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149B1 -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 Google Patents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149B1
KR102450149B1 KR1020200037692A KR20200037692A KR102450149B1 KR 102450149 B1 KR102450149 B1 KR 102450149B1 KR 1020200037692 A KR1020200037692 A KR 1020200037692A KR 20200037692 A KR20200037692 A KR 20200037692A KR 102450149 B1 KR102450149 B1 KR 10245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le
seedling
longitudinal direction
n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683A (ko
Inventor
유상준
Original Assignee
유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준 filed Critical 유상준
Priority to KR1020200037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1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는 중량을 인가하면서 꼬막 채묘망의 가장자리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연장된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봉형상으로 연장되되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작아지게 내측으로 인입된 체결홈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측 종단부분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의하면, 다수의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게 지원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weighting bar of net for cockle spat}
본 발명은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게 지원하면서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는 중량을 인가하는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관한 것이다.
꼬막류는 돌조개과에 속하는 조개로서, 우리나라에 꼬막아류에 속하는 종류는 9종이 알려져 있고, 꼬막, 새꼬막, 큰이랑피조개, 피조개 4종이 주요 산업종으로 양식되어지고 있다. 꼬막류 성장과정은 부유유생 기간을 보내고 곧바로 갯벌에 침착하는 비 부착성(참꼬막)과 부유유생 기간을 거친 후 부착기질에서 일정기간동안 성장하다 탈락하여 갯벌에 잠입하는 일시 부착성으로 나뉜다(새꼬막, 피조개). 꼬막은 각장 4 cm쯤, 각폭은 295 cm쯤의 둥근 부채꼴이며, 방사륵수는 평균 18줄이고 새꼬막은 각장 7 cm, 각폭은 587 cm 방사륵수는 평균 31줄, 피조개는 각장 11 cm로 대형종이며, 각폭은 981 cm 방사륵수는 평균 41줄이다. 아시아 연안의 갯벌에서 많이 채취되며 살은 연하고 붉은 피가 있으며 맛이 매우 좋아 통조림으로 가공하거나 삶아서 먹는다.
새꼬막은 경사가 완만하고 풍파에 의한 지반변동이 없는 조용한 내만에 널리 서식하며 간조시 노출되는 곳에서부터 약 5~10m까지의 수역으로 비중 1016~1022정도 되는 곳에 분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조류속도가 늦고 꼬시래기, 잘피 등의 해조류가 많은 곳으로 저질이 뻘질 또는 사니질인 곳에 많이 서식한다. 특히 해조류가 많은 부유자패의 부착이 용이하여 치패의 확보에 도움이 된다.
성숙한 새꼬막 모패에서 방란된 알은 수정 후 24~36 시간 만에 패각이 형성된 D상 유생으로 되어 2~3주일 정도 부유생활을 하다가 부착시기가 되면 발의 기부에서 분비물인 족사를 내어 해조류, 사립, 패각 기타 부착이 가능한 물체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부착기 유생의 크기는 각장 220~240 ㎛ 정도이고, 각정을 중심으로 10줄 내외의 동심선이 보이기 시작하며, 부착 후 15~20일 정도 경과하면 크기는 1 ㎜ 내외로 성장하여 방사륵이 패각의 전면에 나타나 새꼬막의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부착기간 3개월 정도 경과하면 크기가 4~6 ㎜ 정도 되면 부착물체에서 완전히 탈락하여 종묘로서의 적합한 크기에 달하게 되고 이때에 대부분 채취하여 양식장으로 이식 살포한다.
이러한 새꼬막은 대부분 자연채묘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종묘를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나 기후 및 해양환경의 급변으로 불규칙한 산란, 부유유생기에 감모, 해적생물에 의한 식해, 태풍 등 자연재해에 의한 채묘시설물 유실, 채묘장 오염 등 여러 가지 변수로 인해 안정적인 종묘생산이 곤란하다. 또한, 자연채묘 작황에 따라 종묘가격은 물론 성패가격의 변동 폭이 큰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종묘확보를 위해서는 자연적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새꼬막을 포함한 꼬막류(이하 꼬막이라 한다) 채묘방법 개선이 무엇보다도 시급히 필요한 시점이다.
일반적으로 자연채묘는 수직채묘와 수평채묘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수직채묘는 채묘망에 일정간격으로 높이 15 m 내외의 대나무를 결착하고 최간조시에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수심 15 m 내외의 갯벌에 채묘망을 펼치면서 시설한다. 이러한 채묘시설은 조수나 조류의 흐름을 막기 때문에 채묘망이 외부로부터 받는 힘이 커서 대나무 항목을 갯벌 깊이 박아 채묘망 유실을 방지한다.
수평채묘의 경우, 해수면에 수평으로 채묘망이 설치되므로 조수, 조류에 저항이 적고 채묘된 종묘의 이탈이 적으나, 비교적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이들 채묘망에 대나무를 일정한 간격으로 결착하고 갯벌에 시설하는 방식으로 간조선 부근에서 채묘시설을 하여 일정기간 관리한 다음 새꼬막 종묘의 성장에 따라, 털이작업을 실시하여 갯벌에서 중간육성 후 자연산 종묘를 얻고 있다.
그러나 종래 채묘방식은 채묘망의 수심이 고정되어 있어 채묘망 수심조절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여름철 태풍, 집중강우 등의 자연 환경 변화에 의한 저비중 현상 등으로 새꼬막 부착종묘의 대량폐사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540892호에는 수심조절형 꼬막 채묘틀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채묘틀은 하나씩 단독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채취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는 중량을 인가하는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은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는 중량을 인가하면서 꼬막 채묘망의 가장자리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연장된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있어서, 원형봉형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작아지게 내측으로 인입된 체결홈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측 종단부분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관통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중앙에 형성된 수평홀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홈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홈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교차홈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양측 종단부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단면에는 제1내경을 갖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 제1수용부분과, 상기 제1수용부분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홀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수용부분을 갖는 억지끼움 결합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용부분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1수용부분에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 바디부분과, 상기 바디부분의 양단에 상기 제2수용부분에 대응되는 구형상부분을 갖으며 상기 수평홀과 연통되는 중계홀이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억지끼움 결합 수용홈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1보조 결합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양측 종단부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단면에는 상기 수평홀과 연통되며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 결합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결합 수용홈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수평홀과 연통되는 중계홀이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2보조 결합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의하면, 다수의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게 지원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팅봉에 꼬막 채묘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웨이팅봉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이팅봉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웨이팅봉이 제1보조 결합구를 통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웨이팅봉이 제2보조 결합구를 통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팅봉에 꼬막 채묘망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웨이팅봉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웨이팅봉(100)은 꼬막 채묘망(10)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는 중량을 인가하면서 복수개의 꼬막 채묘망(10)의 가장자리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연장되어 있다.
웨이팅봉(100)은 제1외경을 갖게 원형봉 형상으로 연장되되 꼬막 채묘망(10)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제1외경보다 외경이 작아지게 내측으로 인입되어 제2외경을 갖는 체결홈(110)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웨이팅봉(100)은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측 종단부분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관통홀(1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홈(110) 및 수직 관통홀(120)은 사각형태로 형성된 꼬막 채묘망(1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결합끈에 의해 결속시키는데 이용된다.
웨이팅봉(100)에 적용되는 체결홈(110)의 개수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최외측에 위치하는 수직 관통홀(120)을 통해 결합되는 꼬막 채묘망(10)은 결합끈이 관통되게 결속되는 과정에 의해 이탈이 억제된다.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조류의 충격이 덜 인가되며 내측에 배치되는 꼬막 채묘망(10)은 체결홈(110)을 통해 보다 간단하게 결속될 수 있다.
한편, 웨이팅봉(100)은 양측 종단부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단면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 수평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홀(130)은 웨이팅봉(100)을 상호 연결하거나, 별도의 지지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미도시)를 관통되게 삽입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웨이팅봉(100)은 무게추 역할을 할 수 있게 비중이 물 또는 해수 보다 큰 소재의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h편, 체결홈(110)을 이용한 결합끈으로 결합시 결속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110)을 중심으로 체결홈(110)의 원주면을 따르는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되어 X자형태로 형성된 복수개의 교차홈(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홈(110) 및 교차홈(140)을 통해 결속끈이 감기도록 결합하면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웨이팅봉(100)들을 직렬상으로 상호 결합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이팅봉(100)의 양측 종단부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단면에는 절구형상으로 형성된 제1보조 결합구(210)에 의해 상호 결합을 지원할 수 있는 억지끼움수용홈(160)이 형성되어 있다.
억지끼움수용홈(160)은 제1내경을 갖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 제1수용부분(161)과, 제1수용부분(161)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게 호형으로 형성되며 수평홀(130)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수용부분(16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절구 형상으로 제1수용부분(161)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으며 제1수용부분에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 바디부분(211)과, 바디부분(211)의 양단에 제2수용부분(162)에 대응되는 구형상부분(212)을 갖으며 수평홀(130)과 연통되는 중계홀(123)이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보조 결합구(210)를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보조 결합구(210)는 탄성적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면 된다.
이와는 다르게 나사결합방식으로 직결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웨이팅봉(100)의 양측 종단부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단면에는 수평홀(130)과 연통되며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 결합 수용홈(2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나사결합 수용홈(260)에 나사결합되는 제2보조 결합구(220)를 이용하여 웨이팅봉(100) 상호간을 직렬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보조 결합구(220)는 나사결합 수용홈(26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으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홀(130)과 연통되는 중계홀(213)이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의하면, 다수의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자체 무게가 무게추 역할을 하여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게 지원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10: 꼬막 채묘망 100: 웨이팅봉
110: 체결홈 120: 수직관통홀
130: 수평홀 140: 교차홈
160: 억지끼움수용홈 260: 나사 결합 수용홈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는 중량을 인가하면서 꼬막 채묘망의 가장자리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연장된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있어서,
    원형봉형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작아지게 내측으로 인입된 체결홈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측 종단부분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관통홀과,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중앙에 형성된 수평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홈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교차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양측 종단부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단면에는 제1내경을 갖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인입된 제1수용부분과, 상기 제1수용부분으로부터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평홀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수용부분을 갖는 억지끼움 결합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용부분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1수용부분에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 바디부분과, 상기 바디부분의 양단에 상기 제2수용부분에 대응되는 구형상부분을 갖으며 상기 수평홀과 연통되는 중계홀이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억지끼움 결합 수용홈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1보조 결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5. 꼬막 채묘망이 수직상으로 원할하게 펼쳐질 수 있는 중량을 인가하면서 꼬막 채묘망의 가장자리부분과 결합할 수 있게 연장된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에 있어서,
    원형봉형상으로 연장되되 상기 꼬막 채묘망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외경이 작아지게 내측으로 인입된 체결홈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측 종단부분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된 수직관통홀과,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중앙에 형성된 수평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홈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내측으로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교차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양측 종단부분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종단면에는 상기 수평홀과 연통되며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 결합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결합 수용홈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수평홀과 연통되는 중계홀이 수평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2보조 결합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KR1020200037692A 2020-03-27 2020-03-27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KR102450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692A KR102450149B1 (ko) 2020-03-27 2020-03-27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692A KR102450149B1 (ko) 2020-03-27 2020-03-27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83A KR20210120683A (ko) 2021-10-07
KR102450149B1 true KR102450149B1 (ko) 2022-09-30

Family

ID=7811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692A KR102450149B1 (ko) 2020-03-27 2020-03-27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1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511Y1 (ko) 2005-12-29 2006-03-15 주식회사 미성테크 해양수산물의 양식 구조물
KR101632849B1 (ko) * 2015-12-31 2016-06-23 전라남도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7737U (ja) * 1984-02-07 1985-08-28 九州積水工業株式会社 海苔網用支持杆
KR200250936Y1 (ko) * 1998-12-24 2002-01-30 장재일 해태(김) 양식망용 지지대
KR200469409Y1 (ko) * 2011-12-16 2013-10-10 이명주 해양수산 양식구조물
KR20130112452A (ko) * 2012-04-04 2013-10-14 주식회사태성씨앤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511Y1 (ko) 2005-12-29 2006-03-15 주식회사 미성테크 해양수산물의 양식 구조물
KR101632849B1 (ko) * 2015-12-31 2016-06-23 전라남도 새꼬막 채묘 및 중간육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83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892B1 (ko) 수심 조절형 새꼬막 채묘틀
US8635973B1 (en) Artificial mangrove assembly
CN109997758A (zh) 一种人工鱼巢及其用途
KR200396100Y1 (ko) 하우스형 인공어초
KR200195063Y1 (ko) 종묘부착형 인공해조초
KR20170054021A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101722386B1 (ko) 에이치형 해조류 이식 플레이트
CN102792904A (zh) 三曲面海藻林鱼礁
Kamermans et al. Use of spat collectors to enchange supply of seed for bottom culture of blue mussels (Mytilus edulis) in the Netherlands
KR102450149B1 (ko)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KR10057206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JP2003047363A (ja) 藻場増殖礁
KR101840602B1 (ko) 해조초류의 이식,생육 및 치어,치패의 중간 생육서식지를 겸한 현무암 생육블록
JP2016149953A (ja) 藻場造成装置及び藻場造成方法
KR102202815B1 (ko) 갑오징어 수정란 부착용 인공조초
KR102236719B1 (ko) 새꼬막 채묘틀용 무게추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4033174A (ja) こんぶ科植物の養殖方法
CN105325323A (zh) 一种贻贝人工养殖方法
Nohrén et al. Response of epibenthic faunal assemblages to varying vegetation structures and habitat patch size
KR100797938B1 (ko) 사다리꼴 주형 해중림초 구조물
KR102060864B1 (ko) 노지양식용 해삼 양식장치
KR20130127331A (ko) 해조류 수평면 양식 장치
KR102495854B1 (ko) 갯벌용 친환경 잘피이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잘피이식방법
CN220799763U (zh) 一种高效率引诱福寿螺集中产卵装置
KR200275003Y1 (ko) 인공 종묘 부착 배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