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947B1 -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 - Google Patents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947B1
KR102449947B1 KR1020200182454A KR20200182454A KR102449947B1 KR 102449947 B1 KR102449947 B1 KR 102449947B1 KR 1020200182454 A KR1020200182454 A KR 1020200182454A KR 20200182454 A KR20200182454 A KR 20200182454A KR 102449947 B1 KR102449947 B1 KR 10244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pouch
friendly
laminated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180A (ko
Inventor
박기호
김지훈
이진경
Original Assignee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9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친환경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은,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 상에 형성된 필름층을 포함하고, 종이층은, 평량 30 g/m2 내지 250 g/m2이고, 상기 적층 필름은, 인열 강도가 10 gf 내지 1,000 gf이고, 강성이 0.5 gf·㎝ 내지 20 gf·㎝이고, 인장 강도가 3 kgf/15 ㎜ 이상이고, 두께가 350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증착층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도 강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ECO-FRIENDLY LAMINATE FILM WITH EXCELLENT COMPRESSIVE STRENGTH AND ECO-FRIENDLY POUC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액용 비닐 포장재는 식약품 또는 산업용 자재들의 수분 및 산소 차단을 위하여, 다층 구조의 합지물에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알루미늄 성분을 포함하는 포장재의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차단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종이 베이스의 포장재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현재 개발된 포장재의 경우 건조한 물질을 담는 데에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음료나 화장품 등 액상 물질을 담는 경우, 액체가 담긴 포장 제품이 적층될 때 아래층에 위치한 액상 포장 제품이 하중에 의해 쉽게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 포장재와 달리 종이를 기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용물 감량을 방지하고 내충격성이 탁월하면서도, 알루미늄을 사용하지 않는,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전세계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친환경적 니즈를 맞추기 위해서도 친환경 적층 필름을 시급히 개발하여야 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체를 담았을 때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압축 강도를 가지는 친환경 적층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에서 내부를 보호하고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가 상당한 친환경 적층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은,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 상에 형성된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층은, 평량 30 g/m2 내지 250 g/m2이고, 상기 적층 필름은, 인열 강도가 10 gf 내지 1,000 gf이고, 강성이 0.5 gf·㎝ 내지 20 gf·㎝이고, 인장 강도가 3 kgf/15 ㎜ 이상이고, 두께가 350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층은,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이 80 pMC 이상이고, 바이오탄소 함량이 8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층은, 산소 투과도가 2 cc/m2-day 이하이고, 수분 투과도가 3 g/m2-day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층은, 머신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교차 방향(CD; Cross direction)으로의 강성(Stiffness)이 각각 0.01 gf·cm 내지 10 gf·cm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온도 190 ℃ 내지 230 ℃에서 용융 지수(MI; Melt index)가 0.1 g/10 min 내지 30 g/10 min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butylene succinate), 폴리하이드록시알데히드(PHA; Polyhydroxyaldehyde),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열가소성 전분(TPS; Thermoplastic starch),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카프로락탐(PCL; Polycaprolactam),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Ethylene vinyl alcohol), 폴리케톤(Polyketone),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Polyvinylidene chloride), Oxo-PE, Oxo-PP, PP,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Bio-PE, Bio-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 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1-에텐(1-Ethene), 1-프로펜(1-Propene), 1-부텐(1-Butene), 1-헥센(1-Hexene), 1-옥텐(1-Octen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아디프산(Adipic acid),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세바코일 클로라이드(Sebacoyl chlorid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1,4-부탄디올(1,4-Butanediol), 숙신산(Succinic acid) 및 전분 고분자(Starch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실링 강도가 3 kgf/15 ㎜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필름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은, 상기 종이층 및 필름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PVA계, 아크릴계, EVA계 및 에폭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접착층의 도공량은, 1 g/m2 내지 25 g/m2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스파우트, 10 ㎜ 이하의 끈 타입 합성수지 필름, 지퍼 및 티어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함께 실링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친환경 파우치는,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 상에 형성된 필름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적층 필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환경 파우치는, 톰슨 파우치, 스틱 파우치, 이방 파우치, 삼방 파우치, 스탠딩 파우치, 박스 파우치, 스파우트 파우치, 플랫바텀 파우치, M방 파우치 또는 T방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를 담았을 때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압축 강도를 가지는 친환경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에서 내부를 보호하고 인장 강도 및 인열 강도가 상당한 친환경 적층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은,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 상에 형성된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층은, 평량 30 g/m2 내지 250 g/m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환경 적층 필름은, 액체를 담는 파우치에 적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인 친환경 적층 필름은 액체를 포장할 경우 제품을 여러 개 적층하였을 때 아래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쉽게 터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은, 인열 강도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서, 외부에서의 충격 및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이층과 필름층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재활용 가능한 것이고, 필름층은, 미생물, 수분, 산소, 빛 및 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생분해 또는 생붕괴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필름층은, 고분자, 사탕수수, 감자, 옥수수 등에서 추출한 원재료로 만든 바이오 소재, 또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Nylon),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및 폴리염화비닐리덴(PVD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다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1)은, 액체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로서, 마스크팩 포장재, 사료 포장재 또는 커피 파우치 등에 적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1)은, 종이층(11) 및 필름층(12)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종이층(11) 및 필름층(12) 사이에 접착층(13)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종이층(11)은 평량이 40 g/m2 내지 100 g/m2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층 필름(1)은, 인열 강도가 10 gf 내지 1,000 gf이고, 강성이 0.5 gf·㎝ 내지 20 gf·㎝이고, 인장 강도가 3 kgf/15 ㎜ 이상이고, 두께가 350 ㎛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층(11)은, 머신 방향(MD) 및 수직 방향(CD) 모두 인열 강도가 5 gf 내지 400 gf인 것이고, 인장 강도가 1 kgf/15 ㎜ 내지 45 kgf/15 ㎜ 인 것일 수 있다. 이 때, 인열강도는 ASTM D 1424, 인장 강도는 ASTM D 882 조건으로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이층(11)은, 시트 형태로 기계에서 뽑히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데, 기계에서 뽑히는 방향은 머신 방향(MD), 이에 수직한 방향은 수직 방향(CD)으로 정의된다.
종이층(11)은 종이 섬유의 배열에 따라 인열 강도 및 인장 강도의 이방성을 가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1)은, 종이층(11)이 머신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 상당한 인열 강도, 강성(stiffness) 및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강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필름(1)은, 바람직하게는, 인열 강도가 15 gf 내지 1,000 gf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필름(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0 ㎛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필름(1)은, 바람직하게는, 인장 강도가 3 kgf/15 ㎜ 내지 50 kgf/15 ㎜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필름(1)은, 바람직하게는, 인장 강도가 7 kgf/15 ㎜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층은,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이 80 pMC 이상이고, 바이오탄소 함량이 8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이오탄소의 함량은 ASTM D 6866-16에 의해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방사성탄소동위원소는 가속 질량 분석법(AMS)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방사성탄소동위원소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화석연료로부터 유래된 물질과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된 물질이 얼마나 함유되어 있는지 그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을수록 종이의 재활용률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층은, 바이오탄소를 함유하는 식물성 물질로부터 유래되거나 바이오탄소를 함유하는 바이오매스 물질 및 다른 수지를 혼합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층은, 방사성탄소동위원소의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80 pMC 내지 100 pMC인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90 pMC 내지 100 pMC인 것일 수 있다.
종이층의 방사성탄소동위원소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경우, 재활용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이층의 바이오탄소의 함량이 높을수록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 및 생분해/생붕괴 정도가 높아 친환경적이나, 바이오매스로부터 이를 제조하는 비용이 더 많이 들게 되어 종이층의 바이오탄소 함량은 9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층은, 산소 투과도가 2 cc/m2-day 이하이고, 수분 투과도가 3 g/m2-day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층은, 바람직하게는 산소 투과도가 0.1 cc/m2-day 내지 2 cc/m2-day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이층은, 머신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교차 방향(CD; Cross direction)으로의 강성(Stiffness)이 각각 0.01 gf·cm 내지 10 gf·cm 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성은 TAPPI T 556 방법에 의해 bending 15°이하 조건에서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종이층은, 머신 방향 및 교차 방향으로의 강성이 모두 0.1 gf·cm 내지 5 gf·cm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층은, 머신 방향 및 교차 방향의 강성이 각각 0.01 gf·cm 내지 10 gf·cm인 것일 수 있는데, 강성이 0.01 gf·cm보다 작으면 가공 시 종이가 처지기 때문에 가공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고, 10 gf·cm보다 높으면 공정 속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수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190 ℃ 내지 230 ℃의 온도에서 용융 지수(MI; Melt index)가 0.1 g/10 min 내지 30 g/10 min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층은, 용융 지수(MI; Melt index)가 0.1 g/10 min 내지 15 g/10 min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에 들어가도록 필름층의 용융 지수가 형성되는 경우, 더 높은 실링 특성을 가지는 필름층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butylene succinate), 폴리하이드록시알데히드(PHA; Polyhydroxyaldehyde),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열가소성 전분(TPS; Thermoplastic starch),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카프로락탐(PCL; Polycaprolactam),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Ethylene vinyl alcohol), 폴리케톤(Polyketone),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Polyvinylidene chloride), Oxo-PE, Oxo-PP, PP,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Bio-PE, Bio-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필름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나일론 6,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5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1-에텐(1-Ethene), 1-프로펜(1-Propene), 1-부텐(1-Butene), 1-헥센(1-Hexene), 1-옥텐(1-Octen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아디프산(Adipic acid),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세바코일 클로라이드(Sebacoyl chlorid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1,4-부탄디올(1,4-Butanediol), 숙신산(Succinic acid) 및 전분 고분자(Starch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1-에텐(1-Ethene), 1-프로펜(1-Propene), 1-부텐(1-Butene), 1-헥센(1-Hexene), 1-옥텐(1-Octen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아디프산(Adipic acid),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세바코일 클로라이드(Sebacoyl chlorid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1,4-부탄디올(1,4-Butanediol), 숙신산(Succinic acid) 및 전분 고분자(Starch polymer)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만든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오토클레이브, 튜블라, 기상 반응기, 액상 반응기, 멀티존 순환 반응기, 슬러리상 반응기 또는 슬러리 루프 반응기에서 생산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1-에텐(1-Ethene), 1-프로펜(1-Propene), 1-부텐(1-Butene), 1-헥센(1-Hexene), 1-옥텐(1-Octen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아디프산(Adipic acid),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세바코일 클로라이드(Sebacoyl chlorid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1,4-부탄디올(1,4-Butanediol), 숙신산(Succinic acid) 및 전분 고분자(Starch 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바이오탄소 함량이 100%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추가적으로 바이오탄소 함량이 100%인 수지를 블렌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필름층의 총 바이오탄소 함량이 2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더 효과적으로는, 아마이드계 고분자인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나일론 6,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테레프탈레이트계 고분자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둘 다;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블렌딩 또는 적층하여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아마이드계 또는 테레프탈레이트계 고분자는 필름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인 것이고, 코모노머(Co-monomer)로서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2 중량% 이상 포함하거나 밀도가 0.918 g/cm3 이상인 폴리에틸렌을 1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녹는점이 135 ℃ 내지 165 ℃인 블록 폴리프로필렌(Block PP),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P), 터 폴리프로필렌(Ter-PP)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필름층의 총 중량 대비 2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아마이드계 또는 테레프탈레이트계 고분자를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butylene succinate), 폴리하이드록시알데히드(PHA; Polyhydroxyaldehyde),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열가소성 전분(TPS; Thermoplastic starch),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카프로락탐(PCL; Polycaprolactam),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Ethylene vinyl alcohol), 폴리케톤(Polyketone),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Polyvinylidene chloride), Oxo-PE, Oxo-PP, PP,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Bio-PE, Bio-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료와 함께 공압출 또는 합지 공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실링 강도가 3 kgf/15 ㎜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실링 강도가 3 kgf/15 ㎜ 내지 25 kgf/15 ㎜인 것일 수 있다.
필름층의 실링 강도가 3 kgf/15 ㎜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품의 내용물, 특히 액상 내용물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링 강도는, 밀봉 강도와 동일한 의미로서, 동종 또는 이종의 필름시트 등의 열접착에 있어서 실링부의 접착 강도를 일컫는다. 즉, 실링에 대하여 실링부가 파괴될 때까지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실링부가 분리되기 직전의 최대 하중을 실링 강도라고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압축 강도가 5 kgf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 강도는 TAPPI T 809, TAPPI T 811, TAPPI T 821, TAPPI T 822, TAPPI T 823, TAPPI T 825, TAPPI T 829, TAPPI T 838, TAPPI T 839, TAPPI T 843, ASTM D 1621, ASTM D 695, ASTM D 575 또는 ASTM E 9에 따라 측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필름층의 압축 강도가 5 kgf보다 낮은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으로 포장된 제품을 여러 개 쌓았을 때 위에 위치하는 제품의 하중에 의해 아래에 위치하는 제품이 터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료 포장재는 일반 소비자가 밟았을 경우를 가정하여 50 kgf 이상의 압력에도 버틸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50 kgf 이상 압축강도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압축 강도가 10 kgf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필름은, 인장 강도가 3 kgf /15m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kgf/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의 인장 강도가 3 kgf /15mm보다 낮을 경우 인쇄 및 파우치 가공 시 공정속도를 합성수지 원단 만큼 올리면 적층 원단이 텐션을 견지지 못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인장 강도는 ASTM D 882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필름은, 인열강도가 1 gf 내지 1,000 gf일 수 있으며, 더 적절하게는 50 gf 내지 240 gf 일 수 있다. 1 gf 미만이면 공정 상 필름이 쉽게 찢어져 가공이 힘들고, 1,000 gf보다 높으면 소비자가 포장재를 개봉하기 힘들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필름은, 강성(Stiffness)이 0.5 gf·㎝ 내지 20 gf·㎝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gf·㎝ 내지 10 gf·㎝인 것일 수 있다. 적층 필름의 강성이 0.5 gf·㎝ 미만이면 원단이 말려 가공하기가 힘들고, 20 gf·㎝를 초과하면 뻣뻣하여 일반적인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에는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필름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층은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또는 둘 다는 필름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6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또는 둘 다는 필름층의 물성을 향상시켜, 필름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의 인열 강도, 강성, 인장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은, 상기 종이층 및 필름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1)은, 종이층(11), 필름층(12) 및 종이층(11)과 필름층(12)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13)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PVA계, 아크릴계, EVA계 및 에폭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접착층의 도공량은, 1 g/m2 내지 25 g/m2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환경 적층 필름의 기체 및 수분 차단성을 높이기 위해 종이층 및 필름층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fiber), 그래핀 옥사이드(Graphene Oxide),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시클로 덱스트린 계, SiOx, AlOx,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및 Cray 중 적어도 하나를 증착 또는 코팅 할 수 있다.
또한 위의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접착제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은, 폴리우레탄 계 또는 EVA,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Polyolefin elastomer) 및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Polyolefin plasto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은, 논솔벤트 라미네이션 공법, 드라이 라미네이션 공법 또는 T-다이 공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스파우트, 10 ㎜ 이하의 끈 타입 합성수지 필름, 지퍼 및 티어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함께 실링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층은, 두께가 10 ㎛ 내지 200 ㎛인 것이고, 상기 종이층은, 두께가 20 ㎛ 내지 200 ㎛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층은, 두께가 40 ㎛ 내지 150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친환경 파우치는,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 상에 형성된 필름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적층 필름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파우치는, 필름층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친환경 적층 필름이 둘러싸이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환경 파우치는, 필름층이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파우치 내에 담기는 내용물이 필름층과 닿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환경 파우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으로 둘러싸인 것으로서, 액상 내용물을 담기 위한 용도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환경 파우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적층 필름을 원하는 크기로 잘라 주변부를 압착하여 파우치의 형태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파우치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파우치는, 스파우트, 지퍼, 10 ㎜ 이하의 끈 타입 합성수지 필름 및 티어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환경 파우치는, 톰슨 파우치, 스틱 파우치, 이방 파우치, 삼방 파우치, 스탠딩 파우치, 박스 파우치, 스파우트 파우치, 플랫바텀 파우치, M방 파우치 또는 T방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 80 pMC 이상이고, 바이오탄소의 함량이 80% 이상이며, 인열 강도는 5 gf 내지 400 gf이고, 머신 방향 및 교차 방향 모두의 강성이 0.01 gf·cm 내지 5 gf·cm이고, 평량이 50 g/m2 내지 200 g/m2인 종이를 준비하였다.
이 때, 인열 강도는 ASTM D 1424, 강성은 테이버 강성 테스터기(Taber stiffness tester)를 이용하여 TAPPI T 556에 따라 각도 15° 이하에서 측정하였다.
한편, 필름층은 용융 지수가 0.1 g/10 min 내지 30 g/10min의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BS; Polybutylene succinate), 폴리하이드록시알데히드(PHA; Polyhydroxyaldehyde),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열가소성 전분(TPS; Thermoplastic starch),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카프로락탐(PCL; Polycaprolactam), 에틸렌 비닐 알코올(EVOH; Ethylene vinyl alcohol),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Polyvinylidene chloride), Oxo-PE, Oxo-PP, PP, 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Bio-PE, Bio-PP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바이오탄소 함량이 100%인 수지를 더 블렌딩하여 총 바이오탄소 함량이 20% 이상이 되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및 P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6,12 및 PE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는 전체 필름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코모노머(Co-monomer)로서 1-헥센 또는 1-옥텐을 코모노머(Comonomer)로 사용한 α-Olefin Copolymer를 전체 필름 대비 2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밀도가 0.92 g/cm3 이상인 폴리에틸렌을 1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녹는점이 135 ℃ 내지 165 ℃인 블록 폴리프로필렌(Block PP),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P), 터 폴리프로필렌(Ter-PP)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필름층의 총 중량 대비 2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필름층은, 아마이드계 또는 폴리에스터계 고분자를 EVOH(Ethylene vinyl alcohol), 폴리케톤(Polyketone),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alate), PBS(Polybutylene succinate), PHA(Polyhydroxyaldehyde), PLA(Polylactic acid), TPS(Thermoplastic starch), PVA(Polyvinyl alcohol), PCL(Polycaprolatam), Oxo-PE, Oxo-PP, PP, PE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료와 함께 공압출 또는 합지 공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조예에 따른 종이층 및 필름층을 포함하는 친환경 적층 필름을 구현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술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 80 pMC 이상, 인열 강도는 30 gf, 강성은 0.2 gf·cm를 가지는 평량 60 g/m2의 종이층을 준비하였다. 1-에텐, 1-프로펜,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LLDPE를 이용하여 PE 층을 제조하고, 필름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5% 이상이 되도록 PET 층을 적층하여 필름층을 제조한 뒤, 이를 종이층 상에 접착하였다.
접착 공정으로는 드라이 라미네이션 공정을 사용하였으며, 종이층의 산소 투과도는 2 cc/m2-day 이하이고, 수분 투과도는 3 g/m2-day 이하인 것이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적층 필름의 인장 강도는 머신 방향, 교차 방향 모두 11 kgf/15 ㎜ 내지 13 kgf/15 ㎜, 두께는 140 ㎛였다.
실시예 2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 80 pMC 이상, 인열 강도는 30 gf, 강성은 0.2 gf·cm를 가지는 평량 60 g/m2의 종이층을 준비하였다. 코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PE를 이용하여 PE 층을 제조하고, 필름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5% 이상이 되도록 PET 층을 적층하여 필름층을 제조한 뒤, 이를 종이층 상에 적층하였다.
이 때 PE 층은 오토클레이브 공법을 통해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적층 필름의 인장 강도는 머신 방향, 교차 방향 모두 9 kgf/15 ㎜ 내지 10 kgf/15 ㎜, 두께는 140 ㎛였다.
실시예 3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 80 pMC 이상, 인열 강도는 30 gf, 강성은 0.2 gf·cm를 가지는 평량 60 g/m2의 종이층을 준비하였다. 1-에텐, 1-프로펜,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LLDPE를 이용하여 PE 층을 제조하고, 필름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5% 이상이 되도록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를 공압출하거나 필름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5% 이상이 되도록 폴리아마이드계 층을 적층하여 필름층을 제조한 뒤, 이를 종이층 상에 접착하였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적층 필름의 인장 강도는 머신 방향, 교차 방향 모두 8 kgf/15 ㎜ 내지 9 kgf/15 ㎜, 두께는 140 ㎛였다.
비교예 1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 80 pMC 이상, 인열 강도는 30 gf, 강성은 0.2 gf·cm를 가지는 평량 60 g/m2의 종이층을 준비하였다. 1-에텐, 1-프로펜,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LLDPE를 LDPE와 혼합하여 필름층을 제조한 뒤, 이를 종이층 상에 접착하였다.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적층 필름의 인장 강도는 머신 방향, 교차 방향 모두 4 kgf/15 ㎜ 내지 6 kgf/15 ㎜, 두께는 140 ㎛였다.
비교예 2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 80 pMC 이상, 인열 강도는 4 gf, 강성은 0.01 gf·cm를 가지는 평량 60 g/m2의 종이층을 준비하였다. 1-에텐, 1-프로펜,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LLDPE를 이용하여 PE 층을 제조하고, 필름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5% 이상이 되도록 PET 층을 적층하여 필름층을 제조한 뒤, 이를 종이층 상에 접착하였다.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적층 필름의 인장 강도는 머신 방향, 교차 방향 모두 3 kgf/15 ㎜ 내지 5 kgf/15 ㎜, 두께는 140 ㎛였다.
비교예 3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 80 pMC 이상, 인열 강도는 30 gf, 강성은 0.2 gf·cm를 가지는 평량 60 g/m2의 종이층을 준비하였다. 1-에텐, 1-프로펜, 1-부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LLDPE를 이용하여 PE 층을 제조하고, 필름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4% 이하가 되도록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를 공압출하여 필름층을 제조한 뒤, 이를 종이층 상에 접착하였다.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적층 필름의 인장 강도는 머신 방향, 교차 방향 모두 4 kgf/15 ㎜ 내지 7 kgf/15 ㎜, 두께는 140 ㎛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적층 필름을 이용하여 파우치를 제조하고, 파우치 내에 증류수 40 mL를 충진하여 압축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누액여부를 쉽게 확인하기 위하여 적색 잉크를 첨가하였다.
이 때 파우치의 형태는 삼방 파우치로 실링하였으며, 제조된 삼방 파우치의 규격은 67 ㎜ ×120 ㎜로 하였다. 각 파우치 별로 LD5 만능인장시험기(로이드 社 제조)를 이용하여 50 kgf 및 70 kgf의 힘으로 5초간 눌러 파우치가 손상되어 누액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적층 필름으로 제조한 파우치에 대한 상기 압축 테스트 수행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누액 여부
50 kgf 70 kgf
실시예 1 X X
실시예 2 X O
실시예 3 X O
비교예 1 O O
비교예 2 O O
비교예 3 O O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적층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는,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적층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와 비교하여 50 kgf 이상의 하중에서도 내부 충진물의 누액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3과 달리 실시예 1에 따른 적층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는 70 kgf의 하중에서도 누액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친환경 적층 필름
11: 종이층
12: 필름층
13: 접착층

Claims (14)

  1. 친환경 적층 필름으로서,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 상에 형성된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종이층은, 평량 30 g/m2 내지 250 g/m2이고,
    상기 적층 필름은, 인열 강도가 10 gf 내지 1,000 gf이고, 강성이 0.5 gf·㎝ 내지 20 gf·㎝이고, 인장 강도가 3 kgf/15 ㎜ 이상이고, 두께가 350 ㎛ 이하인 것이고,
    상기 종이층은, 방사성탄소동위원소 함량이 90 pMC 내지 100 pMC이고, 바이오탄소 함량이 90% 내지 95%인 것이고,
    상기 종이층은, 머신 방향(MD; Machine direction) 및 교차 방향(CD; Cross direction)으로의 강성(Stiffness)이 각각 0.01 gf·cm 내지 10 gf·cm인 것이고,
    상기 필름층은, 190 ℃ 내지 230 ℃의 온도에서 용융 지수(MI; Melt index)가 0.1 g/10 min 내지 30 g/10 min인 것이고,
    상기 필름층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케톤(Polyketone), Bio-PE, Bio-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필름층은, 1-에텐(1-Ethene), 1-프로펜(1-Propene), 1-부텐(1-Butene), 1-헥센(1-Hexene), 1-옥텐(1-Octene),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 아디프산(Adipic acid),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 세바코일 클로라이드(Sebacoyl chlorid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1,4-부탄디올(1,4-Butanediol) 및 숙신산(Succi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친환경 적층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은, 산소 투과도가 2 cc/m2-day 이하이고, 수분 투과도가 3 g/m2-day 이하인 것인,
    친환경 적층 필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실링 강도가 3 kgf/15 ㎜ 이상인 것인,
    친환경 적층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필름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상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것인,
    친환경 적층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층 및 필름층 사이에 형성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친환경 적층 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PVA계, 아크릴계, EVA계 및 에폭시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접착층의 도공량은, 1 g/m2 내지 25 g/m2인 것인,
    친환경 적층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스파우트, 10 ㎜ 이하의 끈 타입 합성수지 필름, 지퍼 및 티어탭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와 함께 실링되는 것인,
    친환경 적층 필름.
  13. 친환경 파우치로서,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 상에 형성된 필름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적층 필름은, 제1항의 친환경 적층 필름인 것인,
    친환경 파우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친환경 파우치는, 톰슨 파우치, 스틱 파우치, 이방 파우치, 삼방 파우치, 스탠딩 파우치, 박스 파우치, 스파우트 파우치, 플랫바텀 파우치, M방 파우치 또는 T방 파우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친환경 파우치.
KR1020200182454A 2020-12-23 2020-12-23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 KR10244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454A KR102449947B1 (ko) 2020-12-23 2020-12-23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454A KR102449947B1 (ko) 2020-12-23 2020-12-23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180A KR20220091180A (ko) 2022-06-30
KR102449947B1 true KR102449947B1 (ko) 2022-10-06

Family

ID=8221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454A KR102449947B1 (ko) 2020-12-23 2020-12-23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9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049A (ja) * 2003-02-07 2004-08-26 Toppan Printing Co Ltd 生分解性の紙容器
JP2007002383A (ja) 2005-05-25 2007-01-11 Kri Inc 生分解性シート、生分解性容器
JP2008189341A (ja) 2007-02-02 2008-08-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紙容器
KR101539271B1 (ko) * 2011-12-02 2015-07-27 그린포장 주식회사 펄프-미네랄 합성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KR102083124B1 (ko) * 2019-07-17 2020-02-28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고차단성 친환경 포장재에 적용되기 위한 적층필름
KR102141711B1 (ko) 2019-09-30 2020-08-05 제이에셀 주식회사 친환경 마스크팩 파우치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파우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470B1 (ko) * 2012-02-23 2014-11-03 무림피앤피 주식회사 헤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건조지력이 증강된 종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049A (ja) * 2003-02-07 2004-08-26 Toppan Printing Co Ltd 生分解性の紙容器
JP2007002383A (ja) 2005-05-25 2007-01-11 Kri Inc 生分解性シート、生分解性容器
JP2008189341A (ja) 2007-02-02 2008-08-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用紙容器
KR101539271B1 (ko) * 2011-12-02 2015-07-27 그린포장 주식회사 펄프-미네랄 합성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조성물
KR102083124B1 (ko) * 2019-07-17 2020-02-28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고차단성 친환경 포장재에 적용되기 위한 적층필름
KR102141711B1 (ko) 2019-09-30 2020-08-05 제이에셀 주식회사 친환경 마스크팩 파우치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180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4971B2 (en) Laminated film to be applied to eco-friendly packaging material with high barrier properties
EP1263654B1 (en) Multi-layer resin/paper laminate structure containing at least a polymer/nanoclay composite layer and packaging materials made thereof
KR102141711B1 (ko) 친환경 마스크팩 파우치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파우치
KR102388742B1 (ko) 액상 내용물 감량 개선 친환경 포장재
CN100410071C (zh) 用于饮料包装的阻隔叠层结构
US20050148759A1 (en) Ream wrap comprising PLA resin
EP2152510B1 (en) Biodegradable multilayer polymeric films and packages produced therefrom
EP1361044A2 (en) Ream wrap comprising PLA resin
US20090317650A1 (en) Cross-laminated elastic film
US20090004505A1 (en) Composition For Laminate Having Reduced Metal Content,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138968B2 (en) Packaging and materials for making same
CN116745125A (zh) 包括通过转移金属化施加的金属化阻隔层的可再循环硬纸板包装材料
KR102449947B1 (ko) 압축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적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파우치
KR102538608B1 (ko) 실링 특성이 우수한 포장재
JP7095792B2 (ja) ガスバリア用積層体
KR20240003419A (ko) 친환경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재
JP3145206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容器
JP7302704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体
JP7404731B2 (ja) 植物由来ポリエチレンを含むシーラント層を有する手切り開封包装体用の積層体
KR10260689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연포장재,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재활용 방법
KR102560991B1 (ko) 후살균이 가능한 친환경 적층필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재
JP2951340B2 (ja) 深絞り成形用複合フイルム
JP2009040460A (ja) 包装用積層材料および包装用積層材料の製造法
CA2428320C (en) Ream wrap comprising pla resin
KR20230141090A (ko) 친환경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