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234B1 - 온도 제어형 약제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온도 제어형 약제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234B1
KR102361234B1 KR1020177006326A KR20177006326A KR102361234B1 KR 102361234 B1 KR102361234 B1 KR 102361234B1 KR 1020177006326 A KR1020177006326 A KR 1020177006326A KR 20177006326 A KR20177006326 A KR 20177006326A KR 102361234 B1 KR102361234 B1 KR 102361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dicament storage
wall
vapor condui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395A (ko
Inventor
퐁-리 초우
필립 에이 에크호프
로렌스 모건 파울러
프리드릭 라루손
시엥 리우
넬스 알 페터슨
클라렌스 티 테그린
로웰 엘 주니어 우드
Original Assignee
토키태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4/454,899 external-priority patent/US9657982B2/en
Application filed by 토키태 엘엘씨 filed Critical 토키태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5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2Compression-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1Bags
    • F25D2331/8014Bags for medic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냉각 유닛;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1 단부가 건조 유닛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2 단부가 증발 냉각 유닛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과 냉각 유닛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도 제어형 약제 저장 장치{TEMPERATURE-CONTROLLED MEDICINAL STORAGE DEVICES}
본 대상은 온도 제어형 약제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선권 출원(들)의 모든 대상은 그러한 대상이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는 범위까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medicinal storage container)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양태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과 열 접촉하는 냉동기 유닛;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태양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열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에 부가하여, 다른 양태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청구범위, 도면 및 본문에서 설명된다. 상기 개요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어떤 방식으로든 한정하고자 의도되지는 않는다. 상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양태, 실시예 및 특징에 부가하여, 추가적인 양태, 실시예 및 특징이 도면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약제 저장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약제 저장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약제 저장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약제 저장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약제 저장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약제 저장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약제 저장 용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약제 저장 용기의 개략도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부호는, 문맥상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전형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대상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으며,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이한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의 사용은 문맥상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전형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물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약제 저장 용기는 압축기-기반 냉각 시스템과 통합된 제어식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약제 저장 용기는, 압축기-기반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의 부재시에도, 몇 일 또는 몇 주 단위로 측정되는 소정 기간에 걸쳐서 사전결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내부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조정 및 제어되는 증발 냉각 시스템을 포함한다. 약제 저장 용기의 사용 중에,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는 몇 주 또는 몇 달과 같은 연장된 기간 동안 소정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약제 저장 용기는 증발 냉각 시스템과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부속 시스템으로서 증발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체의 압축기-기반 냉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사전결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내부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0℃ 내지 10℃의 사전결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내부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2℃ 내지 8℃의 사전결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내부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약제 저장 용기는 예를 들어, 저장된 재료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0℃ 초과이지만 또한 약제의 생체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10℃와 같은 임계 역치 미만인 온도 범위 내에서 저장 온도가 유지되어야 하는 백신과 같은 약제의 저장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 용기는 표준 냉장 유닛의 소요 전력보다 작은 소요 전력과 같이, 증발 냉각의 속도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해 최소 전력을 필요로 한다. 약제 저장 용기는 소정 기간에 걸쳐서 저장 용기의 재사용을 허용하도록 재충전되거나, 보수되거나, 리프레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예상 온도 변동을 포함하여 상이한 주변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력 공급이 적어도 일부 시간에 간헐적이거나 불안정한 환경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일부의 약제 저장 용기는, 어떤 날은 보다 많은 전력이 이용가능하고, 어떤 날은 전력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이 평균 2 시간/일 동안만 이용가능한 경우에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일부의 약제 저장 용기는, 어떤 날은 보다 많은 전력이 이용가능하고, 어떤 날은 전력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이 평균 4 시간/일 동안만 이용가능한 경우에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일부의 약제 저장 용기는, 어떤 날은 보다 많은 전력이 이용가능하고, 어떤 날은 전력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력이 평균 6 시간/주 동안만 이용가능한 경우에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약제 저장 용기의 일부 실시예는 약제 저장 영역의 내부 온도를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외부 전원이 매일 작동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약제 저장 용기의 일부 실시예는 약제 저장 영역의 내부 온도를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해 외부 전원이 매주 작동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수동형(passive)이고 외부 전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수동(manual)이고, 외부 전력을 요구하지 않는다(예를 들면, 전력이 핸드 크랭크(hand crank) 또는 유사한 수동 메커니즘에 의해 공급됨).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력의 부재시에,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주변 온도가 계속해서 약 43℃인 경우에, 적어도 7일 동안 0℃ 내지 1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력의 부재시에,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주변 온도가 예를 들어 주야 사이클로 약 30℃ 내지 약 43℃의 범위에서 변동하는 경우에, 적어도 7일 동안 0℃ 내지 1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력의 부재시에,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주변 온도가 계속해서 약 43℃인 경우에, 적어도 14일 동안 0℃ 내지 1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력의 부재시에,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주변 온도가 예를 들어 주야 사이클로 약 30℃ 내지 약 43℃의 범위에서 변동하는 경우에, 적어도 14일 동안 0℃ 내지 1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력이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2 시간/일 이하만큼 이용가능한 상태에서,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주변 온도가 계속해서 약 43℃인 경우에, 0℃ 내지 1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약제 저장 영역을 무기한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력이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2 시간/일 이하만큼 이용가능한 상태에서,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주변 온도가 예를 들어 주야 사이클로 약 30℃ 내지 약 43℃의 범위에서 변동하는 경우에, 0℃ 내지 1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용기의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약제 저장 용기는 병원 또는 건강 전초기지(health outpost)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크기, 중량 및 형상을 갖고, 병원 또는 건강 전초기지에서 백신 및 열불안정성 약제와 같은 약제를 안정하게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같은 약제 저장 용기는 이동식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휴대가능하고, 연장된 기간 동안, 예를 들어 여행 일 전체에 걸쳐서 개인에 의해 휴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이동식이지만, 개인에 의해 용이하게 휴대가능하도록 반드시 구성되지는 않는다. 약제 저장 용기의 일부 실시예는 예를 들어 질량이 약 8Kg(킬로그램) 내지 약 15Kg의 범위를 갖는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질량이 약 8Kg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질량이 약 9Kg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질량이 약 10Kg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질량이 약 11Kg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질량이 약 12Kg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질량이 약 13Kg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질량이 약 14Kg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질량이 약 15Kg이다. 약제 저장 용기의 일부 실시예는 예를 들어 질량이 약 16Kg(킬로그램) 내지 약 25Kg의 범위를 갖는다. 약제 저장 용기의 일부 실시예는 예를 들어 질량이 약 26Kg(킬로그램) 내지 약 50Kg의 범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같은 약제 저장 용기는 의료 셋팅에 사용되는 표준 상부 개방형 냉장고 또는 냉동기(freezer)의 대략적인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약 1 제곱미터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각 변의 길이가 약 1 미터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1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1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2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2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3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3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4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4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5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5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6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6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7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7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8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8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9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95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전체 내부 용적이 약 100 리터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desiccant unit)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aperture)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도면에 나타낸 물품은 예시의 목적으로 반드시 일정한 축척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은 약제 저장 용기(100)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1의 개략도는 약제 저장 용기(100)의 내부 특징부를 도시하기 위해 실질적인 단면의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약제 저장 용기(100)는 도 1의 도면에서 맨 좌측에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약제 저장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150)을 에워싸는 외벽(151)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벽은 약제 저장 영역의 예상 온도에서 열전도성이도록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외벽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외벽은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외벽(151)은 접근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저장 유닛은 약제 저장 용기의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백신 또는 생물학적 제제(biologicals)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약제 제품과 함께 사용하도록 의도된 약제 저장 유닛 내의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위치 및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은 유선 커넥터(157)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159)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전자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화학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기계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바이메탈-기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열전쌍(thermocouple)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써모도 장치(Thermodo device)(덴마크 코펜하겐 소재의 로보캣(Robocat))와 같은 저에너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약제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약제 저장 영역을 차지하는 공간 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위치 및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약제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약제 저장 영역의 외벽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위치 및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는 약제 저장 영역 내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열이 외벽을 통해 전도하도록 예상되는 위치에서, 약제 저장 영역의 외벽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는 약제 저장 영역의 외벽에 있어서의 리세스(recess) 또는 만입부(indentation)에 부착되고, 리세스 또는 만입부는 약제 저장 영역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약제 저장 유닛은 외벽의 접근 개구부에 가역적으로 정합되는 뚜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약제 저장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의 상부 영역에 인접한 외벽에 위치된 힌지식 뚜껑을 포함하고, 힌지식 뚜껑은 사용자에 의한 약제 저장 영역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도면에서, 약제 저장 유닛은 힌지(153)로 약제 저장 용기(100)에 부착된 가역적인 부착식 뚜껑(155)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힌지식 뚜껑은 사용자에 의해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양방향 화살표로 뚜껑(155)의 개방 및 폐쇄의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약제 저장 유닛은 저장 중에 하나 이상의 약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내부 선반 또는 랙(rack)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제 저장 용기의 약제 저장 유닛은 종두의(vaccinator)와 같은 전문의에 의한 사용전의 저장시에 하나 이상의 주사가능 백신의 이차 포장재를 유지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하나 이상의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 또는 랙은 약제 저장 유닛의 외벽에 부착될 수 있다. 선반 또는 랙은 가역적인 부착식 뚜껑을 통한 접근에 대해 상대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바코드 스캐너 또는 RFID 태그 판독기와 같은 추가적인 재고 또는 추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약제 저장 유닛의 내부를 조명하도록 배치된 LED와 같은 전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1L(리터) 내지 약 5.0L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5L 내지 약 10.0L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1.5L 내지 약 4.0L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1.5L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2.0L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2.5L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3.0L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3.5L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4.0L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5.0L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7.5L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전체 내부 용적은 약 10.0L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100)는 약제 저장 유닛과 건조 유닛 사이에 위치된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은 약제 저장 유닛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 측벽, 및 건조 유닛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2 측벽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은 약제 저장 용기(100)의 대략적인 중심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는 복수의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는 약제 저장 용기의 단일 약제 저장 유닛의 대향하는 측벽들에 인접하게 위치된 2개의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는 4개의 냉각 유닛을 포함하며, 냉각 유닛 각각은 약제 저장 용기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약제 저장 유닛의 4개의 측벽 중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는 약제 저장 용기의 상이한 약제 저장 유닛에 인접하게 각각 위치된 2개의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냉각 유닛은, 외벽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측 영역; 상측 영역 아래에 위치된 하측 영역; 및 실질적으로 하측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 액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냉각 유닛은 증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증발 액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증발 액체(evaporative liquid)"는 약제 저장 용기의 사용 중에 증발 유닛의 내부 영역의 예상 온도 및 가스 압력 하에서 증발 특성을 갖는 액체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은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대기압의 약 5%의 가스 분압을 포함하고,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증발 액체는 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은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대기압의 약 10%의 가스 분압을 포함하고,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증발 액체는 메탄올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은 약제 저장 용기 외부의 대기압의 약 15%의 가스 분압을 포함하고,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증발 액체는 암모니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 액체는 증발 액체의 증발 잠재력을 증진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사용된 증발 액체의 용적은 증발 액체의 유형, 용기 사용 중의 약제 저장 영역의 온도 범위, 증발기 코일 유닛의 예상 온도, 용기에 사용된 단열재의 유형, 위치 및 양, 사용된 건조제의 유형, 용기 사용 중에 이용가능한 예상 외부 전력, 및 용기 사용 중의 예상 주변 온도를 포함하는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증발 액체의 전체 용적은 증발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전체 용적의 약 9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증발 액체의 전체 용적은 증발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전체 용적의 약 85%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증발 액체의 전체 용적은 증발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전체 용적의 약 8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냉각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의 2개 이상의 측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냉각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의 2개 측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냉각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의 3개 측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냉각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의 4개 측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영역은 실질적인 원형 외부를 갖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약제 저장 용기의 냉각 유닛은 실질적인 원형 외부와 가역적으로 정합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 외부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냉각 유닛은 내부 증발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연결된 액체 보유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보유 유닛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내부 표면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보유 유닛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연결된다. 액체 보유 유닛은 약제 저장 용기의 이송 또는 이동 동안에 내부 증발 영역 내에서 그리고 증기 도관 내로의 방울과 같은 소량의 증발 액체의 이동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보유 유닛은 액체의 방울이 통과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메시(mesh) 또는 스크린(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보유 유닛은 방울 또는 액적과 같은 보다 다량의 액체를 저지하면서 액체 보유 유닛을 통한 가스 및 액체 증기의 자유 유동을 허용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100)는 하나 이상의 외벽(115)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110)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115)은 개구부(13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133)는 냉각 유닛 외벽(115)의 상측부 내에 위치된다. 개구부(133)는 액밀(liquid-tight) 및 기밀(vapor-tight) 밀봉부(seal)에 의해 증기 도관(130)의 제1 단부(180)에 부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 용기(100)의 증기 도관(130)은 제1 단부(180) 및 제2 단부(185)를 가지며, 증기 도관(130)의 단부 각각은 증발 유닛(110) 및 건조 유닛(120) 각각의 상부 에지에 인접한 위치에서 증발 유닛(110) 및 건조 유닛(120)에 각각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도관"은 파이프, 튜브 또는 덕트와 같이, 중공형 내부 및 말단부에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갖는 구조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관의 내부 중공부는 실질적인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관의 내부 중공부는 실질적인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인 단면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관의 외부는 상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보이지만, 내부의 연속적인 공간은 부분적인 중공형 내부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증기 도관"은 증기 형태의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가스가 이 도관을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도관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도관(130), 증발 유닛(110) 및 건조 유닛(120)은 개별 구성요소로 제조되고, 그 후에 가스-불투과성 밀봉부와 함께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도관(130), 증발 유닛(110) 및 건조 유닛(120)은, 예를 들어 블로우-성형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실질적으로 단일 유닛으로서 제조된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증기 제어 유닛(140)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이고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증기 제어 유닛(140)은 전체적으로 증기 도관(130) 내부에 있고, 약제 저장 용기(100)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증기 제어 유닛은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의 결합부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는 증기 도관의 내부 크기 내에서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은 전체적으로 증기 도관 내부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은 증기 도관 외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증기 제어 유닛은 밸브 영역 및 제어 영역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은 예를 들어 유선 커넥터에 의해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증기 제어 유닛은 증기 도관을 통한 증기의 통과를 가역적으로 저지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증기 제어 유닛은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증기 도관을 통한 증기의 통과를 가역적으로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서의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증기 제어 유닛은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와 같은 기계적 밸브인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제어 유닛은 기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증기 제어 유닛은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는 증기 제어 유닛의 제어 영역에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된 버터플라이 밸브이다. 증기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증기 제어 유닛과 컨트롤러 사이에 연결된 유선 커넥터를 통해, 컨트롤러에 의해 송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한다. 밸브는 밸브 영역 내에서 적어도 2개의 위치, 즉 실질적인 개방 위치 및 실질적인 폐쇄 위치를 포함하도록 위치 및 크기설정된다. 밸브가 실질적인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증기 제어 유닛의 밸브 영역 내에서의 밸브의 크기는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의 가스 압력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에서의 증기를 포함하는 가스의 자유 유동을 허용한다. 밸브가 실질적인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밸브는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에서의 가스 유동을 실질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의 밸브는 모터에 직접 연결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는 서보모터이다. 예를 들면, 모터는 스테퍼 모터이다. 모터는 밸브에 직접 연결되고,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시에 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유발한다. 모터는 유선 커넥터에 의해 컨트롤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는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에서의 밸브를 통한 가스 유동을 부분적으로 저지하지만 가스 유동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밸브는 밸브를 통한, 그리고 그에 따라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에서의 가스 유동을, 완전 개방 위치에 비해 대략 절반만큼 감소시키는 위치, 또는 "절반-유동(half-flow)"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밸브는 밸브를 통한, 그리고 그에 따라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에서의 가스 유동을, 완전 개방 위치에 비해 대략 1/4의 유동만큼 감소시키는 위치, 또는 "1/4-유동(quarter-flow)"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선택적인 송신기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증기 제어 유닛의 제어 영역은 안테나, 및 이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송신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는 컨트롤러에 응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회로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면,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점, 모터의 활동에 대한 정보,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진 계산의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송신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 유닛은 예를 들어 Bluetooth™ 유닛일 수 있다. 송신기 유닛은 예를 들어 IR 송신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은 밸브 및 이동식 유닛을 포함하는 밸브 영역을 포함한다. 이동식 유닛은 밸브에 물리적으로 부착되고, 자극에 응답하여 밸브에 대한 물리적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 유닛은 밸브에 부착된 크랭크 메커니즘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 유닛은 디스크 및 이 디스크를 위한 물리적 시트(physical seat)를 포함하는 밸브 내부에 부착된 보닛(bonnet) 및 스템(stem)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는 도관의 물리적으로 변형가능한 영역을 포함하고, 이동식 유닛은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도관의 물리적으로 변형가능한 영역의 대향하는 외부 표면들에 대해 가압하도록 위치된 적어도 2개의 물리적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영역은 도관의 물리적으로 변형가능한 영역을 갖는 밸브 및 이 밸브의 외부 상에 가역적인 클램프를 포함하는 이동식 유닛을 포함하며, 이동식 유닛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 유닛은 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 유닛은 전체적으로 증기 제어 유닛 내부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 유닛은 증기 제어 유닛 외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식 유닛은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 예를 들어 온도에 응답하여 형태를 변화시키는 바이메탈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냉각 유닛 및 약제 저장 유닛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단열재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은 냉각 유닛 및 약제 저장 유닛을 둘러싸고 있는 단열재(113)를 갖는 약제 저장 용기(100)를 도시한다. 단열재는 예를 들어 폼 단열재(foam insul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진공-단열 패널(VIP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는 예를 들어 진공 공간에 의해 둘러싸인 다층-단열재(multilayer-insulation; MLI)의 내부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기반 단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는 예를 들어 세라믹 단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의 유형(들) 및 양은 약제 저장 영역의 예상 온도 범위, 용기에 대한 예상 주변 온도 범위, 및 용기에 의해 이용되는 외부 전력의 양을 포함하는 요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약제 저장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은 용기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은 냉각 유닛 내의 내부 증발 영역의 진공 공간에 인접한 영역에서 용기 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기 코일 유닛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은 건조 유닛에 근접한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은 실질적으로 냉각 유닛의 중앙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은 약제 저장 유닛에 근접한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는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 유닛은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적 핀(thermal fin) 및/또는 열적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열적 핀 및/또는 열적 플랜지는 냉각 유닛의 내부와 증발기 코일 유닛 사이에서 열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예를 들면, 냉각 유닛은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적 핀 및/또는 열적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열적 핀 및/또는 열적 플랜지는 냉각 유닛의 내부에 유지된 액체와 증발기 코일 유닛 사이에서 열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열전도 요소는 열전도성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도시된 약제 저장 용기(100) 실시예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190)을 포함하는 압축기 시스템(16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며, 압축기 시스템(160)은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기 코일 유닛(190)은 실질적으로 내부 증발 영역(110)의 중앙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기 코일 유닛은 실질적으로 내부 증발 영역의 외부에 위치된다. 내부 증발 영역(110)이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이도록 밀봉되지만,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190)은 냉각 유닛의 하부벽(115)을 횡단하는 와이어에 의해 압축기 시스템(160)의 나머지부에 연결된다. 압축기 시스템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160)은 유선 커넥터(165)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압축기 시스템(160)이 내부 증발 영역(110)의 하부벽(115)을 횡단하는 유선 커넥터(165)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일부 실시예는 측벽 또는 상부벽을 횡단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횡단 와이어는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기밀 및 액밀 밀봉부를 생성하도록 벽에 인접한 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은 단단 증기 압축 시스템(single-stage vapor compression system)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은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며, 증발기 코일 유닛은 폐-루프 시스템 내의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 밸브에 연결되고,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 밸브는 내부 증발 영역 외부에서 약제 저장 용기의 인접한 영역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증발 영역 외부에서 약제 저장 용기의 인접한 영역에 위치된 압축기 시스템의 부품은 약제 저장 용기의 베이스 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계량 장치(metering device)를 포함하며,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계량 장치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외부에 위치된다. 계량 장치는 예를 들어 팽창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 장치는 예를 들어 모세관 계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증발기 코일 유닛(190)이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 위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냉매 튜브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의 하부벽을 횡단하여 증발기 코일 유닛(190)을 냉각 유닛에 인접하게 위치된 압축기 시스템(160)의 나머지부에 연결한다. 냉매 튜브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벽을 횡단하는 위치(들)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증발 액체를 유지하기 위해, 증기-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밀봉부로 밀봉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은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압축기 시스템을 온(on) 및 오프(off)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은 내부 증발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유선 커넥터에 의해 컨트롤러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 위치된 온도 센서(119)를 도시하고, 온도 센서(119)는 유선 커넥터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부착된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전자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화학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기계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바이메탈-기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열전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써모도(Thermodo) 장치(덴마크 코펜하겐 소재의 로보캣)와 같은 저에너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증발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소정 위치에서 증발 액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위치 및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증발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증발 액체의 액면 위의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위치 및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증발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정기적으로, 예를 들면 매초, 매 5초, 또는 매 10초마다 검출된 온도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증발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컨트롤러로부터의 쿼리 신호(query signal)의 수신에 응답하여 검출된 온도에 관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약제 저장 용기는 약제 저장 용기의 다른 구성요소의 기능을 조절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전자식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식 컨트롤러는 "뱅-뱅(bang-bang)" 컨트롤러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식 컨트롤러는 경계 시스템 컨트롤러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식 컨트롤러는 역치 시스템 컨트롤러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식 컨트롤러는 피드백 시스템 컨트롤러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식 컨트롤러는 PID 컨트롤러이다. 컨트롤러는 메모리, 예를 들어 전자식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예를 들어 용기 내의 유닛들에 대한, 온도 및 압력과 같은, 허용가능한 파라미터의 범위를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용기의 외부 온도에 대한 특정 실시예의 약제 저장 영역의 예상 열 누설과 같은 계산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압축기 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100)는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100)는 유선 커넥터(165)에 의해 압축기 시스템(16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무선 커넥터에 의해 압축기 시스템에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전원(power source)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전력원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공공 전원 공급장치(municipal power supply), 발전기, 태양 전지판(solar panel), 또는 다른 전력원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170)는 예를 들어 벽 소켓을 통해 공공 전원 공급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유선 커넥터(175)에 부착된다.
컨트롤러는 특정 작동 및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는 부착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용하고 이 데이터가 사전설정된 범위 내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컨트롤러는 신호를 모터에 송신하여, 데이터가 사전설정된 범위 초과 또는 미만인 경우에 대해, 증기 제어 유닛의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온도 센서에서 비롯된 데이터를 수용하고, 그 데이터를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온도 센서로부터의 데이터가 사전설정된 범위 초과인 검출 온도를 나타내는 경우, 컨트롤러는 밸브 개방을 개시하도록 모터에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온도 센서에서 비롯된 데이터를 수용하고, 그 데이터를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온도 센서로부터의 데이터가 사전설정된 범위 내인 검출 온도를 나타내는 경우, 컨트롤러는 모터에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온도 센서에서 비롯된 데이터를 수용하고, 그 데이터를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온도 센서로부터의 데이터가 사전설정된 범위 미만인 검출 온도를 나타내는 경우, 컨트롤러는 밸브 폐쇄를 개시하도록 모터에 신호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한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는 2℃ 내지 8℃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는 3℃ 내지 7℃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는 -2℃ 내지 +2℃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온도 범위는 -3℃ 내지 -7℃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센서로부터 수용된 데이터와 사전결정된 목표 값 사이의 에러 값을 계산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계산은 단일 센서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라 수용된 데이터, 즉 다수의 데이터점을 포함할 수 있다. 계산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용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계산된 에러 값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예측되는 미래 에러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면, 회로는 조합된 에러 값을 계산한다. 계산된 과거, 현재 및 미래 에러 값의 계산된 조합이 사전설정된 설정점을 초과하는 경우, 회로는 밸브의 개방을 변경하도록 신호를 모터에 개시한다. 예를 들면, 증기 제어 유닛의 일부 실시예에 대한 사전설정된 설정점은 5℃이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계산된 과거, 현재 및 미래 에러 값의 조합이 사전설정된 설정점보다 높으면(예를 들면, 8℃), 컨트롤러는 신호를 모터에 송신하는데, 이 신호는 부착된 밸브를 개방하도록 모터를 개시하는 유형의 신호이다. 유사하게,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계산된 과거, 현재 및 미래 에러 값의 조합이 사전설정된 설정점보다 낮으면(예를 들면, 2℃), 컨트롤러는 신호를 모터에 송신하는데, 이 신호는 부착된 밸브를 폐쇄하도록 모터를 개시하는 유형의 신호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 증기 제어 유닛 및 내부 건조 영역 내의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구성요소, 예를 들어 온도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구성요소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상승된 온도를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신호를 증기 제어 유닛에 송신할 수 있는데, 이 신호는 증기 제어 유닛이 도관 내의 밸브를 개방하게 하여 증발 냉각 영역 내의 증발 냉각을 증대시키고, 그에 상응하여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유형의 신호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170)는 유선 커넥터(157)에 의해 약제 저장 영역(150) 내에 위치된 온도 센서(159)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170)는 또한 유선 커넥터(145)에 의해 증기 제어 유닛(14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유사하게, 컨트롤러(170)는 유선 커넥터에 의해 건조 영역(120) 내의 가열 요소(127)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유선 커넥터에 의해 가열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약제 저장 유닛 및 냉각 유닛을 둘러싸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100)는 약제 저장 유닛의 외향(outward-facing) 외벽(151) 및 냉각 유닛의 외향 외벽(115)을 둘러싸는 단열재(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열재는 또한 건조 유닛에 근접한 냉각 유닛의 외향 외벽에 맞대어 위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는 또한 약제 저장 용기의 약제 저장 유닛, 냉각 유닛 및 건조 유닛 사이의 대면하는 외벽의 외부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 단열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열재(117)는 약제 저장 유닛의 외벽(151)과 냉각 유닛의 외벽(115)의 대향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열재는 플라스틱-기반 폼 재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열재는 하나 이상의 진공 단열 패널(VIP 패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외부는, 예를 들어 흡수 동안에, 용기의 그러한 영역으로부터 열이 확산되게 하기 위해, 추가적인 단열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한 약제 저장 유닛의 외벽의 대향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 단열재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열 전달 유닛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열 전달 유닛은 약제 저장 용기의 내부로부터 냉각 유닛의 내부 내로의 열의 전달을 촉진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 하나 이상의 열사이펀(thermosyphon), 하나 이상의 히트 파이프(heat pipe) 또는 하나 이상의 증기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히트 파이프는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한 약제 저장 유닛의 외벽의 대향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 단열재 내에 위치되고, 약제 저장 용기의 내부로부터 냉각 유닛의 내부 내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 전달 유닛은 예를 들어 약제 저장 용기의 내부로부터 냉각 유닛의 내부 내로 열 에너지 또는 열을 전달하도록 위치 및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이 약제 저장 용기 아래에 위치된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이 베이스 유닛은 적어도 컨트롤러 및 압축기 시스템의 영역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은 베이스 유닛(105)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100)를 도시한다. 베이스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프레임 또는 밀폐된 상자형 구조체일 수 있다. 베이스는 예를 들어, 전문의와 같은 사용자에 의한 접근을 위해 약제 저장 용기의 상부를 위치시키기에 충분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외벽은 열전도성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를 포함한다.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개구부는 증기 도관의 일 단부에 증기-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밀봉부로 밀봉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100)는 건조 유닛(120)을 포함한다. 건조 유닛은 증기 도관의 내부 영역과 증기 접촉하는 내부 건조 영역을 포함하는 증기-밀봉된 챔버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건조 유닛(120)은 증기 도관(130)의 제2 단부(185)에 부착된다. 건조 유닛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120)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에 대해 먼 쪽의 벽을 따라 실질적인 평면 형태의 가열 요소(127)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요소는 전기 가열 요소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요소는 코일 형태로 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는 가열 요소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 예를 들어 건조 유닛 내의 가열 요소로부터 열을 분산하도록 위치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성 핀 또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요소는 건조 유닛 내의 건조제 재료를 균일한 분포로 가열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요소는 건조 유닛의 벽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요소는 건조 유닛의 벽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요소는 건조 유닛의 벽의 외부에 위치되고, 가열 요소는 전도 및/또는 대류에 의해 건조 유닛 내의 건조제 재료를 가열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은 내부 건조 영역 내의 건조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대기압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개방셀 금속 폼(open-cell metal foam)을 포함하고, 개방셀 금속 폼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가스를 분산시키도록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파이프는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가스를 분산시키도록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는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단열재를 포함한다. 단열재는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의 저장 영역을 둘러싸는 단열재보다 작은 단열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단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이동식 단열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동식 단열 유닛은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단열재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기계적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식 단열 유닛은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 유닛의 외부 표면의 비교적 많은 부분 또는 비교적 적은 부분을 덮도록 이동되게 구성된 슬라이딩 패널(sliding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건조 유닛의 외부 주위에 감겨지고, 그 후에 제거되도록 구성된 이동식 단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은 일방향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일방향 밸브 유닛은 사전설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압력을 갖는 가스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배기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건조 유닛은 건조 유닛 내의 가스 압력이 사전결정된 최대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개방되도록 구성된 블로우아웃 밸브(blow-out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방향 밸브 유닛은 예를 들어 용기의 안전 특징부일 수 있다.
약제 저장 용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을 포함하고,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한다. 약제 저장 용기는 또한 증기 도관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증기 제어 유닛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예를 들면, 도 1은 비선형 튜브 구조체인 증기 도관(130)을 도시한다. 증기 도관(130)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의 개구부(133)에 밀봉된 제1 단부(180)를 포함한다. 증기 도관(130)은 건조 유닛(120)의 벽 내의 개구부(135)에 밀봉된 제2 단부(185)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증기 도관(130)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단부(18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수직 제2 단부(185)는 이 수직 제2 단부(185)로부터 약 45도에 위치된 제1 단부(180)의 영역에 부착된다. 증기 도관(130)은 제1 단부(180)에 대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단부(185)의 결합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증기 도관(130)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140)을 포함하고, 제1 단부(180)는 수직 제2 단부(185)로부터 약 45도에 위치된다. 증기 제어 유닛(140)은 유선 커넥터(145)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건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과 냉각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 사이의 열 전도를 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 및 직경의 실질적인 튜브 구조체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건조 유닛과 냉각 유닛 사이의 열 에너지의 전도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과 냉각 유닛 사이의 열 에너지의 전도를 최소화하도록 신장되고 및/또는 각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증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증기 도관은 이 증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는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열적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증기 도관의 가스-불투과성 벽;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건조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 및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와 냉각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가로질러 외부적 파열가능 밀봉부(externally-breakable seal)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을 포함하고, 이 밀봉부는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증기 도관은 증기 도관의 내경부를 폐색하는 취약성 밀봉부로서 제조된 얇은 가스-불투과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밀봉부는 내부 밀봉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증기 도관의 외부 상을 세게 치는 것과 같은 외력에 의해 파열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증기 도관 내에서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1 온도 센서; 및 증기 도관 내에서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증기 도관은 이 증기 도관 및 컨트롤러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은 전체적으로 증기 도관 내부에 있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은 증기 도관과 일체형이다. 증기 제어 유닛은 증기 제어 유닛 내부의 도관의 내부 크기를 제어가능하게 증가 및 감소시켜서, 증기 제어 유닛을 통한, 그리고 그에 따라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사이에서의 증기 유동의 속도를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진공 시스템의 파이프 크기 및 압력 강하 계산(Calculating Pipe Sizes & Pressure Drops in Vacuum Systems)"(Section 9- Technical Reference, Rietschle Thomas Company) 참조.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서의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용기가 그 측부로 기울어지거나 뒤집히는 경우,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를 폐쇄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에 연결된 가속도계(accelerometer)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제어 유닛은 증기 도관의 내부 내의 하나 이상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위치된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제어 유닛은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제어 유닛은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제어 유닛은 진공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식 온도 센서, 화학식 온도 센서 또는 기계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써모도 장치(덴마크 코펜하겐 소재의 로보캣)와 같은 저에너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식 가스 압력 센서 또는 기계식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압력 측정을 위한 센서는 부르동관(Bourdon tube)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압력 측정을 위한 센서는 다이어프램-기반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측정을 위한 센서는 예를 들어 열전쌍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가스 압력, 가스 조성 및 온도의 복합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는 NODE 장치(미국 테네시주 채터누가 소재의 배리어블 테크놀로지스(Variable Technologies))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는, 예를 들어 유선 커넥터를 통해,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컨트롤러로부터 전력을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는 온도 센서인 센서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기계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예를 들어 전자식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실시예는 열전쌍, 바이메탈 온도 센서, 적외선 온도계, 저항 온도계 또는 실리콘 밴드갭(silicon bandgap) 온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온도 센서인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가스 압력 센서인 센서를 포함한다. 가스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부르동관과 같은 기계식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압력 센서는 모세관을 갖는 팽창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압력 센서는 예를 들어 전자식 가스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일부 실시예는 진공 센서인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증기 도관의 내부는 용기의 사용 전에 실질적으로 진공 배기되거나 대기압에 비해 낮은 가스 압력으로 있고, 그 후에 증발 액체로부터의 증발 동안에 진공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진공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는 용기 내의 증발 액체의 증발 속도 또는 전체 증발 레벨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 압력 센서는 압전저항 스트레인 게이지(piezoresistive strain gauge), 정전용량식 가스 압력 센서(capacitive gas pressure sensor), 또는 전자기식 가스 압력 센서(electromagnetic gas pressur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정전용량식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증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증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서의 증기 유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은 인접한 유닛들 사이를 횡단하는 튜브 구조체로서 구성된다. 증기 도관은, 용기의 최대 증발 냉각이 소망되는 상황에서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으로, 증발된 증기를 포함하는 충분한 가스가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증기 도관의 크기, 형상 및 배치는 용기의 크기, 용기에 소망되는 온도 범위, 증기 도관 내에서의 증기 이동의 가역적인 제어의 레벨, 및 특정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액체 및 건조제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포함하는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영역의 목표 온도 범위는 0 내지 10℃이고, 약제 저장 용기는 약 1 리터의 액체 물과, 1 리터 초과의 물을 흡수하기 위한 염화칼슘을 포함하는 대응하는 용적의 건조제 재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염화칼슘 핸드북, 특성, 형태, 저장 및 취급에 대한 지침서(The Calcium Chloride Handbook, A Guide to Properties, Forms, Storage and Handling)"(DOW Chemical Company, dated August 2003) 참조. 예시로서, 휴대용 냉각 유닛이 실질적으로 진공배기된 내부(즉, 300 mTorr 이하의 압력)로부터 시작하는, 증발 액체로서 물 및 건조제 재료로서 염화칼슘을 갖는 약제 저장 용기의 일부 실시예의 경우에, 밸브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매 시간마다 약 1 그램의 물이 증발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1 리터의 물 및 1.5kg의 염화칼슘은 약 25℃의 외부 주변 온도에 대해 대략 한달 동안 약 6℃와 9℃ 사이에서 증발 냉각 유닛을 유지할 수 있다. 예시로서, 휴대용 냉각 유닛이 실질적으로 진공배기된 내부(즉, 300 mTorr 이하의 압력)로부터 시작하는, 증발 액체로서 물 및 건조제 재료로서 염화칼슘을 갖는 약제 저장 용기의 일부 실시예의 경우에, 밸브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매 시간마다 약 2 내지 5 그램의 물이 증발할 것으로 추정된다. 증발 속도는 실시예의 구성 및 사용 사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유선 연결에 의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증기 제어 유닛 내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예를 들어 온도 또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용기 사용 중에, 약제 저장 영역 내에 위치된 온도 센서는 와이어를 통해 컨트롤러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수신된 데이터에 응답하여 증기 제어 유닛을 작동가능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전자식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식 컨트롤러는 약제 저장 영역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검출된 값이 사전결정된 범위 외인지 내인지를 결정한다. 결정에 따라서, 전자식 컨트롤러는 사전결정된 범위의 값으로 온도 또는 압력을 복귀시키도록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식 온도 센서가 9℃의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수신된 온도 데이터가 3℃ 내지 7℃의 사전결정된 범위 외에 있다고 결정할 것이다. 이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에 부착된 모터에 신호를 송신할 것인데, 이 신호는 밸브를 개방하도록 모터를 개시하는 유형의 신호이다. 다른 예시로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식 온도 센서가 1℃의 온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수신된 온도 데이터가 3℃ 내지 7℃의 사전결정된 범위 외에 있다고 결정할 것이다. 이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에 부착된 모터에 신호를 송신할 것인데, 이 신호는 밸브를 폐쇄하도록 모터를 개시하는 유형의 신호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러, 온도 센서 및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 사이의 상이한 유형의 연결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제어 유닛은 기계식 컨트롤러에 물리적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된 열전쌍을 포함하고, 기계식 컨트롤러는 그러한 물리적 압력을 밸브의 제어 요소에 전송하여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를 야기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예를 들어 IR 전송 또는 단파장 무선 전송(예를 들면, Bluetooth)을 통해, 시간 경과에 따라 검출된 온도에 관한 데이터를 전자식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전자식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도 2는 사용시의 용기의 양태를 나타내는 약제 저장 용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성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도면에서, 증발 영역(110)은 이 증발 영역(110)의 하부 부분에 존재하는 증발 액체(200)를 포함한다. 증발 액체(200)는 액체 저장 용기(100)의 증발 영역(110) 내에 상부 표면(203)을 갖는다. 증발 액체(200)의 상부 표면(203) 위에는 공간(240)이 존재한다. 이 공간(240)은 증발 액체(200) 위의 공간(240)으로부터 도관(130)의 제1 단부(180)를 통해 가스 또는 증기가 자유롭게 유동하게 하도록 위치된다.
도 2는 또한 건조 유닛(120) 내에 위치된 건조제 재료(250)를 도시한다. 건조제 재료(250)의 유닛은 건조 특성, 또는 주위 공간 내의 액체 증기로부터 액체를 제거하는 능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로 제조된다. 건조제 재료의 유닛은, 예를 들어 주위 공간 내의 수증기로부터 물의 흡수 또는 흡착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선택된 건조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특히 특정 용기와 일체형인 특정 증발 냉각 유닛을 작동시키는데 요구되는 추정된 기간 동안 액체를 흡수하기에 충분한 양의 건조제 재료의 요구 용적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된 건조제 재료의 유닛은 일상적인 작동 상태 하에서 고체 재료일 것이다. 건조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은 비건조제 재료, 예를 들어 결합재(binding material), 뼈대재(scaffolding material), 또는 지지재(support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은 2개 이상의 유형의 건조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약제 저장 용기는 몇 일 또는 몇 주 동안 증발 냉각과 함께 사용하도록 의도되고, 충분한 건조제 재료 및 대응하는 증발 액체가 임의의 주어진 실시예에서 그러한 기간 동안 포함된다. 액체-건조제 재료 쌍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위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사하(Saha) 등의 "실리카 겔 내 CaCl2-물 시스템을 이용하는 차세대 냉각 장치(A New Generation Cooling Device Employing CaCl2-in-silica Gel-water System)"(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52: 516-524 (2009)) 참조. 특정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건조제 재료의 선택은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의 목표 냉각 온도 범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제 재료는 탄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제 재료는 염화리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제 재료는 액체 암모니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제 재료는 제올라이트(zeolit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제 재료는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제 재료에 관한 보다 많은 정보는, 다우드(Dawoud) 및 아리스토브(Aristov)의 "수착 히트 펌프의 전형적인 작동 상태 하에서 선택적인 물 흡수제, 실리카 겔 및 알루미나에 대한 수증기 수착의 반응속도론에 관한 실험적 연구(Experimental Study on the Kinetics of Water Vapor Sorption on Selective Water Sorbents, Silica Gel and Alumina Under Typical Operating Conditions of Sorption Heat Pumps)"(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46: 273-281(2004)); 콩데-프티(Conde-Petit)의 "염화 리튬 및 칼슘의 수용액: - 공조 장비 디자인에 사용하기 위한 특성 정형화(Aqueous Solutions of Lithium and Calcium Chlorides: - Property Formulations for Use in Air Conditioning Equipment Design)"(M. Conde Engineering, (2009)); "제올라이트/물 냉장기(Zeolite/Water Refrigerators)"(BINE Informationsdienst, projektinfo 16/10); "염화칼슘 핸드북: 특성, 형태, 저장 및 취급에 대한 지침서(Calcium Chloride Handbook: A Guide to Properties, Forms, Storage and Handling)"(Dow Chemical Company, (August, 2003)); "염화칼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지침서(Calcium Chloride, A Guide to Physical Properties)"(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Form No. 173-01791-0809P&M); 및 레스투치아(Restuccia) 등의 "고체 수착 칠러용 선택적인 물 흡수제: 실험 결과 및 모델링(Selective Water Sorbent for Solid Sorption Chiller: Experimental Results and Modelling)"(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27:284-293(2004))에서 입수가능하고, 이들 문헌 각각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제 재료는 일상적인 취급 지침 하에서 비독성인 것으로 고려된다. 건조제 재료의 선택은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소망되는 전체 약제 저장 용기의 열적 특성을 보유하기 위해, 재료의 임의의 발열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사용 중에, 약제 저장 용기는 외부 전력 가용성을 포함하여, 상태에 따라서 상이한 작동 모드를 갖는다. 신뢰성있는 전원, 예를 들어 공공의 정상 전원 공급장치 또는 작동중의 태양광 발전(solar power)이 이용가능한 상황에서, 컨트롤러는 용기의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정상 온도 범위를 유지하기에 충분하게 증발기 코일을 작동시킬 수 있다.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컨트롤러에 송신된 정보는, 예를 들면, 증발 액체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압축기 시스템을 온 또는 오프하는 컨트롤러 송신 신호의 근간이 될 수 있다. 증발 액체는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를 최소의 온도 플럭스를 갖는 사전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하는 열적 안정기(thermal ballast)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기 코일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증발 액체를 냉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기 코일 유닛은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증발 액체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저장 용기는 예를 들어 압축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전력의 부재시에 컨트롤러를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일부 전력 예비량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어떤 시점에서, 약제 저장 용기를 위한 전원이 더 이상 이용가능하지 못할 것이 예상된다. 예를 들면, 공공 전력 시스템이 비상사태 또는 용량 부족으로 인해 가동될 수 없거나, 태양광 발전이 야간에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증발 액체의 열 매스(thermal mass)는, 증발 액체의 매스, 그것의 열적 특성, 약제 저장 용기의 단열 파라미터, 저장 영역의 온도 범위, 및 용기에 대한 주변 온도를 포함하는 요인에 따라서, 소정 기간 동안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를 유지할 것이다. 압축기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전력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제공되는 예비 전력에 기초하여 계속해서 작동할 것이다. 적절한 온도 범위 내에 약제 저장 영역을 유지하기 위해 약제 저장 영역이 냉각을 필요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온도 센서가 컨트롤러에 송신할 때에, 그에 따라 컨트롤러는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를 개방하여, 증발 액체의 증발 및 증발 액체로부터의 증기의 건조제에의 접근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 액체는 냉각되고, 따라서 적절한 온도 범위의 약제 저장 영역에 대한 열적 안정기로서 계속해서 작용할 것이다.
시간 경과에 따라, 냉각 유닛 내에 초기에 존재한 증발 액체의 매스의 일부는 증기 도관을 통해 이동하는 증기로서 건조 유닛의 내부로 이송될 것이다. 그러므로, 용기는 이 용기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건조 유닛으로부터 증기 도관을 통해 증발 액체의 재충전을 주기적으로 필요로 할 것이다. 냉각 유닛의 내부, 증기 도관 및 건조 유닛이 가스-밀봉 및 액체-밀봉된 연속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증발 액체는 증기로서 냉각 유닛으로 복귀되어 시스템을 재충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용기의 재충전 사이클의 작동을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버튼 또는 유사한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재충전 사이클을 시작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는, 이용가능한 외부 전력의 공급, 주변 온도, 냉각 유닛에 현재 존재하는 증발 액체의 온도,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 및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에 대해 사전설정된 요인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위한 재충전 사이클을 활성화한다. 재충전 중에, 컨트롤러는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의 가열을 개시한다. 히터가 사전설정된 기간 동안 사전결정된 온도까지 활성화된다. 가열 요소에 대한 시간 및 온도 설정은 실시예에 따라서, 예를 들어 용기 내에 존재하는 건조제 및 증발 액체의 유형, 및 건조 유닛 및 그 내부 건조 영역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달라진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요소는 재충전 사이클 동안에 적어도 30분 동안 300℃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 요소는 재충전 사이클 동안에 적어도 60분 동안 250℃로 유지된다. 가열 요소가 고온인 시간 동안에, 건조 유닛 내의 건조제와 연관된 증발 액체는 증기로 변환된다. 증기는 증기 도관을 통해 이동하고 냉각 유닛의 비교적 저온인 내부 증발 영역 내에서 응결된다. 가열 요소가 오프된 후에, 건조 유닛은 예를 들어 복사 냉각을 통해 냉각될 수 있고, 재충전 사이클이 완료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증발 액체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서 응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압축기 시스템이 작동 중일 때에만 재충전 사이클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냉각 프로세스를 위한 충분한 복사 가열을 보장하기 위해, 용기에 대한 주변 온도가 사전결정된 역치 레벨 미만일 때에만 재충전 사이클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은 건조 유닛 내의 가스 압력이 역치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개방되도록 구성된 일방향 블로우 밸브를 포함한다.
재충전 시스템이 건조제 또는 증발 액체의 교체없이 용기의 사용 수명에 걸쳐서 수차례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면, 약제 저장 용기가 매달 재충전되고 10년 동안 가동 사용 예정이라고 가정하면, 용기는 적어도 120회(10년 동안 연간 12회) 재사용을 위해 재충전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용기 구성의 건조제 및 증발 액체를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면, 약제 저장 용기가 격주로 재충전되고 5년 동안 가동 사용 예정이라고 가정하면, 용기는 적어도 130회(5년 동안 연간 26회) 재사용을 위해 재충전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용기 구성의 건조제 및 증발 액체를 포함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건조제 또는 증발 액체의 교체없이 용기의 다년 사용에 걸쳐서 적어도 200회 재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약제 저장 용기는 낮은 및/또는 간헐적인 전력 이용가능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약제 저장 용기는 전력이 이용가능한 경우에 압축기-기반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전력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증발 액체는 약제 저장 영역에 대한 냉각을 유지하는 열적 안정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증발 액체는, 사전결정된 온도를 초과하여 데워지는 경우, 외부 전력의 부재시에 증발 냉각을 통해 재냉각될 수 있다. 또한, 용기는, 외부 전력이 이용가능하고 상태가 보장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증발 냉각 시스템을 재충전할 수 있다.
도 3은 약제 저장 용기(100)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약제 저장 영역(150)을 에워싸는 외벽(151)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약제 저장 영역(150)은 유선 커넥터(157)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온도 센서(159)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약제 저장 용기(100)는 또한 외벽(115)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외벽(115)은 내부 증발 영역(110)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외벽은 개구부(133)를 포함한다. 약제 저장 용기(100)는 내부 건조 영역(120)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된 외벽(320)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고, 외벽(320)은 개구부(135)를 포함한다. 약제 저장 용기(100)는 제1 단부(180) 및 제2 단부(185)를 갖는 증기 도관(130)을 포함하고, 증기 도관(130)의 제2 단부(185)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135)를 둘러싸는 외벽(32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130)의 제1 단부(180)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133)를 둘러싸는 외벽(115)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130)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120)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한다. 약제 저장 용기(100)는 또한, 내부 건조 영역(120)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127), 및 이 가열 요소(127)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190)을 포함하는 압축기 시스템(160)을 포함하고, 압축 시스템(160)은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는 증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면 센서를 포함하고, 액면 센서는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증발 액체 액면을 검출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액면 센서는 증발 액체의 표면(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표면(203))을 검출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액면 센서는, 증발 액체 액면이 특정 위치, 예를 들어 증발 냉각 유닛의 열적 특성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증발 액체가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사전결정된 최소 위치보다 적어도 높은 것을 검출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증발 영역(110)은 액면 센서(310)를 봉입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액면 센서는 홀 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gap)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건조 유닛의 외벽(320)과 증발 냉각 유닛의 인접한 외벽(115) 사이에 위치된 갭(300)을 포함한다. 갭은 예를 들어 증발 냉각 유닛과 건조 유닛의 인접한 측부들 사이의 빈 공간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이 갭은 증발 냉각 유닛에의 최소의 열 전달에 의해 건조 유닛의 복사 냉각을 촉진시키기에 충분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 냉각 유닛 및 건조 유닛 모두는 이들 유닛의 하부면에서 약제 저장 용기(100)의 베이스(105)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 및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팬(fan)을 포함하고, 이 팬은 갭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팬은 갭 내의 온도가 사전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동하도록 구성된 수동-제어식 팬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팬은 건조 유닛 내의 가열 요소가 작동할 때마다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는 갭 내 및/또는 갭 주위에 위치된 복수의 팬을 포함하고, 팬은 갭 내의 공기 유동을 증대시키도록 배향 및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3은 건조 유닛의 측벽과 증발 냉각 유닛의 인접한 측벽 사이에 위치된 갭(30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약제 저장 용기(100)는 또한, 갭(300)의 상부 에지에 위치된 팬(305)을 포함하고, 팬은 갭(30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갭에 인접하게 위치된 팬의 작동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갭에 인접하게 위치된 팬의 작동은 건조 유닛의 내부 내에 위치된 온도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응답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팬(305)은 유선 커넥터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센서(129)는 또한 유선 커넥터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는 증기 도관의 제1 단부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증기 도관의 제1 단부 및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내에 위치된 온도 센서는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증기 도관의 제1 단부 및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내에 위치된 온도 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에 의해 센서 데이터를 컨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증기 도관의 제1 단부 및 증기 도관의 제2 단부 내에 위치된 온도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뿐만 아니라, 용기의 약제 저장 영역 내에 위치된 온도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에 응답하여, 증기 제어 유닛을 작동하여, 예를 들어 증기 제어 유닛 내의 밸브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약제 저장 용기(100)의 일 실시예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증기 도관(130)의 제1 단부(180) 내에 위치된 제1 온도 센서(410) 및 증기 도관(130)의 제2 단부(185) 내에 위치된 제2 온도 센서(400)를 포함한다. 제1 온도 센서(410) 및 제2 온도 센서(400) 모두는 유선 커넥터(145)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부착된다. 용기(100)는 또한 건조 유닛의 외벽과 증발 냉각 유닛의 인접한 외벽 사이에 위치된 갭(300)을 포함한다. 팬(305)이 갭 내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는 외부 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열전도 요소를 갖는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증기 도관(130)의 제1 단부(180)는 도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열적 핀인 복수의 열전도 요소(42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는 도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열적 핀인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고, 이 핀은 도관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된다. 열전도 요소는, 예를 들어 증기 도관의 내부 표면 상에의 증발 액체의 응결을 촉진하기 위해, 증기 도관으로부터의 열 복사를 증대시키도록 구성 및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는 동결 상태의 하나 이상의 증발 액체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외부 전력이 이용가능한 경우, 압축기 시스템은 용기와 함께 사용시에 특정 증발 액체(들)의 빙점 아래의 온도까지 증발 냉각 유닛 내의 냉장기 코일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결된 증발 액체는, 외부 전력이 이용가능하지 않거나 불충분할 때, 또는 증발 액체의 빙점 아래의 온도로 약제 저장 영역의 내부를 유지하기 위해, 열적 안정기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약제 저장 용기(100)의 일 실시예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100)는 온도 센서(159)가 내부에 위치된 약제 저장 영역(150)을 포함한다. 온도 센서(159)는 유선 커넥터(157)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연결된다. 용기(100)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 위치된 액면 센서(310)를 포함한다. 액면 센서(310)는 약제 저장 영역(150)에 인접한 냉각 유닛의 벽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액면 센서는 검출된 액면에 관한 정보를 유선 커넥터(315)를 통해 컨트롤러(17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은 또한, 약제 저장 영역(150)에 인접한 냉각 유닛의 벽과는 반대측인, 건조 유닛에 인접한 냉각 유닛의 벽에 근접하게 위치된 증발 코일 유닛(190)을 포함한다.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는 2개의 온도 센서(510, 520)가 위치되고, 온도 센서 중 하나(510)는 액면 센서(310)의 상측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온도 센서 중 하나(520)는 액면 센서(310)의 하측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액면 센서(310)에 인접하게 위치된 온도 센서(510, 520)는 온도 센서 데이터를 유선 커넥터(530)를 통해 컨트롤러(17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용기(100)는 선택적으로, 증기 도관(130)의 제1 단부(180)에 부착된 냉각 유닛의 외벽 내의 개구부(133)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3 온도 센서(5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그 사용 사이클의 단계 동안의,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약제 저장 용기(100)의 양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단계에서는, 외부 전력이 이용가능하고, 압축기 시스템(160)이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의 증발 코일 유닛(190)을 증발 액체의 동결 온도 아래의 온도까지 냉각시키도록 작동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 액체가 물이고, 증발 코일 유닛은 물을 0℃ 미만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 및 단계에서, 증발 액체(200)는 증발 코일 유닛(190)에 인접한 동결된 부분 및 액면 센서(310)에 인접한 액체 부분을 포함한다. 증발 액체(200)의 액체 부분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 액체 표면(203)을 갖는다. 증발 액체(200)의 동결된 부분은 액면 센서(190)에 인접하게 위치된 온도 센서(510, 520)와 증발 코일 유닛(190) 사이의 위치에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110) 내에 위치된 면(600)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실시예 및 사용 사례에서, 압축기 시스템은 충분한 외분 전력이 이용가능한 경우에 작동할 수 있다. 압축기 시스템은 증발 코일 유닛을 통해 증발 액체의 동결 온도 아래의 온도까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증발 액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시간 경과에 따라, 증발 액체의 일부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결될 것이다. 외부 전력 공급이 중단되거나 차단되면, 냉각 및 동결된 증발 액체는 약제 저장 영역의 지속적인 냉각을 위치한 열적 안정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외부 전력 공급이 충분한 기간 동안 지속되면,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의 온도 센서는 내부 증발 영역이 동결된 증발 액체로 거의 충전되고 있다는 정보를 컨트롤러에 제공할 것이다. 유사하게, 액면 센서는,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가 동결하기 시작하고 액면 센서가 자유 유동하는 액체 내에서 예상대로 더 이상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 정보를 컨트롤러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된 정보에 응답하여, 컨트롤러는 증발 코일 유닛의 작동을 정지하거나 축소시키도록 신호를 압축기 시스템에 송신할 수 있다. 이어서, 컨트롤러는, 온도 센서 또는 액면 센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정보에 응답하여 후속 시간에 증발 코일 유닛의 작동을 시작하거나 증대시키도록 신호를 압축기 시스템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과 열 접촉하는 냉동기 유닛;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도 7은 약제 저장 용기(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100)는 외벽(320)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고, 외벽(320)은 내부 건조 영역(120)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외벽(320)은 개구부(135)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내부 건조 영역(120)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127)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127)는 유선 커넥터에 의해 약제 저장 용기(100)의 컨트롤러(170)에 부착된다. 도 7은 또한, 외벽(115)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외벽(115)은 내부 증발 영역(240)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외벽(115)은 개구부(133)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240)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190)을 포함하는 압축기 시스템(160)을 포함하고, 압축 시스템(160)은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증발기 코일 유닛(190)은 용기(100)의 약제 저장 영역(150)에 인접한 냉각 유닛의 외벽(115)에 대해 멀리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외벽(740)을 포함하는 냉동기 유닛(700)을 포함하고, 냉동기 유닛(700)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240)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190)과 열 접촉한다. 도 7은 제1 단부(180) 및 제2 단부(185)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130)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증기 도관(130)의 제2 단부(185)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135)를 둘러싸는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130)의 제1 단부(180)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133)를 둘러싸는 외벽(115)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130)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120)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240)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140)은 증기 도관(130)에 부착되고, 또한 유선 커넥터(145)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약제 저장 영역(150)을 에워싸는 외벽(151)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약제 저장 영역(150)은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온도 센서(159)를 포함한다.
도 7은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240)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190)에 인접하게 위치된 냉동기 유닛(700)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동기 유닛(700)은 하나 이상의 아이스 팩(730)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의 하나 이상의 벽(740)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냉동기 유닛의 벽은 냉동기 유닛 내의 하나 이상의 WHO-승인된 표준 아이스 팩을 고정하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동기 유닛의 벽은 열전도성 금속과 같은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동기 유닛의 벽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냉동기 유닛은, 사용자가 냉동기 유닛 내의 재료에 접근하게 하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의 개구부, 및 이 개구부에 가역적으로 부착된 커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커버는, 이 커버가 제위치에 있을 때 냉동기 유닛으로부터의 열 누설을 감소시키지만 냉동기 유닛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냉동기 팩을 제거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커버를 가역적으로 제거하게 하도록 위치 및 구성된 단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도 7은 냉동기 유닛(700) 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위치된 온도 센서(710)를 갖는 냉동기 유닛(700)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센서(710)는 유선 커넥터(720)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온도 데이터와 같은 온도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의 냉동기 유닛은, 내부 냉동기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1 측부, 및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의 외부 표면과 열 접촉하도록 위치된 제2 측부를 갖는 열전도성 벽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7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 재료로 제조된 벽(740)을 포함하는 냉동기 유닛(700)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도면에서 냉동기 유닛(700)의 좌측에 배치된 냉동기 유닛 벽(740)은 내부 냉동기 영역(예를 들면, 도 7의 도면에 대해 우측)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1 측부 및 증발기 코일 유닛(190)의 외부 표면과 열 접촉하도록 (예를 들면, 도 7의 도면에 대해 좌측에) 위치된 제2 측부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측부 및 제2 측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의 대향하는 양 측부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열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8은 외벽(320)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100)를 도시하고, 외벽(320)은 내부 건조 영역(120)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외벽(320)은 개구부(135)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내부 건조 영역(120)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127), 및 유선 커넥터에 의해 가열 요소(127)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170)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외벽(115)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외벽(115)은 내부 증발 영역(240)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외벽(115)은 개구부(133)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240) 내에 위치된 증발기 코일 유닛(190)을 포함하는 압축기 시스템(160)을 포함하고, 압축 시스템(160)은 유선 커넥터(165)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제1 단부(180) 및 제2 단부(185)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130)으로서, 증기 도관(130)의 제2 단부(185)가 건조 유닛의 개구부(135)를 둘러싸는 외벽(32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130)의 제1 단부(180)가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133)를 둘러싸는 외벽(115)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130)이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120)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240)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130), 및 증기 도관(130)에 부착되고, 유선 커넥터(145)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140)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약제 저장 영역(150)을 에워싸는 외벽(151)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약제 저장 영역(150)은 유선 커넥터(157)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온도 센서(159)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또한 증기 도관(130)에 부착된 열 제어 유닛(800)을 포함한다. 도시된 열 제어 유닛(800)은 제1 단부(180)에 인접한 증기 도관(130)의 외부에 부착된다. 열 제어 유닛(800)은 유선 커넥터(145)에 의해 컨트롤러(170)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열 제어 유닛은 냉각 표면이 증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펠티에 장치(peltier device)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펠티에 장치는 증발 액체로부터의 응결물을 증기 도관 내에 형성하고 중력 유동을 통해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내부로 복귀시키는 것을 촉진시키기에 충분하게 증기 도관의 내부 표면을 냉각시키도록 계산된 증기 도관 상의 위치에 구성 및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열 제어 유닛은 증기 도관과 열 접촉하는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증발기 코일 유닛은 압축기 시스템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증발기 코일 유닛은 냉각 유닛 내의 것과 별개이고 컨트롤러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증발기 코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증발기 코일 유닛은 냉각 유닛 내의 것과 병렬인 증발기 코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증발기 코일 유닛은 증발 액체로부터의 응결물을 증기 도관 내에 형성하고 중력 유동을 통해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내부로 복귀시키는 것을 촉진시키기에 충분하게 증기 도관의 내부 표면을 냉각시키도록 계산된 증기 도관 상의 위치에 구성 및 위치될 수 있다. 열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증기 도관 내에 또는 증기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된 온도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응답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열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재충전 사이클 동안 가열 요소를 온하는 것과 연계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수준은 시스템의 양태들의 하드웨어, 소프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펌웨어 구현 사이에 남겨진 차이가 거의 없는 정도까지 발전했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특정 상황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선택이 중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용 대 효율 트레드오프(tradeoff)를 나타내는 디자인 선택사항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펌웨어)이 존재하며, 바람직한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발전되는 상황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예를 들면, 실시자(implementer)가 속도 및 정밀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하는 경우, 실시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유연성이 가장 중요한 경우, 실시자는 주로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구현을 선택할 수 있고; 또는 또 다른 대안으로, 실시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펌웨어의 일부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또는 장치 및/또는 다른 기술이 실행될 수 있는 몇 개의 가능한 수단이 존재하며, 이용될 임의의 수단이 수단의 발전 상황 및 실시자의 특정 관심사항(예를 들면, 속도, 유연성, 또는 예측성)에 의존하는 선택사항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수단들 중 어떠한 것도 다른 것보다 본질적으로 우수하지는 않으며, 이들 중 임의의 것이 변화될 수도 있다. 구현예의 광학적 양태는 전형적으로, 광학적으로 배향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펌웨어를 이용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구현예에 있어서, 논리 및 유사한 구현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제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회로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 및 배열되는 전류의 하나 이상의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매체는, 이러한 매체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행하도록 작동가능한 장치 검출가능한 명령을 유지하거나 전송할 때, 장치-검출가능한 구현예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변형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구현예는, 예컨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작동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명령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펌웨어, 또는 게이트 어레이 또는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의 갱신 또는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예에서, 구현예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특수 목적 구성요소를 실행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호출하는 범용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 또는 다른 구현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형의 전송 매체의 하나 이상의 실례에 의해, 선택적으로 패킷 전송에 의해 또는 다르게는 다양한 시간에 분산된 매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구현예는 특수 목적 명령 시퀀스를 실행하는 것,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사실상 임의의 기능 작동의 하나 이상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거나, 트리거링(triggering)하거나, 조정(coordinating)하거나, 요청(requesting)하거나, 유발하기 위한 회로를 호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변형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의 작동 또는 다른 논리 설명은 소스 코드(source code)로서 표현되고, 실행가능한 명령 시퀀스로서 컴파일링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호출될 수 있다. 일부 맥락에 있어서, 예를 들면, 구현예는 C++ 또는 다른 코드 시퀀스와 같은 소스 코드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소스 또는 다른 코드 구현예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및/또는 본 기술분야의 기술을 사용하여, 고급 기술 언어로 컴파일링/실행/번역/변환될 수도 있다(예를 들면, C 또는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설명된 기술을 초기에 구현하고, 그 후에 프로그래밍 언어 구현을 논리-합성가능한 언어 구현, 하드웨어 기술 언어 구현, 하드웨어 디자인 시뮬레이션 구현, 및/또는 다른 이러한 유사한 표현 모드(들)로 변환함). 예를 들면, 논리 표현(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구현)의 일부 또는 모두는 (예를 들면, 하드웨어 기술 언어(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DL) 및/또는 초고속 집적 회로 하드웨어 기술 언어(Very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ardware Descriptor Language; VHDL)를 통해) 베릴로그형 하드웨어 기술(Verilog-type hardware description), 또는 다음에 하드웨어(예를 들면,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를 갖는 물리적 구현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회로 모델로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의 몇 개의 부분은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또는 다른 통합 포맷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일부 양태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으로서, 펌웨어로서, 또는 사실상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집적 회로에서 동등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에 의해 발생된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배포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배포를 실제로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유형의 신호 보유 매체(signal bearing medium)와 무관하게 적용된다. 신호 보유 매체의 예는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디지털 테이프, 컴퓨터 메모리 등과 같은 기록가능형 매체; 및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통신 매체(예를 들면,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waveguide), 유선 통신 링크, 무선 통신 링크(예컨대, 송신기, 수신기, 전송 로직, 수신 로직 등) 등)와 같은 전송형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및/또는 사실상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광범위한 전기 구성요소를 갖는 다양한 유형의 전기기계적 시스템; 및 강체, 스프링 또는 비틀림 본체, 유압기기, 전자기 작동식 장치, 및/또는 사실상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기계적 힘 또는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광범위한 구성요소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기계적 시스템"은, 변환기(예를 들면, 액추에이터, 모터, 압전 결정, 마이크로 전기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등)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이산 전기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범용 컴퓨팅 장치(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또는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범용 컴퓨터,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또는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메모리(예컨대, 랜덤 액세스, 플래시, 판독 전용 등)의 형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통신 장치(예를 들면, 모뎀, 통신 스위치, 광전 장비 등)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및/또는 광학 또는 다른 유사물(그래핀(graphene) 기반 회로)과 같은 그에 대한 임의의 비전기적 유사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기기계적 시스템의 예는 다양한 소비자 전자기기 시스템, 의료 장치, 및/또는 통신/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광범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하드웨어 사양의 역할을 하는 고급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양태는 다양한 유형의 "전기 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이산 전기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적어도 하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를 갖는 전기 회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범용 컴퓨팅 장치(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또는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범용 컴퓨터,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 및/또는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메모리(예컨대, 랜덤 액세스, 플래시, 판독 전용 등)의 형태)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 및/또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모뎀, 통신 스위치, 광전 장비 등)를 형성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은 때때로 상이한 다른 구성요소 내에 포함되거나 그와 연결되는 상이한 구성요소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한 도시된 아키텍처(architecture)는 예시일 뿐이고, 사실상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많은 다른 아키텍처가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념적인 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임의의 배열은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효과적으로 "연관"된다. 따라서, 특정 기능을 달성하도록 조합된 본 명세서의 임의의 2개의 구성요소는, 아키텍처 또는 중간 구성요소와 무관하게, 원하는 기능이 달성되도록 서로 "연관되는" 것으로서 보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렇게 연관된 임의의 2개의 구성요소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또는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고, 그렇게 연관될 수 있는 임의의 2개의 구성요소는 또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작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것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작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한 것의 특정 예는 물리적으로 정합가능한 및/또는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가능한 및/또는 무선으로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및/또는 논리적으로 상호작용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고 및/또는 임의의 출원 데이터 시트에 열거된 상기의 미국 특허,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미국 특허 출원, 외국 특허, 외국 특허 공개 및 비특허 공개 문헌 모두는 본 명세서와 모순되지 않는 범위까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대상의 양태는 하기의 번호 부여된 절에 기술되어 있다.
1.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2.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건조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증기 도관의 내부 영역과 증기 접촉하는 내부 건조 영역을 포함하는 증기-밀봉된 챔버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일방향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일방향 밸브 유닛은 사전설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압력을 갖는 가스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배기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대기압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개방셀 금속 폼을 포함하고, 개방셀 금속 폼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가스를 분산시키도록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파이프는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가스를 분산시키도록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이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코일 형태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가열 요소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전자식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5.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6.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7.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8.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유선 커넥터에 의해 가열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9.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압축기 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0.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전력원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1.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외벽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측 영역; 상측 영역 아래에 위치된 하측 영역; 및 실질적으로 하측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2.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증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3.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연결된 액체 보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4.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5.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6.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액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7.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이 건조 유닛에 근접한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8.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이 실질적으로 냉각 유닛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29.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이 약제 저장 유닛에 근접한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0.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이,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팽창 밸브를 포함하며,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팽창 밸브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1.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압축기 시스템을 온 및 오프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2.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건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과 냉각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 사이의 열 전도를 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 및 직경의 실질적인 튜브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3.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건조 유닛과 냉각 유닛 사이의 열 에너지의 전도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4.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5.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가스-불투과성 벽;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건조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 및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와 냉각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6.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가로질러 외부적 파열가능 밀봉부를 포함하고, 밀봉부는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7.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 내에서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1 온도 센서; 및 증기 도관 내에서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8.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서의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39.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0.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1.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이 약제 저장 영역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벽은 약제 저장 영역의 예상 온도에서 열전도성이도록 제조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2.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이 약제 저장 영역의 상부 영역에 인접한 외벽에 위치된 힌지식 뚜껑을 포함하고, 힌지식 뚜껑은 사용자에 의한 약제 저장 영역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3.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4.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전자식 온도 센서인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5.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 및 약제 저장 유닛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단열재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6.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 아래에 위치된 베이스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베이스 유닛은 적어도 컨트롤러 및 압축기 시스템의 영역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7.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8. 일부 실시예는, 제1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 및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팬을 추가로 포함하고, 팬은 갭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갖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49.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과 열 접촉하는 냉동기 유닛;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50.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건조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1.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증기 도관의 내부 영역과 증기 접촉하는 내부 건조 영역을 포함하는 증기-밀봉된 챔버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2.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일방향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일방향 밸브 유닛은 사전설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압력을 갖는 가스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배기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3.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대기압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4.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5.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6.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개방셀 금속 폼을 포함하고, 개방셀 금속 폼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가스를 분산시키도록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7.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파이프는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가스를 분산시키도록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8.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이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59.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0.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코일 형태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1.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가열 요소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2.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전자식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3.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4.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5.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6.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유선 커넥터에 의해 가열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7.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압축기 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8.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전력원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69.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외벽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측 영역; 상측 영역 아래에 위치된 하측 영역; 및 실질적으로 하측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0.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증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1.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연결된 액체 보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2.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3.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4.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액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5.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이 냉동기 유닛의 하나 이상의 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6.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이,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팽창 밸브를 포함하며,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팽창 밸브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7.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압축기 시스템을 온 및 오프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8.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동기 유닛이 하나 이상의 아이스 팩을 제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의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79.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동기 유닛이, 사용자가 냉동기 유닛 내의 재료에 접근하게 하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의 개구부, 및 개구부에 가역적으로 부착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0.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동기 유닛이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1.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동기 유닛이, 내부 냉동기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1 측부, 및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의 외부 표면과 열 접촉하도록 위치된 제2 측부를 갖는 열전도성 벽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2.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건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과 냉각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 사이의 열 전도를 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 및 직경의 실질적인 튜브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3.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건조 유닛과 냉각 유닛 사이의 열 에너지의 전도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4.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5.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가스-불투과성 벽;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건조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 및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와 냉각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6.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가로질러 외부적 파열가능 밀봉부를 포함하고, 밀봉부는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7.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 내에서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1 온도 센서; 및 증기 도관 내에서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8.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서의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89.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0.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1.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이 약제 저장 영역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벽은 약제 저장 영역의 예상 온도에서 열전도성이도록 제조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2.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이 약제 저장 영역의 상부 영역에 인접한 외벽에 위치된 힌지식 뚜껑을 포함하고, 힌지식 뚜껑은 사용자에 의한 약제 저장 영역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3.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4.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전자식 온도 센서인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5.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 약제 저장 유닛 및 냉동기 유닛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단열재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6.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 아래에 위치된 베이스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베이스 유닛은 적어도 컨트롤러 및 압축기 시스템의 영역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7.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8. 일부 실시예는, 제4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 및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팬을 추가로 포함하고, 팬은 갭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갖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99.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증발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증기 도관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열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약제 저장 영역은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100.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건조제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1.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증기 도관의 내부 영역과 증기 접촉하는 내부 건조 영역을 포함하는 증기-밀봉된 챔버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2.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일방향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일방향 밸브 유닛은 사전설정된 한계를 초과하는 압력을 갖는 가스가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배기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3.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대기압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4.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5.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0.1 torr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6.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개방셀 금속 폼을 포함하고, 개방셀 금속 폼은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가스를 분산시키도록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7.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이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파이프는 내부 건조 영역 내에 가스를 분산시키도록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8.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이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09.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0.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코일 형태의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1.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가 가열 요소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2.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전자식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3.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4.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가열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5.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6.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유선 커넥터에 의해 가열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7.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압축기 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8.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전력원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19.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외벽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측 영역; 상측 영역 아래에 위치된 하측 영역; 및 실질적으로 하측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0.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증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1.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연결된 액체 보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2.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3.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4.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이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액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5.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이 건조 유닛에 근접한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6.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이 실질적으로 냉각 유닛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7.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이 약제 저장 유닛에 근접한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8.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이,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팽창 밸브를 포함하며,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팽창 밸브는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29.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압축기 시스템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압축기 시스템을 온 및 오프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0.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건조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과 냉각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외벽 사이의 열 전도를 저지하기에 충분한 길이 및 직경의 실질적인 튜브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1.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건조 유닛과 냉각 유닛 사이의 열 에너지의 전도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2.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열전도 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3.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가스-불투과성 벽;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건조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 및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와 냉각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4.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가로질러 외부적 파열가능 밀봉부를 포함하고, 밀봉부는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5.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도관이, 증기 도관 내에서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1 온도 센서; 및 증기 도관 내에서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6.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서의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7.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8.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증기 제어 유닛이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39.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열 제어 유닛이, 냉각 표면이 증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펠티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0.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열 제어 유닛이 증기 도관과 열 접촉하는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증발기 코일 유닛은 압축기 시스템에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1.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이 약제 저장 영역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벽은 약제 저장 영역의 예상 온도에서 열전도성이도록 제조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2.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이 약제 저장 영역의 상부 영역에 인접한 외벽에 위치된 힌지식 뚜껑을 포함하고, 힌지식 뚜껑은 사용자에 의한 약제 저장 영역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3.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약제 저장 영역 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4.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가 전자식 온도 센서인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5.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냉각 유닛 및 약제 저장 유닛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단열재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6.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약제 저장 용기 아래에 위치된 베이스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베이스 유닛은 적어도 컨트롤러 및 압축기 시스템의 영역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7.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148. 일부 실시예는, 제99절에 있어서,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 및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팬을 추가로 포함하고, 팬은 갭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크기, 형상 및 위치를 갖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지만, 다른 양태 및 실시예가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양태 및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이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진다.

Claims (43)

  1. 약제 저장 용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상기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상기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상기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상기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상기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상기 약제 저장 영역은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
    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내부 건조 영역 내에 대기압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외벽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측 영역;
    상기 상측 영역 아래에 위치된 하측 영역; 및
    상기 하측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연결된 액체 보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액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은 상기 건조 유닛에 근접한 상기 냉각 유닛의 외벽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은 상기 냉각 유닛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기 시스템을 온(on) 및 오프(off)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의 가스-불투과성 벽;
    상기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상기 건조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 및
    상기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와 상기 냉각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가로질러 외부적 파열가능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 내에서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증기 도관 내에서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 및 상기 약제 저장 유닛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단열재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상기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
  15. 약제 저장 용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상기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상기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하나 이상의 벽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과 열 접촉하는 냉동기 유닛;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상기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상기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상기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상기 약제 저장 영역은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
    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내부 건조 영역 내에 대기압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외벽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측 영역;
    상기 상측 영역 아래에 위치된 하측 영역; 및
    상기 하측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연결된 액체 보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액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시스템은,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팽창 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유닛, 상기 응축기 유닛 및 상기 팽창 밸브는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기 시스템을 온 및 오프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 유닛은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 유닛은 내부 냉동기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1 측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의 외부 표면과 열 접촉하도록 위치된 제2 측부를 갖는 열전도성 벽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의 가스-불투과성 벽;
    상기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상기 건조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 및
    상기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와 상기 냉각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가로질러 외부적 파열가능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 내에서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증기 도관 내에서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 상기 약제 저장 유닛 및 상기 냉동기 유닛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단열재 세그먼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상기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
  30. 약제 저장 용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건조 유닛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건조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건조 유닛;
    상기 내부 건조 영역 내에 위치된 가열 요소;
    상기 가열 요소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내부 증발 영역 주위에 가스-불투과성 및 액체-불투과성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함께 밀봉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벽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인, 냉각 유닛;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압축기 시스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증기 도관으로서, 상기 증기 도관의 제2 단부는 상기 건조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증기 도관의 제1 단부는 상기 냉각 유닛의 개구부를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건조 유닛의 내부 건조 영역과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사이에 내부 가스-불투과성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증기 도관;
    상기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증기 제어 유닛;
    상기 증기 도관에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열 제어 유닛; 및
    약제 저장 영역을 에워싸는 하나 이상의 외벽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유닛으로서, 상기 약제 저장 영역은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유닛
    을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은 상기 내부 건조 영역 내에 대기압 미만의 가스 압력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외벽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측 영역;
    상기 상측 영역 아래에 위치된 하측 영역; 및
    상기 하측 영역 내에 위치된 증발 액체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연결된 액체 보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는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액면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시스템은,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코일 유닛;
    압축기 유닛;
    응축기 유닛; 및
    팽창 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유닛, 상기 응축기 유닛 및 상기 팽창 밸브는 상기 냉각 유닛의 내부 증발 영역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7.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축기 시스템을 온 및 오프하도록 구성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8.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의 가스-불투과성 벽;
    상기 증기 도관의 제1 단부와 상기 건조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 및
    상기 증기 도관의 제2 단부와 상기 냉각 유닛 사이의 가스-불투과성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가로질러 외부적 파열가능 밀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증기 도관의 내부 통로를 통한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도관은,
    상기 증기 도관 내에서 제1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1 온도 센서; 및
    상기 증기 도관 내에서 제2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작동가능하게 부착된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4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제어 유닛은 냉각 표면이 상기 증기 도관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펠티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4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제어 유닛은 상기 증기 도관과 열 접촉하는 증발기 코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 코일 유닛은 상기 압축기 시스템에 부착되는 것인 약제 저장 용기.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과 상기 냉각 유닛의 하나 이상의 외벽의 외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갭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 저장 용기.
KR1020177006326A 2014-08-08 2015-08-05 온도 제어형 약제 저장 장치 KR102361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4,899 US9657982B2 (en) 2013-03-29 2014-08-08 Temperature-controlled medicinal storage devices
US14/454,899 2014-08-08
PCT/US2015/043808 WO2016022681A1 (en) 2014-08-08 2015-08-05 Temperature-controlled medicinal storag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395A KR20170054395A (ko) 2017-05-17
KR102361234B1 true KR102361234B1 (ko) 2022-02-09

Family

ID=5526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326A KR102361234B1 (ko) 2014-08-08 2015-08-05 온도 제어형 약제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177257B1 (ko)
JP (1) JP6632606B2 (ko)
KR (1) KR102361234B1 (ko)
CN (1) CN106794114B (ko)
DK (1) DK3177257T3 (ko)
SG (1) SG11201700928VA (ko)
WO (1) WO2016022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5556B2 (en) 2013-03-29 2021-08-31 Tokitae, LLC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TWI711567B (zh) * 2015-10-16 2020-12-01 美商脫其泰有限責任公司 具整合受控的蒸發冷卻系統的可擕式容器、容器部分、方法及用於該容器的再充填裝置
CN108210334B (zh) * 2018-01-07 2021-02-09 张淑丽 一种医护用药液摇匀存储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739075B (zh) * 2022-03-31 2023-06-16 青岛海尔生物医疗股份有限公司 用于程序降温仪降温的方法及装置、程序降温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3983A (en) 1973-10-13 1976-05-04 Friedrich Knopsmeier Refrigeration method and refrigerat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04294023A (ja) 2003-03-28 2004-10-21 Kobe Steel Ltd 冷媒ヒートポンプと吸着式ヒートポンプを組み合わせたハイブリッド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8322A (en) * 1926-12-13 1930-10-14 Frigidaire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AU551118B2 (en) * 1983-12-19 1986-04-17 Carrier Corp. Control of expansion valve in a refrigeration system
CA2006784A1 (en) * 1987-10-02 1990-07-03 Paul F. Swenson Chilling system with vapor refrigerant and desiccant
JP2740402B2 (ja) * 1992-04-06 1998-04-15 サンデン株式会社 保冷ボックスの蓄冷装置
MX9701840A (es) * 1994-09-12 1997-06-28 Electrolux Leisure Appliances Unidad de refrigeracion de absorcion.
US6067807A (en) * 1999-02-04 2000-05-30 Carrier Corporation Absorption machine with refrigerant management system
US6688132B2 (en) * 2001-06-06 2004-02-10 Nanopore, Inc. Cooling device and temperature-controlled shipping container using same
DE102005034297A1 (de) * 2005-02-25 2006-08-31 Zeo-Tech Zeolith-Technologie Gmbh Sorptions-Kühlelement mit gasdichter Folie
WO2006135310A1 (en) * 2005-06-13 2006-12-21 Svenning Ericss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systems
JP2007118972A (ja) * 2005-10-26 2007-05-17 Costem:Kk 定温保冷ボックスと定温保冷方法
US9140476B2 (en) * 2007-12-11 2015-09-22 Tokitae Llc Temperature-controlled storage systems
US7543455B1 (en) * 2008-06-06 2009-06-09 Chengjun Julian Chen Solar-powered refrigerator using a mixture of glycerin, alcohol and water to store energy
WO2010008611A2 (en) * 2008-07-18 2010-01-21 Greenbev, Llc. On demand consumable product heating and/or cooling dispenser
GB2471865B (en) * 2009-07-15 2011-06-29 Bright Light Solar Ltd Refrigeration apparatus
US20130008182A1 (en) * 2009-12-16 2013-01-10 Brian Hrudka Self-contained temperature controlled apparatus
DE102010015391A1 (de) * 2010-04-19 2011-10-20 Baxter Deutschland Gmbh Aufbewahrungseinheit
US20110302942A1 (en) * 2010-06-15 2011-12-15 Thermo King Corporation Environment control unit with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or
WO2012069048A2 (de) * 2010-11-23 2012-05-31 Invensor Gmbh Vakuumbehälter zur entfernung von fremdgasen aus einer adsorptionskältemaschine
CN102445041A (zh) * 2011-12-31 2012-05-09 林勇 一种太阳能吸附复合电冰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3983A (en) 1973-10-13 1976-05-04 Friedrich Knopsmeier Refrigeration method and refrigerat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2004294023A (ja) 2003-03-28 2004-10-21 Kobe Steel Ltd 冷媒ヒートポンプと吸着式ヒートポンプを組み合わせたハイブリッド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700928VA (en) 2017-03-30
CN106794114B (zh) 2020-06-05
KR20170054395A (ko) 2017-05-17
EP3177257A4 (en) 2018-04-04
EP3177257B1 (en) 2020-07-29
WO2016022681A1 (en) 2016-02-11
JP6632606B2 (ja) 2020-01-22
EP3177257A1 (en) 2017-06-14
JP2017523003A (ja) 2017-08-17
CN106794114A (zh) 2017-05-31
DK3177257T3 (da)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7982B2 (en) Temperature-controlled medicinal storage devices
KR102254060B1 (ko) 냉장 장치 내에서의 사용을 위한 온도 제어형 컨테이너 시스템
US11867464B2 (en)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KR102361234B1 (ko) 온도 제어형 약제 저장 장치
KR102450661B1 (ko) 온도-제어형 휴대형 냉각 유닛
JP2018531357A6 (ja) 温度制御された携帯型冷却ユニット
EP2978683B1 (en)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CN107062682B (zh) 温控存储系统
US10941971B2 (en) Temperature-controlled portable cooling units
KR20220015416A (ko) 열 조절 시스템
KR20190124327A (ko) 온도 제어식 휴대형 냉각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