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661B1 - 온도-제어형 휴대형 냉각 유닛 - Google Patents

온도-제어형 휴대형 냉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661B1
KR102450661B1 KR1020187013972A KR20187013972A KR102450661B1 KR 102450661 B1 KR102450661 B1 KR 102450661B1 KR 1020187013972 A KR1020187013972 A KR 1020187013972A KR 20187013972 A KR20187013972 A KR 20187013972A KR 102450661 B1 KR102450661 B1 KR 10245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
wall
region
sealed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845A (ko
Inventor
퐁-리 초우
필립 앤드류 웰코프
로렌스 모간 파울러
시엥 리우
페터 카 마이어-락스후버
넬스 알 피터슨
랄프 붸 슈미트
클라렌스 티 티그린
로웰 엘 쥬니어 우드
라이니어 엠 뵈르츠
데이빗 제이 야거
Original Assignee
토키태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885,043 external-priority patent/US11105556B2/en
Application filed by 토키태 엘엘씨 filed Critical 토키태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5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3/00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 F28C3/06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eing a liquid and a gas or vapour
    • F28C3/08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eing a liquid and a gas or vapour with change of state, e.g. absorption, evapo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7/00Devices using evaporation effects without recovery of the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7/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 F25B17/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intermittently, e.g. absorption or adsorption type the absorbent or adsorbent being a solid, e.g. sa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2Portable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ckage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원에는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저장 용기가 기술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저장 영역과, 상기 저장 영역에 인접한 증발 영역과, 상기 용기의 외부에 인접한 건조 영역, 그리고 상기 증발 영역과 상기 건조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절연 영역을 포함한다. 증기 제어 유닛이 부착된 증기 도관은, 상기 증발 영역 내에 제1 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건조 영역 내에 제2 단부가 마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은 휴대형 용기 내에 방사상 형태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온도-제어형 휴대형 냉각 유닛
우선권 출원들 및 임의의 우선권 주장을 포함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우선권을 주장함으로써 우선권 출원들과 관련된 모든 출원들의 모든 청구 대상과, 본 출원의 출원일에 참조로 인용된 청구 대상은, 이러한 청구 대상이 본원과 모순되지 않은 범위에서,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US 2006-0248910 A1(2006.11.09)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저장 용기 바닥에 밀봉된 저장 용기 벽으로서,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은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저장 용기 벽; 증발 영역 바닥에 밀봉된 증발 영역 벽으로서, 증발 영역 벽은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증발 영역 바닥은 저장 용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증발 영역 벽의 상측 에지가 저장 용기 벽의 상측 에지 아래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밀봉되어, 증발 영역 벽과 증발 영역 바닥과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증발 영역 벽; 저장 용기 벽과 증발 영역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절연 벽으로서, 절연 벽의 상측이 증발 영역 벽 위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저장 용기 및 증발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절연 벽;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휴대형 용기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건조 영역 벽;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로서, 접근 개구가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저장 용기, 접근 개구가 상기 내부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저장 용기로서,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내부 저장 용기에 밀봉되어 있는 것인 외부 저장 용기, 및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건조 섹션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면과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이고 상기 저장 용기의 접근 개구를 넘어 연장되는 크기 및 형상인 내부면을 갖는 절연 유닛, 상기 절연 유닛을 둘러싸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절연 유닛의 외부에 건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연 유닛의 외부에 증기-불투과 시일로 밀봉되어 있는 것인 건조 영역 벽, 및 상기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건조 영역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건조 영역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을 포함하는 건조 섹션; 및 중앙 증기 도관 섹션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1 단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2 단부, 및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증기 도관의 커넥터 섹션으로서, 상기 제1 단부를 상기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도관은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증발 섹션, 상기 건조 섹션 및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각각,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통합 휴대형 용기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에 감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조립 방법은: 저장 용기의 외부면이 절연 유닛 내에 배치되고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 및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가 서로 정렬되도록,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내부 절연 유닛 및 외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는 건조 섹션과 상기 건조 섹션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 내에 배치하는 단계;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고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 섹션 및 상기 건조 섹션에 인접하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건조 섹션, 그리고 연결된 증기 도관 섹션들 내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진공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절연 저장 구획으로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의 내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저장 용기의 외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상기 외부는 상기 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와 내부 사이에 갭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상기 내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외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사이에 있는 시일로서, 이들 벽 사이에 가스-불투과 갭을 형성하는 것인 시일을 포함하는 절연 저장 구획; 및 상기 절연 저장 구획에 매칭되는 크기 및 형상의 덮개로서, 덮개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상기 바닥과 측면은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덮개의 천장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덮개의 천장은 덮개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덮개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배치되는 증발 구획으로서, 내부 증발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바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증발 구획, 덮개의 천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있는 건조 구획으로서, 내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천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건조 구획, 및 제1 단부에서 상기 증발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고 제2 단부에서 상기 건조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건조 영역과 상기 증기 도관의 조합으로, 덮개 내에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인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 상기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저장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영역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의 내부면과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휴대형 용기용 덮개로서,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을 구비하고, 저장 용기에 대하여 가역적인 접근을 허용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덮개;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덮개의 굴곡 가능한 섹션과 정렬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프레임;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으로서, 공기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내부면을 향하게 하도록 배향되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로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 양자 모두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전술한 개요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어떤 식으로도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전술한 예시적인 양태들, 실시형태들 및 특징들 이외에도, 추가적인 양태들, 실시형태들 및 특징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립 중인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조립 방법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다. 문맥에서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는 한,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통상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를 식별한다. 도면의 특징들은 예시를 목적으로 제시되고,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원에 제시된 청구 대상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형태들이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변형들이 실시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휴대형 용기는, 용기에 일체화된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일 또는 주 단위로 측정되는 기간에 걸쳐,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체형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예를 들어 백신 등과 같은 약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저장된 물질의 동결을 방지하도록 0℃보다는 높지만 특정 약제에 요구되는 최고 온도(예컨대, 8℃, 10℃, 또는 15℃)보다는 낮은 온도 범위로 저장 온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주위 온도가 25℃ 내지 43℃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외딴 지역에서 봉사 의료 여행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 동안(예컨대, 5일), 백신 저장을 위해 승인된 온도 범위(예컨대, 2℃ 내지 8℃)로, 내부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적어도 1일 (예컨대, 적어도 24시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적어도 2일 (예컨대, 적어도 48시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적어도 3일 (예컨대, 적어도 72시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적어도 4일 (예컨대, 적어도 96시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적어도 5일 (예컨대, 적어도 120시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적어도 6일 (예컨대, 적어도 144시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적어도 7일 (예컨대, 적어도 168시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냉각 시스템은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0℃ 내지 10℃의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하도록 교정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냉각 시스템은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2℃ 내지 8℃의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하도록 교정된다. 일체형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예를 들어 백신 등과 같은 약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저장된 물질의 동결을 방지하도록 0℃보다는 높지만 특정 약제에 요구되는 최고 온도(예컨대, 8℃, 10℃, 또는 15℃)보다는 낮은 온도 범위로 저장 온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외부 주위 온도가 25℃의 예상 고점을 갖는 기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외부 주위 온도가 37℃의 예상 고점을 갖는 기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외부 주위 온도가 43℃의 예상 고점을 갖는 기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교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것과 같은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유지하는 데 얼음 또는 그 밖의 상변화 물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소정 조건의 범위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외부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증발 냉각을 작동시키고 그 속도를 제어하는 데, 표준 냉각 유닛의 전력 요구량보다 적은 전력 요구량 등과 같은, 최소 전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용기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밸브 또는 전기 스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주위 온도에서 장기간 저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형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에 대해 제어 냉각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때 작동되거나 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의료 봉사 활동의 일환으로 하루종일 쉽게 가지고 다니게 되고 봉사 활동의 일상적인 기간 동안 종두 의사에 의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백신 투약 바이알의 수효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의료 봉사 활동의 일환으로 하루종일 쉽게 가지고 다니게 되고 의료 봉사 활동의 예정일 동안 의료인에 의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백신 및 의약 치료 용량의 수효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외부는, 개인이 가지고 다니는 것과 같은,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크기 및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되는 휴대형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은, 하나 이상의 의도된 사용 사례에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저장 영역은, 평균일 동안에 의료 봉사 활동에 의해 투여되는 약물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저장 영역은, 평균일 동안에 의료 봉사 활동에 의해 투여되는 백신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저장 영역의 체적은 1 리터 내지 5 리터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저장 영역의 체적은 1 리터 내지 3 리터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저장 영역의 체적은 2 리터 내지 5 리터이다.
본원에 기술된 휴대형 용기는, 휴대 가능하게 되도록, 예를 들어 수 시간 또는 수 일의 기간 동안 개인이 들고 다니게 되도록, 구성되고 제조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총 질량은 10 ㎏ 미만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총 질량은 9 ㎏ 미만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총 질량은 8 ㎏ 미만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총 질량은 7 ㎏ 미만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총 질량은 6 ㎏ 미만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총 질량은 5 ㎏ 미만이다.
본원에 기술된 휴대형 용기는,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질량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휴대형 용기의 일부 실시형태는, 질량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되고 구성된 내부벽을 포함한다.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절연의 질량을 최소화하고 휴대형 용기의 외부의 표면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건조 영역의 발열 반응에서 나오는 열을 분산시키면서, 중앙 저장 영역을 둘러싸는 증발 영역의 냉각 효과를 최대화하는 방사상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저장 용기 바닥에 밀봉된 저장 용기 벽으로서,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은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저장 용기 벽; 증발 영역 바닥에 밀봉된 증발 영역 벽으로서, 증발 영역 벽은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증발 영역 바닥은 저장 용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증발 영역 벽의 상측 에지가 저장 용기 벽의 상측 에지 아래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밀봉되어, 증발 영역 벽과 증발 영역 바닥과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증발 영역 벽; 저장 용기 벽과 증발 영역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절연 벽으로서, 절연 벽의 상측이 증발 영역 벽 위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저장 용기 및 증발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절연 벽;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휴대형 용기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건조 영역 벽;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이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은 휴대형 용기(100)의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예를 들어, 도 2 참조), 도 1은 내부 정중선을 통해 취한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는, 용기의 상부에 있는 단일 개구(105)를 통해 접근 가능한 중앙 저장 영역(110)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중앙 저장 영역(11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중앙 저장 영역의 외부에 있는 용기의 층들 또는 영역들 각각이 이에 상응하게 원통형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라운딩된 에지를 포함한다.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방사상 형태, 중심부에 있는 중앙 저장 영역, 저장 영역의 외부에 있는 증발 영역, 증발 영역의 외부에 있는 절연 영역, 및 절연 영역의 외부에 있는 건조 영역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서로에 대해 방사상 형태인 내부 구조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평 단면에서, 상기한 영역들을 형성하는 벽들은, 연속적으로 크기가 설정된 링들의 영역들로서, 이에 상응하게 연속적으로 크기가 설정된 둘레 및 표면적을 갖는 링들의 영역들을, 중앙 저장 영역 주위에 형성한다. 건조 영역의 외부벽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건조 영역의 외부 표면 영역이 용기의 다른 영역들에 관하여 최대화되며, 건조 영역으로의 및 건조 영역으로부터의 열복사에 이용 가능한 표면 영역이 최대화된다. 이에 상응하게, 증발 영역은 중앙 저장 영역을 둘러싸고, 이에 따라 용기의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통하여 중앙 저장 영역을 냉각하는 데 이용 가능한 표면 영역이 최대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복수의 접근 개구, 예를 들어 저장 영역의 내부에 대해 특정 크기 및 형상의 물질을 삽입 및 제거하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의 접근 개구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한다.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는, 저장 용기 바닥(117)에 밀봉된 저장 용기 벽(115)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저장 용기 벽(115)과 상기 저장 용기 바닥(117)은 저장 용기의 저장 영역(110)의 상부에 접근 개구(105)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 용기 벽(115)은 저장 용기 바닥(117)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된다.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용기(100)는 증발 영역 바닥(127)에 밀봉된 증발 영역 벽(125)을 포함한다. 증발 영역 벽(125)은 증발 영역 바닥(127)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된다. 증발 영역 벽(125)은 저장 용기 벽(115)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증발 영역 벽(125)은 저장 용기 벽(115)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벽들의 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 영역 벽(125)과 저장 용기 벽(115)의 사이에 증발 에지 벽(129)이 배치되어 있고, 증발 에지 벽(129)은 인접한 벽들 각각에 밀봉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벽들의 인접한 표면들 사이의 갭을 유지하면서 벽들의 면들이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루고 있도록, 증발 영역 벽이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증발 영역 벽(125)은 저장 용기 벽(115)의 외부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되어 있다. 도 1은, 증발 영역 바닥(127)이 저장 용기 바닥(117)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바닥들의 면들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은 저장 용기 벽(115)의 상측 에지 아래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115)의 외부에 밀봉된 증발 영역 벽(125)의 상측 에지를 형성하는 증발 에지 벽(129)을 도시한다. 증발 영역 바닥(127)에 밀봉된 증발 영역 벽(125)과 저장 용기 벽(115) 및 저장 용기 바닥(117)은, 증발 영역 벽(125)과 증발 영역 바닥(127)과 저장 용기 벽(115)과 저장 용기 바닥(117)의 사이에 있는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의 경계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영역 벽(125) 및 증발 영역 바닥(127)은, 저장 용기 벽(115) 및 저장 용기 바닥(117)과 함께, 증발 영역 벽(125)과 증발 영역 바닥(127)의 표면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실린더형 구조로서 형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로서 형성된다.
증발성 액체(123)가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증발 영역은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부분 가스 압력뿐만 아니라 증발성 액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증발성 액체"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예상되는 증발 영역의 내부 영역의 온도 및 가스 압력 하에서 증발 특성을 갖는 액체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증발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의 주위 압력의 약 5%인 부분 가스 압력을 포함하고,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증발성 액체는 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증발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의 주위 압력의 약 10%인 부분 가스 압력을 포함하고,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증발성 액체는 메탄올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증발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의 주위 압력의 약 15%인 부분 가스 압력을 포함하고,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증발성 액체는 암모니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성 액체는, 증발성 액체의 증발 가능성을 고취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영역은, 증발성 액체가 구조의 전반에 걸쳐 윅킹될 수 있게 하는 크기 및 형상의 세공을 갖는 3차원 다공성 구조 또는 메시 등과 같은 윅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영역은, 해당 증발성 액체에 적합한 크기의 세공을 갖는 금속 메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영역은, 해당 증발성 액체에 적합한 크기의 세공을 갖는 펠트형 재료를 포함한다. 윅 구조는 증발 영역을 형성하는 벽들의 하나 이상의 내부면에 배치 및/또는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벽(135)이 저장 용기 벽(115) 및 증발 영역 벽(125)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절연 벽(135)의 상측이 증발 영역 벽(125) 위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115)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저장 영역(110) 및 증발 영역(120)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130)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벽의 상측 에지는 증발 영역 벽의 위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밀봉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벽(132)이 절연벽(135)과 저장 용기 벽(115)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벽(132)은 두 벽에 밀봉되어 저장 용기의 상측 에지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저장 용기 벽(115), 증발 영역 벽(125) 및 절연 벽(135)의 면들 각각이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절연 바닥(137)이 절연 벽(135)의 하측 에지에 밀봉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연 벽은 절연 바닥에 밀봉되고, 상기 절연 바닥은 상기 증발 영역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연 벽의 바닥이, 상기 증발 영역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의 외부면에 밀봉된다.
상기 벽들과 바닥들 사이의 공간은, 저장 영역(110)과 증발 영역(120)을 둘러싸는 절연 영역(130)을 형성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절연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 필요한 절연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두께(예를 들어 도 1에서 점 A와 점 B 사이의 공간)이다. 절연 영역의 두께는, 절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절연의 타입, 휴대형 용기의 예상되는 사용 사례, 사용되는 증발성 액체, 및 사용되는 건조제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서 그 두께(예를 들어 도 1에서 점 A와 점 B 사이의 공간)를 가로질러 예상되는 열전달이 약 2 와트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서 그 두께를 가로질러 예상되는 열전달이 0.5 내지 2.5 와트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서 그 두께를 가로질러 예상되는 열전달이 1.5 내지 5.5 와트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서 그 두께를 가로질러 예상되는 열전달이 0.5 내지 6 와트의 범위이다.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Fesmire의 "극저온 절연 시스템 시험 및 성능 데이터의 표준화" Physics Procedia 67: 1089-1097 (2015) 참조.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증발 영역과 건조 영역의 사이에 절연 층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증발 영역과 건조 영역의 사이에 절연 층을 형성하는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증발 영역과 건조 영역의 사이에 절연 층을 형성하는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반사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에어로젤을 포함한다. 휴대형 용기는 개인이 수 시간 또는 수 일 동안 가지고 다니도록 설계되어 있고, 선택된 절연부는 용기의 휴대성을 유지하기에 충분하게 경량일 필요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는, 절연 벽(135)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절연 벽(135)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160)을 형성하는 건조 영역 벽(165)을 포함한다. 건조 영역 벽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영역 벽은 휴대형 용기의 측벽의 외부 주위에서 절연 벽의 외부면을 둘러싼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영역 벽은 휴대형 용기의 측벽 및 바닥의 외부 주위에서 절연 벽의 외부면을 둘러싼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영역 벽은 건조 영역 바닥에 밀봉되어 있고, 건조 영역 바닥은 절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절연 벽과 절연 바닥에 인접한 건조 영역을 형성한다. 사용 중에, 가스-밀봉형 건조 영역은 건조 물질을 포함한다. 휴대형 용기의 제어 냉각 기능이 작동하고 있을 때, 가스-밀봉형 건조 영역 내의 건조 물질이 발열 반응을 겪는다. 외부 건조 영역 벽의 표면 영역이 전체 휴대형 용기를 둘러싸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발열 반응 동안에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복사 냉각하는 데 이용 가능한 공간이 최대화된다.
건조 물질은, 건조 특성 또는 주위 공간의 액체 증기로부터 액체를 제거하는 능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제조된다. 건조 물질의 유닛은, 예를 들어 주위 공간의 수증기로부터 물을 흡수하거나 흡착하는 것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선택된 건조 물질의 하나 이상의 유닛은, 특정 실시형태에 좌우되며, 특히 특정 용기에 일체화된 특정 증발 제어 유닛을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예상 시간 동안 액체를 흡수하기에 충분한 양의 건조 물질에 요구되는 체적에 좌우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선택된 건조 물질의 유닛은 통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 고체 물질일 것이다. 건조 물질의 하나 이상의 유닛은 비건조 물질, 예를 들어 결합 물질, 스캐폴딩 물질, 또는 지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물질의 하나 이상의 유닛은 2 이상의 타입의 건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휴대형 냉각 유닛은, 수 일 또는 수 주 동안 증발 냉각하는 데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충분한 건조 물질과 이에 상응하는 증발성 액체가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기간 동안에 포함된다. 액체-건조 물질 쌍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Saha 등의 "실리카 겔-물 시스템에 CaCl2를 채용한 차세대 냉각 장치" 열과 물질 전달의 국제 저널, 52: 516-524 (2009)을 참조. 특정 실시형태에서 사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건조 물질을 선택하는 것은 또한, 특정 실시형태에서의 목표 냉각 온도 범위에 좌우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물질은 탄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물질은 염화리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물질은 액체 암모니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물질은 제올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물질은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물질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Dawoud와 Aristove의 "Experimental Study on the Kinetics of Water Vapor Sorption on Selective Water Sorbents, Silica Gel and Alumina Under Typical Operating Conditions of Sorption Heat Pumps" 열과 물질 전달의 국제 저널, 46: 273-281 (2004); Conde-Petit의 "Aqueous Solutions of Litium and Calcium Chlorides: - Property Formulations for Use in Air Conditioning Equipment Design" M. Conde Engineering (2009); "제올라이트/물 냉각 장치" BINE Informationsdienst, projektinfo 16/10; "염화칼슘 안내서: A Guide to Properties, Forms, Storage and Handling" Dow Chemical Company (2003년 8월); "Calcium Chloride, A Guide to Physical Properties"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Form No. 173-01791-0809P&M; 및 Restuccia 등의 "Selective Water Sorbent for Solid Sorption Chiller: Experimental Results and Model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27:284-293 (2004)에서 입수 가능한데, 이들 문헌은 각각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물질은 통상적인 취급 예방 조치 하에서 무독성인 것으로 고려된다. 건조 물질의 선택은 또한, 특정 실시형태에서 요망되는 전체 휴대형 냉각 유닛의 열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물질의 발열 특성에 좌우된다.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는,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157)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160)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153)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150)을 포함한다. 증기 도관(150)의 제1 단부(157)는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된 개구(141)를 갖는다. 증기 도관(150)의 제2 단부(153)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160) 내에 배치된 개구(159)를 갖는다. 증기 도관(150)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140)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증기 제어 유닛(140)이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되도록, 증기 제어 유닛(140)이 증기 도관(150)의 제1 단부(157)에 배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증기 도관은 중공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증기 도관은 관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은,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증기 도관의 중앙 부분은 절연 영역의 내부를 가로지른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은,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증기 도관의 중앙 부분은 절연 영역의 외부 주위를 가로지른다(예를 들어, 도 5와 도 6 참조).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은,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증기 도관의 중앙 부분은 절연 영역의 내부를 가로지를 뿐만 아니라 저장 영역의 내부의 일부분을 가로지른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증기 도관"은, 증기 형태의 증발성 액체를 포함하는, 가스가 도관을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도관을 나타낸다.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증기 도관은, 내부 건조 영역과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서의 증기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은 인접한 유닛들 사이를 가로지르는 관형 구조로서 구성된다. 증기 도관의 크기, 형상 및 배치는, 용기의 크기, 용기에 요망되는 온도 범위, 증기 도관 내에서의 증기 이동의 가역적 제어의 레벨, 및 특정 실시형태에 이용되는 건조 물질 및 증발성 액체의 물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인자들에 좌우될 것이다. 증발 속도는 실시형태의 구성 및 사용 사례에 좌우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는 유선 접속을 통해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증기 제어 유닛 내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는, 예를 들어 온도 또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예를 들어 증기 도관 내에서 저장 용기의 벽 또는 바닥에 부착되거나, 및/또는 건조 영역의 벽 또는 바닥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영역의 목표 온도 범위는 0℃ 내지 10℃이고,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증발성 액체로서 약 1 리터의 액체 물과, 1 리터 이상의 물을 흡수하는 상응하는 체적의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건조 물질을 포함한다.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는, 2003년 8월자, "염화칼슘 안내서, A Guide to Properties, Forms, Storage and Handling" Dow Chemical Company 참조. 한 예로서, 물을 증발성 액체로서 이용하고 염화칼슘을 건조 물질로서 이용하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실시형태의 경우, 휴대형 용기는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즉, 압력이 300 mTorr 이하인) 증기 도관으로 시작되고, 밸브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시간마다 약 1 그램의 물이 증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1 리터의 물과 1.5 kg의 염화칼슘이, 외부 주위 온도가 약 25℃인 약 1개월 동안, 증발 냉각 유닛을 약 6℃ 내지 9℃로 유지할 수 있다. 한 예로서, 물을 증발성 액체로서 이용하고 염화칼슘을 건조 물질로서 이용하는, 휴대형 용기의 몇몇 실시형태의 경우, 증발 영역 내에 포함된 내부 가스-밀봉 영역, 증기 도관 및 건조 영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즉, 압력이 300 mTorr 이하인) 내부로 시작되고, 밸브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시간마다 약 2~5 그램의 물이 증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저장 영역 내에서 적절한 냉각 효과를 야기하기 위해, 가스, 증기 및 액체가 제어된 방식으로 증기 도관을 통해 건조 영역과 증발 영역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휴대형 용기 내에서, 상기 건조 영역,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증기 도관은,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과 함께 밀봉되어 있다.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통한 가스, 증기 및 액체의 유동은 증기 제어 유닛을 통해 제어된다. 상기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해 있는 주위 가스의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가스 압력은, 이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증발성 액체 및 건조제, 요망되는 냉각 온도 및 휴대형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인자들에 좌우된다.
도 1은 증기 도관(150)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140)을 갖는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은,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은,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140)은 증기 도관(150)의 제1 단부(157)에 부착되어 있다. 증기 제어 유닛(140)은, 증발 영역(120)의 내부와 증기 도관(150)의 내부 사이에서의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타입,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147)를 포함한다. 밸브(147)는, 증발 영역(120)과 증기 제어 유닛(140)의 내부 사이에 도관을 제공하는 증기 제어 유닛(140)의 개구(14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증기 도관 내의 밸브는, 증기 도관을 통한, 증기를 포함하는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 유닛은,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에서의 가스의 이송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可動) 밸브로서,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밸브를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밸브를 통한 증기 유동에 대한 제1 위치와,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밸브를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밸브를 통한 증기 유동에 대한 제2 위치를 적어도 갖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가동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가동 밸브로서, 증기 제어 유닛을 통한 증기 유동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제1 위치, 증기 제어 유닛을 통한 증기 유동을 증기 제어 유닛의 직경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치까지 실질적으로 허용하는 제2 위치, 및 증기 제어 유닛을 통한 증기 유동을 제한하는 제3 위치를 적어도 갖는 것인 가동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기계식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게이트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버터플라이 밸브 등과 같은 회전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볼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구형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서로 협력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전자-제어식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밸브는 기계-제어식 밸브를 포함한다.
소정 실시형태에서의 밸브의 선택은, 예를 들어 비용, 중량, 밸브 타입의 밀봉 특성, 밸브 타입의 예상 고장률, 예상 사용 조건 하에서 밸브 타입의 내구성, 및 밸브 타입에 대한 전력 소비 요건 등에 좌우된다. 또한, 소정 실시형태에서의 밸브의 선택은, 밸브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특정 밸브 타입을 통한, 증기 유동을 포함하는 가스 유동의 제한 레벨에 좌우된다. 일부 실시형태는,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장기간(예를 들어, 장치의 보관 중에) 차단한 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어, 버튼 누르기)에 응답하여 가스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배치 및 배향된 온-오프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밸브는 두 가지 가능한 상태, 즉 개방 및 폐쇄 상태를 갖는 수동 밸브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바이메탈 코일 등의 기계식 서모스탯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것과 같은, 기계식 밸브를 구비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전자 제어식 밸브를 구비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밸브(147)에 인접하게 배치된 컨트롤러(143)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컨트롤러에 대해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브는 전자 제어식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밸브의 위치를 바꾸도록 작동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특정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가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작동함으로써, 임계 온도 값보다 높은 온도를 온도 센서로부터 판독한 것에 응답하도록, 컨트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를 폐쇄시키도록 작동함으로써, 임계 온도 값보다 낮은 온도를 온도 센서로부터 판독한 것에 응답하도록, 컨트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를 부분 개방시키도록 작동함으로써, 온도 범위 내의 온도에 응답하도록, 컨트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를 부분 폐쇄시키도록 작동함으로써, 온도 범위 내의 온도에 응답하도록, 컨트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증기 제어 유닛 내의 가스 압력에 따라 특정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압력은 증발성 액체의 증발 속도와 상호 관련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상이한 타입의 컨트롤러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전자 제어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복수의 온도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용하고 수용된 데이터로부터 평균 온도를 결정한 후에 밸브에 의한 동작을 개시하는 전자 제어기이다. 전자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값의 대략 특정 범위로 유계(有界) 또는 임계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예를 들어 대략 3℃ 내지 7℃의 범위로 유계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열전쌍을 포함하는 온도 센서에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뱅뱅" 컨트롤러이다. 전자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의 값의 대략 특정 범위로 피드백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예를 들어 대략 2℃ 내지 8℃의 범위로 피드백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로직 및/또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배터리는 전자 제어기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용기의 외부에 부착된 태양광 패널 등과 같은, 외부 전력원이 전자 제어기에 부착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복수의 온도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용하고 수용된 데이터로부터 평균 온도를 결정한 후에 밸브에 의한 동작을 개시하는 전자 제어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기계식 컨트롤러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밸브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부르동관에 부착되어 있고, 온도 차이와 연관된 증기압의 변화에 응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식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실시형태는, 기계식 커넥터인 밸브와 컨트롤러의 사이에 작동 가능한 연결을 형성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식 커넥터는, 컨트롤러와 밸브의 사이에서 물리적 압력을, 예컨대 하나 이상의 로드(rod) 또는 톱니의 작동 등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된 커넥터일 수 있다.
용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온도 센서는 와이어를 통해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증기 제어 유닛을 작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자 제어기를 구비하는 실시형태에서, 전자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 및/또는 가스 압력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감지된 값이 소정 범위의 밖에 있는지 또는 안에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 결정에 따라, 전자 제어기는 온도 또는 압력을 소정 범위의 값으로 복귀시키도록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자 온도 센서가 9℃에서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 경우, 컨트롤러는, 수신된 온도 데이터가 3℃ 내지 7℃의 소정 범위의 밖에 있는 것으로 결정할 것이다. 이 결정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에 부착된 모터에 신호를 송신할 것이며, 이러한 타입의 신호로 모터가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기동된다. 다른 예로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자 온도 센서가 1℃에서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 경우, 컨트롤러는, 수신된 온도 데이터가 3℃ 내지 7℃의 소정 범위의 밖에 있는 것으로 결정할 것이다. 이 결정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에 부착된 모터에 신호를 송신할 것이며, 이러한 타입의 신호로 모터가 밸브를 폐쇄시키도록 기동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전자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가스 압력 센서로부터 복수의 가스 압력 데이터 포인트를 수용할 수 있고, 이 수용된 데이터로부터 평균 가스 압력, 또는 평균적 가스 압력 등과 같은 가스 압력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그 후에, 전자 제어기는, 상기 가스 압력 결과가 특정 휴대형 냉각 유닛에 대한 소정 가스 압력 범위의 밖에 있는지 또는 안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놓은 범위의 밖에 있는 가스 압력은, 증발성 액체의 증발의 과다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특정 휴대형 냉각 유닛에 대하여 과도한 증발 냉각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놓은 범위의 밖에 있는 가스 압력은, 건조 물질에 의한 흡수 또는 흡착의 결여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건조 물질이 다시 채워지거나 재생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가스 압력 범위는,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건조 영역, 증기 제어 유닛, 도관 및 증발 냉각 유닛의 내부 치수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압력 범위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정의 온도 범위, 건조 물질의 타입 및 증발성 액체의 타입과 관련되어 있다. 참조: Dawoud와 Aristove의 "Experimental Study on the Kinetics of Water Vapor Sorption on Selective Water Sorbents, Silica Gel and Alumina Under Typical Operating Conditions of Sorption Heat Pumps" 열과 물질 전달의 국제 저널, 46: 273-281 (2004); Marquardt의 "진공 물리학의 원리의 입문" CERN Accelerator School (1999); Kozubal 등의 "Desiccant Enhanced Evaporative Air Conditioning (DEVap): Evaluation of a New Concept in Ultra Efficient Air Conditioning" NREL 기술 보고서 NREL/TP-5500-49722 (2011년 1월); Conde-Petit의 "Aqueous Solutions of Litium and Calcium Chlorides: - Property Formulations for Use in Air Conditioning Equipment Design" M. Conde Engineering (2009); "제올라이트/물 냉각 장치" BINE Informationsdienst, projektinfo 16/10; "염화칼슘 안내서: A Guide to Properties, Forms, Storage and Handling" Dow Chemical Company (2003년 8월); "제올라이트 기술의 냉각 시스템에의 도입: Layman’s Report" Dometic project LIFE04 ENV/LU/000829; Rezk와 Al-Dadah의 "Physical and Operating Conditions Effects on Silica Gel/Water Adsorption Chiller Performance" Applied Energy 89: 142-149 (2012); Saha 등의 "실리카 겔-물 시스템에 CaCl2를 채용한 차세대 냉각 장치" 열과 물질 전달의 국제 저널, 52: 516-524 (2009); "제올라이트 분자 체의 입문" UOP Company Brochure 0702 A 2.5; 및 "진공 및 압력 시스템 안내서" Gast Manufacturing, Inc., 이들 문헌 각각은 참조로 인용됨. 수증기를 갖는 진공 라인에서의 압력 손실을 산출하는 식은, GEA Wiegand에서 입수 가능한데, 2013년 3월 13일자 이 회사의 웹 사이트에의 접속 카피(http://produkte.gea-wiegand.de/GEA/GEACategory/139/index_en.html)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증기 제어 유닛(140) 내의 밸브(147)와 컨트롤러(143)의 사이에 연결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컨트롤러(143)와 밸브(147)의 사이에 작동 가능한 연결이 존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바이메탈 코일 등과 같은 기계식 컨트롤러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작동 가능한 연결은, 로드 또는 톱니 등과 같이, 물리적 압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전자 제어기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작동 가능한 연결은,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IR 또는 단파장 무선 전송(예컨대, 블루투스)을 통해, 전자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은 휴대형 용기의 밖에 있는 컨트롤러에서 얻는 정보의 가시적 표시기에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은, 외부 다이얼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데, 이 외부 다이얼은 센서로부터 판독한 온도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는 컨트롤러에 연결된 외부 조명을 포함하며, 컨트롤러는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함께 상기 외부 조명을 켜고 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는 컨트롤러에 연결된 조명을 포함하며, 컨트롤러는 컨트롤러에 부착된 압력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조명을 켜고 끈다. 예를 들어, 증발 냉각 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놓은 범위 내에 있음을, 압력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나타내는 경우(예를 들어, 내부 가스 압력이 미리 정해놓은 허용 가능한 작동 범위 내에 있고, 이에 따라 작동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나타내거나, 또는 내부 가스 압력이 미리 정해놓은 허용 가능한 작동 범위 밖에 있고, 이에 따라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함을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경우), 조명을 켜는 것을 개시하는 회로를 컨트롤러가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증기 도관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예를 들어 증기 도관 내의 센서에 직접 부착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어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부착된 조명, 스크린 디스플레이, e-잉크 디스플레이, 또는 유사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어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휴대형 용기의 내부에 관한 조건을 나타내는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을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휴대형 용기 내의 저장 영역의 내부 온도가 미리 정해놓은 온도 범위 내에 있음을, 온도 센서로부터 수용된 데이터가 나타낼 때, 조명에 대해 전송을 실시하여, 조명을 켜는 것을 개시하도록, 컨트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최근 내부 온도 판독값(들), 또는 밸브의 위치 등과 같은, 휴대형 용기의 조건에 관한 데이터를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도록, 컨트롤러가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누름-버튼, 터치 센서, 또는 키패드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장치는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증기 도관 내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것과 같은 특정 사용 입력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부착된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최근 온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개시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것과 같은 특정 사용 입력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휴대형 용기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켜고 끄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온-오프 또는 차단 스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완전히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차단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스위치는, 휴대형 용기가 미사용시에 수 개월 또는 수 년 등과 같은 장기간에 걸쳐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유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를, 수 주, 수 개월, 또는 수 년 등과 같은 기간 동안, 용기 내의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끄도록 증기 도관이 차단 밸브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해 놓을 수 있다. 사용자가 용기를 필요로 하여, 차단 밸브를 개방하고, 용기 내의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재기동할 때, 사용자는 온-오프 스위치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차단 밸브(155)에 부착된 이진 스위치(151)가 증기 도관(150)에 마련되어 있는데, 이 이진 스위치(151)는 휴대형 용기의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서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온-오프 스위치는,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 및 증기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도록 배치된 밸브에 부착되는 기계식 나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온-오프 스위치는,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 및 증기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도록 배치된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되는 가역적으로 누를 수 있는 버튼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차단 밸브는 전자 온-오프 스위치에 연결된다.
도 2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의 실시형태의 외관을 보여준다. 휴대형 용기(10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형 용기(100)의 실시형태는,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건조 영역 벽(165)을 포함한다. 절연 바닥(137)은 휴대형 용기(100)의 하부면을 형성한다. 절연 벽(135)이 건조 영역 벽(165) 위로 돌출하여, 절연 벽(135)도 또한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면을 형성한다. 외부 에지(220)는 절연 벽(135)을 건조 영역 벽(165)과 연결하는 것으로 보인다. 휴대형 용기(100)는 외부 절연 벽(135)과 내부 저장 용기 벽(115)의 사이에 상측 에지(132)를 포함한다. 저장 영역(110)이 휴대형 용기(100) 안의 중앙에 배치되고, 저장 영역(110)의 측면은 내부 저장 용기 벽(115)에 의해 형성된다. 이진 온-오프 스위치(151)가 휴대형 용기(100)의 상측 에지(132) 상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휴대형 용기(100)에는 덮개(200)가 도시되어 있다. 덮개(200)는, 휴대형 용기의 본체의 상면과 가역적으로 정합하고 휴대형 용기의 본체의 개구(105)를 덮는 크기 및 형상의 바닥면(21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덮개는 저장 용기의 절연 영역의 절연과 더불어 저장 영역으로의 열전달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절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덮개는 저장 용기의 접근 개구의 상측 에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의 바닥 대향 돌출부와, 저장 용기의 벽의 상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인접 릿지 섹션을 포함한다. 덮개(200)는 상면(2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40)이 덮개(200)의 상면(230)에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어 휴대형 용기 내의 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컨트롤러는 온도 센서에 연결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어 저장 영역에 부착된 센서로부터 판독한 온도 등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컨트롤러에 "온" 신호와 "오프"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사용자에 대한 휴대성을 개선하는 크기 및 형상의 핸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충격-완충 범퍼 또는 에지 커버 등과 같이, 내구성을 개선하는 외부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3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의 일 실시형태의 양태를 보여준다. 이 실시형태는, 저장 용기 바닥(117)에 밀봉되며, 상측 접근 개구(105)를 갖는 저장 영역(110)의 측면 및 저부를 형성하는 저장 용기 벽(115)을 포함한다. 저장 영역(110)의 저장 용기 벽(125)과 저장 용기 바닥(117)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증발 영역 벽(125)과 바닥(127)이 상응하게 배치되어, 가스-밀봉형 및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을 저장 용기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형성한다. 증발성 액체(123)와 저장 용기 벽(115)의 표면 영역의 접촉을 최대화하는 윅 구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증발 영역 내에 증발성 액체(123)가 배치된다.
도 3의 실시형태에서, 절연 벽(135) 및 절연 바닥(137)은, 저장 용기 벽(115) 및 저장 용기 바닥(117) 뿐만 아니라 증발 영역 벽(125) 및 증발 영역 바닥(127)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증발 영역 벽(125)과 증발 영역 바닥(127)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저장 용기 벽(115)의 상측 에지에 대해 가스-불투과 및 증기-불투과 시일로 밀봉되어, 가스-밀봉형 절연 영역(130)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130)은 휴대형 용기(100)의 예상되는 사용 중에 저장 영역(110)을 충분히 절연시키는 크기, 내부 가스 압력 및 두께의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의 실시형태는, 절연 벽(135)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건조 벽(165)을 포함한다. 건조 벽(165)은, 휴대형 용기(100)의 예상되는 사용 중에, 건조 영역(160) 내의 건조 물질의 발열 화학 반응에서 예상되는 열을 복사하기에 충분한 표면 영역을 갖는,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건조 영역(160)은,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에 인접하고, 건조 영역(160) 및 그 건조 물질로부터의 최대 열손실을 허용하도록 배치된, 휴대형 용기(100) 내의 가스-밀봉형 및 증기-밀봉형 영역이다.
도 3은 또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가,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157)와 건조 영역(160)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159)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15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증기 도관(150)의 내부와, 증발 영역(120)의 내부, 그리고 건조 영역(160)의 내부는 서로에 대해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되어 용기 내에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형성한다. 증기 도관(150)은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된 제1 단부(157)에서 단일 개구(141)를 포함한다. 증기 도관(150)은 건조 영역(160) 내에 배치된 제2 단부(153)에서 단일 개구(159)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150)은 절연 영역(130) 내에 배치된 중간 섹션을 포함하지만, 증기 도관(150)의 내부와 절연 영역(130)의 내부는 증기 도관(150)의 가스-불투과 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증기 도관(150)은, 증기 도관(150)의 길이를 따라서 중앙 위치에 배치된 증기 제어 유닛(140)을 포함한다. 증기 제어 유닛(140)은, 증기 도관(150)을 통한 가스 유동을 가역적으로 완전히 억제하고, 컨트롤러(14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개폐함으로써 증기 도관(150)을 통한 가스 유동을 점증적으로 제어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147)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온도 센서(300)는 저장 용기 벽(115)에 부착되고, 온도 센서(300)는 컨트롤러(143)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미리 정해놓은 값보다 높은 신호를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완전 개방 또는 부분 개방하기 위한 신호를 밸브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미리 정해놓은 값보다 낮은 신호를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완전 폐쇄 또는 부분 폐쇄하기 위한 신호를 밸브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밸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유선 접속을 통해 작동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밸브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에 무선 접속을 통해 작동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저장 영역(110)의 온도를 평가하는 위치에서, 온도 센서(300)가 저장 용기 벽(115)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증발 영역 내에 있고 저장 영역에 인접한 위치에서, 온도 센서가 저장 용기 벽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형태는, 증발 영역, 증기 도관, 및/또는 건조 영역 중의 하나 이상 내에 배치된 압력 센서로서, 증기 제어 유닛 내의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온도 센서인 센서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기계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전자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실시형태는, 열전쌍, 바이메탈 온도 센서, 적외선 온도계, 저항 온도계, 또는 실리콘 밴드갭 온도 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온도 센서인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가스 압력 센서인 센서를 포함한다. 가스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부르동관 등과 같은 기계식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압력 센서는, 모세관을 갖는 팽창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전자식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실시형태는 진공 센서인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기를 사용하기 전에, 증기 도관의 내부는 실질적으로 진공되하거나 또는 대기압에 비해 낮은 가스 압력으로 배기될 수 있고, 그 후에 증발성 액체에서의 증발 동안에 진공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는, 증발의 속도 또는 용기 내에서의 증발성 액체의 전체 증발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스 압력 센서는 압전저항 스트레인 게이지, 용량성 가스 압력 센서, 또는 전자기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압력 센서는 커패시턴스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상황에서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저장 영역의 예상 사용보다 낮은 주위 온도를 갖는 위치에 보관될 수 있고, 저장 용기 벽 및/또는 바닥은 사용 전에 적절한 최저 온도로 가열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형 용기는 겨울(예를 들어, 주위 온도가 -5℃ 내지 -10℃) 동안에는 비난방 보관 빌딩에 보관되면서, 휴대형 용기는 저장 영역이 2℃ 내지 8℃의 범위에 있는 상태로 교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휴대형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온도 센서 및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또한 증기 제어 유닛에 부착될 수 있다. 본원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휴대형 용기는, 건조 영역 내의 건조제를 가열하여 증발성 액체를 증기 형태로 다시 증기 도관을 통해 증발 영역으로 방출하는 것 등을 통해, 충전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열은,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건조제 및 증발성 액체에 따라, 소정의 기간 동안에 소정의 온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본원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외부 충전 장치가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온도 센서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그리고 온도 센서 및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충전이 보장될 때, 소정 시퀀스의 이벤트를 활성화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충전 시퀀스의 이벤트를 활성화하도록, 터치 스크린 또는 스위치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부착되어 응답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충전 시퀀스를 개시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시퀀스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가 가열 요소에 활성화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온도 정보를 갖는 신호를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또한,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 데이터에 응답하여, 다른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신호를 가열 요소에 송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경고등 또는 디스플레이를 켜는 타입의 신호 등과 같은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로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로서, 접근 개구가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저장 용기, 접근 개구가 상기 내부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저장 용기로서,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내부 저장 용기에 밀봉되어 있는 것인 외부 저장 용기, 및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건조 섹션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면과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이고 상기 저장 용기의 접근 개구를 넘어 연장되는 크기 및 형상인 내부면을 갖는 절연 유닛, 상기 절연 유닛을 둘러싸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절연 유닛의 외부에 건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연 유닛의 외부에 증기-불투과 시일로 밀봉되어 있는 것인 건조 영역 벽, 및 상기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건조 영역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건조 영역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을 포함하는 건조 섹션; 및 중앙 증기 도관 섹션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1 단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2 단부, 및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증기 도관의 커넥터 섹션으로서, 상기 제1 단부를 상기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도관은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증발 섹션, 상기 건조 섹션 및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각각,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통합 휴대형 용기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에 감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도 4는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양태를 도시한다.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내부 양태를 도시하기 위해, 상기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는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일단 조립되면,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의 중앙 영역에서, 일체형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400)는, 내부 저장 용기(405)의 상측 영역에 접근 개구(105)가 배치되어 있는 내부 저장 용기(405)를 포함한다. 내부 저장 용기(405)는 실질적으로 저장 영역(110)의 외부를 형성한다. 일체형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400)는 또한, 내부 저장 용기(405)의 상측 영역에 접근 개구가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저장 용기(407)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내부 및 외부 저장 용기에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사람의 손이 내부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한다. 외부 저장 용기(407)는, 내부 저장 용기(405)와 외부 저장 용기(407)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을 형성하도록, 접근 개구(105)에 인접한 위치에서 내부 저장 용기(405)에 밀봉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가스-불투과 시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갭을 포함한다. 증발성 액체(123)가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발 영역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일단 용기가 조립되면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또한,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 내에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423)이 배치되며, 이 증발 섹션(423)은,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저장 용기(400)의 외부에 있는 개구(429)를 갖는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저장 용기의 사이에 가스-불투과 시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의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 참조.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은 증발성 액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140)은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된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423)의 제1 단부(157)에 부착되어 있다. 증기 제어 유닛(140)은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에 대한 개구(141)와, 이 개구(141)에 인접하게 배치된 밸브(147)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147)는, 개구(141)를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타입 및 위치의 것이다. 컨트롤러(143)가 상기 밸브(147)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저장 용기(400)의 증발 영역은 내부 저장 용기(405)와 외부 저장 용기(407)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갭을 포함하고, 증기 제어 유닛(140)과 증발 섹션(423)의 제1 단부는 상기 갭 내에 배치된다. 가스-불투과 시일이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423)의 단부를 둘러싸는데, 이 단부에서 상기 시일은 저장 용기(400)의 벽을 가로지른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저장 용기(400)의 외부면과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이고 저장 용기(400)의 접근 개구(105)를 넘어 연장되는 크기 및 형상인 내부면(415)을 갖는 절연 유닛을 구비하는, 건조 섹션(410)을 포함한다. 절연 유닛은 외벽(135) 및 바닥(137) 뿐만 아니라, 저장 용기(400)의 외부면과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의 내부면(415)을 포함한다. 상기 벽들과 바닥은 각각의 에지에서 가스-불투과 시일로 서로에 대해 밀봉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외벽(135)의 상측 에지와 내벽의 상측 에지의 사이에 있는 시일에 포함되는 상측 에지(132)가 마련되어 있다. 외벽(135) 및 바닥(137)과 내벽 사이의 갭이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130)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특정 사용 사례에서 증발 영역과 건조 영역 사이의 열전달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열적 특성을 갖는 절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서 그 두께를 가로질러 예상되는 열전달이 약 2 와트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서 그 두께를 가로질러 예상되는 열전달이 0.5 내지 2.5 와트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서 그 두께를 가로질러 예상되는 열전달이 1.5 내지 5.5 와트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영역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에서 그 두께를 가로질러 예상되는 열전달이 0.5 내지 6 와트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유닛의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유닛의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절연 유닛의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섹션(410)은, 절연 유닛을 둘러싸는 건조 영역 벽(165)으로서, 절연 유닛의 외부에 건조 영역(160)을 형성하도록 절연 유닛의 외부에 증기-불투과 시일로 밀봉되는 것인 건조 영역 벽(165)과, 건조 영역(130) 내에 배치된 제1 단부 및 건조 영역(130)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건조 영역(13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427)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섹션은, 저장 용기의 사용 중에 건조 영역 내의 건조 물질의 발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해, 절연 벽(135)의 외주를 완전히 둘러싼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또한, 중앙 증기 도관 커넥터 섹션(420)으로서,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423)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제1 단부 및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427)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부를 상기 증발 섹션(423)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건조 섹션(427)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커넥터 섹션(42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중앙 증기 도관 커넥터 섹션(420)은 건조 섹션(427)과 증발 섹션(423)을 연결하는 크기 및 형상의 것이다.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가 최종 조립체에서 서로 밀봉되는 경우, 상기 증기 도관은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증발 섹션(423), 상기 건조 섹션(427) 및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420)은 각각,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통합 휴대형 용기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에 감합하는 크기 및 형상의 것이다. 조립된 저장 용기는, 용기를 사용하는 동안에 저장 영역을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하도록 저장 영역의 냉각이 조정된다. 예를 들어, 도 5 참조.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은 용기의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고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에 작동적으로 부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은 중앙 증기 도관 커넥터 섹션에 작동적으로 부착된다. 일부 실시형태는 또한, 사용자에 대한 접근성을 위해 배치된, 예를 들어 중앙 증기 도관 커넥터 섹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밸브 제어부 및 차단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중앙 증기 도관 커넥터 섹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구비하는 중앙 증기 도관 커넥터 섹션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는, 접근 개구에 인접한 휴대형 용기의 에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의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는, 사용 중에 절연 섹션 내의 절연을 병행하면서, 용기의 저장 영역을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절연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덮개의 외향면에 부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는,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저장 용기 벽 또는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온도 센서, 증기 제어 유닛 및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저장 용기의 저장 영역이 용기의 사용 범위 아래로 떨어졌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후에, 가열 요소에 활성화 신호를 송신하도록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된 휴대형 용기의 사용 사례보다 주위 온도가 낮은 곳에, 용기가 보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는,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건조 섹션에 부착된 온도 센서; 건조 섹션에 부착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증기 제어 유닛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부착된다.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사전 설정된 충전 시퀀스를 개시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가열 요소로부터 수신된 신호(예컨대, "주의: 고온" 경고)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신호를 개시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조립 방법은: 저장 용기의 외부면이 절연 유닛 내에 배치되고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 및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가 서로 정렬되도록,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내부 절연 유닛 및 외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는 건조 섹션과 상기 건조 섹션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 내에 배치하는 단계;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고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 섹션 및 상기 건조 섹션에 인접하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건조 섹션, 그리고 연결된 증기 도관 섹션들 내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진공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는 제 위치에 감합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를 단면도로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저장 용기(400)는, 이중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섹션(410)에 감합되고 있다. 저장 용기(400)의 외부면은, 건조 섹션(410)의 내벽의 내부면(415)과 접촉하고 있다. 절연 영역(130)에 인접한 벽의 상측 에지(132)는, 저장 용기(400)의 개구(105)의 상측과 저장 용기(400)의 상측 에지의 위에 있다. 중앙 증기 도관 커넥터 섹션(420)이 건조 섹션(410)의 절연 영역(130)의 벽의 상측 에지(132) 위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증기 도관 커넥터 섹션(420)의 각 단부는,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427) 및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423)의 노출된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건조 물질이 건조 영역(160) 내에 존재한다. 증발성 액체가 증발 영역(120) 내에 존재한다. 조립 중에, 섹션들은 적절하게 서로 감합되고 밀봉된다. 또한 조립 중에, 상기 저장 용기의 증발 영역과, 건조 섹션, 그리고 연결된 증기 도관 섹션들 내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의 내부는, 상기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의 부분 가스 압력이 특정 증발성 액체/건조제의 조합 및 용기의 사용 사례에 필요한 만큼인 포인트까지 진공화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저장 용기를 건조 섹션 내에 완전히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용기의 저장 영역이 중앙에 있도록 상기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저장 용기가 저장 영역을 둘러싸고, 절연 유닛이 저장 용기를 둘러싸며, 건조 영역이 저장 용기의 외부를 둘러싸게 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는, 저장 용기의 외부 상면과 건조 섹션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건조 섹션, 그리고 연결된 증기 도관 섹션들 내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진공화하는 단계는: 내부 공간을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으로 진공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냉각 시스템의 내부 공간의 내부 가스 압력이, 사용된 건조제 및 증발성 액체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형태에 따른 양에 대한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 증발 냉각 시스템이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밀봉하기 전에, 증발성 액체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밀봉하기 전에, 건조제를 외부 건조 영역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 사례에서 공조하도록 선택된 증발성 액체와 건조제를, 상기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 내의 가스 압력을 감소시키기 전에, 저장 용기의 각각의 영역에 넣을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를 단면도로 보여주는 것으로, 여기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는 필요에 따라 사용을 위해 감합되고 함께 밀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스-불투과 및 증기-불투과 시일(510)이, 중앙 증기 도관(420)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423) 사이의 접합부에 배치된다. 가스-불투과 및 증기-불투과 시일(500)이, 중앙 증기 도관(420)의 제2 단부와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427) 사이의 접합부에 배치된다. 건조 섹션(160)의 내부,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427)의 내부, 중앙 증기 도관(420)의 내부,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423)의 내부, 증기 제어 유닛(140)의 내부 및 증발 섹션(120)의 내부는, 저장 용기 내에 인접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저장 용기 내의 인접 내부 공간은, 사용 사례와,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사용되는 건조제 및 증발성 액체에 적합한 압력으로 진공화된다.
도 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기능성 휴대형 용기로 조립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일 실시형태를 단면도로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내부 용기(405)의 측벽에 부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영역의 내부면에 인접하게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증발 영역 내에서, 내부 용기의 면에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센서는 증기 제어 유닛 내의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부착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센서는 컨트롤러에 유선 접속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센서는 컨트롤러에 무선 접속을 통해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도 7은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조립 방법의 양태들을 보여준다. 블록 700은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조립 방법을 보여준다. 블록 710은, 저장 용기의 외부면이 절연 유닛 내에 배치되고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 및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가 서로 정렬되도록,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내부 절연 유닛 및 외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는 건조 섹션과 상기 건조 섹션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 내에 배치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블록 720은,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고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 섹션 및 상기 건조 섹션에 인접하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를 보여준다. 블록 730은,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블록 740은,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블록 750은,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건조 섹션, 그리고 연결된 증기 도관 섹션들 내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진공화하는 단계를 보여준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절연 저장 구획으로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의 내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저장 용기의 외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상기 외부는 상기 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와 내부 사이에 갭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상기 내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외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사이에 있는 시일로서, 이들 벽 사이에 가스-불투과 갭을 형성하는 것인 시일을 포함하는 절연 저장 구획; 및 상기 절연 저장 구획에 매칭되는 크기 및 형상의 덮개로서, 덮개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상기 바닥과 측면은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덮개의 천장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덮개의 천장은 덮개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덮개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배치되는 증발 구획으로서, 내부 증발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바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증발 구획, 덮개의 천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있는 건조 구획으로서, 내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천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건조 구획, 및 제1 단부에서 상기 증발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고 제2 단부에서 상기 건조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건조 영역과 상기 증기 도관의 조합으로, 덮개 내에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인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도 8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양태를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휴대형 용기는 내부 특징부를 보여주도록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휴대형 용기(100)는 절연 저장 구획(800)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저장 구획(800)은 접근 개구(105)를 갖는 저장 용기의 내부(110)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벽들(803)을 구비한다. 내부(110)는, 용기의 외부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고 저장 영역의 내부 온도를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절연을 갖는 저장 영역을 형성한다. 절연 저장 구획(800)은 또한, 저장 용기의 외부의 측면과 바닥을 형성하는 벽(807)을 포함한다. 저장 용기의 외부벽(807)은 내부벽(803)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 인접 배치된다. 외부벽(807)과 내부벽(803)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상측 에지(132)가 제1 에지에서 내부벽(803)에 그리고 제2 에지에서 외부벽(807)에 밀봉된다. 내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하나의 벽(803)과 외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벽(807) 사이에는, 이들 벽 사이에 가스-불투과 갭을 형성하는 시일이 존재한다. 가스-밀봉형 절연 영역(130)이 상기 내부벽(803)과 외부벽(807) 사이의 갭에 포함된다. 절연 영역(130)은, 예상되는 사용 사례 동안에 저장 영역(110)을 덮개(200)와 함께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절연 특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저장 구획의 상부에 배치된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절연 저장 구획(800)은, 저장 구획의 상부에 배치된 단일 접근 개구(10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접근 개구는, 사람이 저장 용기 안에 손을 넣고 백신 바이알 등과 같은 의약품 용기를 꺼내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절연 저장 구획은,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모두 원통형이며 대응하는 비율로 이루어진, 내부벽과 외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 및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절연 저장 구획은,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직사각형 구조로서 제조될 수 있다. 라운딩된 에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한 용기의 휴대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봉사 활동의 기간 동안 의약품을 운반하는 크기 및 형상의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절연 저장 구획은, 2L 저장 체적 등과 같은 충분한 의약품을 운반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절연 영역의 절연 특성은, 예상 기간이 예를 들어 48시간 등이고 예상 주위 온도가 예를 들어 35~45℃ 등인 봉사 활동 동안에, 2~8℃ 등과 같은 소정 온도 범위로 저장 영역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실시형태는,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하는,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또한, 절연 저장 구획(800)에 매칭되는 크기 및 형상의 덮개(20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200)는, 덮개(200)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벽(210)으로서, 상기 바닥과 측면은 상기 접근 개구(105)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의 것인 벽을 포함한다. 도 8에서는, 예시를 목적으로 내부벽(803)의 측면들과 덮개의 벽(210) 사이에 공간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상적으로는 상기 벽(210)과 내부벽(803) 사이의 공간은 열 유출을 줄이도록 최소화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는, 상기 벽(210)과 내부벽(803) 사이의 공간에 절연 물질을, 예를 들어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200)는 또한, 덮개의 천장을 형성하는 벽(230)을 포함하고, 이 덮개의 천장은 덮개(200)의 측면에 부착된다. 덮개(200)는 덮개(200) 내에 배치된 증발 구획을 포함한다. 증발 구획은 덮개(200) 내에서 덮개(200)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 배향되며, 증발 구획은 내부 증발 영역(120)을 구비하고, 덮개(200)의 바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815)를 구비한다. 증발 구획은 덮개(200) 내에서 저장 영역(110)에 인접한 위치에 배향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덮개는,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증발 구획을 구비한다.
도 8의 실시형태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덮개(100)는, 덮개(200)의 천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200) 내에 있는 건조 구획으로서, 내부 건조 영역(160)을 구비하는 것인 건조 구획을 포함한다. 덮개 내의 건조 구획은 또한, 덮개(200)의 천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82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덮개 내의 건조 구획은, 덮개 내의 건조 물질의 발열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열이, 덮개의 상면에 인접한 영역으로 복사되는 것을 최대화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덮개는 덮개 내의 건조 구획의 외부에 있는 위치에서 덮개 상에 배치되는, 핀(fin) 또는 팬 등과 같은 복사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내부 건조 영역을 포함하는 건조 구획은, 건조 물질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제1 단부에서 증발 구획에 있는 개구(815)에 부착되어 있고 제2 단부에서 건조 구획에 있는 개구(825)에 부착되어 있는 증기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도관, 상기 증발 영역(120) 및 상기 건조 영역(160)과 상기 증기 도관의 조합으로, 덮개(200) 내에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 영역이 형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820)은 증기 도관을 둘러싸는 가스-밀봉 영역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은 증기 제어 유닛(14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147);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14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은, 온도 센서(300);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147);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14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덮개는 또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밸브는 이진 개방/폐쇄 밸브일 수 있고, 스위치는 용기의 사용자의 제어 하에 밸브를 가역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덮개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은, 용기의 사용, 내부 온도, 및/또는 증기 도관 내의 밸브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도관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최저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온도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에 활성화 또는 "켜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최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온도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에 비활성화 또는 "끄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덮개 내의 상기 건조 구획에 부착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증기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특정 휴대형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루틴을 갖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 상기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저장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영역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의 내부면과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휴대형 용기용 덮개로서,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을 구비하고, 저장 용기에 대하여 가역적인 접근을 허용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덮개;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덮개의 굴곡 가능한 섹션과 정렬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도 9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의 양태를 보여준다.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휴대형 용기의 내부 특징부를 보여주도록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휴대형 용기(100)는, 접근 개구(105)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저장 용기 벽(115)을 포함한다. 휴대형 용기(100)는, 저장 용기 벽(115)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저장 영역(110)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130)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면에 부착되는 절연 벽(135)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장 용기는, 저장 용기의 상부에 배치된 단일 접근 개구(10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장 용기는,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105)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105)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 및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장 용기는, 봉사 활동의 기간 동안 의약품을 운반하는 크기 및 형상의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절연 벽(135)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절연 벽(135)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160)을 형성하는 건조 영역 벽(165)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영역 벽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 수직 측면을 둘러싸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영역 벽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한다.
도 9는 저장 용기 벽(115)의 내부면과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의 휴대형 용기(100)용 덮개(200)를 포함하는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덮개(200)는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120)을 포함한다. 덮개는 휴대형 용기(100)의 저장 영역(110)에 대하여 가역적인 접근을 허용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굴곡 가능한 섹션(90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덮개의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은 용기의 저장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덮개의 증발 구획은, 휴대형 용기 내의 저장 영역의 최대 증발 냉각을 허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의 증발 구획에 인접한 덮개의 하면이 휴대형 용기 내의 저장 영역에 인접하도록, 덮개의 증발 구획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덮개(200)의 바닥면(210)은 용기(100) 내의 저장 영역(1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덮개의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덮개(200) 내의 증발 구획(120)은, 증발성 액체의 상단 위의 공간뿐만 아니라 증발성 액체를 포함한다. 증발성 액체는 증발 구획 내의 윅 구조 내에 분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증발성 액체와 저장 용기 벽의 접촉이 증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용기(100)의 일부 실시형태는,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157)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160)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153)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150)을 포함한다. 증기 도관(150)은 덮개(200)의 굴곡 가능한 섹션(900)과 정렬된 굴곡 가능한 섹션(900)을 포함한다. 증기 제어 유닛(140)이 증기 도관(150)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도관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의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140)은, 증기 도관(150)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147)와, 상기 밸브(147)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14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증기 제어 유닛(140)은, 저장 용기(100)에 부착된 온도 센서(300); 증기 도관(150)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147); 및 상기 밸브(147)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14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덮개에 부착된다.
휴대형 용기 내의 증발 냉각 시스템은,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를 복수 회 재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전, 수리 또는 재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적어도 100회(예를 들어, 사이클) 충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제조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적어도 150회(예를 들어, 사이클) 충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제조되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적어도 200회(예를 들어, 사이클) 충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제조되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평균 매달 적어도 하루 동안 사용되고 적어도 5년 동안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평균 매달 적어도 하루 동안 사용되고 적어도 10년 동안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기가 증기 도관을 통과할 때, 초기에 증발 영역에 존재하는 증발성 액체의 질량의 일부가, 건조 영역의 내부로 이동될 것이다. 따라서, 휴대형 용기는 용기의 기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증발성 액체를 건조 영역으로부터 증기 도관을 통해 충전하는 것을 주기적으로 필요로 할 것이다. 증발 영역, 증기 도관 및 건조 영역의 내부는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 연속 영역이므로, 증발성 액체는 시스템을 충전하도록 증발 영역에 증기로서 복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는 일체형 내부 충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휴대형 용기를 충전하는 데, 예를 들어 외부 충전 장치 등으로부터의, 외부 열에 의존한다.
충전 시스템은 건조제 또는 증발성 액체의 교체 없이도 휴대형 용기의 사용 수명에 걸쳐 여러 번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휴대형 용기가 매달 충전되고 10년 동안 운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용기는 적어도 120회(10년 동안 매년 12회) 재사용을 위해 충전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용기의 형태에서 건조제 및 증발성 액체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형 용기가 격주로 충전되고 5년 동안 운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용기는 적어도 130회(5년 동안 매년 26회) 재사용을 위해 충전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용기의 형태에서 건조제 및 증발성 액체를 포함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는 건조제 또는 증발성 액체의 교체 없이도 용기의 다년간의 사용에 걸쳐 적어도 200회 충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프레임;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으로서, 공기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내부면을 향하게 하도록 배향되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로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 양자 모두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에 충전 장치가 일체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충전 장치는: 건조 영역의 내부 내에 배치된 가열 요소로서, 건조 영역의 내부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도록 배치된 것인 가열 요소;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건조 영역의 내에 배치된 가열 요소는 전기 가열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충전 장치는: 휴대형 용기의 건조 영역의 벽의 외부면에 부착된 가열 요소;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건조 영역의 벽의 외부면에 부착된 가열 요소는, 전기 가열 요소를 둘러싸는 세라믹 박막 등과 같은, 벽의 외부에 부착된 박막 코팅 내에 매설된 전기 가열 요소일 수 있다.
충전 장치의 컨트롤러는, 주위 온도, 증발 영역에 현재 존재하는 증발성 액체의 온도,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등을 비롯한,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인자들에 기초하여, 시스템에 대한 충전 사이클을 활성화한다. 충전 동안에, 충전 장치의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의 가열을 개시한다. 가열 유닛은 미리 정해놓은 기간 동안 소정 온도로 활성화된다. 가열 유닛에 대한 시간 및 온도 설정은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용기에 존재하는 건조제 및 증발성 액체의 타입과, 용기의 건조 영역, 증기 도관 및 증발 영역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열 유닛은 충전 사이클 중에 적어도 30분 동안 300℃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열 유닛은 충전 사이클 중에 적어도 60분 동안 250℃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열 유닛은 충전 사이클 중에 소정 기간 동안 250 내지 300℃의 온도 범위로 유지된다. 가열 유닛이 고온인 시간 동안, 건조 영역 내의 건조제와 관련된 증발성 액체는 증기로 변화된다. 증기는 증기 도관을 통과하고, 용기의 상대적으로 저온인 내부 증발 영역 내에서 응축된다. 가열 유닛이 꺼진 후, 건조 영역은, 예를 들어 복사 냉각을 통해 냉각될 수 있고, 충전 사이클이 완료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건조 영역 내의 가스 압력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개방하도록 구성된 일방향 분출 밸브를 포함한다.
도 10은 장치의 내부 특징부를 도시하도록 단면도로 도시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의 양태를 보여준다. 충전 장치(1000)는, 도면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가 충전 장치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인 프레임(1060)을 포함한다. 휴대형 용기(100)는 그 통상의 사용 위치에서 뒤집힌 위치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접근 개구(105)는 휴대형 용기(100)의 하면에 배치되고, 증기 도관의 제1 단부(157)는 중앙 저장 영역(110) 위에 배치된다. 증발 영역(120)은 중앙 저장 영역(110)으로부터 벽(115)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휴대형 용기(100)의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의 사용 중에, 증발 영역(120) 내에 배치된 증발성 액체(123)는 부피가 감소되고, 그 결과 증발 영역(120)의 내부는 장치의 외부에 인접한 주위 상황에 비해 가스 압력이 감소된 상당한 부피의 빈 공간을 포함한다. 휴대형 용기(100)의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이 완전히 "충전"되거나 또는 최대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보다 적은 증발성 액체(123)가 증발 영역(120)의 내부에 포함된다(예를 들어, 도 1, 도 3 및 도 4~도 6 참조). 증발 영역(120) 내에 남아 있는 증발성 액체(123)는 증발 영역(120)의 하부로 떨어진다. 휴대형 용기(100)는 증발 영역(120)을 둘러싸는 절연 영역(130)을 포함한다. 건조 영역(160)은 휴대형 용기(100)의 측면들의 외부면을 따라 배치되어, 건조 영역(160)의 외벽(165)이 휴대형 용기(100)의 외벽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충전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의 외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충전 유닛의 상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서,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바닥 영역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충전 유닛의 하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서,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천장 영역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100)용 충전 장치(1000)는, 프레임(1060)을 둘러싸는 절연부(1040)를 포함한다. 개구(1010)가 충전 장치(1000)의 상면 내에 배치되고, 개구(1010)는 휴대형 용기(100)의 절연 영역(130)의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개구는, 휴대형 용기(100)의 표면 주위에서 도 10에 점선 화설표로 도시된 공기 유동을 허용하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는, 프레임의 표면과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밀봉 개스킷(1045)은 충전 장치(1000)의 측면 주위에서 개구(1010)를 통한 공기 유동을 최소화한다.
충전 장치(1000)는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유닛(1005)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열 유닛(1005)은 휴대형 용기(100)의 건조 영역(160)의 외부벽(165)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열 유닛은 건조 영역의 외부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결과 예를 들어 가열 유닛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열 유닛의 외부와 휴대형 용기의 외부 사이에 갭을 두고서, 가열 유닛이 건조 영역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데, 이 갭은 충전 장치 내에 캐비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가열 유닛의 표면, 휴대형 용기의 표면 및 충전 장치의 내부 사이에 있는 캐비티에 형성된, 가열 챔버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가열 유닛(1005)은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벽(165)으로부터 갭(1015)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열 요소는: 복사 가열 요소; 상기 복사 가열 요소와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벽 사이에 배치되는 캐비티; 및 공기를 상기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0은 복사 가열 요소(1005)을 구비하는 충전 장치(1000)를 도시한다. 복사 가열 요소는, 예를 들어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015)가 상기 고정된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벽(165)과 가열 요소(1005)의 사이에 배치된다. 팬(1035)이 충전 장치의 프레임(1060)에 부착되고, 팬(1035)은 캐비티(1015) 내의 공기를 상기 고정된 휴대형 용기(100)의 벽(165)으로 (예를 들어, 도 10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열 요소는, 충전 유닛이 사용되고 있을 때, 휴대형 용기의 표면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도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저장 영역 내의 공기 흐름을 증가시키도록 배치되는 팬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프레임(1060)에 고정된 중공관을 형성하는 벽(1030)에 부착되는 팬(1020)을 포함한다. 벽(1030)은, 충전 장치(1000)의 외측 에지에 개구(1045)를 갖는 중공관 구조를 형성한다. 벽(1030)에 의해 형성된 중공관 구조의 내부 공간(1025)은, 해당 팬(1020)을 통해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된) 공기 유동을 충전 장치(1000)에 고정된 휴대형 용기(100)의 내부 저장 영역(110)으로 향하게 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가열 유닛(1005) 뿐만 아니라 팬(1035)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107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가 가열 유닛과 팬 양자 모두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는 구성되어 있고 가열 유닛과 팬 양자 모두에 부착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팬과 가열 유닛에 유선 커넥터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팬과 가열 유닛에 무선 커넥터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을 미리 정해놓은 일정대로 켜고 끄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충전 장치의 실시형태는,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부착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프레임(1060)에 부착된 온도 센서(1075)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1075)는 캐비티(1015)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1075)는 컨트롤러(107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을 켜고 끄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소정 온도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후에, 가열 유닛을 끄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온도는, 특정 구성의 휴대형 용기를 충전하는 소정 온도에 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형 용기의 일부 실시형태는, 건조 영역의 외부에 있는 벽이 250℃ 내지 300℃ 범위의 온도에 노출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충전 장치의 일부 실시형태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는, 장치가 고온이라는 주의 경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외부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는, 충전 장치의 온도 센서가 소정 온도(예를 들어, 100℃)보다 높을 때, 적색광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는, 온도 판독값 또는 경고(예를 들어, "주의, 고온") 등과 같은 문자 또는 수치 지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장치의 일부 실시형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는, 컨트롤러를 통해 가열 유닛의 작동을 지시하는 온도 및 시간 범위를 사용자로부터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또한, 프레임(1060)에 부착된 스탠드(1050)를 포함한다. 스탠드(1050)는, 벽(1030)에 의해 형성된 중공관 구조의 내부 공간(1025)의 개구(1045)를 포함하여 충전 장치의 바닥 주위의 공기 유동을 향상시키도록 배치 및 배향되어 있다. 스탠드(1050)는, 스탠드(1050)의 외부 주위에 일련의 공기 유동 개구(1053)를 포함한다. 스탠드(1050)는, 충전 장치(1000)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는 다리부(1057)를 통해 높여져 있고, 또한 충전 장치(1000)의 하면 주위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11은 충전 장치(1000)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형태는 3쌍의 내벽(1100)과 외벽(1110)을 포함한다. 벽의 쌍은 각각 충전 장치의 외부의 둘레의 약 1/3에 걸쳐 있다. 도 11에서 보면, 내벽(1100)과 외벽(1110)의 쌍이 바깥쪽으로 접히는 것을 허용하도록, 3쌍의 내벽(1100)과 외벽(1110)이 각각 힌지(1120)를 통해 프레임(1060)에 부착되어 있다. 내벽(1100)과 외벽(1110)의 쌍이 힌지(1120)의 작용에 의해 충전 장치(1000)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게 접히는 경우, 휴대형 용기(100)가 충전 장치(100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충전 장치(1000)가 충분하게 개방된다. 휴대형 용기(100)가 프레임(1060)에 대해 배치될 때, 내벽(1100)과 외벽(1100)의 쌍은 휴대형 용기(100)의 외부벽(165)과 평행한 위치로 되접히고, 충전 장치(1000)는 사용을 위한 위치에 있다.
도 12는 충전 장치(1000)의 외관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충전 장치(10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충전 장치(1000)는 복수의 개구(1053)를 구비하는 스탠드(1050)를 포함한다. 스탠드는 충전 장치(1000)를 안정화시키고 충전 장치(1000)의 바닥 주위의 공기 유동을 증가시키는 다리부(1057)를 포함한다. 충전 장치(1000)는 또한, 블라인드 루버 도어(louvered door)에 의해 덮인 외부 에어 벤트(1200)를 포함한다. 외부 에어 벤트(1200)는, 예를 들어 휴대형 용기가 가열된 이후의 냉각 프로세스 동안에, 충전 장치(1000)의 내부 캐비티 또는 영역으로의 공기 유동을 증가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필요한 만큼 개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대상의 양태들이 이하의 번호가 매겨진 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항 1.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저장 용기 바닥에 밀봉된 저장 용기 벽으로서,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은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저장 용기 벽; 증발 영역 바닥에 밀봉된 증발 영역 벽으로서, 증발 영역 벽은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증발 영역 바닥은 저장 용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증발 영역 벽의 상측 에지가 저장 용기 벽의 상측 에지 아래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밀봉되어, 증발 영역 벽과 증발 영역 바닥과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증발 영역 벽; 저장 용기 벽과 증발 영역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절연 벽으로서, 절연 벽의 상측이 증발 영역 벽 위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저장 용기 및 증발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절연 벽;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휴대형 용기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건조 영역 벽;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항 2. 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 벽은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3.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저장 용기의 상부에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4.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5.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인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라운딩된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 항 1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방사상 형태의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은 상기 증발 영역 바닥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상기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0.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 및 증발 영역 바닥은, 상기 저장 용기 벽 및 저장 용기 바닥과 함께, 상기 증발 영역 벽과 상기 증발 영역 바닥의 표면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1.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2.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실린더형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3.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4. 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 벽은 절연 바닥에 밀봉되고, 상기 절연 바닥은 상기 증발 영역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5. 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 벽의 바닥이, 상기 증발 영역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6. 항 1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7. 항 1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8. 항 1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9. 항 1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0. 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벽은 상기 절연 벽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1. 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벽은 건조 영역 바닥에 밀봉되어 있고, 상기 건조 영역 바닥은 상기 절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연 벽과 상기 절연 바닥에 인접한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2. 항 1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3.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중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4.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관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5.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6. 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27. 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증기 도관은,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과 함께 밀봉되어 있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8. 항 27에 있어서, 상기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해 있는 주위 가스의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갖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9.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휴대형 용기의 에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덮개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30.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완전히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차단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31. 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32. 항 1에 있어서, 휴대형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33. 일부 실시형태에서,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로서, 접근 개구가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저장 용기, 접근 개구가 상기 내부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저장 용기로서,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내부 저장 용기에 밀봉되어 있는 것인 외부 저장 용기, 및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건조 섹션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면과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이고 상기 저장 용기의 접근 개구를 넘어 연장되는 크기 및 형상인 내부면을 갖는 절연 유닛, 상기 절연 유닛을 둘러싸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절연 유닛의 외부에 건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연 유닛의 외부에 증기-불투과 시일로 밀봉되어 있는 것인 건조 영역 벽, 및 상기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건조 영역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건조 영역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을 포함하는 건조 섹션; 및 중앙 증기 도관 섹션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1 단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2 단부, 및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증기 도관의 커넥터 섹션으로서, 상기 제1 단부를 상기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도관은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증발 섹션, 상기 건조 섹션 및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각각,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통합 휴대형 용기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에 감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이다.
항 34.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가스-불투과 시일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35.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상기 저장 용기의 사이에 가스-불투과 시일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36.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저장 용기의 상부에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37.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38.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인 것인 세트.
항 39.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0.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1.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방사상 형태의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2. 항 33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은,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갭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3. 항 33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4.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하는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구비하는 절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5.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1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6.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7.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8.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9. 항 33에 있어서,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50. 항 33에 있어서,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51. 항 33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휴대형 용기의 에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덮개를 더 포함하는 세트.
항 52. 항 33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세트.
항 53. 항 33에 있어서,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조 섹션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건조 섹션에 부착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세트.
항 54. 일부 실시형태에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조립 방법은: 저장 용기의 외부면이 절연 유닛 내에 배치되고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 및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가 서로 정렬되도록,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내부 절연 유닛 및 외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는 건조 섹션과 상기 건조 섹션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 내에 배치하는 단계;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고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 섹션 및 상기 건조 섹션에 인접하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건조 섹션, 그리고 연결된 증기 도관 섹션들 내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진공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 55. 항 54에 있어서,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용기를 상기 건조 섹션 내에 완전히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립 방법.
항 56. 항 54에 있어서,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용기의 저장 영역이 중앙에 있도록 상기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저장 용기가 저장 영역을 둘러싸고, 절연 유닛이 저장 용기를 둘러싸며, 건조 영역이 저장 용기의 외부를 둘러싸게 되는 것인 조립 방법.
항 57. 항 54에 있어서,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는, 저장 용기의 외부 상면과 건조 섹션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립 방법.
항 58. 항 54에 있어서,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진공화하는 단계는, 내부 공간을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으로 진공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립 방법.
항 59. 항 54에 있어서,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밀봉하기 전에, 증발성 액체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 방법.
항 60. 항 54에 있어서,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밀봉하기 전에, 건조제를 외부 건조 영역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 방법.
항 61.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절연 저장 구획으로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의 내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저장 용기의 외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상기 외부는 상기 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와 내부 사이에 갭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상기 내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외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사이에 있는 시일로서, 이들 벽 사이에 가스-불투과 갭을 형성하는 것인 시일을 포함하는 절연 저장 구획; 및 상기 절연 저장 구획에 매칭되는 크기 및 형상의 덮개로서, 덮개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상기 바닥과 측면은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덮개의 천장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덮개의 천장은 덮개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덮개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배치되는 증발 구획으로서, 내부 증발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바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증발 구획, 덮개의 천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있는 건조 구획으로서, 내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천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건조 구획, 및 제1 단부에서 상기 증발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고 제2 단부에서 상기 건조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 도관,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건조 영역과 상기 증기 도관의 조합으로, 덮개 내에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인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항 62.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저장 용기의 상부에 배치된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3.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4.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5.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 및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6.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봉사 활동의 기간 동안 의약품을 운반하는 크기 및 형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7. 항 61에 있어서,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8. 항 61에 있어서,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은, 1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9. 항 61에 있어서,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0. 항 61에 있어서,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1.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증발 구획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2.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건조 구획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3.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4.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증기 도관은, 온도 센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5.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6.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7.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도관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78. 항 61에 있어서,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덮개 내의 상기 건조 구획에 부착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79.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는,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 상기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저장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영역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의 내부면과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휴대형 용기용 덮개로서,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을 구비하고, 저장 용기에 대하여 가역적인 접근을 허용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덮개;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덮개의 굴곡 가능한 섹션과 정렬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항 80.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저장 용기의 상부에 배치된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1.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2.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3.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 및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4.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봉사 활동의 기간 동안 의약품을 운반하는 크기 및 형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5. 항 79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6. 항 79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7. 항 79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8. 항 79에 있어서,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9.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0. 항 79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덮개 내의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은 용기의 저장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1. 항 79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2.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3.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4.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5. 항 79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6. 항 79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7.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98. 항 79에 있어서,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99. 일부 실시형태에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는: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프레임;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으로서, 공기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내부면을 향하게 하도록 배향되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로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 양자 모두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항 100. 항 9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의 외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충전 유닛의 상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서,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바닥 영역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충전 유닛의 하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서,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천장 영역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1. 항 9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의 표면과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2. 항 9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은: 복사 가열 요소; 상기 복사 가열 요소와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벽 사이에 배치되는 캐비티; 및 공기를 상기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3. 항 9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은, 충전 유닛이 사용되고 있을 때, 휴대형 용기의 표면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도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4. 항 9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은,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저장 영역 내의 공기 흐름을 증가시키도록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5. 항 9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을 미리 정해놓은 일정대로 켜고 끄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6. 항 9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부착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항 107. 항 9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을 켜고 끄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8. 항 99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항 109. 항 99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본원에 기술된 일부 구현예에서, 로직 및 유사한 규현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제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회로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전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매체는, 이러한 매체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도록 작동 가능한 장치 감지형 명령을 보유하거나 전송할 때, 장치-감지형 구현을 감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변형예에서, 예를 들어 구현예에는,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작동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명령의 수신 또는 송신을 수행하는 것 등에 의한, 기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또는 게이트 어레이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하드웨어의 업데이트 또는 변경이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변형예에서, 구현예에는, 특수 용도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특수 용도의 구성요소를 실행시키거나 다른 방식으로 작동시키게 하는 일반 용도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청구 대상은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 또는 이들 방식의 몇몇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본원에 기술된 일부 양태는, 다양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타입의 "전기 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전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전기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주문형 집적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범용 연산 장치(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본원에 기술된 프로세스 및/또는 디바이스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범용 컴퓨터,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본원에 기술된 프로세스 및/또는 디바이스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기억 장치((예컨대, 랜덤 액세스, 플래시, 리드 온리 등의) 메모리의 형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및/또는 통신 장치(예컨대, 모뎀, 통신 스위치, 또는 광-전기 설비 등)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현예에는, 특수 용도의 명령 시퀀스를 실행하는 것이나, 또는 사실상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기능적 작동의 인에이블링, 트리거링, 조정, 요청, 또는 다른 방식으로 1회 이상의 발생을 유발하기 위해 회로를 작동시키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변형예에서, 본원의 작동 설명 또는 다른 로직 설명은 소스 코드로서 표현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명령 시퀀스로서 컴파일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게 될 수 있다. 일부 맥락에서, 예를 들어 구현예는, C++ 또는 다른 코드 시퀀스 등과 같은 소스 코드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시판하는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을 이용하는, 소스 또는 다른 코드 구현예는, 고레벨 디스크립터 언어로 컴파일/구현/번역/변환될 수 있다(예컨대, 초기에는 C 또는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서술된 기술을 구현하고, 그 후에는 이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현을 논리-합성 가능 언어 구현, 하드웨어 서술 언어 구현, 하드웨어 설계 시뮬레이션 구현, 및/또는 이와 유사한 다른 표현 모드(들)로 변환함). 예를 들어, 논리식의 일부 또는 전부(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구현)가, Verilog-타입 하드웨어 서술(예컨대, 하드웨어 서술 언어(HDL) 및/또는 초고속 집적 회로 하드웨어 디스크립터 언어(VHDL))로서, 또는 하드웨어(예컨대, 주문형 집적 회로)를 갖는 물리적 구현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회로 모델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형태의 여러 양태는, 35 U.S.C. 101에 의거 특허 가능한 청구 대상으로 한정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또는 사실상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 구성요소; 및 강체, 스프링 또는 비틀림 바디, 유압 기기, 전자기적 작동 장치, 및/또는 사실상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과 같은 기계적 힘 또는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여러 형태의 전자-기계 시스템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전자-기계 시스템"은, 트랜스듀서(예컨대, 액추에이터, 모터, 압전 결정체, 초소형 전자 기계 시스템(MEMS) 등)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개별 전기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주문형 집적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범용 연산 장치(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본원에 기술된 프로세스 및/또는 디바이스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범용 컴퓨터,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본원에 기술된 프로세스 및/또는 디바이스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기억 장치((예컨대, 랜덤 액세스, 플래시, 리드 온리 등의) 메모리의 형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통신 장치(예컨대, 모뎀, 통신 스위치, 또는 광-전기 설비 등)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및/또는 광학 또는 다른 유사체(예컨대, 그래핀 기반 회로)와 같은 임의의 비전기적 유사체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기계 시스템의 예로는, 다양한 가전 제품 시스템, 의료 기기 뿐만 아니라 원동기 부착 운반 시스템, 공장 자동화 시스템, 보안 시스템, 및/또는 통신/연산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시스템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기술된 디바이스 및/또는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가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유닛 하우징; 영상 표시 장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와 같은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등와 같은 프로세서; 운영 체제, 드라이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연산 엔티티; 하나 이상의 상호 작용 장치(예컨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안테나 등); 및/또는 피드백 루프 및 제어 모터(예컨대, 위치 및/또는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구성요소 및/또는 분량을 이동 및/또는 조정하기 위한 제어 모터)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데이터 컴퓨팅/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컴퓨팅/통신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적절한 시판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최신 기술은, 시스템의 양태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구현 간에 거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단계로 진보되어 있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그러나, 특정 맥락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선택이 중요해질 수 있는 점에서,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님) 비용 대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 선택 사항이다. 본원에 기술되어 있는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매개체(예컨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가 존재하고, 바람직한 매개체는,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속도 및 정확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시행자가 결정한 경우, 시행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매개체를 택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융통성이 가장 중요한 경우, 시행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택할 수 있으며; 또는 재차 대안적으로 시행자는 하나 이상의 기계, 물질 조성, 및 제조 물품에 있어서, 35 U.S.C. 101에 의거 특허 가능한 청구 대상으로 한정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몇몇 조합을 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되어 있는 프로세스 및/또는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기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몇 가능한 매개체가 존재하고, 이용될 임의의 매개체는, 이 매개체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이라는 맥락과 시행자의 구체적인 고려 사항(예컨대, 속도, 융통성, 또는 예측 가능성)에 좌우되는 선택이라는 점에서, 어느 것도 다른 것에 비해 본래 우수하지는 않으며, 어느 것이라도 변경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청구 대상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 내에 수용되거나, 서로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 상이한 구성요소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서술된 아키텍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실제로 동일한 기능성을 달성하는 다수의 다른 아키텍처가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념적인 의미에서, 동일한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배치 구성은, 소기의 기능성이 달성되도록, 효과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조합된 본원의 임의의 2개의 구성요소는, 소기의 기능성이 아키텍처 또는 개재 구성요소와 관계 없이 달성되도록, 서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이 관련된 임의의 2개의 구성요소는, 소기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작동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도 보여질 수 있고, 이와 같이 관련되어질 수 있는 임의의 2개의 구성요소는 소기의 기능성을 달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작동적으로 결합 가능한" 것으로도 보여질 수 있다. 작동적으로 결합 가능한 것의 특정 예로는, 물리적으로 정합 가능한 및/또는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구성요소,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 작용 가능한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 작용하는 구성요소,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 작용 가능한 구성요소가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본원에서 "~하도록 구성된", "~에 의해 구성된", "~하도록 구성 가능한", "~하도록 작동 가능한/작동하는", "~하도록 조정된/~하도록 조정 가능한", "할 수 있는", "~하도록 맞춰질 수 있/~하도록 맞춰지는" 등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예컨대, "~하도록 구성된")은 일반적으로, 문맥에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활성-상태 구성요소 및/또는 비활성-상태 구성요소 및/또는 준비-상태 구성요소를 망라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구성요소들(예컨대, 작동들), 장치들, 객체들, 및 이들을 수반하는 설명은, 개념적 명료성을 위해 예로서 사용되고, 다양한 구성의 변형들이 고려된다. 결과적으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시된 특정 실례와 수반되는 설명은, 보다 일반적인 클래스를 대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특정 실례의 사용은 그 클래스를 대표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고, 특정 구성요소(예컨대, 작동들), 장치들 및 객체들의 비포함은 제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특정 양태가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본원에 기술된 청구 대상 및 그보다 넓은 양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변경 및 변형이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그 범위 내에, 본원에 기술된 청구 대상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상기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망라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예컨대, 첨부된 청구범위의 본문)에서 사용된 용어는, 일반적으로 "개방식" 용어로서 의도된다(예컨대,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용어 "갖는"은 "적어도 갖는"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용어 "구비한다"는 "구비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입된 청구항 인용의 특정 번호가 의도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의도는청구항에서 명백하게 인용될 것이고, 이러한 인용의 부재시 상기한 의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해를 돕는 수단으로서, 이하에 첨부된 청구범위는, 청구항 인용을 도입하는 데 삽입 어구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의 활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 청구항이 삽입 어구 "하나 이상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및 부정관사를 포함하는 경우라도, 그러한 어구의 사용은 부정관사에 의한 청구항 인용의 도입이 이와 같이 도입된 청구항 인용을 포함한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단지 하나의 상기한 인용만을 포함하는 청구항으로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예컨대, 부정관사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동일한 사항은 청구항 인용을 도입하는 데 사용되는 정관사의 사용에도 적용된다. 또한, 도입된 청구항 인용의 특정 개수가 명백히 인용되어 있더라도, 이러한 인용이 통상적으로 적어도 인용된 개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컨대, 다른 수식어가 없는 순수한 인용인 "2개의 인용"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2개의 인용, 또는 2 이상의 인용을 의미한다). 게다가, "A, B 및 C 중의 적어도 하나 등"과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성이, A만, B만, C만, A와 B를 함께, A와 C를 함께, B와 C를 함께, 및/또는 A와 B와 C를 함께 갖는 시스템들을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 포함하는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으로서 의도되어 있다. "A, B 또는 C 중의 적어도 하나 등"과 유사한 관례가 사용되는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구성이, A만, B만, C만, A와 B를 함께, A와 C를 함께, B와 C를 함께, 및/또는 A와 B와 C를 함께 갖는 시스템들을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 포함하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으로서 의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또는 도면에서, 2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를 나타내는 이접 단어 및/또는 어구는, 문맥에서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는 한, 용어들 중 하나, 용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용어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기대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어구 "A 또는 B"는 통상적으로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인용된 작동들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비록 여러 작동 흐름이 소정의 시퀀스(들)로 제시되었지만, 여러 작동은 예시된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대안적인 순서 매김의 예는, 문맥에서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는 한, 중복, 개재, 중단, 재정렬, 증가, 예비, 보완, 동시, 역, 또는 다른 변형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에 응답하는", "~에 관련된", 또는 그 밖의 과거 시제형 형용사 등과 같은 용어는, 문맥에서 달리 지시되어 있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상기한 변형을 배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거나 및/또는 ADS에 열거된 상기 미국 특허, 미국 특허 출원 공보, 미국 특허 출원, 외국 특허, 외국 특허 출원 및 비특허 공보 모두가, 본원과 일치하지 않는 정도로,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원에 기술된 대상의 양태들이 이하의 번호가 매겨진 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항 1.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로서:
저장 용기 바닥에 밀봉된 저장 용기 벽으로서,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은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저장 용기 벽;
증발 영역 바닥에 밀봉된 증발 영역 벽으로서, 증발 영역 벽은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증발 영역 바닥은 저장 용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증발 영역 벽의 상측 에지가 저장 용기 벽의 상측 에지 아래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밀봉되어, 증발 영역 벽과 증발 영역 바닥과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증발 영역 벽;
저장 용기 벽과 증발 영역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절연 벽으로서, 절연 벽의 상측이 증발 영역 벽 위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저장 용기 및 증발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절연 벽;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휴대형 용기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건조 영역 벽;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2. 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 벽은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3.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저장 용기의 상부에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4.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5.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인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라운딩된 에지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 항 1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방사상 형태의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은 상기 증발 영역 바닥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상기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0.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 및 증발 영역 바닥은, 상기 저장 용기 벽 및 저장 용기 바닥과 함께, 상기 증발 영역 벽과 상기 증발 영역 바닥의 표면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1.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2.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실린더형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3.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4. 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 벽은 절연 바닥에 밀봉되고, 상기 절연 바닥은 상기 증발 영역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5. 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 벽의 바닥이, 상기 증발 영역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6.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7.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8.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19.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0. 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벽은 상기 절연 벽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1. 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벽은 건조 영역 바닥에 밀봉되어 있고, 상기 건조 영역 바닥은 상기 절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연 벽과 상기 절연 바닥에 인접한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2.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3.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중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4.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관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5.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6. 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7. 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증기 도관은,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과 함께 밀봉되어 있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8. 항 27에 있어서, 상기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해 있는 주위 가스의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갖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29. 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휴대형 용기의 에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덮개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30. 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완전히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차단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31. 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32. 항 1에 있어서,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휴대형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33.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로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로서,
접근 개구가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저장 용기,
접근 개구가 상기 내부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저장 용기로서,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내부 저장 용기에 밀봉되어 있는 것인 외부 저장 용기, 및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건조 섹션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면과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이고 상기 저장 용기의 접근 개구를 넘어 연장되는 크기 및 형상인 내부면을 갖는 절연 유닛,
상기 절연 유닛을 둘러싸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절연 유닛의 외부에 건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연 유닛의 외부에 증기-불투과 시일로 밀봉되어 있는 것인 건조 영역 벽, 및
상기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건조 영역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건조 영역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을 포함하는 건조 섹션; 및
중앙 증기 도관 섹션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1 단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2 단부, 및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증기 도관의 커넥터 섹션으로서, 상기 제1 단부를 상기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
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도관은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증발 섹션, 상기 건조 섹션 및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각각,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통합 휴대형 용기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에 감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
항 34.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가스-불투과 시일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35.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상기 저장 용기의 사이에 가스-불투과 시일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36.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저장 용기의 상부에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37.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38.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인 것인 세트.
항 39.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0.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1. 항 33에 있어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는, 방사상 형태의 내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2. 항 33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은: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갭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3. 항 33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4.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절연 유닛으로서: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구비하는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절연 유닛을 포함하는 세트.
항 45.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절연 유닛으로서:
1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인 세트.
항 46.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절연 유닛으로서: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인 세트.
항 47.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섹션은 절연 유닛으로서: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인 세트.
항 48. 항 33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49. 항 33에 있어서,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50. 항 33에 있어서,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세트.
항 51. 항 33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휴대형 용기의 에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덮개를 더 포함하는 세트.
항 52. 항 33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세트.
항 53. 항 33에 있어서,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조 섹션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건조 섹션에 부착된 가열 요소;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세트.
항 54.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조립 방법으로서:
저장 용기의 외부면이 절연 유닛 내에 배치되고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 및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가 서로 정렬되도록,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내부 절연 유닛 및 외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는 건조 섹션과 상기 건조 섹션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 내에 배치하는 단계;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고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 섹션 및 상기 건조 섹션에 인접하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건조 섹션, 그리고 연결된 증기 도관 섹션들 내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진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 방법.
항 55. 항 54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것은:
상기 저장 용기를 상기 건조 섹션 내에 완전히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립 방법.
항 56. 항 54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것은:
상기 저장 용기의 저장 영역이 중앙에 있도록 상기 저장 용기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저장 용기가 저장 영역을 둘러싸고, 절연 유닛이 저장 용기를 둘러싸며, 건조 영역이 저장 용기의 외부를 둘러싸게 되는 것인 조립 방법.
항 57. 항 54에 있어서,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것은:
저장 용기의 외부 상면과 건조 섹션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립 방법.
항 58. 항 54에 있어서,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진공화하는 것은:
내부 공간을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으로 진공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조립 방법.
항 59. 항 54에 있어서,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밀봉하기 전에, 증발성 액체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 방법.
항 60. 항 54에 있어서,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밀봉하기 전에, 건조제를 외부 건조 영역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 방법.
항 61.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로서:
절연 저장 구획으로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의 내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저장 용기의 외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상기 외부는 상기 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와 내부 사이에 갭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상기 내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외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 사이에 있는 시일로서, 이들 벽 사이에 가스-불투과 갭을 형성하는 것인 시일을 포함하는 절연 저장 구획; 및
상기 절연 저장 구획에 매칭되는 크기 및 형상의 덮개로서,
덮개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상기 바닥과 측면은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덮개의 천장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으로서, 덮개의 천장은 덮개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
덮개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배치되는 증발 구획으로서, 내부 증발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바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증발 구획,
덮개의 천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있는 건조 구획으로서, 내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천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건조 구획, 및
제1 단부에서 상기 증발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고 제2 단부에서 상기 건조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 도관,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건조 영역과 상기 증기 도관의 조합으로, 덮개 내에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인 증기 도관을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62.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저장 용기의 상부에 배치된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3.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4.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5.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 및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6.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저장 구획은:
봉사 활동의 기간 동안 의약품을 운반하는 크기 및 형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7. 항 61에 있어서,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8. 항 61에 있어서,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은:
1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69. 항 61에 있어서,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0. 항 61에 있어서, 절연 저장 용기의 벽들 사이의 가스-불투과 갭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1.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증발 구획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2.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건조 구획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3.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4.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증기 도관은:
온도 센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5.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6. 항 6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7. 항 61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증기 도관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그리고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78. 항 61에 있어서,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덮개 내의 건조 섹션에 부착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79.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로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
상기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저장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영역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의 내부면과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휴대형 용기용 덮개로서,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을 구비하고, 저장 용기에 대하여 가역적인 접근을 허용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덮개;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덮개의 굴곡 가능한 섹션과 정렬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80.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저장 용기의 상부에 배치된 단일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1.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사람의 손이 저장 용기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접근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2.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을 갖는 원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3.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접근 개구를 형성하는 오픈 탑 영역 및 라운딩된 에지를 갖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4.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봉사 활동의 기간 동안 의약품을 운반하는 크기 및 형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5.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실질적으로 진공화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6.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3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7.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은:
10-5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갖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8.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89.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0. 항 79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덮개 내의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은 용기의 저장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1. 항 79에 있어서, 상기 덮개 내의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2.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3.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4. 항 79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계속해서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5. 항 79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이진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이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항 96. 항 79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97. 항 79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98. 항 79에 있어서,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항 99.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로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프레임;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으로서, 공기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내부면을 향하게 하도록 배향되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로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 양자 모두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항 100. 항 9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의 외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충전 유닛의 상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서,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바닥 영역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충전 유닛의 하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서,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천장 영역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1. 항 9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의 표면과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2. 항 9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은:
복사 가열 요소;
상기 복사 가열 요소와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벽 사이에 배치되는 캐비티; 및
공기를 상기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3. 항 9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은:
충전 유닛이 사용되고 있을 때, 휴대형 용기의 표면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도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4. 항 9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은: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저장 영역 내의 공기 흐름을 증가시키도록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5. 항 9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을 미리 정해놓은 일정대로 켜고 끄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6. 항 9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부착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항 107. 항 10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을 켜고 끄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항 108. 항 99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항 109. 항 99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여러 양태와 실시형태가 본원에 개시되어 있지만, 그 밖의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여러 양태와 실시형태는 예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으며,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Claims (28)

  1.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로서:
    저장 용기 바닥에 밀봉된 저장 용기 벽으로서, 저장 용기 벽과 저장 용기 바닥은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저장 용기 벽;
    증발 영역 바닥에 밀봉된 증발 영역 벽으로서, 증발 영역 벽은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증발 영역 바닥은 저장 용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증발 영역 벽의 상측 에지가 저장 용기 벽의 상측 에지 아래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에 밀봉되어, 증발 영역 벽 및 증발 영역 바닥과 저장 용기 벽 및 저장 용기 바닥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증발 영역 벽;
    저장 용기 벽과 증발 영역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절연 벽으로서, 절연 벽의 상측이 증발 영역 벽 위의 위치에서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저장 용기 및 증발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절연 벽;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휴대형 용기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건조 영역 벽;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상기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 및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은 원통형 및 방사상 형태로 구성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 및 증발 영역 바닥은, 상기 저장 용기 벽 및 저장 용기 바닥과 함께, 상기 증발 영역 벽과 상기 증발 영역 바닥의 표면 사이에 갭을 형성하도록,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인 휴대형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은:
    증발성 액체;
    상기 증발성 액체를 위한 윅 구조; 및
    주위 가스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영역 벽은 실린더형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인 휴대형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벽은 상기 절연 벽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것인 휴대형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벽은 건조 영역 바닥에 밀봉되어 있고, 상기 건조 영역 바닥은 절연 바닥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연 벽과 상기 절연 바닥에 인접한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은:
    건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중공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은: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형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영역,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증기 도관은,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해 있는 주위 가스의 압력보다 낮은 가스 압력을 갖는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과 함께 밀봉되어 있는 것인 휴대형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을 통한 가스의 유동을 가역적으로 완전히 억제하는 크기, 형상 및 위치의 차단 밸브; 및
    상기 밸브에 작동적으로 부착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에 대한 외부 작동에 응답하여 밸브를 완전 개방시키고 완전 폐쇄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인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저장 용기 벽 또는 상기 저장 용기 바닥에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증기 제어 유닛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충전 시스템으로서:
    휴대형 용기에 부착된 온도 센서;
    상기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가열 요소;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연결된 컨트롤러
    를 구비하는 것인 내부 충전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14. 조립을 위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로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기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로서,
    접근 개구가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내부 저장 용기,
    접근 개구가 상기 내부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저장 용기로서, 내부 저장 용기와 외부 저장 용기의 사이에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내부 저장 용기에 밀봉되어 있는 것인 외부 저장 용기, 및
    상기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저장 용기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건조 섹션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면과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이고 상기 저장 용기의 접근 개구를 넘어 연장되는 크기 및 형상인 내부면을 갖는 절연 유닛,
    상기 절연 유닛을 둘러싸는 건조 영역 벽으로서, 절연 유닛의 외부에 건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연 유닛의 외부에 증기-불투과 시일로 밀봉되어 있는 것인 건조 영역 벽, 및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으로서, 상기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상기 건조 영역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상기 건조 영역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구비하는 건조 섹션; 및
    중앙 증기 도관 섹션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1 단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는 크기 및 형상인 제2 단부, 및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증기 도관의 커넥터 섹션으로서, 상기 제1 단부를 상기 증발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건조 섹션의 제2 단부와 정합하여 밀봉하도록 배치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
    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도관은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증발 섹션, 상기 건조 섹션 및 상기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은 각각,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통합 휴대형 용기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에 감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
  15. 제14항에 기재된 휴대형 용기 섹션들의 세트의 조립 방법으로서:
    저장 용기의 외부면이 절연 유닛 내에 배치되고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 및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가 서로 정렬되도록,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저장 용기와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을, 내부 절연 유닛 및 외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는 건조 섹션과 상기 건조 섹션의 외부에 있는 개구를 갖는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 내에 배치하는 단계;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고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가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증발 섹션 및 상기 건조 섹션에 인접하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중앙 증기 도관 섹션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증발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상기 중앙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를 상기 증기 도관의 건조 섹션의 개구에 가스-불투과 시일로 밀봉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용기와, 상기 건조 섹션, 그리고 연결된 증기 도관 섹션들 내의 연속형 증기-밀봉 내부 영역을 진공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립 방법.
  16.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로서:
    절연 저장 구획으로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의 내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803),
    저장 용기의 외부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807)으로서, 상기 외부는 상기 내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외부와 내부 사이에 갭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807),
    상기 내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803)과 상기 외부의 바닥 및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807) 사이에 있는 시일로서, 이들 벽 사이에 가스-불투과 갭을 형성하는 것인 시일을 포함하는 절연 저장 구획; 및
    상기 절연 저장 구획에 매칭되는 크기 및 형상의 덮개로서,
    덮개의 바닥과 측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210)으로서, 상기 바닥과 측면은 상기 접근 개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210),
    덮개의 천장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230)으로서, 덮개의 천장은 덮개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벽(230),
    덮개의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배치되는 증발 구획으로서, 내부 증발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바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증발 구획,
    덮개의 천장에 인접한 위치에서 덮개 내에 있는 건조 구획으로서, 내부 건조 영역을 구비하고, 덮개의 천장에 대해 원위측에 있는 위치에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인 건조 구획, 및
    제1 단부에서 상기 증발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고 제2 단부에서 상기 건조 구획에 있는 개구에 부착되어 있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증기 도관, 상기 증발 영역 및 상기 건조 영역과 상기 증기 도관의 조합으로, 덮개 내에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인 증기 도관
    을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17.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로서:
    접근 개구를 갖는 저장 용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
    상기 저장 용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저장 영역의 외부에 증기-밀봉형 절연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의 외부면에 밀봉되어 휴대형 용기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영역 벽;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 벽의 내부면과 가역적으로 정합하는 크기 및 형상인 휴대형 용기용 덮개로서, 내부 증기-밀봉형 증발 구획을 구비하고, 저장 용기에 대하여 가역적인 접근을 허용하도록 배치 및 구성된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덮개;
    증기-밀봉형 증발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증기-밀봉형 건조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덮개의 굴곡 가능한 섹션과 정렬되어 있는 굴곡 가능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인 증기 도관; 및
    증기 도관에 부착되는 증기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휴대형 용기.
  1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용 충전 장치로서: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프레임;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외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팬으로서, 공기를 일체형 제어 증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형 용기의 내부면을 향하게 하도록 배향되어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로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 양자 모두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인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의 외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절연 벽;
    충전 유닛의 상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서,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바닥 영역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 및
    충전 유닛의 하단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로서,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천장 영역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프레임의 표면과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은:
    복사 가열 요소;
    상기 복사 가열 요소와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벽 사이에 배치되는 캐비티; 및
    공기를 상기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은:
    충전 유닛이 사용되고 있을 때, 휴대형 용기의 표면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도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은:
    고정된 휴대형 용기의 저장 영역 내의 공기 흐름을 증가시키도록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을 미리 정해놓은 일정대로 켜고 끄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적으로 부착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을 켜고 끄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장치.
  27. 제18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28.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KR1020187013972A 2015-10-16 2016-10-13 온도-제어형 휴대형 냉각 유닛 KR102450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85,043 2015-10-16
US14/885,043 US11105556B2 (en) 2013-03-29 2015-10-16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PCT/US2016/056785 WO2017066412A2 (en) 2015-10-16 2016-10-13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845A KR20180058845A (ko) 2018-06-01
KR102450661B1 true KR102450661B1 (ko) 2022-10-04

Family

ID=5851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972A KR102450661B1 (ko) 2015-10-16 2016-10-13 온도-제어형 휴대형 냉각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362757B1 (ko)
JP (1) JP6869975B2 (ko)
KR (1) KR102450661B1 (ko)
CN (1) CN108139165A (ko)
HK (1) HK1251646A1 (ko)
TW (2) TWI732703B (ko)
WO (1) WO2017066412A2 (ko)
ZA (1) ZA2018031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92626A1 (en) * 2018-03-02 2019-09-06 Michael Mark ANTHONY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chilling beverages and other food products and process of manufacture
CN113473959A (zh) * 2019-02-27 2021-10-01 斯玛特弗雷兹有限公司 用于生物材料的均匀且可再现的冷冻和解冻的便携式鼓风系统
EP3952815A4 (en) 2019-05-31 2023-04-12 Gobi Technologies Inc. THERMAL REGULATION SYSTEM
CN111307337B (zh) * 2020-02-13 2021-04-13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强制风循环温度校准装置
KR102270072B1 (ko) 2021-05-03 2021-06-29 (주)다솔닷아이엔씨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백신 캐리어 및 그 제어방법
KR102309521B1 (ko) 2021-05-17 2021-11-04 (주)다솔닷아이엔씨 온라인 백신캐리어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735359B (zh) * 2022-04-12 2023-07-18 南京艾科美热能科技有限公司 一种长时释热型器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974A (ja) * 2004-04-08 2005-10-27 Sharp Corp 吸着式冷蔵庫
US20130306656A1 (en) * 2007-12-11 2013-11-21 TOKITAE LLC, a limited liability company of the State of Delaware Temperature-controlled storage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7542C (de) 1924-11-15 1928-07-26 Siemens Schuckertwerke G M B H Kuehlapparat
US1862330A (en) * 1928-05-31 1932-06-07 Philip P Chapin Automatically refrigerating receptacle
US1955723A (en) * 1932-07-01 1934-04-24 Alex Max Beverage refrigerating system
US7107783B2 (en) * 1997-09-19 2006-09-19 Advanced Porcus Technologies, Llc Self-cooling containers for liquids
DE19922848A1 (de) * 1999-05-19 2000-11-23 Zeolith Tec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hlen einer Flüssigkeit in einem Behälter
DE10016352A1 (de) 2000-04-03 2001-10-04 Zeolith Tech Sorptionskühler
CN100497123C (zh) * 2006-08-28 2009-06-10 兰州大学 一种恒温真空贮物器械
US20090049845A1 (en) * 2007-05-30 2009-02-26 Mcstravick David Medical travel pack with cooling system
US9139351B2 (en) * 2007-12-11 2015-09-22 Tokitae Llc Temperature-stabilized storage systems with flexible connectors
US9372016B2 (en) * 2013-05-31 2016-06-21 Tokitae Llc Temperature-stabilized storage systems with regulated cooling
EP2453189A1 (en) * 2010-11-11 2012-05-16 Damm S.a. Self-chilling container
US10533779B2 (en) * 2011-06-30 2020-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sorption heat exchanger devices
US9170053B2 (en) * 2013-03-29 2015-10-27 Tokitae Llc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US9657982B2 (en) * 2013-03-29 2017-05-23 Tokitae Llc Temperature-controlled medicinal storage devices
JP6632606B2 (ja) * 2014-08-08 2020-01-22 トキタエ エルエルシー 温度制御される医薬品保管装置
GB201507026D0 (en) * 2015-04-24 2015-06-10 Linea Ab Q Medical sample transportation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974A (ja) * 2004-04-08 2005-10-27 Sharp Corp 吸着式冷蔵庫
US20130306656A1 (en) * 2007-12-11 2013-11-21 TOKITAE LLC, a limited liability company of the State of Delaware Temperature-controlled storage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803161B (en) 2021-01-27
WO2017066412A2 (en) 2017-04-20
EP3362757A2 (en) 2018-08-22
TW202112626A (zh) 2021-04-01
EP3362757B1 (en) 2024-01-03
EP3362757A4 (en) 2019-06-19
CN108139165A (zh) 2018-06-08
KR20180058845A (ko) 2018-06-01
JP6869975B2 (ja) 2021-05-12
TW201718367A (zh) 2017-06-01
TWI732703B (zh) 2021-07-01
WO2017066412A3 (en) 2018-02-22
JP2018531357A (ja) 2018-10-25
TWI711567B (zh) 2020-12-01
HK1251646A1 (zh)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661B1 (ko) 온도-제어형 휴대형 냉각 유닛
US11867464B2 (en)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JP2018531357A6 (ja) 温度制御された携帯型冷却ユニット
US9657982B2 (en) Temperature-controlled medicinal storage devices
EP2978683B1 (en)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US10941971B2 (en)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KR102254060B1 (ko) 냉장 장치 내에서의 사용을 위한 온도 제어형 컨테이너 시스템
US9140476B2 (en) Temperature-controlled storage systems
KR102361234B1 (ko) 온도 제어형 약제 저장 장치
EP2979044B1 (en) Temperature-controlled storage systems
TW201839336A (zh) 包括集成式受控蒸發製冷系統的可擕式容器、部件及其製造方法
KR102560074B1 (ko) 극저온 냉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