 운행하여 건축물 주차장 출구로 빠져나가게 되는 경우,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30)가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출차측 차량번호변환부(53)에서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30)가 촬영한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차량번호 문자정보로 변환하게 되며,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가 차량번호 등록부(51)상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출차정보를 기록하고, 지인이나 방문객과 같이 차량번호 등록부(51)상에 변환된 차량번호 문자정보가 없는 경우 방문객차량으로 출차확인부(55)에 출차정보를 기록한다. 이 경우, 입출차 관리부(57)는 출차확인부(55)와 연동하여 출차정보를 입력받고, 주차 가능한 전체 전차면 수에서 1를 더하여 기록하게 된다.
다음, 출차확인부(55)에서는 출차정보의 생성시에 주차면 개방제어부(56)로 주차불가신호를 전송하고, 주차면 개방제어부(56)에서 스크린제어부(19)로 주차불가신호를 전달하며, 주차불가신호를 입력받은 스크린제어부(19)에서 구동모터(18)에 역회전신호를 발생시켜 주차면의 입구측에 제1스크린(12)이 펼쳐지도록 하면서 제2스크린(13)이 권취되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15)를 턴 오프시킨 상태에서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16)를 턴온 시키게 된다. 따라서, 주차를 시행하는 운전자는 제2스크린(13)에 투영된 주차불가 로고 이미지(16a1)의 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해당 주차면에 주차를 진행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주차 관리 시스템은 방문차량이 제1스크린(12)과 제2스크린(13)의 상태를 확인하여 주차가 가능하지 아니면 주차가 불가능한지 알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주차면 개폐장치 11 : 원통형롤러
12 : 제1스크린 13 : 제2스크린
14 : 스크린수용체 15 :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
16 :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 17 : 식별정보 인쇄필름
18 : 구동모터 19 : 스크린제어부
20 :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30 :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40 : 주차면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50 : 주차관제서버
51 : 차량번호 등록부 52 : 입차측 차량번호변환부
53 : 출차측 차량번호변환부 54 : 입차확인부
55 : 출차확인부 56 : 주차면 개방제어부
57 : 입출차 관리부 60 : 입주측 스마트폰
70 : 관리자단말

Claims (4)

  1. 주차가능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주차면을 개방시키고, 주차불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주차면을 폐쇄시키는 주차면 개폐장치;
    건축물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건축물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되며, 건축물의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건축물의 주차면 주변에 설치되어, 건축물 주차면 각각에 주차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주차면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및,
    건축물 내의 차량의 입차시 상기 입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 및 상기 출차측 차량번호 감시카메라와 연동하여 입출시 각각에 대한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차량번호 영상정보를 문자정보로 변환하며, 입차시 변환된 문자정보가 등록 차량인 경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를 개방상태로 전환되도록 주차가능신호를 출력시키고, 입차시 변환된 문자정보가 미등록 차량인 경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를 폐쇄되도록 주차불가신호를 출력시키는 주차관제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주차면의 입구측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원통형롤러, 상기 원통형롤러의 외주연 일부 영역에 일방향으로 권취되는 제1스크린 및, 상기 원통형롤러의 외주연 일부 영역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제1스크린의 권취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취되고 상기 제1스크린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는 롤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상기 원통형 롤러와 상기 제1스크린 및 상기 제2스크린이 수용되는 스크린수용체, 상기 스크린수용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2스크린의 주차가능 문구에 대한 투영광을 조사하는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 및, 상기 스크린수용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스크린에 주차불가 문구에 대한 투영광을 조사하는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상기 주차가능 로고라이트의 광이 조사되는 상기 제1스크린 일 면 또는 상기 주차불가 로고라이트의 광이 조사되는 상기 제2스크린의 일 면에 결합되고 표면에 식별정보 인쇄층이 인쇄되는 식별정보 인쇄필름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면 개폐장치는
    상기 스크린수용체의 주변에 결합되는 상기 원통형롤러와 연동하여 정회전시 상기 제2스크린이 펼쳐지면서 상기 제1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하고, 역회전시에 상기 제1스크린이 펼쳐지면서 상기 제2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주차관제서버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주차관제서버로부터 주차불가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에 정회전신호를 발생시켜 주차면의 입구측에 상기 제2스크린이 펼쳐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1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를 턴 온시킨 상태에서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를 턴 오프 시키며, 상기 주차관제서버로부터 주차가능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에 역회전신호를 발생시켜 주차면의 입구측에 상기 제1스크린이 펼쳐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2스크린이 권취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차가능 로고 라이트를 턴 오프시킨 상태에서 상기 주차불가 로고 라이트를 턴 온시키는 스크린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0220009373A 2022-01-21 2022-01-21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45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373A KR102453544B1 (ko) 2022-01-21 2022-01-21 주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373A KR102453544B1 (ko) 2022-01-21 2022-01-21 주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544B1 true KR102453544B1 (ko) 2022-10-11

Family

ID=8359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373A KR102453544B1 (ko) 2022-01-21 2022-01-21 주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5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62Y1 (ko) * 2004-03-10 2004-08-21 선상규 다중 롤 스크린 장치
KR20060088153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329B1 (ko) 2019-09-26 2020-06-30 지에스(주) 공동주택 주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62Y1 (ko) * 2004-03-10 2004-08-21 선상규 다중 롤 스크린 장치
KR20060088153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터널진입 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329B1 (ko) 2019-09-26 2020-06-30 지에스(주) 공동주택 주차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697B1 (ko)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07203B1 (ko)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한 주차차단기 자동 출입 및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차단기 개폐 시스템
CA2953503C (en) Security control system for granting access and security control method thereof
ITTO991158A1 (it) Procedimento per rilevare l'accesso ad aree controllate e relativo sistema.
JP4357247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A29521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JP2006238304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装置
KR102128329B1 (ko) 공동주택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453544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JP2902034B2 (ja) 駐車場管理装置
KR102092836B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JP5991798B2 (ja) 集合住宅の管理装置
KR20220155815A (ko) 주차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915109B1 (ko) 주차 방문자 확인 방법
KR102006802B1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KR20140077651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WM560675U (zh) 停車場資訊顯示裝置與停車場管理系統
JP2006350947A (ja) 宅配ボックス
KR100638524B1 (ko) 무인 방문증 발급 장치
KR101654481B1 (ko) 차량 차단 장치를 이용한 차량 통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8898886B (zh) 一种停车场车位管理方法、系统和服务器
KR20010088909A (ko)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KR20220134182A (ko) 방문예약을 제공하는 주차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220168931A (ko) 주차 차단기 출입용 단지/세대별 비밀번호 등록 원격 자동등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