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519B1 -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 Google Patents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519B1
KR101131519B1 KR1020110126620A KR20110126620A KR101131519B1 KR 101131519 B1 KR101131519 B1 KR 101131519B1 KR 1020110126620 A KR1020110126620 A KR 1020110126620A KR 20110126620 A KR20110126620 A KR 20110126620A KR 101131519 B1 KR101131519 B1 KR 101131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e
support means
supporting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성
김용원
Original Assignee
김용원
주식회사태성씨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원, 주식회사태성씨앤디 filed Critical 김용원
Priority to KR102011012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가 설치대상지역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와이어 및 상단부가 상기 지지와이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와이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결합되는 양식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내부에 물이동로가 형성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관체의 양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물이동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지지관체의 양측단부 외면 일측에 결합되고, 저면 일측에 제1 결합구가 형성되며, 저면 타측에 상기 걸이봉의 외측 방향으로 제2 결합구가 형성된 연결관체와, 상단부가 상기 제1 결합구에 삽입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설치대상지역에 매설되는 지지대 및 상단부가 상기 제2 결합구에 삽입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설치대상지역에 매설되어 상기 지지관체가 상기 지지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방향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수단 일측에 바닷물이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관체의 양측방향으로 측방향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바닷물, 즉 염소에 의한 지지수단의 부패 또는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지지수단이 좌우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수단이 도복되거나 양식중인 해양수산물이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대상지역에 지지수단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해류에 의한 지지수단의 유실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Raising apparatus for marine products}
본 발명은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물, 즉 염소에 의한 지지수단의 부패 또는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지지수단이 좌우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수단이 도복되거나 양식중인 해양수산물이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대상지역에 지지수단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해류에 의한 지지수단의 유실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에서 서식하고 있는 굴, 전복과 같은 해양수산물의 경우 영양가가 높은 해산물로서 파래,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를 섭취하면서 성장하는데, 해저의 자갈 및 암석에 부착되어 서식하는 과정에서 심한 해류에 의해 유실되거나 타 어류의 의해 소실되어 해양수산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해양수산물을 인공적으로 양식할 수 있는 양식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갯벌의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수단과, 일측이 다수개의 지지수단에 지지되는 지지와이어 및 상단부가 지지와이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양식로프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한 지지수단과, 상단부가 지지수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로프로 구성되며, 상기한 로프의 일측에 해양수산물을 매달아 양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통상적으로 지지수단이 목재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목재의 경우 그 중량이 가볍고 가공성이 높아 제조비용이 낮고 이동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으나, 조류 및 해양식물에 의한 파손이 잦아 유지보수가 매우 까다롭고, 바닷물과 접촉되면서 부패되어 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목재로 제작된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비중이 가벼워 밀물시 지지수단이 부상하여 썰물시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금속의 경우에는 바닷물과의 접촉에 의해 부식되면서 그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될 뿐 아니라 부식되면서 발생하는 녹에 의해 주위 바닷물이 오염되고, 이에 따라 양식하는 해양수산물 역시 오염되면서 해양수산물의 품질 및 수확량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지지수단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면서 다른 곳으로 이전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제작된 상태 그대로 이전하여야 하므로 이전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목재 또는 금속재의 표면에 합성수지를 코팅한 다수개의 봉부재를 조립하여 지지수단이 제작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장시간 바닷물에 노출되면서 코팅막이 탈거되고,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지지수단이 부패 또는 부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는 해류에 의해 지지수단의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지지수단이 도복되거나 해양수산물이 로프로부터 이탈되어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닷물, 즉 염소에 의한 지지수단의 부패 또는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지지수단이 좌우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수단이 도복되거나 양식중인 해양수산물이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대상지역에 지지수단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해류에 의한 지지수단의 유실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류의 압력에 의해 지지수단이 설치대상지역으로 일정깊이 이상 매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수단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지지수단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여 외력에 의한 지지수단의 파손 또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수개가 설치대상지역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와이어 및 상단부가 상기 지지와이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와이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결합되는 양식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내부에 물이동로가 형성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관체의 양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물이동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지지관체의 양측단부 외면 일측에 결합되고, 저면 일측에 제1 결합구가 형성되며, 저면 타측에 상기 걸이봉의 외측 방향으로 제2 결합구가 형성된 연결관체와, 상단부가 상기 제1 결합구에 삽입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설치대상지역에 매설되는 지지대 및 상단부가 상기 제2 결합구에 삽입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설치대상지역에 매설되어 상기 지지관체가 상기 지지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방향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측방향지지대는 상기 갯벌에 지지되는 하단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봉은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관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통과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외관의 내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되,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및 상기 지지편은 압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관체는 측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외관의 높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수단 일측에 바닷물이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관체의 양측방향으로 측방향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바닷물, 즉 염소에 의한 지지수단의 부패 또는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지지수단이 좌우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수단이 도복되거나 양식중인 해양수산물이 유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대상지역에 지지수단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해류에 의한 지지수단의 유실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지대 및 측방향지지대의 하단부에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해류의 압력에 의해 지지수단이 설치대상지역으로 일정깊이 이상 매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관과 내관 및 지지편이 압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관과 내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지수단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지지수단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충격을 완화하여 외력에 의한 지지수단의 파손 또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표시된 'A'의 확대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체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이 좌우유동되는 경우 측방향지지대가 이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체의 관통홀을 통해 해류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표시된 'A'의 확대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1)는 설치대상지역, 다시 말하면 갯벌의 일측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수단(10)과, 양단부가 최외각에 위치하는 지지수단(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일측에 다른 지지수단(10)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와이어(20)와, 상단부가 지지와이어(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에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매달리는 양식로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수단(10)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관체(11)와, 커버부(12)와, 연결관체(13)와, 지지대(14) 및 측방향지지대(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식로프(30)가 결합되는 지지와이어(2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갯벌의 일측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지지관체(11)는 외관(11a)과, 외관(11a) 내부에 삽입결합되는 내관(11b) 및 외관(11a)과 내관(11b)을 연결하는 지지편(11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양식로프(30)가 결합되는 지지와이어(2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외관(11a)은 단면이 대략 원통인 긴 봉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다수개의 지지수단(10) 중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수단(10)의 외관(11a)은 외면에 결합홈(11aa)이 형성되어 지지와이어(20)의 양단부가 고정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다른 지지수단(10)의 외관(11a)의 상부에는 지지와이어(20)의 일측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와이어(2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관(11b)은 단면이 대략 원통인 긴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직경이 외관(11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관(11a)의 내부에 삽입배치되며, 바닷물이 이동되는 물이동로(11ba)를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지지편(11c)을 통해 외관(11a)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내관(11b)의 내부에 물이동로(11ba)가 형성되는 이유는 후술하는 커버부(12)의 유입공(12a)을 통해 바닷물이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내관(11b)의 내부에 바닷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충진된 바닷물의 중량에 의해 지지수단(10)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편(11c)은 내관(11b)의 외면으로부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외관(11a)의 내면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관(11b)의 지지력이 외관(11a)으로 전달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관(11a)과 내관(11b) 사이에 공기층(11ca)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지지편(11c)은 외관(11a)에 해류, 이물질 충격등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관(11a)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공기층(11ca)에 의해 완충되도록 함과 아울러 내관(11b)의 지지력을 외관(11a)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외관(11a)의 파손 또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외관(11a)과, 내관(11b) 및 지지편(11c)은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관(11a)과 내관(11b)을 결합하는 결합공정없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커버부(12)는 한쌍이 지지관체(1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한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와 대응되는 일측에 유입공(12a)이 형성되어 유입공(12a)을 통해 바닷물이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관체(11)의 양단부를 마감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바닷물이 유입공(12a)을 통해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바닷물이 지지편(11c)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11ca)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커버부(12)와 내관(11b)사이에 오링(R)을 개재하여 물이동로(11ba)와 공기층(11ca)사이가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관체(13)는 중공(13a)의 관체로 형성되어 외관(11a)의 외면 일측이 중공(13a)에 삽입결합되고, 저면에 한쌍의 제1 결합구(13b)가 각각 폭방향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지지대(14)의 결합영역을 제공함으로써 후술하는 지지대(14)의 지지력이 지지관체(11)에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관체(1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연결관체(13)는 제1 결합구(13b)가 형성되지 않은 저면 타측에 지지관체(11)의 길이방향, 즉 지지관체(11)의 측방향 외측으로 제2 결합구(13c)가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측방향지지대(15)의 결합영역을 제공한다.
지지대(14)는 원통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제1 결합구(13b)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설치대상지역인 갯벌에 매설되어 연결관체(13)를 통해 지지관체(11)를 지지하면서 지지관체(11)가 설치대상지역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측방향지지대(15)는 원통의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제2 결합구(13c)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설치대상지역인 갯벌에 매설되어 지지대(14)와 같이 연결관체(13)를 통해 지지관체(11)를 지지하는데, 이와 같은 측방향지지대(15)는 지지관체(11) 또는 지지대(14)에 해류, 풍량, 이물질 충돌과 같은 외력이 가해져 지지수단(10)이 지지관체(11)의 길이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려는 경우 지지수단(10)의 측방향에서 지지관체(11)를 지지함으로써 양식중인 해양수산물이 양식로프(30)로부터 탈거되어 유실되거나 지지수단(10)이 도복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한 지지대(14)와 측방향지지대(15)는 하단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스토퍼(S)가 연장형성되어 지지수단(10)이 바닷물에 침수되어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지지대(14) 및 측방향지지대(15)가 설치대상지역에 일정깊이 이상 매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체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이 좌우유동되는 경우 측방향지지대가 이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의 설치과정 및 동작을 첨부된 도4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출성형된 지지관체(11)와, 연결관체(13), 커버부(12), 지지대(14), 측방향지지대(15), 지지와이어(20) 및 양식로프(30)를 준비하고, 준비된 각 구성을 설치대상지역을 이송한다.
이후 이송된 지지관체(11)의 외면에 연결관체(13)를 결합하고, 지지관체(11)의 양단부에 커버부(12)를 결합한 후 연결관체(13)의 제1 결합구(13b) 및 제2 결합구(13c)에 각각 지지대(14) 및 측방향지지대(15)를 삽입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10)을 다수개 조립한 후 조립된 지지수단(10)을 설치대상지역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후 지지와이어(20)의 양단부를 최외측에 위치한 지지수단(10)의 외관(11a) 일측에 결속하고, 지지와이어(20)의 일측이 다른 지지수단(1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한다.
지지수단(10)에 지지된 지지와이어(20)의 양식로프(30)의 상단부를 결속하여 조립을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1)는 설치대상지역인 갯벌에 설치되어 밀물시 바닷물에 침수되면서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닷물이 커버부(12)의 유입공(12a)을 통해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며, 침수기간동안 바닷물이 물이동로(11ba)로 유입되거나 일정시간 머물게 되고, 이에 따라 내관(11b)에 유입된 바닷물의 중량에 의해 지지수단(10)이 부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로 바닷물이 유입되더라도 지지편(11c)에 의해 내관(11b)과 외관(11a)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11ca)에는 바닷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지지관체(11)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공기층(11ca)에 의해 그 충격이 완화되면서 지지관체(11)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대(14)와 측방향지지대(15)의 하단부에 스토퍼(S)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대(14)와 측방향지지대(15)가 설치대상지역에 일정깊이 이상 매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침수된 지지수단(10)이 외력에 의해 좌우이동되려는 경우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10)의 양측방향에서 하단부가 설치대상지역에 매설된 측방향지지대(15)가 지지수단(10)을 지지하면서 지지수단(10)의 좌우유동을 방지하여 지지수단(10)의 좌우유동에 따른 지지수단(10)의 도복이나 해양수산물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수단의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체의 관통홀을 통해 해류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내지 도7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 내지 도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해류에 의한 지지관체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지지수단(10)의 측면 중 높이방향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홀(K)이 형성되어 밀물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1)가 바닷물에 침수되는 경우 지지수단(10)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K)을 통해 해류의 이동로를 제공하여 해류에 의한 지지수단(1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밀물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1)가 바닷물에 침수되어 지지수단(10)이 해류의 영향을 받는 경우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10)의 측면 중 곡면영역인 B2구간에 비해 평면에 가까운 B1구간에서 가장 큰 저항력이 발생되는 바 B1구간과 대응되는 지지수단(10)의 일측에 관통홀(K)을 형성하고, 관통홀(K)을 통해 지지수단(10)의 저항없이 해류가 이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벤츄리효과에 의해 관통홀(K)의 주변영역에 위치한 해류 또한 관통홀(K)로 유도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해류에 대한 저항력이 가장 큰 B1구간의 저항력이 감소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해류에 의한 지지수단(10)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해류에 의한 지지수단(10)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밀물시 관통홀(K)을 통해 내관(11b)의 물이동로(11ba)에 바닷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물이동로(11ba)에 충진되는 바닷물의 중량에 따른 지지수단(10)의 부상방지 효과가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10 : 지지수단
11 : 지지관체 11a : 외관
11aa : 결합홈 11b : 내관
11ba : 물이동로 11c : 지지편
11ca : 공기층 12 : 커버부
12a : 유입공 13 : 연결관체
13a : 중공 13b : 제1 결합구
13c : 제2 결합구 14 : 지지대
15 : 측방향지지대 S : 스토퍼
20 : 지지와이어 30 : 양식로프
K : 관통홀

Claims (4)

  1. 다수개가 설치대상지역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수단과;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측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지지수단 중 어느 하나의 지지수단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와이어; 및
    상단부가 상기 지지와이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와이어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일측에 다수개의 해양수산물이 결합되는 양식로프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내부에 물이동로가 형성되는 지지관체와;
    상기 지지관체의 양측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물이동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지지관체의 양측단부 외면 일측에 결합되고, 저면 일측에 제1 결합구가 형성되며, 저면 타측에 상기 지지관체의 외측 방향으로 제2 결합구가 형성된 연결관체와;
    상단부가 상기 제1 결합구에 삽입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설치대상지역에 매설되는 지지대; 및
    상단부가 상기 제2 결합구에 삽입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설치대상지역에 매설되어 상기 지지관체가 상기 지지관체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방향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관체는 측면 일측의 높이방향의 중앙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외관 내부에 삽입설치되고,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통과공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외관의 내면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과, 상기 내관 및 상기 지지편은 압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측방향지지대는 갯벌에 지지되는 하단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10126620A 2011-11-30 2011-11-30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KR101131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20A KR101131519B1 (ko) 2011-11-30 2011-11-30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620A KR101131519B1 (ko) 2011-11-30 2011-11-30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519B1 true KR101131519B1 (ko) 2012-04-04

Family

ID=4614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620A KR101131519B1 (ko) 2011-11-30 2011-11-30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5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90B1 (ko) * 2012-05-15 2012-12-31 주식회사태성씨앤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및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의 지지관체 제조방법
CN106258921A (zh) * 2016-03-03 2017-01-04 天津市铭业巨鑫科技有限公司 密封防腐式养殖支架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15Y1 (ko) * 2000-01-14 2000-06-15 최인도 패류종묘 지지장치
KR100444883B1 (ko) * 2001-03-09 2004-08-18 이동한 양식장용 부자
KR200411511Y1 (ko) * 2005-12-29 2006-03-15 주식회사 미성테크 해양수산물의 양식 구조물
KR20100000928A (ko) * 2008-06-26 2010-01-06 김용원 굴 양식용 채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15Y1 (ko) * 2000-01-14 2000-06-15 최인도 패류종묘 지지장치
KR100444883B1 (ko) * 2001-03-09 2004-08-18 이동한 양식장용 부자
KR200411511Y1 (ko) * 2005-12-29 2006-03-15 주식회사 미성테크 해양수산물의 양식 구조물
KR20100000928A (ko) * 2008-06-26 2010-01-06 김용원 굴 양식용 채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90B1 (ko) * 2012-05-15 2012-12-31 주식회사태성씨앤디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및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의 지지관체 제조방법
CN106258921A (zh) * 2016-03-03 2017-01-04 天津市铭业巨鑫科技有限公司 密封防腐式养殖支架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227B1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JP2015173627A (ja) 生け簀及び魚類の養殖方法
CA2906797C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US20210360905A1 (en) Semi-submersible spar-type offshore fish farm with detachable and pivotable coupling assembly
CN103651186A (zh) 碗形漂浮式鱼礁与投放装置
CN202285858U (zh) 一种升降式养殖装置
CN103563809B (zh) 复合型潜浮鱼礁
KR101131519B1 (ko)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CN108924493B (zh) 一种海洋鱼卵的垂直分布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208338660U (zh) 一种悬浮型人工鱼礁
CN102499144A (zh) 单向分流网箱
CN202799882U (zh) 一种管制养殖网箱框架
CN114081003B (zh) 一种海参海底养殖网箱
CN216164459U (zh) 深远海暂养暂存养殖平台
KR20130112452A (ko)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 및 갯벌용 해양수산물 양식 장치의 침하방지구
CN205124712U (zh) 窗式网囊
CN108207717A (zh) 一种海产品多层混养竹筏
CN102763611A (zh) 防污型大黄鱼养殖用拉伸网网箱
CN209185416U (zh) 一种防止洪涝水产流失的养殖塘
CN208095720U (zh) 鱼塘用易更换双层拦鱼网
KR20120006180U (ko) 가두리 양식 브라켓
KR101217190B1 (ko) 해양수산물용 양식 장치 및 해양수산물용 양식장치의 지지관체 제조방법
CN204837544U (zh) 一种三棱柱形水产养殖网箱
CN205409131U (zh) 一种具有上下固定挂圈的养殖装置
CN110786280A (zh) 张拉式坐底网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