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517B1 -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517B1
KR102451517B1 KR1020220056277A KR20220056277A KR102451517B1 KR 102451517 B1 KR102451517 B1 KR 102451517B1 KR 1020220056277 A KR1020220056277 A KR 1020220056277A KR 20220056277 A KR20220056277 A KR 20220056277A KR 102451517 B1 KR102451517 B1 KR 10245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ner panel
center
ventilation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동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정공
Priority to KR102022005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조립 및 작업성이 우수한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인너패널을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아웃터 패널과 고정함과 동시에 차체와 일체화시키고 작업시간과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키고 환기부의 조립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성형하여 탑승한 소방대원들의 피로를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는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웃터 패널(102)와 인너패널(106)로 이루어지는 소방차의 하이루프 구조에 있어서,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18,19)를 구비하는 아웃터 패널(102)과, 센터 몸체부(22) 및 사이드 몸체부(24,25)를 구비하고 상기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결합 설치되는 인너패널(106)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패널(106)을 FRP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상기 아웃터 패널의 하부몸체(18,19)와, 상기 사이드 몸체부(24)가 서로 맞대어져서 접촉되도록 위치시키고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접착부(48)를 형성하여 실리콘으로 밀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는 소방차의 차체와 탑승부의 무게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고, 탑승부의 제작 공정을 크게 단축하여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고 작업 효율성도 우수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이루프 패널을 FRP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환기 시스템과 연동하여 2열시트의 탑승자에게도 휴식과 안정을 제공함으로써 피로를 회복시키고 소방임무를 빠르고 원할하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High Roof pannel for Fire trucks}
본 발명은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조립 및 작업성이 우수한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인너패널을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아웃터 패널과 고정함과 동시에 차체와 일체화시키고 작업시간과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키고 환기부의 조립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성형하여 탑승한 소방대원들의 피로를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는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진압시 사용되는 소방차는, 다량의 소방수를 물탱크에 저장한 상태에서 화재 현장으로 출동하여 소방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재 진압 작업을 수행하며, 이때 물탱크에는 소방수로 진압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유류 화재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폼(foam)을 저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소방차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트럭의 차체 프레임에 소방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를 설치하고, 물탱크 또는 차체 프레임에 소방수를 분사하기 위한 각종 펌프, 튜브, 밸브, 사다리 등과 같은 각종 분사동력장치 등을 설치하며, 이후 물탱크의 상단 모서리 및 측부 등을 코너마감부재로 마감한 후, 코너마감부재에 경광등이나 지시등을 설치하였다.
종래기술에 따른 소방차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92365호(2005년08월02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소방차에는 화재현장에서의 인명을 구하기 위해 소방대원들이 팀을 이루어 탑승하게 되는데 소방차의 내부는 운저석과 보조석이 구비된 1열시트와 나머지 소방대원들이 탑승하는 2열시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2열 시트의 소방대원들은 장비를 준비하고 착용하거나 옷을 갈아 입을 필요성이 발생한다. 즉, 화재현장으로 출동하는 경우 내화피복과 헬맷, 장화 등의 피복류와 산소통, 마스크 등의 보조장비를 차 실내에 보관하여야 하는데 차 실내의 공간이 협소하여 실내에서의 활동에 불편함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화재현장에 즉시 투입되지 못하여 화재진압이나 인명구조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2열시트 공간에는 화재현장 출동 및 화재현장으로부터의 복귀시 차내에서의 공조설비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아 피로를 회복하여야 하는데 환기장치가 1열시트 상부에 설치되어 2열시트의 탑승대원들은 피로가 쉽게 회복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소방차는 완성차 업체에서 출고시 3인승 화물차로 출고되는 차량을 개조하여 5인 탑승이 가능한 차량으로 특장구조로의 개조가 필요한데 이때 소방대원들의 탑승부의 하이루프 패널구조는 단일 구조로 제작이 어려웠으므로 백여장의 철판을 이용하여 조립하고 용접으로 이어 붙이는 작업을 통하여 하이루프 패널의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소방차의 탑승대원들이 앉는 탑승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이루프패널은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였고 제작시간도 오래 걸렸으며 작업이 어렵고 절단공정, 용접공정, 사상공정, 도장공정 및 의장공정 등 많은 공정이 필요하였고 공정작업이 복잡하였고 특히 절단 용접시 발생하는 슬래그는 사상 도장 공정에서 제거가 되지 않아서 차량 출고 후 부식으로 인한 녹이 발생하고 누수의 원인이 됨으로써 차량의 내구성이 현정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하이루프패널 제작시 많은 공정작업을 하여야 했으므로 재료의 손실로 인한 비용증가와 작업장에서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2365호(2005. 08.02.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324486 호(2013.10.2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철판을 사용하지 않고 제작함으로써 재료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작업공정이 단축되고 작업인원을 축소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이루프패널의 제작기간을 크게 단축시켜서 작업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차의 창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차량 내부의 공기를 2열 탑승대원들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대원들의 피로를 회복시키거나 화재 현장에서 휴식이 가능하도록 2열 시트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환기부를 형성시키고 패널과 일체화시킨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를 제공하는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웃터 패널(102)와 인너패널(106)로 이루어지는 소방차의 하이루프 구조에 있어서,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18,19)를 구비하는 아웃터 패널(102)과, 센터 몸체부(22) 및 사이드 몸체부(24,25)를 구비하고 상기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결합 설치되는 인너패널(106)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패널(106)을 FRP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상기 아웃터 패널의 하부몸체(18,19)와, 상기 사이드 몸체부(24)가 서로 맞대어져서 접촉되도록 위치시키고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접착부(48)를 형성하여 실리콘으로 밀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 패널(102)에는 상부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0)에 상하로 관통되는 환기부(104)가 구비되고 상기 인너패널(106)에는 센터 몸체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몸체부(22)에는 상기 환기부(104)와 중심이 일치하는 환기부(108)이 구비되어 소방차의 탑승자들이 앉는 2열 시트 상부에 환기부(104,108)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너패널(106)은,
내측부가 오목하고 하방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사각형상의 센터 몸체부(22)와; 상기 센터 몸체부(22)의 좌우측부에는 사이드 몸체부(24,25)가 형성되고 전부에는 전면부 몸체(28)가 형성되고 상기 후부에는 후면부 몸체(30)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몸체(28)의 전방향으로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부(34)와; 상기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34)의 전부 끝변부에는 프론트 플랜지부(36)가 FRP 재질로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는 소방차의 차체와 탑승부의 무게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고, 탑승부의 제작 공정을 크게 단축하여 작업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고 작업 효율성도 우수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이루프 패널을 FRP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환기 시스템과 연동하여 2열시트의 탑승자에게도 휴식과 안정을 제공함으로써 피로를 회복시키고 소방임무를 빠르고 원할하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소방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아웃터패널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다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방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소방차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아웃터패널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의 다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100)을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탑승부가 1열 시트와 2열 시트로 구분 되어지고 상기 2열 시트가 적용된 상방에는 환기 시스템이 구비되는 소방차(200)와, 상기 소방차(200)의 탑승부 상면에는 하이루프 패널(10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이루프 패널(100)은 인너 패널과 아웃터 패널로 형성되고 다수의 철재질 패널을 용접으로 이어 붙여서 인너패널을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무게를 경감하고 작업공정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의 FRP(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재질을 이용하여 환기부가 구비된 인너패널로 성형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3은 본 발명의 하이루프 패널부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하이루프 패널부(100)는 아웃터 패널(102)과 인너패널(168)을 포함한다.
상기 아웃터 패널(102)에는 환기부(104)가 구비되고 상기 인너패널(106)에도 환기부(108)가 구비되며 상기 환기부(104)와 환기부(108)는 중심이 일치하도록 성형되어 상기 아웃터 패널(102)과 인너패널(106) 상하 결합시 상기 환기부(108)가 상기 환기부(10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직경을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에는 상기 인너패널(106)이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너패널(106)은 상기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삽입되어 측면부가 서로 맞대어져서 겹쳐지도록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아웃터 패널(102)이 인너패널(106)의 센터 몸체부(22)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어서, 도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아웃터 패널(102)은 내측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의 좌우측변부에 수직하게 하향하여 측부몸체(12,1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0)의 전변부에 수직하게 하향하여 전부몸체(1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0)의 후변부에는 수직하게 하향하여 후부몸체(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에는 하부몸체(18,19)가 좌측 및 우측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몸체(18,19)의 끝변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플랜지부(20,21)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에는 인너패널(106)이 끼워져서 고정 설치되는바, 상기 인너패널(106)은 내측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하이루프의 센터 몸체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몸체부(22)의 좌우측변부 하방향으로 사이드 몸체부(24,2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몸체부(24,25)의 끝변부에는 수평향향으로 절곡된 사이드 플랜지부(26,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몸체부(22)의 전면에는 수직 하방으로 전면부 몸체(28)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몸체부(22)의 후면에는 수직 하방으로 후면부 몸체(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 몸체부(22)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환기부(108)이 형성되되, 상기 환기부(108)에는 일렉트릭 벤트 서포트 어세이(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부 몸체(28)의 전방으로는 니은자(ㄴ) 형상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부(34)가 길게 연장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부(34)의 전부에는 프론트 플랜지부(3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플랜지부(36)의 전단 끝변부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결합돌부(37)가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센터 몸체부(22)에 형성된 환기부(108)의 우측부에는 인너패널(106)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미들사이드 보강돌부(38)가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기부(108)의 좌측부에는 인너패널(106)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미들사이드 보강돌부(39)가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2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들사이드 보강돌부(38,39)는 적어도 한줄 이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좌우측부에 각각 2줄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환기부(108)의 전부에는 다수의 미들센터 보강돌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기부(108)의 후부에는 다수의 미들센터 보강돌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미들센터 보강돌부(40)에는 전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전면부 몸체(28)를 거쳐서 인너패널 프론트몸체부(34)에 이르도록 센터 보강돌부(42)가 연장형성되어 휘거나 비틀리지 않도록 강성을 보강한다.
상기 센터 보강돌부(42)의 좌우측부에는 제1 사이드 보강돌부(44,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 보강돌부(42), 제1 사이드 보강돌부(44,45)는 상기 전면부 몸체(28)의 굴곡을 따라서 완만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몸체부(22)와 전면부 몸체(28)와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부(34)에 이르도록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센터 보강돌부(42) 및 제1 사이드 보강돌부(44,45)는 인너패널(106)의 전체 인장강도를 우수하게 향상시킴으로써 변형이 적게 이루어지고 강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때, 상기 제1 사이드 보강돌부(44,45)의 좌,우측부에는 제2 사이드 보강돌부(46,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환기부9108)의 주변에는 다수의 벤트 브라켓 마운팅(110)이 설치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아웃터 패널(102)와 인너패널(106)의 양끝단변부에는 결합시에 발생하는 소정의 틈으로 이루어지는 접착부(48)가 형성된다.
도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에 인너패널(106)이 결합 설치되고, 상기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몸체(18,19)와 상기 인너패널(106)의 사이드 몸체부(24,25)가 서로 맞대어져서 위치되고 서로 겹쳐져서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겹쳐져서 고정되는 하부몸체(18,19)와 사이드 몸체부(24,25)에는 소정의 틈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접착부(48)가 형성되는바, 상기 접착부(48)에 실리콘을 주입하여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아웃터 패널(102)과 인터패널(106)을 부착시켜서 들뜸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과 수분의 유입을 방지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인너패널의 저면 사시도로서, 도 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센터 몸체부(22)에 형성된 환기부(108)의 좌우측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50)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기부(108)의 후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가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 몸체(30)의 후부에는 다수의 브라켓 트리밍 마운팅(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부에 형성된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에는 다수의 사이드 저부 마운트(56)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부의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의 중간부분에는 다수의 사이드 상부 마운트(58)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사이드 저부 마운트(56)들과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 저부 마운트(56)의 좌우측부 위치하고 상기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브라켓(60)이 좌우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의 중간 후부에는 룸램프 브라켓(57)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부(34)와 전면부 몸체(28)이 맞닿는 보서리부에는 프론트 루프 보우 어세이(62)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랜지부(36)에는 사이드 루프 바이저(64)가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분에는 센터 루프 바이저(66)가 형성되며 상기 센터 루프 바이저(66)와 사이드 루프 바이저(64)의 사이에는 미러 어세이(68)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로서 도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에 인너패널(106)이 위치하고 상기 아웃터 패널(102)과 인너패널(106)이 서로 만나는 부위, 즉 상기 전부몸체(14)의 내측부에는 브라켓 패널(7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플랜지부(36)의 연장된 하부 끝단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고 기역자(ㄱ)로 꺽여져서 형성된 결합돌부(37)가 형성된다.
도 9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패널(70)은 상단부가 좌측방향으로 기역자로 절곡되는 고정부(71)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부는 상단부가 기역자고 절곡되어 고정부(7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71)는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 패널(70)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서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좌측부의 각도(A)가 25-30도, 우측부의 각도(B)는 60-65도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과 휨과 비틀림에 대하여 강성을 부여하고 견고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내측부에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8은 하이루프 패널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로서, 인너패널(106)의 일측면부에 패널 브라켓(72)를 맞대서 접촉시키고 결합수단(74)을 이용하고 결합 고정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결합수단(74)은 볼트,너트, 리벳, 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상부몸체 12 : 측부몸체
14 : 전부몸체 16 : 후부몸체
18 : 하부몸체 20 : 플랜지부
22 : 센터 몸체부 24 : 사이드 몸체부
26 : 사이드 플랜지부 28 : 전면부 몸체
30 : 후면부 몸체 32 : 서포트 어세이
34 :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부 36 : 프론트 플랜지부
38 : 미들사이드 보강돌부 40 : 미들센터 보강돌부
42 : 센터 보강돌부 44 : 제1 사이드 보강돌부
46 : 제2 사이드 보강돌부 48 : 접착부
50 : 브라켓 52 :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
54 : 브라켓 트리밍 마운팅 56 : 사이드 저부 마운트
58 : 사이드 상부 마운트 60 : 센터 트리밍 마운트
62 : 프론트 루프 보우 어세이 64 : 사이드 루프 바이저
66 : 센터 루프 바이저 68 : 미러 어세이
70 : 브라켓 패널 72 : 패널 브라켓
74 : 결합수단 76 : 고정 브라켓 패널
100 : 하이루프 패널부 102 : 아웃터 패널
104,108 : 환기부 106 : 인너패널
110 : 벤트 브라켓 마운팅 200 : 소방차

Claims (3)

  1. 아웃터 패널(102)와 인너패널(106)로 이루어지는 소방차의 하이루프 구조에 있어서,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18,19)를 구비하는 아웃터 패널(102)과, 센터 몸체부(22) 및 사이드 몸체부(24,25)를 구비하고 상기 아웃터 패널(102)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결합 설치되는 인너패널(106)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패널(106)을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상기 아웃터 패널의 하부몸체(18,19)와, 상기 사이드 몸체부(24)가 서로 맞대어져서 접촉되도록 위치시키고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접착부(48)를 형성하여 실리콘으로 밀폐 고정시키되,
    상기 아웃터 패널(102)에는 상부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0)에 상하로 관통되는 환기부(104)가 구비되고 상기 인너패널(106)에는 센터 몸체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몸체부(22)에는 상기 환기부(104)와 중심이 일치하는 환기부(108)이 구비되어 소방차의 탑승자들이 앉는 2열 시트 상부에 환기부(104,108)가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너패널(106)은,
    내측부가 오목하고 하방에서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사각형상의 센터 몸체부(22)와;
    상기 센터 몸체부(22)의 좌우측부에는 사이드 몸체부(24,25)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몸체부(22)의 전부에는 전면부 몸체(28)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몸체부(22)의 후부에는 후면부 몸체(30)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몸체(28)의 전방향으로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부(34)와;
    상기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34)의 전부 끝변부에는 프론트 플랜지부(36)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일체형으로 성형되되,
    상기 센터 몸체부(22)에 형성된 환기부(108)의 좌우측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50)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기부(108)의 후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가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 몸체(30)의 후부에는 다수의 브라켓 트리밍 마운팅(54)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에는 다수의 사이드 저부 마운트(56)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의 중간부분에는 다수의 사이드 상부 마운트(58)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사이드 저부 마운트(56)들과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저부 마운트(56)의 좌우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브라켓(60)이 좌우측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리어루프 보우 어세이(52)의 중간 후부에는 룸램프 브라켓(57)이 형성되며,
    상기 인너패널 프론트 몸체부(34)와 전면부 몸체(28)가 맞닿는 모서리부에는 프론트 루프 보우 어세이(62)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프론트 플랜지부(36)에는 사이드 루프 바이저(64)가 좌우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간부분에는 센터 루프 바이저(66)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루프 바이저(66)와 사이드 루프 바이저(64)의 사이에는 미러 어세이(6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6277A 2022-05-06 2022-05-06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KR10245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277A KR102451517B1 (ko) 2022-05-06 2022-05-06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277A KR102451517B1 (ko) 2022-05-06 2022-05-06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517B1 true KR102451517B1 (ko) 2022-10-07

Family

ID=8359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277A KR102451517B1 (ko) 2022-05-06 2022-05-06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5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918B2 (ja) * 1995-04-25 2001-10-1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貼付天井構造
KR20050037265A (ko) * 2003-10-17 2005-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하이루프 구조
KR200392365Y1 (ko) 2005-05-10 2005-08-17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다목적 소방차
JP2012519620A (ja) * 2009-03-05 2012-08-30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自動車用の全ガラスルーフ
KR101324486B1 (ko) 2012-05-18 2013-11-01 김주찬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918B2 (ja) * 1995-04-25 2001-10-1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貼付天井構造
KR20050037265A (ko) * 2003-10-17 2005-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하이루프 구조
KR200392365Y1 (ko) 2005-05-10 2005-08-17 주식회사 평강특장자동차 다목적 소방차
JP2012519620A (ja) * 2009-03-05 2012-08-30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自動車用の全ガラスルーフ
KR101324486B1 (ko) 2012-05-18 2013-11-01 김주찬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3340A (en) Cab assembly
US7077459B2 (en) Vehicle frame mainly for buses
US9283702B2 (en) Door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6428247B (zh) 物流车车厢及其后门板总成装配结构
CN108357455B (zh) 一种多用途汽车车型的隔板结构及安装方法
JPWO2012111098A1 (ja) 車両下部構造
US20170259854A1 (en) Van construction
US2148950A (en) Car body for automobiles
KR102451517B1 (ko)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CN107600086A (zh) 低成本工艺成型的碳纤维复合材料地铁车体
CN206086926U (zh) 物流车车厢及其后门板总成装配结构
KR102065166B1 (ko) 소방차의 적재부 구조
JP2015193362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CN213534875U (zh) 一种重型特种车用四开门驾驶室
CN206086924U (zh) 物流车及其车厢
US7278678B2 (en) Rear door cab for lift truck
JP6517919B2 (ja) 梯子車用バスケットおよび梯子車
US10577023B2 (en) Roof frame bracket assembly
US1883991A (en) Pressed metal vehicle body
CN206086927U (zh) 物流车车厢及其厢板总成装配结构
CN206086925U (zh) 物流车车厢及其裙边总成装配结构
EP3907124B1 (en) Vehicle roof structure
CN112623037A (zh) 一种无人驾驶车辆上部框架
CN106379422B (zh) 物流车车厢及其裙边总成装配结构
US1953991A (en) Bus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