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452A -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 Google Patents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452A
KR20130112452A KR1020120034843A KR20120034843A KR20130112452A KR 20130112452 A KR20130112452 A KR 20130112452A KR 1020120034843 A KR1020120034843 A KR 1020120034843A KR 20120034843 A KR20120034843 A KR 20120034843A KR 20130112452 A KR20130112452 A KR 2013011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rine
coupled
tidal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성
김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성씨앤디
주식회사 원플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성씨앤디, 주식회사 원플라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성씨앤디
Priority to KR102012003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452A/ko
Publication of KR2013011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가 갯벌 일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각 지지관체의 일측에 적어도 둘이상이 결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와이어 및 상단부가 상기 지지와이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와이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결합되는 양식로프 및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갯벌에 매설되어 상기 지지수단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하방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면 일측에 각각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갯벌에 매설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의 하단부에 침하방지구를 결합함으로써 갯벌과 같이 지반이 약한 지역에 설치되더라도 일정깊이 이상 침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치대상지역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류에 의해 도복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시설물이 파손되거나 해양수산물이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Raising apparatus of marine products for tidal flat and tool for subsidence prevent thereof}
본 발명은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갯벌과 같이 지반이 약한 지역에 설치되더라도 일정깊이 이상 침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치대상지역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류에 의해 도복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시설물이 파손되거나 해양수산물이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에서 서식하고 있는 굴, 전복과 같은 해양수산물의 경우 영양가가 높은 해산물로서 파래,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를 섭취하면서 성장하는데, 해저의 자갈 및 암석에 부착되어 서식하는 과정에서 심한 해류에 의해 유실되거나 타 어류의 의해 소실되어 해양수산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해양수산물을 인공적으로 양식할 수 있는 양식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갯벌의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수단과, 일측이 다수개의 지지수단에 지지되는 지지와이어 및 상단부가 지지와이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양식로프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한 지지수단과, 상단부가 지지수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로프로 구성되며, 상기한 로프의 일측에 해양수산물을 매달아 양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통상적으로 지지수단이 목재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목재의 경우 그 중량이 가볍고 가공성이 높아 제조비용이 낮고 이동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으나, 조류 및 해양식물에 의한 파손이 잦아 유지보수가 매우 까다롭고, 바닷물과 접촉되면서 부패되어 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목재로 제작된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비중이 가벼워 밀물시 지지수단이 부상하여 썰물시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금속으로 제작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갯벌과 같이 지반이 약한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높은 비중으로 인해 침하되어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될 뿐 아니라 설치되더라도 그 지지력이 약해 해류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도복되거나 해양수산물이 로프로부터 이탈되어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금속으로 제작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바닷물과의 접촉에 의해 부식되면서 그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됨과 아울러 부식되면서 발생하는 녹에 의해 주위 바닷물이 오염되고, 이에 따라 양식하는 해양수산물 역시 오염되면서 해양수산물의 품질 및 수확량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목재 또는 금속재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코팅한 다수개의 봉부재를 조립하여 지지수단이 제작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장시간 바닷물에 노출되면서 코팅막이 탈거되고,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지지수단이 부패 또는 부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갯벌과 같이 지반이 약한 지역에 설치되더라도 일정깊이 이상 침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치대상지역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류에 의해 도복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시설물이 파손되거나 해양수산물이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닷물, 즉 염소에 의한 지지수단의 부패 또는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밀물시 부상되어 유실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개가 갯벌 일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각 지지관체의 일측에 적어도 둘이상이 결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와이어와, 상단부가 상기 지지와이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와이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결합되는 양식로프 및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갯벌에 매설되어 상기 지지수단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하방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면 일측에 각각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갯벌에 매설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기 결합부의 저면 일측에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결합되는 매설관체 및 외면이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매설관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쐐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관체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체의 양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물이동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관체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관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통과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외관의 내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되,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및 상기 지지편은 압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해양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해 갯벌에 설치되어 양식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갯벌에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지지수단의 일측이 삽입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갯벌에 매설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물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배출공이 형성된 내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물배출공을 차폐하는 메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침하방지구는 일측에 상기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의 외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대의 하단부에 침하방지구를 결합함으로써 갯벌과 같이 지반이 약한 지역에 설치되더라도 일정깊이 이상 침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치대상지역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류에 의해 도복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시설물이 파손되거나 해양수산물이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하방지구의 연장부를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고, 내부에 보강리브를 형성한 상태에서 연장부의 상부 일측에 물배출공을 형성함으로써 지지수단을 설치대상지역에 지지하는 지지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수단 일측에 바닷물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바닷물, 즉 염소에 의한 지지수단의 부패 또는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밀물시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복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표시된 'A'의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하방지구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장치가 갯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체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표시된 'A'의 확대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하방지구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1)는 갯벌, 다시 말하면 갯벌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수단(10)과, 양단부가 최외각에 위치하는 지지수단(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일측에 다른 지지수단(10)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와이어(20)와, 상단부가 지지와이어(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에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매달리는 양식로프(30) 및 지지수단(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설치대상지역, 즉 갯벌의 일측에 지지되는 침하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수단(10)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관체(11)와, 커버부(12)와, 연결관체(13)와, 지지대(14) 및 측방향지지대(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식로프(30)가 결합되는 지지와이어(2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갯벌의 일측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지지관체(11)는 외관(11a)과, 외관(11a)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내관(11b) 및 외관(11a)과 내관(11b)을 연결하는 지지편(11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식로프(30)가 결합되는 지지와이어(2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외관(11a)은 단면이 대략 원통인 긴 봉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다수개의 지지수단(10) 중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수단(10)의 외관(11a)은 외면에 결합홈(11aa)이 형성되어 지지와이어(20)의 양단부가 고정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다른 지지수단(10)의 외관(11a)의 상부에는 지지와이어(20)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와이어(2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관(11b)은 단면이 대략 원통인 긴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직경이 외관(11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관(11a)의 내부에 삽입배치되며, 바닷물이 이동되는 물이동로(11ba)를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지지편(11c)을 통해 외관(11a)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내관(11b)의 내부에 물이동로(11ba)가 형성되는 이유는 후술하는 커버부(12)의 유입공(12a)을 통해 바닷물이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내관(11b)의 내부에 바닷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충진된 바닷물의 중량에 의해 지지수단(10)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편(11c)은 내관(11b)의 외면으로부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외관(11a)의 내면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관(11b)의 지지력이 외관(11a)으로 전달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관(11a)과 내관(11b) 사이에 공기층(11ca)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지지편(11c)은 외관(11a)에 해류, 이물질 충격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관(11a)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공기층(11ca)에 의해 완충되도록 함과 아울러 내관(11b)의 지지력을 외관(11a)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외관(11a)의 파손 또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외관(11a)과, 내관(11b) 및 지지편(11c)은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관(11a)과 내관(11b)을 결합하는 결합공정없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커버부(12)는 한쌍이 지지관체(1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한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와 대응되는 일측에 유입공(12a)이 형성되어 유입공(12a)을 통해 바닷물이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관체(11)의 양단부를 마감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바닷물이 유입공(12a)을 통해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바닷물이 지지편(11c)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11ca)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부(12)와 내관(11b)사이에 오링(R)을 개재하여 물이동로(11ba)와 공기층(11ca)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체(13)는 중공(13a)의 관체로 형성되어 외관(11a)의 외면 일측이 중공(13a)에 삽입결합되고, 저면에 제1 결합구(13b)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지지대(14)의 결합영역을 제공함으로써 후술하는 지지대(14)의 지지력이 지지관체(11)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관체(1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연결관체(13)는 제1 결합구(13b)가 형성되지 않은 저면 타측에 지지관체(11)의 길이방향, 즉 지지관체(11)의 측방향 외측으로 제2 결합구(13c)가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측방향지지대(15)의 결합영역을 제공한다.
지지대(14)는 원통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제1 결합구(13b)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후술하는 침하방지구에 결합되어 침하방지구에 의해 지지관체(11)를 갯벌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측방향지지대(15)는 원통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제2 결합구(13c)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후술하는 침하방지구에 결합되어 침하방지구에 의해 지지관체(11)를 갯벌에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와 같은 측방향지지대(15)는 지지관체(11) 또는 지지대(14)에 해류, 풍량, 이물질 충돌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 지지수단(10)이 지지관체(11)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려는 경우 지지수단(10)의 측방향에서 지지관체(11)를 지지함으로써 양식중인 해양수산물이 양식로프(30)로부터 탈거되어 유실되거나 지지수단(10)이 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와이어(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지수단(10)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고, 일측이 다른 지지수단(10)의 상부 일측에 지지되어 후술하는 양식로프(30)를 지지하여 양식로프(30)에 해양수산물이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양식로프(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지지와이어(20)의 일측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일측에 매달리면서 해양수산물을 양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지지와이어(20)와 양식로프(30)는 일반적인 로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지지와이어(20) 및 양식로프(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식로프(30)를 지지할 수 있고 해양수산물이 매달릴 수 있을 정도의 끈부재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침해방지부(40)는 지지대(14) 또는 측방향지지대(15)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41)와, 결합부(41)의 상단 외주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42)와, 지지플레이트(42)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43)와, 연장부(43)와 결합부(41)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강리브(44)와, 상단부가 결합부(41)의 저면에 결합되는 매설관체(45) 및 매설관체(45)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쐐기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갯벌의 일측에 지지되어 지지수단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4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지지대(14) 또는 측방향지지대(15)의 하단부가 삽입결합되는 제1 삽입홈(41a)이 형성되며, 저면 일측에는 매설관체(45)의 상단부가 삽입결합되는 제2 삽입홈(41b)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결합부(41)는 후술하는 지지플레이트(42)가 지지대(14) 일측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플레이트(42)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연장부(4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간(S)에 갯벌의 흙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갯벌의 흙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지지하여 지지수단(10)이 갯벌에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장부(43)는 지지플레이트(42)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갯벌에 매설되는 경우 연결된 지지플레이트(42)와 그 사이에 갯벌의 흙이 유입되는 유입공간(S)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유입공간(S)으로 유입된 갯벌의 흙이 압축되도록 하여 갯벌에 지지되는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유입된 갯벌의 흙을 압축하는 동작은 후술하는 도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연장부(43)는 상단부 일측 중 후술하는 보강리브(44)에 의해 구획되는 각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물배출공(43a)이 형성되어 갯벌의 흙이 압축되는 경우 발생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리브(44)는 일측이 연장부(43)의 내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결합봉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면이 지지플레이트(42)의 저면에 연결되어 유입공간(S)을 구획함과 아울러 연장부(43) 및 지지플레이트(42)의 내면 일측을 지지하여 침해방지부(4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매설관체(45)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결합부(41)의 제2 삽입홈(41b)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서, 갯벌에 삽입매설되어 지지플레이트(42) 및 연장부(43)가 갯벌 일측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쐐기부(46)는 외면이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 일측으로부터 결합돌부가 형성되어 결합돌부가 매설관체(45)의 하단부에 삽입결합되고, 외면이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매설관체(45)를 갯벌에 삽입매설하고자 하는 경우 매설관체(45)가 갯벌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장치가 갯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체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출성형된 지지관체(11)와, 연결관체(13), 커버부(12), 지지대(14), 측방향지지대(15), 지지와이어(20) 및 양식로프(30)를 준비하고, 준비된 각 구성을 갯벌을 이송한다.
이후 이송된 지지관체(11)의 외면에 연결관체(13)를 결합하고, 지지관체(11)의 양단부에 커버부(12)를 결합한 후 연결관체(13)의 제1 결합구(13b) 및 제2 결합구(13c)에 각각 지지대(14) 및 측방향지지대(15)를 삽입결합한다.
그리고, 지지대(14) 및 측방향지지대(15)의 하단부를 결합부(41)의 제1 삽입홈(41a)에 삽입하여 지지대(14) 및 측방향지지대(15)의 하단부에 침해방지부(40)를 결합하고, 하단부에 쐐기부(46)가 결합된 매설관체(45)의 상단부를 결합부(41)의 제2 삽입부에 결합하여 침해방지부(40)에 매설관체(45)를 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10)을 다수개 조립한 후 조립된 지지수단(10)을 갯벌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지지와이어(20)의 양단부를 최외측에 위치한 지지수단(10)의 외관(11a) 일측에 결속하고, 지지와이어(20)의 일측이 다른 지지수단(1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한다.
지지수단(10)에 지지된 지지와이어(20)의 양식로프(30)의 상단부를 결속하여 조립을 완료된다.
여기서, 지지수단(10)을 갯벌에 배치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지지수단(10)의 하단부에 침해방지부(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침해방지부(40)의 쐐기부(46)를 설치하고자 하는 갯벌일측에 삽입하면 쐐기부(46)가 하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침해방지부(40)가 갯벌에 용이하게 매설된다.
이때,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부(43)와 지지플레이트(42)에 의해 형성된 유입공간(S)에 갯벌의 흙이 유입되는데, 상기한 유입공간(S)은 연장부(43)가 지지플레이트(42)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에 유입공간(S)으로 유입된 갯벌의 흙은 하방에서 유입공간(S)으로 유입되는 갯벌의 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방으로 이동되는 갯벌의 흙이 연장부(43)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압축되고, 연장부(43)의 내면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갯벌의 흙이 견고해지면서 지지수단이 하중에 의해 갯벌에 일정깊이 이상 침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갯벌의 흙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물은 연장부(43)의 상부에 형성된 물배출공(4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되, 갯벌의 흙은 연장부(43)의 내면 중 물배출공(43a)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메쉬부재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1)는 갯벌과 같이 지반이 약한 영역에 설치되더라도 침하방지구의 지지력에 의해 지지수단(10)이 일정깊이 이상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1)는 밀물시 바닷물에 침수되더라도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닷물이 커버부(12)의 유입공(12a)을 통해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면서 침수기간동안 바닷물이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거나 일정시간 머물게 됨으로써 내관(11b)에 유입된 바닷물의 중량에 의해 지지수단(10)이 부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로 바닷물이 유입되더라도 지지편(11c)에 의해 내관(11b)과 외관(11a)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11ca)에는 바닷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지지관체(11)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공기층(11ca)에 의해 그 충격이 완화되면서 지지관체(11)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10 : 지지수단
11 : 지지관체 11a : 외관
11aa : 결합홈 11b : 내관
11ba : 물이동로 11c : 지지편
11ca : 공기층 12 : 커버부
12a : 유입공 13 : 연결관체
13a : 중공 13b : 제1 결합구
13c : 제2 결합구 14 : 지지대
15 : 측방향지지대 S : 스토퍼
20 : 지지와이어 30 : 양식로프
40 : 침해방지부 41 : 결합부
41a : 제1 삽입홈 41b : 제2 삽입홈
42 : 지지플레이트 43 : 연장부
43a : 물배출공 44 : 보강리브
45 : 매설관체 46 : 쐐기부
S : 유입공간

Claims (8)

  1. 복수개가 갯벌 일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각 지지관체의 일측에 적어도 둘이상이 결합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와이어; 및
    상단부가 상기 지지와이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와이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결합되는 양식로프; 및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갯벌에 매설되어 상기 지지수단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하방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면 일측에 각각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갯벌에 매설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기 결합부의 저면 일측에 제2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결합되는 매설관체; 및
    외면이 내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매설관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쐐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관체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체의 양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물이동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관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통과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외관의 내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되,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및 상기 지지편은 압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
  5. 해양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해 갯벌에 설치되어 양식로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갯벌에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삽입홈에 상기 지지수단의 일측이 삽입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갯벌에 매설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기 연장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구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물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물배출공이 형성된 내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물배출공을 차폐하는 메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구는
    일측에 상기 연장부의 내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의 외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KR1020120034843A 2012-04-04 2012-04-04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KR20130112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43A KR20130112452A (ko) 2012-04-04 2012-04-04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43A KR20130112452A (ko) 2012-04-04 2012-04-04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52A true KR20130112452A (ko) 2013-10-14

Family

ID=4963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843A KR20130112452A (ko) 2012-04-04 2012-04-04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4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6208U1 (ru) * 2021-03-29 2021-08-3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 МСХА имени К.А. Тимирязева" (ФГБОУ ВО РГАУ - МСХА имени К.А. Тимирязе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мидий
KR20210120683A (ko) * 2020-03-27 2021-10-07 유상준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CN113940270A (zh) * 2021-11-12 2022-01-18 江苏海森林海洋科技有限公司 离岸深远海潮间带式养殖支撑装置及养殖支撑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683A (ko) * 2020-03-27 2021-10-07 유상준 꼬막 채묘망 결합용 웨이팅봉
RU206208U1 (ru) * 2021-03-29 2021-08-3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 МСХА имени К.А. Тимирязева" (ФГБОУ ВО РГАУ - МСХА имени К.А. Тимирязе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мидий
CN113940270A (zh) * 2021-11-12 2022-01-18 江苏海森林海洋科技有限公司 离岸深远海潮间带式养殖支撑装置及养殖支撑方法
CN113940270B (zh) * 2021-11-12 2024-05-24 江苏海森林海洋科技有限公司 离岸深远海潮间带式养殖支撑装置及养殖支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227B1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JP6817338B2 (ja) 死骸トラップを有する水産養殖用魚囲い
CA2708873C (en) Aquaculture net with different densities of weight
CA2906797C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KR20130112452A (ko)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CN103168716B (zh) 框架结构的瓶洞礁
KR101131519B1 (ko)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KR101285112B1 (ko) 패류 양식용 어구 조립체
KR200403270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KR100935300B1 (ko) 강관형 파이프
KR101198069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CN103181349B (zh) 稳健型鱼礁
KR100692362B1 (ko)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CN103168717B (zh) 径离式人工鱼礁
JP4694652B1 (ja) 潜砂性二枚貝の養殖方法及び養殖用構造物
CN204697758U (zh) 一种虾塘排污装置
KR200468925Y1 (ko) 전복양식집 구조
CN209412798U (zh) 防污柔性围隔
KR101217190B1 (ko)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및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의 지지관체 제조방법
KR100943540B1 (ko) 부양운반식 인공어초, 그 제조방법 및 설치방법
CN106332848B (zh) 一种用于拖网底纲的滚动装置
JP6794773B2 (ja) 保護具
KR20100135171A (ko) 어망추
KR20100130690A (ko) 해양심층수 취수관용 보호 구조물
JP2011155940A (ja) 人工魚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