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230B1 -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230B1
KR102453230B1 KR1020200141150A KR20200141150A KR102453230B1 KR 102453230 B1 KR102453230 B1 KR 102453230B1 KR 1020200141150 A KR1020200141150 A KR 1020200141150A KR 20200141150 A KR20200141150 A KR 20200141150A KR 102453230 B1 KR102453230 B1 KR 102453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attress
cushion body
vibration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501A (ko
Inventor
윤창한
Original Assignee
윤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한 filed Critical 윤창한
Priority to KR102020014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2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using shock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프레임에 올려져 사용하거나 거실 또는 방바닥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 내부에 음향을 증폭하여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체와 이 음향발생체로부터 발생된 음향을 증폭 전달하여 매트리스가 진동 울리도록 하는 진동울림체를 구비하여 음향발생체를 통해 발생된 음향이 진동울림체에 전달되어 매트리스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파의 파형에 의한 안마기능이 진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향발생체와 스마트기기를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게임이나 영화 또는 음악을 플레이할 때 음향이 음향발생체를 통해 발생되어 진동울림체에 의해 매트리스 전체를 통해 매트리스에 누운 사용자에게 진동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입체음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며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소음이 매트리스의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소음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massage type mattress with sonic vibration device}
본 발명은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발생체와 진동울림체에 의해 음향발생체로부터 발생된 음향을 통해 진동울림체가 진동되면서 음파의 파형에 의해 마사지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향발생체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거나 게임을 하거나 영상을 볼 때 매트리스를 통해 입체음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한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매트리스는 쿠션기능을 하는 스프링 또는 라텍스층이 고정되는 본체와, 본체 상측에 안착되는 소정 두께의 솜과 직물지를 적층시켜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층과, 본체와 쿠션층을 감싸 재봉되는 커버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매트리스는, 매트리스 자체의 쿠션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워 숙면이나 휴식을 취할 때 편안한 상태로 숙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장기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 허리 또는 관절부위에 통증을 유발하여 피로감을 느끼고 수면후에도 허리가 뻐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에 누운 상태에서 안마가 이루어지도록 한 안마기능을 갖는 매트리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개 안마기능을 갖는 매트리스의 경우 매트리스 내부에 진동모터나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안마구를 다수 삽입하여 필요시 작동시켜 매트리스에 누운 사용자에 대해 안마가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안마기능을 갖는 매트리스는, 안마부재로서 진동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적용하고 있음에 따라 안마기능의 수행 시에 안마부재의 작동에 의한 소음발생에 의해 매트리스가 설치된 실내가 온통 안마 매트리스의 작동소음으로 가득 차게 되어 불쾌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안마부재의 작동에 의한 소음과 진동이 매트리스가 설치된 바닥까지 전달됨은 물론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아랫층까지 소음과 진동이 그대로 전달되어 층간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 모든 사람들에게 불편을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동모터의 떨림에 의해 안마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안마 효과가 미미하여 진정한 안마 매트리스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고, 매트리스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안마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의 작동 특성상 안마구에 대한 일정 거리의 진퇴 작동 공간의 확보가 요구되기 때문에 매트리스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져 매트리스의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진동에 의해 안마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침대용 매트리스에 대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다.
일예로, 공개특허 10-2017-0061650호인 진동수단이 구비된 침대용 매트리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향 개구된 관통된 설치부가 형성된 매트리스와, 상기 설치부에 삽입 설치되며 되며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진동수단은 서로 마주하며 매트리스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판상의 제1설치부재와 제2설치부재로 이루어진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에 구비되어 설치부재에 매트리스의 두께 방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과, 일측은 상기 제1설치부재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2설치부재에 연결되어 설치부재에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과, 일측은 상기 제1설치부재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2설치부재에 연결되어 설치부재의 상하 진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진동발생수단을 영구자석과 코일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진동 발생에 따른 소음발생을 최소화하며 맛사지용은 물론 수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진동 발생시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발지지부와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진동에 의하여 신체가 이동되어 진동 전달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진동발생수단이 영구자석과 코일에 의해 이루어져 코일에 전원이 전달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영구자석이 당겼다 밀어지면서 성치부재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매트리스 전체에 대해 고르게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되어 진동에 의한 마사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지 진동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안마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진동 안마수단을 갖는 매트리스의 경우 단지 매트리스에 누운 사용자에게 진동에 의한 안마기능만을 전달해주기 때문에 부피가 큰 매트리스가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 기능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7-0061650호(2017.06.05.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65722호(2002.02.08. 등록)
본 발명은 매트리스 내부에 우퍼음향발생체와 진동울림체를 구비하여 우퍼음향발생체를 통해 발생된 음향이 진동울림체에 전달되어 매트리스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파의 파형에 의한 안마기능이 진행되도록 하고 우퍼음향발생체와 무선으로 스마트기기를 연결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게임이나 영화 또는 음악을 플레이할 때 음향이 우퍼음향발생체를 통해 발생되어 진동울림체를 통해 매트리스 전체를 통해 매트리스에 누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입체음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며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소음이 매트리스의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소음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는, 복수개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제1쿠션체와 상기 제1쿠션체 상단에 안착되는 제2쿠션체를 포함하는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음향발생체에 의해 발생된 증폭음향을 제1쿠션체 및 제2쿠션체측으로 전달하여 제1쿠션체 및 제2쿠션체에 증폭음향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매트리스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측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울림체와; 상기 진동울림체에 의해 전달된 증폭음향이 진동울리도록 상기 진동울림체에 증폭음향을 전달하는 음향발생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진동울림체는, 상기 제1쿠션체가 상단에 올려지는 울림베이스판과; 상기 울림베이스판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연장되고 하단에 개방부를 갖는 통형 울림부와; 상기 통형 울림부 일측에 구비되는 음향제어부와; 상기 제1쿠션체에 관통되되 상기 울림베이스판과 대응되게 관통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증폭된 음향을 상기 울림베이스판에 전달하는 음향증폭스피커와; 상기 음향증폭스피커를 제1쿠션체에 안착 고정하는 고정판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침대프레임에 올려져 사용하거나 거실 또는 방바닥에 올려 놓고 사용하는 매트리스 내부에 음향을 증폭하여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체와 이 음향발생체로부터 발생된 음향을 증폭 전달하여 매트리스가 진동 울리도록 하는 진동울림체를 구비하여 음향발생체를 통해 발생된 음향이 진동울림체에 전달되어 매트리스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음파의 파형에 의한 안마기능이 진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음향발생체와 스마트기기를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게임이나 영화 또는 음악을 플레이할 때 음향이 음향발생체를 통해 발생되어 진동울림체에 의해 매트리스 전체를 통해 매트리스에 누운 사용자에게 진동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입체음향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며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소음이 매트리스의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소음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가 침대프레임 상단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확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저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의 음향발생체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제1쿠션체(1)와 상기 제1쿠션체(1) 상단에 안착되는 제2쿠션체(2)를 포함하는 매트리스(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매트리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바닥이나 거실 바닥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침대프레임 상단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하는 것으로, 제1쿠션체(1)와 제2쿠션체(2)에 의한 쿠션효과를 기대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진동울림체(10)와, 음향발생체(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울림체(10)는, 상기 제1쿠션체(1)의 하단에 구비되어 음향발생체에 의해 발생된 증폭음향을 제1쿠션체(1) 및 제2쿠션체(2)측으로 전달하여 제1쿠션체(1) 및 제2쿠션체(2)에 증폭음향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매트리스(100)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측에 진동을 전달하고 제1쿠션체(1)가 상단에 올려지는 울림베이스판(11)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음향발생체(20)는, 상기 진동울림체(10)에 의해 전달된 증폭음향이 진동울리도록 상기 진동울림체(10)에 증폭음향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음향발생체(20)를 통해 음향이 발생되면 상기 진동울림체(10)에 의해 매트리스(100)에 진동 울림이 전달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 앉거나 눕거나 한 후 음향발생체(20)를 작동시키면 진동울림체(10)에 의해 매트리스(100) 전체에 전달되는 진동 울림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를 음파에 의한 마사지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울림체(10)와 음향발생체(20)에 의해 매트리스(100) 전체에 발생되는 진동 울림으로 사용자의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음악을 들으면서 진동 울림에 의한 음파 마사지를 진행할 수 있어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숙면이나 휴식은 물론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매트리스를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복수개 마사지봉을 갖는 안마기능을 갖는 매트리스의 문제점인 허리 또는 관절부위에 통증을 유발하여 피로감을 느끼고 수면후에도 허리가 뻐근해지는 것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진동울림체(10)는, 상기 제1쿠션체(1)가 상단에 올려지는 울림베이스판(11)과, 상기 울림베이스판(1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연장되고 하단에 개방부(12)를 갖는 통형 울림부(1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음향발생체(20)는, 상기 통형 울림부(13) 일측에 구비되는 음향제어부(21)와, 상기 제1쿠션체(1)에 관통되되 상기 울림베이스판(11)과 대응되게 관통되는 수용부(22)와, 상기 수용부(22)에 수용되어 증폭된 음향을 상기 울림베이스판(11)에 전달하는 음향증폭스피커(23)와, 상기 음향증폭스피커(23)를 제1쿠션체(1)에 안착 고정하는 고정판(2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음향발생체(20)에 의해 발생된 음향에 의해 매트리스(100)의 제1쿠션체(1)와 제2쿠션체(2)에 증폭 진동이 전달됨이 용이하도록 상기 진동울림체(10)의 울림베이스판(11)과 통형 울림부(13)는 목재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22)는 제1쿠션체(1)에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하단이 막힌 상태로 구비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음향발생체(20)를 작동시켜 음향증폭스피커(23)를 통해 음향을 발생시키면 상기 음향증폭스피터(23)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진동울림체910)의 통형 울림부(13)측으로 증폭 음향이 전달되고 전달된 음향은 다시 통형 울림부(13)가 구비된 울림베이스판(11)에 전달된다.
또한 진동울림체(10)의 울림베이스판(11)에 음향이 전달되면 울림베이스판(11)이 전체적으로 진동 울리면서 음향을 발산하고 이에 따라 울림베이스판(11) 상단에 안착된 제1쿠션체(1) 및 이 제1쿠션체(1)의 상단에 안착된 제2쿠션체(2)에 음향에 의한 진동 울림이 그대로 전달되어 매트리스(100) 상단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의 신체에 진동 울림에 의한 음파 안마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100)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로 하여금 진동 울림에 의한 음파 안마 기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매트리스(100)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음악을 듣는 동작만으로 안마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의 신체를 두드리거나 눌러 가압하지 않고 진동 울림에 의해 매트리스(100)가 진동되는 음파 안마가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거나 하지 않아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안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발생체(20)에 의해 발생된 증폭 음향이 통형 울림부(13)가 구비된 울림베이스판(11)에 전달되면서 매트리스(100)의 제1쿠션체(1) 및 제2쿠션체(2) 측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매트리스(100)의 하부측에 대한 소음발생이 차단될 수 있어 층간소음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향제어부(21)는, 상기 수용부(22)에 수용된 음향증폭스피커(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1a)와, 상기 제어부(2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블루투스연결부(21b)와, 상기 제어부(2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악파일이 저장되는 USB화일이 꽂아지는 USB커넥터부(21c)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연결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음향제어부(21)의 블루투스연결부(21b)에 연결한 후 스마트폰에 저장된 음악파일을 재생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영화를 감상할 때 음향제어부(21)의 제어부(21a)에 의해 음향증폭스피커(23)를 통해 증폭된 음향이 발산되고 이에 따라 매트리스(100)에 앉거나 누운 사용자로 하여금 음파 진동 안마효과는 물론 입체적인 음향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 USB커넥터부(21c)에 음악파일이 저장된 USB를 꽂은 후 음향제어부(21)를 작동시킬 경우 역시 음향제어부(21)의 제어부(21a)에 의해 음향증폭스피커(23)를 통해 증폭된 음향이 발산되고 이에 따라 매트리스(100)에 앉거나 누운 사용자로 하여금 음파 진동 안마효과는 물론 입체적인 음향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진동울림체(10)의 통형 울림부(13) 양측에는 상기 울림베이스판(11)을 지지하고 상기 통형 울림부(13)에 각각 밀착되어 통형 울림부(13)를 통해 전달되는 증폭 진동이 매트리스(100)의 하단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하도록 매트리스(100)의 하단에 위치되는 흡음지지부(30)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흡음지지부(30)는 음향증폭스피커(23)를 통해 발산된 증폭 음향이 매트리스(100)의 하단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도록 스펀지나 발포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흡음지지부(30)가 진동울림체(10)의 울림베이스판(11) 하단에 밀착되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울림체(10)의 울림베이스판(11)에 증폭된 음향이 전달될 때 울림베이스판(11)의 하부측으로 음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트리스(100)의 하부측에 대한 소음발생이 차단될 수 있어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철구동체(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철구동체(40)는, 상기 진동울림체(10)의 울림베이스판(11)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철구동체(40)에 의해 상기 울림베이스판(11)을 접어지고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울림베이스판(11)에 안착된 제1쿠션체(1) 및 제2쿠션체(2)가 접어지고 펼쳐지는 것에 의해 매트리스(100)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울림베이스판(11)은 접철구동체(40)에 작동에 의해 접어지고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복수개 구획된 후 경첩으로 서로 연결됨이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진동울림체 11 : 울림베이스판
12 : 개방부 13 : 통형 울림부
20 : 음향발생체 21 : 음향제어부
21a : 제어부 21b : 블루투스연결부
21c : USB커넥터부 22 : 수용부
23 : 음향증폭스피커 24 : 고정판
30 : 흡음지지부 40 : 접철구동체

Claims (5)

  1. 복수개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제1쿠션체(1)와 상기 제1쿠션체(1) 상단에 안착되는 제2쿠션체(2)를 포함하는 매트리스(100)와, 진동울림체(10)에 의해 전달된 증폭음향이 진동울리도록 상기 진동울림체(10)에 증폭음향을 전달하는 음향발생체(2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체(1)의 하단에 구비되어 음향발생체에 의해 발생된 증폭음향을 제1쿠션체(1) 및 제2쿠션체(2)측으로 전달하여 제1쿠션체(1) 및 제2쿠션체(2)에 증폭음향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매트리스(100)에 눕거나 앉은 사용자측에 진동을 전달하고 제1쿠션체(1)가 상단에 올려지는 울림베이스판(11)을 갖는 진동울림체(10)와;
    상기 진동울림체(10)는 상기 제1쿠션체(1)가 상단에 올려지는 울림베이스판(11)과;
    상기 울림베이스판(11)의 하단으로부터 돌출연장되고 하단에 개방부(12)를 갖는 통형 울림부(13)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음향발생체(20)는 상기 통형 울림부(13) 일측에 구비되는 음향제어부(21)와;
    상기 제1쿠션체(1)에 관통되되 상기 울림베이스판(11)과 대응되게 관통되는 수용부(22)와;
    상기 수용부(22)에 수용되어 증폭된 음향을 상기 울림베이스판(11)에 전달하는 음향증폭스피커(23)와;
    상기 음향증폭스피커(23)를 제1쿠션체(1)에 안착 고정하는 고정판(2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음향제어부(21)는 상기 수용부(22)에 수용된 음향증폭스피커(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21a)와;
    상기 제어부(2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전자기기와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블루투스연결부(21b)와;
    상기 제어부(2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악파일이 저장되는 USB화일이 꽂아지는 USB커넥터부(21c)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음향발생체(20)에 의해 발생된 음향에 의해 매트리스(100)의 제1쿠션체(1)와 제2쿠션체(2)에 증폭 진동이 전달됨이 용이하도록 상기 진동울림체(10)의 울림베이스판(11)과 통형 울림부(13)는 목재로 구비되며,
    상기 진동울림체(10)의 통형 울림부(13) 양측에는 상기 울림베이스판(11)을 지지하고 상기 통형 울림부(13)에 각각 밀착되어 통형 울림부(13)를 통해 전달되는 증폭 진동이 매트리스(100)의 하단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하도록 매트리스(100)의 하단에 위치되는 흡음지지부(30)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울림체(10)의 울림베이스판(11) 하단에는 상기 울림베이스판(11)을 접어지고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울림베이스판(11)에 안착된 제1쿠션체(1) 및 제2쿠션체(2)가 접어지고 펼쳐지는 것에 의해 매트리스(100)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는 접철구동체(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1020200141150A 2020-10-28 2020-10-28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102453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50A KR102453230B1 (ko) 2020-10-28 2020-10-28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50A KR102453230B1 (ko) 2020-10-28 2020-10-28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01A KR20220056501A (ko) 2022-05-06
KR102453230B1 true KR102453230B1 (ko) 2022-10-07

Family

ID=8158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150A KR102453230B1 (ko) 2020-10-28 2020-10-28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2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88B1 (ko) * 2007-02-28 2008-10-16 목문수 진동장치를 구비하는 에어 매트
KR101418944B1 (ko) * 2013-09-11 2014-07-11 시벤스 주식회사 촉각감응형 매트리스
KR101442415B1 (ko) * 2013-06-12 2014-09-23 황양운 음향진동 에어 매트리스가 채용된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722Y1 (ko) 2001-11-20 2002-02-25 김재호 작동소음 및 진동 저감형 안마 매트리스
TW200514531A (en) * 2003-09-29 2005-05-01 Ein Co Ltd Technical Ct Cushion and acoustic system with the cushion
KR101104703B1 (ko) * 2009-07-23 2012-01-17 편두리 진동 체감 매트리스
KR20110009488U (ko) * 2010-03-31 2011-10-06 손쾌수 음향 진동형 리듬 의자
KR20170061650A (ko) 2017-05-24 2017-06-05 오성훈 진동수단이 구비된 침대용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88B1 (ko) * 2007-02-28 2008-10-16 목문수 진동장치를 구비하는 에어 매트
KR101442415B1 (ko) * 2013-06-12 2014-09-23 황양운 음향진동 에어 매트리스가 채용된 침대
KR101418944B1 (ko) * 2013-09-11 2014-07-11 시벤스 주식회사 촉각감응형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01A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3055A (en) Somatic acoustic chair
US7127075B2 (en) Acoustic vibration system with speaker for air mattresses
EP2003923B1 (en) Bone vibration sound seat
KR102655256B1 (ko) 진동에 의한 음향 인지 강화를 위해 배열된 시트
JPH0564277A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を用いた体感音響体
JP2008513138A (ja) 音及び振動の伝達パッド及び装置
WO2006091205A1 (en) Transducer for tactile applications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ransducers
KR102453230B1 (ko) 음파 진동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JP2002354567A (ja) 音響装置、音響装置を内蔵した家具及び音響装置を座席に内蔵した交通機関
JPH07323068A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JP2005348815A (ja) 振動式マッサージ装置
JPH0514996A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TW202304354A (zh) 基於外在訊號提供體感振動的椅具
TWI822396B (zh) 震動器及具有該震動器之電動床
JP7477827B1 (ja) 音響装置
JPH032281Y2 (ko)
US20230050095A1 (en) Chair capable of providing somatosensory vibration based on external signal
JPS63275295A (ja) クッション装置
JPH0537990A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TW202416873A (zh) 震動器及具有該震動器之電動床
JP2001212198A (ja) リラクゼーション用椅子
JP2000070855A (ja) 加振器と機械振動感知装置
LT5849B (lt) Garso masažo krėslas
TWM618353U (zh) 基於外在訊號提供體感振動的椅具
KR20230089953A (ko) 음파진동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