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337B1 - 운동 기구 제어 장치 및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운동 기구 제어 장치 및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337B1
KR102452337B1 KR1020170122769A KR20170122769A KR102452337B1 KR 102452337 B1 KR102452337 B1 KR 102452337B1 KR 1020170122769 A KR1020170122769 A KR 1020170122769A KR 20170122769 A KR20170122769 A KR 20170122769A KR 102452337 B1 KR102452337 B1 KR 10245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xercise equipment
correspondence
type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088A (ko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80119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운동 기구 제어 장치에 있어서, 타입 결정부는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한다. 대응 결정부는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한다. 설정 처리부는 유저의 조작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설정한다. 기구 제어부는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마다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는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운동 기구 제어 장치 및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EXERCISE INSTRUMENT CONTROLLER AND EXERCISE INSTRUMENT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운동 기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서, 예를 들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있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는 근육에 미약한 전류를 흘려 근육을 긴장 및 이완시킴으로써, 근육을 운동시켜 근력 강화를 도모하는 것이 기대된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7-6644호 공보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유저 중에는, 편하게 근력을 증강시키고 싶거나, 또는 편하게 살을 빼고 싶다고 생각하는 유저가 적지 않게 있다. 그러한 유저에게 계속 사용을 하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 방법의 효율성이나 편리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신체 부위에 사용하는 운동 기구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양태의 운동 기구 제어 장치는,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부터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하는 타입 결정부와,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하는 대응 결정부와,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 처리부와,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마다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는 기구 제어부와,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대응 결정부는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복수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할 수 있고, 설정 처리부는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기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운동 기구의 일례인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외관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정보 관리 서버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홈 화면 및 개시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장착 확인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금칙(禁則) 기준을 정한 금칙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설정하는 화면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타입 「Leg」의 부위 설정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타입 「Body」의 부위 설정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강도 설정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운동 중에 표시하는 화면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운동 기구를 인식하여 운동 타입을 특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 및 운동 강도를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운동 중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와 운동 기구 제어 장치의 사이에 있어서의 정보의 송수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으며, 본 발명의 전형적인 예일 뿐이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유저 중에는, 편하게 근력을 증강시키고 싶거나, 또는 편하게 살을 빼고 싶다고 생각하는 유저가 적지 않게 있다. 그러한 유저에게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계속 이용하게 하려면, 장치의 설정이나 조작이 간단한 것 뿐만이 아니라, 운동의 성과로서 운동 결과나 운동의 효과를 실감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장치를 동시에 간단하게 이용하고 싶은 유저나, 어느 장치를 신체의 복수의 부위로 전환하면서 이용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복수의 신체적 부위를 대상으로 복수의 장치를 동시 이용할 수 있는 사양의 경우, 보다 간단하게 설정이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편리성에 대한 유저의 요구도가 높다. 이러한 과제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운동 기구에도 적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운동 기구 제어 장치는,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부터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와,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하는 타입 결정부와,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하는 대응 결정부와,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 처리부와,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마다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는 기구 제어부와,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대응 결정부는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복수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할 수 있고, 설정 처리부는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운동 기구」는 인간을 포함하는 생물의 신체적 운동을 지원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하는 것 외, 다양한 스포츠나 미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운동 기구가 포함되어도 된다. 「소정의 통신 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 외, 유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각종 통신 수단이 포함되어도 된다. 「운동 타입」은 운동 기구의 종류여도 되고 그 운동 기구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의 종류여도 된다. 적어도 「운동 타입」은 상호의 구별로서, 운동 기구의 종류로 구별되는 개념이거나, 또는 그 운동 기구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의 종류로 구별되는 개념이면 충분하다. 「동작 내용」은, 예를 들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경우에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의한 전기 자극의 강도에 관한 설정이어도 되고, 운동 시간, 운동 횟수, 주파수, 파형 패턴의 종류와 같은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 또는 제어 내용을 결정짓는 다른 파라미터여도 된다. 「소정의 조작 수단」은 당해 운동 기구 제어 장치가 구비하는 터치 패널 등의 조작 수단이어도 되고, 운동 기구가 구비하는 설정 버튼 등의 조작 수단이어도 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는 스마트 폰이라고도 불리는 휴대 전화 단말 외, 태블릿 단말이나 게임 기기 등의 휴대 단말, 컴퓨터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 단말이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신체 부위에 사용하는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손쉽게 신체 부위별로 설정이나 조작을 할 수 있다. 또, 운동 기구의 설정이나 제어 상태에 대해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임으로써, 운동 기구를 사용한 운동의 계속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처리부는, 복수 종의 운동 기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수신하는 정보는 운동 기구의 종류마다 내용이 상이하고, 타입 결정부는 운동 기구의 종류마다 그 종류의 운동 기구로 가능한 운동 타입을 미리 기억하고,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의 종류를 특정함으로써 운동 타입을 특정하고, 대응 결정부는 운동 타입마다 그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신체 부위를 미리 기억하고, 운동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복수인 경우는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어느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의 종류를 특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운동 기구로 가능한 운동 타입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운동 기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구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필요한 경우에만 설정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복수의 운동 기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정이나 조작을 할 수 있다.
운동 기구는 전기 자극을 근육에 주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여도 되고, 설정 처리부는 동작 내용으로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의한 전기 자극의 강도를 설정해도 된다.
표시 제어부는 인체 모델의 화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운동 기구의 제어 상태에 맞춰서 운동 중인 근육의 움직임을 동적으로 나타내는 화상을 화면 표시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를 복수의 신체 부위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신체 부위마다 용이하게 설정이나 조작을 할 수 있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의 동작 중에도 시각적 효과에 의해 전기 자극을 가하고 있는 신체 부위에 집중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신체 부위마다의 운동의 결과로서, 신체 부위마다 설정되어 실행된 동작 내용에 기초하는 운동량을 신체 부위마다의 계수를 이용해서 결정하여, 누적 운동량을 기록하는 정보 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유저는 객관적인 수치에 의해 운동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어, 운동 계속을 위한 동기로 이어질 수 있다.
대응 결정부는 동일 신체 부위끼리 또는 관련 신체 부위끼리의 사용이 과다 사용에 해당하는 운동 기구의 조합을 정한 금칙 기준을 미리 기억하고, 특정된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금칙 기준에 정해진 과다 사용에 해당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고, 기구 제어부는 과다 사용에 해당하는 운동 기구와의 접속을 회피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한 번에 하나 밖에 사용할 수 없는 신체 부위에 대해서 운동 기구의 중복 설정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안전상의 이유로부터 회피해야 하는 운동 기구의 조합 또는 신체 부위의 조합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하, 각 도면에 나타내지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 공정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적당히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치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적당히 확대, 축소하여 나타내진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하여 표시한다.
<운동 기구 제어 시스템>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기구 제어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운동 기구 제어 시스템(100)은 운동 기구로서의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f)와,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서의 정보 단말과,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 서버(14)를 구비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유저에게 장착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예를 들면 유저의 복근, 옆구리, 팔, 다리 등의 각 신체 부위에 장착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유저의 근육에 미약한 전류에 의한 전기 자극을 준다.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f)는, 각각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에 있어서 실행되는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이,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f)와 통신하여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f)의 각각의 설정 및 동작을 제어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무선 LAN 등의 무선 통신이나 휴대 전화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5)에 접속하여, 정보 관리 서버(14)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정보 관리 서버(14)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에서 실행되는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관리함과 아울러,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부터 운동의 설정 정보나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다양한 정보 단말이며, 예를 들면 스마트 폰 등의 휴대 전화 단말이나 태블릿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이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f)와 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마다의 강도 설정이나 조작을 제어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단독으로도 강도 설정이나 조작이 가능하고, 유저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직접 조작해도 되고,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를 통해서 조작해도 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f)의 허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유저는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f)를 개개로 설정하여 조작하는 것보다도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를 조작하여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f)를 일괄 제어하는 쪽이 효율적이다.
<운동 기구>
도 2는 운동 기구의 일례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외관예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의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케이스 부분을 확대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2의 (c)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를 배면(背面)측에서 본 중간 부재의 외관도이고, 도 2의 (d)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의 배면도이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는 케이스(20), 커버(24), 제1 기재(基材)(26), 제2 기재(27), 제1 전극 그룹(31), 제2 전극 그룹(32), 제3 전극 그룹(33), 제4 전극 그룹(34)을 구비한다. 주로 커버(24)와 제1 기재(26)와 제2 기재(27)로 구성되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의 본체는, 인간의 복근에 장착되는 부분인 복근부(21a)와, 오른쪽 옆구리에 장착되는 부분인 오른쪽 옆구리부(21b)와, 왼쪽 옆구리에 장착되는 부분인 왼쪽 옆구리부(21c)를 포함한다.
케이스(2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의 중앙에 마련된다. 도 2의 (b)와 같이, 케이스(20)는 수지(樹脂)에 의해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형이다. 케이스(20)는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전원부 및 제어부(모두 도 3에서 후술)를 수용한다. 케이스(20)의 평면측에는, 조작부로서의 플러스 버튼(20a), 마이너스 버튼(20b), 복근 지정 버튼(20c), 및 옆구리 지정 버튼(20d)이 마련된다. 플러스 버튼(20a), 마이너스 버튼(20b), 복근 지정 버튼(20c), 및 옆구리 지정 버튼(20d)은, 케이스(20)의 일부를 도려내어 캔틸레버의 상태로 형성된다.
제1 기재(26) 및 제2 기재(27)는 중첩되어 하나의 기재를 형성한다. 커버(24)는, 예를 들면 실리콘 등의 엘라스토머(elastomer)에 의해 형성된다. 커버(24)는 제1 기재(26) 및 케이스의 평면(표면)측을 덮는다. 즉, 평면측에서부터 커버(24), 제1 기재(26), 제2 기재(27)의 순으로 중첩된다. 커버(24), 제1 기재(26), 제2 기재(27), 및 케이스(20)는, 접착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플러스 버튼(20a)을 덮는 커버(24)의 부분에는, 기호 「+」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마이너스 버튼(20b)을 덮는 커버(24)의 부분에는, 기호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복근 지정 버튼(20c)을 덮는 커버(24)의 부분에는, 문자열 「FRONT」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옆구리 지정 버튼(20d)을 덮는 커버(24)의 부분에는, 문자열 「SIDE」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재(26) 및 제2 기재(27)는, 얇은 시트 모양의 부재이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양음 한쌍의 전극을 1세트 또는 복수 세트, 포함한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의 경우, 제1 전극 그룹(31)에 전극(31a~c)이 포함되고, 제2 전극 그룹(32)에 전극(32a~c)이 포함되고, 제3 전극 그룹(33)에 전극(33a, b)이 포함되고, 제4 전극 그룹(34)에 전극(34a, b)이 포함된다. 각 전극은 제1 기재(26)의 이면(裏面) 즉 복근이나 옆구리와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어, 제2 기재(27)에 있어서의 각 전극 위치에 마련된 각 개구부로부터 각각 노출된다. 각 전극은, 도전성 잉크에 의해 구성되어, 제1 기재(26)의 이면에 인쇄된다. 전극(31a)과 전극(32a)의 사이, 전극(31b)과 전극(32b)의 사이, 전극(31c)과 전극(32c)의 사이, 전극(33a)과 전극(34a)의 사이, 전극(33b)과 전극(34b)의 사이에서 각각 통전(通電)된다. 제2 기재(27)에 있어서, 개구부(35a, b, c, d, e, f, g, h, i, j)는 각각 전극(34a, 33a, 31a, 31b, 31c, 32a, 32b, 32c, 33b, 34b)의 각각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각 개구부의 주변 및 각 전극에는, 도시하지 않은 겔 모양의 점착(粘着) 패드가 부착되어, 그 점착 패드의 점착성에 의해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가 각 신체 부위에 장착된다. 오른쪽 옆구리부(21b)의 단부(端部)와 왼쪽 옆구리부(21c)의 단부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장척(長尺) 모양의 면(面) 파스너(fastener) 밴드가 장착된다. 면 파스너 밴드를 인간의 허리 둘레를 한 바퀴 돌려 적당한 길이로 졸라 맴으로써,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가 고정된다. 점착 패드는 도전성을 가지고, 그 점착 패드를 통해서 각 전극으로부터 유저의 신체 부위에 통전된다. 점착 패드는, 예를 들면 사용에 따라서 수분량의 저하에 의한 점착력 저하나 전기 저항 증대가 생기거나, 파손되거나, 더러움이 눈에 띄게 되거나 했을 경우에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복근과 옆구리에 장착하는 타입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를 예시했지만, 다른 신체 부위에 장착하는 타입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있어서도 그 신체 부위의 장착에 적합한 형상으로 기재가 형성되어, 그 신체 부위로의 통전에 적합한 개수의 전극이 마련된다. 이후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복근 및 옆구리용 기구를 적당히 「Abs+Waist」와 같은 운동 기구명으로도표기함과 아울러, 적당히, 복근용 기구 「Abs」, 팔용 기구 「Arm」, 다리용 기구「Leg」, 임의의 신체 부위용 「Body」의 표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전원부(22), 제1 기재(26), 제어부(28)를 구비한다. 제어부(28)는 전원 제어부(50), 피부 검지부(52), 전기 자극 제어부(54), 설정부(56), 통신부(58)를 포함한다. 전원부(22)는 리튬 이온 전지 등의 2차 전지이지만, 교환 가능한 1차 전지여도 된다. 전원부(22)는 제어부(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부(28)의 각 블록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컴퓨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비롯한 소자나 기계 장치로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에 의해서 실현되지만, 여기에서는, 그것들의 연대에 의해서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여러가지 모습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명세서를 접한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도 4, 5의 각 블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원 제어부(50)는 전원부(22)의 충전을 제어함과 아울러,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부(58)를 통해서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송신한다.
피부 검지부(52)는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피부 검지부(52)는 제1 전극 그룹(31)과 제2 전극 그룹(32)의 사이, 제3 전극 그룹(33)과 제4 전극 그룹(34) 사이의 저항값을 검출한다. 피부 검지부(52)는 검출한 저항값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는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 것으로서 검지하고, 검출한 저항값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는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지 않은 것으로서 검지한다.
전기 자극 제어부(54)는 피부 검지부(52)에 의해서 전극이 피부에 접해 있는 것으로서 검지되면, 소정의 동작시간(예를 들면 23분),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주파수가 20Hz가 되는 주기)로, 전극 사이에 설정 전압을 인가한다. 즉, 예를 들면 유저의 복근 및 옆구리에 전기 자극을 준다. 설정부(56)는 상하에 배치된 플러스 버튼(20a) 및 마이너스 버튼(20b)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여, 전기 자극 제어부(54)에 의해 인가되는 설정 전압치를 증감한다. 즉, 설정부(56)는, 유저가 플러스 버튼(20a)을 누를 때마다 설정 전압치를 증가시키고, 마이너스 버튼(20b)을 누를 때마다 설정 전압치를 감소시킨다. 설정 전압치는, 예를 들면 20단계의 강도로 하여 어느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56)는 좌우에 배치된 복근 지정 버튼(20c) 및 옆구리 지정 버튼(20d)의 조작 입력을 추가로 접수하여, 복근부(21a)와 좌우의 옆구리부(21b, c) 중 어느 설정 전압치를 조작할지를 결정한다. 유저는 복근의 설정 전압치를 조작하고 싶은 경우는 복근 지정 버튼(20c)을 누르고 나서 플러스 버튼(20a) 및 마이너스 버튼(20b)으로 설정 전압치를 조정한다. 옆구리의 설정 전압치를 조작하고 싶은 경우는 옆구리 지정 버튼(20d)을 누르고 나서 플러스 버튼(20a) 및 마이너스 버튼(20b)으로 설정 전압치를 조정한다.
통신부(58)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부터 설정 전압의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부(56)에 보낸다. 통신부(58)가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부터 설정 전압치의 정보, 혹은 설정 전압치의 증가나 감소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설정부(56)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전압치를 증감시킨다. 설정 전압치의 증감이 이루어질 때마다, 전기 자극 제어부(54)는 새로운 설정 전압치로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새로운 설정 전압치, 즉 운동 강도를 유저에게 체감시켜, 확인시킨다. 통신부(58)는, 운동 중, 즉 전압 인가 중에도 운동 강도의 증감 지시를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부터 수신했을 경우는 설정 전압치를 증감시킨다. 단, 접속 중인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 이외로부터 운동 강도의 증감 지시를 수신하더라도 무시하여, 다른 장치로부터의 운동 강도의 증감 지시에는 따르지 않는다. 유저 이외의 다른 사람에 의해서 마음대로 전압치가 증감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통신부(58)는 전기 자극 제어부(54)에 의한 전압 인가 상태, 즉 운동 실행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송신해도 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
도 4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제어부(70), 통신부(71), 표시부(72)를 포함한다. 제어부(70)는 통신 처리부(60), 타입 결정부(61), 대응 결정부(62), 설정 처리부(63), 기구 제어부(64), 표시 제어부(65), 정보 관리부(66)를 포함한다.
통신부(71)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정보 관리 서버(14)와의 사이에서 휴대 전화 통신망 또는 무선 LAN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70)는 통신부(71)를 통해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나 정보 관리 서버(14)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표시부(72)는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의 터치 패널식 표시 장치로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함과 아울러, 유저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통신 처리부(6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의 사이에서 통신부(71)를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 처리부(60)가 복수 종의 운동 기구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운동 기구의 종류마다 내용이 상이하다. 예를 들면, 각 운동 기구로부터 수취한 정보에는, 그 운동 기구의 종류나 운동 타입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각 운동 기구로부터 수취한 정보에는, 유저 등록이나 개체 관리에 이용되는 개체 식별 정보나 고유한 네트워크 어드레스(MAC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타입 결정부(61)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한다. 타입 결정부(61)는 운동 기구의 종류마다 그 종류의 운동 기구로 가능한 운동 타입을 미리 기억한다. 타입 결정부(61)는, 예를 들면, 「Abs+Waist」, 「Abs」, 「Arm」, 「Leg」, 「Body」와 같은 운동 기구명 또는 운동 타입을 미리 기억한다. 타입 결정부(61)는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의 종류를 특정함으로써 운동 타입을 특정한다. 여기서, 「Abs+Waist」나 「Abs」와 같이, 운동 기구 또는 운동 타입이 특정되면 「복근+옆구리」 「복근」과 같이 기구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도 고유하게 정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운동 기구에서는 반드시 사용하는 신체 부위가 고유하게 정해지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Arm」은 오른쪽 팔과 왼쪽 팔 중 어느 쪽에 사용할지, 및 팔의 앞면과 뒷면 중 어느 쪽에 사용할지는 유저에 의한 지정이 없으면 정해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Leg」는 오른쪽 다리와 왼쪽 다리 중 어느 쪽에 사용할지, 및 다리의 앞면과 뒷면 중 어느 쪽에 사용할지는 유저에 의한 지정이 없으면 정해지지 않는다. 「Body」는 옆구리, 팔, 다리 중 어느 쪽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 의한 지정이 없으면 사용하는 신체 부위는 정해지지 않는다. 이에, 운동 기구의 종류 또는 운동 타입에 의해서, 사용하는 신체 부위의 특정을 이하와 같이 실행한다.
대응 결정부(62)는 하나 또는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각각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한다. 대응 결정부(62)는 운동 타입마다 그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신체 부위를 미리 기억한다. 대응 결정부(62)는 운동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복수인 경우, 즉 신체 부위의 특정이 필요한 운동 기구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유저에 의한 표시부(72)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어느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운동 타입 「Abs+Waist」는 신체 부위 「복근+옆구리」가 미리 대응지어져 있어, 유일한 선택 사항이기 때문에, 유저에 의한 신체 부위의 특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운동 타입 「Abs」도 유일한 선택 사항으로서 신체 부위 「복근」이 미리 대응지어져 있어, 유저에 의한 신체 부위의 특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운동 타입 「Arm」은 신체 부위 「오른쪽 팔 앞면」 「오른쪽 팔 뒷면」 「왼쪽 팔 앞면」 「왼쪽 팔 뒷면」의 4가지가 대응지어져, 어느 것에 대한 특정을 필요로 한다. 운동 타입 「Leg」는 신체 부위 「오른쪽 다리 앞면」 「오른쪽 다리 뒷면」 「왼쪽 다리 앞면」 「왼쪽 다리 뒷면」의 4가지가 대응지어져, 어느 것에 대한 특정을 필요로 한다. 운동 타입 「Body」는 신체 부위 「오른쪽 팔」 「왼쪽 팔」 「 오른쪽 옆구리」 「왼쪽 옆구리」 「오른쪽 다리」 「왼쪽 다리」의 6가지가 대응지어져, 어느 것에 대한 특정을 필요로 한다.
대응 결정부(62)는 동일 신체 부위끼리 또는 관련 신체 부위끼리의 사용이 과다 사용에 해당하는 운동 기구의 조합을 정한 금칙 기준을 미리 기억하고, 특정된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금칙 기준에 정해진 과다 사용에 해당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동일 신체 부위끼리, 예를 들면 동시에 하나 밖에 운동 기구를 장착할 수 없는 「복근」과 같은 신체 부위에 관해서는, 그러한 신체 부위에 동시에 복수 장착되는 것을 금칙 기준에 의해 회피한다. 관련 신체 부위끼리, 예를 들면 동시에 복수 장착되면 신체의 자유를 빼앗길 수도 있는 「팔」과 같은 신체 부위에 관해서도 또한, 그러한 신체 부위에 동시에 복수 장착되는 것을 금칙 기준에 의해 회피한다. 양쪽 팔 모두에 장착되어 조작이 곤란해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함이다. 대응 결정부(62)가 금칙 기준에 해당하는 과다 사용으로 판정했을 경우, 그러한 과다 사용을 초래하게 되는 운동 기구의 접속은 기구 제어부(64) 및 통신 처리부(60)에 의해 해제 또는 회피되어, 금칙 기준에 해당한다는 취지 또는 해당할 수 있다는 취지가 표시부(72)에 표시된다.
설정 처리부(63)는 유저에 의한 표시부(72)로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설정한다. 설정 처리부(63)는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 처리부(63)는 동작 내용으로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의한 전기 자극의 강도, 즉 20단계 중 어느 레벨의 전압치를 설정한다.
기구 제어부(64)는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운동 기구마다 통신부(71)를 통해서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기구 제어부(64)는 운동 개시 신호, 일시정지 신호, 종료 신호, 전압치 신호 등을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 송신함으로써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제어한다. 한편,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있어서의 통신에 의한 배터리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통신은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설계상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설정한 전압치는, 정보 관리부(66)에 기억시키는 것으로 하고,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부터 전압치의 정보는 취득하지 않는다. 또, 운동의 종료 신호의 송수신은 하지 않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운동 프로그램이 종료된 것으로서 판단해도 된다.
표시 제어부(65)는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65)는 인체 모델의 화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운동 기구의 제어 상태에 맞춰서 운동 중인 근육의 움직임을 동적으로 나타내는 화상을 화면 표시한다. 화면 표시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정보 관리부(66)는 유저의 등록 정보나 속성 정보, 운동의 결과 정보 등을 기억한다. 유저의 등록 정보나 속성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메일 어드레스, 패스워드, 닉네임, 생년월일, 신장, 체중, 성별 등의 정보가 기억된다. 정보 관리부(66)는 신체 부위마다의 운동의 결과로서, 신체 부위마다 설정되어 실행된 동작 내용에 기초하는 운동량을 신체 부위마다의 계수를 이용해서 결정하여, 누적 운동량을 기록한다. 정보 관리부(66)는, 예를 들면 신체 부위마다의 평균적인 근육 면적 내지 전극 면적에 따른 계수(係數)를 미리 기억하고, 전압치, 인가 시간, 계수의 곱을 1회의 운동량으로서 산출해도 된다. 운동량은, 예를 들면 「mp」 등의 독자적인 단위를 이용하여 표시해도 된다. 정보 관리부(66)는 산출한 운동량을 누적하여 누적 운동량으로서 기억한다.
도 5는 정보 관리 서버(14)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정보 관리 서버(14)는 제어부(80) 및 통신부(81)를 포함한다. 제어부(80)는 복수의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축적하여, 관리한다. 통신부(81)는 휴대 전화 통신망이나 무선 LAN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복수의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부(80)는 통신 처리부(85) 및 정보 관리부(86)를 포함한다. 통신 처리부(85)는 통신부(81)를 통해서 복수의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정보 관리부(86)는 복수의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부터 수취한 정보를 축적하여 관리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부터 수취한 정보는, 예를 들면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마다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설정 정보나 운동 결과의 데이터이다. 정보 관리부(86)는 운동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운동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이 있을 때는 새로운 버전의 프로그램을 통신부(81)를 통해서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전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운동 기구 제어 시스템(100)은 정보 관리 서버(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하지만, 다른 형태로서 정보 관리 서버(14)를 포함하지 않는 운동 기구 제어 시스템(100)도 실현 가능하다. 그 경우,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마다의 설정 정보나 운동 결과의 정보는 주로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상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이하, 적당히 화면예를 이용하여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에 있어서의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 및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프로그램 기동>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각 기능이 발휘됨으로써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제어한다. 먼저, 표시 제어부(6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플래시(splash) 화면」이라고도 불리는 기동 화면을 표시한다. 첫회 기동시의 경우, 표시 제어부(65)는 (1) 어카운트 등록, (2) 로그인(어카운트를 이미 가지고있는 유저용), (3) 등록하지 않고 트레이닝 개시, 중 어느 것을 선택시키는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가 (1) 어카운트 등록을 선택했을 경우, 설정 처리부(63)는 유저에게 메일 어드레스, 패스워드, 닉네임, 생년월일, 신장, 체중, 성별 등의 정보를 입력시키고, 입력된 정보를 정보 관리 서버(14)로 통신부(71)를 통해서 송신함과 아울러 정보 관리부(66)에 기록한다. 설정 처리부(63)는 어카운트 등록이 되었을 때는 그대로 로그인 상태를 개시한다. 프로그램 기동시에 로그인 상태가 아니었던 경우도 또한, 표시 제어부(65)는 (1)~(3) 중 어느 것을 선택시키는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가 (2) 로그인을 선택했을 경우, 설정 처리부(63)는 입력된 메일 어드레스 및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로그인 처리한다. 유저가 (3) 등록하지 않고 트레이닝 개시를 선택했을 경우, 어카운트 등록이나 로그인 처리를 하지 않고 기구 제어부(64)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설정 또는 제어를 개시한다. 프로그램 기동시에 이미 로그인 되었으면, 표시 제어부(65)는 상기 화면을 표시하지 않지만, 로그인 되지 않았으면 매 기동시에 상기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어카운트 등록에 필요한 상기 항목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예를 들면 근육 증강, 다이어트, 근지구력 강화 등의 운동 목적을 유저에게 입력시켜 설정하는 사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운동 목적, 연령, 성별, 신장, 체중 등의 정보와, 적절한 프로그램의 대응 관계를 미리 테이블로서 유지해 두고, 그 유저의 속성이나 상황에 따른 프로그램이나 어드바이스를 제시해도 된다.
한편, 기동 화면의 표시 중 또는 표시 후에, 설정 처리부(63) 및 통신 처리부(60)는, 통신부(71)를 통해서 정보 관리 서버(14)와 통신하여,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이나 그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듈의 버전 업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버전 업이 있으면 다운로드하여 업데이트한다. 업데이트 중에는, 표시 제어부(65)는 업데이트 중인 것을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한다(도시하지 않음). 업데이트 후의 첫회 기동시이면, 표시 제어부(65)는 업데이트한 내용을 화면 표시한다(도시하지 않음). 그 후, 표시 제어부(65)는 홈 화면을 표시한다. 그 외, 메뉴 화면으로서, FAQ(자주 있는 질문), 이용 규약, 개인정보 보호정책, 사용 라이브러리, 문의, 로그아웃, 메뉴얼 등으로의 링크를 표시한다.
<개시>
도 6은 홈 화면 및 개시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의 (a)의 홈 화면(120)에는 운동량 미터(121), 누적 운동량 표시(122), 스테이지 표시(123), 목표치 표시(124), 개시 버튼(125)이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관리부(66)가 유저에 의한 운동의 진척을 누적 운동량의 형태로 관리함과 아울러, 누적 운동량에 따라 그 유저가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를 관리한다. 운동의 레벨로서, 복수 단계의 레벨의 기준을 미리 기억하고, 현재의 누적 운동량이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를 「스테이지」의 번호로 관리한다. 스테이지 번호는 예를 들면 1에서 10까지 단계가 있다. 홈 화면(120)에 있어서, 운동량 미터(121)는 현재의 스테이지에 있어서의 현재의 누적 운동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원형의 미터 표시이다. 원형의 미터가 원주를 한바퀴 돌면 그 스테이지의 누적 운동량의 기준치의 상한에 도달하여, 스테이지 번호가 1개 오른다. 누적 운동량 표시(122)는 현재의 누적 운동량을 나타낸다. 스테이지 표시(123)는 현재의 스테이지 번호를 나타낸다. 목표치 표시(124)는 다음의 스테이지에 오르는 기준이 되는 누적 운동량의 상한치를 나타낸다. 개시 버튼(125)은 운동을 개시하는 트리거가 되는 버튼이다. 유저가 개시 버튼(125)을 누르면(터치 패널의 누름 조작인 「탭」이라고도 함), 개시 화면(130)으로 전환하여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제어를 개시한다.
도 6의 (b)의 개시 화면(130)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제어 개시에 있어서, 초기적인 절차를 설명하는 화면이다. 설명(132)은 운동에 사용하는 운동 기구인 1개 또는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유저의 신체에 장착하는 것, 및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전원 투입 버튼인 「+버튼」을 길게 눌러(예를 들면 2초 이상) 전원 투입하는 것(전원 투입이 아니고 슬립(slip) 상태의 해제여도 됨)을 촉구하는 설명이다. 속행 버튼(131)은 다음의 절차로 이행을 위하여 처리 속행을 지시하는 버튼이다. 개시 화면(130)이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통신 처리부(6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 대기 상태로 되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의 접속을 접수한다.
<기구의 인식 및 타입 특정>
통신 처리부(60) 및 설정 처리부(63)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 대기 상태를 소정 시간 계속하고, 그 동안에 1개 또는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접속 이력이 없는 운동 기구에 대해서는 접속에 앞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가 접속 대기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에, 유저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플러스 버튼(20a)을 길게 누르고, 피부 검지가 되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부터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가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페어링 내지 접속이 확립된다.
도 7은 장착 확인 화면(14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1개 이상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접속이 확립되었을 경우, 표시 제어부(65)는 장착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설명을 접속 상태 표시(144)로서 표시함과 아울러, 접속한 운동 기구를 나타내는 아이콘, 운동 기구명 또는 운동 타입명을 나타내는 문자열,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미터, OK 버튼(148)을 장착 확인 화면(140)에 표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고로 6개까지 운동 기구를 접속할 수 있다.
기구 아이콘(141a~d)은 접속된 운동 기구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기구명(142a~d)은 접속된 운동 기구명 또는 운동 타입명을 나타내는 문자열이다. 기구명(142a~d)은 운동 기구의 명칭이어도 운동 타입을 나타내는 이름이어도 되고, 그들 양방을 나타내는 이름이어도 된다. 동작 상태 미터(143a~d)는 접속된 운동 기구의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미터이다. 각 운동 기구의 배터리 잔량의 정보는, 통신부(71)를 통해서 통신 처리부(60)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부터 취득한다. 기구 아이콘(141), 기구명(142), 동작 상태 미터(143)가 인체 모델(145)의 화상을 배경으로 일람 표시된다. 변형예로서, 표시 제어부(65)는 기구 아이콘(141), 기구명(142), 동작 상태 미터(143)를, 각각 대응하는 인체 모델(145)의 신체 부위상에 표시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금칙 표시(146a,b)는 새로운 운동 기구의 접속이 금칙 기준에 해당할 수 있는 상황인 것을 나타내는 설명, 또는 접속한 운동 기구가 금칙 기준에 해당한 과다 사용의 상황인 것을 나타내는 설명이다. 예를 들면, 「안전을 위해서 양쪽 팔 동시의 트레이닝은 삼가해 주십시오.」라는, 양쪽 팔 동시에 운동 기구를 장착하면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 또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의 조작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안전상의 이유로 금칙 기준에 해당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이다. 또, 구체적인 운동 기구나 운동 타입의 명칭을 기재함으로써, 어느 운동 기구의 조합이 금칙 기준에 해당하는지, 또는 어느 신체 부위에 동시 장착하는 것이 금칙 기준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운동을 함에 있어서의 안전성 확보나 기구의 사양상의 적절한 사용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헬프 링크(150)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지 않는 경우의 대처 방법이 기재된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링크이다.
통신 접속의 대기 시간인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또는 접속이 확립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수가 소정의 상한수에 도달했을 경우, 표시 제어부(65)는 리로드 버튼(149)을 점등 표시한다(점등 표시되어서 비로소 그 누름이 유효(有效)로 됨). 유저에 의한 OK 버튼(148)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경우는 다음의 화면으로 전환한다. 대기 시간인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1대도 운동 기구를 인식하지 않은 경우는, OK 버튼(148)을 점등 표시하지 않고 리로드 버튼(149)을 점등 표시한다. 유저에 의한 리로드 버튼(149)의 누름이 검출되었을 경우는, 1개 또는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의 접속을 처음부터 다시 한다. 즉 통신 처리부(60)는 각 운동 기구와의 접속을 모두 일단 해제하고, 처음부터 다시 인식한다. 홈 버튼(147)은, 도 6의 홈 화면(120)으로 돌아가는 버튼이다.
<금칙 기준>
도 8은 금칙 기준을 정한 금칙 테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금칙 테이블에는 기구별 접속수란(160), 접속 총수란(161), 절단 기구명란(162), 설명문란(163)이 포함된다.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금칙의 조합이 되는 운동 기구명과 접속수가 규정된다. 접속 총수란(161)에는, 금칙의 조합에 있어서의 접속 총수가 규정된다.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금칙 해당시에 접속을 절단해야 하는 운동 기구가 규정된다. 설명문란(163)에는, 금칙 해당시에 표시하는 문언예가 규정된다. 금칙의 조합은 1종류의 운동 기구로 구성되는 경우(제1 란(156)), 2종류의 운동 기구로 구성되는 경우(제2 란(157)), 3종류의 운동 기구로 구성되는 경우(제3 란(158)), 4종류의 운동 기구로 구성되는 경우(제4 란(159))를 포함한다. 제1 란(156)~제4 란(159)에는, 특정의 신체 부위에 그 신체 부위의 수보다 많아지는 개수의 운동 기구를 장착하는 조합, 및 특정의 신체 부위에 그 신체 부위의 수와 같은 수가 되는 개수의 운동 기구를 장착하여 그 신체 부위가 부자유하게 되는 조합 중 적어도 어느 것이 되는 조합이 규정된다.
제1 란(156)의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가 「2」(복근으로의 장착수가 1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2」,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Abs」, 설명문란(163)에는 「※Abs는 동시에 2개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Abs+Waist」를 복근에 2개 장착하는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Waist」가 「2」(복근 및 옆구리로의 장착수가 1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2」,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Abs+Waist」, 설명문란(163)에는 「※Abs+Waist는 동시에 2개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제1 란(156)의 다른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Leg」가 「3」(양 다리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3」,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Leg」, 설명문란(163)에는 「※Leg는 동시에 3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제1 란(156)의 다른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Body」가 「6」(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6」,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Body는 동시에 6개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제1 란(156)의 다른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rm」이 「2」(양쪽 팔 장착이 되어 버림),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2」,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Arm」, 설명문란(163)에는 「안전을 위해서 양쪽 팔 동시의 트레이닝은 삼가해 주십시오. ※Arm은 동시에 2개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제2 란(157)의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가 「1」, 「Abs+Waist」가 「1」(복근으로의 장착이 1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2」,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Abs」, 설명문란(163)에는 「※Abs와 Abs+Waist는 동시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Waist」가 「1」, 「Body」가 「4」(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5」,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제2 란(157)의 다른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Leg」가 「1」, 「Body」가 「5」(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6」,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Leg」가 「2」, 「Body」가 「4」(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6」,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제2 란(157)의 다른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rm」이 「1」, 「Body」가 「5」(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6」,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제3 란(158)의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Waist」가 「1」, 「Arm」이 「1」, 「Body」가 「3」(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5」,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Waist」가 「1」, 「Leg」가 「1」, 「Body」가 「3」(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5」,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Waist」가 「1」, 「Leg」가 「2」, 「Body」가 「2」(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5」,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rm」이 「1」, 「Leg」가 「1」, 「Body」가 「4」(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6」,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rm」이 「1」, 「Leg」가 「2」, 「Body」가 「3」(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6」,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제4 란(159)의 조합예로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Waist」가 「1」, 「Arm」이 「1」, 「Leg」가 「1」, 「Body」가 「2」(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5」,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기구별 접속수란(160)에는 「Abs+Waist」가 「1」, 「Arm」이 「1」, 「Leg」가 「2」, 「Body」가 「1」(양쪽 팔 장착이 생기거나, 옆구리와 다리 중 어느 쪽으로의 장착수가 2개를 초과함), 접속 총수란(161)에는 접속 총수가 「5」, 절단 기구명란(162)에는 「Body」, 설명문란(163)에는 「※장착한 디바이스가 트레이닝할 수 있는 부위의 수를 초과하고 있습니다. 」의 문언이 각각 규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칙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먼저 접속된 운동 기구를 우선(優先)하여, 나중에 인식되는 운동 기구와의 접속을 회피 또는 해제하는 사양으로 하고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나중에 인식되는 운동 기구와의 접속을 우선하여, 먼저 접속되어 있던 운동 기구와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설정을 덮어쓰는 사양으로 해도 되고, 어느 것을 먼저해야 할지를 유저에게 선택시키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부위 설정>
도 9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설정하는 화면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도면의 예에서는, 「Arm」즉 팔에 장착하는 운동 기구를 어느 신체 부위에 사용하는지를 지정한다. 부위 설정 화면(170)에 있어서, 유저는 운동 기구 「Arm」을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지정한다. 「Arm」의 경우, 양쪽 팔의 앞면과 뒷면 중 어느 1지점에 장착할 수 있다. 오른쪽 팔 앞면을 의미하는 「R-Arm front」라고 쓰여진 제1 부위 버튼(171a)이 인체 모델(145)의 오른쪽 팔 앞면에 해당하는 영역(172a)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1 부위 버튼(171a)을 누르면, 「Arm」을 오른쪽 팔 앞면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왼쪽 팔 앞면을 의미하는 「L-Arm front」라고 쓰여진 제2 부위 버튼(171b)이 인체 모델(145)의 왼쪽 팔 앞면에 해당하는 영역(172b)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2 부위 버튼(171b)을 누르면, 「Arm」을 왼쪽 팔 앞면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오른쪽 팔 뒷면을 의미하는 「R-Arm back」이라고 쓰여진 제3 부위 버튼(171c)이 인체 모델(145)의 오른쪽 팔 뒷면에 해당하는 영역(172c)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3 부위 버튼(171c)을 누르면, 「Arm」을 오른쪽 팔 뒷면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왼쪽 팔 뒷면을 의미하는 「L-Arm back」이라고 쓰여진 제4 부위 버튼(171d)이 인체 모델(145)의 왼쪽 팔 뒷면에 해당하는 영역(172d)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4 부위 버튼(171d)을 누르면, 「Arm」을 왼쪽 팔 뒷면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유저가 제1~4 부위 버튼(171a~d) 중 어느 1개를 누르면, 그대로 「Arm」의 부위 설정을 종료한다. 제1~4 부위 버튼(171a~d) 중 어느 1개를 눌렀을 때, 그 신체 부위에서 사용하는 운동 기구가 어느 개체인지를 유저에게 확인시키기 위해서, 그 신체 부위에 대응하는 운동 기구에 미약한 전류를 흐리게 해도 되고, 그 운동 기구 내의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이나 LED 램프의 점등/소등을 작동시켜도 된다. 「Arm」은 2개 이상의 장착이 금칙에 해당하여, 1지점 밖에 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표시 제어부(65)는 인체 모델(145)의 하방(下方)에, 접속이 완료된 운동 기구 또는 운동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아이콘(173)을 늘어놓아 표시함과 아울러,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설정이 완료된 타입 아이콘(173)에는 체크 마크(174)를 부가하고, 현재 설정 중인 타입 아이콘에는 설정 중인 것을 나타내는 설정 중 마크(175)를 타입 아이콘(173)의 위에 나타낸다. 또한, 타입 「Abs」 및 「Abs+Waist」는, 장착하는 신체 부위가 1가지 밖에 없어, 유저에 의한 지정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부위 설정 화면(170)에 있어서의 신체 부위 지정의 대상은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타입 아이콘(173)에 나타내는 것처럼 「Abs」 및 「Abs+Waist」의 타입 아이콘(173)에는 처음부터 체크 마크(174)를 부가한다. 또, 접속이 완료된 운동 기구의 모두가, 장착하는 신체 부위가 1가지 밖에 없는 기구(예를 들면 「Abs」 「Abs+Waist」)인 경우, 본 도면과 같은 신체 부위를 지정하는 화면의 표시 자체를 스킵해도 된다. 그 경우, 부위 설정 화면 대신에, 운동하는 신체 부위를 확정적으로 인체 모델상에서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도 10은 타입 「Leg」의 부위 설정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부위 설정 화면(170)에 있어서, 유저는 운동 기구 「Leg」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지정한다. 본 도면의 예에서는, 「Leg」즉 다리에 장착하는 운동 기구를 어느 신체 부위에 사용하는지를 지정한다. 「Leg」의 경우, 오른쪽 다리의 앞면 또는 뒷면, 왼쪽 다리의 앞면 또는 뒷면의 2지점까지 장착할 수 있다. 오른쪽 다리 앞면을 의미하는 「R-Leg front」라고 쓰여진 제1 부위 버튼(171a)이 인체 모델(145)의 오른쪽 다리 앞면에 해당하는 영역(172a)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1 부위 버튼(171a)을 누르면, 「Leg」를 오른쪽 다리 앞면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왼쪽 다리 앞면을 의미하는 「L-Leg front」라고 쓰여진 제2 부위 버튼(171b)이 인체 모델(145)의 왼쪽 다리 앞면에 해당하는 영역(172b)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2 부위 버튼(171b)을 누르면, 「Leg」를 왼쪽 다리 앞면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오른쪽 다리 뒷면을 의미하는 「R-Leg back」이라고 쓰여진 제3 부위 버튼(171c)이 인체 모델(145)의 오른쪽 다리 뒷면에 해당하는 영역(172c)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3 부위 버튼(171c)을 누르면, 「Leg」를 오른쪽 다리 뒷면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왼쪽 다리 뒷면을 의미하는 「L-Leg back」이라고 쓰여진 제4 부위 버튼(171d)이 인체 모델(145)의 왼쪽 다리 뒷면에 해당하는 영역(172d)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4 부위 버튼(171d)을 누르면, 「Leg」를 왼쪽 다리 뒷면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유저가 제1~4 부위 버튼(171a~d) 중 어느 1개를 누르면, 일단 「Leg」의 부위 설정을 종료한다. 「Leg」가 하나 더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다시 본 도면의 부위 설정 화면(170)을 표시함과 아울러, 1개째의 「Leg」를 오른쪽 다리로 지정했을 경우는, 2개째의 「Leg」를 지정할 수 있는 신체 부위의 선택 사항으로서는 왼쪽 다리 앞면 및 왼쪽 다리 뒷면만을 표시하여, 그 중 어느 것을 유저에게 선택하게 한다. 1개째의 「Leg」를 왼쪽 다리로 지정했을 경우는, 2개째의 「Leg」를 지정할 수 있는 신체 부위의 선택 사항으로서는 오른쪽 다리 앞면 및 오른쪽 다리 뒷면만을 표시하고, 그 중 어느 것을 유저에게 선택하게 한다. 이와 같이, 같은 다리의 앞면과 뒷면의 양방으로의 장착은 회피하는 사양으로 되어 있다.
도 11은 타입 「Body」의 부위 설정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부위 설정 화면(170)에 있어서, 유저는 운동 기구 「Body」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지정한다. 본 도면의 예에서는, 「Body」즉 임의의 신체 부위에 장착하는 운동 기구를 어느 신체 부위에 사용하는지를 지정한다. 「Body」의 경우, 「Abs」 「Abs+Waist」 「Arm」 「Leg」와는 달리, 「Body」를 포함하는 모든 운동 기구와의 사이에서 장착 부위가 중복되거나 동시 장착수가 상한을 초과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다른 운동 기구의 장착 부위 지정을 모두 끝낸 후에 「Body」의 장착 부위를 지정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부위 설정 화면(170)에 있어서, 그 시점에서 다른 신체 부위가 한 개도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복근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신체 부위를 선택 사항으로서 표시한다. 본 도면의 예에서는, 양쪽 팔 앞면, 양쪽 옆구리, 양쪽 다리 앞면이 선택 사항으로서 표시된다. 단, 「Abs」또는 「Abs+Waist」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양쪽 옆구리는 선택 사항으로서 표시되지 않는다. 이미 「Arm」의 장착 부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양쪽 팔은 선택 사항으로서 표시되지 않는다. 이미 「Leg」의 장착 부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지정되어 있는 측의 다리는 선택 사항으로서 표시되지 않는다. 변형예로서, 양쪽 팔의 앞면과 뒷면, 복근, 양쪽 다리의 앞면과 뒷면을 선택 사항으로 해도 된다.
오른쪽 팔을 의미하는 「R-Arm」이라고 쓰여진 제1 부위 버튼(171a)이 인체 모델(145)의 오른쪽 팔에 해당하는 영역(172a)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1 부위 버튼(171a)을 누르면, 「Body」를 오른쪽 팔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왼쪽 팔을 의미하는 「L-Arm」이라고 쓰여진 제2 부위 버튼(171b)이 인체 모델(145)의 왼쪽 팔에 해당하는 영역(172b)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2 부위 버튼(171b)을 누르면, 「Body」를 왼쪽 팔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오른쪽 옆구리를 의미하는 「R-Waist」라고 쓰여진 제3 부위 버튼(171c)이 인체 모델(145)의 오른쪽 옆구리에 해당하는 영역(172c)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3 부위 버튼(171c)을 누르면, 「Body」를 오른쪽 옆구리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왼쪽 옆구리를 의미하는 「L-Waist」라고 쓰여진 제4 부위 버튼(171d)이 인체 모델(145)의 왼쪽 옆구리에 해당하는 영역(172d)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4 부위 버튼(171d)을 누르면, 「Body」를 왼쪽 옆구리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오른쪽 다리를 의미하는 「R-Leg」라고 쓰여진 제5 부위 버튼(171e)이 인체 모델(145)의 오른쪽 다리에 해당하는 영역(172e)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5 부위 버튼(171e)을 누르면, 「Body」를 오른쪽 다리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왼쪽 다리를 의미하는 「L-Leg」라고 쓰여진 제6 부위 버튼(171f)이 인체 모델(145)의 왼쪽 다리에 해당하는 영역(172f)을 가리키고, 유저가 제6 부위 버튼(171f)을 누르면, 「Body」를 왼쪽 다리에 사용하는 것을 지정한 것이 된다. 유저가 제1~6 부위 버튼(171a~f) 중 어느 1개를 누르면, 일단 「Body」의 부위 설정을 종료한다. 「Body」가 그 밖에도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접속되어 있는 개수분만큼 본 도면의 부위 설정 화면(170)을 표시함과 아울러, 지정할 수 있는 신체 부위의 선택 사항으로서는 미선택의 신체 부위로서 금칙에 해당하지 않는 신체 부위만을 표시하여 그 중 어느 것을 유저에게 선택하게 한다.
도 12는 강도 설정 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이미 지정되어 있는 신체 부위 중, 과거에 운동 기구를 사용하여 강도를 설정한 이력이 있는 부위의 경우는, 정보 관리부(66)에 기록된 이력에 따라서 전회(前回)와 같은 강도를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반대로, 강도의 이력이 없는 신체 부위, 즉 과거에 운동 기구를 사용한 이력이 없는 신체 부위에 관해서, 표시 제어부(65)는 본 도면의 (a)의 강도 설정 화면(180)을 표시하고, 그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강도를 유저에게 설정하게 한다. 강도 설정 화면(180)에 있어서, 강도 미터(181)는 강도를 원형 미터의 형식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본 도면의 예에서는 복근에 가하는 전기의 강도로서 20단계의 전압 레벨 중 어느 레벨의 강도로 설정할지를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레벨 「12」를 나타낸다. 유저가 플러스 버튼(182)을 누르면, 강도의 레벨이 1단계 올라가고, 마이너스 버튼(183)을 누르면, 강도의 레벨이 1단계 내려간다. 플러스 버튼(182)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있어서의 플러스 버튼(20a)과 마찬가지로 기능하고, 마이너스 버튼(183)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있어서의 마이너스 버튼(20b)과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유저가 플러스 버튼(182) 또는 마이너스 버튼(183)을 누를 때마다, 1단계 증감된 레벨의 강도로 복근에 전기가 가해져, 유저는 전기의 강도를 체감하면서 조정하여, 기호의 강도를 설정한다. 유저가 OK 버튼(184)을 누르면, 다른 신체 부위에 있어서의 강도 설정 화면으로 전환하던지, 모든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강도 설정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는 강도 확인 화면으로 전환한다. 표시 제어부(65)는 지정된 신체 부위 중 강도 설정의 이력이 없는 신체 부위의 수만큼 본 도면의 (a)의 강도 설정 화면(180)에 있어서의 강도 설정을 반복한다.
도 12의 (b)에 있어서의 강도 확인 화면(185)은, 이번,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부위로서 지정된 모든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강도 설정이 되었을 때 표시하는 화면이다. 강도 확인 화면(185)에는, 신체 부위마다 부위명과 강도 설정을 나타내는 부위 버튼(186)을 인체 모델(145)상의 각 신체 부위에 표시한다. 유저가 부위 버튼(186a~f) 중 어느 것을 누르면, 그 신체 부위의 강도를 조정 또는 재설정하기 위해서 도 12의 (a)와 같은 강도 설정 화면(180)이 표시되어,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유저가 스타트 버튼(187)을 누르면 트레이닝이 개시된다.
또한, 상술한 대로 운동 이력이 있는 신체 부위에 대해서는 전회의 강도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사양으로 하고 있지만, 변형예로서, 매회 유저에게 설정하게 하는 사양으로 해도 되고, 운동 프로그램이나 운동 이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최적인 값을 설정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또, 처음으로 사용하는 신체 부위에 대한 강도의 디폴트값이 미리 정해지지만, 그 디폴트값은, 예상치못한 높은 강도의 전압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최소 강도(예를 들면 「1」)로 해도 된다.
도 13은 운동 중에 표시하는 화면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표시 제어부(65)는 운동 기구를 이용한 트레이닝 실행 중은 도 13의 (a)와 같은 운동 중 화면(190)을 표시한다. 운동 중 화면(190)에서는, 전기의 자극에 의해 운동하는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인체 모델(145)의 화상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시각 표현하는 비주얼라이저(visualizer)라고도 불리는 영상에 의해서 표시한다. 비주얼라이저에서는, 전기 자극에 의한 근육이 움직이는 타이밍에 동기하도록 근육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복수의 신체 부위의 운동을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65)는 어느 신체 부위의 운동을 운동 중 화면(190)에서 소정 시간 표시한 후, 다른 신체 부위의 운동을 표시하는 운동 중 화면(190)으로 전환하는 등, 모든 신체 부위를 소정 시간씩 차례로 표시하도록 전환해 간다. 운동 중 화면(190)에 있어서는, 비주얼라이저 외, 운동의 실행 시간으로서, 운동 프로그램으로서 규정된 시간, 예를 들면 「23분」과, 경과시간을 함께, 시간 표시(191)와 같은 수치 및 시간 미터(192)와 같은 원형 미터의 형식으로 표시한다. 화면의 일부에는 일시정지 버튼(193)이 표시되고, 유저가 일시정지 버튼(193)을 누르면, 운동의 진행이 일시정지되고, 기구 제어부(64)는 전압 인가를 일시정지함과 아울러, 표시 제어부(65)는 시간 표시(191) 및 시간 미터(192)의 진행을 일시정지한다. 일시정지의 경우, 도시하지 않은 화면에 있어서 「트레이닝을 계속함」과 같은 버튼을 유저가 눌렀을 때 전압 인가 및 시간의 진행이 재개(再開)되고, 「트레이닝을 중지함」과 같은 버튼을 유저가 눌렀을 경우는 전압 인가 및 시간의 진행이 종료된다. 일시정지인 채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0분간이 경과했을 경우는 타임 아웃으로서 전압 인가 및 시간의 진행이 종료가 된다. 또한, 본 도면의 예에서는 표시하고 있지 않지만, 운동량의 수치를 운동의 진행에 맞춰서 리얼타임으로 증가시키는 형태로 표시해도 된다.
유저가 운동 중 화면(190)의 어느 부분을 누르면, 도 13의 (b)와 같은 강도 확인 화면(185)으로 전환한다. 강도 확인 화면(185)은, 도 12의 (b)의 강도 확인 화면(185)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화면이며, 운동 중이더라도 유저는 어느 신체 부위의 부위 버튼(186)을 누르면 도 12의 (a)의 강도 설정 화면(180)으로 전환할 수 있어,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유저가 강도 설정 화면(180)의 플러스 버튼(182) 또는 마이너스 버튼(183)을 누를 때마다 기구 제어부(64)는 리얼타임으로 전압 레벨을 증감한다. 트레이닝의 시간이 소정 시간, 예를 들면 23분에 도달했을 때, 기구 제어부(64)는 전압 인가를 종료하고, 표시 제어부(65)는 시간의 진행을 종료하고 종료 화면으로 전환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에서 동작하는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이 액티브하게 되었을 때는, 운동 중 화면(190), 강도 확인 화면(185), 강도 설정 화면(180) 등의 운동 중의 화면은 비액티브 상태로 된다.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이 비액티브 상태인 채 운동이 종료되었을 경우, 표시 제어부(65)는 종료 화면을 비액티브하게 한 채로 대기하고, 액티브로 된 후에 다음의 화면으로 천이한다. 종료 화면이 액티브 상태이면, 표시 제어부(65)는 다음의 화면으로 천이시킨다.
도 14는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4의 (a)에 나타내는 운동량 표시 화면(200)에 있어서, 운동의 결과로서, 실행한 운동량을 누적 운동량에 추가하는 모습을 누적 운동량 표시(122)의 수치 증가 및 운동량 미터(121)의 증가에 의해서 표현한다. 누적 운동량이 소정치를 넘는 경우는 스테이지 표시(123)의 스테이지 번호를 증가시킨다. 유저가 속행 버튼(201)을 누르면, 표시 제어부(65)는 다음의 화면으로 전환한다.
누적 운동량이나 운동 횟수가 소정의 배지(bedge) 획득 기준에 도달했을 경우, 표시 제어부(65)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배지 화면(202)에 있어서, 유저가 획득한 배지(203)와 함께, 그 배지(203)의 획득 기준이 된 「합계 50회 트레이닝했습니다. 」 등의 문언을 표시한다. 그 외, 누적 운동량이 소정치에 도달했을 경우, 표시 제어부(65)는 전문가에 의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한다(도시하지 않음). 표시 제어부(65)는 어드바이스로서, 유저의 속성이나 운동의 목적, 누적 운동량 등에 따라 상이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15는 운동 기구를 인식하여 운동 타입을 특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통신 처리부(60)가 접속 대기 상태로 됨으로써 운동 기구의 인식이 개시되고, 유저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플러스 버튼(20a)을 길게 누르고, 통신 처리부(60)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검출하면(S10의 Y), 타입 결정부(61)는 운동 기구의 종류에 의해 운동 타입을 특정하고, 표시 제어부(65)가 타입을 표시한다(S12). OK 버튼(148)의 누름이 있었을 경우(S14의 Y), 운동 기구의 접속과 운동 타입이 확정된다(S22). 통신 처리부(60)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부터의 정보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S12와 S14를 스킵한다(S10의 N). OK 버튼(148)이 눌리지 않고(S14의 N),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S16의 N), S10으로 돌아가 운동 기구의 접속 대기 상태를 속행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로서(S16의 Y), 리로드 버튼(149)이 눌렸을 경우는(S18의 Y), 그 시점에서 접속하고 있던 운동 기구를 모두 리셋, 즉 접속 해제하고(S20), S10으로 돌아가 운동 기구의 접속 대기 상태를 속행한다. 리로드 버튼(149)이 눌리지 않고(S18의 N), OK 버튼(148)도 눌리지 않은 경우(S21의 N), 접속이 완료된 운동 기구가 있는 경우는(S22의 Y), 어느 버튼이 눌릴 때까지 대기한다. 접속된 운동 기구가 1개도 없는 경우는(S22의 N), 운동 기구의 인식 처리를 종료한다. OK 버튼(148)이 눌리면(S21의 Y), 운동 기구의 접속과 운동 타입이 확정된다(S23). 플로우는 다음 도면으로 이어진다.
도 16은 운동 기구를 사용하는 신체 부위 및 운동 강도를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특정된 1개 또는 복수의 운동 타입에 있어서 신체 부위의 특정이 필요한 경우(S30의 Y), 신체 부위의 선택 사항을 제시하고(S32), 유저가 신체 부위를 선택할 때까지 대기하며(S34의 N), 유저가 신체 부위를 선택하면(S34의 Y), 운동 기구와 신체 부위의 대응이 결정된다(S36). 신체 부위의 특정이 필요한 운동 기구가 그 밖에 있는 경우(S38의 Y), S32로 돌아가 신체 부위를 결정한다. 신체 부위의 특정이 필요한 운동 기구가 그 밖에 없는 경우(S38의 N), S40으로 진행한다. S30에 있어서 신체 부위의 특정이 필요없는 경우도(S30의 N), S40으로 스킵한다.
S40에 있어서, 운동 강도의 설정 이력이 없는, 처음으로 운동하는 신체 부위가 있는 경우(S40의 Y), 그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강도 설정을 하고(S42), 그 밖에 강도 설정할 신체 부위가 있으면(S44의 Y), S42를 반복한다. 처음으로 운동하는 신체 부위가 없는 경우나(S40의 N), 강도 설정이 필요한 신체 부위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S44의 N), 신체 부위마다의 강도 설정을 표시하고(S46), 다음 도면의 플로우로 진행한다.
도 17은 운동 중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유저가 스타트 버튼(187)을 누를 때까지 대기하고(S50의 N), 스타트 버튼(187)이 눌리면(S50의 Y), 기구 제어부(64)는 전압 인가의 개시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지시한다(S52). 전압 인가 중, 유저에 의한 화면의 누름(탭)이 검출되면(S54의 Y), 표시 제어부(65)는 각 신체 부위의 강도 확인 화면(185)을 표시하고(S56), 유저에 의한 신체 부위의 누름(탭)이 검출되면(S58의 Y), 강도를 조정한다(S60). 화면의 누름이 없는 경우(S54의 N)나, 신체 부위의 누름이 없는 경우는(S58의 N), S62로 스킵한다. S62에 있어서, 운동 프로그램 시간인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S62의 N), S54로 돌아가, S54~S62를 반복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는(S62의 Y), 운동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운동량을 산출하여(S64), 운동의 결과로서 누적 운동량을 표시한다(S66). 누적 운동량이 소정치를 넘었을 경우, 배지나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고 종료한다(S68).
도 18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의 사이에 있어서의 정보의 송수신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어디까지나 개략적인 과정으로서의 정보의 송수신만을 나타내고, 예를 들면 같은 동작의 반복이나 ACK 신호의 송수신 등은 기재를 생략한다.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에 있어서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이 기동되면(S100), 접속 대기 상태가 된다(S102). 유저가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의 플러스 버튼(20a)을 길게 누르고(S104), 피부 검지가 되면(S106),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통신 접속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하고(S108),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의 통신을 확립한다(S110).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 송신을 요구하고(S112),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송신한다(S114).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운동 기구 또는 운동 타입을 특정하여 일람 표시하고(S116), 유저에 의한 OK 버튼(184)의 누름에 의해서 운동 기구 및 운동 타입을 확정한다(S118).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운동 타입마다의 신체 부위를 특정하여(S120), 신체 부위마다의 강도를 설정하고(S122), 설정된 강도의 정보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 송신한다(S124).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설정 강도를 증감한다(S126).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에 있어서 스타트 버튼(187)이 눌리면(S128),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전압 인가 개시의 지시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송신하고(S130),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전압 인가를 개시하고(S132),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운동 중의 화면을 표시한다(S134). 전압 인가 중이라도 유저로부터 강도 설정의 변경이 지시되면(S136),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강도의 변경 지시를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송신하고(S138),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지시에 따라 설정 강도를 증감한다(S140). 트레이닝 시간인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S142, S144),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로 종료 지시를 송신하고(S148),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전압 인가를 종료하고(S150), 종료한 취지를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송신한다(S152).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운동의 결과를 화면 표시하고 종료한다(S154). 또한, 변형예로서,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S148의 종료 지시를 송신하지 않고, 소정 시간의 경과를 가지며(S144),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전압 인가를 종료하고(S150), 종료한 취지를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송신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로서,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는 S148의 종료 지시를 송신하지만,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는 S152에 있어서의 전압 인가를 종료한 취지의 통지를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로 송신하지 않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실시 형태를 기초로 설명했다. 이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그러한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변형예를 나타낸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동 기구로서 전기 자극에 의한 반사 운동을 이용하여 근육을 운동시키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전기 자극에 의한 반사 운동을 수의(隨意) 운동에 가하는 하이브리드 트레이닝을 위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적용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운동 기구로서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 이외의 기구나 운동 지원을 위한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기능에 의해 운동 횟수를 송수신 가능한 덤벨이나 바벨 등의 트레이닝 기구의 제어에 적용해도 되고, 가압(加壓) 트레이닝에 이용하는 타이트너(tightener)에 무선 통신 기능을 갖게 하여 강도 설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동의 결과로서 운동량을 표시하는 사양으로 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유저의 얼굴이나 체형을 찍은 화상을 등록하는 기능을 마련하여, 운동 개시 전과 운동 개시 후의 각각에서 등록된 화상끼리를 비교하여 표시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로서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에 초음파 프로브(초음파 센서)를 마련하고, 그 검출치에 기초하여 피하지방 및 근육의 단층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그 외, 운동의 결과를 각종 소셜 미디어로 공유하는 기능을 마련해도 된다. 이들 기능에 의해, 유저의 모티베이션의 유지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착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다수 있는 운동 기구에 관해서는,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유저에게 지정하게 하는 사양으로 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소정의 센서에 의한 검출치에 기초하여 어느 신체 부위에 장착했는지를 판별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피부 검지에 있어서의 임피던스의 차이나, 임피던스에 관한 유저의 이력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를 판별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이력에 기초하여 전회의 사용시의 설정과 같은 신체 부위를 원칙으로 하여 자동 설정하고, 유저가 부위 변경을 지시했을 경우에만 새로운 신체 부위를 설정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운동 프로그램 및 이력에 기초하여, 강화 중인 신체 부위 또는 운동이 부족하다고 추측되는 신체 부위를 자동 설정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신체 부위별로 사용하는 운동 기구를 유저에게 지정하게 함과 아울러, 그 지정에 있어서 NFC 등의 비접촉 통신을 이용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신체 부위마다 운동 기구의 지정을 요구하고, 그 요구가 있을 때마다 유저는 사용하는 운동 기구에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를 접근시켜, 접근이 검지된 운동 기구와 그 신체 부위가 대응지어진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a)의 복근 지정 버튼(20c) 및 옆구리 지정 버튼(20d)과 같은 소정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신체 부위마다 운동 기구를 지정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운동 기구의 형상을 상하 또는 좌우에 비대칭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장착하는 신체 부위에 의해서 장착 방향이 바뀌도록 형성해도 된다. 그 경우, 운동 기구의 장착 방향을 검지함으로써 어느 신체 부위에 장착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는, 운동 기구를 신체에 장착할 때의 체결 벨트의 길이를 검출함으로써, 어느 신체 부위에 장착했는지를 판정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가 정보 관리 서버(14)에 접속하여, 유저마다의 운동의 결과나 유저 등록의 정보를 정보 관리 서버(14)에 송신하여 관리하는 개인용을 설명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정보 관리 서버(14)를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근육 전기 자극 장치(10)와 운동 기구 제어 장치(12)만으로 운동 기구 제어 시스템을 구성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압을 인가하는 운동 시간 등이 운동 프로그램으로서 정해져 있는 사양을 설명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운동 시간 뿐만이 아니라, 사용하는 신체 부위, 운동 빈도나 스케줄, 설정 강도 등이 운동 목적이나 유저의 속성, 운동 이력 등에 따라서 최적화되는 형태로 운동 프로그램이 짜여진 것 같은 사양이어도 된다. 그 경우, 적절한 스케줄에 따라서 운동 실행을 촉구하는 통지를 실시해도 된다. 또, 이력에 기초하여 서서히 강도를 올리거나, 피로도에 따라서 강도를 내리거나 하는 등의 자동 조정을 실시하는 사양이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와 변형예의 임의의 조합도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유용하다. 조합에 의해서 생기는 새로운 실시 형태는, 조합되는 실시 형태 및 변형예 각각의 효과를 겸비한다.

Claims (8)

  1.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부터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와,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하는 타입 결정부와,
    상기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상기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하는 대응 결정부와,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 처리부와,
    상기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마다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는 기구 제어부와,
    상기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상기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 결정부는,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복수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 처리부는,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통신 처리부는, 복수 종의 운동 기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운동 기구의 종류마다 내용이 상이하고,
    상기 타입 결정부는, 상기 운동 기구의 종류마다 그 종류의 운동 기구로 가능한 운동 타입을 미리 기억하고, 상기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의 종류를 특정함으로써 상기 운동 타입을 특정하고,
    상기 대응 결정부는, 상기 운동 타입마다 그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신체 부위를 미리 기억하고, 상기 운동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복수인 경우는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어느 신체 부위와 상기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
  2.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부터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와,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하는 타입 결정부와,
    상기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상기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하는 대응 결정부와,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 처리부와,
    상기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마다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는 기구 제어부와,
    상기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상기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 결정부는,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복수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 처리부는,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고,
    신체 부위마다의 운동의 결과로서, 신체 부위마다 설정되어 실행된 동작 내용에 기초하는 운동량을 신체 부위마다의 계수를 이용해서 결정하여, 누적 운동량을 기록하는 정보 관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
  3.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부터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와,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하는 타입 결정부와,
    상기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상기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하는 대응 결정부와,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 처리부와,
    상기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마다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는 기구 제어부와,
    상기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상기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응 결정부는,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복수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 처리부는,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대응 결정부는 동일 신체 부위끼리 또는 관련 신체 부위끼리의 사용이 과다 사용에 해당하는 운동 기구의 조합을 정한 금칙(禁則) 기준을 미리 기억하고, 상기 특정된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상기 금칙 기준에 정해진 상기 과다 사용에 해당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기구 제어부는 상기 과다 사용에 해당하는 운동 기구와의 접속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기구는 전기 자극을 근육에 주는 근육 전기 자극 장치이고,
    상기 설정 처리부는, 상기 동작 내용으로서 상기 근육 전기 자극 장치에 의한 전기 자극의 강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인체 모델의 화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운동 기구의 제어 상태에 맞춰서 운동 중인 근육의 움직임을 동적으로 나타내는 화상을 화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제어 장치.
  6.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부터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상기 운동 기구의 대응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특정하는 과정과,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마다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상기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구비하고,
    상기 대응을 특정하는 과정은,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복수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과정은,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복수 종의 운동 기구로부터 정보를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수신하는 정보는 상기 운동 기구의 종류마다 내용이 상이하고,
    상기 운동 타입을 특정하는 과정은, 상기 운동 기구의 종류마다 그 종류의 운동 기구로 가능한 운동 타입을 미리 기억하고, 상기 수신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의 종류를 특정함으로써 상기 운동 타입을 특정하고,
    상기 대응을 특정하는 과정은, 상기 운동 타입마다 그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신체 부위를 미리 기억하고, 상기 운동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복수인 경우는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어느 신체 부위와 상기 운동 기구의 대응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7.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부터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상기 운동 기구의 대응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특정하는 과정과,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마다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상기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구비하고,
    상기 대응을 특정하는 과정은,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복수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과정은,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고,
    신체 부위마다의 운동의 결과로서, 신체 부위마다 설정되어 실행된 동작 내용에 기초하는 운동량을 신체 부위마다의 계수를 이용해서 결정하여, 누적 운동량을 기록하는 과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8. 신체적 운동에 이용하는 운동 기구로부터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운동 타입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복수의 타입으로부터 특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된 타입에 기초하여 운동하는 신체 부위와 상기 운동 기구의 대응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특정하는 과정과,
    유저에 의한 소정의 조작 수단을 통한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의 동작 내용을 프로세서의 처리에 의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한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및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기구마다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서 상기 설정한 동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운동 기구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신체 부위와 운동 기구의 대응, 상기 동작 내용, 및 운동 상황에 관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구비하고,
    상기 대응을 특정하는 과정은, 복수의 운동 기구에 대해 특정된 복수의 운동 타입에 기초하여,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운동 기구와의 대응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동작 내용을 설정하는 과정은, 복수의 신체 부위에 대해서 각각 별개의 동작 내용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대응을 특정하는 과정은 동일 신체 부위끼리 또는 관련 신체 부위끼리의 사용이 과다 사용에 해당하는 운동 기구의 조합을 정한 금칙 기준을 미리 기억하고, 상기 특정된 타입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신체 부위가 상기 금칙 기준에 정해진 상기 과다 사용에 해당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운동을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과다 사용에 해당하는 운동 기구와의 접속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KR1020170122769A 2017-04-24 2017-09-22 운동 기구 제어 장치 및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KR102452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5669 2017-04-24
JP2017085669A JP6895304B2 (ja) 2017-04-24 2017-04-24 運動器具制御装置および運動器具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88A KR20180119088A (ko) 2018-11-01
KR102452337B1 true KR102452337B1 (ko) 2022-10-11

Family

ID=5996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769A KR102452337B1 (ko) 2017-04-24 2017-09-22 운동 기구 제어 장치 및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92494B2 (ko)
EP (1) EP3395401B1 (ko)
JP (1) JP6895304B2 (ko)
KR (1) KR102452337B1 (ko)
CN (1) CN108721780B (ko)
HK (1) HK1257119A1 (ko)
RU (1) RU2741287C2 (ko)
TW (1) TWI758331B (ko)
WO (1) WO2018198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0953B2 (en) * 2016-08-17 2021-05-11 Locus Robotics Corp. Robot gamification for improvement of operator performance
US10625077B2 (en) * 2017-12-26 2020-04-21 Med Sapiens Co., LTD Portable body slimmer to stimulate core muscle with Russian current
JP7178786B2 (ja) * 2018-03-06 2022-11-28 株式会社 Mtg 運動制御システム
JP7140646B2 (ja) * 2018-11-20 2022-09-21 株式会社 Mtg トレーニング方法
JP2022523311A (ja) * 2019-01-25 2022-04-22 パワードット,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電気筋肉刺激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D910654S1 (en) * 2019-03-05 2021-02-16 Includehealth,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947016A (zh) * 2019-03-15 2019-06-28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个人护理仪器的使用方法和控制电路
USD936075S1 (en) * 2019-05-01 2021-11-16 LifeOmic Health, LL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00406102A1 (en) 2019-06-25 2020-12-31 Katalyst Inc. Production of media content and command data for a workout session
WO2021134078A1 (en) * 2019-12-26 2021-07-01 Kerslake Holly Workout-training method
US11383082B2 (en) * 2020-06-25 2022-07-12 Katalyst Inc. Formulating, tracking, displaying, and using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intensity values
WO2022090578A1 (en) * 2020-11-02 2022-05-05 NMES Group AB Method for synchronizing multiple wireless ems and tens devices
USD984655S1 (en) * 2021-08-11 2023-04-25 Jian Zhu Electronic muscle stimul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6031A (ja) 2003-01-17 2004-08-05 Kyushu Hitachi Maxell Ltd 低周波治療器
US20160303363A1 (en) * 2015-03-17 2016-10-20 Michael P. Girouard NMES Garmen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5164B2 (en) 1999-07-08 2011-07-26 Icon I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n exercise apparatus using a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JP4337012B2 (ja) * 1999-07-14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電気刺激装置及び電気刺激を用いた力触覚呈示装置
JP2002291952A (ja) * 2001-03-29 2002-10-08 Casio Comput Co Ltd 運動支援装置、携帯型電子機器、運動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3111877A (ja) * 2001-10-02 2003-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ムユーザ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ジムユーザの健康管理方法並びにシステム
WO2003032887A1 (en) * 2001-10-19 2003-04-24 The University Of Sydney Improvements relating to muscle stimulation systems
JP2006129957A (ja) * 2004-11-02 2006-05-25 Daireo:Kk 水中運動器具指導システム
US7991476B2 (en) * 2006-05-22 2011-08-02 Empire Bio-Medical Devices, Inc. Method and device for enhanced blood flow
KR20090008498A (ko) * 2007-07-18 2009-01-22 최성원 통합 건강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수직 진동운동기구 및 그운영방법.
JP4973517B2 (ja) * 2008-01-17 2012-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治療器及びこれに用いるケーブルユニット
JP5342577B2 (ja) * 2011-02-24 2013-1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管理装置、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533183A (ja) * 2011-11-11 2014-12-11 ニューロイネイブリング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運動神経、感覚、自律、性的、血管運動および認知機能の回復を可能にするための非侵襲性神経調節装置
US10102345B2 (en) * 2012-06-19 2018-10-16 Activbody, Inc. Personal wellness management platform
EP2866881B8 (de) * 2012-06-28 2018-09-05 Dirk Fritzsche Vorrichtung zur muskulären stimulation
US9375582B2 (en) * 2012-08-31 2016-06-28 Nuvectra Corporation Touch screen safety controls for clinician programmer
US20140371814A1 (en) * 2013-06-14 2014-12-18 Disruptive Innovations Unlimited, Llc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CA2926834A1 (en) * 2013-10-11 2015-04-16 Gi Therapies Pty Ltd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JP2015077351A (ja) * 2013-10-18 2015-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装置および運動解析プログラム
KR20150049145A (ko) * 2013-10-29 2015-05-08 (주)젬텍 재활치료 시스템의 제어방법
RU2583774C2 (ru) * 2014-01-14 2016-05-10 Анна Дмитриевна Владимирова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спортсмена
CN106659891B (zh) * 2014-07-23 2019-11-22 电子系统股份有限公司 电刺激装置及训练装置
EP3259026A1 (de) 2015-02-18 2017-12-27 Wearable Life Science GmbH Benutzerschnittstelle zur verwendung mit einem elektrostimulations-system
KR101641581B1 (ko) * 2015-03-06 2016-07-2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뇌병변 장애인을 위한 동영상 인지훈련 기반의 근육 전기감각자극 신경재활 시스템 및 방법
JP2017006644A (ja) 2015-06-17 2017-01-12 株式会社 Mtg 筋肉電気刺激装置
CN106377837A (zh) * 2016-09-19 2017-02-08 天津大学 基于步态识别的功能性肌肉电刺激助行装置及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6031A (ja) 2003-01-17 2004-08-05 Kyushu Hitachi Maxell Ltd 低周波治療器
US20160303363A1 (en) * 2015-03-17 2016-10-20 Michael P. Girouard NMES Gar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7119A1 (zh) 2019-10-11
JP6895304B2 (ja) 2021-06-30
US20180304074A1 (en) 2018-10-25
TWI758331B (zh) 2022-03-21
JP2018183295A (ja) 2018-11-22
EP3395401A1 (en) 2018-10-31
WO2018198393A1 (ja) 2018-11-01
TW201838681A (zh) 2018-11-01
KR20180119088A (ko) 2018-11-01
CN108721780A (zh) 2018-11-02
US10792494B2 (en) 2020-10-06
RU2017133288A3 (ko) 2020-11-24
CN108721780B (zh) 2023-11-24
EP3395401B1 (en) 2020-02-12
RU2741287C2 (ru) 2021-01-25
RU2017133288A (ru)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337B1 (ko) 운동 기구 제어 장치 및 운동 기구 제어 프로그램
US11590340B2 (en) Compact muscle stimulator
US10335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interpreting repetitive motions
US20140371814A1 (en)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4630646B (zh) 冲击治疗设备
JP2007507256A (ja) エクササイズを調整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エクササイズネットワーク
US111914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ersonalized reminder with intelligent self-monitoring
KR20140056752A (ko) 운동량 자동 계측과 맞춤형 건강 db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7066360B2 (ja) 電気的筋肉刺激装置
US20220134097A1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2380948B1 (ko) 불빛반응 훈련기구와 이를 이용한 운동 측정 및 처리방법
NZ786405A (en) Compact Muscle Stimulator
NZ786401A (en) Compact Muscle Stimulator
NZ747291B2 (en) Compact muscle stimulator
NZ786400A (en) Compact Muscle St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