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483B1 -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483B1
KR102297483B1 KR1020200183750A KR20200183750A KR102297483B1 KR 102297483 B1 KR102297483 B1 KR 102297483B1 KR 1020200183750 A KR1020200183750 A KR 1020200183750A KR 20200183750 A KR20200183750 A KR 20200183750A KR 102297483 B1 KR102297483 B1 KR 10229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proofing
waterproof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규
윤현주
김지선
김유정
김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린텍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린텍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린텍개발
Priority to KR102020018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하온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단시간내(30분 ~ 60분)에 완전경화되어 바로 사용이 가능한 마감재 조성물을 제공하며, 콘크리트 구조체와의 강력한 부착력, 우수한 압축강도 발현, 모체로부터 올라오는 수분이 투과되는 통기성능 및 물이 침투하지 못하는 방수성능, 물을 접촉함과 동시에 물을 흡수하여 미끄럼방지성능을 발휘하며, 고열(1000℃ ~ 1200℃)조건에서도 물성 변화가 없는 불연성능, 모체로부터 수분기체압력을 뿜어내어 도막층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식성능, 도막재의 성능을 오랜시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지닌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에 물을 충분히 도포하여 100%의 습윤면 상태에서 직접 시공하는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은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10 ~ 20 중량부와, 제1인산칼륨(KH2PO4) 10 ~ 30 중량부와, 규회석 또는 감람석 분말 1 ~ 20 중량부와, 무기결합재 1 ~ 20 중량부와, 분말형 구체방수재 0.1 ~ 5 중량부와, 섬유 보강재 0.1 ~ 5 중량부와, 소포제 0.01 ~ 2 중량부와, 구연산 또는 붕산 0.1 ~ 5 중량부와, SiO2, TiO2, Al2O3, ZrO2, Cr2O3, 활석, 운모, 카올린, 돌로마이트, 크롬광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되는 첨가물 30 ~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이다.

Description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Super-speed hardening, waterproofing, insulating and non-flammable ceramic finishing material composi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and waterproof construction using it}
본 발명은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마모성, 통기성, 미끄럼방지 성능, 불연성 및 방수방식 성능을 구비하며, 대기온도가 영하 온도(-20℃ ~ -50℃)에서도 시공이 가능하고, 대기습도 100% 상태이거나 콘크리트 구조체 바탕면의 함수비가 100% 상태에서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면에 도막층을 시공하여 30분 내지 60분의 짧은 시간내에 초속경화가 이루어지며,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 우수한 압축강도, 내충격성, 친환경성, 트랜치 주위 보강 및 코너몰딩 보강공사가 가능한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균열로 인한 누수, 결로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약화됨으로써 노후화가 촉진된다. 특히, 최근에는 건물이 대형화되면서 평면형 옥상이 다수 시공되고 있는데, 평면형 옥상의 경우 구조적으로 빗물이 고이기 쉽기 때문에 누수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건축 구조물에 대한 방수방법으로서 종래 알려진 우레탄 방수, 아스팔트 방수 및 도막 방수 외에, 외부의 변화하는 기후조건에 잘 적응하며 현장에서 간편하게 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시트 방수는, 합성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은 합성고분자계 또는 고무화아스팔트 등을 주원료로 하여 보통 0.8 내지 3.0mm 두께의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방수시트를 연달아 배치함으로써 방수 효과를 얻도록 한다.
종래 개발된 복합시트 방수방법들은 주로, 건축 구조물에 대한 지속적인 외부 충격이나 환경 조건의 변화 등으로 방수층에 균열이 발생한다거나 누수가 발생하여 구조물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공상의 경제성과 편의성을 증진시키고자, 방수시트 원료 자체에 대한 물성 개선은 물론, 복합방수시트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를 개선하는 것이었다.
한편, 안전한 먹거리 식품을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 식품위생 당국에서는 식품관리체계 구축을 위하여 2006년 9월 1일부터 2012년 9월 1일까지 6개 품목으로 어육가공품중 어묵류, 냉동수산식품중 어류, 연체류, 조미가공품, 냉동식품 중 피자류, 만두류, 면류, 빙과류, 비가열음료, 레토르트식품 등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의 의무적용을 시도해왔다.
학교를 관할하는 교육청에서도 학교 단체 급식소의 현대화사업에 HACCP시스템을 적용하여 SAFTY FOOD를 목적으로 HACCP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우리나라 식품제조 가공업체 17,000개업체 중 종업원 50인 미만의 사업장이 90%에 육박하여 식품시장 매출액 대비 약 28%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식품제조 및 가공업체가 영세한 실정이고, 교육청의 단체급식소 현대화사업에도 예산이 부족하여 효율적인 현대화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여건속에서 HACCP인증 제조 가공 사업장 및 학교, 호텔, 군부대 등의 단체 급식소의 HACCP 시스템에서 SAFTY FOOD를 목적으로 하는 측면에서 공장시설 및 단체급식소 시설의 위생관리 측면에서 가장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관리하기 어려웠던 부분의 하나가 주방 등 물을 많이 사용하는 바닥시설 부분이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는 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HACCP인증 제조 가공 사업장 또는 학교, 호텔, 군부대 등의 단체 급식소의 현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바닥 마감재의 필요 항목은 아래의 표 1과 같이 요구하고 있다.
순서 바닥재로서 요구되는 내용 항목
1 바탕면의 물 사용에도 부착력이 유지되는 바닥재 강력한 부착력
2 바탕면으로부터 올라오는 기체압력이 투과되는 바닥재 고어텍스 기능
3 어떠한 강한 충격에도 파손이 되지 않는 바닥재 우수한 압축강도
4 물이 표면에 닿았을때 미끄럼방지가 되는 바닥재 미끄럼방지성능
5 코너부위에 R형 마감 시공이 가능한 바닥재 코너몰딩보강
6 도막층과 트랜치주위가 탈락되지 않는 바닥재 트랜치주위 탈락방지성능
7 물을 사용하는 현장에 방수가 되는 바닥재 방수성능
8 고온의 물을 사용에 견디어내는 바닥재 내열성
9 국솥등의 가열단지 주위에 고온에 견디는 바닥재 불연성
10 오염방지성능이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바닥재 오염방지성
11 시공시 냄새가 나지 않는 바닥재 무취성
12 짧은 시간에 시공이 가능한 바닥재 초속경
13 영하기온에 시공이 가능한 바닥재 내한성
14 식중독 원인균을 억제하는바닥재 내항균성
15 장시간 수명이 유지되는 바닥재 내구성
상기와 같은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바닥재를 모두 인지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현장에 적용되는 형태는 도막형성 바닥재(MMA, EPOXY, URETHANE, HYBRIDE계), 타일, 테라조 등으로 설계되어 현장에 납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특히 동절기 및 영하 온도의 조건에서 바닥 마감재로 시공되어 완벽한 성능을 발휘하는 바닥재는 극히 제한적으로 유기 제품류인 MMA, EPOXY, URETHANE, HYBRIDE계 방수재가 시공되어 왔는바, 상기 유형의 유기 제품들은 대기온도 및 바탕면이 영하 온도의 상황에서 시공 시에는 경화가 되지 않거나 부분 경화현상으로 인하여 초기 시공부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재시공이 요구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영업중이거나 가동중인 주방에서 사용하는 냉장 및 냉동창고, 및 어류, 육류 등을 보관하여 24시간 입출고의 운영상태를 유지해야하는 대형 냉동물류창고의 경우에는 가동을 중지하거나 영업을 중단한 후 냉동창고를 보수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되는데 가동 중인 냉동창고의 경우 내부 온도 및 바탕면 온도가 영하 20℃ 내지 50℃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바탕면의 경우에는 기존 콘크리트 구조층이 동결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악조건으로 동결상태의 콘크리트 구조층 바탕면에 마감재 시공이 가능한 바닥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고, 특히 시공 후 곧 바로 냉장 및 냉동창고를 운영해야 하는 상황이므로 시공 후 단시간 내에 완전 경화가 이루어져 곧바로 지게차 등의 통행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바닥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학교 주방이나 식당, 예를 들면 HACCP 사업장인 김치가공사업장, 햄가공사업장, 어류가공사업장 등의 경우에는 연중 365일 물을 사용하게 되며 콘크리트 구조층이 항시 수분에 노출되어 있는 현장에서 요구되어지는 마감재의 항목 중 수분기체 압력의 투과 성능이 가능한 바닥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바, 콘크리트 구조체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마감재가 시공된 후 상부로 수분 기체가 도막층을 투과될 수 있어야만 마감재의 도막층이 콘크리트 구조체와 일체화되어 강력한 부착력을 확보하여 바탕면으로부터 도막층의 탈락 없이 장시간 유지될 수가 있다.
그러나 기존에 시공되어온 유기제품군인 MMA, EPOXY, URETHANE, HYBRIDE계의 바닥재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바탕면의 함수율이 5% 미만에서만 우수한 부착력을 발휘할 수 있고, 짧은 기간 안에 급식실 및 식당 공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함수율 조건이 맞지 않아서 환풍기나 블로워 등을 이용하여 강제 건조작업을 통하여 바닥재를 시공하게 되는 경우 바탕 표면 외관은 건조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지만 콘크리트 구조체 속에서는 양생 중에 함유된 수분이 그대로 있는 상태로 표면에 마감재가 시공된 후 콘크리트 구조체 속에 있는 수분 기체가 도막층을 투과하지 못하고 콘크리트 구조체 속으로부터 올라오는 수분기체 압력(이를 '잠복수'라고도 칭함)이 도막층을 투과하려는 현상으로 인하여 도막층이 볼록하게 튀어 나오는 에어볼륨(시트부풀음)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바탕면과의 부착력을 감소시켜 도막층이 쉽게 탈락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즉, 콘크리트 구조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 기체 압력에 의하여 유기제품 도막층이 에어볼륨(시트부풀음) 현상과, 부착력 감소로 인하여 시공된 도막층이 쉽게 탈락되는 경우 하자가 발생한 부분을 다시 시공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물을 사용한 사업장의 바탕면이 수분으로 항시 100% 습윤 상태에서 표면을 건조시켜서 다시 시공하기에는 콘크리트구조체 내부에 수분이 그대로 방치된 상황에서 표면만 건조시켜 재시공할 경우 동일한 하자의 문제점이 다시 발생하는 악순환 과정을 반복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특히, SAFTY FOOD를 요구하는 HACCP인증 제조 가공 사업장 또는 학교, 호텔, 군부대 등의 단체급식소나 항공사의 캐터링센터 등의 경우 사용되는 고온수 또는 고온 가열이 필요한 장소에도 고온수 또는 고열에 견디어내는 바닥재가 없는 실정이며, 24시간 운영하는 제조가공 사업장의 경우 냄새에 매우 민감하여 마감재 시공 시 또는 시공 후 발생할 수 있는 냄새가 제품 제조과정에 유입이 되는 문제점을 우려하여 냄새가 발생하는 바닥재는 시공을 할 수가 없는 현장으로 분류되어 시공이 어려운 현장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분기체압력이 도막층을 투과하도록 하여 에어볼륨(시트부풀음) 현상이 없으며,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고, 단시간에 경화가 이루어져 바로 사용이 가능한 마감재가 요구되고, 고온수 또는 고열의 극한 상황가운데 물성 변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재에 대한 불연성과 급격한 화재번짐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마감재와 마감재 시공 시 및 시공 후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단시간내에 신속히 경화가 이루어지는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마감재가 요구되어져 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18297호(2007. 3. 21. 공고),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등록특허공보 제10-1339584호(2013. 12. 10. 공고), '교통개방시간 단축이 가능한 노후 시멘트 콘크리트 노면 보수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보수 포장법' 등록특허공보 제10-1649208호(2016. 8. 18. 공고), '신속개방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스케일링 및 스폴링 보수용 응급보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상온 응급 경화형 세라믹혼합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습윤면에 시공이 가능한 수용성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수분기체압력이 도막층을 투과하는 고어텍스(통기성 + 방수성) 기능의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시공전후 냄새가 전혀 없는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미끄럼방지 성능이 요구되는 곳, 방수성능이 함유된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불에 타지 않는 불연재(1000~1200℃)의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영하온도(-20~-50℃)에 시공이 가능한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속경성(30~60분)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내산성, 내화학성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내향균성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내마모성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강력한 부착력과 우수한 압축강도가 요구되는 곳, 무수축 성능의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등에서 바닥층(옥상, 외벽 포함)에 부착되어 마감재로 사용되며, 영하온도 시공, 초속경화, 강력한 부착력, 우수한 압축강도, 통기성, 미끄럼방지성능, 불연성능, 방수방식성능, 내화학성, 내항균성, 내마모성, 무수축성 등을 제공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성 마감재가 요구되는 학교주방, 호텔급식소, HACCP사업장 등, 수분기체압력이 도막층을 투과하는 고어텍스(통기성 + 방수성) 기능의 마감재가 요구되는 수산물시장, 수영장, HACCP사업장 등, 시공전후 냄새가 전혀 없는 마감재가 용구되는 주방, 급식실 등, 미끄럼방지 성능이 요구되는 주방, 수산물시장, HACCP사업장 등, 방수성능이 함유된 마감재가 요구되는 곳, 불에 타지 않는 불연재(1000 ~ 1200℃)의 마감재가 요구되는 주방, 전지공장 등, 영하온도(-20 ~ -50℃)에 시공이 가능한 마감재가 요구되는 내동물류창고, 냉장창고 등, 속경성(30 ~ 60분) 마감재가 요구되는 24시간 운영 사업장, 캐터링센터 등, 내산성, 내화학성 마감재가 요구되는 화학제품 생산구역, 실험실 등, 내항균성 마감재가 요구되는 주방, HACCP사업장 등, 내마모성 마감재가 요구되는 주차장, 물류창고 등, 강력한 부착력과 우수한 압축강도가 요구되는 공항활주로, 도로 등, 불연성능이 요구되는 옥상방수, 외벽방수, 외단열불연마감 등, 강력한 부착력으로 내진성능이 요구되는 외단열불연마감 등의 마감재로 적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바탕면에 100% 습윤면 상태에서 도막재를 직접 시공하여 초속경화를 발현하며,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 확보 및 우수한 압축강도, 미끄럼방지 기능, 내진성, 불연성, 통기성, 방수방식 성능, 내화학성, 내항균성, 내마모성, 무수축성 등을 구현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00% 습윤 상태 및 영하온도에서 시공이 가능하고 신속히 경화되어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 우수한 압축강도, 방수방식성능, 고어텍스기능, 미끄럼방지성능, 불연성능, 내화학성능, 내항균성능, 내마모성능을 제공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에 있어서,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10 ~ 20 중량부와, 제1인산칼륨(KH2PO4) 10 ~ 30 중량부와, 규회석 또는 감람석 분말 1 ~ 20 중량부와, 무기결합재 1 ~ 20 중량부와, 분말형 구체방수재 0.1 ~ 5 중량부와, 섬유 보강재 0.1 ~ 5 중량부와, 소포제 0.01 ~ 2 중량부와, 구연산 또는 붕산 0.1 ~ 5 중량부와, SiO2, TiO2, Al2O3, ZrO2, Cr2O3, 활석, 운모, 카올린, 돌로마이트, 크롬광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되는 첨가물 30 ~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기결합재는 플라이애쉬, 실리카흄, 메타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말형 구체방수재는 규산질계 분말형방수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섬유 보강재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라미드, 폴리아미드, 폴리 비닐 알콜, 유리 섬유, 강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00% 습윤 상태 및 영하온도에서 시공이 가능하고 신속히 경화되어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 우수한 압축강도, 방수방식성능, 고어텍스기능, 미끄럼방지성능, 불연성능, 내화학성능, 내항균성능, 내마모성능을 제공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10 ~ 20 중량부와, 제1인산칼륨(KH2PO4) 10 ~ 30 중량부와, 규회석 또는 감람석 분말 1 ~ 20 중량부와, 무기결합재 1 ~ 20 중량부와, 분말형 구체방수재 0.1 ~ 5 중량부와, 섬유 보강재 0.1 ~ 5 중량부와, 소포제 0.01 ~ 2 중량부와, 구연산 또는 붕산 0.1 ~ 5 중량부와, SiO2, TiO2, Al2O3, ZrO2, Cr2O3, 활석, 운모, 카올린, 돌로마이트, 크롬광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되는 첨가물 30 ~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초속경화 무기불연 방수방식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루고, 상기 초속경화 무기불연 방수방식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에 공정수 20 ~ 50 중량부 비율로 혼합되어 슬러리 상태로 공급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기결합재는 플라이애쉬, 실리카흄, 메타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말형 구체방수재는 규산질계 분말형방수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섬유 보강재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라미드, 폴리아미드, 폴리 비닐 알콜, 유리 섬유, 강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층의 표면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하는 공정의 바탕면 관리단계;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한 후 물을 충분히 도포하여 바탕면을 100% 습윤면을 조성하는 공정인 바탕면 습윤 조성단계; 물이 충분히 도포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단시간 내에 양생하여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층 조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마감재 조성물을 바탕면에 도포하는 마감재 도포 단계; 상기 마감재 조성물 상측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단열방수 복합시트를 맞댐 부착하는 단열방수 복합시트 부착 단계;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의 맞댐부에 에어로젤 함침 유리섬유 테이프를 부착하는 유리섬유 테이프 부착 단계;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와 에어로젤 함침 유리섬유 테이프 상측에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 단계; 순으로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는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 및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에 중첩되는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은 에어로젤이 함침된 부분과 에어로젤이 함침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구비되는 폴리에스터(PET)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은, 열경화성 연질 계열의 재생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접착제, 탄산칼슘, 세노픽스, 카올린 및 규회석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1첨가바인더 1~30 중량부; SiO2, Al2O3, 메타카올린, 제올라이트 및 플라이애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2첨가바인더 5~30 중량부; 안료, 형광, 목분, 숯, 운모석, 게르마늄 및 화산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3첨가바인더 1~10 중량부; 소포제, 인산칼슘, 분산제 및 기포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4첨가바인더 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이 상기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방수재 도포 단계의 방수재는 에어로젤 단열방수재이고,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이 상기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방수재 도포 단계의 방수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수용성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젤은 실리카 기반 에어로젤 조성물로서, 다공성 구조로 기공율이 80~95%, 크기는 1~50nm, 최저열전도율 0.016W/m·K의 특성을 나타내는 다공성 세라믹구조로 이루어진 실리카에어로젤 30~60 중량부; 아크릴에멀젼계 수지 20~60 중량부; 다가알콜첨가제화합물 0.1~10 중량부; 무기체 첨가제 0.1~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산성을 나타내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과 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염기성 성분을 포함하여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고, 압축 강도가 우수하며, 물성의 조성물이 신속하게 경화하고, 영하온도(-20℃ ~ -50℃) 및 100% 습윤 상태에서 시공이 가능하며, 바로 경화되어 시공 후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은 수분이 함유된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 및 우수한 압축강도를 제공하고, 무기동체 속의 수분이 도막층을 투과하여 배출되는 통기성을 가지나 상부의 물은 내측으로 침투하지 않는 방수성을 갖는 고어텍스성능을 가지며, 미끄럼방지성, 불연성, 방식성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은 시공전후 냄새가 전혀 없고, 미끄럼방지 성능이 우수하며, 고온(1000 ~ 1200℃)에서도 불에 타지 아니하고, 내화학성, 내항균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본 발명의 아쿠아크리트의 고어텍스 성능 원리를 나타낸 사진 및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아쿠아크리트 바닥 마감재 조성물로 명명하고, 아쿠아크리트 바닥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100% 습윤면 시공단계에서 통기성 및 방수성(=고어텍스기능)을 확보하는 형태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아쿠아크리트를 바닥 마감재 조성물로 적용하여 바닥면 바닥공사가 진행되는 경우의 적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아쿠아크리트 바닥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외벽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의 적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아쿠아크리트를 바닥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트랜치 주위 보강으로 진행되는 경우의 적용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아쿠아크리트를 바닥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너몰딩 보강으로 진행되는 경우의 적용예시도.
도 7(a), (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제공되는 아쿠아크리트의 휨강도, 압축강도, 부착강도, 내마모성, 미끄럼저항성 등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발급받은 시험성적서.
도 8(a), (b), (c), (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제공되는 아쿠아크리트의 통기성능 유무, VOC 함량, 포름알데하이드 방출량, 단열성능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발급받은 시험성적서.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제공되는 아쿠아크리트의 내진 성능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진방재연구선터에서 발급받은 시험(실험) 확인서.
도 1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의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 100 중량부와 공정수 20~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는바,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은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10 ~ 20 중량부와, 제1인산칼륨(KH2PO4) 10 ~ 30 중량부와, 규회석 또는 감람석 분말 1 ~ 20 중량부와, 무기결합재 1 ~ 20 중량부와, 분말형 구체방수재 0.1 ~ 5 중량부와, 섬유보강재 0.1 ~ 5 중량부와, SiO2, TiO2, Al2O3, ZrO2, Cr2O3, 활석, 운모, 카올린, 돌로마이트, 크롬광석 중 선택되는 첨가물 30 ~ 50중량부와, 소포제 0.01 ~ 2 중량부와, 구연산 또는 붕산 0.1 ~ 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적용된다.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은 경화 시간이 30분 ~ 60 분범위로 짧고 레이크 및 미장 또는 스프레이 시공이 가능하며, 유동성이 있고 높은 압축강도, 굴곡강도 및 내진성능을 발현하며 염소 성분 등으로부터의 부식에 강하고, 1,000℃를 초과하는 고열에 견딜 수 있으면서 압축강도와 같은 물리적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성을 제공하는바,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에 사용되는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은 1000 ~ 1200℃ 범위에서 소성된 사소산화마그네슘이 이용되며, 산성계 인산염 및 규회석 또는 감람석 분말이 추가된 후, 무기결합재와 분말형 구체방수재와 섬유보강재가 추가되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에 적용되는 원료의 입자 크기는 전형적으로 0.5 내지 300 ㎛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에 사용되는 무기결합재는 플라이애쉬, 실리카흄, 메타카올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고, 분말형 구체방수재는 바람직하게 규산질계 분말형 방수재가 사용되는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규산질계 분말형 방수재는 예를 들면, Kriton International Inc회사에서 "KIM 분말형 방수재"로 제공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는바, KIM 분말형 방수재는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통하여 불용성화합물인 규산칼슘 결정체를 생성하여 모세관의 공극을 채워 물의 침투을 차단하는 1차방수기능 (C-S-H반응)과 유기질결정체 (Krystol)가 물 및 습기와 반응하여 콘크리트 내의 무기화학결정체를 형성하여 계속적으로 성장하면서 투수저항성을 강화시키고 흡수작용을 감소시키는 2차 방수기능 및 콘크리트의 누수균열발생시 유기질 결정체가 균열 및 누수경로 내부로 성장하여 균열을 폐쇄시키고 누수를 차단하는 자가치유(selfsealing) 성능을 발휘하는 물성을 나타내는 규산질계 분말형 방수재가 사용되어 방수성능을 높이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에 사용되는 섬유 보강재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라미드, 폴리아미드, 폴리 비닐 알콜, 유리 섬유, 강 및 탄소와 같은 섬유 보강재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에는 0.1 내지 5.0 중량% 비율로 착색제 및 안료, 충전제, 응집물, 붕사, 실리카 물질, 산화철, 결합 접착제(예를 들어, Eucopoxy Resin), 난연제, 유화제, 응집제, 금속 이온 봉쇄제, 촉진제 (예 : Accelguard of the Euclid Chemical Company, Cleveland, Ohio) 및 Euclid Chemical Company, Cleveland, Ohio, Flexcon 및 Corr-bond) 가소제, 경화제 (예 : 유클리드 케미칼 컴퍼니 (Euclid Chemical Company), 오하이오 주 클리브랜드 소재의 유코 다이아몬드 하드), 패치 폴리머 (예 : Eucorapid 패치 Euclid Chemical Company, Cleveland, Ohio), 유칼립투스 화학 회사,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 소재의 유카 (Eucid) 유칼립투스 퓸, 지연제, 표면 유연제, 경화 화합물 (예 : 브라운 스톤 CS), 감속재 (예 : Accelguard , Eucon AC) 등이 추가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어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실시예 및 적용예를 제시하는 바 이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적용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실시예 1.
2.4㎏의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2.7㎏의 제1인산칼륨(KH2PO4), 3.5㎏의 산화알루미늄(Al2O3), 1.5㎏의 규회석, 1.0㎏의 메타카올린, 0.2㎏의 규산질계 분말 방수재, 0.05㎏의 유리섬유, 0.05㎏의 구연산, 0.05㎏의 소포제를 포함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2.4㎏의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2.7㎏의 제1인산칼륨(KH2PO4), 3.5㎏의 산화알루미늄(Al2O3), 1.5㎏의 규회석, 1.0㎏의 플라이애쉬, 0.2㎏의 규산질계 분말 방수재, 0.05㎏의 유리섬유, 0.05㎏의 구연산, 0.05㎏의 소포제를 포함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2.4㎏의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2.7㎏의 제1인산칼륨(KH2PO4), 3.5㎏의 산화알루미늄(Al2O3), 1.5㎏의 감람석, 1.0㎏의 실리카흄, 0.2㎏의 규산질계 분말 방수재, 0.05㎏의 유리섬유, 0.05㎏의 구연산, 0.05㎏의 소포제를 포함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2.4㎏의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2.7㎏의 제1인산암모늄, 2.5㎏의 펄라이트, 1.5㎏의 규회석, 1.0㎏의 메타카올린, 0.2㎏의 KIM 분말형 방수재, 0.05㎏의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실시예 1, 2, 3으로부터 얻은 샘플을 이용하여 건축재료의 불연성 시험방법으로 KS F ISO 1182 : 2010 시험방법으로 가) 노 내 열전대의 평균온도를 10mim 동안 750±5℃를 유지하고, 나) 시험체의 질량을 0.1g까지 측정하고 시험체 홀더에 삽입후 노 내에 투입하고, 다) 20min 가열 후 시험체 홀더를 노 내에서 제거하고, 라)데시게이터 내에서 시험체를 냉각한다.
이후 질량을 측정하여 불연성능 시험기준인 가) 가열시험 개시 후 20min간 가열로 내의 최고온도가 최종평형온도를 20K 초과상승하지 않아야 한다. 나) 가열종료 후 시험체의 질량감소율은 30% 이하이어야 한다는 성능기준을 갖는지 측정한 실험결과로 아래 표 2에 제시되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고
시험환경 온도(℃) 21 ~ 25℃
습도 45 ~55% R.H.
질량(g) 시험전 무게(g) 159.6 156.9 155.8
시험후 무게(g) 141.0 138.9 137.8
감소율(%) 11.7 11.4 11.5 30% 이하
노 내 온도(℃) 최고온도(℃) 708.5 726.4 723.9 최고온도가 최종 평형온도를 20K 초과상승하지 않을 것
최종평형온도(℃) 707.1 724.4 723.3
온도차(K) 1.4 2.0 0.6
잔염시간 0 0 0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은 샘플로 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압축강도 및 휨강도 등의 물성확인 시험의뢰를 하였으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KS F 4041 : 2009 시험방법에 의한 압축강도시험, 휨강도시험을 측정한 결과로 휨강도 10.2 N/mm2와 압축강도 54.2 N/mm2로 제시되는 실험결과를 통지받고, 내마모성은 0.05mg/mm2이고, KS F 2375 : 2016 시험방법에 의한 미끄럼 저항성은 65 BPN이며, KS F 4919 : 2008 시험방법에 의한 내투수성은 '이상없음'이고, KSF4041 : 2009 시험방법에 의한 부착성능은 1.8 N/mm2 이며, 연소성능은 '불연재료'라는 실험결과를 통지 받았으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부터 통보된 시험성적서는 도 7(a), (b)로 첨부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에 상기 비교예 1로부터 얻은 샘플로 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압축강도 및 휨강도 등의 물성확인 시험의뢰를 하였으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KS L ISO 679 : 2006 실험방법에 의한 압축강도시험, 휨강도시험을 측정한 결과로 휨강도 4.3 N/mm2와 압축강도 22.4 N/mm2로 제시되는 실험결과(재령 1시간 기준)를 통지 받았었는데, 실시예 1의 경우 휨강도 10.2 N/mm2, 압축강도 54.2 N/mm2로서 크게 향상된 강도를 갖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통기성능의 물성확인 시험의뢰를 하였으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KS F 2622 : 2018(준용) 시험방법에 의한 통기성능(20kPa, 10분) 유무를 측정한 결과로 '통기성능 확인'으로 제시되는 실험결과를 통지받았으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부터 통보된 시험성적서는 도 8(a)로 첨부된다.
더구나,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환경 유해성 검사의뢰를 하였으며, KS M ISO 11890-2:2014(GC/FID) 시험방법에 의한 V0Cs함량이 '0.00 g/kg'이고, KS M 1998:2017 시험방법에 의한 포름알데하이드 방출량이 '0.001 미만 mg/m2·h'으로 환경 유해성이 매우 낮은 실험결과를 통지 받았으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부터 통보된 시험성적서는 도 8(b), (c)로 첨부된다.
또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단열성능의 물성확인 시험의뢰를 하였으며, KS L 9016:2010(평판열류계법) 준용 시험방법으로 열전도율이 '0.174 W/(m·K)'의 낮은 열전도율로 단열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내었으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부터 통보된 시험성적서는 도 8(d)로 첨부된다.
그리고 지진방재시험센터에 내진성능의 물성확인 시험의뢰를 하였으며, 아래 표 3에 제시되는 내진 성능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받았다.
[표 3]
Figure 112020141274836-pat00001
즉, 아쿠아크리트 마감재공법 적용 조적벽체는 Step 2까지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Step 3에서 하부단부에서 Crack(슬래브와 분리)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Step 4에서 하부 슬래브와 조적벽체가 Crack으로 인한 분리현상이 발생하였으며, Step 5에서는 상부 중앙부에 Crack이 발생하였다.
일반 조적벽체는 Step 2에서부터 상부 슬래브와 분리되는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벽돌이 빠지는 현상과 같은 벽체 자체의 손상이 확인되었으나, 아쿠아크리트 마감재공법 적용 조적벽체에서는 벽체의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본 발명으로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공정수 20~50중량부 비율로 혼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에 물을 충분히 도포한 후 바탕면을 100% 습윤면으로 조성시킨 후 직접 시공하는 경우 콘크리트구조체와 강력한 부착력을 확보하고 우수한 압축강도, 내진성능, 통기성, 불연성, 내마모성과 미끄럼저항성을 발휘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환경에 유해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로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은 현장에서 아래와 같은 실시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바, 작업 현장의 여건이나 환경,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수 있다.
먼저, 도 1은 무기 고분자세라믹 내화물(Inorganic Polymer Ceramic Refractories) 재료선정 및 배합설계에 의하여 마그네시아(MgO)와 제1인산칼륨(KH2PO4)의 수화반응 생성물인 인산마그네슘 암모늄 6수화물(NH4MgPO4.6H2O)이 미세다공성(microporous)을 형성하여 고어텍스(=통기성 + 방수성)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나타내고 실제 현장에서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아쿠아크리트 분말 바인더)을 이용하여 통기성 및 방수성능의 목적을 위해 현장에 적용할 때 콘크리트 구조체 바탕면에 물을 충분히 도포하여 바탕면을 100% 습윤상태로 조성한 후 아쿠아크리트 마감재 조성물을 바탕면에 직접 시공하여 도막층을 이루고 도막층이 경화가 이루어지면서 콘크리트 구조체 속에 머물고 있던 수분기체압력(=잠복수)이 아쿠아크리트 마감재 도막층을 투과하여 도막층 표면 상부에 물이 고이면서 아쿠아크리트 마감재 도막층은 완전히 경화되는 현상을 통하여 도막층 표면에 물이 고인 상태로 경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통하여 통기성 및 방수성(=고어텍스기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시양태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아쿠아크리트 분말 바인더)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에 마감재 시공 후 물을 많이 사용하는 현장에 적용하는 실시양태로 콘크리트구조물 바탕면을 100% 습윤면 조성한 후 아쿠아크리트 바닥 마감재 조성물을 바탕면에 직접 시공하여 경화된 후 아쿠아크리트 도막층 표면에 폴리싱 작업, 실러 작업 등을 시행한 것으로, 습윤면 시공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한 실시양태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아쿠아크리트 분말 바인더)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에 마감재로서 표면의 광택연출, 내구성, 불연성 및 아름다운 미관연출의 목적을 위해 현장에 적용되는 실시양태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을 정리한 후 아쿠아크리트 마감재 조성물을 바탕면에 베이스코트 도포, 메인코트 도포 시공한 후 실러 도포한 것으로서, 표면의 광택연출, 내구성, 불연성 및 아름다운 미관연출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실시양태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아쿠아크리트 분말 바인더)을 이용하여 물을 많이 사용하는 현장의 트랜치와 바닥 마감재와의 접합부위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현장에 적용된 실시양태로 마감재와 트랜치 사이의 접합부위를 아쿠아크리트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트랜치 주위에 보강하여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 트랜치주위 탈락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아쿠아크리트 분말 바인더)을 이용하여 코너 부위를 보강하여 이물질이 고이지 않게 하여 대장균의 서식을 방지하고 주방기구로 인한 벽면 타일 훼손방지와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에 적용한 실시양태로 바닥과 벽체가 만나는 코너부위를 아쿠아크리트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라운드형으로 코너몰딩 보강작업을 통하여 이물질을 통한 대장균의 서식을 방지하고 주방기구의 벽체에 직접 닿지않게 하여 타일훼손을 방지하는 효과와 청소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7(a)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부터 통지 받은 시험성적서로서, 본 발명의 기술로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아쿠아크리트로 명명하여 시편에 대한 물성 시험(압축강도 및 휨강도)을 시험방법 : KS F 4041 : 2009에 의한 조건으로 시험편을 제작하여 의뢰한 샘플에 대한 분석결과 물성 시험으로 압축강도 및 휨강도 결과 발명자가 기대하는 우수한 결과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보된 시험성적서이다.
도 7(b)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부터 통지받은 시험성적서로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를 아쿠아크리트로 명명하여 조달청에서 요구하는 도막형 바닥재의 조건으로 시험편을 만들어 의뢰한 샘플에 대한 시험분석결과 도막형 바닥재로서 적합한 마감재임을 증명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보된 시험성적서이다.
도 8(a)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부터 통지받은 시험성적서로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가 KS F 2622 : 201(준용) 시험방법으로 시험한 결과 통기성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통보된 시험성적서이다.
도 8(b), (c), (d)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으로부터 통지받은 시험성적서로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의 VOC 함량 및 포름알데하이드 발생량이 적고, 단열성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통보된 시험성적서이다.
도 9는 지진방재연구센터로부터 통지받은 시험(실험) 확인서로서,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공법 적용 조적벽체가 일반 조적벽체에 비해 우수한 내진 성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통보된 시험(실험) 확인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구성으로 제공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아쿠아크리트)은 냉장 및 냉동 물류창고, 물을 많이 사용하는 HACCP인증 제조/가공 사업장이나 학교, 호텔, 군부대 등의 단체급식소의 주방 및 조리실, 식당 등의 마감재로 적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바탕면에 100% 습윤면 상태에서 도막재를 직접 시공하여 초속경화를 발현하며, 수분이 함유된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 확보 및 우수한 압축강도, 미끄럼방지 기능, 내충격성, 내진성, 불연성, 통기성, 방수방식의 성능을 구현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의 시공방법으로 다양하게 변화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은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은, 상기 마감재 조성물(200)을 바탕면(10)에 도포하는 마감재 도포 단계; 상기 마감재 조성물(200) 상측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단열방수 복합시트(100)를 맞댐 부착하는 단열방수 복합시트 부착 단계;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100)의 맞댐부에 에어로젤 함침 유리섬유 테이프(400)를 부착하는 유리섬유 테이프 부착 단계;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100)와 에어로젤 함침 유리섬유 테이프(400) 상측에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 단계; 순으로 시공할 수 있다.
바탕면(10)은,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100)가 부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인 콘크리트 바닥면, 도막방수재나 복합방수재로 형성된 바닥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 도포 단계 이전에 바탕면 정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탕면 정리 단계는 콘크리트 타설 시, 튀어나온 콘크리트 조각들이나 타설면을 피니셔로 마감할 때 잘못된 부분 등 이물질 및 부착을 방해하는 요소를 그라인더나 연삭기로 밀어 면고르기 하는 것, 그라인딩하여 나온 가루나 기름, 흙 등 마감재 조성물(200) 밀착에 방해되는 불순물이 없도록 빗자루나 청소기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 모르타르, 콘크리트 불량부분, 균열이 발생한 부분 및 기타 모체의 부실한 부분은 제거 후, 모르타르 또는 실링재로 메우고 보수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감재 도포 단계는 바탕면(10)에 마감재 조성물(200)을 도포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열방수 복합시트(100) 부착 단계는 마감재 조성물(200) 상측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단열방수 복합시트(100)를 맞댐 부착하는 단계이다. 우레탄 접착제는 저발포, 강력한 부착력, 초속경화 성능이 있는 것으로, 우레탄 접착제를 지그재그로 도포함으로써 부착력 증대와 함께 지그재그 도포된 우레탄 접착제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열방수 복합시트(100)는 서로 맞댐 부착하는데, 단열방수 복합시트(100)의 맞댐부는 공기가 통과하는 정도로 이격됨으로써 바탕면(10) 즉,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올라오는 수분기체 압력(이를 '잠복수'라고도 칭함)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단열방수 복합시트(100)는,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110),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110)에 중첩되는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110)은 에어로젤이 상측 또는 하측에만 함침될 수 있다. 이는 함침된 에어로젤의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에 라미네이트(고열) 융착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젤의 함침은 부직포의 생산과정에 에어로젤을 스프레이 뿜칠하여 함침할 수 있다.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110)은 에어로젤이 함침된 부분과 함침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구비되는 폴리에스터(PET)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로젤을 함침한 부직포층인 상층과 에어로젤을 함침하지 않은 부직포층인 하층 사이에 필름층인 중층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150~250g/m2가 적절하다.
상층은 에어로젤 함침 장섬유 폴리에스터(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될 수 있다. 장섬유 폴리에스터(PET)는 강한 인장력을 가질 수 있다. 상층은 생산 중, 에어로젤을 뿜칠하거나 에어로젤에 통과시킨 후, 고온의 열로 경화시킬 수 있다.
중층은 방수 코팅한 PET 필름일 수 있다. PET 필름은 인장 성능이 우수하여 장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PET 필름에 방수 코팅함으로써, 확실한 방수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하층은 Thermal Bonding 공법으로 저융점 열가소성을 지닌 PP 또는 PET 섬유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저융점 열가소성을 지닌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스터) 섬유를 혼합하여 녹여서 섬유조직을 결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PP(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은 탄소와 수소 외에 불순물이 없고 높은 열에 잘 견디며, 환경호르몬 배출이 안되어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원하는 색으로 착색이 되어 여러 종류의 다양한 색상과 중량으로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PET(폴리에스터) 부직포는 100% 폴리에스터 원료로 만들어지는 합성 장섬유 부직포로, 고장력이며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고, 내열성, 내후성, 내유성, 통기성, 내약품성이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에어로젤은 모두 실리카 기반 에어로젤 조성물로서, 다공성 구조로 기공율이 80~95%, 크기는 1~50nm, 최저열전도율 0.016W/m·K의 특성을 나타내는 다공성 세라믹구조로 이루어진 실리카에어로젤 30~60 중량부; 아크릴에멀젼계 수지 20~60 중량부; 다가알콜첨가제화합물 0.1~10 중량부; 무기체 첨가제 0.1~10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에멀젼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화합물과 아크릴계단량체 화합물로 구성되며, 폴리비닐알코올계 화합물 중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머캅토신남산, 머캅토미리스트올레산, 머캅토아크릴산, 머캅토크로톤산, 머캅토이소크로톤산, 머캅토펜테노산, 머캅토헵테노산, 머캅토옥테노산, 머캅토말레산, 머캅토푸마르산, 머캅토이타콘산, 머캅토시트라코산 및 머캅토메사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성폴리비닐알코올계 화합물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다양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 중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아크릴 에멀젼 수지의 고형분이 30~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분말파우더와 수지액상의 분산력을 증대시키며 항균성능과 시공 시 평활성과 시공성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다가알콜첨가제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도데칸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 에틸렌글리콜, 1,2-, 1,3- 또는 2,3-부탄디올, 2-메틸-1,4-부탄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메틸-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1,6-헥산디올 및 3-메틸-1,6-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체 첨가제는 소포제, 분산제, 증점제, 가소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분산제는 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아세틱산(2-2-2-Methoxyethoxy ethoxy acetic acid), 5-메톡시펜틸옥시아세틱산(5-Methoxy pentyloxy acetic acid), 3,6,9-트리옥사데칸산(3,6,9-Trioxadecane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소듐폴리아크릴레트(Sodium polyacrylate), 암모늄폴리아크릴레이트(Ammoniumpolyacrylate),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폴리아크릴소듐염(Polyacrylic sodium salt),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Dodecyl benzene sulfonate) 및 소듐도데실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SD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제화합물일 수 있다.
에어로젤 조성물의 제조는 상기 다공성 세라믹구조로 이루어진 실리카에어로젤, 아크릴에멀젼계 수지, 다가알콜첨가제화합물 및 무기체 첨가제를 스테인레스 재질의 원형 구조물에 투입하고, 5000~10000RPM으로 회전하는 초고속 교반기로 60~250분 혼합 및 분산하고, 미세한 그물망구조의 드럼통에서 걸름하고, 걸름과정을 마친 후 초고속교반기로 30~180분 혼합 및 분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과 제조 방법으로 에어로젤을 형성함으로써 종전에 비해 차열, 단열, 방수, 결로방지, 충격완충, 방음 성능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은, 열경화성 연질 계열의 재생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접착제, 탄산칼슘, 세노픽스, 카올린 및 규회석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1첨가바인더 1~30 중량부; SiO2, Al2O3, 메타카올린, 제올라이트 및 플라이애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2첨가바인더 5~30 중량부; 안료, 형광, 목분, 숯, 운모석, 게르마늄 및 화산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3첨가바인더 1~10 중량부; 소포제, 인산칼슘, 분산제 및 기포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4첨가바인더 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은, 상기 열경화성 연질계열의 재생 폴리우레탄을 0.1~3mm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열경화성 연질계열의 재생 폴리우레탄에 상기 제1첨가바인더, 제2첨가바인더, 제3첨가바인더 및 제4첨가바인더를 혼합하고, 3~10분 동안 용융하여 겔 상태로 하고, 열을 발산하고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로울러로 1~10mm 두께의 판상 시트로 엠보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연질계열의 재생 폴리우레탄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폴리우레탄 분말이 서로 엉겨붙는 성질을 배제하기 위해 적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접착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은 Tpu(Thaw plastic polyurethane) 분말 3~5 중량부, 접착강화제 1~2 중량부, 플라이애쉬 5~10 중량부, 블랙카본 1~2 중량부, 스파이렌산 1~2 중량부, 프로세트 오일 1~2 중량부, 기타 소포제, 탈분제, 증점제 소량이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은 엠보 성형됨으로써,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110)과 견고히 결합됨과 동시 공기층을 내포함으로써, 단열, 차열, 결로방지 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방음효과도 뛰어나다.
또한, 상기의 성분 및 제조방법으로 형성된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은 시공시 자활 평활도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인장강도와 일정 이상의 신장율을 가짐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에 잘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110)과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은 라미네이팅(고열)으로 부착하여 단열방수 복합시트(1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에어로젤이 함침되지 아니한 층이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에 고열로 융착될 수 있다.
유리섬유 테이프 부착 단계는 단열방수 복합시트(100)의 맞댐부에 에어로젤 함침 유리섬유 테이프(40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유리섬유 테이프(400)는 에어로젤의 통기성으로 인해 바탕면(10) 즉,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올라오는 수분기체 압력을 배출함으로써 단열방수 복합시트(100)의 에어불륨(시트부풀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섬유 테이프(400)는 단열방수 복합시트(100)의 맞댐부를 수용할 수 있는 100~200mm의 폭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방수재 도포 단계는 단열방수 복합시트(100)와 유리섬유 테이프(400) 상측에 방수재(50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방수재(500)는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110)이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에어로젤 단열방수재일 수 있다. 또한,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110)이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120)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수용성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수재일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 부착 단계와 유리섬유 테이프 부착 단계 사이에 단열방수 복합시트(100)는 와셔 지름 25~32mm이고, 길이는 35~50mm인 스크류 와셔못(300)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와셔못(300)은 고압컴프레셔를 이용한 머쉰건을 이용하여 단열방수 복합시트(100)를 통과한 후, 바탕면(10)에 박혀 고정될 수 있다. 스크류 와셔못(300)은 단열방수 복합시트(100) 끝에서 10~20mm 이내, 500~1000mm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수용성 우레탄계 중 어느 하나인 방수재(500)는 2액형 전용도장 스프레이 장비를 사용하여 도포하며, 단열방수 복합시트(100)와 스프레이건 사이는 30~60cm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도층용 폴리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syanate Prepolymer)와 폴리아민(Polyamine)이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며, 반응속도가 빨라 촉매를 사용하지 않으며, 주제와 경화제로 된 2액형이다. 폴리우레아는 점도 900~1100cps/35℃이고 비중 1.12±0.1 인 주제 100 부피부에 대하여, 점도 600~800cps/35℃이고 비중 1.02±0.1인 경화제 100 부피부를 배합한 것으로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100) 상측에 0.5~1.5kg/m2 로 도포할 수 있다.
상도층용 폴리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mer) 90~99.8 중량부와, 자외선 차단을 위해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주석,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규소 및 규산마그네슘 중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0.2~10 중량부로 구성된 주제와; 폴리에테르 아민 컴파운드(Polyether Amin Compound)의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 도료를 사용하고, 상기 중도층(510) 상부에 1.0~2.0kg/m2 를 도포함으로써, 단열, 차열, 방수 및 결로 방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주석,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규소 및 규산마그네슘은 입경이 100~1000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방수재(500) 상측에 보호부재(20)인 보호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비노출 방수공법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열방수 복합시트
110: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
120: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
200: 마감재
300: 스크류 와셔못
400: 유리섬유 테이프
500: 방수재
510: 중도층
520: 상도층

Claims (15)

100% 습윤 상태 및 영하온도에서 시공이 가능하고 신속히 경화되어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 우수한 압축강도, 방수방식성능, 고어텍스기능, 미끄럼방지성능, 불연성능, 내화학성능, 내향균성능, 내마모성능을 제공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에 있어서,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10 ~ 20 중량부와, 제1인산칼륨(KH2PO4) 10 ~ 30 중량부와, 규회석 또는 감람석 분말 1 ~ 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실리카흄, 메타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는 무기결합재 1 ~ 20 중량부와, 분말형 구체방수재 0.1 ~ 5 중량부와, 섬유 보강재 0.1 ~ 5 중량부와, 소포제 0.01 ~ 2 중량부와, 구연산 또는 붕산 0.1 ~ 5 중량부와, SiO2, TiO2, Al2O3, ZrO2, Cr2O3, 활석, 운모, 카올린, 돌로마이트, 크롬광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되는 첨가물 30 ~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형 구체방수재는 규산질계 분말형방수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재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라미드, 폴리아미드, 폴리 비닐 알콜, 유리 섬유, 강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
100% 습윤 상태 및 영하온도에서 시공이 가능하고 신속히 경화되어 바탕면과의 강력한 부착력, 우수한 압축강도, 방수방식성능, 고어텍스기능, 미끄럼방지성능, 불연성능, 내화학성능, 내항균성능, 내마모성능을 제공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사소산화마그네슘(Deadburned MgO) 10 ~ 20 중량부와, 제1인산칼륨(KH2PO4) 10 ~ 30 중량부와, 규회석 또는 감람석 분말 1 ~ 20 중량부와, 플라이애쉬, 실리카흄, 메타카올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는 무기결합재 1 ~ 20 중량부와, 분말형 구체방수재 0.1 ~ 5 중량부와, 섬유 보강재 0.1 ~ 5 중량부와, 소포제 0.01 ~ 2 중량부와, 구연산 또는 붕산 0.1 ~ 5 중량부와, SiO2, TiO2, Al2O3, ZrO2, Cr2O3, 활석, 운모, 카올린, 돌로마이트, 크롬광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되는 첨가물 30 ~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루고,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에 공정수 20 ~ 50 중량부 비율로 혼합되어 슬러리 상태로 공급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삭제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형 구체방수재는 규산질계 분말형방수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재는 폴리 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 폴리 아라미드, 폴리아미드, 폴리 비닐 알콜, 유리 섬유, 강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구조층의 표면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하는 공정의 바탕면 관리단계;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한 후 물을 충분히 도포하여 바탕면을 100% 습윤면을 조성하는 공정인 바탕면 습윤 조성단계; 물이 충분히 도포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 초속경화 수용성 무기불연 방수방식 바닥 마감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단시간 내에 양생하여 도막층을 형성하는 도막층 조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청구항 1, 3 및 4 중 어느 한 항의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바탕면에 도포하는 마감재 도포 단계;
상기 마감재 조성물 상측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단열방수 복합시트를 맞댐 부착하는 단열방수 복합시트 부착 단계;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의 맞댐부에 에어로젤 함침 유리섬유 테이프를 부착하는 유리섬유 테이프 부착 단계;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와 에어로젤 함침 유리섬유 테이프 상측에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수재 도포 단계; 순으로 시공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열방수 복합시트는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 및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에 중첩되는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은 에어로젤이 함침된 부분과 에어로젤이 함침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구비되는 폴리에스터(PET)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은, 열경화성 연질 계열의 재생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접착제, 탄산칼슘, 세노픽스, 카올린 및 규회석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1첨가바인더 1~30 중량부; SiO2, Al2O3, 메타카올린, 제올라이트 및 플라이애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2첨가바인더 5~30 중량부; 안료, 형광, 목분, 숯, 운모석, 게르마늄 및 화산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3첨가바인더 1~10 중량부; 소포제, 인산칼슘, 분산제 및 기포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제4첨가바인더 1~10 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이 상기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방수재 도포 단계의 방수재는 에어로젤 단열방수재이고, 상기 에어로젤 함침 부직포 시트층이 상기 열경화성 재생 폴리우레탄 시트층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방수재 도포 단계의 방수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수용성우레탄계 중에서 선택되는 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젤은 실리카 기반 에어로젤 조성물로서, 다공성 구조로 기공율이 80~95%, 크기는 1~50nm, 최저열전도율 0.016W/m·K의 특성을 나타내는 다공성 세라믹구조로 이루어진 실리카에어로젤 30~60 중량부; 아크릴에멀젼계 수지 20~60 중량부; 다가알콜첨가제화합물 0.1~10 중량부; 무기체 첨가제 0.1~10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0200183750A 2020-12-24 2020-12-24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 KR102297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50A KR102297483B1 (ko) 2020-12-24 2020-12-24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50A KR102297483B1 (ko) 2020-12-24 2020-12-24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483B1 true KR102297483B1 (ko) 2021-09-02

Family

ID=7779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750A KR102297483B1 (ko) 2020-12-24 2020-12-24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4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5104A (zh) * 2023-07-05 2023-10-13 深圳市科建建设集团有限公司 室内饰面用腻子及其制备方法
CN117024163A (zh) * 2023-10-10 2023-11-10 中南大学 一种变梯度耐烧蚀防隔热一体化磷酸盐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297B1 (ko) 2005-03-14 2006-08-31 주식회사 전양건설 초속경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20090033780A (ko) * 2007-10-01 2009-04-06 김기철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960913B1 (ko) * 2009-06-12 2010-06-0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KR101339584B1 (ko) 2012-11-29 2013-12-10 (주) 시그마Sti 교통개방시간 단축이 가능한 노후 시멘트 콘크리트 노면 보수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보수 포장법
KR101649208B1 (ko) 2015-05-29 2016-08-18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신속 개방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스케일링 및 스폴링 보수용 응급보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상온 응급 경화형 세라믹혼합물
JP2017155402A (ja) * 2012-06-26 2017-09-07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Cabot Corporation 可撓性絶縁構造体ならびにその作成および使用方法
KR101892504B1 (ko) * 2018-02-28 2018-10-04 김재규 초속경화 무기불연 방수방식 세라믹 바닥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 시공방법
KR101982855B1 (ko) * 2018-10-10 2019-05-27 서동규 하자가 발생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용 세라믹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297B1 (ko) 2005-03-14 2006-08-31 주식회사 전양건설 초속경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20090033780A (ko) * 2007-10-01 2009-04-06 김기철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960913B1 (ko) * 2009-06-12 2010-06-04 주식회사 한보엔지니어링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JP2017155402A (ja) * 2012-06-26 2017-09-07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Cabot Corporation 可撓性絶縁構造体ならびにその作成および使用方法
KR101339584B1 (ko) 2012-11-29 2013-12-10 (주) 시그마Sti 교통개방시간 단축이 가능한 노후 시멘트 콘크리트 노면 보수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보수 포장법
KR101649208B1 (ko) 2015-05-29 2016-08-18 (주)에이엠에스 엔지니어링 신속 개방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스케일링 및 스폴링 보수용 응급보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상온 응급 경화형 세라믹혼합물
KR101892504B1 (ko) * 2018-02-28 2018-10-04 김재규 초속경화 무기불연 방수방식 세라믹 바닥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 시공방법
KR101982855B1 (ko) * 2018-10-10 2019-05-27 서동규 하자가 발생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용 세라믹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5104A (zh) * 2023-07-05 2023-10-13 深圳市科建建设集团有限公司 室内饰面用腻子及其制备方法
CN117024163A (zh) * 2023-10-10 2023-11-10 中南大学 一种变梯度耐烧蚀防隔热一体化磷酸盐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024163B (zh) * 2023-10-10 2023-12-22 中南大学 一种变梯度耐烧蚀防隔热一体化磷酸盐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938B2 (en) Heat resistant and fire retardant material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KR102297483B1 (ko) 초속경화, 방수, 단열 및 불연 세라믹 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및 방수시공방법
KR100873051B1 (ko) 친환경적이고 고기능성을 겸비한 무기계 폴리머 수지몰탈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92504B1 (ko) 초속경화 무기불연 방수방식 세라믹 바닥마감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바닥마감 시공방법
CN101880145B (zh) 一种隧道防火涂料及其制备和施工工艺
TW201022175A (en) Heat resistant phosphate cement
WO2020063205A1 (zh) 一种轻质高强高韧的发泡陶瓷装饰一体板及其制备方法
KR101718966B1 (ko) 친환경 수지를 이용한 차열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코팅방법
CN101638990B (zh) 一种隧道的防火保温层及施工方法
KR102288632B1 (ko) 단열, 차열, 방수 및 결로방지 성능을 발현하는 단열방수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CN101302095B (zh) 复合建渣工业废渣节能型自保温外墙板及其生产方法
Gil Cork
KR100962573B1 (ko) 열 차단 및 단열성능을 갖는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CN105133805A (zh) 轻质保温装饰一体化建筑板材
CN204940729U (zh) 无机轻集料保温砂浆涂料饰面层
CN204960196U (zh) 用于旧墙翻新的外墙涂装结构
CN201778408U (zh) 一种防火酚醛保温板
KR101132167B1 (ko) 내화성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CN206396922U (zh) 建筑保温层及保温系统
CN106082824A (zh) 一种建筑外墙保温材料
CN104556923A (zh) 阻燃、耐老化的复合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056327A (zh) 一种轻质耐火保温隔热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728131B2 (ja) 防水工法
CN202595913U (zh) 墙体保温防火一体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