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235B1 - 제균 케이스 - Google Patents

제균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235B1
KR102450235B1 KR1020177030755A KR20177030755A KR102450235B1 KR 102450235 B1 KR102450235 B1 KR 102450235B1 KR 1020177030755 A KR1020177030755 A KR 1020177030755A KR 20177030755 A KR20177030755 A KR 20177030755A KR 102450235 B1 KR102450235 B1 KR 102450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electrode sheet
case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069A (ko
Inventor
무츠미 쿠사노
요시아키 타츠미
리 루오
카즈키 츠보이
사토미 코야마
타케시 마츠다
슈지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러지
유겐가이샤 마츠다 데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러지, 유겐가이샤 마츠다 데자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러지
Publication of KR2018001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01B13/115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circuits producing the electrical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30Dielectrics used in the electrical dischargers
    • C01B2201/3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dielect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30Dielectrics used in the electrical dischargers
    • C01B2201/34Composition of the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케이스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이동 통신기의 표면뿐만이 아니라 숨겨진 부분도 확실하게 제균할 수가 있고, 게다가 이동 통신기의 제균 작업 공간의 공간 절약화와 충전 및 제균의 동시 작업이 가능한 제균 케이스를 제공한다.
제균 케이스(1-1)는 케이스 본체(2)로 커버체(3)를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2)는 전극 시트(5)를 가지는 재치부(4)와 전압 공급부(6)를 구비한다. 전압 공급부(6)는 승압 회로(61)와 직류 변환 회로(62)와 스위치 회로(63)와 제균 미터(64)를 구비한다. 승압 회로(61)는 오존 발생에 필요한 전압을 전극 시트(5)에 공급한다. 직류 변환 회로(62)는 이동 통신기인 스마트 폰(100)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여 숫커넥터(7)에 출력한다. 숫커넥터(7)는 스마트 폰(100)의 암커넥터(101)에 접속이 가능하다. 커버체(3)는 케이스 본체(2)에 개폐 자유롭게 장착된다.

Description

제균 케이스
이 발명은 스마트 폰 등의 이동 통신기를 제균하기 위한 제균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기인 스마트 폰은 헝겊 형상의 것으로 표면을 닦아냄으로써 청소할 수가 있다. 그리고, 청소뿐만이 아니라 스마트 폰의 제균을 행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세제나 알코올 등의 소독액으로 닦아내는 작업을 행한다.
그러나, 이 제균 방법이라면 스마트 폰을 수작업으로 닦는 작업이 필요하여 매우 시간이 든다. 또, 소독액 등이 손에 부착하면 손이 물들 우려도 있다.
그래서, 이러한 닦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일이 없이 스마트 폰을 제균할 수 있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제균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제균 장치는 스마트 폰의 충전기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제균기로서도 기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을 장치의 케이싱 내에 수납함과 아울러 스마트 폰의 충전 단자를 장치의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스마트 폰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케이싱의 내부에는 자외선 램프(lamp)가 설치되고, 충전시에 자외선을 이 램프로부터 스마트 폰(smartphone)에 조사함으로써 제균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068484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었다.
즉, 상기의 제균 장치에서는 스마트 폰의 부위 중에서 자외선이 닿고 있는 부위밖에 제균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자외선이 닿기 힘든 스마트 폰의 측면이나 틈새 등에서는 충분한 제균이 행해지지 않는다. 이에 반해 이 장치를 스마트 폰의 측면을 포함하는 모든 면을 제균할 수가 있는 구조로 하는 데에는 자외선 램프를 장치의 내부에 있어서 스마트 폰의 표면, 하면, 측면의 모든 면에 대향하는 부위에 장착해야 한다. 따라서, 스마트 폰의 전면을 제균 가능한 구조로 하는 데에는 장치 자체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되어 장치의 대형화 및 중량화가 문제가 된다.
또, 광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악세사리나 케이스를 붙인 상태의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이러한 악세사리 등의 그늘에 숨은 부분을 제균할 수가 없다.
이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케이스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이동 통신기의 표면뿐만이 아니라 숨겨진 부분도 확실하게 제균할 수가 있고, 게다가 이동 통신기의 제균 작업 공간의 공간 절약화와 충전 및 제균의 동시 작업이 가능한 제균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은, 전극 시트가 재치되는 표면을 갖는 재치부와 전극 시트 및 이동 통신기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를 가지고, 이동 통신기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개폐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되는 커버체를 가지고, 전압 공급부는, 전원을 오존 발생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극 시트의 1쌍의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1 회로와,상기 전원을 이동 통신기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이동 통신기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 암커넥터(female connector)에 접속할 수 있는 숫커넥터(male connector)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제2 회로를 가지고, 상기 이동 통신기는 전극 시트에 재치될 수 있고, 전극 시트는 시트 형상 유전체와 시트 형상 유전체 내에 수납되는 1쌍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전극 시트의 유전체는 적어도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재치부는 이동 통신기 또는 재치부에 재치된 이동 통신기의 케이스와 전극 시트 사이의 거리를 10mm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한 보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전극 시트(electrode sheet)의 적어도 유전체를 고분자 수지로 형성한 구성에 의해, 적어도 유전체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전극 시트에 의해 오존을 발생할 수가 있다.
통상적으로는 오존 발생체의 재료로서 세라믹(ceramic)를 이용하지만, 이 발명과 같이 오존 발생체로서 고분자 수지의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전극 시트의 박형화, 경량화 및 오존 발생부의 넓은 면적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유연성(flexibility)에 의해, 케이스 본체의 재치부가 만곡 등을 하고 있어도, 전극 시트를 재치부의 형상에 맞추어 부설할 수가 있다.
또한, 재치부가 보유부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거슬거슬한 표면을 가지는 이동 통신기나 거슬거슬한 소재나 포제의 케이스를 붙인 이동 통신기라도 확실하게 제균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체를 연 상태로 이동 통신기를 케이스 본체의 전극 시트 상에 재치하고, 전압 공급부의 제2의 회로의 숫커넥터를 이동 통신기의 전원용 암커넥터에 접속한다.
그리고, 커버체를 닫은 후, 전원을 온으로 하면, 전압 공급부의 제1의 회로에 의해 전극 시트(electrode sheet)의 1쌍의 전극에 오존 발생에 필요한 전압이 공급된다. 이 결과, 오존이 전극 시트로부터 방출되어 전극 시트 상에 재치된 이동 통신기가 제균된다.
이것과 병행하여 제2의 회로에 의해 전원이 이동 통신기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전원 전압이 숫커넥터와 이동 통신기의 전원용 암커넥터를 통해서 이동 통신기에 공급된다. 이 결과, 이동 통신기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제균 케이스에 의하면, 오존으로 제균을 하면서 충전할 수가 있다. 즉, 일부러 수고스럽게 짬을 내어 이동 통신기의 제균 작업을 하지 않아도, 습관이 되어 있는 충전 작업하는 김에 제균 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또, 이동 통신기를 제균 케이스 내에 가두어 넣은 상태로 가스 형상의 오존을 방출하므로 오존이 제균 케이스 내에 충만한다. 이 결과, 오존이 이동 통신기의 전체로 돌아 들어가 이동 통신기의 표면뿐만이 아니라 악세사리 등으로 숨겨진 부분도 제균한다.
또한, 통상적으로는 오존 발생체의 재료로서 세라믹를 이용하지만, 이 발명과 같이 오존(ozone) 발생체로서 전극 시트를 이용하면, 오존을 이동 통신기에 대해서 직접 면상에 방사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전극 시트로부터의 단위 면적당의 오존 발생량을 세라믹에 의한 단위 면적당의 오존 발생량보다 줄일 수가 있다. 이 결과, 오존 발생체를 구동시키는 전원의 소비량을 줄일 수가 있어 에너지 절약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균 종료후는 전원을 오프(off)로 하고 커버체(cover body)를 열어 이동 통신기를 케이스 본체로부터 인출할 수가 있다.
또, 이 발명의 제균 케이스는, 이동 통신기를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와 커버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의 크기를 이동 통신기의 크기에 접근할 수가 있어 케이스 자체를 소형화 한편 경량화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좁은 작업 공간이라도 제균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전극 시트를 케이스 본체 내에 부설하는 구성이지만, 전극 시트 자체가 얇은 시트 형상이므로, 전극 시트에 의해 제균 케이스가 대형화할 우려는 없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전극 시트와는 별체의 전극 시트를 커버체의 천벽(天壁 : top wall)의 내면에 설치하고, 제1의 회로를 당해 별체의 전극 시트의 1쌍의 전극에도 접속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오존을 상방과 하방의 양방으로부터 이동 통신기에 방출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이동 통신기에 대한 제균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이동 통신기를 재치하기 위한 스페이서(spacer)를 재치부 상의 전극 시트 상에 돌설(突設)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공기가 이동 통신기의 하측에도 들어가 전극 시트에 의한 오존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이 결과, 제균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재치부의 단면 형상을 파형(波形 : waved shape)으로 형성하고 전극 시트를 이 파형의 재치부를 따라 부설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파형의 재치부와 이동 통신기의 사이에 다량의 공기가 충만하여 전극 시트에 의한 오존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이 결과, 제균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재치부를, 평면 형상이 아니라 파형 형상으로 하고, 전극 시트를 이 재치부를 따라 부설함으로써 전극 시트의 면적을 크게 취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전원은 교류 전원이며, 제1의 회로는 전원의 교류 전압을 소망치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1쌍의 전극에 공급하는 회로이며, 제2의 회로는 전원의 교류 전압을 소망치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숫커넥터에 공급하는 회로인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원이 전압 공급부에 공급되면, 제1의 회로에 의해 이 전원의 교류 전압이 소망치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으로 변환되어 1쌍의 전극에 공급된다. 이것과 동시에 제2의 회로에 있어서, 전원의 교류 전압이 소망치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숫커넥터에 공급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전원은, 직류 전원이며, 제1의 회로는 전원의 직류 전압을 소망치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1쌍의 전극에 공급하는 회로이며, 제2의 회로는 전원의 직류 전압을 소망치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숫커넥터에 공급하는 회로인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원이 전압 공급부에 공급되면, 제1의 회로에 의해 이 전원의 직류 전압이 소망치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으로 변환되어 1쌍의 전극에 공급된다. 이것과 동시에 제2의 회로에 있어서, 전원의 직류 전압이 소망치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숫커넥터에 공급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제2의 회로는 전원의 직류 전압을 그대로 숫커넥터에 공급하는 회로인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의 회로에 있어서는, 전원의 직류 전압이 그대로 숫커넥터에 공급된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커버체를 닫은 상태에서만 전원을 온 할 수가 있고 또한 전원을 온으로 하는 때에 있어서의 소정 길이의 제균 시간 경과후에 전원을 오프로 할 수 있는 스위치 기구를 케이스 본체에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 통신기를 케이스 본체 내에 수납한 후, 커버체를 닫으면, 스위치 기구에 의해 전원이 온(on)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수납된 이동 통신기의 제균 작업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소정 길이의 제균 시간이 경과하여 제균이 완료되면, 스위치 기구에 의해 전원이 오프(off) 상태로 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제균 처리 시간을 표시하는 제균 미터를 케이스 본체에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균 미터에 의해 제균의 처리 시간의 기준을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어 제균의 달성감을 실감할 수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1쌍의 전극의 각각은 즐치상(櫛齒狀)으로 형성되고, 1쌍의 전극의 즐치끼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맞물려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즐치(櫛齒 : comb teeth)끼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맞물려 있는 1쌍의 전극 사이에 방전 현상이 일어나 오존이 발생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전극은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삭제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의 어느 하나에 기재의 제균 케이스에 있어서, 1쌍의 전극의 일방의 전극을 유전체 내부에 수납하고, 다수의 구멍을 가진 타방의 전극 또는 즐치상의 타방의 전극의 어느 하나를 당해 일방의 전극에 대향시킨 상태로 유전체의 표면에 배치하여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의 제균 케이스에 의하면, 오존으로 제균을 하면서 동시에 이동 통신기의 충전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 광이 아니라 가스 형상의 오존으로 제균하는 구성이므로, 이동 통신기의 표면뿐만이 아니라 숨겨진 부분도 제균할 수가 있다.
또, 이 발명의 제균 케이스는, 전체의 크기를 이동 통신기의 크기에 접근할 수가 있으므로, 케이스 자체의 소형화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특히,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기에 대한 제균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오존의 발생률을 높게 하여 제균 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오존의 발생률을 보다 한층 높일 수가 있다.
또,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더 한층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9 및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제균 종료후에 자동적으로 전원을 오프 하거나, 또 제균 처리 시간의 기준을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스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케이스 본체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로부터 본 A-A단면도이다.
도 5는 스위치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스위치 회로의 핀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균 미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버체를 개구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커버체를 케이스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균 케이스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며, 도 10의 (a)는 스마트 폰을 케이스 본체에 재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스마트 폰을 케이스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c)는 커버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스마트 폰을 케이스 본체에 재치한 상태로 커버체를 완전하게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극 시트로부터의 오존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오존에 의한 제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전극 시트와 승압 회로와의 전기적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균 케이스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9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1은 이 발명의 제7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2는 이 발명의 제8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8 실시예의 전극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이 발명의 제9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균(菌)의 생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의 전사도이다.
도 28은 균의 생존율과 거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29는 제9 실시예의 일변형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최선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1)는 케이스 본체(2)와 커버체(3)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케이스 본체(2)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케이스 본체(2)는 이동 통신기인 스마트 폰(100)을 세트하기 위한 기체이며, 재치부(4)와 전압 공급부(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재치부(4)는 두께 t와 폭 w의 직사각 형상의 판체이며, 그 표면에는 스마트 폰(100)을 재치 가능한 전극 시트(5)가 부설되어 있다.
전극 시트(5)는 오존을 발생하는 유연한(flexible) 시트이다.
도 3은 케이스 본체(2)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화살표로부터 본 A-A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전극 시트(5)는 시트 형상의 유전체(50)와 이 유전체(50) 내부에 수납된 1쌍의 전극(51, 52)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유전체(50)는 2층의 유전체층(50a, 50b)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극(51, 52)이 하층의 유전체층(50b) 상에 형성되고, 상층의 유전체층(50a)이 전극(51, 52)을 덮도록 유전체층(50b) 상에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 시트(5)는 모두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유전체층(50a, 50b)을 각각 폴리이미드 수지로 형성하였던 것뿐만 아니라, 전극(51, 52)도 고분자 수지인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전극 시트(5) 전체를 고분자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전극 시트(5)의 유연성(flexibility)을 높임과 아울러, 전극 시트(5)의 박형화, 경량화 및 오존 발생 부분의 넓은 면적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듯이, 1쌍의 전극(51, 52)의 각각은 즐치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즐치(51a, 52a)끼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맞물려 있다.
전압 공급부(6)는 전극 시트(5)와 스마트 폰(100)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전압 공급부(6)는 재치부(4)의 후단부측(도 3의 상방 단부측)에 배치하여 설치된 수납부(6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전압 공급부(6)는 제1의 회로로서의 승압 회로(61)와 제2의 회로로서의 직류 변환 회로(62)와 스위치 기구로서의 스위치 회로(63)와 제균 미터(64)로 구성되어 있다.
승압 회로(61)는 전원 전압을 오존 발생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극 시트(5)의 전극(51, 52)에 공급하기 위한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예에서는 전원으로서 100V의 상용 교류 전압의 전원(65)이 이용되고, 승압 회로(61)는 스위치 회로(63)를 통해 이 전원(6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승압 회로(61)는 전원(65)으로부터 입력한 100V의 교류 전압을 예를 들면 2kV~10kV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전압으로 승압하고, 전극 시트(5)의 전극(51, 52)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직류 변환 회로(62)는 교류 전압의 전원(65)을 스마트 폰(100)(도 1 참조)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여 숫커넥터(7)에 공급하기 위한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직류 변환 회로(62)도 승압 회로(61)와 마찬가지로 스위치 회로(63)를 통해 전원(6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직류 변환 회로(62)는 전원(65)으로부터 입력한 100V의 교류 전압을 예를 들면 5V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숫커넥터(7)에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숫커넥터(7)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수납부(60)의 전벽(60a)의 중앙 또한 하부측에 돌설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스마트 폰(100)을 재치부(4)의 전극 시트(5) 상에 재치하였을 때에, 스마트 폰(100)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암커넥터(101)를 이 숫커넥터(7)에 접속할 수가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숫커넥터(7)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전원 단자(7a, 7b)가 설치되고, 숫커넥터(7)를 암커넥터(101)에 접속했을 때에, 전원 단자(7a, 7b)가 암커넥터의 도시하지 않는 전원 단자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 회로(63)는 전원(65)을 승압 회로(61), 직류 변환 회로(62) 및 제균 미터(64)에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 5는 스위치 회로(63)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은 스위치 회로(63)의 핀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회로(63)는 핀체(63a)와 스프링(63b)과 고정 단자(63c)와 가동 단자(63d)로 구성되어 있다.
핀체(63a)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선단이 수납부(60)의 전벽(60a)에 설치된 구멍(60b)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63b)이 이 핀체(63a)와 수납부(60)의 사이에 개재하고, 핀체(pin body)(63a)를 전벽(60a)의 외방으로 돌출시키도록 부세(付勢)하고 있다.
한편, 고정 단자(63c)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승압 회로(61), 직류 변환 회로(62) 및 제균 미터(64)의 일방의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가동 단자(63d)는 전원(65)의 일방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가동 단자(63d)는 판스프링(plate spring) 형상의 금속체이며, 외력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납부(60)의 후방(도 5의 상방, 도 6의 우방)으로부터 전방(도 5의 하방, 도 6의 좌방)을 향해 스토퍼(63e)에 압접하고 있다. 따라서, 핀체(63a)에 의한 압압력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동 단자(63d)는 고정 단자(63c)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핀체(63a)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가동 단자(63d)를 후방으로 압압하면, 가동 단자(63d)가 고정 단자(63c)에 접촉한다.
즉, 이 스위치 회로(63)는 핀체(63a)의 이동에 의해, 전원(65)으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이 스위치 회로(63)에는, 전원을 온으로 한 후, 소정 시간 경과후에 전원을 오프로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콘트롤러(63f)가 고정 단자(63c)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 콘트롤러(63f)는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어, 전원을 온으로 할 때에, 이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이 콘트롤러(63f)는 타이머의 시간 경과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 경과후에 고정 단자(63c)와 승압 회로(61), 직류 변환 회로(62) 및 제균 미터(64)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끊는다. 그리고, 콘트롤러(63f)는 전원이 오프로 되면, 타이머를 리셋(reset) 함과 아울러, 고정 단자(63c)와 승압 회로(61), 직류 변환 회로(62) 및 제균 미터(64)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로 되돌린다.
제균 미터(64)는 제균의 처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기기이다.
도 7은 제균 미터(64)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듯이, 제균 미터(64)는 스위치 회로(63)를 통해 전원(6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수납부(60)의 천벽(60c)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위치 회로(63)가 닫혀 전원이 온(on) 상태로 되면, 제균 미터(64)가 작동하여 제균의 처리 시간을 표시한다.
한편, 커버체(3)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케이스 본체(2)에 개폐 자유롭게 장착되는 상자체이며, 저벽(31)과 천벽(32)과 양측벽(33, 34)과 전벽(35)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30)가 케이스 본체(2)측을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커버체(3)를 개구(30)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9는 커버체(3)를 케이스 본체(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이 커버체(3)는 1쌍의 홈(33a, 34a)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홈(33a)이 측벽(33)과 저벽(31)의 각부(角部)에 형성되고, 홈(34a)이 측벽(34)과 저벽(31)의 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33a, 34a)의 폭(도 8의 상하 폭)은 케이스 본체(2)의 재치부(4)의 두께 t(도 2 참조)와 대충 같게 설정되고, 홈(33a, 34a) 사이의 거리는 재치부(4)의 폭 w와 대충 같게 설정되어 있다.
커버체(3)가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내듯이, 커버체(3)의 저벽(31)을 케이스 본체(2)의 재치부(4) 하에 위치시킨 상태로 홈(33a, 34a)을 재치부(4)의 양단에 슬라이드(slide) 자유롭게 끼워 넣을 수가 있다. 이 상태로부터 커버체(3)를 케이스 본체(2)의 수납부(60)측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커버체(3)를 완전하게 닫을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1)에서는 케이스 본체(2)와 커버체(3)의 전체의 크기를 스마트 폰(100)의 크기에 접근할 수가 있으므로, 제균 케이스(1-1) 자체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가 있다.
또한, 얇은 전극 시트(5)를 케이스 본체(2) 내에 부설하는 구성이므로, 전극 시트(5)에 의해 제균 케이스(1-1)가 대형화할 우려는 없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1)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균 케이스(1-1)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며, 도 10의 (a)는 스마트 폰(100)을 케이스 본체(2)에 재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스마트 폰(100)을 케이스 본체(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c)는 커버체(3)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11은 스마트 폰(100)을 케이스 본체(2)에 재치한 상태로 커버체(3)를 완전하게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스마트 폰(100)은 다음과 같이 하여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1)를 이용해 충전 및 제균할 수가 있다.
우선, 사용자는, 도 10의 (a)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2)의 전원(65)을 도시하지 않는 상용 전원의 콘센트에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스위치 회로(63)의 핀체(63a)는 외방으로부터의 압압력을 받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가동 단자(63d)가 고정 단자(63c)와 비접촉 상태에 있고 전원은 오프 상태이다. 이 때문에 상용 전원은 케이스 본체(2)에 입력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로 도 10의 (a)에 나타내듯이, 암커넥터(101)를 케이스 본체(2)의 숫커넥터(7)를 향한 상태로 스마트 폰(100)을 재치부(4)의 전극 시트(5) 상에 재치한 후, 스마트 폰(100)을 수납부(60)측으로 이동시킨다. 스마트 폰(100)을 수납부(60)측으로 힘껏 이동시킴으로써, 도 10의 (b)에 나타내듯이, 암커넥터(101)를 수납부(60)로부터 돌출된 숫커넥터(7)에 접속할 수가 있다. 즉, 스마트 폰(100)은 암커넥터(101)와 숫커넥터(7)를 통해서 직류 변환 회로(62)(도 5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커버체(3)를 재치부(4)에 끼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커버체(3)의 홈(33a, 34a)을 재치부(4)의 양단에 끼워 넣고, 커버체(3)를 케이스 본체(2)의 수납부(60)측을 향해 슬라이드(slide)시킨다.
그리고, 도 10의 (c)에 나타내듯이, 커버체(3)를 수납부(60)측으로 힘껏 이동시키면, 도 11에 나타내듯이, 커버체(3)가 완전하게 닫힌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0의 (c)에 나타내듯이, 스위치 회로(63)(도 5 참조)의 핀체(63a)는 커버체(3)의 저벽(31)에 의한 압압력을 받고 있으므로, 핀체(63a)가 전압 공급부(6) 내부로 이동하고, 도 5의 파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가동 단자(63d)가 고정 단자(63c)에 접촉한다. 이 결과, 전원이 온 상태로 바뀌어, 상용 전원이 전원(65) 및 스위치 회로(63)를 통해서 승압 회로(61)와 직류 변환 회로(62)와 제균 미터(64)에 입력되어 이들이 작동한다.
도 12는 전극 시트(5)로부터의 오존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승압 회로(61)가 작동 상태가 되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상용 교류 전압의 전원(65)으로부터 입력된 100V의 교류 전압이 승압 회로(61)에 의해 2kV~10kV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전압으로 승압되고, 전극 시트(5)의 전극(51, 52)에 공급된다. 그러면, 전극(51)의 즐치(51a)의 극성과 전극(52)의 즐치(52a)의 극성이 역극성으로 되고, 방전이 즐치(51a, 52a) 사이에 생겨 오존 O3이 발생한다. 이 결과, 화살표로 나타내듯이, 다량의 오존 O3이 전극 시트(5)의 주위에 방출된다.
도 13은 오존에 의한 제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다량의 오존 O3이 전극 시트(5)의 주위에 방출되면, 도 13에 나타내듯이, 가스 형상의 오존 O3은 닫힌 제균 케이스(1-1) 내에 갇혀져 제균 케이스(1-1) 전체에 충만한다. 이 때문에 오존 O3이 스마트 폰(100)의 주위 전체로 돌아 들어가 스마트 폰(100)의 표면뿐만이 아니라 악세사리 등으로 숨겨진 부분도 제균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제균 미터(64)에 의해 제균의 처리 시간 즉 제균 케이스(1-1)의 작동 시간을 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한편, 직류 변환 회로(62)에서는 전원(65)으로부터의 100V의 교류 전압이 예를 들면 5V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고,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이 직류 전압이 숫커넥터(7)와 암커넥터(101)를 통해서 스마트 폰(100)에 공급된다. 즉, 스마트 폰(100)에 대한 제균과 충전이 동시에 행해진다.
이러한 전원 온 상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콘트롤러(63f)에 의해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다. 그리고, 제균이나 충전이 충분히 달성되었을 것이라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콘트롤러(63f)가 고정 단자(63c)와 승압 회로(61), 직류 변환 회로(62) 및 제균 미터(64)의 전기적 접속을 끊어 제균과 충전을 종료시킨다.
사용자는, 제균 종료를 확인후, 도 10의 (c)에 나타내는 상태의 커버체(3)를 도 10의 (b)에 나타내듯이, 좌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핀체(63a)에의 커버체(3)에 의한 압압력이 해방되므로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된다. 이 결과, 콘트롤러(63f)에 의해 타이머가 리셋(reset) 됨과 아울러, 고정 단자(63c)와 승압 회로(61), 직류 변환 회로(62) 및 제균 미터(64)가 원래의 전기적 접속 상태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도 10의 (a)에 나타내듯이, 커버체(3)를 케이스 본체(2)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제균과 충전이 달성된 스마트 폰(100)을 제균 케이스(1-1)로부터 인출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1-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2)는 스페이서(8)를 가지고 있는 점이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즉, 복수의 스페이서(8)를 케이스 본체(2)의 전극 시트(5) 상에 배치하여 설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재치된 스마트 폰(100)의 하면 네 귀퉁이를 이들 스페이서(8)로 지지하도록 4개 이상의 스페이서(8)를 전극 시트(5) 상에 고착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극 S1이 스마트 폰(100)의 하면과 전극 시트(5)의 사이에 형성되어 다량의 공기가 이 공극 S1에도 들어간다.
이에 의해 전극 시트(5)의 윗쪽에 다량의 산소를 확보할 수가 있어 전극 시트(5)에 의한 오존의 발생률을 높일 수가 있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러한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 3)
다음에,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1-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듯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3)는 재치부(4)와 전극 시트(5)의 형상이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다르다.
즉, 재치부(4)를 단면 파형으로 만곡시키고 유연한 전극 시트(5)를 이 재치부(4)의 형상에 따라 부설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수의 공극 S2가 스마트 폰(100)의 하면과 파형의 전극 시트(5)의 사이에 형성되어 다량의 공기가 이들 공극 S2에 충만한다.
이에 의해 전극 시트(5)에 다량의 산소를 확보할 수가 있어 전극 시트(5)에 의한 오존의 발생률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전극 시트(5)를 파형으로 부설함으로써 전극 시트(5)의 면적을 크게 취할 수가 있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러한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 4)
다음에,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1-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듯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4)에서는 전극 시트(5)와는 별체의 전극 시트(5′)를 가지고 있는 점이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시트(5′)를 커버체(3)의 천벽(天壁)(32) 내면에 부설하였다.
도 17은 전극 시트(5′)와 승압 회로(61)의 전기적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듯이, 전극 시트(5′)는 전극 시트(5)와 같은 구조이며, 유전체(50)와 전극(51, 5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암커넥터(53)의 단자(53a, 53b)가 이 전극 시트(5′)의 전극(51, 52)에 접속되고, 숫커넥터(54)의 단자(54a, 54b)가 승압 회로(61)의 양쪽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숫커넥터(54)를 암커넥터(53)에 삽입함으로써, 암커넥터(53)의 단자(53a, 53b)와 숫커넥터(54)의 단자(54a, 54b)가 접촉하고, 승압 회로(61)와 전극 시트(5′)의 전극(51, 52)이 암커넥터(53) 및 숫커넥터(54)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18은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4)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전극 시트(5′)는 커버체(3)의 천벽(32)의 내면에 붙여져 있고, 그 암커넥터(53)는 천벽(32)의 후측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승압 회로(61)에 접속된 숫커넥터(54)는 전압 공급부(6)의 전벽(60a) 상부에 돌설(突設)되어 있다.
제균 케이스(1-4)가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커버체(3)를 스마트 폰(100)이 접속된 케이스 본체(2)의 재치부(4)에 끼우고, 수납부(60)측으로 이동시키면, 전극 시트(5′)의 암커넥터(53)가 수납부(60)측인 숫커넥터(54)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커버체(3)를 수납부(60)측에 힘껏 접근시키면, 숫커넥터(54)가 암커넥터(53)에 삽입된다. 이 결과, 전압 공급부(6)의 승압 회로(61)와 전극 시트(5′)의 전극(51, 52)이 암커넥터(53) 및 숫커넥터(54)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핀체(63a)의 이동에 의해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이 승압 회로(61)로부터 전극 시트(5)와 전극 시트(5′)의 쌍방의 전극(51, 52)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오존이 상측의 전극 시트(5′)와 하측의 전극 시트(5)로부터 스마트 폰(100)에 방출되어 스마트 폰(100)이 단시간에 제균된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러한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 5)
다음에,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이 발명의 제5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1-5)의 케이스 본체(2)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듯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5)는 전원이 직류 전원으로서의 전지(65′)인 점이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지(65′)는 예를 들면 6V의 직류 전압을 공급 가능한 건전지이며, 케이스 본체(2)의 수납부(60) 내에 수납할 수가 있다.
이 전지(65′)는 스위치 회로(63)를 통해 승압 회로(61′)와 직류 변환 회로(62′)와 제균 미터(64)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 회로(61′)는 전지(65′)로부터의 6V 직류 전압을 2kV~10kV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전압으로 승압하는 기능을 가지고, 직류 변환 회로(62′)는 전지(65′)로부터의 6V 직류 전압을 5V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지(65′)로부터의 6V 직류 전압이 승압 회로(61′)에 의해, 이 2kV~10kV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이 승압 회로(61′)로부터 전극 시트(5)의 전극(51, 52)에 공급된다. 이것과 동시에 전지(65′)로부터의 6V 직류 전압이 직류 변환 회로(62′)에 의해 5V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숫커넥터(7)에 공급된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러한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 6)
다음에,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이 발명의 제6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1-6)의 케이스 본체(2)를 파단하여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6)는 직류 변환 회로(62′′)가 전원의 직류 전압을 그대로 숫커넥터(7)에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점이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암커넥터(66)가 전압 공급부(6)의 수납부(60)의 후벽(60d)에 설치되고, 이 암커넥터(66)가 스위치 회로(63)를 통해 승압 회로(61′′)와 직류 변환 회로(62′′)와 제균 미터(6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직류 변환 회로(62′′)는 암커넥터(66)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숫커넥터(7)에 출력하는 회로이며, 배선(62a, 62b) 자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전원은 스마트 폰(100)에 사용되고 있는 주지의 충전기(200)로부터 공급되는 5V의 직류 전원이다.
구체적으로는, 충전기(200)는 100V의 상용 전압을 5V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기(201)와, 변환기(201)로부터 인출된 케이블(202)과, 케이블(202)의 선단부에 장착된 USB 커넥터(20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충전기(200)의 USB 커넥터(203)를 케이스 본체(2)의 암커넥터(66)에 삽입함으로써, USB 커넥터(203)의 도시하지 않는 전원 단자가 암커넥터(66)의 단자(66a, 66b)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충전기(200)의 변환기(201)를 상용 전원의 콘센트에 접속함과 아울러, USB 커넥터(203)를 케이스 본체(2)의 암커넥터(66)에 접속하면, 스위치 회로(63)를 온으로 할 때에는, USB 커넥터(203)로부터의 5V 직류 전압이 승압 회로(61′′)와 직류 변환 회로(62′′)와 제균 미터(64)에 공급된다. 그리고, 5V 직류 전압은 승압 회로(61′′)에 의해 2kV~10kV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으로 변환되고, 직류 변환 회로(62′′)에 의해, 5V 직류 전압인 채로 숫커넥터(7)에 공급된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러한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 7)
다음에, 이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이 발명의 제7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1-7)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는 커버체(3)를 슬라이드시켜 케이스 본체(2)에 장착할 수가 있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7)는, 도 21에 나타내듯이, 커버체(3)를 케이스 본체(2)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한 점이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커버체(3)의 전벽(35)측의 하부를 케이스 본체(2)의 재치부(4)의 전측(도 21의 좌측)에 축(39)를 이용하여 회전 자유롭게 장착하였다.
그리고, 스위치 회로(63)의 핀체(63a)를 케이스 본체(2)의 수납부(60)의 천벽(60c) 상에 장착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21의 실선으로 나타내듯이, 커버체(3)를 열어 스마트 폰(100)을 케이스 본체(2)에 재치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21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커버체(3)를 닫음으로써 스마트 폰(100)을 제균 케이스(1-7) 내에 가둘 수가 있다. 그리고, 커버체(3)를 닫으면 커버체(3)의 천벽(32)이 핀체(63a)를 압압하므로 전원이 온 상태로 된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내지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러한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 8)
다음에, 이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이 발명의 제8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듯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는 전극 시트(5′′)의 구조가 상기 실시예의 전극 시트(5, 5′)와 다르다.
즉, 일방의 전극(51′)만이 유전체(50) 내부에 수납되고, 타방의 전극(52′-1)은 유전체(50)의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3에 나타내듯이, 베타 형상의 전극(51′)이 하층의 유전체층(50b) 상에 적층 형성되고, 상층의 유전체층(50a)이 전극(51′)을 덮도록 유전체층(50b) 상에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51′)과 거의 동형의 전극(52′-1)이 유전체층(50a)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층(55)이 전극(52′-1) 상에 적층되어 있다.
또, 전극(51′)의 각부에는 단자부(51a′)가 설치되고, 그 상의 유전체층(50a)의 각부에는 단자부(51a′)를 들여다보는 직사각 형상의 급전구(5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전구(50c)와 연통하는 급전구(55a)가 보호층(55)의 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압 회로(61)의 일방의 출력단으로부터 뻗어 나온 배선(61a)이 급전구(55a)와 급전구(50c)를 통과하여 전극(51′)의 단자부(51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극(52′-1)의 각부에는 단자부(52a′)가 설치되고, 그 상의 보호층(55)의 각부에는 단자부(52a′)를 들여다보는 직사각 형상의 급전구(5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압 회로(61)의 타방의 출력단으로부터 뻗어 나온 배선(61b)이 급전구(55b)를 통과하여 전극(52′-1)의 단자부(52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50)의 표면에 설치된 전극(52′-1)에는 다수의 원형 구멍(52b′)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전극 시트(5′′)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의 전극 시트(5)와 마찬가지로 전극 시트(5′′) 전체를 모두 고분자 수지로 형성하였다. 즉, 유전체층(50a, 50b)과 보호층(55)을 각각 폴리이미드 수지로 형성하였던 것뿐만 아니라, 전극(51′, 52′-1)도 고분자 수지인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하였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보호층(55)을 유전체(50)의 표면에 있는 전극(52′-1) 상에 설치하였지만, 보호층(55)은 필수의 부재는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이 실시예는 다른 전극으로서 다수의 원형 구멍(52b′)을 가진 전극(52′-1)을 적용하였지만, 도 24의 (a)에 나타내듯이, 망상의 전극(52′-2)을 다른 전극으로서 적용할 수가 있고, 도 24의 (b)에 나타내듯이, 즐치상의 전극(52′-3)을 다른 전극으로서 적용할 수가 있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내지 제7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러한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 9)
다음에, 이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이 발명의 제9 실시예와 관련되는 제균 케이스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6은 제균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에 나타내듯이, 이 실시예의 제균 케이스(1-9)는 제균 대상면과 전극 시트(5)의 거리 h를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점이 상기 제1~ 제8 실시예와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보유부로서의 스페이서(8′)의 높이 h를 10㎜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하였다.
상기 제2 실시예 등으로 나타낸 것처럼, 스마트 폰(100)의 표면이 경면(鏡面)인 경우에는, 스마트 폰(100)과 전극 시트(5)의 거리의 여하에 관계없이, 스마트 폰(100)의 표면의 균을 오존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제균할 수가 있다.
그러나, 스마트 폰(100)의 표면이 거슬거슬하거나 거슬거슬한 소재나 포제의 케이스에 수납한 스마트 폰(100)을 제균하는 경우에는, 제균 대상인 스마트 폰(100)의 표면이나 케이스 표면과 전극 시트(5)의 거리가 크면 제균 효과를 거의 얻을 수 없는 것이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8′)의 높이 h를 10㎜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제균 대상을 전극 시트(5)의 근방에 위치시킴으로써, 거슬거슬한 표면을 가진 스마트 폰(100)이나 거슬거슬한 소재나 포제의 케이스에 대해서도 높은 제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4개 이상의 스페이서(8′)를 전극 시트(5) 상에 고착하여 제균 대상과 전극 시트(5)의 거리 h가 10㎜ 이하의 범위 내에 보유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도 25에 나타내듯이, 스마트 폰(100)을 거슬거슬한 소재나 포제의 케이스(110)(이동 통신기 케이스)에 수납하고, 케이스(110)를 스페이서(8′) 상에 재치하면, 케이스(110)의 표면과 전극 시트(5)의 거리 h가 10㎜ 이하의 범위 내의 거리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로 커버체(3)를 케이스 본체(2)에 끼우고, 오존을 발생시키면, 오존이 케이스(110)와 전극 시트(5)의 사이의 공극에 충만하여 케이스(110)의 표면에 부착한 균을 제균하려고 한다.
그러나, 케이스(110)의 표면이 거슬거슬하면, 도 26에 나타내듯이, 대부분의 균 K가 케이스(110)의 표면(110a)의 다수의 오목부(110b)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표면(110a)과 전극 시트(5)의 거리 h가 크면 오존이 오목부(110b) 내의 균 K를 제균하지 못하여 제균 효과가 현저하게 저하한다.
그렇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거슬거슬한 케이스(110)의 표면(110a)과 전극 시트(5)의 거리 h를 스페이서(8′)에 의해 10㎜ 이하의 범위 내의 거리로 유지함으로써, 케이스(110)의 표면(110a)을 전극 시트(5)의 근방에 대면시키고 있으므로, 오목부(110b) 내의 균 K가 오존에 의해 확실하게 제균된다.
발명자 등은 이러한 효과를 실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27은 균 K의 생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의 전사도이다.
발명자 등은 이 실험을 일반적인 실내 환경에서 행하였다.
우선, 준비로서 잡균(일반 생균, 이하 「균 K」라고 적는다)을 별도 배양하고, 이 균 K를 도시하지 않는 폴리에스텔 면혼방의 헝겊 조각에 분무한 후, 헝겊 조각을 건조시켰다.
그리고, 이 준비해 둔 헝겊 조각의 표면을 5㎝각(角)의 배양지 B로 닦아내고, 35℃의 온도 하에서 48시간, 균 K를 이 배양지 B로 배양하였다. 그러면, 도 27의 (a)에 나타내듯이, 5㎝각의 배양지 B에 「137」의 균 K가 생존하고 있었다.
즉, 오존 처리를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균 K의 생존수는 「137」인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에, 준비해 둔 상기 헝겊 조각을 균 K가 분무된 면을 전극 시트(5)에 대면시킨 상태로 전극 시트(5)의 바로 위 x㎜에 고정하였다. 이러한 상태로 오존을 전극 시트(5)로부터 발생시키고 헝겊 조각을 오존 중에 2시간 쬐었다. 이 때에 주파수 13㎐로 p-p14kV의 펄스 전원을 전극 시트(5)에 공급하여 오존을 발생시켰다.
즉, 오존 처리된 이 헝겊 조각의 표면을 5㎝각의 배양지 B로 닦아내고, 35℃의 온도 하에서 48시간, 균 K를 이 배양지 B로 배양하였다.
헝겊 조각과 전극 시트(5)의 거리 x㎜를 2㎜, 5㎜, 10㎜, 20㎜, 30㎜로 설정하고 상기의 오존 처리를 행하였다. 그러면, 헝겊 조각과 전극 시트(5)의 거리 2㎜에서는, 도 27의 (b)에 나타내듯이, 5㎝각의 배양지 B에 있어서의 균 K의 생존수는 「1」이며, 거리 5㎜에서는, 도 27의 (c)에 나타내듯이, 균 K의 생존수는 「19」이며, 거리 10㎜에서는, 도 27의 (d)에 나타내듯이, 균 K의 생존수는 「51」이며, 거리 20㎜에서는, 도 27의 (e)에 나타내듯이, 균 K의 생존수는 「103」이며, 거리 30㎜에서는, 도 27의 (f)에 나타내듯이, 균 K의 생존수는 「102」였다.
즉, 오존 처리를 한 상태에서는, 헝겊 조각과 전극 시트(5)의 거리를 증가시키면, 균 K의 생존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8은 균 K의 생존율과 거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발명자 등은 균 K의 생존율을 (오존 처리후의 균수÷오존 미처리의 균수)×100(%)로서 정의하고, 상기 오존 처리에 있어서의 전극 시트/헝겊 조각 사이의 거리와 균 K의 생존율과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그러면, 도 28에 나타내듯이 점 p1~p5를 얻었다.
점 p1, p2, p3이 나타내듯이, 거리 2㎜, 5㎜, 10㎜에서는 생존율이 1%, 14%, 37%이며, 기준 생존율 50%를 하회하고 있다.
그런데, 점 p4, p5가 나타내듯이, 거리 20㎜, 30㎜에서는 75%, 74%이며, 기준 생존율 50%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부터 생존율이 확실하게 「50」% 미만이 되는 헝겊 조각과 전극 시트(5)의 거리는 10㎜ 이하라고 판단할 수가 있다.
그래서, 발명자 등은 도 25에 나타내는 스페이서(8′)로 보유하는 거리 h를 10㎜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의 표면(110a)과 전극 시트(5)의 거리 h를 10㎜ 이하의 범위 내에 유지함으로써, 도 28에 나타내듯이, 케이스(110)의 표면(110a)에 생존하는 균 K를 기준 생존율 「50」% 미만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전극 시트(5) 상에 돌설(突設)한 스페이서(8′)를 보유부로서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보유부는 이들 스페이서(8′)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9에 나타내듯이, 재치부(4)의 구석을 상방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한 스페이서(8′′)도 포함한다.
그 외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제1 내지 제8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그러한 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극 시트(5, 5′)′의 전극(51, 52, 51′, 52′-1~52′-3)도 유전체(50)와 같이 고분자 수지인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하였지만, 전극(51, 52, 51′, 52′-1~52′-3)을 동등의 금속박이나 탄소나 은 등의 도전성 잉크로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제1~ 제7 실시예의 전극 시트(5, 5′)에서는 즐치상의 1쌍의 전극(51, 52)을 모두 유전체(50) 내에 수납한 구성을 채용하고, 제8 실시예의 전극 시트(5′′)에서는 일방의 전극(51′)을 유전체(50) 내에 수납함과 아울러 타방의 전극(52′-1)을 유전체(50)의 표면에 설치한 구성을 채용하였지만, 전극 시트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쌍의 전극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 2개의 전극을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옆으로 늘어선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 하나의 전극을 모두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 소용돌이 형상의 1쌍의 전극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서로 끼운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균 미터(64)를 구비한 제균 케이스(1-1~1-7)에 대해 예시했지만, 제균 미터(64)를 구비하지 않은 제균 케이스도 이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기의 일례로서 스마트 폰(100)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통신기에는 이른바 갈라파고스 휴대전화라고 하는 휴대전화나 일반적인 휴대전화 등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1~1-7, 1-9 제균 케이스 2 케이스 본체
3 커버체(cover body) 4 재치부
5, 5′, 5′′ 전극 시트(sheet) 6 전압 공급부
7, 54 숫커넥터(male connector) 7a, 7b 전원 단자
53a, 53b, 54a, 54b, 66a, 66b 단자
8, 8′, 8′′ 스페이서(spacer) 30 개구
31 저벽(bottom wall) 32 천벽
33, 34 측벽(side wall) 33a, 34a 홈(groove)
35 전벽(front wall) 39 축(shaft)
50 유전체 50a, 50b 유전체층
50c, 55a, 55b 급전구(feed port)
51, 52, 51′, 52′-1~52′-3 전극(electrode)
51a, 52a 즐치(comb teeth) 51a′, 52 a′ 단자부
52b′ 원형 구멍(circular hole)
53, 66, 101 암커넥터(female connector)
55 보호층 60 수납부
60a 전벽(front wall) 60b 구멍(hole)
60c 천벽 60d 후벽(rear wall)
61, 61′, 61′′ 승압 회로 61a, 61b 배선
62, 62′, 62′′ 직류 변환 회로 62a, 62b 배선
63 스위치 회로 63a 핀체(pin body)
63b 스프링(spring)
63c 고정 단자 63d 가동 단자
63e 스토퍼(stopper) 63f 콘트롤러(controller)
64 제균 미터(sterilization meter) 65 전원
65′ 전지(battery)
100 스마트 폰(smart phone) 110 케이스(case)
110a 표면 110b 오목부
200 충전기 201 변환기
202 케이블(cable) 203 USB 커넥터(connector)
B 배양지 h 거리
K 균(菌) S1, S2 공극

Claims (13)

  1. 제균 케이스로서,
    전극 시트가 재치되는 표면을 갖는 재치부와 전극 시트 및 이동 통신기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를 가지고, 이동 통신기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개폐 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되는 커버체를 가지고,
    전압 공급부는,
    전원을 오존 발생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극 시트의 1쌍의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는 제1 회로와,
    상기 전원을 이동 통신기의 전원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이동 통신기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 암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는 숫커넥터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제2 회로를 가지고,
    상기 이동 통신기는 전극 시트에 재치될 수 있고,
    전극 시트는 시트 형상 유전체와 시트 형상 유전체 내에 수납되는 1쌍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전극 시트의 유전체는 적어도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재치부는 이동 통신기 또는 재치부에 재치된 이동 통신기의 케이스와 전극 시트 사이의 거리를 10mm 이하의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한 보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시트와는 별체의 전극 시트를 상기 커버체의 천벽의 내면에 설치하고,
    상기 제1의 회로를 당해 별체의 전극 시트의 1쌍의 전극에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기를 재치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상기 재치부 상의 전극 시트 상에 돌설(突設)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치부의 단면 형상을 파형(波形)으로 형성하고 상기 전극 시트를 이 파형의 재치부를 따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교류 전원이며,
    상기 제1의 회로는 상기 전원의 교류 전압을 소망치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1쌍의 전극에 공급하는 회로이며,
    상기 제2의 회로는 상기 전원의 교류 전압을 소망치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숫커넥터에 공급하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직류 전원이며,
    상기 제1의 회로는 상기 전원의 직류 전압을 소망치의 교류 전압 또는 펄스 형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1쌍의 전극에 공급하는 회로이며,
    상기 제2의 회로는 상기 전원의 직류 전압을 소망치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숫커넥터에 공급하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회로는 상기 전원의 직류 전압을 그대로 상기 숫커넥터에 공급하는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를 닫은 상태에서만 상기 전원을 온 할 수가 있고 또한 전원을 온으로 하는 때에 있어서의 소정 길이의 제균 시간 경과후에 전원을 오프로 할 수 있는 스위치 기구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균 처리 시간을 표시하는 제균 미터를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전극의 각각은 즐치상으로 형성되고, 1쌍의 전극의 즐치끼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전극은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전극의 일방의 전극을 상기 유전체 내부에 수납하고, 다수의 구멍을 가진 타방의 전극 또는 즐치상의 타방의 전극의 어느 하나를 당해 일방의 전극에 대향시킨 상태로 상기 유전체의 표면에 배치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케이스.
  13. 삭제
KR1020177030755A 2015-05-21 2016-05-19 제균 케이스 KR102450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4000 2015-05-21
JP2015104000 2015-05-21
PCT/JP2016/064890 WO2016186168A1 (ja) 2015-05-21 2016-05-19 除菌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069A KR20180011069A (ko) 2018-01-31
KR102450235B1 true KR102450235B1 (ko) 2022-09-30

Family

ID=5732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755A KR102450235B1 (ko) 2015-05-21 2016-05-19 제균 케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485889B2 (ko)
EP (1) EP3299034B1 (ko)
JP (1) JP6739019B2 (ko)
KR (1) KR102450235B1 (ko)
CN (1) CN107530459B (ko)
ES (1) ES2837051T3 (ko)
HK (1) HK1243654A1 (ko)
SG (1) SG11201708668QA (ko)
TW (1) TWI670210B (ko)
WO (1) WO2016186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75845T3 (es) * 2016-08-26 2021-11-11 Creative Tech Corp Limpiador de zapatos
US11097026B2 (en) * 2018-06-12 2021-08-24 Uv Partners, Inc. Mobile device disinfection
WO2020252316A1 (en) * 2019-06-14 2020-12-17 Micronan Inc. Smartphone case based far ultra-violet c led bacteria/virus/pathogen eliminator
US11801319B2 (en) * 2020-04-16 2023-10-31 The Innovative Lifestyle Llc Personal ultraviolet light sanitation device
CN111450278A (zh) * 2020-05-15 2020-07-28 深圳市闪耀智联科技有限公司 紫外线消毒光纤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073B1 (ko) * 2013-02-28 2013-09-11 정선희 충전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JP2013236414A (ja) 2012-05-02 2013-11-21 Liberty Japan Kk 携帯端末用充電器
CN203507169U (zh) * 2013-09-22 2014-04-02 洪凌 一种手机消毒装置
WO2014119349A1 (ja) * 2013-02-04 2014-08-07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 テクノロジー プラズマ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9143B2 (ja) * 1993-12-09 1998-01-19 東陶機器株式会社 オゾン発生器
JPH09220275A (ja) * 1996-02-19 1997-08-26 Rhythm Watch Co Ltd オゾン殺菌ケース
CN2262029Y (zh) * 1996-12-24 1997-09-10 王佳水 高效长寿臭氧源片
US6490351B1 (en) * 1998-01-28 2002-12-03 Jon L. Roberts Telephone handset sterilizer method and apparatus
JP4070342B2 (ja) * 1999-01-29 2008-04-02 株式会社東芝 沿面放電オゾン発生装置
JP4504493B2 (ja) * 1999-07-05 2010-07-14 孝次 阿武 電球型の照明灯付き空気清浄装置
JP2004201788A (ja) * 2002-12-24 2004-07-22 Jp Network:Kk 除菌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除菌収容具
KR100946890B1 (ko) * 2003-01-16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살균기능을 갖는 휴대폰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휴대폰 살균 방법
JP2006066857A (ja) * 2004-07-26 2006-03-09 Creative Technology:Kk 双極型静電チャック
US7289628B2 (en) * 2004-11-29 2007-10-30 Yu-Yueh Lin Ozone functions handset
KR20080000274U (ko) 2006-09-04 2008-03-07 이상덕 휴대폰 충전겸용 오존 소독기
US8481970B2 (en) * 2008-08-19 2013-07-09 Spectronics Corporation Sanitiz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201516177U (zh) * 2009-05-19 2010-06-30 赵雁军 一种手机消毒装置
US8964405B2 (en) * 2011-09-13 2015-02-24 Phonesoap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sanitizer
JP2013236120A (ja) * 2012-05-02 2013-11-21 Liberty Japan Kk 携帯端末用ケース
JP2014068484A (ja) 2012-09-26 2014-04-17 Liberty Japan Kk 携帯端末用充電器
JP2014158217A (ja) * 2013-02-18 2014-08-28 Sharp Corp 除菌システム、端末装置、除菌装置、および除菌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6414A (ja) 2012-05-02 2013-11-21 Liberty Japan Kk 携帯端末用充電器
WO2014119349A1 (ja) * 2013-02-04 2014-08-07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 テクノロジー プラズマ発生装置
KR101307073B1 (ko) * 2013-02-28 2013-09-11 정선희 충전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N203507169U (zh) * 2013-09-22 2014-04-02 洪凌 一种手机消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37051T3 (es) 2021-06-29
KR20180011069A (ko) 2018-01-31
US20180169282A1 (en) 2018-06-21
TWI670210B (zh) 2019-09-01
EP3299034B1 (en) 2020-09-23
SG11201708668QA (en) 2017-11-29
HK1243654A1 (zh) 2018-07-20
JPWO2016186168A1 (ja) 2018-03-15
CN107530459A (zh) 2018-01-02
EP3299034A4 (en) 2018-11-14
WO2016186168A1 (ja) 2016-11-24
US10485889B2 (en) 2019-11-26
EP3299034A1 (en) 2018-03-28
CN107530459B (zh) 2020-06-19
TW201706192A (zh) 2017-02-16
JP6739019B2 (ja)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235B1 (ko) 제균 케이스
CN107530460B (zh) 除菌片
KR101579159B1 (ko) 애완동물용 플라즈마 브러시
KR20160035742A (ko) 공기 방전을 이용한 플라즈마 미용기기
US20160158395A1 (en) UVC Sterilization Box Electronics Devices
KR101024698B1 (ko) 진공청소기의 살균 거치대
US20150027940A1 (en) 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KR102432639B1 (ko) 슈즈 클리너
KR20180012008A (ko) 표면 자동 살균, 세척, 보관 및 충전장치
KR101773399B1 (ko) 탈착식 살균 모듈을 구비한 살균기
CN209931812U (zh) 一种可杀菌洁面仪
KR101540901B1 (ko) 휴대용 젖병 살균 장치
CN104731269A (zh) 一种带紫外线消毒灯的电脑机箱
KR102023818B1 (ko) 플라즈마 비누
KR20180002168A (ko) 다기능 휴대단말기 위생처리장치
CN210381258U (zh) 耳机充电盒
CN215456125U (zh) 一种具备震动清洗和uvc杀菌功能为一体的牙刷消毒盒
CN215381963U (zh) 一种眼镜盒
CN203089945U (zh) 一种可更换牙刷内垫的便携式牙刷消毒器
CN113648539A (zh) 用于手部的一体化等离子体干式灭菌装置和方法
KR20080005143U (ko) 타이머를 구비한 음이온발생 전기코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