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86B1 -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486B1
KR101324486B1 KR1020120052765A KR20120052765A KR101324486B1 KR 101324486 B1 KR101324486 B1 KR 101324486B1 KR 1020120052765 A KR1020120052765 A KR 1020120052765A KR 20120052765 A KR20120052765 A KR 20120052765A KR 101324486 B1 KR101324486 B1 KR 10132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ning
container
ai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찬
Original Assignee
김주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찬 filed Critical 김주찬
Priority to KR102012005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7Openings in or near to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2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14Devices in front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10)에 있어서,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안내관이 형성되어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차량의 외면 일측에 고정시키고, 차량의 관통된 외측면과 내측면에 구비되어 고정 및 밀폐를 시켜주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안내관과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차량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파이프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기 파이프를 통한 차량 실내공기의 배기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및 압축이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벤딩(Bending)이 가능한 플렉시블 흡입덕트와;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의 단부에 구비되고, 소정의 장입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와; 상기 흡입덕트와 용기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를 상기 흡입덕트의 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탈착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폐할 수 있는 용기개폐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 Ventilation facility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주행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없어도 외부로 차량 실내의 담배연기 등을 외부로 배기시키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앞쪽으로부터 바깥 공기를 차 실내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차량에는 외기모드 또는 내기모드로 실내공기 유입을 선택하는 수단들이 설치되어 있다. 단순히 내기 및 외기 선택버튼만 있는 경우는 차 외부의 공기가 오염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지 못하여 오염된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어 차실내공기가 더욱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AQS(Air Quality Sensor)시스템을 채택하여 차 실내의 공기 오염도와 차 외부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차량의 외부 공기에서 유해가스 성분이 적정치 이상 검출되면 내기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그러나, 이때 차 실내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보다 더 퀄리티가 떨어지는 경우, 즉, 이산화탄소 증가 또는 산소부족 또는 유해가스 증가 인 경우에도 외부 공기의 오염도만으로 자동으로 내기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탑승객에게 더 큰 불쾌감을 초래한다.
또한, 외기 오염도 뿐만 아니라 내기 오염도를 측정하여 내기 모드와 외기모드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차 실내의 공기가 외부 공기보다 퀄리티가 낮으면 외기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차량의 환기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AQS시스템을 채택한 차량의 환기시스템인 경우에도 차실내공기 및 차 외부 공기가 모두 오염된 공기인 경우, 외기모드 또는 내기모드중 어느하나로 설정되기 때문에 차 실내의 공기는 오염도가 높아져 쾌적성이 현저히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터널 내부나 도심 정체구간에서는 외부공기가 매우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공기로 환기시키기에도 문제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안내관이 형성되어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차량의 외면 일측에 고정시키고, 차량의 관통된 외측면과 내측면에 구비되어 고정 및 밀폐를 시켜주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안내관과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차량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파이프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기 파이프를 통한 차량 실내공기의 배기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및 압축이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벤딩(Bending)이 가능한 플렉시블 흡입덕트와;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의 단부에 구비되고, 소정의 장입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와; 상기 흡입덕트와 용기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를 상기 흡입덕트의 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탈착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폐할 수 있는 용기개폐부;를 포함하여 구비된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썬루프와 같은 고가의 장비나,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상기 흡입부와 진공부의 사이의 공기유동의 속도차로 인해서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해서 차량 실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안내관이 형성되어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차량의 외면 일측에 고정시키고, 차량의 관통된 외측면과 내측면에 구비되어 고정 및 밀폐를 시켜주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안내관과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차량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파이프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기 파이프를 통한 차량 실내공기의 배기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및 압축이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벤딩(Bending)이 가능한 플렉시블 흡입덕트와;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의 단부에 구비되고, 소정의 장입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와; 상기 흡입덕트와 용기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를 상기 흡입덕트의 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탈착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폐할 수 있는 용기개폐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안내관은, 차량이 주행시 발생하는 공기 유동이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비교해서 25%이하의 단면적을 가지는 진공부와, 상기 진공부과 비교해서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일단부는 상기 진공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소정의 각도만큼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배기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개폐장치의 조작부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킴으로써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와 진공부의 사이의 공기유동의 속도차로 인해서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해서 차량 실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및 개폐장치를 차량의 전면유리에 고정시켜주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외면과 차량의 전면유리사이를 밀폐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의할 때, 차량의 지붕에 설치, 구비되는 고가의 썬루프와 같은 장비의 설치없이도,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상기 흡입부와 진공부의 사이의 공기유동의 속도차로 인해서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해서 차량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강제배기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의 작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 및 배기를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 일 예로 자동차의 앞쪽으로부터 바깥 공기를 차 실내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차량에는 외기모드 또는 내기모드로 실내공기 유입을 선택하는 수단들이 설치되어 있다. 단순히 내기 및 외기 선택버튼만 있는 경우는 차 외부의 공기가 오염되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지 못하여 오염된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어 차실내공기가 더욱 나빠지게 된다.
다른 예로는, 차량 지붕에 썬루프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폐함으로써 환기 및 배기를 하게 되는 데 이 또한, 구조적으로 누수 및 누수로 인한 전기배선 등에 문제발생하고 그 설치비용 또한 고가이다.
상기 도면들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10)는, 차량의 외측면에 고정 구비되는 장치이며, 차량이 주행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으로 인한 차량 내외부간의 압력차를 이용한 환,배기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전면유리에 고정 및 설치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서 차량의 지붕과 같은 상측면이나, 차량의 측면 등에서 적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차량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10)는,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안내관이 형성되어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를 차량의 외면 일측에 고정시키고, 차량의 관통된 외측면과 내측면에 구비되어 고정 및 밀폐를 시켜주는 고정부(300)와, 상기 고정부(300)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안내관과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차량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파이프(200)와, 상기 고정부(300)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기 파이프(200)를 통한 차량 실내공기의 배기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장치(400)와, 상기 개폐장치(400)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및 압축이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벤딩(Bending)이 가능한 플렉시블 흡입덕트(500)와,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500)의 단부에 구비되고, 소정의 장입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700)와, 상기 흡입덕트와 용기부(7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700)를 상기 흡입덕트의 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탈착부(600)와, 상기 용기부(7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폐할 수 있는 용기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100)는 차량의 전면유리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서 상기 차량의 전면유리에 고정, 부착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차량이 주행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안내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의 안내관은, 차량이 주행시 발생하는 공기 유동이 유입되는 흡입부(110)와, 상기 흡입부(110)와 비교해서 25%이하의 단면적을 가지는 진공부(120)와, 상기 진공부(120)과 비교해서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배기부(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안내관은, 베르누이의 법칙(Bernoulli’s theorem )을 이용한 구조이다. 여기에서 공식의 내용은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으로서 관수로에서 좁은 통로를 지날 때 유속이 빨라 지고, 넓은 공간에서 유속이 느려지는 데 이는 좁은 공간은 많은 유량이 지나갈 수 없으므로 유속을 크게 해서 빨리 지나가고, 넓은 공간은 유량이 커서 유속을 작게 해서 천천히 지나간다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한편, 유속이 빠른 지점에서는, 유속이 느린 지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간단하게 본 법칙은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00)를 차량의 전면유리에 고정, 부착시킨다. 우선 차량의 전면유리에 소정의 크기로 구멍을 내고 작업을 선행한다.
상기 차량의 전면유리에 낸 구멍을 통해서 상기 고정부(30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300)의 중앙부로 상기 배기 파이프(200)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 파이프(200)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100)의 진공부(120)로 연통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개폐장치(400)와 고정결합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300)는,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질로 미리 성형되어 차량의 전면유리의 내외측면부에 각각 고정결합할 수도 있고, 양면접착제와 같은 구조일 수도 있으며, 실리콘으로 성형하여 구성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차량의 전면유리 내측쪽에서는,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개폐장치(400)와 결합된다. 상기 개폐장치(4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개폐장치(400)의 조작부(41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킴으로써 개폐가 가능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400)에는,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500)가 연통 결합한다.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5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및 압축이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벤딩(Bending)이 가능한 구조이다.
사용자가 상기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500)를 사용자측으로 잡아당겨서 위치하게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상기 차량 필러측이나 천정측으로 위치시켜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500)의 단부에는 소정의 장입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7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700)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부(70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상기 용기 개폐부(800)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차량 실내에서, 흡연을 하는 경우에 상기 개폐장치(40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개구시키고, 상기 용기 개폐부(800)를 열면 실내의 담배연기를 포함한 실내공기는 상기 용기부(700)를 통해서 상기 배기 파이프(200)를 통해서 차량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남은 담배꽁초 등을 상기 용기부(700)에 장입한 후에 상기 용기개폐부를 닫은 후에, 상기 개폐장치(400)를 잠그면 된다.
한편, 상기 흡입덕트와 용기부(700) 사이에는, 상기 용기부(700)를 상기 흡입덕트의 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용기 탈착부(60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용기 탈착부(600)를 이용해서, 상기 용기부(700)에 장입된 담배꽁초 및 기타 쓰레기를 청소한 후 다시 결합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의 작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가 차량의 전면유리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알 수 있다.
살펴보면, 차량의 전면유리의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크기로 구멍을 낸 후, 상기 고정부(300)를 설치한 후, 상기 본체(100)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그런 다음에, 상기 배기 파이프(200)를 상기 고정부(300)의 중앙부를 관통시켜서, 상기 배기 파이프(200)의 일단부가 상기 진공부(120)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개폐장치(400), 플렉시블 흡입덕트(500) 그리고 용기 탈착부(600)와, 용기부(700)를 차례로 결합시킨다.
장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소정의 위치로 상기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10)를 위치시키고, 개폐시킨 후 작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10)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배기 파이프(200)의 일단부는 상기 진공부(120)에 위치하고,
상기 배기 파이프(200)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소정의 각도만큼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배기부(130)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흡입부(110)를 통해서 차량 전면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안내되어 상기 진공부(120)로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공부(120)의 단면적은 상기 흡입부(110)의 단면적에 비해서 현저히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공부(120)의 단면적은 상기 흡입부(110)의 단면적의 25%이하이어야 한다.
베르누이의 법칙에 따라, 상기 진공부(120)를 지나는 공기의 유동속도는 상기 흡입부(110)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속도에 비해 현저히 빠르다. 이때, 상기 진공부(120)의 압력은 차량의 실내의 공기압력에 현저히 낮아져서 차량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파이프(200)의 경사지게 성형된 단부의 개구부는 상기 배기부(130)를 바라보도록 위치해야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운전자가 주행중에 흡연 등을 하는 경우에 별도의 썬루프와 같은 고가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공기 유동으로 발생하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환기 및 배기할 수 있게 된다.
* 주요도면 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100 본체
110 흡입부 120 진공부
130 배기부 200 배기 파이프
300 고정부 400 개폐장치
410 조작부 500 플렉시블 흡입덕트
600 용기 탈착부 700 용기부
800 용기 개폐부

Claims (6)

  1. 차량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안내관이 형성되어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차량의 외면 일측에 고정시키고, 차량의 관통된 외측면과 내측면에 구비되어 고정 및 밀폐를 시켜주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안내관과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차량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 파이프와;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기 파이프를 통한 차량 실내공기의 배기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개폐장치와;
    상기 개폐장치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및 압축이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벤딩(Bending)이 가능한 플렉시블 흡입덕트와;
    상기 플렉시블 흡입덕트의 단부에 구비되고, 소정의 장입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와;
    상기 흡입덕트와 용기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를 상기 흡입덕트의 단부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기 탈착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개폐할 수 있는 용기개폐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내관은,
    차량이 주행시 발생하는 공기 유동이 유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와 비교해서 5 내지 25%의 단면적을 가지는 진공부와,
    상기 진공부과 비교해서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배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파이프의 일단부는 상기 진공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는 소정의 각도만큼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배기부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개폐장치의 조작부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킴으로써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와 진공부의 사이의 공기유동의 속도차로 인해서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해서
    차량 실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 및 개폐장치를 차량의 전면유리에 고정시켜주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외면과 차량의 전면유리사이를 밀폐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KR1020120052765A 2012-05-18 2012-05-18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KR10132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765A KR101324486B1 (ko) 2012-05-18 2012-05-18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765A KR101324486B1 (ko) 2012-05-18 2012-05-18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486B1 true KR101324486B1 (ko) 2013-11-01

Family

ID=4985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765A KR101324486B1 (ko) 2012-05-18 2012-05-18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517B1 (ko) 2022-05-06 2022-10-07 주식회사 대진정공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5128A (ko) * 1985-11-30 1987-06-04 문박 소면기에서의 인터미디트 브로윙(intermidiat eblowing)장치
KR970004723A (ko) * 1995-06-29 1997-01-29 배순훈 텔레비젼에서의 채널 선택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9980052251A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아연 강편이 포함된 수지 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5128A (ko) * 1985-11-30 1987-06-04 문박 소면기에서의 인터미디트 브로윙(intermidiat eblowing)장치
KR970004723A (ko) * 1995-06-29 1997-01-29 배순훈 텔레비젼에서의 채널 선택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KR19980052251A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아연 강편이 포함된 수지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517B1 (ko) 2022-05-06 2022-10-07 주식회사 대진정공 소방차용 하이루프패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926276B1 (fr) Ensemble de ventilation d'un appareillage de vehicule ferroviaire
CN102720520B (zh) 一种高速公路特长双孔隧道泄水洞的施工通风方法
GB2466916A (en) Building circulation system using curtain wall as ventilator
KR101752180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시스템
EP1897711A3 (en) Low profile HVAC system
KR101324486B1 (ko) 차량용 실내 환기장치
JP5006834B2 (ja) トンネル換気方法及びトンネル換気装置
KR101555352B1 (ko) 통풍공을 이용한 터널 풍압 경감 장치
CN206114366U (zh) 密闭舱采样系统
CN207829259U (zh) 一种排烟型屋顶通风器
WO2013041224A3 (de) Blendrahmen eines fensters mit integrierter lüftungseinrichtung und lüftungseinrichtung hierfür
JP2014136907A (ja) トンネル用換気装置
CN204870482U (zh) 一种新型汽车天窗
KR20140093202A (ko) 도시철도 본선터널의 수직환기구 입구 유동 병목현상 제거 구조
AU2003232251A1 (en) Method for operating a track for a railborne vehicle, and corresponding track
CN204688113U (zh) 一种地下运矿车平头偏置封闭式驾驶室
KR20120012862A (ko) 차량의 자동 환기장치
CN205481406U (zh) 一种带有检测装置的可遥控集成式空气净化器
CN213892113U (zh) 一种车用防水透气器
CN104015591A (zh) 可开启式汽车后窗总成及汽车
CN204687802U (zh) 汽车天窗
KR20110041169A (ko) 터널공사용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5805A (ko) 도시철도 본선터널의 수직환기구 풍도 내 가이드 베인 설치를 통한 압력 강하방지 및 유지 구조
CN104977685B (zh) 光缆安装设备
KR200278740Y1 (ko) 터널 통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