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801B1 -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801B1
KR102451801B1 KR1020210139253A KR20210139253A KR102451801B1 KR 102451801 B1 KR102451801 B1 KR 102451801B1 KR 1020210139253 A KR1020210139253 A KR 1020210139253A KR 20210139253 A KR20210139253 A KR 20210139253A KR 102451801 B1 KR102451801 B1 KR 102451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floor
weight
coating
floor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허진환
윤재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허진환
윤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허진환, 윤재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21013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C04B14/204Mica; Vermiculite expand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04B22/064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of the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3Calcium-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2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S1) 주방바닥을 매끄럽게 정리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정리된 주방바닥을 탄성 몰탈 조성물을 코팅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된 주방바닥을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를 스프레이 분사한 다음 경화시키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경화된 주방바닥을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하여 1차 코팅한 다음 2차 코팅시 규사를 함께 사용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S5) 상기 단계 (S4)에서 코팅된 주방바닥을 무황변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은 기존의 바닥 콘크리트를 철거하지 않으면서도 즉시 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렌치 금속 부분을 전체적으로 코팅함으로써 바닥에 물이 고이거나 썩지 않아 세균번식을 방지하여 시공시 및 시공 후 냄새가 발생하지 않아 주방환경을 완벽하게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은 기존방법의 1/3의 기간내에 공사가 완성되어 최단 시간내에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방수성 및 내수성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하여 누수 하자발생이 발생하지 않아 주방바닥의 방수 보수방법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 {A method for hygienically waterproofing and repairing the kitchen floor in a short time}
본 발명은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바닥 콘크리트를 철거하지 않으면서 즉시 시공이 가능하며, 트렌치 금속 부분을 전체적으로 코팅함으로써 불쾌한 냄새 및 세균번식을 방지하면서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방과 같은 누수가 잦은 공간에서는 타일 아래 모래로 구성된 바탕을 타고 물이 스며들어 방수막이 소실된 부위로 슬라브를 관통하여 물이 새어 나가게 된다.
특히 주방 바닥은 트렌치를 설치하여 물이 배수가 되게 하는 시스템이 필히 설치 되어야 하기 때문에 트렌치는 스테인레스 제질을 사용하여 배수시스템을 설치하는데, 트렌치와 콘크리트가 만나는 부분은 절대로 접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주방을 사용하다 보면 트랜치와 콘크리트 사이가 벌어져 물이 유입되게 된다. 물이 유입되어 콘크리트를 부식시키고 부폐되어 썩은 냄새가 늘 나게 되어있으며, 세균의 온상이 되어 간다.
또한, 누수로 인한 바닥 타일의 탈락으로 인하여 표면 부식 및 부폐가 가속화 되어 주방 위생이 최악의 상황이 되어 하절기 등에 식중독 균이 발생하여 식중독 사고도 빈번히 일어난다.
또한, 주방보수를 위해 기사용하고 있던 바닥 콘크리트를 철거한 후 방수를 다시 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한 후 양생 기간을 거쳐서 바닥 마감 공사를 하는 것이 기존의 공사 방법이어서 공사기간이 대략 2개월 정도 걸려서 공사를 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주방을 보수공사 한다는 것은 공사기간이 너무 길어 시도를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안전한 먹거리 식품을 제공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 식품위생 당국에서는 단계적으로 HACCP 시스템의 의무적용을 시도해왔다. HACCP 시스템에서 SAFTY FOOD를 목적으로 하는 측면에서 공장시설 및 단체급식소 시설의 위생관리 측면에서 가장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관리하기 어려웠던 부분의 하나가 바닥시설 부분이다.
식품관련 공장의 바닥시설은 강한 충격이나 고온의 작업환경으로 고온수 및 고열과 사용 약품 등에 쉽게 부식되지 않고 미끄러지지 않고 청소 및 유지관리가 쉽고, 공사기간도 짧고 시공과정이나 시공 후 냄새가 나지 않으며 수분에 강한 바닥재가 요구되어져 왔다.
바닥 마감재가 설치되는 냉장 또는 냉동물류 창고 또는 물을 많이 사용하는 HACCP인증 제조 가공 사업장 및 학교, 호텔, 군부대 등의 단체급식소 등의 제품공정, 사용용도, 현장특성, 현장 환경조건, 사용조건, 시간적 제약조건 등을 면밀히 파악하여 사업장의 환경에 적합한 정확하고 확실한 바닥재를 시공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바닥재를 모두 인지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현장에 적용되는 형태는 도막형성 바닥재(MMA,EPOXY,URETHANE,HYBRIDE계), 타일, 테라조 등으로 설계되어 현장에 납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히 동절기 및 영하 기온의 조건에서 바닥 마감재로 시공되어 완벽한 성능을 발휘하는 바닥재는 극히 제한적으로 유기제품류인 MMA, EPOXY, URETHANE, HYBRIDE계 방수재가 시공되어 왔는바, 상기유형의 유기제품은 대기온도 및 바탕면이 영하 기온의 상황에서 시공시에는 경화가 되지 않거나 부분 경화현상으로 인하여 초기시공부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재시공이 요구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SAFTY FOOD를 요구하는 HACCP 인증 제조 가공 사업장 또는 학교, 호텔, 군부대 등의 단체급식소나 항공사의 캐터링센터 등의 경우 사용되는 고온수 또는 고온 가열이 필요한 장소에도 고온수 또는 고열에 견디어내는 바닥재가 없는 실정이며, 24시간 운영하는 제조가공 사업장의 경우 냄새에 매우 민감하여 바닥마감재 시공시 또는 시공 후 발생할 수 있는 냄새가 제품 제조과정에 유입이 되는 문제점을 우려하여 냄새가 발생하는 바닥재는 시공할 수가 없는 현장으로 분류되어 시공이 어려운 현장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기존의 바닥 콘크리트를 철거하지 않으면서 즉시 시공이 가능하며, 트렌치 금속 부분을 전체적으로 코팅함으로써 불쾌한 냄새 및 세균번식을 방지함으로써 시공시 및 시공 후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단시간내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주방 바닥 방수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바닥 콘크리트를 철거하지 않으면서 즉시 시공이 가능하며, 트렌치 금속 부분을 전체적으로 코팅함으로써 세균번식을 방지하여 시공시 및 시공 후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단시간내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주방바닥의 방수 보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S1) 주방바닥을 매끄럽게 정리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정리된 주방바닥을 탄성 몰탈 조성물을 코팅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된 주방바닥을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를 스프레이 분사한 다음 경화시키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경화된 주방바닥을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하여 1차 코팅한 다음 2차 코팅시 규사를 함께 사용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S5) 상기 단계 (S4)에서 코팅된 주방바닥을 무황변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단계.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2)에서 사용하는 탄성 몰탈 조성물은 팽창질석을 사용한 단열시멘트, 초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칼슘실리케이트와 석고 및 산화칼슘으로 구성된 팽창 시멘트, 세라믹 분말, 탄성 수지 및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수지는 PP(polypropylene)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의 동적 가교 반응을 통해 제조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바인더는 아크릴 수지와 우레탄 수지가 합성되어 형성되는 수용성 탄성 아크릴-우레탄 혼합 에멀젼수지, 분산제, 소포제, 동결방지제, UV차단제, 계면활성제, 연화제, 및 AE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 몰탈 조성물은 주방바닥 위에 2 내지 4mm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는 1 내지 2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3)에서 사용하는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70중량% 내지 80중량%와 가소제 20중량% 내지 30중량%가 혼합된 이소시아네이트 주제와 AP폴리올 25중량% 내지 40중량%, 트리에탄올아민개시제폴리올 35중량% 내지 50중량%, 가소제 22중량% 내지 24중량%, 실란 0.4중량% 내지 0.6중량%, 흡습제 1.1중량% 내지 1.3중량% 및 촉매 0.2중량% 내지 0.4중량%로 이루어진 경화제가 1:1 내지 1.2: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 경화형 2액형 수지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는 아닐린(Aniline)과 포름알데이드(Formaldehyde)가 축합되어 생성되는 디페닐메탄디아민(MDA)에 포스켄(Phosgene)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P폴리올은 캐스터오일(피마자유) 56중량% 내지 68중량%,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중량% 내지 4.5중량% 및 폴리에테르폴리올 30중량% 내지 40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몰비가 1:1.8 내지 1:2.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에탄올아민개시제폴리올은, 트리에탄올아민 개시제를 알킬렌 부가반응으로 합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는 트리에틸렌디아민(TEDA) 중량30%와 에틸렌글리콜(EG) 70중량%를 혼합 용융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0.2 내지 0.4 kg/㎡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3)에서 경화는 20 내지 4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4)에서 폴리우레아의 사용량은 1.0 내지 1.5 kg/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S5)에서 사용하는 무황변 코팅제는 폴리우레탄에멀전 100 중량부에 펜틸아세테이트 80 중량부, 1-펜탄올 60~80 중량부, 3,5-디나이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 50~70 중량부 및 싸이클로핵실 3,5-디나이트로벤조에이트 40~6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된 A액과; 2-메틸-1-아지리딘프로피오네이트 100 중량부에 펜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30~50 중량부, 트리페닐메탄올 20~40 중량부 및 2-햅타논 10~3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된 B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은 기존의 바닥 콘크리트를 철거하지 않으면서도 즉시 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렌치 금속 부분을 전체적으로 코팅함으로써 바닥에 물이 고이거나 썩지 않아 세균번식을 방지하여 시공시 및 시공 후 냄새가 발생하지 않아 주방환경을 완벽하게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은 기존방법의 1/3의 기간내에 공사가 완성되어 최단 시간내에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방수성 및 내수성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하여 누수 하자발생이 발생하지 않아 주방바닥의 방수 보수방법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바닥 방수보수 공법에 따라 시공된 주방바닥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S1) 주방바닥을 매끄럽게 정리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정리된 주방바닥을 탄성 몰탈 조성물을 코팅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된 주방바닥을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를 스프레이 분사한 다음 경화시키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경화된 주방바닥을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하여 1차 코팅한 다음 2차 코팅시 규사를 함께 사용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S5) 상기 단계 (S4)에서 코팅된 주방바닥을 무황변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단계.
본 발명의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의 단계 (S1)에서 주방바닥을 매끄럽게 정리하는 단계는 기존 바닥의 표면을 매끄럽게 만드는 작업이며, 바닥의 타일 및 손상된 바닥 복구하여 전체 표면이 매끄럽게 되도록 만드는 작업이다. 예를 들어, 바닥 표면의 타일이 떨어진 곳은 모두 제거하고, 표면 부식이 되어 콘크리트가 부서지는 곳은 모두 제거하고, 타일은 콘크리트 면삭 날을 사용하여 타일 표면을 갈아 내는 작업이다.
본 발명의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의 단계 (S2)에서 사용하는 탄성 몰탈 조성물은 팽창질석을 사용한 단열시멘트, 초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칼슘실리케이트와 석고 및 산화칼슘으로 구성된 팽창 시멘트, 세라믹 분말, 탄성 수지 및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 수지는 PP(polypropylene)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의 동적 가교 반응을 통해 제조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지바인더는 아크릴 수지와 우레탄 수지가 합성되어 형성되는 수용성 탄성 아크릴-우레탄 혼합 에멀젼수지, 분산제, 소포제, 동결방지제, UV차단제, 계면활성제, 연화제, 및 AE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몰탈 조성물은 주방바닥 위에 2 내지 4mm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타일 및 콘크리트 바닥은 물기가 마르지 않으며, 타일 매지에 페인곳 등 굴곡이 있는 부분은 채워 주어 바닥을 고르게 해야 코팅을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몰탈 조성물은 수용성으로 주방바닥을 별도로 건조시키지 않고도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도 코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몰탈 조성물은 건조속도가 매우 빨라 1~2일 정도면 표면이 충분히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의 단계 (S3)에서 사용하는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경화제와 주제로 이루어진 2액형 자재이다.
상기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70중량% 내지 80중량%와 가소제 20중량% 내지 30중량%가 혼합된 이소시아네이트 주제와 AP폴리올 25중량% 내지 40중량%, 트리에탄올아민개시제폴리올 35중량% 내지 50중량%, 가소제 22중량% 내지 24중량%, 실란 0.4중량% 내지 0.6중량%, 흡습제 1.1중량% 내지 1.3중량% 및 촉매 0.2중량% 내지 0.4중량%로 이루어진 경화제가 1:1 내지 1.2: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 경화형 2액형 수지조성물이다.
상기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는 아닐린(Aniline)과 포름알데이드(Formaldehyde)가 축합되어 생성되는 디페닐메탄디아민(MDA)에 포스켄(Phosgene)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P폴리올은 캐스터오일(피마자유) 56중량% 내지 68중량%,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중량% 내지 4.5중량% 및 폴리에테르폴리올 30중량% 내지 40중량%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폴리올은 몰비가 1:1.8 내지 1:2.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에탄올아민개시제폴리올은, 트리에탄올아민 개시제를 알킬렌 부가반응으로 합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는 트리에틸렌디아민(TEDA) 중량30%와 에틸렌글리콜(EG) 70중량%를 혼합 용융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초속 경화형으로 20 내지 40분이면 완전히 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0.2 내지 0.4 kg/㎡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탄성 몰탈 조성물이 완전히 건조된 후 표면에 스프레이 방법으로 골고루 분사 시공하며, 표면이 약간 고르지 못한 부분에는 다량 분사하여 도포함으로써 표면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의 단계 (S4)에서는 경화된 주방바닥을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하여 1차 코팅한 다음 2차 코팅시 규사를 함께 사용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폴리우레아의 사용량은 1.0 내지 1.5 kg/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코팅시에는 규사를 동시에 시공하여 주방바닥 코팅층 표면에 규사가 함침될 수 있도록 시공한다. 이 때 코팅층의 최소두께는 2mm이며 2.5 내지 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제의 코팅 시에는 트렌치 내부까지 모두 코팅되도록 하며, 트렌치 내부에 코팅하는 것은 트렌치가 변형되어 용접 부분이나 또는 부식되어 누수로 이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의 단계 (S5)에서 사용하는 무황변 코팅제는 수성 무황변 투명 폴리우레탄 코팅제로서, 폴리우레탄에멀전 100 중량부에 펜틸아세테이트 80 중량부, 1-펜탄올 60~80 중량부, 3,5-디나이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 50~70 중량부 및 싸이클로핵실 3,5-디나이트로벤조에이트 40~6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된 A액과; 2-메틸-1-아지리딘프로피오네이트 100 중량부에 펜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30~50 중량부, 트리페닐메탄올 20~40 중량부 및 2-햅타논 10~3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된 B액을 포함하고, A액과 B액이 소정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은 기존의 바닥 콘크리트를 철거하지 않으면서도 즉시 시공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렌치 금속 부분을 전체적으로 코팅함으로써 바닥에 물이 고이거나 썩지 않아 세균번식을 방지하여 시공시 및 시공 후 냄새가 발생하지 않아 주방환경을 완벽하게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은 기존방법의 1/3의 기간내에 공사가 완성되어 최단 시간내에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방수성 및 내수성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하여 누수 하자발생이 발생하지 않아 주방바닥의 방수 보수방법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주방바닥 표면에 떨어진 타일은 모두 제거하고, 콘크리트 면삭 날을 사용하여 타일 표면을 갈아 내어 주방바닥을 정리하였다.
팽창질석을 사용한 단열시멘트, 초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칼슘실리케이트와 석고 및 산화칼슘으로 구성된 팽창 시멘트, 세라믹 분말, PP(polypropylene)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탄성 수지 및 아크릴 수지와 우레탄 수지가 합성되어 형성되는 수용성 탄성 아크릴-우레탄 혼합 에멀젼수지 및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탄성 몰탈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기 주방바닥 위에 2 내지 4mm의 두께로 코팅한 다음 2일 동안 건조하였다.
이어서,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75중량%와 가소제 25중량%가 혼합된 이소시아네이트 주제와 AP폴리올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개시제폴리올 40중량%, 가소제 23중량%, 실란 0.5중량%, 흡습제 1.2중량% 및 촉매 0.3중량%로 이루어진 경화제가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초속 경화형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를 제조한 다음 상기 탄성 몰탈 조성물이 건조된 주방바닥 위에 코팅하고 30분 동안 경화시켰다.
이어서, 경화된 주방바닥을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하여 1차 코팅한 다음 폴리우레아와 규사를 함께 사용하여 2차 코팅하였다. 이 때 폴리우레아의 총 사용량은 1.0 내지 1.5 kg/mm이고 코팅층의 두께는 2.5 mm이었다.
이어서, 폴리우레탄에멀전 100 중량부에 펜틸아세테이트 80 중량부, 1-펜탄올 70 중량부, 3,5-디나이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 60 중량부 및 싸이클로핵실 3,5-디나이트로벤조에이트 5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된 A액과; 2-메틸-1-아지리딘프로피오네이트 100 중량부에 펜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40 중량부, 트리페닐메탄올 30 중량부 및 2-햅타논 2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된 B액을 포함하는 수성 무황변 투명 폴리우레탄 코팅제를 이용하여 주방바닥을 상도코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바닥 방수보수 공법에 따라 시공된 주방바닥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험예 1>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을 KSF3211에 의거하여 시험편으로 제조한 후 시중에 유통되는 폴리우레탄 방수제 제품(한국특허등록 10-1771248호에 따라 제조된 제품임)을 비교예 1로 하여 비교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은 ⊙ : 우수함, ○ : 양호, ◇ : 다소 떨어짐으로 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내황변성
내오염성
내구성
내용제성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은 내황변성, 내오염성, 내구성, 내용제성 등과 같은 모든 부분에서 매우 우수한 물성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사기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기존의 바닥 콘크리트를 철거하지 않으면서도 즉시 시공이 가능하여 2일만에 모두 완벽하게 시공이 완성된 반면, 비교예 1의 경우는 공사기간이 일주일이 소요되었다.
<시험예 2> 유해물질 방출 시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에 대하여 유해한 휘발성 화합물이 어느 정도 방출되는지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에서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법 환경부고시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Figure 112021119514424-pat0000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에서는 총 유해물질이 거의 방출되지 않거나 극히 미미하게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방수성 시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의 안정도, 방수성, 부착성 및 박리성 등을 측정하였고,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안정도(kg/f) 1341 952
방수성(%) 99% 83%
부착성 좋음 나쁨
박리성 미박리 약간 박리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은 방수성 및 부착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고 안정도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시공한 경우에는 바닥에 물이 고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내수성 시험
(1) 표면경도 평가
KS D 6711에 따라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2) 내수성 평가
90℃ 열수에서 연속으로 표면 변형(균열, 블리스터 등)이 일어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표면경도 4H 3H
내수성 712hr 454h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은 표면경도 및 내수성이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항균성 시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의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시험균종으로 박테리아 세포인 Escherichia coli 및 Staphylococcus aureus을 사용하여 배양 시간을 4 주로 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크기(㎜)는 50 ㅧ 50 ㅧ 10으로 하였다. 각 박테리아의 제거율을 계산한 후 표 5에 나타내었다.
E. coli 제거율(%) S. aureus 제거율(%)
대조군 0 0
실시예 1 97.2 97.8
비교예 1 0.8 0.9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에 대해 항균시험을 실시한 결과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24시간 후 97.2% 이상의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6> 유해물질 잔류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을 살포한 후 중금속 및 유해물질의 검출 유무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단위 비교예 1 실시예 1
잔류 PCBs mg/kg 불검출 불검출
잔류 납(Pb) mg/kg 불검출 불검출
잔류카드늄(Cd) mg/kg 불검출 불검출
잔류 수은(Hg) mg/kg 불검출 불검출
잔류6가크롬(Cr+6) mg/kg 2 1
용출 납(Pb) mg/L 불검출 불검출
용출 과망간산칼슘 소비량 mg/L 1 1
용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g/L 불검출 불검출
용출 증발잔류물 4% 초산 mg/L 4 2
용출 증발잔류물 물 mg/L 2 1
용출 증발잔류물 n-헵탄 mg/L 7 5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은 유해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탈취시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의 탈취 효과를 확인하였다. 암모니아,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탈취시험은 가스텍(model 801, GASTEC CO)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미생물 배양체를 증류수에 50배 희석하여 분사기로 분사시켰다.
시료를 5L 크기의 반응기에 넣고 밀봉한 후, 시험가스를 주입하고(암모니아, 톨루엔 초기 농도 50μmol/mol, 포름알데히드 초기 농도 20μmol/mol), 1시간 후 시험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가스의 제거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고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119514424-pat00002
Blank 실시예 1 비교예 1
암모니아 50μmol/mol 99% 21%
톨루엔 50μmol/mol 99% 32%
포름알데히드 20μmol/mol 99% 22%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은 암모니아, 톨루엔, 포름알데히드에 대하여 우수한 탈취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8> 유효기간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의 시간에 따른 대장균군과 황색포도상구균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3개월 이상 경과된 시료는 곰팡이 항목을 추가하여 확인하였다. 시료와 멸균된 생리식염수(0.85%) 90ml을 미생물 시료 균질기 백(Stomacher bag)에 담고 미생물 시료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시킨 후 시험액으로 사용하였고, 이 시험액 1ml을 3M사의 페트리필름지에 분주하여 Incubator (37ㅁ1℃)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콜로니 형성 균체를 계수한 후 2~3회 반복치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시료 g당 세균수 (CFU/g)로 표시하였다. 곰팡이는 인큐베이터 (28ㅁ1℃)에서 7일 이상 배양 후 검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기간 시험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1달 후 일반 세균수 1.2x10 3.1x10
대장균군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2달 후 일반 세균수 1.8x10 4.5x10
대장균군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4달 후 일반 세균수 2.5x10 6.2x10
대장균군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6달 후 일반 세균수 2.8x10 7.3x10
대장균군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곰팡이 N.D 검출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주방바닥 방수 처리된 바닥은 6달 후에도 곰팡이 등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일반 세균수가 비교예 1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수로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S1) 주방바닥을 매끄럽게 정리하는 단계;
    (S2) 상기 단계 (S1)에서 정리된 주방바닥을 탄성 몰탈 조성물을 코팅하여 건조시키는 단계;
    (S3) 상기 단계 (S2)에서 건조된 주방바닥을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를 스프레이 분사한 다음 경화시키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경화된 주방바닥을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이용하여 1차 코팅한 다음 2차 코팅시 규사를 함께 사용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S5) 상기 단계 (S4)에서 코팅된 주방바닥을 무황변 코팅제를 이용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S2)에서 사용하는 탄성 몰탈 조성물은 팽창질석을 사용한 단열시멘트, 초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칼슘실리케이트와 석고 및 산화칼슘으로 구성된 팽창 시멘트, 세라믹 분말, 탄성 수지 및 수지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수지는 PP(polypropylene)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의 동적 가교 반응을 통해 제조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 (S5)에서 사용하는 무황변 코팅제는 폴리우레탄에멀전 100 중량부에 펜틸아세테이트 80 중량부, 1-펜탄올 60~80 중량부, 3,5-디나이트로벤조일클로라이드 50~70 중량부 및 싸이클로핵실 3,5-디나이트로벤조에이트 40~6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된 A액과; 2-메틸-1-아지리딘프로피오네이트 100 중량부에 펜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30~50 중량부, 트리페닐메탄올 20~40 중량부 및 2-햅타논 10~30 중량부가 첨가되어 제조된 B액을 포함하는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몰탈 조성물은 주방바닥 위에 2 내지 4mm의 두께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에서 사용하는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70중량% 내지 80중량%와 가소제 20중량% 내지 30중량%가 혼합된 이소시아네이트 주제와 AP폴리올 25중량% 내지 40중량%, 트리에탄올아민개시제폴리올 35중량% 내지 50중량%, 가소제 22중량% 내지 24중량%, 실란 0.4중량% 내지 0.6중량%, 흡습제 1.1중량% 내지 1.3중량% 및 촉매 0.2중량% 내지 0.4중량%로 이루어진 경화제가 1:1 내지 1.2:1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 경화형 2액형 수지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계 무용제 속경용 프라이머 코팅제는 0.2 내지 0.4 kg/㎡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바닥 방수보수 방법.
  6. 삭제
KR1020210139253A 2021-10-19 2021-10-19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 KR102451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53A KR102451801B1 (ko) 2021-10-19 2021-10-19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53A KR102451801B1 (ko) 2021-10-19 2021-10-19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801B1 true KR102451801B1 (ko) 2022-10-06

Family

ID=8359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253A KR102451801B1 (ko) 2021-10-19 2021-10-19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8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02B1 (ko) * 2013-09-12 2014-12-09 조동호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20200113321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에스윈 탄성을 갖는 도막형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형 바닥재
KR102224959B1 (ko) * 2020-09-29 2021-03-08 윤재필 침투성이 우수한 초속 경화형 이액형 수지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방식 및 방수공법
KR20210000869U (ko) * 2019-10-14 2021-04-22 박준영 고강도초속경 기능성모르타르 적용 우레탄 도막복합 방수공법
KR102269021B1 (ko) * 2020-06-24 2021-06-25 신은경 수성 무황변 투명 폴리우레탄 코팅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302B1 (ko) * 2013-09-12 2014-12-09 조동호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20200113321A (ko) *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에스윈 탄성을 갖는 도막형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형 바닥재
KR20210000869U (ko) * 2019-10-14 2021-04-22 박준영 고강도초속경 기능성모르타르 적용 우레탄 도막복합 방수공법
KR102269021B1 (ko) * 2020-06-24 2021-06-25 신은경 수성 무황변 투명 폴리우레탄 코팅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224959B1 (ko) * 2020-09-29 2021-03-08 윤재필 침투성이 우수한 초속 경화형 이액형 수지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방식 및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69390B2 (en) Asphalt-urethane composition
CN108331279B (zh) 一种用于混凝土基层表面的喷涂聚脲防护体系的施工方法
EP0568388A1 (en) Liquid coatings for cast iron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2451801B1 (ko) 단시간내에 주방바닥을 위생적으로 방수 보수하는 방법
JP2017039623A (ja) 水硬性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KR20220017704A (ko) 우레탄계 옥상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 방근 방법
KR101422442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일체형 복합 방수 공법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KR102297483B1 (ko)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
KR102559261B1 (ko) 물탱크용 방수방식 에폭시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코팅 방법
KR20140068420A (ko) 수처리 시스템의 방수방식 도막 및 그 도막의 도포 방법
JP2007283607A (ja) コンクリートの成形方法
WO2006021092A1 (en) Method for treating the internal surfaces of industrial buildings
KR102402124B1 (ko) 주방바닥 보수 방법
JP2003013589A (ja) 床用調整材、床並びにその施工法
US10266454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properties of a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01390B1 (en) Protective system for concrete sewer applications
JP6931288B2 (ja) 建材用シーラー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102600755B1 (ko) 슁글지붕 및 옥상 방수제를 이용하여 방수 시공하는 방법
JP3201660B2 (ja) 多孔性無機質材の下地処理方法
JP3924699B2 (ja) 床構造体並びにその施工法
KR102225932B1 (ko) 차열 효과가 향상된 방수막 코팅 시공 방법
SPECIFICATION AIRLOK®
DiCenzo et al. Performance Testing of Coatings for Repairing Terra-Cotta Glaze Sp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