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479B1 -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479B1
KR102453479B1 KR1020200134530A KR20200134530A KR102453479B1 KR 102453479 B1 KR102453479 B1 KR 102453479B1 KR 1020200134530 A KR1020200134530 A KR 1020200134530A KR 20200134530 A KR20200134530 A KR 20200134530A KR 102453479 B1 KR102453479 B1 KR 10245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llent
water
manufacturing
yarn
tubular band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075A (ko
Inventor
유신열
Original Assignee
유신열
주식회사 엘림리커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열, 주식회사 엘림리커버스 filed Critical 유신열
Priority to KR102020013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4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0021
    • A61F13/0004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6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2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093Wound bandages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314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 A61F2013/00319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to make surface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4Stiffening bandages, e.g. with plaster of Pa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 붕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수성과 수분 흡수성 및 통기성을 개선한 관상 붕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은 일부에서는 땀이 흡수되고, 일부에서는 외부 수분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골이 형성되어 발수성과 수분흡수성 및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관상 붕대를 제안함으로써, 냄새와 피부발진, 습진 등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인공화합물의 사용을 배제하고 천연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알러지나 아토피 반응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Stockinet and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okinet}
본 발명은 관상 붕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수성과 수분 흡수성 및 통기성을 개선한 관상 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상 붕대는 압축력과 탄성력이 있는 붕대로, 통상적으로 염좌나 골절부위에 부목을 시술하기 전에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상 붕대는 정형외과용 부목의 시술이 용이하여야 하고, 장시간 착용하여야 하므로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어야 하며, 딱딱한 부목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완충기능을 보유하여야 하고, 땀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발수성과 통기성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종래의 특허 '정형외과용 발수 관상 붕대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0826214호(2008.04.23.)'은 고분자 아크릴 소재의 불소계열 발수제를 사용하여 발수성을 높였는데, 이러한 화학 발수제를 코팅한 관상 붕대는 환자 피부와의 접촉시 가려움증, 두드러기, 피부 알러지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발수 코팅제의 원가가 비싸 관상 붕대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발수성만 개선될 뿐, 붕대 내부에서 발생하는 땀과 같은 수분을 흡수하여 방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내부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정형외과용 발수 관상 붕대 및 그 제조방법(한국등록특허 제10-0826214호(2008.04.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부에서는 땀이 흡수되고, 일부에서는 외부 수분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골이 형성되어 발수성과 수분흡수성 및 통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보습력과 향균작용까지 보유하게 함으로써, 냄새와 피부발진, 습진 등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관상 붕대와 그 제조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인공화합물의 사용을 배제하고 천연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알러지나 아토피 반응을 최소화 한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관상 붕대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관상 붕대 제조방법은 전처리기가 섬유 가닥의 밀도가 낮은 발수부와, 상기 섬유가닥의 밀도가 높은 투습부가 일렬로 교번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섬유 가닥의 일부분을 공압으로 압착하여 선택발수형 실을 제조하는 실 전처리 단계, 발수제 제조기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에 흡수될 발수제를 제조하는 발수제 제조단계, 압력탱크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에 상기 발수제를 흡수시키고 상기 실을 세척시키는 세척 및 발수제 흡수 단계, 탈수기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탈수시키는 탈수 단계, 건조기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직조기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으로 상기 관상 붕대를 직조하는 직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수제 제조 단계는 세탁용 세제와 코코넛유를 10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발수제 원액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와, 섭씨 40~60도의 물에 상기 발수제 원액을 100 : 1의 비율로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 및 발수제 흡수 단계는 상기 압력 탱크에 상기 발수제를 60% 내지 70% 채우는 발수제 주입 단계와, 상기 압력 탱크 내부 공기를 1.5K ~ 2.5K 로 10분 ~ 20분 동안 가압하는 압력 인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수 단계는 물을 분사하며 상기 보빈에 정련된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습식 회전 단계와, 상기 습십 회전 단계에 후행되며, 공압을 가하며 상기 보빈에 정련된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건식 회전 단계 및, 상기 건식 회전 단계에 후행되며, 첨가물을 포함하는 물을 분사하며 상기 보빈에 정련된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첨가물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식 회전 단계는 다회 시행되고, 상기 습식 회전 단계가 반복될수록,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식 회전 단계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는 섭씨 40도 내지 60도 이고, 상기 보빈을 회전 시키는 속도는 10rpm 내지 3000rp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식 회전 단계에서 상기 보빈에 가해지는 공압은 1.5K 내지 2.5K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물은 식물성 추출물과 식용 미생물을 물에 희석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섭씨 180~190도에서 1분 내지 5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본 발명의 관상 붕대는 다수의 섬유가닥을 겹친 실 형태이며, 상기 섬유가닥의 밀도가 낮은 발수부와, 상기 섬유가닥의 밀도가 높은 투습부가 일렬로 교번되어 형성된 선택발수형 실;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발수형 실로 직조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면의 표면조도는 타면의 표면조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상 붕대를 제조하는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제조하는 전처리기와, 상기 선택발수형 실에 흡수되는 발수제를 제조하는 발수제 제조기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감아 정련하는 보빈과, 상기 선택발수형 실에 상기 발수제가 스며들도록 가압하는 압력탱크와, 상기 발수제가 흡수된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탈수시키는 탈수기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직조하여 관상형으로 붕대의 형태를 제작하는 직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빈은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은 일부에서는 땀이 흡수되고, 일부에서는 외부 수분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표면에 골이 형성되어 발수성과 수분흡수성 및 통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보습력과 향균작용까지 보유하게 함으로써 피부발진, 습진 등을 방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공화합물의 사용을 배제하고 천연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알러지나 아토피 반응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상 붕대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상 붕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상 붕대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상 붕대의 발수성을 실험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상 붕대를 착용했을 시의 발열 정도를 종래의 관상붕대와 비교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압력 탱크의 사진이다.
도 8은 탈수기의 사진이다.
도 9는 직조기의 사진이다.
도 10은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보빈의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관상 붕대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발수제 제조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세척 및 발수제 흡수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탈수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는 일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붕대로써, 선택발수형 실(10)을 직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발수형 실(10)은 일부분은 발수성을 띠고 일부분을 수분을 흡수 할 수 있는 실으로써, 다수의 섬유가닥을 겹친 실 형태이되 섬유가닥의 밀도가 낮은 발수부(11)와, 섬유가닥의 밀도가 높은 투습부(12)가 일렬로 교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추후 발수제를 선택발수형 실(10)에 흡수시킬 때 섬유 가닥의 밀도가 낮게 형성된 발수부(11)의 경우, 발수제의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발수성이 높고, 섬유 가닥의 밀도가 높게 형성된 투습부(12)의 경우 발수제의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수성이 낮아져 수분의 흡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의 소재는 의류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경우에는 300데니어, 96 필라멘트의 원사를 다시 3~4개 정도 합사한 가연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폴리에스테르 가연사를 환편기에 투입하되 여기에 40데니어, 75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스판사 1가닥을 함께 합사하여 사용함으로써 신축성을 보유하도록 하며, 위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대신 폴리프로필렌 가연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의 일면, 즉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의 경우 표면조도가 낮아 비교적 평편한 구조일 수 있다. 반면, 사람의 피부와 닿지 않는 반대면의 경우 표면조도가 일면보다 높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골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관상 붕대(100)는 사람의 신체에 씌워질 수 있도록 탄성, 연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관상 붕대(100)가 사람의 신체에 적용되었을 시, 즉 늘어난 상태에서, 타면에 형성된 골이 드러날 수 있다. 도 2의 (a)는 관상 붕대(100)가 사람의 신체에 씌워지기 전 즉, 텐션이 가해지기 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관상 붕대(100)가 사람의 신체에 씌워져 텐션이 가해진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의(b)와 같이,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는 사람의 신체에 적용될 때 타면에 형성된 골이 드러날 수 있다.
타면의 골, 즉 들어간 부분에는 발수부(11)가 위치하도록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타면의 돌출된 부분에는 투습부(12)가 위치하도록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상 붕대(100)가 사람의 피부에 적용되었을 시, 타면의 골 부분은 밀도가 낮고, 강성이 낮아 사람의 피부와 밀접하게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타면의 돌출된 부분은 밀도가 높고 강성이 높아 사람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상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은 타면의 돌출된 부분에 위치한 투습부(12)에 흡수되기 쉽고, 타면의 골에 위치한 발수부(11)를 통해 발수되기 쉬워질 수 있다. 또한, 타면의 골에 위치한 발수부(11)를 통해 외부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문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자료로서 본 발명의 도 3 내지 도 5를 제시한다. 도 3은 관상 붕대(100)의 완성 사진이며, 사진에 보이는 면은 상기 문장에서 설명한 관상 붕대(100)의 타면이다. 외부에 골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관상 붕대(100)의 발수성을 실험한 사진으로, 관상 붕대(100)의 표면에 물을 떨어뜨렸을 때 물이 흡수되지 않고 뭉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관상 붕대(100)의 통기성을 실험한 사진으로 왼쪽이 종래의 붕대를 착용한 것이고, 오른 쪽이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를 착용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를 착용했을 때 표면 온도가 사람의 신체 표면 온도와 거의 비슷한 것을 알 수 있고, 붕대가 착용된 부분의 공기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의 통기성이 우수함을 증명할 수 있다.
이하로, 도 6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200)에 대해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를 제조하는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200)은, 전처리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기(210)는 선택발수형 실(10)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처리기(210)는 선택발수형 실(10)에 발수부(11)와 투습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수제 제조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수제 제조기(220)는 선택발수형 실(10)에 흡수되는 발수제를 제조할 수 있다. 발수제 제조기(220)에서 제조되는 발수제는 세탁용 세제의 발수 효과를 보다 극대화 시키기 위해 세탁용 세제에 기름을 첨가한 것일 수 있다. 세탁용 세제와 기름을 10 : 1의 비율로 혼합한 발수제 원액을 섭씨 40~60도의 물에 발수제 원액을 100:1의 비율로 희석한 것일 수 있다. 이 때, 기름은 코코넛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관상붕대(100)는 발수력이 뛰어나고 보습력 및 향균성을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코넛유는 라우르산 향균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코코넛유가 발수제에 포함됨에 따라 냄새 문제를 개선할 수 있고, 보습 능력이 뛰어나 아토피에 효과를 보일 수 있으며, 상처에 피부염이나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230)은 선택발수형 실(10)을 감아 정련할 수 있으며, 추후 설명한 압력 탱크(240)와, 탈수기(250)와, 건조기(260)와, 직조기(270) 등에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압력 탱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탱크(240)의 사진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압력 탱크(240)는 선택발수형 실(10)에 발수제가 스며들도록 공압을 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압력 탱크(240)에 발수제를 60% 내지 70% 채우고, 남은 공기에 공압을 가하여 선택발수형 실(10)에 발수제가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압력 탱크(240) 내부 공기는 1.5K ~ 2.5K의 세기로 10분 ~ 20분 동안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수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수기(250)의 사진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탈수기(250)는 선택발수형 실(10)에 발수제와 함께 흡수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기구로써, 보빈(230)에 정련된 선택발수형 실(10)을 회전시켜 실을 탈수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선택발수형 실(10) 미온수가 분사된 상태에서 회전된 후, 공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추가로 회전되고, 이후 첨가물이 희석된 물이 분사되면서 더 회전되어 탈수됨과 동시에 첨가물이 코팅될 수 있다.
보빈(230)이 미온수가 분사되는 상태에서 회전할 때, 미온수의 온도는 섭씨 40도 내지 60도 일 수 있고, 미온수가 분사되는 상태에서 보빈(230)은 약 1분씩 다번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빈을 회전시키는 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횟수에서 보빈은 10rpm의 속도로 회전될 수 있고, 이후 점진적으로 회전속도가 빨라지면서 최종적으로 보빈은 3000rpm의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후, 보빈(230)이 공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회전할 때, 가해지는 공압의 크기는 1.5K 내지 2.5K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보빈(230)이 첨가물이 희석된 물이 분사되는 상태에서 회전할 때, 보빈은 1분씩 3회 반복될 수 있다. 이 때, 첨가물은 병풀 추출물일 수 있다. 병풀 추출물은 아르지닌 성분을 가지고 있어 피부 케어에 좋고, 티트리, 아미노산 성분을 포함하여 피부강화 및 회복 효과가 있기 때문에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키는 것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첨가물(병풀 추출물)과 물의 희석 비율은 첨가물 : 물 = 1 :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260)는 180도 내지 190도의 온도에서 1분 내지 5분의 시간 동안 선택발수형 실(10)에 열을 가하여 선택발수형 실(10)을 건조시킬 수 있다. 통상의 건조기(260)보다 고온에서 단시간에 실을 건조시키는 것으로써 살균효과를 볼 수 있고, 또한 섬유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실의 축소를 최소화 하여 상술한 발수부(11)와 관상 붕대(100)의 타면의 골이 원활히 형성되어 통풍이 용이해지고 냄새가 덜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직조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직조기(270)의 사진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직조기(270)는 선택발수형 실(10)을 직조하여 관상형으로 붕대의 형태를 제작할 수 있다. 직조기(270)는 각각 다른 섬유 재질로 제작된 선택발수형 실(10) 5개를(폴리에스터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한 라인 당 40개씩 배치하여 한 라인에 총 240개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라인을 총 12개 이상 배치하여 관상 붕대(100)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이하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빈(230)에 대해 설명한다.
보빈(2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홀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발수제가 선택발수형 실(10)에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압력 탱크(240)나 탈수기(250) 및 건조기(260)와 같은 가혹환경에서 파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보빈(230)의 실제 사진이다.
이하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관상 붕대(100)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관상 붕대(100)를 제조하는 관상 붕대(100) 제조방법은 전처리기(210)가 섬유 가닥의 밀도가 낮은 발수부(11)와, 섬유가닥의 밀도가 높은 투습부(12)가 일렬로 교번되어 형성되도록 섬유 가닥의 일부분을 공압으로 압착하여 선택발수형 실(10)을 제조하는 실 전처리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수제 제조기(220)가 선택발수형 실(10)에 흡수될 발수제를 제조하는 발수제 제조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력 탱크(240)가 선택발수형 실(10)에 발수제를 흡수시키고 실을 세척시키는 발수제 흡수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탈수기(250)가 선택발수형 실(10)을 탈수시키는 탈수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기(260)가 선택발수형 실(10)을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단계(S500)는 선택발수형 실(10)을 섭씨 180~190도에서 1분 내지 5분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직조기(270)가 선택발수형 실(10)으로 관상 붕대(100)를 직조하는 직조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수제 제조 단계(S2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용 세제와 식용유를 10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발수제 원액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210)와, 섭씨 40~60도의 물에 발수제 원액을 100:1의 비율로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수제 흡수 단계(S3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탱크(240)에 발수제를 60% 내지 70% 채우는 발수제 주입 단계(S310)와, 압력 탱크(240) 내부 공기를 1.5K ~ 2.5K 로 10분 ~ 20분 동안 가압하는 압력 인가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수 단계(S4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분사하며 보빈에 정련된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습식 회전 단계(S410)와, 습십 회전 단계에 후행되며, 공압을 가하며 보빈에 정련된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건식 회전 단계(S420) 및, 건식 회전 단계에 후행되며, 첨가물을 포함하는 물을 분사하며 보빈에 정련된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첨가물 투입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습식 회전 단계(S410)는 다회 시행될 수 있으며,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보빈(230) 회전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보빈(230)은 10rpm으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마지막회에는 3000rpm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분사되는 미온수의 온도는 40도 내지 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식 회전 단계(S420)에서 가해지는 공압의 크기는 1.5K 내지 2.5K 인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물 투입 단계(S430)에서 첨가되는 첨가물은 병풀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병풀 추출물과 물은 1 : 200의 비율로 혼합되어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 회전 단계(S410)의 내정된 시행 횟수를 n회라 할 때, n회째 보빈 회전단계(S410)가 완료된 이후, 보빈 회전 단계(S410)와 동일하게 시행되되 탈수기(250)에 첨가물을 투입하는 첨가물 투입 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첨가물은 식물성 추출물(병풀 추출물)과 식용 미생물을 물에 희석한 것일 수 있다.
100 : 관상 붕대
10 : 선택발수형 실
11 : 발수부
12 : 투습부
200 :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
210 : 전처리기
220 : 발수제 제조기
230 : 보빈
240 : 압력 탱크
250 : 탈수기
260 : 건조기
270 : 직조기

Claims (13)

  1. 일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관상 붕대를 제조하는 관상 붕대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처리기가 섬유 가닥의 밀도가 낮은 발수부와, 상기 섬유가닥의 밀도가 높은 투습부가 일렬로 교번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섬유 가닥의 일부분을 공압으로 압착하여 선택발수형 실을 제조하는 실 전처리 단계;
    발수제 제조기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에 흡수될 발수제를 제조하는 발수제 제조단계;
    압력탱크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에 상기 발수제를 흡수시키고 상기 실을 세척시키는 세척 및 발수제 흡수 단계;
    탈수기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탈수시키는 탈수 단계;
    건조기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직조기가 상기 선택발수형 실로 상기 관상 붕대를 직조하는 직조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단계는 물을 분사하며 보빈에 정련된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습식 회전 단계와,
    상기 습식 회전 단계에 후행되며, 공압을 가하며 상기 보빈에 정련된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건식 회전 단계 및,
    상기 건식 회전 단계에 후행되며, 첨가물을 포함하는 물을 분사하며 상기 보빈에 정련된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회전시키는 첨가물 투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회전 단계는 다회 시행되고,
    상기 습식 회전 단계가 반복될수록, 상기 보빈을 회전시키는 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제조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회전 단계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는 섭씨 40도 내지 60도 이고,
    상기 보빈을 회전 시키는 속도는 10rpm 내지 3000r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제조 방법.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식물성 추출물과 식용 미생물을 물에 희석한 것인 관상 붕대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섭씨 180~190도에서 1분 내지 5분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제조 방법.
  10. 일면이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관상 붕대에 있어서,
    다수의 섬유가닥을 겹친 실 형태이며, 상기 섬유가닥의 밀도가 낮은 발수부와, 상기 섬유가닥의 밀도가 높은 투습부가 일렬로 교번되어 형성된 선택발수형 실;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발수형 실로 직조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면의 표면조도는 타면의 표면조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12. 제 10항의 관상 붕대를 제조하는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상 붕대를 제조하는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제조하는 전처리기와,
    상기 선택발수형 실에 흡수되는 발수제를 제조하는 발수제 제조기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감아 정련하는 보빈과,
    상기 선택발수형 실에 상기 발수제가 스며들도록 가압하는 압력탱크와,
    상기 발수제가 흡수된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탈수시키는 탈수기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선택발수형 실을 직조하여 관상형으로 붕대의 형태를 제작하는 직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붕대 제조 시스템.
KR1020200134530A 2020-10-16 2020-10-16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245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30A KR102453479B1 (ko) 2020-10-16 2020-10-16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530A KR102453479B1 (ko) 2020-10-16 2020-10-16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075A KR20220051075A (ko) 2022-04-26
KR102453479B1 true KR102453479B1 (ko) 2022-10-17

Family

ID=8139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530A KR102453479B1 (ko) 2020-10-16 2020-10-16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4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68A (ja) 2002-01-15 2004-01-08 New Cast Industry Co Ltd ギブス,ギブス施術方法
JP2008500127A (ja) 2004-05-21 2008-01-10 アピメッド メディカル ハニー リミティド 創傷包帯
KR100826214B1 (ko) 2007-09-10 2008-08-29 비엘테크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발수 관상붕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672366B1 (ko) 2016-06-16 2016-11-03 김경철 데님의류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066B1 (ko) * 2001-09-25 2005-06-02 주식회사 티앤엘 정형외과용 부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468A (ja) 2002-01-15 2004-01-08 New Cast Industry Co Ltd ギブス,ギブス施術方法
JP2008500127A (ja) 2004-05-21 2008-01-10 アピメッド メディカル ハニー リミティド 創傷包帯
KR100826214B1 (ko) 2007-09-10 2008-08-29 비엘테크 주식회사 정형외과용 발수 관상붕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672366B1 (ko) 2016-06-16 2016-11-03 김경철 데님의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075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1231B (zh) 防水医疗绷带产品
US5540964A (en) Moisture transport cast lining material for use beneath an orthopedic cast, being in the form of a fabric and consisting essentially of synthetic hydrophobic fibers or a blend of synthetic hydrophobic fibers and a second different fiber
JP5128473B2 (ja) カルボキシメチル化セルロース系創傷包帯ガーメント
KR20110052009A (ko) 탄력성 및 통풍성이 개선된 의료용 압박붕대
JP2006200093A (ja) シルクニット地
US5038447A (en) Method for producing silk felt and composition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2453479B1 (ko) 관상 붕대와 그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US20130037248A1 (en)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7521047A (ja) 医療用包帯製品
CN205474218U (zh) 一种吸湿快干全棉纱布
CN206678485U (zh) 抗菌面膜基布
CN111645378A (zh) 一种透气易清洗羽绒服面布及其生产工艺
KR101659963B1 (ko) 동사와 한지사를 이용한 양말의 제조방법
KR102127317B1 (ko) 허브를 이용한 인견직물로 제조된 수의 및 이의 제조 방법
Alamgir et al. Fibers, surgical dressings, and bandages of natural origin
AU2013331379A1 (en)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8115999A (zh) 具有抗菌吸湿功能的内衣面料
KR20120038061A (ko) 닥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스타킹
KR20170113898A (ko) 보습과 항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6009095A1 (es) Tejidos textiles funcionales
CN104041943B (zh) 保健苎麻袜及其织造方法
CN219486792U (zh) 一种高透气性吸湿针织布
CN203934668U (zh) 一种保健苎麻袜
Halavska et al. Development & research on consumer properties of integrated two-layer weft knitted fabric from eco-raw materials
CN203923575U (zh) 一种高苎麻含量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